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5146B1 -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기반 전력 결합 변압기 - Google Patents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기반 전력 결합 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5146B1
KR101635146B1 KR1020150081940A KR20150081940A KR101635146B1 KR 101635146 B1 KR101635146 B1 KR 101635146B1 KR 1020150081940 A KR1020150081940 A KR 1020150081940A KR 20150081940 A KR20150081940 A KR 20150081940A KR 101635146 B1 KR101635146 B1 KR 101635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transformer
autotransformer
metal lin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1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옥구
류현식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81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1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0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 H01F30/06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 전력 모드에서는 일반적인 변압기나 단권변압기 하나만 동작하며, 고 전력 모드에서는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모두 동시에 입력으로 동작하도록 한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기반 전력 결합 변압기에 관한 것으로, 제 1 입력 임피던스(Zin1)에 의해 출력 특성이 결정되어 저전력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권 변압기;제 2 입력 임피던스(Zin2)에 의해 출력 특성이 결정되어 고전력 모드에서 단권 변압기와 동시에 입력으로 동작하는 2권선 변압기;상기 2권선 변압기를 구성하는 1차측 권선 및 2차측 제 1 권선; 및 상기 단권 변압기를 구성하는 2차측 제 2 권선;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기반 전력 결합 변압기{Power combining transformer based on autotransformer and two winding transformer}
본 발명은 전력 결합 변압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저 전력 모드에서는 일반적인 변압기나 단권변압기 하나만 동작하며, 고 전력 모드에서는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모두 동시에 입력으로 동작하도록 한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기반 전력 결합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성능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송수신기 전체 시스템의 성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전력증폭기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다.
전력 증폭기의 효율이 증가하게 되면 휴대용 단말기 측면에서는 배터리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전력증폭기는 확률적으로 출력전력이 고 출력인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 저력인 경우 대부분 사용된다.
따라서, 출력전력이 저 전력일 때 전력증폭기 효율을 개선시키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전력증폭기의 출력전력이 저 전력일 경우 출력 매칭을 통해 제공된 임피던스 값이 고 전력의 경우보다 큰 값 일 때 전력증폭기의 효율이 최적화 된다.
따라서, 전력증폭기의 출력이 저 전력일 경우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 중 전력증폭기의 출력전력에 따라 출력 매칭 구조를 변경할 수 있는 멀티모드 전력증폭기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단말기용 전력증폭기는 출력전력이 수 와트(watt)까지 되어야한다.
따라서, 출력전력을 와트 레벨까지 내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와트 레벨의 출력전력을 가지기 위해 2권선 변압기에 바탕을 둔 전력 결합 변압기가 제시되고 있다.
종래 기술의 전력 결합 변압기 중에서 병렬 결합방식 변압기와 직렬 결합방식 변압기가 있다.
도 1a와 도 1b는 출력매칭 구조를 변경할 수 있는 멀티모드 변압기의 방법 중 병렬 결합방식과 직렬 결합방식 형태의 변압기이다.
병렬 결합방식 변압기는 1차 권선들이 따로 분리되어 2차 권선과 병렬로 연결된 변압기이다. 이 변압기는 출력전력이 작은 저 전력 모드 동작 시 1차 권선들 중 일부를 턴 오프 시키면 변압기를 통해 제공되는 임피던스 값이 작아져 전력증폭기의 효율 특성이 최적화되기 힘들다.
그리고 직렬 결합방식 변압기는 1차 권선들이 따로 분리되어 2차 권선과 직렬로 연결된 변압기이다.
