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6286B1 - Fixing-Gender For Corrugated Tube - Google Patents

Fixing-Gender For Corrugated Tub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6286B1
KR101636286B1 KR1020140174731A KR20140174731A KR101636286B1 KR 101636286 B1 KR101636286 B1 KR 101636286B1 KR 1020140174731 A KR1020140174731 A KR 1020140174731A KR 20140174731 A KR20140174731 A KR 20140174731A KR 101636286 B1 KR101636286 B1 KR 101636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lamp
fixing
fastening
t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47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69160A (en
Inventor
윤태환
김민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40174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286B1/en
Publication of KR20160069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1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2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복수의 와이어가 설치된 콜케이트 튜브와, 상기 콜케이트 튜브가 설치되는 튜브설치모듈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콜케이트 튜브와 상기 튜브설치모듈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콜케이트 튜브의 일 단을 감싼 체결위치에서 상기 콜케이트 튜브 외면의 복수의 튜브돌기와 결합되는 튜브고정부를 포함하는 클램프와, 상기 체결위치에서 상기 클램프를 고정하는 클램프고정부 및 상기 클램프에서 상기 튜브설치모듈의 삽입구로 연장 형성된 모듈고정부를 포함하는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가 개시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chet tube which is installed between a collet tu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ires therein and a tube installation module in which the colcate tube is installed so as to connect the colcate tube and the tube installation module, A clamp fixture for clamping the clamp at the clamping position and a clamp fixture for fixing the clamp at the clamping position and an insertion port of the tube installation module in the clamp, Disclosed is a gender for fixing a colchet tube comprising an elongated module fastener.

Description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Fixing-Gender For Corrugated Tube} Fixing-Gender For Corrugated Tube}

본 발명은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외경이 서로 다른 콜케이트 튜브를 연결할 수 있는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ender for fixing a colchet tube, and more particularly, to a gown for fixing a colchet tube capable of connecting colchet tubes having different outer diameters.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각종 장치들은 대부분 통전을 통해 구동되고, 상기 장치와 상기 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사이에는 와이어 하네스가 설치된다. 상기 와이어 하네스는 콜케이트 튜브 내에 설치되어 차량 구동 시 진동 등에 의해 발생한 외력에 의한 파손을 예방한다. Generally, most of various devices of an automobile are driven by energization, and a wire harness is installed between the device and a power supply part supplying power to the device. The wire harness is installed in the collet tube to prevent breakage due to external force caused by vibration or the like when the vehicle is driven.

그런데, 상기 콜케이트 튜브는,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외경에 맞는 정해진 콜케이트 튜브를 사용해야 한다. 즉, 콜케이트 튜브는 와이어 하네스의 외경에 따른 사양이 기 설정되어 있으며, 일 예로, 콜케이트 튜브 내에 설치되는 와이어 하네스의 외경이 26mm 인 경우, 콜케이트 튜브는 28mm인 외경을 가진 콜케이트 튜브를 사용해야 한다. Incidentally, the collet tube should use a predetermined collet tube adapted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wire harness. For example, when the outer diameter of the wire harness provided in the collet tube is 26 mm, the collet tube has a diameter of 28 mm and a collet tube having an outer diameter of 28 mm. Should be used.

또한, 콜케이트 튜브가 설치되는 콜케이트 튜브 고정 모듈 또한, 상기 콜케이트 튜브의 외경에 맞는 모듈만 사용해야 한다. In addition, a colchet tube fixing module in which a colcate tube is installed must be used only with a module that matches the outer diameter of the colcate tube.

