KR101636781B1 - 당 검출을 위한 세포간액 추출 구조 - Google Patents

당 검출을 위한 세포간액 추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6781B1
KR101636781B1 KR1020150019366A KR20150019366A KR101636781B1 KR 101636781 B1 KR101636781 B1 KR 101636781B1 KR 1020150019366 A KR1020150019366 A KR 1020150019366A KR 20150019366 A KR20150019366 A KR 20150019366A KR 101636781 B1 KR101636781 B1 KR 101636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ing body
unit
fluid
body fluid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9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치성
이홍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엠피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엠피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엠피올
Priority to KR1020150019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7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6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blood sugars, e.g. galact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abet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생체 내의 당의 변화를 설정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당 검출을 위한 세포간액 추출 구조로서, 생체 내에 삽입되어 생체 내부에 위치하고, 내부에 생체 조직 사이의 체액이 유입되어 유동하는 제1유로가 형성된 삽입관부, 일단부가 생체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삽입관부의 노출단부에 결합하여 생체의 외부에 위치하고, 내부에 제1유로와 연통되어 체액이 유입되어 유동하는 제2유로가 형성된 측정관부, 측정관부의 타단부에 결합하고, 지속적인 흡입력을 생성하여 체액이 생체 조직으로부터 제1유로와 제2유로를 유동하여 배출되게 하는 배액부 및 생체 조직과 접촉하지 않도록 측정관부에 결합하고, 배액부에 의하여 유동하는 체액의 변화하는 당(Glucose)의 농도를 연속적으로 감지하여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당 검출을 위한 세포간액 추출 구조를 제공한다.
따라서 센서부가 생체 조직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 구조이기 때문에, 센서부에 대한 염증반응과 같은 생체 반응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센싱 성능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당 검출을 위한 세포간액 추출 구조 {Intercellular fluid extraction structure for detecting glucose}
본 발명은 당 검출을 위한 세포간액 추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고,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당 검출을 위한 세포간액 추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대표적인 성인병 중의 하나인 당뇨병으로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서, 이러한 추세에 따라 당뇨병 치료에 필수적인 혈당 측정기기, 특히 일상생활에서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한 혈당 측정기기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종래에는 상기한 혈당을 측정하고 관리하기 위한 기기로 일회용 혈당 스트립 센서에 관한 기술이 많이 개발되어져 오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일회용 혈당 스트립 센서의 경우, 채혈을 할 때마다 바늘 등을 이용하여 직접 채혈을 하여야 하므로, 그에 따른 고통이나 스트레스가 동반하는 단점이 있어, 최근에는 연속 측정 혈당센서에 관한 기술개발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한 연속 측정형 혈당센서에 대한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55202호는 체내 삽입형 연속측정 바이오센서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연속 혈당 측정센서는, 당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가 생체 조직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당(포도당) 검지 신호를 발생하도록 만들어진 전극 표면에 생체 조직 또는 혈액(Whole blood)에 포함된 면역세포 또는 기타세포와 같은 생체 입자 또는 단백질 등이 흡착되면서 당 감지신호(Glucose sensing signal)의 크기(Amplitude)와 민감도(Sensibility)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연속 혈당 측정센서는, 장시간 동안 체내에 삽입된 상태로 있는 만큼 전극으로 인한 염증반응과 같은 생체반응이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피해를 주거나, 나아가 생체 내에 삽입 시 센서부가 휘어지는 등의 사용상 부주의에 따른 성능저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55202호
본 발명은, 생체 조직에 따른 감지신호 크기와 민감도 저하를 방지하여 제품의 성능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장시간 체내 삽입된 상태로 있기에 센서부로 인한 염증과 같은 생체 반응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품의 내구성 및 수명도 연장할 수 있는 당 검출을 위한 세포간액 추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생체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생체 내의 당의 변화를 설정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당 검출을 위한 세포간액 추출 구조에 있어서, 생체 내에 삽입되어 상기 생체 내부에 위치하고, 내부에 상기 생체 조직 사이의 체액이 유입되어 유동하는 제1유로가 형성된 삽입관부; 일단부가 상기 생체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상기 삽입관부의 노출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생체의 외부에 위치하고, 내부에 상기 제1유로와 연통되어 상기 체액이 유입되어 유동하는 제2유로가 형성된 측정관부; 상기 측정관부의 타단부에 결합하고, 지속적인 흡입력을 생성하여 상기 체액이 상기 생체 조직으로부터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를 