그러나 이 변압기는 저 전력일 때 사용하기 위해서 1차 권선들 중 일부의 권선을 턴 오프 시키면 턴 오프 된 1차 권선은 2차 권선과 자기적으로 결합되지 않아 전체 2차 권선과 1차 권선과의 결합계수가 작아지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번호 10-1266955호 한국공개특허번호 10-2011-0058053호 한국등록특허번호 10-0872514호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전력 결합 변압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저 전력 모드에서는 일반적인 변압기나 단권변압기 하나만 동작하며, 고 전력 모드에서는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모두 동시에 입력으로 동작하도록 한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기반 전력 결합 변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력증폭기의 출력이 저 전력일 때와 고 전력일 때 모두 효율이 최적화될 수 있고, 모드변환 가능한 변압기를 사용하여 효율이 개선된 온칩(on-chip) 전력증폭기 집적화를 가능하게 하도록 한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기반 전력 결합 변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기반 전력 결합 변압기는 제 1 입력 임피던스(Zin1)에 의해 출력 특성이 결정되어 저전력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권 변압기;제 2 입력 임피던스(Zin2)에 의해 출력 특성이 결정되어 고전력 모드에서 단권 변압기와 동시에 입력으로 동작하는 2권선 변압기;상기 2권선 변압기를 구성하는 1차측 권선 및 2차측 제 1 권선; 및 상기 단권 변압기를 구성하는 2차측 제 2 권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저전력 모드에서 단권 변압기를 구성하는 2차측 제 1 권선 및 2차측 제 2 권선만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2차측 제 1 권선 및 2차측 제 2 권선은 부하(Rload)와 접자 단자 사이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고전력 모드에서는 단권 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가 동시에 입력으로 동작하여, 1차측 권선 및 2차측 제 1 권선, 2차측 제 2 권선이 모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2권선 변압기만 입력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1차측 권선 및 2차측 제 1 권선, 2차측 제 2 권선 모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기반 전력 결합 변압기는 제 1 입력 임피던스(Zin1)에 의해 출력 특성이 결정되어 저전력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권 변압기;제 2 입력 임피던스(Zin2)에 의해 출력 특성이 결정되어 고전력 모드에서 단권 변압기와 동시에 입력으로 동작하는 2권선 변압기;상기 2권선 변압기를 구성하는 1차측 권선이 되는 제 1 메탈 라인; 및 제 1 메탈 라인과 동일 형상을 갖고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바깥쪽에 배치되고 일측이 부하(Rload)측에 연결되어 2차측 제 1 권선이 되는 제 2 메탈 라인;일측이 접지 단자에 연결되고 제 1 메탈 라인의 바깥쪽에 일부 배치되고 타측의 일부 라인은 전원 공급 단자에 연결되어 제 1 메탈 라인의 안쪽에 배치되어 상기 단권 변압기를 구성하는 2차측 제 2 권선이 되는 제 3 메탈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2차측 제 1 권선이 되는 제 2 메탈 라인과 2차측 제 2 권선이 되는 제 3 메탈 라인은 서로 한쪽이 연결되어 부하(Rload)와 접자 단자 사이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 1,2,3 메탈 라인은 서로 다른 레이어(Layer)에 형성되고 연결이 필요한 부분은 비아 콘택 공정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기반 전력 결합 변압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저 전력 모드에서는 일반적인 변압기나 단권변압기 하나만 동작하며, 고 전력 모드에서는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모두 동시에 입력으로 동작하도록 하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둘째, 전력증폭기의 출력이 저 전력일 때와 고 전력일 때 모두 효율이 최적화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모드변환 가능한 변압기를 사용하여 효율이 개선된 온칩(on-chip) 전력증폭기의 집적화를 가능하게 한다.
도 1a와 도 1b는 일반적인 병렬 결합방식과 직렬 결합방식 형태의 변압기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기반 전력 결합 변압기의 회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기반 전력 결합 변압기의 레이아웃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기반 전력 결합 변압기의 EM 시뮬레이션을 통한 효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기반 전력 결합 변압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기반 전력 결합 변압기의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의 각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기반 전력 결합 변압기의 회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기반 전력 결합 변압기의 레이아웃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저 전력 모드에서는 일반적인 변압기나 단권변압기 하나만 동작하며, 고 전력 모드에서는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모두 동시에 입력으로 동작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기반 전력 결합 변압기는 도 2에서와 같이, 제 1 입력 임피던스(Zin1)에 의해 출력 특성이 결정되어 저전력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권 변압기(22)와, 제 2 입력 임피던스(Zin2)에 의해 출력 특성이 결정되어 고전력 모드에서 단권 변압기(22)와 동시에 입력으로 동작하는 2권선 변압기(2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2권선 변압기(21)를 구성하는 1차측 권선(23) 및 2차측 제 1 권선(24) 그리고 상기 단권 변압기(22)를 구성하는 2차측 제 2 권선(25)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기반 전력 결합 변압기는 저전력 모드에서 단권 변압기(22)를 구성하는 2차측 제 1 권선(24) 및 2차측 제 2 권선(25)만 사용된다.
