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6299B1 - 피부시술장치 - Google Patents

피부시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6299B1
KR101636299B1 KR1020150047076A KR20150047076A KR101636299B1 KR 101636299 B1 KR101636299 B1 KR 101636299B1 KR 1020150047076 A KR1020150047076 A KR 1020150047076A KR 20150047076 A KR20150047076 A KR 20150047076A KR 101636299 B1 KR101636299 B1 KR 101636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mounting base
main body
syringe
needle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7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현
Original Assignee
김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현 filed Critical 김광현
Priority to KR1020150047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2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5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5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5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spring-actuated, e.g. by a clock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시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부에는 주사기고정대가 구비되고 전방에는 니들설치대가 전후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방 상부에는 피스톤파지구가 전후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에는 작동스위치가 설치되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주사기고정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파지구에 피스톤이 결합되는 주사기와, 상기 본체의 니들설치대의 전방에 결합되는 니들과, 상기 주사기의 전방단부와 상기 니들의 후방단부를 연결하는 연결유닛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니들설치대를 전후로 왕복이동시키는 제 1 선형이송유닛을 포함하는 피부시술장치에 있어서, 상기 니들설치대는, 니들과 결합되는 제2커넥터의 일측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며 상면의 일측에 절개공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제 1 선형이송유닛이 연결되는 막음판이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에 형성되며 스프링이 내장된 홀더와, 상기 홀더에 삽입되어 스프링에 탄지되며 전단이 상기 바디의 절개공에 도달하도록 출몰작동되는 가압축핀으로 구성된 관로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피부시술장치{MESO THERAPIE APPARATUS}
본 발명은 피부시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만치료를 위해 약물을 주입하거나, 주름, 각질, 흉터, 기미, 튼살, 탈모 등을 치료하거나, 탈모치료를 위해 약물을 주입하거나 또는 문신을 위해 인체 피부에 염료 등을 주입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니들을 이용하여 인체 피부에 약액을 주입하는 피부시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조테라피 시술방법은 주로 주름, 여드름 제거, 각질 제거, 탈모 치료 등과 같은 피부 미용 및 두발 건강, 비만 치료 등을 위한 치료법으로서, 얼굴과 두피를 포함하는 피부에 니들을 자입하면서 약액을 주입하여 약물이 빠르고 많이 침투되게 하여 약효를 극대화하는 방법과, 피부에 바늘로 자극을 주어 이에 따른 인체의 자가치료작용(자생력)으로 콜라겐의 형성이 유도하는 방법 등이 주로 사용된다.
메조테라피 시술방법은, 인체의 피부에 니들을 자입하는 과정에서 손상된 피부 조직의 자생력을 이용하여 새살이 돋아나게 하고, 니들의 통해 피하에 치료용 약액을 도포하여 약액이 통해 피부 속으로 빠르게 침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술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메조테라피 시술방법은 표피를 인위적으로 벗겨낸 후 손상된 피부가 재생되는 것을 이용하여 주름이나 색소침착이 치료되는 기존의 시술법(레이저, 박피 등)과는 달리 표피를 제거하거나 손상시키지 않고 자체 콜라겐 생성을 유도하는 신개념 세포 복원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부작용이 없을 뿐 아니라 간편하고 안전한 메조테라피 시술방법은 니들이 피부에 자입되면서 발생하는 자연적 상처치유작용으로 진피조직이 새로이 구성되고 재배열되기 때문에 흉터가 얕아지고, 피부가 팽팽하게 당겨지면서 잔주름이 감소하고 색소침착이 개선되어 건강하고 깨끗한 피부로 되돌아갈 수 있다. 또한, 니들을 통해 주입되는 약액의 유효성분으로 인해 치료 효과가 더욱 극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국내특허출원 10-2012-0145532호 '피부시술장치'를 특허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주사기와 니들이 서로 분리연결됨으로써 주사기는 고정된 상태에서 비교적 가벼운 니들만 모터의 구동을 통해 전후왕복이동됨과 동시에 또 다른 모터의 구동을 통해 피스톤만 전진이동되어 약액이 배출됨에 따라 작동소음이 적고 니들의 자입과 약액의 주입이 빠르면서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주사기와 니들을 연결하는 연결유닛에 오리피스구조부 및 단차구조부가 형성됨에 따라 약액의 손실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피부시술장치에 관한 것이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자는 국내특허출원 10-2012-0145532호를 개량하여 안출된 것으로, 니들이 피부에 일정 깊이로 삽입때까지 약물 주입 지연시간을 갖도록 하여 불필요한 약물 누설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피부시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에는 주사기고정대가 구비되고 전방에는 