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6424B1 - 이미지 합성 장치 및 이미지 합성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 합성 장치 및 이미지 합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6424B1
KR101636424B1 KR1020150047015A KR20150047015A KR101636424B1 KR 101636424 B1 KR101636424 B1 KR 101636424B1 KR 1020150047015 A KR1020150047015 A KR 1020150047015A KR 20150047015 A KR20150047015 A KR 20150047015A KR 101636424 B1 KR101636424 B1 KR 101636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overlap
stored
area
background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7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종필
Original Assignee
주종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종필 filed Critical 주종필
Priority to KR1020150047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4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 합성 장치 및 이미지 합성 방법으로서, 두 개의 이미지를 합성하는 장치 및 합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메모리에 저장된 저장 이미지를 로딩하여 정지 이미지로 출력하는 정지 이미지 로딩 과정;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되는 촬영 이미지를 로딩하는 촬영 이미지 로딩 과정; 상기 정지 이미지의 일부 영역에 상기 촬영 이미지를 오버랩시킨 오버랩 영상을 표시창에 표시하는 오버랩 영상 표시 과정; 및 촬영 버튼이 눌리어진 경우, 촬영 버튼이 눌리어진 순간의 오버랩 영상을 하나의 이미지 프레임으로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로 생성하는 합성 이미지 생성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미지 합성 장치 및 이미지 합성 방법{Apparatus for image synthesize and method for synthesiz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미지 합성 장치 및 이미지 합성 방법으로서, 두 개의 이미지를 합성하는 장치 및 합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멀티미디어 단말기에는 카메라가 구비되어 다양한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단말기내 메모리(110)에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어, 저장된 이미지를 표시함에 있어서, 특정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를 미리 보기 화면으로 표시하고, 그 미리보기 화면에서 선택된 하나의 이미지를 전체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영상 관점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새로운 유저 인터페이스의 다양한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10-2009-0034660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메모리에 저장된 정지 이미지에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이미지를 합성하여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합성 시에 오버랩 위치를 결정하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메모리에 저장된 저장 이미지를 로딩하여 정지 이미지로 출력하는 정지 이미지 로딩 과정;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되는 촬영 이미지를 로딩하는 촬영 이미지 로딩 과정; 상기 정지 이미지의 일부 영역에 상기 촬영 이미지를 오버랩시킨 오버랩 영상을 표시창에 표시하는 오버랩 영상 표시 과정; 및 촬영 버튼이 눌리어진 경우, 촬영 버튼이 눌리어진 순간의 오버랩 영상을 하나의 이미지 프레임으로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로 생성하는 합성 이미지 생성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지 이미지 로딩 과정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저장 이미지를 로딩하여, 상기 저장 이미지의 오리지널 투명도 대비하여 50% 투명도를 가지는 정지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정지 이미지 로딩 과정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저장 이미지를 로딩하여, 상기 저장 이미지내의 객체 윤곽선 이미지를 추출하여 상기 정지 이미지로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합성 이미지 생성 과정은, 상기 오버랩 영상에 표시되는 정지 이미지와 촬영 이미지의 유사도가 설정된 유사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사용자의 요청이 없어도 촬영 버튼이 눌리어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오버랩 영상 표시 과정은, 상기 표시창의 전체를 배경 영역이라 할 때, 배경 영역에서 선택 영역을 입력받는 과정;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 영역에 표시할 이미지 종류를 선택받는 과정;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 영역에 정지 이미지를 표시할 것을 요청받는 경우, 상기 선택 영역에 상기 정지 이미지를 위치시키며, 상기 배경 영역에 상기 촬영 이미지를 위치시켜 표시하는 과정;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 영역에 촬영 이미지를 표시할 것을 요청받는 경우, 상기 선택 영역에 상기 촬영 이미지를 위치시키며, 상기 배경 영역에 상기 정지 이미지를 위치시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버랩 영상 표시 과정은, 상기 표시창의 전체를 배경 영역이라 할 때, 배경 영역의 일부를 선택 영역으로 입력받는 과정; 사용자로부터 상기 배경 영역에 표시할 이미지 종류를 선택받는 과정; 사용자로부터 상기 배경 영역에 정지 이미지를 표시할 것을 요청받는 경우, 상기 배경 영역에 상기 정지 이미지를 위치시키며, 상기 선택 영역에 상기 촬영 이미지를 위치시켜 표시하는 과정;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배경 영역에 촬영 이미지를 표시할 것을 요청받는 경우, 상기 배경 영역에 상기 촬영 이미지를 위치시키며, 상기 선택 영역에 상기 정지 이미지를 위치시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경 