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5581B1 - Mesh Type Lifting Device - Google Patents
Mesh Type Lift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35581B1 KR101635581B1 KR1020150001998A KR20150001998A KR101635581B1 KR 101635581 B1 KR101635581 B1 KR 101635581B1 KR 1020150001998 A KR1020150001998 A KR 1020150001998A KR 20150001998 A KR20150001998 A KR 20150001998A KR 101635581 B1 KR101635581 B1 KR 1016355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yarn
- tube
- needle
- basic
- ne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747 poly(lact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10000001124 body fluid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839 body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5036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63 poly(p-dioxanon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610 polycaprolact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32 polycaprolac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22 polydioxan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26 polylact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43 active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04 blood vesse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43 chemic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37 immune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51 lymph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03 metabol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87 myotubu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45 natur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75 path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428 peripheral nervous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43 polyglutam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60 skin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9 spontaneou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92 vasc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63—Implantable repair or support meshes, e.g. hernia mesh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2017/0096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used for transplant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63—Implantable repair or support meshes, e.g. hernia meshes
- A61F2002/0072—Delivery tool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근육 내에 실을 용이하게 삽입하여 자생 물질의 생성을 유도하는 리프팅 부재가 개시된다.
일 예로, 일 방향으로 연장된 기본사; 상기 기본사에 결합되고, 상기 메쉬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물사; 및 내부의 공간을 통해 상기 기본사 및 그물사를 커버하도록 형성된 튜브를 포함하는 리프팅 부재가 개시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lifting member is disclosed in which a thread is easily inserted into a muscle to induce generation of a native material.
As an example, a basic yarn extending in one direction; At least one net yarn joined to the basic yarn and formed to have the mesh shape; And a tube configured to cover the primary yarn and the net yarn through an internal space.
Description
본 발명은 근육 내에 실을 용이하게 삽입하여 자생 물질의 생성을 유도하는 리프팅 부재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member for easily introducing a thread into a muscle to induce generation of a native material.
인체의 근육을 이루는 근육 섬유 내에는 자생물질이 존재한다. 그리고 근육 내에 이물질이 들어가면 이물질 둘레에 자생 물질이 모여들어 침범한 이물질에 대해 근육을 보호한다. 상기 자생 물질은 근육을 보호하기 위해 생성된 것이지만 결과적으로 근육을 강화시킨다.There is a native material in the muscle fibers that make up the muscles of the human body. And, when foreign matter enters the muscles, the foreign material surrounds the foreign material and protects the muscles against the foreign substances that are involved. The native material is produced to protect the muscles, but eventually strengthens the muscles.
이러한 자생 물질에는 매우 많은 종류가 있다. 이는 피부의 일부 근육조직에 인위적으로 상처를 주었을 때 상처받은 조직세포에서 방출하며 조직에 일련의 생리적 변화를 가져오는 화학인자로서 상처를 회복시키는 조건을 제공한다. 생물전기학과 압전기학 및 생물범제어론의 원리에 근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상기 화학인자는 열에너지로 변화하여 작은 혈관을 확장하고 림프(lymph)의 순환을 가속화하여 신진 대사 능력을 크게 높이며 해당 부위의 영양공급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체액순환을 통해 병적생성물을 제거하고 동시에 일부조직의 단백질을 분해하고 말초신경 체질(遞質)을 증가하며 혈관신경에 활성물질을 생성시켜 혈청에서의 펩타이드와 5-히드록실아민의 함량을 낮춘다. 이에 따라 상처받은 부위가 신경을 통해 재생 또는 조절해야 하는 정보를 신경중추에 전달하고 체내에 존재하는 특정한 생물화학적 물질의 조합을 빨리 추진하여 체액순환의 활성화를 통해 인체 면역기능을 제고시키며 신체관련 장부의 기능을 조절하고 근육도 강화시키게 된다.
[선행기술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1155817호(2012.06.12.)
등록특허공보 제10-1326763호(2013.11.08.)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8-062061호(2008.03.21.)