니들설치대가 전후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방 상부에는 피스톤파지구가 전후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에는 작동스위치가 설치되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주사기고정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파지구에 피스톤이 결합되는 주사기와, 상기 본체의 니들설치대의 전방에 결합되는 니들과, 상기 주사기의 전방단부와 상기 니들의 후방단부를 연결하는 연결유닛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니들설치대를 전후로 왕복이동시키는 제 1 선형이송유닛을 포함하는 피부시술장치에 있어서, 상기 니들설치대는, 니들과 결합되는 제2커넥터의 일측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며 상면의 일측에 절개공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제 1 선형이송유닛이 연결되는 막음판이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에 형성되며 스프링이 내장된 홀더와, 상기 홀더에 삽입되어 스프링에 탄지되며 전단이 상기 바디의 절개공에 도달하도록 출몰작동되는 가압축핀으로 구성된 관로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시술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니들설치대의 막음판에 형성된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에 대응되어 자착되도록 제 1 선형이송유닛의 전단부에 형성된 철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선형이송유닛은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 1 구동모터; 제 1 구동모터에 결합되어 전방으로 연장되고 니들설치대가 전후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제 1 리드스크류; 본체 내에서 제 1 리드스크류와 나란하게 설치되고 니들설치대의 후방에 관통결합되어 니들설치대의 전후왕복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봉;을 포함하고, 상기 제1리드스크류는 막음판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제 1 구동모터는 본체에 형성된 격실에 수용되고, 격실의 일측에는 상기 막음판에 대응되며 제 1 구동모터의 샤프트가 관통되는 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의 외측에 철판이 형성되거나 격벽이 철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만치료를 위해 약물을 주입하거나, 주름, 각질, 흉터, 기미, 튼살, 탈모 등을 치료하거나, 탈모치료를 위해 약물을 주입하거나 또는 문신을 위해 인체 피부에 염료 등을 주입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시술과정에서 약물의 손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시술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시술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시술장치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시술장치의 '니들설치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시술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요부 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시술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시술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시술장치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시술장치의 '니들설치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시술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부시술장치는, 니들(30)을 이용하여 인체 피부에 약액을 주입하여 비만을 치료하거나 주름, 각질, 흉터, 기미, 튼살 또는 탈모 등을 치료하거나 또는 니들(30)을 이용하여 인체 피부에 염료 등을 주입하여 문신을 가능하게 하는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약물을 인체에 주입하는 것으로, 상부에는 주사기고정대(11)가 구비되고 전방에는 니들설치대(100)가 전후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방 상부에는 피스톤파지구(13)가 전후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에는 작동스위치(15)가 설치되는 손잡이(14)가 구비되는 본체(10); 본체(10)의 주사기고정대(1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피스톤파지구(13)에 피스톤(21)이 결합되는 주사기(20); 본체(10)의 니들설치대(100)의 전방에 결합되는 니들(30); 주사기(20)의 전방단부와 니들(30)의 후방단부를 연결하는 연결유닛(40);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고 니들설치대(100)를 전후로 왕복이동시키는 제 1 선형이송유닛(50);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고 피스톤파지구(13)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제 2 선형이송유닛(60); 본체(10)에 설치되고 작동스위치(15)의 조작에 따라 제 1 및 제 2 선형이송유닛(50 및 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7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권총(handgun) 형상이며, 상부에는 약액 또는 염료가 충전된 주사기(20)가 착탈가능하게 안착고정되는 주사기고정대(11)가 형성되고, 전방에는 니들(30)이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니들설치대(100)가 전후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본체(10)의 후방 상부에는 주사기(20)의 피스톤(31)이 착탈가능하게 파지되는 피스톤파지구(13)가 전후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에는 시술자로 하여금 본체(10)를 파지하기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14)가 구비되며, 손잡이(14)에는 작동스위치(15)가 형성된다.