그리고 2차측 제 1 권선(24) 및 2차측 제 2 권선(25)은 부하(Rload)와 접자 단자 사이에 구성된다.
그리고 고전력 모드에서는 단권 변압기(22)와 2권선 변압기(21)가 동시에 입력으로 동작하여, 1차측 권선(23) 및 2차측 제 1 권선(24), 2차측 제 2 권선(25)이 모두 사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2권선 변압기(21)만 입력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1차측 권선(23) 및 2차측 제 1 권선(24), 2차측 제 2 권선(25) 모두 사용되는 것이다.
도 2에서 전력증폭기(power amplifier)는 신호의 왜곡없이 전력을 증폭해서 전달하는 부분이고, Zin은 입력 임피던스로 입력 임피던스 값에 따라 전력증폭기(power amplifier)의 동작 특성이 결정된다.
부하(Rload)는 출력쪽의 부하저항이고, VDD는 DC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이고, 도 3에서 메인 증폭기(Main amplifier) 및 보조 증폭기(Auxiliary amplifier)는 임의로 구분한 것으로 동작에 따라 서로 바뀔 수 있다.
이와 같이 2권선 변압기만 사용하는 전력 결합 변압기와 달리 본 발명은 2권선 변압기와 단권변압기를 결합시키는 구조이다. 2권선 변압기와 단권변압기를 결합시켜 전력 결합(power combining) 변압기를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전력 결합 변압기의 구성 시 복수의 전력 증폭기가 연결이 가능하며 출력 전력에 따라 일부의 증폭기를 끄고 킬 수 있어 출력 전력이 저 전력 일 때 효율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기반 전력 결합 변압기는 출력전력이 저 전력인 경우 일반적인 2권선 변압기 또는 단권변압기 하나만 동작하며, 고 전력모드에서는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모두 동시에 동작하여 저 전력 일 때와 고 전력일 때 모두 효율이 최적화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기반 전력 결합 변압기의 레이아웃 구성도이다.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기반 전력 결합 변압기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준 공정에 사용하여 차동 입력을 갖는 lateral 형태의 레이아웃 설계를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기반 전력 결합 변압기는 제 1 입력 임피던스(Zin1)에 의해 출력 특성이 결정되어 저전력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권 변압기(22)와, 제 2 입력 임피던스(Zin2)에 의해 출력 특성이 결정되어 고전력 모드에서 단권 변압기(22)와 동시에 입력으로 동작하는 2권선 변압기(21)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2권선 변압기(21)를 구성하는 1차측 권선(23)이 되는 제 1 메탈 라인및 제 1 메탈 라인과 동일 형상을 갖고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바깥쪽에 배치되고 일측이 부하(Rload)측에 연결되어 2차측 제 1 권선(24)이 되는 제 2 메탈 라인과, 일측이 접지 단자에 연결되고 제 1 메탈 라인의 바깥쪽에 일부 배치되고 타측의 일부 라인은 전원 공급 단자에 연결되어 제 1 메탈 라인의 안쪽에 배치되어 상기 단권 변압기(22)를 구성하는 2차측 제 2 권선(25)이 되는 제 3 메탈 라인을 포함한다.
여기서, 2차측 제 1 권선(24)이 되는 제 2 메탈 라인과 2차측 제 2 권선(25)이 되는 제 3 메탈 라인은 서로 한쪽이 연결되어 부하(Rload)와 접자 단자 사이에 구성된다.