등록특허공보 제10-1182337호(2012.09.20.)
There are many kinds of these natural substances. This is a chemical agent that releases tissue from wounded tissue and causes a series of physiological changes in the tissues when some muscle tissue of the skin is artificially injured. More specifically, the chemical factor changes into heat energy to expand small blood vessels and accelerate the circulation of lymph, thereby greatly increasing metabolic ability. In addition, Not only enhances nutritional supply but also eliminates pathological products through body fluid circulation and at the same time decomposes the proteins of some tissues and increases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 and produces active substances in the vascular nerve, Reduce the content of loxylamine. Thus, the injured area transmits information to be regenerated or regulated through the nerve to the nerve center, and the combination of specific biochemical substances in the body is rapidly promoted, thereby enhancing the body immune function through activation of the body fluid circulation, And muscle strengthening.
[Prior Art Literature]
Patent Registration No. 10-1155817 (Jun. 12, 2012)
Patent Registration No. 10-1326763 (November 31, 2013)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8-062061 (Mar. 21, 2008)
Patent Registration No. 10-1182337 (2012.20.20.)
본 발명은 근육 내에 실을 용이하게 삽입하여 자생 물질의 생성을 유도하는 리프팅 부재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fting member for easily inserting a thread into a muscle to induce generation of a native material.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부재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기본사; 상기 기본사에 결합되고, 상기 메쉬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물사; 및 내부의 공간을 통해 상기 기본사 및 그물사를 커버하도록 형성된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f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se yarn extending in one direction; At least one net yarn joined to the basic yarn and formed to have the mesh shape; And a tube configured to cover the primary yarn and the net yarn through an internal space.
여기서, 상기 튜브의 내부에는 상기 기본사의 단부가 일시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end of the basic yarn may be temporari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tube.
그리고 상기 기본사는 체내에서 상기 튜브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And the base yarn can be separated from the tube in the body.
또한, 상기 기본사의 단부에 형성된 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comprise a needle formed at an end of the basic yarn.
또한, 상기 튜브의 전단은 상기 니들에 고정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end of the tube may be fixed to the needle.
또한, 상기 튜브의 후단은 상기 전단에 비해 직경이 크고, 상기 기본사 및 그물사를 커버할 수 있다.Further, the rear end of the tube is larger in diameter than the front end, and can cover the basic yarn and the net yarn.
또한, 상기 튜브의 전단의 내부에는 상기 기본사의 단부가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d of the basic yarn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front end of the tube.
또한, 상기 튜브는 상기 기본사를 따라 대칭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ubes may be formed in symmetrical pairs along the basic yarn.
또한, 상기 기본사의 전단 및 후단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니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include a needle formed on at least one of a front end and a rear end of the basic yarn.
또한, 상기 니들 중 하나는 후크 형상을 갖는 봉합 니들일 수 있다.
Further, one of the needles may be a suture needle having a hook shape.
본 발명에 의한 리프팅 부재는 체내에 삽입된 이후 그물사가 체내의 저항을 통해 확장됨으로써, 자생 물질이 생성되는 것을 증가시켜 치료 또는 미용 효과를 높일 수 있다.