유동하여 배출되게 하는 배액부; 및 상기 생체 조직과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측정관부에 결합하고, 상기 배액부에 의하여 유동하는 상기 체액의 변화하는 당(Glucose)의 농도를 연속적으로 감지하여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당 검출을 위한 세포간액 추출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당 검출을 위한 세포간액 추출 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센서부가 생체 조직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센서부의 표면에 생체 조직 또는 혈액(Whole blood)에 포함된 면역세포 또는 기타세포와 생체 입자 또는 단백질 등이 흡착되거나, 생체 반응(Bio reaction)으로 인한 감지 신호의 크기 저하와 민감도 저하와 같은 센싱 성능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센서부가 생체 조직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 구조이기 때문에, 장시간 체내 삽입된 상태로 있어도 센서부의 전극으로 인한 염증과 같은 생체 부작용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삽입관부를 생체 내에 삽입 시 발생할 수 있는 휘어짐과 같은 기구적인 변형에 대한 성능 저하의 구애를 받지 않기 때문에 내구성향상 및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당 검출을 위한 세포간액 추출 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당 검출을 위한 세포간액 추출 구조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당 검출을 위한 세포간액 추출 구조(900)는, 생체(1)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생체(1) 내의 당의 변화를 설정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연속혈당센서의 당 검출을 위한 세포간액 추출구조로서, 삽입관부(100)와, 측정관부(200)와, 배액부(300)와, 센서부(400)를 포함한다. 한편, 당 검출을 위한 세포간액 추출 구조(900)는 연속 혈당 측정장치로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하에서는 '세포간액 추출 구조'라 한다.
상기 삽입관부(100)는, 생체(1) 내에 삽입되어 상기 생체(1) 내부에 위치하고, 내부에 상기 생체(1) 조직 사이의 체액이 유입되어 유동하는 제1유로(10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관부(100)는 공지의 카테터(Catheter)를 적용할 수 있지만,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세포간액 추출 구조(900)는, 상기 삽입관부(100)에 필터부(800)를 설치하여, 유입하는 상기 체액을 필터링하여 상기 제1유로(101)로 상기 체액 중 세포간액(Intercellular fluid; ICF)이 유입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필터부(800)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고분자 분리막이나, 초극세사 필터 등 다양하게 적용가능하다.
상기 측정관부(200)는, 일단부가 상기 생체(1)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상기 삽입관부(100)의 노출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생체(1)의 외부에 위치하고, 내부에 상기 제1유로(101)와 연통되어 상기 체액이 유입되어 유동하는 제2유로(20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관부(100)와 상기 측정관부(2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배액부(300)는, 상기 측정관부(200)의 타단부에 결합하고,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생체(1)의 혈당 변화 감시할 수 있도록 상기 체액을 상기 생체(1) 조직으로부터 지속적으로 흡입하여 상기 제1유로(101)와 상기 제2유로(201)를 유동하여 배출되게 한다.
한편, 상기 배액부(300)는 지속적인 흡입력을 생성하여 체액을 지속적으로 빼내되, 사용자에게 불편함 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체액을 초저속의 유동흐름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하며, 배액발생부(310)와, 드레인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배액발생부(310)는 상기 체액을 지속적으로 흡입 또는 약한 음압을 형성하여 상기 체액을 지속적으로 빼낼 수 있도록 하며, 모세관 현상을 통하여 상기 체액을 초 저속으로 지속적으로 흡입할 수 있는 구성, 예를 들어 스펀지와 섬유뭉치를 비롯하여 다층의 발포성 니켈망, 스테인레스 섬유 펠트, 고분자 발포체, 금속 다공체, 섬유질 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부(320)는, 흡입된 상기 체액을 생체(1)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며, 도시되지 않았지만 배출관과 배출된 체액을 저장한 후 사용자가 버릴 수 있는 저장부 등 다양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레인부(320)에 대한 구성은 통상의 드레인구조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센서부(400)는, 상기 생체(1) 조직과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측정관부(200)에 결합하고, 상기 배액부(300)에 의하여 유동하는 상기 체액의 변화하는 당(Glucose)의 농도를 연속적으로 감지하여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센서부(400)는, 상기 체액 중의 당의 농도를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감지부(410)와, 상기 감지부(410)를 통하여 측정된 상기 당 농도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420)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410)는, 체액 중 당의 농도를 감지하고 이를 측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3전극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3전극 센서는 상기 체액을 공급받아 제1전위를 생성하는 참조전극(Reference electrode)과, 상기 체액을 공급받아 제2전위를 생성하는 당 검지전극(Working electrode)과, 접지기능을 하는 접지전극(Counter electrode)을 포함하여 상기 참조전극과 상기 검지전극의 전압차를 통하여 당의 농도를 측정한다. 