그리고 제 1,2,3 메탈 라인은 서로 다른 레이어(Layer)에 형성되고 연결이 필요한 부분은 비아 콘택 공정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기반 전력 결합 변압기의 EM 시뮬레이션을 통한 효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의 EM 시뮬레이션은 Agilent Momentum을 이용하여 제안된 변압기의 자체효율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기반 전력 결합 변압기는 전력증폭기 동작주파수인 2.4 GHz 대역에서 Low power1 는 77.39%, Low power2 는 83.94% 와 High power 사용할 때는 85.34% 각각의 최적화된 자체효율을 특성을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기반 전력 결합 변압기는 전력 결합(power combining) 전력 증폭기 또는 멀티모드 전력증폭기로 동작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전력증폭기의 출력전력이 저 전력인 경우 일반적인 변압기 나 단권변압기 하나만 동작하며, 고 전력모드에서는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모두 동시에 동작하여 저 전력일 때와 고 전력일 때 모두 효율이 최적화될 수 있다.
또한, 전력 증폭기뿐 아니라 다른 장치에서도 이 원리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와 같은 모드변환 가능한 변압기를 사용하여 효율이 개선된 on-chip 전력증폭기 집적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이 구현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명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1. 2권선 변압기 22. 단권 변압기
23. 1차측 권선 24. 2차측 제 1 권선
25. 2차측 제 2 권선 26. 부하

Claims (8)

  1. 제 1 입력 임피던스(Zin1)에 의해 출력 특성이 결정되어 저전력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권 변압기;
    제 2 입력 임피던스(Zin2)에 의해 출력 특성이 결정되어 고전력 모드에서 단권 변압기와 동시에 입력으로 동작하는 2권선 변압기;
    상기 2권선 변압기를 구성하는 1차측 권선 및 2차측 제 1 권선; 및
    상기 단권 변압기를 구성하는 2차측 제 2 권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기반 전력 결합 변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저전력 모드에서 단권 변압기를 구성하는 2차측 제 1 권선 및 2차측 제 2 권선만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기반 전력 결합 변압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2차측 제 1 권선 및 2차측 제 2 권선은 부하(Rload)와 접자 단자 사이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기반 전력 결합 변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고전력 모드에서는 단권 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가 동시에 입력으로 동작하여, 1차측 권선 및 2차측 제 1 권선, 2차측 제 2 권선이 모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기반 전력 결합 변압기.
  5. 제 1 항에 있어서, 2권선 변압기만 입력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1차측 권선 및 2차측 제 1 권선, 2차측 제 2 권선 모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기반 전력 결합 변압기.
  6. 제 1 입력 임피던스(Zin1)에 의해 출력 특성이 결정되어 저전력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권 변압기;
    제 2 입력 임피던스(Zin2)에 의해 출력 특성이 결정되어 고전력 모드에서 단권 변압기와 동시에 입력으로 동작하는 2권선 변압기;
    상기 2권선 변압기를 구성하는 1차측 권선이 되는 제 1 메탈 라인; 및 제 1 메탈 라인과 동일 형상을 갖고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바깥쪽에 배치되고 일측이 부하(Rload)측에 연결되어 2차측 제 1 권선이 되는 제 2 메탈 라인;
    일측이 접지 단자에 연결되고 제 1 메탈 라인의 바깥쪽에 일부 배치되고 타측의 일부 라인은 전원 공급 단자에 연결되어 제 1 메탈 라인의 안쪽에 배치되어 상기 단권 변압기를 구성하는 2차측 제 2 권선이 되는 제 3 메탈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기반 전력 결합 변압기.
  7. 제 6 항에 있어서, 2차측 제 1 권선이 되는 제 2 메탈 라인과 2차측 제 2 권선이 되는 제 3 메탈 라인은 서로 한쪽이 연결되어 부하(Rload)와 접자 단자 사이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기반 전력 결합 변압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제 1,2,3 메탈 라인은 서로 다른 레이어(Layer)에 형성되고 연결이 필요한 부분은 비아 콘택 공정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기반 전력 결합 변압기.