영역의 일부를 선택 영역으로 입력받는 것은, 상기 표시창이 터치 스크린 패널로 구현될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에 터치된 영역을 선택 영역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이미지 합성 장치는, 저장 이미지가 저장된 메모리; 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저장 이미지를 로딩하며,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되는 촬영 이미지를 로딩한 후, 상기 정지 이미지의 일부 영역에 상기 촬영 이미지를 오버랩시킨 오버랩 영상을 생성하는 오버랩 영상 생성부; 상기 오버랩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창; 촬영 버튼을 포함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입력부; 및 상기 촬영 버튼이 눌리어진 경우, 촬영 버튼이 눌리어진 순간의 오버랩 영상을 하나의 이미지 프레임으로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로 생성하는 합성 이미지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상기 표시창의 전체를 배경 영역이라 할 때, 상기 배경 영역에서 선택 영역을 입력받으며,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 영역 또는 배경 영역에 표시될 이미지 종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메모리에 저장된 정지 이미지에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이미지를 합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합성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합성 시에 오버랩 위치를 결정할 수 있음으로써 다양한 이미지 연출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합성 장치를 도시한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합성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오버랩 영상을 표시하는 오버랩 표시 제1실시예를 도시한 플로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오버랩 영상을 표시하는 오버랩 표시 제2실시예를 도시한 플로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선택 영역을 도시한 스마트폰의 그림.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선택 영역에 정지 이미지가 표시되며 배경 영역에 촬영 이미지가 표시된 오버랩 영상을 도시한 그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선택 영역에 촬영 이미지가 표시되며 배경 영역에 정지 이미지가 표시된 오버랩 영상을 도시한 그림.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서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하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합성 장치를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메모리(110)에 저장된 저장 이미지를 불러와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촬영 이미지를 오버랩시켜 하나의 합성 이미지로서 출력한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멀티미디어 단말기에 저장된 이미지에 시시간으로 새로운 촬영 이미지를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이미지 합성 장치가 장착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예로서 스마트 폰(smart phone)을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나, 피처폰(feature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Navigation),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카메라가 구비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이미지 합성 장치는, 메모리(110), 카메라부(120), 오버랩 생성부, 표시창(130), 및 입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0)는 이미지(이하, '저장 이미지'라 함)가 저장된 기록 매체이다. 메모리(110)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110)(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카메라부(120)는, 주변을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카메라부(120)는, 렌즈 어셈블리(미도시), 필터(미도시), 광전 변환 모듈(미도시), 및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포커스 모터(MF)의 제어에 따라 렌즈의 촛점 거리가 이동될 수 있다. 필터는,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ptical Low Pass Filter)와. 적외선 차단 필터(Infra-Red cut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ptical Low Pass Filter)로서 고주파 성분의 광학적 노이즈를 제거하며, 적외선 차단 필터(Infra-Red cut Filter)는 입사되는 빛의 적외선 성분을 차단한다. 광전 변환 모듈은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의 촬상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모듈은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모듈(미도시)은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카메라부(120)를 통해 제공되는 촬영 이미지는 촬영되기 직전에 프리뷰 형태로 제공되는 이미지로서, 정지 영상이 아니라 카메라의 향하는 방향에 따라서 실시간으로 달라질 수 있다.
오버랩 영상 생성부(10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저장 이미지를 로딩하며, 카메라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촬영 이미지를 로딩한 후, 정지 이미지의 일부 영역에 촬영 이미지를 오버랩시킨 오버랩 영상을 생성한다. 오버랩 영상을 합성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오버랩 영상을 합성하는 첫번째 방식은, 메모리(110)에 저장된 저장 이미지를 로딩하여, 저장 이미지의 오리지널 투명도 대비하여 50% 투명도를 가지는 정지 이미지를 출력하고, 이러한 정지 이미지의 일부 영역에 촬영 이미지를 오버랩시켜 오버랩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저장 이미지가 반투명 상태로 표시되기 때문에 촬영 이미지가 우선적으로 눈에 뛸 수 있다.