따라서, 콜케이트 튜브의 사양에 맞는 콜케이트 튜브 고정 모듈을 각각 개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Therefore,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it is necessary to individually develop a colcate tube fixing module that meets the specifications of collette tub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콜케이트 튜브가 설치되는 모듈의 외경과 다른 외경을 가진 콜케이트 튜브를 설치할 수 있는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auge for fixing a colchet tube capable of providing a colcate tube having an outer diameter different from that of a module on which a colcate tube is installed.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내부에 복수의 와이어가 설치된 콜케이트 튜브와, 상기 콜케이트 튜브가 설치되는 튜브설치모듈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콜케이트 튜브와 상기 튜브설치모듈을 연결하는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에 있어서, 상기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는, 상기 콜케이트 튜브의 일 단을 감싼 체결위치에서 상기 콜케이트 튜브 외면의 복수의 튜브돌기와 결합되는 튜브고정부를 포함하는 클램프와, 상기 체결위치에서 상기 클램프를 고정하는 클램프고정부 및 상기 클램프에서 상기 튜브설치모듈의 삽입구로 연장 형성된 모듈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llet tube having a plurality of wires installed therein, and a collet tube installed between the collet tube and the tube installation module, Wherein the collet tube fixing gender comprises a tube fixing portion which is joined to a plurality of tube protrusion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llet tube at a fastening position that surrounds one end of the collet tube, A clamp fixture for fixing the clamp at the clamping position, and a module fixing part extending from the clamp to the insertion hole of the tube installation module.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외경을 가진 콜케이트 튜브와 튜브설치모듈을 연결하기 위하여 외경이 작은 콜케이트 튜브의 일 단에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를 설치한다. 이때, 콜케이트 튜브 일 단에 설치된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의 외경은 튜브설치모듈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작은 외경을 가진 콜케이트 튜브에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를 설치함으로써, 콜케이트 튜브를 튜브설치모듈에 장착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llet tube fixing gender is provided at one end of a collet tube having a small outer diameter in order to connect a collet tube having different diameters with a tube installation module. At this time, the outer diameter of the collet tube fixing gender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collet tube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tube installation module. Thus, by providing a gauge for fixing a colchet tube to a collet tube having a small outer diameter, the collet tube can be mounted on the tube installation module.

또한, 본 발명은, 콜케이트 튜브의 일 단에 설치되는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의 외경은 콜케이트 튜브의 외경에 따라 가변되며 콜케이트 튜브에 설치된다. 이로 인하여 다양한 외경을 가진 콜케이트 튜브에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를 설치하여 튜브설치모듈과 콜케이트 튜브를 연결하는 효과가 있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diameter of the collet tube fixing genders provided at one end of the collet tube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collet tube and is provided in the collet tube. Therefore, it is effective to connect the collet tube with the tube installation module by installing the collet tube fixing gender on the collet tube having various outer diameter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의 체결위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의 개방위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절단선 Ⅲ-Ⅲ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가 장착된 콜케이트 튜브가 튜브설치모듈에 설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체결타이와 타이고정홈의 장착관계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astening position of a collet tube fixing ge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n position of the colchet tube fixing gender shown in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in Fig. 2,
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collet tube equipped with a colander tube fixing ge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tube installation module,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collet tube fixing gend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mount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astening tie and the tie fixing groove in Fig. 5;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set forth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o provide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dily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and a description will be given centering on the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의 체결위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의 개방위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절단선 Ⅲ-Ⅲ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가 장착된 콜케이트 튜브가 튜브설치모듈에 설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astening position of a collet tube fixing ge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ing position of a collet tube fixing gender of FIG. 1,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 line III-III of FIG. 2,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collet tube equipped with a colander tube fixing ge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tube installation modul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100)는, 내부에 복수의 와이어가 설치된 콜케이트 튜브(20)와 콜케이트 튜브(20)가 설치되는 튜브설치모듈(40) 사이에 설치된다. 설치된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100)는 콜케이트 튜브(20)와 튜브설치모듈(40)의 규격이 다를 때 상기 콜케이트 튜브(20)와 튜브설치모듈(40)을 연결할 때 사용된다. 4, the collet tube fixing gend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llet tube 20 in which a plurality of wires are provided and a tube 20 in which a collet tube 20 is installed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installation modules 40. The installed colchet tube fixing gender 100 is used to connect the colchet tube 20 and the tube installation module 40 when the collet tube 20 and the tube installation module 40 have different specifications.