주사기고정대(11)는 본체의 상부에 노출된 상태로 형성되고 전방측에는 주사기(20)의 전방단부가 삽입되는 전방단부고정구(11')가 구비되며 중앙부에는 주사기(20)의 외주면을 양측에서 착탈가능하게 파지하는 파지그립(11")이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니들설치대(100)는 연결유닛(40)의 제 2 커넥터(43)의 개재하에 니들(30)과 연결된다.
피스톤파지구(13)의 전방에는 피스톤(21)의 후방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13')이 형성되고, 작동스위치(15)는 손잡이(14)를 파지한 상태에서 검지로 조작가능하도록 손잡이(14)의 전방 중앙에 형성된다.
주사기고정대(11)에는 주사기(2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 주사기(20)는 주름, 각질, 흉터, 기미, 튼살 또는 탈모 등을 치료하기 위해 인체 피부 내로 주입될 약액이나 문신을 위해 인체 피부 내로 주입될 염료가 충전되는 것으로, 후방에는 약액이나 염료의 주입을 위한 피스톤(21)이 구비된다.
주사기(20)의 전방단부는 주사기고정대(11)의 전방단부고정구(11')에 끼워져 결합되고 주사기(20)의 외주면은 주사기고정대(11)의 파지그립(11")에 의해 파지되며 주사기(20)의 피스톤(21)은 피스톤파지구(13)에 결합되어 전방으로 밀려진다.
니들설치대(100)의 전방에는 니들(30)이 결합되는데, 니들(30)은 연결유닛(40)의 제 2 커넥터(43)의 개재하에 니들설치대(100)의 전방에 결합됨에 따라 니들설치대(100)의 전후왕복이동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왕복되면서 인체 피부 내로 삽입된다.
상기 니들설치대(100)는 니들(30)과 결합되는 제 2 커넥터(43)의 일측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며 상면의 일측에 절개공(122)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제 1 선형이송유닛(50)이 연결되는 막음판(124)이 형성되는 바디(120); 상기 바디(120)의 내부에 형성되며 스프링(141)이 내장된 홀더(142)와, 상기 홀더(142)에 삽입되어 스프링(141)에 탄지되며 전단이 상기 바디(120)의 절개공(122)에 도달하도록 출몰작동되는 가압축핀(144)으로 구성된 관로차단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디(120)는 사각형으로 형성된 전방부(120a)와, 상기 전방부(120a) 보다 폭이 넓은 사각형으로 형성된 후방부(120b)로 형성되고, 후방부(120b)의 내부에 막음판(124)과 관로차단부(140)가 형성된다.
관로차단부(140)는 제 2 선형이송유닛(60)에 의한 니들(30)의 후방 이동시에 연결유닛(40)의 제 2 커넥터(43)와 연결관(45)의 연결부위를 가압함으로써, 니들(30)의 후방 이동에 의해 니들(30)이 인체 피부로부터 외부로 빠져나올 때 약액 또는 염료가 니들(30)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관로차단부(140)의 가압축핀(144)은 스프링(141)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가압축핀(144)의 선단부는 바디(120)가 최대 전진했을때(니들이 전진 이동되는 상태임.)절개공을 개방시킬 수 있을 정도의 위치에 도달하도록 설정된다.
즉, 니들설치대(100)가 최대 전진하여 니들(30)을 통해 약물 주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압축핀(144)의 선단부가 절개공(122)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설정되는 것이다.
한편 주사기(20)의 전방단부에 니들(30)이 직접 결합되지 않고 연결유닛(40)에 구비되는 신축성의 연결관(45)에 의해 연결된다(도 6참조).