오버랩 영상을 합성하는 다른 두번째 방식은, 메모리(110)에 저장된 저장 이미지를 로딩하여, 저장 이미지내의 객체 윤곽선 이미지를 추출하여 정지 이미지로서 출력하고, 이러한 객체 윤곽선 이미지만 표시창(130)에 표시하고 촬영 이미지를 오버랩시켜 오버랩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객체 윤곽선 이미지는 저장 이미지에 표시된 객체의 윤곽선만을 추출한 이미지로서, 예컨대, 하늘을 비행하는 비행기를 나타낸 저장 이미지의 경우, 하늘의 파란색 바탕에서 비행기의 회색 물체의 윤곽선을 추출할 수 있다. 이미지 그림에서 윤곽선을 추출하는 방식은, 기존에 공지된 다양한 윤곽선 추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표시창(130)은 오버랩 영상 생성부(100)에서 생성된 오버랩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창(130)은 LLCD, LED 등의 디스플레이창으로 구현하거나 또는 입력과 표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화면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참고로, 터치 스크린 패널이라 함은, 화면 표시 수단일 뿐만 아니라 터치펜이나 손가락 등의 터치 수단에 의하여 터치를 감지하는 입력 수단으로서, CRT나 LCD 등과 조합시켜 문장과 그림 등이 표시되어 있는 장소를 직접 누름으로써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투명 스위치 패널이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의 터치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40)는, 문자 버튼, 기호 버튼, 특수 버튼 등의 다양한 자판을 배열시켜 유서 작성자로부터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이다. 특히 입력부(140)는 촬영 버튼(141)을 포함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입력부(140)와 표시창(130)이 터치 스크린 패널로 구현된 경우, 입력부(140)인 자판 배열 키보드가 그래픽 형태로 표시창(130)의 터치 스크린 화면에 오버랩(overlap)되어 표시된다. 따라서 입력부(140)는 표시창(130)의 터치 스크린 화면에 손가락이나 터치펜으로 터치하여 다양한 입력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부(140)는, 표시창(130)의 전체를 배경 영역이라 할 때 배경 영역에서 선택 영역을 입력받으며, 사용자로부터 선택 영역 또는 배경 영역에 표시될 이미지 종류를 입력받는다. 따라서 입력부(140)와 표시창(130)이 터치 스크린 패널로 구현된 경우, 상기 배경 영역에서 선택 영역을 입력받는 것은, 터치 스크린 패널에 터치된 영역을 선택 영역으로 입력받는다.
합성 이미지 생성부는, 촬영 버튼(141)이 눌리어진 경우, 촬영 버튼(141)이 눌리어진 순간의 오버랩 영상을 하나의 이미지 프레임으로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메모리(110)에 저장한다. 사용자는 정지 이미지와 촬영 이미지가 오버랩되어 표시되는 오버랩 영상을 바라보다가, 자신이 원하는 시점에 촬영 버튼(141)을 누르게 되며, 모습을 촬영 버튼(141)이 눌리어진 순간의 오버랩 영상이 하나의 이미지 프레임으로 합성되어 합성 이미지로 생성된다. 참고로, 합성 이미지 생성부는 설정된 X,Y 프레임내의 각 픽셀별로 오버랩 영상의 픽셀값을 기록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물론, 합성 이미지 생성부는, 촬영 버튼(141)이 눌려진 순간에 카메라부(120)의 렌즈를 통과한 영상, 즉 오버랩 영상에서 메모리로부터 로딩된 정지 이미지를 제외한 영상만을 촬영하여 메모리(11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참고로 촬영 버튼(141)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눌리어질 수 있지만, 오버랩 영상에 표시되는 정지 이미지와 촬영 이미지의 유사도가 설정된 유사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사용자의 요청이 없어도 촬영 버튼(141)이 눌리어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합성 이미지 생성부는 메모리(110)에서 제공되는 정지 이미지와 카메라부(120)에서 제공되는 촬영 이미지의 유사도를 산출하여, 정지 이미지와 촬영 이미지의 유사도가 설정된 유사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촬영 버튼(141)이 눌리어졌다고 가정하고, 유사 임계치를 초과하는 순간의 오버랩 영상을 하나의 이미지 프레임으로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로 생성한다. 참고로, 두 개의 이미지간의 유사도의 산출은 공지된 다양한 유사도 산출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합성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우선, 메모리에 저장된 저장 이미지를 로딩하여 정지 이미지로 출력하는 정지 이미지 로딩 과정(S100)을 가진다.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등에 저장된 저장 이미지를 판독하여 정지 이미지로서 출력한다.