Since the lif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body, the net is expanded through the resistance in the body, thereby increasing the production of the native material, thereby enhancing the therapeutic or cosmetic effect.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b 내지 도 1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가 시술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가 시술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에서 니들과 튜브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에서 니들의 형상을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2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에서 튜브와 고정 부재 사이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FIG. 1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fting member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to 1F illustrate a process in which a lif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f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f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B and 3C illustrate a process in which a lif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f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f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11 are sectional views of lifting membe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2 to 14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needle and a tube in a lif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to 18 are illustrations showing the shapes of needles in a lif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9 to 22C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tube and a fixing member in a lif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b 내지 도 1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가 시술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FIG. 1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fting member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to 1F illustrate a process in which a lif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먼저,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100)는 기본사(11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물사(120), 상기 기본사(110)의 양단에 결합된 니들(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A, a
상기 기본사(110)는 외주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기본사(110)는 이를 통해 접촉 면적 및 마찰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외주면에 결합되는 상기 그물사(120)의 위치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기본사(110)는 봉합사로 형성되어, 체내에 잔존하게 되는 경우 일정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녹아서 제거될 수 있다.The
상기 그물사(120)는 서로 엮여서 메쉬(mesh)를 형성한다. 상기 그물사(120)는 상기 메쉬를 형성하는 홀을 통해 인체 내 삽입이 되더라도 혈액 등 체액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그물사(120)의 메쉬 구조는 사람의 체내 에서 접촉할 수 있는 단면적을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자생물질이 생성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 그물사(120)의 재질은 폴리글리골라이드(PGA), 폴리락틱액시드(PLA), 폴리-L-락타이드(PLLA),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다이옥사논(PDO), 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그물사(120)는 삽입되는 방향에서 전단에서 후방을 향해 구부러진 절곡부(120a)를 포함하며, 상기 절곡부(120a)에 의해 체내(10)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리프팅 부재(100)의 체내 삽입시, 상기 절곡부(120a)를 시작으로 하여 삽입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체내 삽입시 저항에 의해 상기 리프팅 부재(100)의 전단에서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The
상기 니들(130)은 상기 기본사(110)에 결합되어 양단에 형성된다. 상기 니들(130)은 사람의 피부에 미리 형성된 홀을 통해 체내로 삽입시 가장 먼저 삽입된다. 상기 니들(130)은 체내를 관통한 이후 다시 피부의 밖으로 빠져나오며, 이에 따라, 상기 기본사(110) 및 그물사(120)만 체내에 잔존하게 된다.The
이를 위해, 상기 니들(130)은 전단에 체적이 작게 형성된 삽입 유도부(131), 후단에 상기 기본사(110)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입 유도부(131)는 상대적으로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피부에 형성된 홀 내에 삽입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132)는 상기 기본사(110)이 클램핑 등의 방법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기본사(110)가 상기 니들(130)의 움직임에 종속되어 움직이도록 한다.
To this end, the
이어서, 도 1b 내지 도 1f 중 도 1b를 먼저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100)는 일단이 상기 사람의 피부에 미리 형성된 제 1 홀(11)을 통해 제 1 방향으로 체내에 삽입된다. 상기 리프팅 부재(100)는 일단에 형성된 상기 니들(130)을 통해 최초 삽입되고 이에 연결된 기본사(110) 및 그물사(120)가 이에 따라 체내로 삽입된다. 또한, 상기 니들(130)은 피부에 형성된 제 2 홀(12)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오게 된다.1B through 1F, a lifting
또한, 상기 리프팅 부재(100)의 타단은 상기 제 1 홀(11)을 통해 상기 제 1 방향과 다른 제 2 방향으로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일 수 있고, 상기 리프팅 부재(100)의 타단에 형성된 니들(130)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체내를 관통한 후, 피부의 제 3 홀(13)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오게 된다.The other end of the lifting
그리고 도 1c를 참조하면, 이 상태에서 시술자는 가위(20) 등의 구성으로 체외로 노출된 상기 기본사(110)를 절단함으로써, 상기 니들(130)이 제거된다.Referring to FIG. 1C, in this state, the operator removes the
도 1d를 참조하면, 시술자는 체외로 노출된 기본사(110)를 잡아당김으로써 도 1e에 도시된 것처럼 기본사(110)에 결합된 그물사(120)가 체내 저항에 의해 변형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그물사(120)는 체내 저항에 의해 체내에서 위치가 고정되며, 시술자는 이 상태에서 다시 체외로 노출된 상기 기본사(110)를 가위(20) 등으로 제거한다.Referring to FIG. 1D, the practitioner can pull the
따라서, 최종적으로 도 1e와 같이, 기본사(110)와 그물사(120)가 체내에 잔존하는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재생 물질 생성을 통한 리프팅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또한, 상기 기본사(110)와 그물사(120)는 일정 시간 이후 체내에서 녹아 없어지기 때문에, 인체에 해를 주지 않는다.