KR1020150081940A 2015-06-10 2015-06-10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기반 전력 결합 변압기 KR101635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940A KR101635146B1 (ko) 2015-06-10 2015-06-10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기반 전력 결합 변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940A KR101635146B1 (ko) 2015-06-10 2015-06-10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기반 전력 결합 변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5146B1 true KR101635146B1 (ko) 2016-07-01

Family

ID=56500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1940A KR101635146B1 (ko) 2015-06-10 2015-06-10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기반 전력 결합 변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1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87765B2 (en) 2019-06-11 2024-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witching transformers and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5533A (ko) * 2006-09-18 2008-03-21 한국과학기술원 복수개의 1차측을 갖는 변압기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증폭기
KR20110058053A (ko) 2009-11-25 2011-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고주파 변압기 및 그를 이용한 전력 증폭기
KR101266955B1 (ko) 2012-01-31 2013-05-30 한국과학기술원 가변 변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5533A (ko) * 2006-09-18 2008-03-21 한국과학기술원 복수개의 1차측을 갖는 변압기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증폭기
KR100872514B1 (ko) 2006-09-18 2008-12-08 한국과학기술원 복수개의 1차측을 갖는 변압기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증폭기
KR20110058053A (ko) 2009-11-25 2011-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고주파 변압기 및 그를 이용한 전력 증폭기
KR101266955B1 (ko) 2012-01-31 2013-05-30 한국과학기술원 가변 변압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모드변환이 가능한 단권변압기를 이용한 CMOS 전력증폭기(2014년 4월 전자공학회 논문지 제51권 제4호, 페이지 735-741, 류현식 외3인, 2014.4월 발행)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87765B2 (en) 2019-06-11 2024-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witching transformers and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11103A1 (en) Impedance transformation circuit for amplifier
US9755610B2 (en) Transformer of the balanced-unbalanced type
CN105027431B (zh) 分布式功率放大器电路
JP5852229B2 (ja) 電力増幅器のための切り替え可能なインピーダンス変成器マッチングを提供するシステム
JP4269081B2 (ja) 伝送線変圧器
WO2012098863A1 (ja) 高周波電力増幅器
CN105610463A (zh) 收发器
Wei et al. A low-power low-noise amplifier for K-band applications
US10411657B2 (en) Two-stage electromagnetic induction transformer
KR101635146B1 (ko) 단권변압기와 2권선 변압기 기반 전력 결합 변압기
US20140210542A1 (en) Power splitter and combiner
Kaymaksüt et al. Analysis and design of series combining transformers for integrated Doherty power amplifiers
TWI532064B (zh) 變壓器、射頻放大器及藉由變壓器以提供阻抗匹配的方法
Singh et al. A digitally-tuned triple-band transformer power combiner for CMOS power amplifiers
TW201640819A (zh) 變壓器、射頻放大器及藉由變壓器以提供阻抗匹配的方法
CN107548511A (zh) 将输入射频信号变换为输出射频信号的射频变压器
Chen et al. A compact fully integrated high-efficiency 5GHz stacked class-E PA in 65nm CMOS based on transformer-based charging acceleration
Santana et al. A power controlled RF CMOS class-E PA with 43% maximum efficiency in 2.2 GHz
Ahn et al. Fully‐integrated WLAN CMOS PA with reconfigurable transformer
Lee et al. A switchless reconfigurable transformer CMOS power amplifier
Passamani et al. Analysis and design of a 1.1 dB-IL third-order matching network for switched-capacitor PAs
Jasim et al. Design of RF power amplifiers using parallel-series power combining transformers
Lim et al. Transformer-based class-E CMOS PA with shunt LC network
US10211791B2 (en) Hybrid RF transceiver circuit
Hu et al. A 4.5–7.5 GHz highly integrated transceiver front‐end for UWB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