예를 들어, 콜케이트 튜브(20)의 외경이 튜브설치모듈(40)에 적합한 콜케이트 튜브(40)의 내경보다 작을 경우 콜케이트 튜브(20)의 일 단에 본 발명의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100)를 설치하여 콜케이트 튜브(20)의 외경을 튜브설치모듈(40)의 내경에 맞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외경이 작은 콜케이트 튜브(20)를 튜브설치모듈(40)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when the outer diameter of the collet tube 20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ollet tube 40 suitable for the tube installation module 40, The gender 100 may be provided to set the outer diameter of the colcate tube 20 to match the inner diameter of the tube installation module 40. As a result, the collet tube 20 having a small outer diameter can be installed in the tube installation module 40.

상기의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100)를 자세하게 살펴보면,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100)는, 콜케이트 튜브(20)의 일 단을 감싼 체결위치(도 1 참고)에서 콜케이트 튜브(20) 외면의 복수의 튜브돌기(22)와 결합되는 튜브고정부(123)를 포함하는 클램프(120)와, 상기 체결위치에서 클램프(120)를 고정하는 클램프고정부(140) 및 상기 클램프(120)에서 튜브설치모듈(40)의 삽입구(44)로 연장 형성된 모듈고정부(160)를 포함하한다. 이때, 상기 모듈고정부(160)와 튜브설치모듈(40) 사이에 들뜸 없이 장착되도록 상기 모듈고정부(160)의 외경(d₁)은 삽입구(44)의 내경(d₂)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llet tube fixing genders 100 may be formed of a collet tube 20 at a fastening position (see FIG. 1) wrapping one end of the collet tube 20, A clamp fixation part 140 for fixing the clamp 120 at the clamping position and a clamp part 120 for clamping the clamp 120 at the clamping position, And a module fixing part 160 formed to extend from the insertion hole 44 of the tube installation module 40 to the insertion hole 44 of the tube installation module 40. The outer diameter d 1 of the module fixing part 160 is formed to be equal to the inner diameter d 2 of the insertion opening 44 so that the module fixing part 160 can be installed between the module fixing part 160 and the tube installation module 40 desirable.

이때, 모듈고정부(160)가 튜브설치모듈(40)의 삽입구(44)에 삽입되어 장착되면서 별도의 고정부재나 고정 과정 없이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100)가 튜브설치모듈(40)에 고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odule fixing part 16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opening 44 of the tube installation module 40, and the collet tube fixing gender 100 is fixed to the tube installation module 40 without a separate fixing member or fixing process Can be fixed.

보다 자세하게, 상기 클램프(120)는 모듈고정부(160)가 삽입되는 방향과 나란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클램프(120)를 절개하는 절개부(126)와, 상기 절개부(126)와 대향되며, 체결위치와, 절개부(126)에 의해 절개되어 클램프(120)의 내부가 개방된 개방위치(도 2 참고)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하는 회동부(128)와, 체결위치 시, 절개부(126)에 의해 절개된 제1 클램프(122) 및 제2 클램프(124)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clamp 120 i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dule fixing portion 160 is inserted, and includes a cutout portion 126 for cutting the clamp 120, A swivel portion 128 for swiveling the swivel position between the swivel position and an open position (see Fig. 2) that is incised by the incision 126 to open the inside of the clamp 120; A first clamp 122 and a second clamp 124 that are cut away by the first clamp 122 and the second clamp 124, respectively.

상기 콜케이트 튜브(20)의 일 단에 설치된 상기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100)가 튜브설치모듈(40)에 장착되는 방향을 전, 후 방향이라고 가정하면, 상기 절개부(126)는 클램프(120)의 전, 후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126)는 클램프(120)를 좌, 우 양쪽으로 벌려 클램프(120)의 내부에 콜케이트 튜브(20)의 일 단이 용이하게 안착되게 한다. Assuming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lchet tube fixing genders 100 installed at one end of the colchet tube 20 are installed in the tube installation module 40 is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is formed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body 120. The cutout 126 expands the clamp 120 to the left and right so that one end of the colchet tube 20 is easily seated in the clamp 120.