한편, 상기 센서부(4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당의 농도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3전극센서를 예로 하여 나타내었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한 당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전송부(420)는, 상기 감지부(410)로부터 측정된 당 농도에 대한 정보를 후술되는 제어부(600)와 디스플레이부(5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전송부(420)는 RF통신, 비콘(Beacon)을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외 다양한 통신구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세포간액 추출 구조(900)는 상기 전송부(42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상기 당 농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00)를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당 농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디스플레이부(500)는 상기 당 농도를 표시하는 단말기라면 모두 가능하며, 무선 통신이 가능한 개인 휴대 단말기 또는 무선 모뎀이 장착된 개인용 컴퓨터 등 다양하게 적용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세포간액 추출 구조(900)는, 상기 생체(1) 내로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생체(1) 내로 인슐린을 공급하는 인슐린공급부(700)를 구비하며, 상기 인슐린공급부(700)는 제어부(600)에 의하여 제어된다. 여기서, 상기 인슐린공급부(7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공지의 인슐린펌프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센서부(400)와 연결되어 상기 전송부(420)로부터 상기 당 농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당 농도에 대응하여 상기 인슐린공급부(700)를 제어하여 상기 생체(1) 내로 적정량으로 설정시간동안 인슐린이 공급되게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500)와 연결되어 당 농도의 표시와, 이에 따른 인슐린 공급표시 등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를 제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세포간액 추출 구조(900)는, 상기 센서부(400)가 생체(1) 내에 삽입되지 않고 상기 측정관부(200)에 구비되어, 체외로 추출된 세포간액에서 당의 농도를 감지 측정하기 때문에, 장시간 생체(1)에 삽입하여 연속적으로 혈당을 측정하는 세포간액 추출 구조(900)의 특성 상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센서부(400)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생체반응을 방지함은 물론, 생체(1) 내의 조직의 흡착 및 생체반응 등으로 인한 센싱의 민감도와 신호크기의 저하현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성능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삽입관부 101... 제1유로
200... 측정관부 201... 제2유로
300... 배액부 310... 배액발생부
320... 드레인부 400... 센서부
410... 감지부 420... 전송부
500... 디스플레이부 600... 제어부
700... 인슐린공급부 800... 필터부
900... 세포간액 추출 구조

Claims (7)

  1. 생체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생체 내의 당의 변화를 설정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당 검출을 위한 세포간액 추출 구조에 있어서,
    생체 내에 삽입되어 상기 생체 내부에 위치하고, 내부에 상기 생체의 체액이 유입되어 유동하는 제1유로가 형성된 삽입관부;
    상기 삽입관부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1유로 내에 위치하고, 상기 체액을 필터링하여 상기 제1유로로 상기 체액 중 세포간액(Intercellular fluid; ICF)이 유입되어 유동하도록 하는 필터부;
    상기 생체의 외부에 위치하여 일단부가 상기 생체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상기 삽입관부의 노출단부에 결합하고, 내부에 상기 제1유로와 연통되어 상기 체액이 유입되어 배출되는 제2유로가 형성된 측정관부;
    상기 측정관의 타단부에 결합하고 모세관 현상을 통하여 상기 체액을 지속적으로 흡입하여 상기 체액이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를 유동하여 배출되게 하는 배액발생부와, 상기 배액발생부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배액발생부에 의하여 흡입된 상기 체액을 배출시키는 드레인부를 포함하는 배액부; 및
    상기 생체의 조직과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측정관부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2유로 내에 위치하고, 상기 배액부에 의하여 유동하는 상기 체액의 변화하는 당(Glucose)의 농도를 연속적으로 감지하여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당 검출을 위한 세포간액 추출 구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체액 중의 당의 농도를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를 통하여 측정된 상기 당 농도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상기 당 농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당 검출을 위한 세포간액 추출 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생체 내로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생체 내로 인슐린을 공급하는 인슐린공급부와,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송부로부터 상기 당 농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당 농도에 대응하여 상기 인슐린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생체 내로 인슐린이 공급되게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당 검출을 위한 세포간액 추출 구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RF통신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는 당 검출을 위한 세포간액 추출 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체액을 공급받아 제1전위를 생성하는 참조전극(Reference electrode)과, 상기 체액을 공급받아 제2전위를 생성하는 당 검지전극(Working electrode)과, 접지기능을 하는 접지전극(Counter electrode)을 포함하여 상기 참조전극과 상기 검지전극의 전압차를 이용하여 당 농도를 측정하는 당 검출을 위한 세포간액 추출 구조.