Thus, finally, as shown in FIG. 1E,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a lif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의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f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200)는 기본사(110), 그물사(120), 니들(130), 봉합 니들(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갖는 구성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서 표시하였고, 이하에서는 구성상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2, the lifting
상기 봉합 니들(230)은 대략적으로 갈고리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기본사(110)의 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봉합 니들(230)은 체내에 삽입되지 않고, 다만 반대편에 형성된 상기 니들(130)이 사람의 체내를 관통한 이후 체외로 노출되면, 상기 봉합 니들(230)은 사람의 피부에서 봉합을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봉합 니들(230)을 통해 사람의 피부에서 기본사(110)가 고정되므로, 상기 봉합 니들(230) 및 그 반대편에 형성된 니들(130)이 가위 등의 구성으로 제거되더라도 상기 기본사(110)와 그물사(120)의 구성은 체내에 고정되어 위치될 수 있다.
The sealing needles 230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hook and are formed at the ends of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a lif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a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가 시술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3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f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B and 3C illustrate a process in which a lif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300)는 기본사(110), 그물사(120), 니들(130), 튜브(340), 고정 부재(3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3A to 3C, a lifting
상기 튜브(340)는 상기 니들(130)의 후단에 결합된다. 상기 튜브(340)는 상기 니들(130)의 후단에 형성된 결합부(132)에 결합 고정되며, 이에 따라 상기 튜브(340)는 상기 니들(130)의 움직임에 종속된다. The
상기 튜브(340)는 상기 니들(130)의 결합부(132)에 고정된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좁은 전단부(341), 상기 전단부(341)로부터 단면적이 점차 증대되는 확장부(342), 상기 확장부(342)에 연결되어 내부에 상기 기본사(110) 및 그물사(120)의 구성을 커버하는 커버부(343)을 포함한다.The
상기 전단부(341)는 상기 니들(130)의 결합부(132)에 일정한 강도로 결합된다. 상기 전단부(341)는 상기 결합부(132)와 억지끼움 방식을 통해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클램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전단부(341)의 후단 영역에는 기본사(110)의 전단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기본사(110)는 상기 전단부(341)의 내부에 일시적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튜브(340)가 체내에 일정 길이로 위치한 뒤에는 상기 기본사(110)가 분리되어 체내에 잔존하게 된다.The
상기 확장부(342)는 상기 전단부(341)로부터 점차 면적이 증가되는 대략 깔대기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확장부(342)의 내부에는 상기 기본사(110)가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확장부(342)를 통해 상기 튜브(340)의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상기 확장부(342)를 따라 상기 튜브(340)는 체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The
상기 커버부(343)는 상기 기본사(110) 및 그물사(120)의 구조를 외부에서 커버한다. 상기 커버부(343)의 내부에 형성된 그물사(120)는 체내에서 저항을 받지 않기 때문에, 삽입 과정에서 상기 그물사(12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343)는 상기 튜브(340)가 체외로 빠져나가기 전까지 상기 기본사(110) 및 그물사(120)를 보호한다.
The
상기 고정 부재(350)는 상기 기본사(110)에 결합되며, 상기 튜브(340)의 후단에 위치한다. 상기 고정 부재(350)는 사람의 피부에 형성되는 홀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체내에 삽입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기 기본사(110)를 따라 기본사(110) 및 튜브(340)가 일정 길이로 체내에 삽입된 이후, 상기 고정 부재(350)는 사람의 피부에 걸려서 상기 기본사(110)가 더이상 체내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람이 상기 니들(130)을 잡아당김에 따라, 상기 니들(130)에 결합된 튜브(340)와 상기 기본사(110)가 분리된다. 또한, 상기 니들(130) 및 튜브(340)는 사람에 의해 체외로 빠져나오고, 상기 기본사(110) 및 그물사(120)는 체내에 잔존하게 되어, 피부 재생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The fixin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a lif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의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f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400)는 기본사(110), 그물사(120), 니들(130), 봉합 니들(230), 튜브(340), 고정 부재(3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lift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400)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200, 300)의 조합 형태를 갖는다. 상기 리프팅 부재(400)에서 상기 니들(130)을 전단으로 체내를 관통하게 되면, 일정 깊이에서 상기 기본사(110) 및 그물사(120)가 상기 튜브(340)로부터 분리되어 체내에 잔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니들(130)과 튜브(340)가 체외로 노출된 이후, 상기 봉합 니들(230)을 통해 반대측의 기본사(110)를 이용한 봉합을 수행함으로써, 시술이 마무리될 수 있다.