상기 절개부(126)는 클램프(120)에서부터 모듈고정부(160)까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클램프(120)와 모듈고정부(160)는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절개부(126)는 클램프(120)에만 형성되고, 모듈고정부(160)는 절개되지 않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cutout portion 126 is preferably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clamp 120 to the module fixing portion 160. This is because the clamp 120 and the module fixing portion 160 are integrally formed. However, the cutout portion 126 may be formed only in the clamp 120, and the module fixing portion 16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out being cut.

상기 회동부(128)는 절개부(126)에 의해 절개된 제1 클램프(122)와 제2 클램프(124)가 개방위치와 체결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회동부(128)는 제1 및 제2 클램프(122, 124)와 동일 재질로 형성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상기 회동부(128)가 개방위치와 체결위치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회동하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swivel portion 128 allows the first clamp 122 and the second clamp 124, which are cut by the cutout portion 126, to rotate between the open position and the clamped position. The swivel portion 128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and second clamps 122 and 124. Alternatively, the swivel portion 128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that the swivel portion 128 is elastically rotated between the open position and the fastening position As shown in FIG.

다시 도면을 참고하면,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122, 124)는, 내면에 튜브고정부(123)가 형성된다. 상기 콜케이트 튜브(20)의 표면에는 복수의 튜브돌기(22)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튜브고정부(123)는 튜브돌기(22)가 삽입되는 홈으로 콜케이트 튜브(20)의 일 단에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100)가 콜케이트 튜브(20)와 용이하게 맞물리게 한다.Referring again to the drawings, the first and second clamps 122 and 124 have a tube fixing portion 123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A plurality of tube projections (22)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lchet tube (2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tube fixing part 123 is a groove into which the tube projection 22 is inserted so that the collet tube fixing gangster 100 easily engages with the colchet tube 20 at one end of the collet tube 20.

상기 튜브고정부(123)는 복수 개 형성되어 클램프(120)가 콜케이트 튜브(20)의 일 단을 체결할 때 보다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게 한다. A plurality of the tube fixing portions 123 are formed so that the clamp 120 can be more securely fastened when one end of the colchet tube 20 is fastened.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클램프고정부(140)는 제1 클램프(122)의 일 단에 돌출되게 형성된 체결돌부(142)와, 상기 체결돌부(142)와 대향되는 제2 클램프(124)의 일 단에 형성되며, 체결위치 시, 체결돌부(142)가 삽입되는 체결부(144)를 포함한다. 2 and 3, the clamp fixing part 140 includes a fastening protrusion 142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clamp 122 and a fastening protrusion 142 protruding from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42, And a fastening part 144 formed at one end of the fastening part 124 and into which the fastening protrusion 142 is inserted at the fastening position.

즉, 제1 클램프(122)에 콜케이트 튜브(20)의 일 단이 안착되면, 제2 클램프(124)를 회동시켜 콜케이트 튜브(20)의 상측을 커버하며 콜케이트 튜브(20)의 일 단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2 클램프(124)가 콜케이트 튜브(20)의 일 단 상측을 커버함과 동시에 체결돌부(142)가 체결부(144)에 끼워지면서 클램프(120)의 체결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That is, when one end of the collet tube 20 is seated in the first clamp 122, the second clamp 124 is rotated to cover the upper side of the collet tube 20,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second clamp 124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first end of the colchet tube 20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142 is fitted into the fastening part 144 to fix the fastening position of the clamp 120 .

이를 위하여 상기 체결부(144)는 홈 또는 홀(143)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돌부(142)는 상기 홀(143)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The fastening portion 144 may include a groove or a hole 143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142 may be fixed to the hole 143.

이하 본 발명에서는 체결돌부(142)가 제1 클램프(122)에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체결부(144)가 제2 클램프(124)에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상기 체결돌부(142)와 체결부(144)가 형성된 위치에 의해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in which the fastening protrusion 142 is formed in the first clamp 122 and an example in which the fastening portion 144 is formed in the second clamp 124 will be described. And the position where the fastening portion 144 is formed.