따라서 저장 이미지와 정지 이미지는 동일한 이미지일 수 있다. 다만,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방식으로 로딩시에는 저장 이미지와 정지 이미지는 서로 다른 이미지가 될 수 있다.
하나의 방식은, 저장 이미지를 반투명 저장 이지지로 변환하여 정지 이미지로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지 이미지 로딩 과정은, 메모리에 저장된 저장 이미지를 로딩하여, 상기 저장 이미지의 오리지널 투명도 대비하여 50% 투명도를 가지는 정지 이미지를 출력한다.
다른 두번째 방식은, 메모리에 저장된 저장 이미지를 로딩하여, 저장 이미지내의 객체 윤곽선 이미지를 추출하여 정지 이미지로서 출력한다. 객체 윤곽선 이미지는 저장 이미지에 표시된 객체의 윤곽선만을 추출한 이미지로서, 예컨대, 하늘을 비행하는 비행기를 나타낸 저장 이미지의 경우, 하늘의 파란색 바탕에서 비행기의 회색 물체의 윤곽선을 추출할 수 있다. 이미지 그림에서 윤곽선을 추출하는 방식은, 기존에 공지된 다양한 윤곽선 추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정지 이미지 로딩 과정(S100) 이외에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되는 촬영 이미지를 로딩하는 촬영 이미지 로딩 과정(S200)을 가진다. 카메라부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디지털 이미지 신호를 로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정지 이미지 로딩 과정(S100) 및 촬영 이미지 로딩 과정(S200)이 있은 후에는, 오버랩 영상 표시 과정을 가진다.
오버랩 영상 표시 과정(S300)은, 정지 이미지의 일부 영역에 촬영 이미지를 오버랩시킨 오버랩 영상을 표시창에 표시한다. 오버랩 영상을 합성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오버랩 영상을 합성하여 표시하는 첫번째 방식은, 저장 이미지의 오리지널 투명도 대비하여 50% 투명도를 가지는 정지 이미지의 일부 영역에 촬영 이미지를 오버랩시켜 오버랩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저장 이미지가 반투명 상태로 표시되기 때문에 촬영 이미지가 우선적으로 눈에 뛸 수 있다.
오버랩 영상을 합성하여 표시하는 다른 두번째 방식은, 저장 이미지내의 객체 윤곽선 이미지를 추출하여, 이러한 객체 윤곽선 이미지만 표시창에 표시하고 촬영 이미지를 오버랩시켜 오버랩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객체 윤곽선 이미지가 저장 이미지로 사용되어 촬영 이미지가 오버랩됨으로써, 오버랩 영상을 단순화할 수 있다.
오버랩 영상 표시 과정(S300)이 있은 후, 합성 이미지 생성 과정(S500)을 가진다.
합성 이미지 생성 과정(S500)은, 촬영 버튼이 눌리어졌는지를 판단(S400)하여, 촬영 버튼이 눌리어진 경우, 촬영 버튼이 눌리어진 순간의 오버랩 영상을 하나의 이미지 프레임으로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로 생성한다.