The liftin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a lif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의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f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500)는 기본사(110), 그물사(120), 니들(130), 튜브(340), 고정 부재(3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5, a lift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500)는 역시 앞의 실시예들(200, 300)의 조합된 형태이며, 전단과 후단에 각각 니들(130) 및 튜브(34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튜브(340)의 내부에는 각각 기본사(110)에 결합된 그물사(120)가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니들(130)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튜브(340)가 일정 깊이로 위치하면 그 각각의 니들(130) 및 튜브(340)는 상기 고정 부재(350)에 의해 상기 기본사(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니들(130) 및 튜브(340)가 체외에서 제거됨으로써, 시술이 마무리될 수 있다.
The liftin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a lif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의 단면도이다.6 to 11 are sectional views of lifting membe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600A)는 기본사(110)에 결합되어 상호간에 이격된 다수개의 그물사(620A)의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그물사(620A)는 상기 기본사(110)의 일정 간격마다 매듭(621A)을 통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매듭(621A)은 상기 그물사(620A)의 대략 중앙에서 형성되어, 상기 그물사(620A)는 상기 매듭(621A)을 기준으로 벌어진 양갈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물사(620A)는 체내 삽입 이후 체내에서의 저항에 의해 벌어져서 시술 이후 재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a lifting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600B)는 기본사(610B)에 결합되어 상호간에 이격된 다수개의 그물사(620B)의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기본사(610B)는 상기 그물사(620B) 각각에 대해 적어도 2개 방향에서 관통하여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그물사(620B)는 상기 기본사(610B)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체내 삽입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lifting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600C)는 기본사(610C)에 결합된 그물사(120)의 구조를 갖는다. 상기 그물사(120)의 절곡부(120a)는 상기 기본사(610C)에 의해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곡부(120a)에 대해 상기 기본사(610C)가 다수회로 권취될 수 있다. 상기 그물사(120)를 이를 통해 상기 기본사(610C)에 고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lifting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600D)는 기본사(610D)에 결합된 그물사(620D)의 구조를 갖는다. 상기 기본사(610D)는 전단에서 매듭(611D)을 형성하고, 그 이후에 결합된 그물사(620D)에 대해 지그재그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그물사(620D)에 대해 상기 기본사(610D)가 다수회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a lifting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600A)는 일체로 형성된 그물사(620E)의 구조를 갖는다. 상기 그물사(620E)는 일단에서 매듭(621E)이 형성되어 일차적으로 고정되고, 이후 길이 방향에서는 그물 형태로 배열된다. 여기서, 상기 그물사(620E)의 길이 방향(622E)을 따라 이격되어 배열되고, 각각이 상기 그물사(620E)를 관통하는 다수의 앵커부재(630E)가 구비된다. 상기 앵커부재(630E)는 상기 그물사(620E)와 함께 벌어져 단면적을 넓여서 재생 효과를 높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lifting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600F)는 기본사(610F)에 결합된 그물사(620F)의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기본사(610 F)는 후단에 고리(611F)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그물사(620F)는 절곡부(621F)가 상기 고리(611F)에 걸린 형상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기본사(610F)에 상기 그물사(620F)가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a liftin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에서 니들과 튜브의 결합에 대한 예시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the combination of the needle and the tube in the lifting memb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에서 니들과 튜브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Figs. 12 to 14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needle and a tube in a lif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니들(130)의 결합부(132)의 내부에 상기 튜브의 전단부(341)가 끼워지는 