한편, 상기 모듈고정부(160)는 클램프(120)에서 튜브설치모듈(40)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특히, 모듈고정부(160)는 튜브설치모듈(40) 내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홈(42) 사이에 압입되는 압입돌부(166)를 포함한다. The module fixing part 160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clamp 120 toward the tube installation module 40. In particular, the module fixing portion 160 includes a press-in protruding portion 166 which is press-fitted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ding grooves 42 formed in the tube mounting module 40.

상기 압입돌부(166)는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100)가 튜브설치모듈(40)에 설치될 때, 튜브설치모듈(40)에 압입되어 설치되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튜브설치모듈(40)에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100)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압입돌부(166)는 모듈고정부(160)의 외경을 따라 복수 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100)가 튜브설치모듈(40)에 보다 견고하게 장착되게 한다. The press-fit protrusion 166 is press-fitted into the tube mounting module 40 when the gantry 100 for fixing the colchet tube is installed in the tube installation module 40, The collet tube fixing gender 100 can be installed on the tube installation module 40. A plurality of the press-fit protrusions 166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outer diameter of the module fixing portion 160 so that the collet tube fixing gender 100 is more firmly attached to the tube fitting module 40.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절개부(126)는 클램프(120)의 전, 후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모듈고정부(160)까지 형성된다. 따라서, 모듈고정부(160)는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100)가 개방위치일 때, 좌, 우로 벌어져 제1 모듈고정부(162)와 제2 모듈고정부(164)로 절개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모듈고정부(162, 164)가 접하는 절개부(126)는 용접, 접착 등을 통해 고정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ut-out portion 126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fore and after the clamp 120, and the module fixing portion 160 may be form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ule fixing portion 160 can be opened to the left and right to be cut into the first module fixing portion 162 and the second module fixing portion 164 when the colchet tube fixing gender 100 is in the open position . At this time, the cutout portion 126,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module fixing portions 162 and 164, can be fixed by welding, adhesion, or the lik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듈고정부(160)의 외경(d₁)은 튜브설치모듈(40)의 삽입구(44) 내경(d₂)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모듈고정부(160)가 튜브설치모듈(40)의 삽입구(44)에 삽입되면서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100)가 튜브설치모듈(40)에 고정되기 때문에 모듈고정부(160)의 외경(d₁)과 튜브설치모듈(40)의 삽입구(44) 내경(d₂)이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모듈고정부(160)와 튜브설치모듈(40)의 삽입구(44)가 끼움 고정될 수 있게 한다. The outer diameter d 1 of the module fixing portion 160 is formed to be equal to the inner diameter d 2 of the insertion opening 44 of the tube installation module 40 as described above. That is, since the module fixing part 16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opening 44 of the tube installation module 40, and the gumder 100 for fixing the colchet tube is fixed to the tube installation module 40, The outer diameter d1 of the tube mounting module 40 and the inner diameter d2 of the insertion opening 44 of the tube mounting module 40 are made to coincid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module fixing portion 160 and the insertion opening 44 of the tube mounting module 40 can be fitted and fixed .

이때, 콜케이트 튜브(20)와 튜브설치모듈(40)는 서로 다른 외경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콜케이트 튜브(20)는 튜브설치모듈(40)의 삽입구(44) 내경(d₂)보다 작게 형성되고, 이러한 콜케이트 튜브(20)의 일 단에 젠더(100)가 설치됨에 따라 삽입구(44)의 내경(d₂)과 일치되게 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콜케이트 튜브(20)가 튜브설치모듈(40)의 삽입구(44)의 내경(d₂)보다 작게 형성되는 예를 들지만, 콜케이트 튜브(20)가 튜브설치모듈(40)의 삽입구(44)보다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젠더(100)는 콜케이트 튜브(20)가 설치되는 삽입구(44)의 내경(d₂)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지만, 상기 젠더(100)의 외경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At this time, the collet tube 20 and the tube installation module 40 have different diameters. The collet tube 20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d2 of the insertion opening 44 of the tube installation module 40 and the genders 100 are installed at one end of the colchet tube 20 (D2) of the insertion port (44). The collet tube 20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d2 of the insertion port 44 of the tube installation module 40. However, (44). In addition, although the gender 10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diameter d 2 of the insertion port 44 in which the colchet tube 20 is installed, the outer diameter of the gender 100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체결타이와 타이고정홈의 장착관계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collet tube fixing gen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mount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astening tie and the tie fixing groove in Fig.