사용자는 정지 이미지와 촬영 이미지가 오버랩되어 표시되는 오버랩 영상을 바라보다가, 자신이 원하는 시점에 촬영 버튼을 누르게 되며, 모습을 촬영 버튼이 눌리어진 순간의 오버랩 영상을 하나의 이미지 프레임으로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로 생성한다. 참고로, 합성 이미지 생성부는 설정된 X,Y 프레임내의 각 픽셀별로 오버랩 영상의 픽셀값을 기록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것처럼, 촬영 버튼(141)이 눌려진 순간에 카메라부(120)의 렌즈를 통과한 영상, 즉 오버랩 영상에서 메모리로부터 로딩된 정지 이미지를 제외한 영상만을 촬영하여 메모리(11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참고로 촬영 버튼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눌리어질 수 있지만, 오버랩 영상에 표시되는 정지 이미지와 촬영 이미지의 유사도가 설정된 유사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사용자의 요청이 없어도 촬영 버튼이 눌리어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합성 이미지 생성부는 메모리에서 제공되는 정지 이미지와 카메라부에서 제공되는 촬영 이미지의 유사도를 산출하여, 정지 이미지와 촬영 이미지의 유사도가 설정된 유사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촬영 버튼이 눌리어졌다고 가정하고, 유사 임계치를 초과하는 순간의 오버랩 영상을 하나의 이미지 프레임으로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로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오버랩 영상 표시 과정(S300)은, 전체 영역에서 선택된 선택 영역의 내부만 오버랩 시키는 제1오버랩 실시예와, 전체 영역에서 선택된 선택 영역의 외부만 오버랩 시키는 제2오버랩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이하 제1오버랩 실시예를 도 3의 플로차트와 함께 상술하며, 제2오버랩 실시예를 도 4의 플로차트와 함께 상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오버랩 영상을 표시하는 오버랩 표시 제1실시예를 도시한 플로차트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오버랩 영상을 표시하는 오버랩 표시 제2실시예를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오버랩 표시 제1실시예를 기재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오버랩 영상 표시 과정(300)은, 표시창의 전체를 배경 영역이라 할 때, 배경 영역에서 선택 영역(20)을 입력받는 과정(S311)을 가진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화면인 배경 영역(10)에서 선택 영역(20)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배경 영역(10)의 일부를 선택 영역(20)으로 입력받는 것은, 표시창이 터치 스크린 패널로 구현될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에 터치된 영역을 선택 영역(20)으로 입력받는다. 따라서 터치펜이나 손가락을 통하여 선택 영역(20)을 입력받을 수 있다.
선택 영역(20)을 입력받은 후, 사용자로부터 선택 영역(20)에 표시할 이미지 종류를 선택받는 과정(S312)을 가진다. 선택 영역(20)에 표시될 이미지가 정지 이미지인지, 촬영 이미지인지를 선택받는다.
만약, 사용자로부터 선택 영역(20)에 정지 이미지를 표시할 것을 요청받는 경우(S313),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 영역(20)에 정지 이미지를 위치시키며, 배경 영역(10)에 촬영 이미지를 위치시켜 오버랩 영상을 표시한다(S314).
반대로, 사용자로부터 선택 영역(20)에 촬영 이미지를 표시할 것을 요청받는 경우(S315),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 영역(20)에 촬영 이미지를 위치시키며, 배경 영역(10)에 정지 이미지를 위치시켜 오버랩 영상을 표시한다(S316).
한편, 오버랩 표시 제2실시예를 기재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오버랩 영상 표시 과정은, 표시창의 전체를 배경 영역(10)이라 할 때, 배경 영역(10)에서 선택 영역(20)을 입력받는 과정을 가진다(S321). 마찬가지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화면인 배경 영역(10)에서 선택 영역(20)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배경 영역(10)의 일부를 선택 영역(20)으로 입력받는 것은, 표시창이 터치 스크린 패널로 구현될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에 터치된 영역을 선택 영역(20)으로 입력받는다. 따라서 터치펜이나 손가락을 통하여 선택 영역(20)을 입력받을 수 있다.
선택 영역(20)을 입력받은 후, 사용자로부터 배경 영역(10)에 표시할 이미지 종류를 선택받는 과정(S322)을 가진다. 배경 영역(10)에 표시될 이미지가 정지 이미지인지, 촬영 이미지인지를 선택받는다.
만약, 사용자로부터 배경 영역(10)에 정지 이미지를 표시할 것을 요청받는 경우(S323),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경 영역(10)에 정지 이미지를 위치시키며, 선택 영역(20)에 촬영 이미지를 위치시킨 오버랩 영상을 표시한다(S324).