형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튜브의 전단부(341A)가 상기 니들(130A)의 삽입 유도부(131A)의 반대편에 위치한 결합부에 대해 그 외주연을 따라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튜브의 전단부(341B)는 상기 니들(130B)의 삽입 유도부(131B)의 반대측으로부터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두에서 상기 니들(130, 130A, 130B)과 튜브의 전단부(341, 341A, 341B)의 결합은 내부의 돌기들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기 튜브가 억지끼움 형식으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12,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에서 니들의 형상에 대한 예시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a shape of a needle in a lif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에서 니들의 형상을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15 to 18 are illustrations showing the shapes of needles in a lif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니들(130, 130C, 130D, 130E)은 각각 뾰족하게 형성된 삽입 유도부(131), 주사바늘과 같이 내부에 홀이 형성된 삽입 유도부(131C), 둥글게 라운드 처리된 삽입 유도부(131D), 원뿔형으로 가공된 삽입 유도부(131E)를 구비할 수 있다.15 to 18, the
이들 삽입 유도부(131, 131C, 131D, 131E)는 모두 단부에서의 단면적을 줄여 체내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며, 그 이후의 니들 구성들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에서 튜브와 고정 부재 사이의 결합에 대한 예시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the coupling between the tube and the fixing member in the lif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9 내지 도 22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부재에서 튜브와 고정 부재 사이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FIGS. 19 to 22C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tube and a fixing member in a lif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튜브(340)의 커버부가 형성된 후단에는 기본사가 매듭을 지어 형성된 고정 부재(110C), 기본사가 절곡되어 형성된 고정 부재(110D), 기본사의 절곡 이후 상기 튜브(340D)에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350D)의 구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19 to 21, a fixing
또한, 도 22a 내지 도 22c를 참조하면, 고정 부재(350E)는 상기 튜브(340E)와 기본사(110)의 사이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로 도 22b에 도시된 것처럼 내부에 홀이 형성되지 않아 기본사(110)에 의해 관통되거나, 도 22c에 도시된 것처럼 내부에 수용홈(351E)을 통해 기본사(110)에 결합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22A to 22C, the fixing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리프팅 부재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 200, 300, 400, 500, 600A, 600B, 600C, 600D, 600E, 600F; 리프팅 부재
110, 110C, 110D,610B, 610C, 610D, 610F; 기본사
120, 620A, 620B, 620D, 620E, 620F; 그물사
130; 니들
230; 봉합 니들
340, 340C, 340D; 튜브
350, 350E; 고정 부재100, 200, 300, 400, 500, 600A, 600B, 600C, 600D, 600E, 600F; Lifting member
110, 110C, 110D, 610B, 610C, 610D, 610F; Basic History
120, 620A, 620B, 620D, 620E, 620F; Net
130; You guys
230; Suture needle
340, 340C, 340D; tube
350, 350E; Fixed member
Claims (17)
상기 기본사에 결합되고, 메쉬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물사;
상기 기본사의 단부에 형성된 니들;및
내부의 공간을 통해 상기 기본사 및 그물사를 커버하도록 형성된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의 전단은 상기 니들에 고정되어 형성되어, 상기 기본사는 체내에서 상기 튜브로부터 분리되는 리프팅 부재.A base yarn extending in one direction;
At least one net yarn joined to the basic yarn and formed to have a mesh shape;
A needle formed at an end of the basic yarn;
And a tube formed to cover the primary yarn and the net yarn through an internal space,
Wherein a front end of the tube is formed by being fixed to the needle, and the basic thread is separated from the tube in the body.
상기 튜브의 내부에는 상기 기본사의 단부가 일시적으로 결합된 리프팅 부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end of the basic yarn is temporari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tube.
상기 튜브의 후단은 상기 튜브의 전단에 비해 직경이 크고, 상기 기본사 및 그물사를 커버하는 리프팅 부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ar end of the tube is larger in diameter than the front end of the tube and covers the basic yarn and the net yarn.