도 5 및 도 6의 설명에 앞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도면부호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도면부호가 동일한 경우 동일 구성으로 판단하고,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5 and 6, th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Figs. 5 and 6 and th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Figs. 1 to 4 are the sam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앞서 설명된 콜케이트 튜브(20)와 튜브설치모듈(40)은 설치 위치 등에 따라 다양한 외경을 가진다. 이때, 하나의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100)를 이용하여 콜케이트 튜브(20)와 튜브설치모듈(40)을 연결하기 위하여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100)의 외경이 가변될 수 있다. The colchet tube 20 and the tube installation module 40 described above have various outer diameters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collet tube fixing gender 100 may be varied in order to connect the collet tube 20 and the tube installation module 40 by using the collet tube fixing gender 100.

보다 자세하게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100)의 클램프고정부(140)는 제1 클램프(122)의 일 단에서 콜케이트 튜브(20)의 외경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복수의 타이돌기(183)를 포함하는 체결타이(tie)(182)와, 상기 제2 클램프(124)의 일 단에 형성되며, 체결타이(182)가 삽입되고, 타이돌기(183)를 구속하는 돌기고정홈(185)을 포함하는 타이삽입부(184)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타이(182)는 콜케이트 튜브(20)의 외경 변화에 따라 타이삽입부(184)에 체결되는 위치가 가변된다. The clamp fixing portion 140 of the colchet tube fixing gender 100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collet tube 20 at one end of the first clamp 122, A tie 182 including a fastening tie 182 formed on one end of the second clamp 124 and having a fastening tie 182 inserted therein and a projection fixing groove And the fastening tie 182 has a variable position where the fastening tie 182 is fastened to the tie inserting portion 184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collet tube 20.

상기 체결타이(182)는 클램프(120)의 둘레를 감싸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타이삽입부(184)는 상기 체결타이(182)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fastening tie 182 may be elongated in a direction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clamp 120. The tie insertion portion 184 may be formed in a groove shape so that the fastening tie 182 can be inserted and mounted.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100)를 콜케이트 튜브(20)에 설치하기 위하여, 콜케이트 튜브(20)의 일 단을 제1 클램프(122)에 안착하고, 제2 클램프(124)가 회동하여 콜케이트 튜브(20) 상측을 커버하면 상기 체결타이(182)가 타이삽입부(184)에 삽입된다. 이때, 체결타이(182)의 타이돌기(183)가 타이삽입부(184)의 돌기고정홈(185)에 걸려 고정되면서 클램프(120)가 콜케이트 튜브(20)의 외경에 고정, 장착된다. As shown in the drawing, in order to install the collet tube fixing gender 100 on the collet tube 20, one end of the collet tube 20 is seated on the first clamp 122, The fastening tie 182 is inserted into the tie inserting portion 184 when the fastener 124 is turned and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colchet tube 20. [ At this time, the clamp 120 is fixed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colchet tube 20 while the tie protrusion 183 of the fastening tie 182 is caught and fixed in the projection fixing groove 185 of the tie inserting portion 184.

이때, 상기 타이돌기(183)과 돌기고정홈(185)은 복수 개 형성하여 콜케이트 튜브(20)가 설치되는 클램프(120)의 외경에 따라 고정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외경의 크기에 관계없이 클램프(120)를 콜케이트 튜브(20)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a plurality of the tie protrusions 183 and the projection fixing grooves 185 may be formed, and the fixing position may be varied accor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clamp 120 where the colcate tube 20 is installed. Thus, the clamp 120 can be installed on the collet tube 20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outer diameter.