따라서 주사기(20)는 고정된 상태에서 니들(30)만 왕복운동됨과 동시에 피스톤(21)이 전진이동되면서 주사기(20) 내의 약액이나 염료가 인체 피부내로 주입될 수 있다.
주사기(20)의 전방단부와 니들(30)의 후방단부는 연결유닛(40)에 의해 연결된다.
연결유닛(40)은 피스톤(21)이 전진이동에 따라 주사기(20)로부터 배출된 약액 또는 염료를 니들(30)로 전달하는 것으로, 본체(10)의 상부에 고정되고 주사기(20)의 전방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제 1 커넥터(41)와, 니들설치대(100)의 전방에 고정되고 니들(30)의 후방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제 2 커넥터(43)와, 제 1 및 제 2 커넥터(41,43)를 연결하는 연결관(45)을 포함한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제 1 선형이송유닛(50)이 형성된다.
제 1 선형이송유닛(50)은 니들설치대(100)를 전후로 왕복이동시켜 니들설치대(100)에 설치된 니들(30)을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게 된다.
제 1 선형이송유닛(50)은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고 회전축이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 1 구동모터(51)와, 제 1 구동모터(51)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전방으로 연장되고 니들설치대(100)가 전후이동가능하게 막음판(124)에 나사결합되는 제 1 리드스크류(53)와, 본체(10) 내에서 제 1 리드스크류(53)와 나란하게 설치되고 니들설치대(100)의 후방 막음판(124)에 관통결합되어 니들설치대(100)의 전후왕복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봉(55)으로 구성된다.
제 1 선형이송유닛(50)은 니들(30)의 전후왕복이동을 통해 니들의 1회 자입(刺入) 또는 연속 자입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왕복길이의 조절을 통해 니들(30)의 자입깊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제 1 리드스크류(53)는 니들설치대(100)의 막음판(124)에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제 1 리드스크류(53)의 회전구동에 의해 막음판(124)을 포함하는 니들설치대(100)의 전후진 작동이 실시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1 구동모터(51)는 본체(10)에 형성된 격실에 수용되고, 격실의 일측에는 상기 막음판(124)에 대응되며 제 1 구동모터(51)의 회전축이 관통되는 격벽(30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니들설치대(100)의 후방 이동시 일시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이 포함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니들설치대(100)의 막음판(124)에 내장되는 자성체(200)와, 상기 격벽(300)의 외측에 철판이 형성되거나 격벽(300)이 철판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격벽(300)이 철판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니들설치대(100)의 막음판(124)에 내장된 자성체(200)와 자착될 수 있다.
따라서 막음판(124)이 후술될 제 1 선형이송유닛(50)의 전단부에 자착됨으로써 후진된 상태가 일시적으로 안정적인 고정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의 내부에는 제 2 선형이송유닛(60)이 형성된다.
제 2 선형이송유닛(60)은 피스톤파지구(13)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피스톤파지구(13)에 파지된 피스톤(21)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 2 선형이송유닛(60)은 본체(10)의 내부에 제 1 구동모터(51)와 나란히 설치되고 회전축이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 2 구동모터(61)와, 제 2 구동모터(61)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되고 피스톤파지구(13)의 하부가 전후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제 2 리드스크류(63)를 포함한다.
제 2 선형이송유닛(60)은 피스톤(21)의 전방이동을 통해 약액 또는 염료의 주입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회당 전방이동길이의 조절을 통해 약액 또는 염료의 1회니들(30)의 주입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본체(10)에는 컨트롤러(70)가 설치되는데, 이 컨트롤러(70)는 작동스위치(15)의 조작에 따라 제 1 및 제 2 선형이송유닛(50 및 6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니들(30)이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되면서 인체 피부 내로 자입될 때 피스톤(21)의 전방이동을 통해 약액 또는 염료가 주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제 1 및 제 2 선형이송유닛(50 및 60)의 작동 제어를 위한 제어회로가 인쇄된 인쇄회로기판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선형이송기구(60)의 조작을 통해 피스톤파지구(13)를 최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본체(10)의 주사기고정대(11)에 약액 또는 염료가 충전된 주사기(20)를 장착하고 제 2 선형이송기구(60)의 조작을 통해 피스톤파지구(13)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결합홈(13')이 피스톤(21)에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본체(10)의 니들설치대(100)에 결합된 연결유닛(40)의 제 2 커넥터(43)에 니들(30)을 결합한다.