반대로, 사용자로부터 배경 영역(10)에 촬영 이미지를 표시할 것을 요청받는 경우(S325),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경 영역(10)에 촬영 이미지를 위치시키며, 선택 영역(20)에 정지 이미지를 위치시킨 오버랩 영상을 표시한다(S326).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오버랩 생성부
110:메모리
120:카메라부
130:표시창
140:입력부
141:촬영 버튼
S100:정지 이미지 로딩 과정
S200:촬영 이미지 로딩 과정
S300:오버랩 영상 표시 과정
S400:촬영 버튼 눌림 판단
S500:합성 이미지 생성 과정

Claims (12)

  1. 메모리에 저장된 저장 이미지의 로딩 시 상기 저장 이미지내의 객체 윤곽선 이미지만을 추출하여 정지 이미지로서 출력하는 정지 이미지 로딩 과정;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되는 촬영 이미지를 제공하는 촬영 이미지 제공 과정;
    정지 이미지에 상기 촬영 이미지를 오버랩시킨 오버랩 영상을 표시창에 표시하는 오버랩 영상 표시 과정; 및
    촬영 버튼이 눌리어진 경우, 촬영 버튼이 눌리어진 순간에 정지 이미지에 상기 촬영 이미지가 오버랩된 오버랩 영상을 하나의 이미지 프레임으로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로 생성하고 메모리에 저장하는 합성 이미지 생성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촬영 이미지는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되기 직전에 프리뷰 형태로 제공되며 정지 영상이 아니라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 따라 실시간으로 달라질 수 있는 이미지이고,
    상기 객체 윤곽선 이미지는 상기 오버랩 영상 표시 과정에서 상기 촬영 이미지가 우선적으로 보이도록 상기 오버랩 영상 표시 과정까지 표시되며, 합성 이미지 상에서는 상기 객체 윤곽선 이미지내의 객체 이미지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합성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지 이미지 로딩 과정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저장 이미지를 로딩하여, 상기 저장 이미지의 오리지널 투명도 대비하여 50% 투명도를 가지는 정지 이미지를 출력하는 이미지 합성 방법.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합성 이미지 생성 과정은,
    상기 오버랩 영상에 표시되는 정지 이미지와 촬영 이미지의 유사도가 설정된 유사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사용자의 요청이 없어도 촬영 버튼이 눌리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합성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버랩 영상 표시 과정은,
    상기 표시창의 전체를 배경 영역이라 할 때, 배경 영역에서 선택 영역을 입력받는 과정;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 영역에 표시할 이미지 종류를 선택받는 과정;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 영역에 정지 이미지를 표시할 것을 요청받는 경우, 상기 선택 영역에 상기 정지 이미지를 위치시키며, 상기 배경 영역에 상기 촬영 이미지를 위치시켜 표시하는 과정;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 영역에 촬영 이미지를 표시할 것을 요청받는 경우, 상기 선택 영역에 상기 촬영 이미지를 위치시키며, 상기 배경 영역에 상기 정지 이미지를 위치시켜 표시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이미지 합성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버랩 영상 표시 과정은,
    상기 표시창의 전체를 배경 영역이라 할 때, 배경 영역의 일부를 선택 영역으로 입력받는 과정;
    사용자로부터 상기 배경 영역에 표시할 이미지 종류를 선택받는 과정;
    사용자로부터 상기 배경 영역에 정지 이미지를 표시할 것을 요청받는 경우, 상기 배경 영역에 상기 정지 이미지를 위치시키며, 상기 선택 영역에 상기 촬영 이미지를 위치시켜 표시하는 과정;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배경 영역에 촬영 이미지를 표시할 것을 요청받는 경우, 상기 배경 영역에 상기 촬영 이미지를 위치시키며, 상기 선택 영역에 상기 정지 이미지를 위치시켜 표시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이미지 합성 방법.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배경 영역의 일부를 선택 영역으로 입력받는 것은,
    상기 표시창이 터치 스크린 패널로 구현될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에 터치된 영역을 선택 영역으로 입력받는 이미지 합성 방법.