상기와 같이, 서로 다른 외경을 가진 콜케이트 튜브(20)와 튜브설치모듈(40)을 연결하기 위하여 외경이 작은 콜케이트 튜브(20)의 일 단에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100)를 설치한다. 이때, 콜케이트 튜브(20) 일 단에 설치된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100)의 외경은 튜브설치모듈(40)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작은 외경을 가진 콜케이트 튜브(20)에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100)를 설치함으로써, 콜케이트 튜브(20)를 튜브설치모듈(40)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connect the collet tube 20 having different outer diameters to the tube installation module 40, a collet tube fixing gender 100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collet tube 20 having a small outer diameter do. At this time, the outer diameter of the collet tube fixing gender 100 installed at one end of the collet tube 20 is formed to have the same diameter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tube installation module 40. The collet tube 20 can be attached to the tube mounting module 40 by providing the collet tube 20 for fixing the collette tube with the collet tube 20 having the small outer diameter.

또한, 콜케이트 튜브(20)의 일 단에 설치되는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100)의 외경은 콜케이트 튜브(20)의 외경에 따라 가변되며 콜케이트 튜브(20)에 설치된다. 이로 인하여 다양한 외경을 가진 콜케이트 튜브(20)에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100)를 설치하여 튜브설치모듈(40)과 콜케이트 튜브(20)를 연결할 수 있게 된다. The outer diameter of the collet tube fixing genders 100 provided at one end of the collet tube 20 varies accor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collet tube 20 and is set in the collet tube 20. Accordingly, the collet tube 20 having various outer diameters can be provided with the colander tube fixing gender 100 to connect the collar tube 20 with the tube installation module 4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20: 콜케이트 튜브 40: 튜브설치모듈
100: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 120: 클램프
140: 클램프고정부 160: 모듈고정부
20: colchet tube 40: tube installation module
100: collet tube fixing gender 120: clamp
140: clamp fixing portion 160: module fixing portion

Claims (4)

내부에 복수의 와이어가 설치된 콜케이트 튜브와, 상기 콜케이트 튜브가 설치되는 튜브설치모듈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콜케이트 튜브와 서로 다른 외경으로 형성된 상기 튜브설치모듈을 연결하는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에 있어서,
상기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는,
상기 콜케이트 튜브의 일 단을 감싼 체결위치에서 상기 콜케이트 튜브 외면의 복수의 튜브돌기와 결합되도록 주름진 형태의 튜브고정부를 포함하는 클램프;
상기 체결위치에서 상기 클램프를 고정하는 클램프고정부; 및
상기 클램프에서 상기 튜브설치모듈의 삽입구로 연장 형성된 모듈고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고정부의 외경은 상기 콜케이트 튜브의 외경과 상이하며, 주름진 형태의 압입돌부가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
A collet tube having a plurality of wires arranged therein and a collet tube fixing module provided between the collet tube and the collet tube, As a result,
The collet tube fixing gender is characterized in that,
A clamp comprising a corrugated tube fixing part to be coupled with a plurality of tube protrusions on an outer surface of the collet tube at a clamping position surrounding one end of the collet tube;
A clamp fixture for fixing the clamp at the clamping position; And
A module fixing part extending from the clamp to the insertion hole of the tube installation module; / RTI >
Wherein an outer diameter of the module fixing part is different from an outer diameter of the colchet tube, and a corrugated indentation protruding part is protruded and form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모듈고정부가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는 방향과 나란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클램프를 절개하는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와 대향되며, 상기 체결위치와, 상기 절개부에 의해 절개되어 상기 클램프 내부가 개방된 개방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는 회동부와,
상기 체결위치 시, 상기 절개부에 의해 절개된 제1 클램프 및 제2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lamp
A cut-out portion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arallel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module fixing portion and cutting the clamp,
A turning portion which is opposed to the cutout portion and which rotates between the clamping position and an open position in which the inside of the clamp is opened by the cutout portion,
And a first clamp and a second clamp that are cut by the cutout portion at the fastening posi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고정부는,
상기 제1 클램프의 일 단에 돌출되게 형성된 체결돌부와,
상기 체결돌부와 대향되는 상기 제2 클램프의 일 단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위치 시, 상기 체결돌부가 삽입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
The method of claim 2,
The clamp fixture includes:
A fasten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clamp,
And a fastening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clamp facing the fastening protrusion and having a fastening portion for fastening the fastening protrusion when the fastening protrusion is in the fastening posi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고정부는,
상기 제1 클램프의 일 단에서 상기 콜케이트 튜브의 외경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복수의 타이돌기를 포함하는 체결타이(tie)와,
상기 제2 클램프의 일 단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타이가 삽입되고, 상기 타이돌기를 구속하는 돌기고정홈을 포함하는 타이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타이는 상기 콜케이트 튜브의 외경 변화에 따라 상기 타이삽입부에 체결되는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
The method of claim 2,
The clamp fixture includes:
A fastening tie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n outer diameter of the colchet tube at one end of the first clamp, the fastening tie including a plurality of tie-
And a tie-inserting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clamp, the tie-inserting portion including a tie-fixing groove into which the fastening tie is inserted and which restrains the tie-projection,
Wherein the fastening tie is varied in a position where the fastening tie is fastened to the tie inserting portion according to an outer diameter change of the collet tube.
KR1020140174731A 2014-12-08 2014-12-08 Fixing-Gender For Corrugated Tube KR1016362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731A KR101636286B1 (en) 2014-12-08 2014-12-08 Fixing-Gender For Corrugated Tub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731A KR101636286B1 (en) 2014-12-08 2014-12-08 Fixing-Gender For Corrugated Tub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160A KR20160069160A (en) 2016-06-16
KR101636286B1 true KR101636286B1 (en) 2016-07-06