상기 튜브의 전단의 내부에는 상기 기본사의 단부가 위치한 리프팅 부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end of the basic yarn is located inside the front end of the tube.
상기 튜브는 상기 기본사를 따라 대칭된 쌍으로 형성된 리프팅 부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ube is formed in a symmetrical pair along the basic yarn.
상기 기본사의 전단 및 후단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니들을 포함하는 리프팅 부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needle formed on at least one of a front end and a rear end of the basic yarn.
상기 니들 중 하나는 후크 형상을 갖는 봉합 니들인 리프팅 부재.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one of the needles is a suture needle having a hook shape.
상기 기본사는 상기 그물사의 전단에서 매듭을 형성하여 상기 그물사를 고정시키는 리프팅 부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yarn forms a knot at a front end of the net yarn to fix the net yarn.
상기 그물사는 상기 기본사의 일 영역에서 매듭을 형성하여, 상기 매듭을 통해 고정되는 리프팅 부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etting is formed by forming a knot in one region of the basic yarn and being fixed through the knot.
상기 기본사는 상기 그물사의 적어도 일 영역을 관통하여 상기 그물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리프팅 부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yarn passes through at least one region of the net yarn to fix the position of the net yar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1998A KR101635581B1 (en) | 2015-01-07 | 2015-01-07 | Mesh Type Lift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1998A KR101635581B1 (en) | 2015-01-07 | 2015-01-07 | Mesh Type Lifting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35581B1 true KR101635581B1 (en) | 2016-07-04 |
Family
ID=56501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01998A KR101635581B1 (en) | 2015-01-07 | 2015-01-07 | Mesh Type Lift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35581B1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38666B1 (en) | 2016-07-19 | 2017-05-23 | 김종우 | Inverted U-shaped Devices for Suspension and Fixation of Sagging Tissues and Devices for Suspension and Fixation of Sagging Tissues |
KR101842684B1 (en) | 2016-06-30 | 2018-03-28 |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 Lifting Device |
KR20180123964A (en) * | 2017-05-10 | 2018-11-20 | 유원석 | Suture thread insertion kit with the locking chuck |
CN108836565A (en) * | 2018-07-11 | 2018-11-20 | 金海波 | A kind of lifting esthetic line being implanted into the surface of a wound |
KR101974330B1 (en) * | 2019-03-22 | 2019-09-02 | 정홍우 | Embedding thread |
KR102111490B1 (en) * | 2019-09-26 | 2020-05-18 | 주식회사 파인비엠 | Elastic Biodegradable multi-woven-knit fabrics and Kit comprising the same |
US11071540B2 (en) | 2016-06-30 | 2021-07-27 | Dongbang Medical Co., Ltd. | Lifting member |
KR20210154885A (en) * | 2018-04-28 | 2021-12-21 | 아이어노베이션 머티리얼스 테크놀러지 씨오., 엘티디. | Hot stamped component, precoated steel sheet used for hot stamping and hot stamping proces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62061A (en) * | 2006-09-06 | 2008-03-21 | Tyco Healthcare Group Lp | Bioactive substances in barbed suture |
KR101155817B1 (en) * | 2011-10-31 | 2012-06-12 | 김종우 | Implant for tissue lifting |
KR101182337B1 (en) * | 2012-02-14 | 2012-09-20 | (주)프레스티지 메디케어 | Mesh structure for medical |
KR101326763B1 (en) * | 2012-09-24 | 2013-11-08 | 김영재 | An apparatus for inserting a medical thread and a surgical procedure kit for inserting a medical thread comprising the same |
-
2015
- 2015-01-07 KR KR1020150001998A patent/KR10163558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62061A (en) * | 2006-09-06 | 2008-03-21 | Tyco Healthcare Group Lp | Bioactive substances in barbed suture |
KR101155817B1 (en) * | 2011-10-31 | 2012-06-12 | 김종우 | Implant for tissue lifting |