이후 작동설정부(90)의 조작을 통해 작동모드 및 니들(30)의 삽입깊이를 설정하고 손잡이(14)를 파지한 상태에서 작동스위치(15)를 누른다.
이후 제 1 선형이송기구(50)의 작동에 의해 니들설치대(100)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니들(30)이 인체 피부 내로 자입됨과 동시에 제 2 선형이송기구(60)의 작동에 의해 피스톤파지구(13)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주사기(20) 내의 약액 또는 염료가 연결유닛(40) 및 니들(30)을 통해 인체 피부내로 주입된다.
이를 좀더 살펴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설치대(100)가 최대로 전방으로 인출되면, 가압축핀(144)의 선단부는 절개공(122)과 완전히 이격되므로 연결관(45)을 압박하는 힘이 해제되어 연결관(45)이 완전 개방되므로 약액의 주입이 가능해진다.
후술되겠지만 니들(30)이 최대로 인출되기 전까지는 가압축핀(144)이 연결관(45)을 압박하고 있어 약물의 주입이 차단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니들(30)이 피부에 주입된 후 일정 깊이까지 삽입되기 전에는 약물 주입이 차단되는 것이다.
이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액 주입이 완료되면, 제 1 선형이송유닛(50)의 역 구동에 의해 니들설치대(100)가 후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니들(30)의 후방이동시에 연결관(45)이 가압축핀(144)의 선단부에 접촉되기 시작하여 대략 니들설치대(100)가 중간위치까지 후진하면 가압축핀(144)의 선단부가 절개공(122)의 절반 위치까지 도달하게 되고, 연결관(45)은 가압축핀(144)의 선단부에 가압되어 차단된다.
즉 연결관(45)이 가압축핀(144)의 선단부에 접촉되는 시점부터 가압되기 시작하여 관경이 축소되고, 가압축핀(144)의 선단부가 절개공(122)의 절반 위치에 놓이면 스프링(141)의 압력으로 인해 연결관(45)이 눌려져서 막히게 되는 것이다.
니들(30)이 피부로부터 빠져나오기 시작하면, 연결관(45)이 눌려져서 막히게 되어 약물의 주입이 차단된다. 따라서 피부 표면까지 빠져나오는 과정에서 약물 주입이 더이상 안되도록 한 것이다.
이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설치대(100)의 후진이 종료되면 니들설치대(100)의 막음판(124)에 내장된 자성체(200)의 자력으로 인해 제 1 선형이송유닛(50)의 격벽(300)에 자착됨으로써 니들설치대(100)의 후진된 상태가 일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자착 상태가 됨으로써 가압축핀(144)을 밀고 있는 스프링(141)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니들설치대(100)가 불시에 전진하게 되는 폐단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니들설치대(100)가 불시에 전진 구동되면 미량이지만 약물의 누설이 발생될 우려가 있기 때문인데 이러한 폐단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 : 본체 11 : 주사기고정대
20 : 주사기 30 ; 니들
40 ; 연결유닛 41 : 제1커넥터
43 : 제2커넥터 45 : 연결관
50 : 제1선형이송유닛 51 : 제1구동모터
53 : 제1리드스크류 55 : 가이드봉
60 : 제2선형이송유닛 61 : 제2구동모터
63 : 제2리드스크류 100 : 니들설치대
120 : 바디 122 : 절개공
140 : 관로차단부 141 : 스프링
142 : 홀더 144 : 가압축핀

Claims (5)

  1. 상부에는 주사기고정대가 구비되고 전방에는 니들설치대가 전후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방 상부에는 주사기가 전후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니들설치대의 전방에 결합되는 니들;
    상기 본체의 상부에 고정되고 주사기의 전방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제 1 커넥터와, 니들설치대의 전방에 고정되고 니들의 후방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제 2 커넥터와, 제 1 및 제 2 커넥터를 연결하는 연결관으로 구성되는 연결유닛;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니들설치대를 전후로 왕복이동시키는 제 1 선형이송유닛;을 포함하는 피부시술장치에 있어서,
    상기 니들설치대는,
    니들과 결합되는 제2커넥터의 일측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며 상면의 일측에 절개공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제 1 선형이송유닛이 연결되는 막음판이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에 형성되며 스프링이 내장된 홀더와, 상기 홀더에 삽입되어 스프링에 탄지되며 전단이 상기 바디의 절개공에 도달하도록 출몰작동되는 가압축핀으로 구성된 관로차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시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설치대의 후방 이동시 일시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시술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니들설치대의 막음판에 형성된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에 대응되어 자착되도록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철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시술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철판은 상기 제 1 선형이송유닛이 장착되는 격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시술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외측에 철판이 형성되거나 또는 격벽이 철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시술장치.