Family

ID=56354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731A KR101636286B1 (en) 2014-12-08 2014-12-08 Fixing-Gender For Corrugated Tub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628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06329A (en) * 2021-01-07 2022-07-20 矢崎総業株式会社 Corrugated tube protection memb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762Y1 (en) * 2003-06-11 2003-09-19 경신공업 주식회사 corrugate tube clip of automobile
JP2004194433A (en) 2002-12-11 2004-07-08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Cable tube material fixing joint
JP2014207812A (en) * 2013-04-15 2014-10-30 住友電装株式会社 Obstruction plug and exterior structure of wire harnes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4433A (en) 2002-12-11 2004-07-08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Cable tube material fixing joint
KR200326762Y1 (en) * 2003-06-11 2003-09-19 경신공업 주식회사 corrugate tube clip of automobile
JP2014207812A (en) * 2013-04-15 2014-10-30 住友電装株式会社 Obstruction plug and exterior structure of wire harn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160A (en) 201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0991B2 (en) Fixing device for hose clamp
JP5939237B2 (en) Cable holder for work machine
JP2010262926A (en) Element for connecting electric line with printed circuit board
JP2012177473A (en) Tension clamp
US9382918B2 (en) Ceiling fan
US9994169B2 (en) Wire harness
WO2011155088A1 (en) Grommet
KR101636286B1 (en) Fixing-Gender For Corrugated Tube
JP6207134B2 (en) Wiring device
CA2885948A1 (en) Integral grounding hub
US9162550B2 (en) Wire harness mounting assembly
EP1744087B1 (en) Fastening member for pipes and cables
JP3229333B2 (en) Holding element and method for attaching a conductor
KR101783867B1 (en) A Fixing Structure of Wiring Harness
KR20200005095A (en) Connecting Apparatus for Plate Type Member
KR100796728B1 (en) Connector for fixing wiring pipe
US10428983B2 (en) Exhaust collar and method for flexibly attaching an exhaust funnel for an exhaust hood to a vent pipe and exhaust funnel device
US11901719B2 (en) Cable feedthrough for feeding a cable through a separating element and assembly
JP2007220540A (en) Terminal block and lighting device
JP6070467B2 (en) Grommet and wire harness with grommet
US20180162296A1 (en) Wire harness fixing clamp
JP2010033919A (en) Battery terminal
KR101964815B1 (en) Fixing Clip for Wiring Harness
JP6447433B2 (en) Terminal cover
JP2018059610A (en) Clip for locking of wire harn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