KR101182337B1 (en) * | 2012-02-14 | 2012-09-20 | (주)프레스티지 메디케어 | Mesh structure for medical |
KR101326763B1 (en) * | 2012-09-24 | 2013-11-08 | 김영재 | An apparatus for inserting a medical thread and a surgical procedure kit for inserting a medical thread comprising the same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42684B1 (en) | 2016-06-30 | 2018-03-28 |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 Lifting Device |
US11071540B2 (en) | 2016-06-30 | 2021-07-27 | Dongbang Medical Co., Ltd. | Lifting member |
KR101738666B1 (en) | 2016-07-19 | 2017-05-23 | 김종우 | Inverted U-shaped Devices for Suspension and Fixation of Sagging Tissues and Devices for Suspension and Fixation of Sagging Tissues |
KR20180123964A (en) * | 2017-05-10 | 2018-11-20 | 유원석 | Suture thread insertion kit with the locking chuck |
KR20200018538A (en) * | 2017-05-10 | 2020-02-19 | 유원석 | Suture thread insertion kit with the locking chuck |
KR102092184B1 (en) * | 2017-05-10 | 2020-03-23 | 유원석 | Suture thread insertion kit with the locking chuck |
KR102092182B1 (en) * | 2017-05-10 | 2020-03-23 | 유원석 | Suture thread insertion kit with the locking chuck |
KR20210154885A (en) * | 2018-04-28 | 2021-12-21 | 아이어노베이션 머티리얼스 테크놀러지 씨오., 엘티디. | Hot stamped component, precoated steel sheet used for hot stamping and hot stamping process |
KR102416280B1 (en) | 2018-04-28 | 2022-07-01 | 아이어노베이션 머티리얼스 테크놀러지 씨오., 엘티디. | Hot stamped component, precoated steel sheet used for hot stamping and hot stamping process |
CN108836565A (en) * | 2018-07-11 | 2018-11-20 | 金海波 | A kind of lifting esthetic line being implanted into the surface of a wound |
KR101974330B1 (en) * | 2019-03-22 | 2019-09-02 | 정홍우 | Embedding thread |
KR102111490B1 (en) * | 2019-09-26 | 2020-05-18 | 주식회사 파인비엠 | Elastic Biodegradable multi-woven-knit fabrics and Kit compris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35581B1 (en) | Mesh Type Lifting Device | |
KR101635580B1 (en) | Mesh Type Lifting Device | |
US11103230B2 (en) | Suture thread | |
KR101038073B1 (en) | How to mount a medical tubular needle unit and multiple medical sutures into a tubular needle | |
JP2019195720A (en) | Occlusive device delivery system with mechanical detachment | |
KR101684631B1 (en) | Lifting Device Using Stitching Fiber And Natural Polymer | |
JP6761057B2 (en) | Suture for lifting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KR101631763B1 (en) | Thread insert tool | |
KR101631107B1 (en) | Tool for inserting fiber for living body | |
KR101434976B1 (en) | Tool for inserting fiber for living body | |
JP2018535070A (en) | Implant device with preset pulley system | |
US20160302905A1 (en) | Apparatus for inserting medical tube and surgical procedure kit for inserting medical tube, having same | |
KR20140007193A (en) | Implement for aptos | |
KR101329267B1 (en) | method for inserting medical sutures to tube type medical needle unit | |
KR20150126182A (en) | Needle for inserting threa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510718B1 (en) | Surgical operation apparatus for lifting | |
KR20180114648A (en) | Suture thread insertion cannula for skin lifting proced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 |
KR101326366B1 (en) | A stitching fiber for plastic surgery | |
KR101379546B1 (en) | Embedding therapy needle | |
KR101905162B1 (en) | Lifting Device | |
KR20200000114A (en) | Medical thread device | |
JP6731081B2 (en) | Lifting member | |
KR101344643B1 (en) | Embedding therapy tool | |
TW201306790A (en) | Suture thread | |
KR20140120720A (en) | Embedding therapy too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6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6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