  7. 삭제
KR1020150019366A 2015-02-09 2015-02-09 당 검출을 위한 세포간액 추출 구조 KR101636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366A KR101636781B1 (ko) 2015-02-09 2015-02-09 당 검출을 위한 세포간액 추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366A KR101636781B1 (ko) 2015-02-09 2015-02-09 당 검출을 위한 세포간액 추출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6781B1 true KR101636781B1 (ko) 2016-07-07

Family

ID=56500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9366A KR101636781B1 (ko) 2015-02-09 2015-02-09 당 검출을 위한 세포간액 추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678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2180A (ja) * 1995-06-09 1996-12-17 Technol Res Assoc Of Medical & Welfare Apparatus 経皮的連続血糖値測定システム
JP2001508176A (ja) * 1997-01-06 2001-06-19 インプランテッド バイオシステムズ,インク グルコースセンサー
JP2002527177A (ja) * 1998-10-19 2002-08-27 マインハルド クノール 低侵襲性センサーシステム
KR20050055202A (ko) 2003-12-05 2005-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체내삽입형 연속측정 바이오센서의 기준전극, 제조방법 및체내삽입형 연속측정 혈당센서
KR20120120299A (ko) * 2010-01-13 2012-11-01 유니베르시떼 드 보르도 Ⅰ 베타-췌장 세포들 또는 랑게르한스섬들의 활동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그러한 센서의 제조 및 사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2180A (ja) * 1995-06-09 1996-12-17 Technol Res Assoc Of Medical & Welfare Apparatus 経皮的連続血糖値測定システム
JP2001508176A (ja) * 1997-01-06 2001-06-19 インプランテッド バイオシステムズ,インク グルコースセンサー
JP2002527177A (ja) * 1998-10-19 2002-08-27 マインハルド クノール 低侵襲性センサーシステム
KR20050055202A (ko) 2003-12-05 2005-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체내삽입형 연속측정 바이오센서의 기준전극, 제조방법 및체내삽입형 연속측정 혈당센서
KR20120120299A (ko) * 2010-01-13 2012-11-01 유니베르시떼 드 보르도 Ⅰ 베타-췌장 세포들 또는 랑게르한스섬들의 활동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그러한 센서의 제조 및 사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8409B2 (en) Fluid delivery with in vivo electrochemical analyte sensing
CA2390893C (en) Tissue interface device
CN105873514A (zh) 动态血糖采集装置及主机
US200601785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iercing dermal tissue
US20100274112A1 (en) Modular Combination Of Medication Infusion And Analyte Monitoring
US11931144B2 (en) Sweat rate measurement devices
CN101023352A (zh) 用于体内或离体测量活组织二氧化碳分压的电化学传感器
KR101440735B1 (ko) 채혈횟수를 최소화한 혈당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37325B1 (ko) 생체 내 삽입되는 연속혈당센서의 생체 반응에 의한 열화 방지 구조
KR20190059135A (ko) 생체신호 측정 및 약물 전달이 동시에 가능한 바이오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1947586B1 (ko) 혈당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혈당 측정 시스템
CN103002804A (zh) 透皮装置
KR101760899B1 (ko) 자동 검교정 기능을 갖는 혈당 측정 센싱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연속 혈당 측정 장치
KR101636781B1 (ko) 당 검출을 위한 세포간액 추출 구조
CN102762145A (zh) 用于测定角膜的功能特性的非侵入式传感器、包含该传感器的装置及其应用
KR102313585B1 (ko) 니들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KR102302990B1 (ko) 약물 주입 장치
EP3847962A1 (en) Blood glucose measurement device and blood glucose measurement system using same
CN204542143U (zh) 微型动态血糖仪探针
KR102302991B1 (ko) 니들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KR100561853B1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체액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CN105852878B (zh) 一种具数据传输功能的血糖仪
JP2021085714A (ja) 検出用装置及び検出器
KR20210009195A (ko) 약물 주입 장치
JPH0257238A (ja) 血糖値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