  9. 저장 이미지가 저장된 메모리;
    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저장 이미지의 로딩 시 상기 저장 이미지내의 객체 윤곽선 이미지만을 추출하여 정지 이미지로서 출력하고,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되는 촬영 이미지를 제공하며, 정지 이미지에 상기 촬영 이미지를 오버랩시킨 오버랩 영상을 생성하는 오버랩 영상 생성부;
    상기 오버랩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창;
    촬영 버튼을 포함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입력부; 및
    상기 촬영 버튼이 눌리어진 경우, 촬영 버튼이 눌리어진 순간에 정지 이미지에 상기 촬영 이미지가 오버랩된 오버랩 영상을 하나의 이미지 프레임으로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로 생성하고 메모리에 저장하는 합성 이미지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 이미지는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되기 직전에 프리뷰 형태로 제공되며 정지 영상이 아니라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 따라 실시간으로 달라질 수 있는 이미지이고,
    상기 객체 윤곽선 이미지는 상기 오버랩 영상 표시 과정에서 상기 촬영 이미지가 우선적으로 보이도록 상기 오버랩 영상 표시 과정까지 표시되며, 합성 이미지 상에서는 상기 객체 윤곽선 이미지내의 객체 이미지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합성 장치.
  10. 삭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표시창의 전체를 배경 영역이라 할 때, 상기 배경 영역에서 선택 영역을 입력받으며,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 영역 또는 배경 영역에 표시될 이미지 종류를 입력받는 이미지 합성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와 표시창이 터치 스크린 패널로 구현된 경우, 상기 배경 영역에서 선택 영역을 입력받는 것은,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에 터치된 영역을 선택 영역으로 입력받는 이미지 합성 장치.
KR1020150047015A 2015-04-02 2015-04-02 이미지 합성 장치 및 이미지 합성 방법 KR101636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015A KR101636424B1 (ko) 2015-04-02 2015-04-02 이미지 합성 장치 및 이미지 합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015A KR101636424B1 (ko) 2015-04-02 2015-04-02 이미지 합성 장치 및 이미지 합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6424B1 true KR101636424B1 (ko) 2016-07-20

Family

ID=56680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7015A KR101636424B1 (ko) 2015-04-02 2015-04-02 이미지 합성 장치 및 이미지 합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64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5803A (ko) * 2018-05-29 2019-12-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9043A (ko) * 2004-11-26 2006-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영상신호 합성장치 및 방법
KR100819243B1 (ko) * 2002-06-27 2008-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폰에서 이미지 촬영 및 저장방법
KR20080109519A (ko) * 2007-06-13 2008-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촬영 장치 및 촬영 방법
KR20090034660A (ko) 2007-10-04 2009-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이미지 표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243B1 (ko) * 2002-06-27 2008-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폰에서 이미지 촬영 및 저장방법
KR20060059043A (ko) * 2004-11-26 2006-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영상신호 합성장치 및 방법
KR20080109519A (ko) * 2007-06-13 2008-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촬영 장치 및 촬영 방법
KR20090034660A (ko) 2007-10-04 2009-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이미지 표시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5803A (ko) * 2018-05-29 2019-12-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490562B1 (ko) * 2018-05-29 2023-01-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205522B (zh) 一种长焦拍摄的方法及电子设备
EP3226537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419661B2 (en) Shooting method and shooting device
US20110242395A1 (en) Electronic device and image sensing device
CN111866392B (zh) 拍摄提示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RU2607476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боты с приложением для телевизора
CN112714253B (zh) 视频录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EP3259658B1 (en) Method and photograph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function based on gesture of user
EP2573759A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WO2016029746A1 (zh) 拍摄方法、拍摄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CN102810048A (zh) 显示设备和方法
CN111669495B (zh) 拍照方法、拍照装置和电子设备
CN113727021A (zh) 拍摄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150126192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촬영 방법
JP5519376B2 (ja) 電子機器
US10447935B2 (en) Image generating apparatus, image generat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program for generating new image from images related to reference image
KR101636424B1 (ko) 이미지 합성 장치 및 이미지 합성 방법
KR101436327B1 (ko) 배경 우선 촬상 방법 및 촬상 장치
CN114025100A (zh) 拍摄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KR20070121457A (ko)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CN113794833A (zh) 拍摄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1597293A (zh) 文档目录的显示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4500852B (zh) 拍摄方法、拍摄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JP2010187119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用プログラム
KR20110083095A (ko)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연동된 이미지를 생성하고 재생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