KR1020150047076A 2015-04-02 2015-04-02 피부시술장치 KR101636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076A KR101636299B1 (ko) 2015-04-02 2015-04-02 피부시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076A KR101636299B1 (ko) 2015-04-02 2015-04-02 피부시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6299B1 true KR101636299B1 (ko) 2016-07-05

Family

ID=56502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7076A KR101636299B1 (ko) 2015-04-02 2015-04-02 피부시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62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7488A (ko) * 2005-10-31 2005-12-14 (주)엠큐어 약물주사용 건의 약물손실방지장치
KR20070069261A (ko) * 2005-12-28 2007-07-03 최종수 자동주사장치
JP2010527686A (ja) * 2007-05-21 2010-08-19 シンクロ テック リミテッド アプリケータ
KR20140076938A (ko) * 2012-12-13 2014-06-23 김광현 피부시술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7488A (ko) * 2005-10-31 2005-12-14 (주)엠큐어 약물주사용 건의 약물손실방지장치
KR20070069261A (ko) * 2005-12-28 2007-07-03 최종수 자동주사장치
JP2010527686A (ja) * 2007-05-21 2010-08-19 シンクロ テック リミテッド アプリケータ
KR20140076938A (ko) * 2012-12-13 2014-06-23 김광현 피부시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9468B1 (ko) 멀티 인젝션이 가능한 멀티홀 시술 장치
KR101457271B1 (ko) 피부시술장치
US10799285B2 (en) Skin rejuvenation resurfacing device and method of use
US20220152317A1 (en) Devices for injection and dosing
CN102006900B (zh) 治疗枪形式的多孔治疗装置
JP6215840B2 (ja) 非傷跡発生式カニューレ
KR101395099B1 (ko) 피부시술장치
US9138251B2 (en) Instrument for water jet surgery
KR101395100B1 (ko) 피부시술장치
KR101539664B1 (ko) 피부 시술용 약물 주입장치
KR100910793B1 (ko) 멀티홀을 이용한 피부 재생 장치
KR200492531Y1 (ko) 피부시술장치
KR102362429B1 (ko) 고주파 니들 핸드피스
KR101636299B1 (ko) 피부시술장치
KR101631288B1 (ko) 분사 높이조절이 가능한 분사노즐이 구비된 에어젯 핸드피스
KR200441552Y1 (ko) 미세침의 삽입 깊이 제어가 가능한 멀티홀 피부 재생 장치
KR101057219B1 (ko) 분리형 약물 주입장치
KR20180082756A (ko) 피부용 액체 투입장치
KR100864343B1 (ko) 니들롤러
KR101639415B1 (ko) 피부 시술장치용 니들 조립체
KR101284724B1 (ko) 약물 주입장치
KR20010081415A (ko) 여드름 치료기
KR20220086096A (ko) 일렉트로포레이션 인젝터의 트리거유닛
CA2688510A1 (en) Skin rejuvination resurfacing device and method of use
KR101869894B1 (ko) 여드름질환 치료용 마이크로 니들 고주파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