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4704B1 - 성기의 발기 보조용 음경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성기의 발기 보조용 음경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4704B1
KR101634704B1 KR1020130039052A KR20130039052A KR101634704B1 KR 101634704 B1 KR101634704 B1 KR 101634704B1 KR 1020130039052 A KR1020130039052 A KR 1020130039052A KR 20130039052 A KR20130039052 A KR 20130039052A KR 101634704 B1 KR101634704 B1 KR 101634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is
rod
curved
patient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9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3795A (ko
Inventor
경하 조 윌리엄
Original Assignee
경하 조 윌리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하 조 윌리엄 filed Critical 경하 조 윌리엄
Publication of KR20140103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3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6Penis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03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an inflatable pocket filled with fluid, e.g. liquid or g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0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 A61F2250/0012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for adjusting elasticity, flexibility, spring rate or mechanical ten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250/0065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elescop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남성 환자의 신체에 주입되는 장치로 환자의 발기를 돕는 것으로, 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막대와 상호 연결 구조를 포함한다. 발기가 되었을 때에 막대는 페니스 축에 선택적으로 배치되고 환자가 발기를 원하지 않을 때 막대는 페니스 축에서 후퇴된다. 상호 연결 구조는 막대와 만나고 막대가 페니스 축에 있는 동안 막대를 고정한다.

Description

성기의 발기 보조용 음경 임플란트{PENILE IMPLANT FOR AIDING ACHIEVEMENT OF A PENILE ERECTION}
본 발명은 의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발기부전을 경험한 남성들의 성기 발기를 돕기 위한 음경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발기 부전은(ED)은 성행위 중에 남성 성기가 발기되지 않거나 지속되지 않는 성적 부전이다.
성적 발기는 페니스 내부의 스폰지-유사 물체에 들어오거나 보유되는 피의 수압 효과이다. 과정은 신호가 두뇌에서 페니스의 신경으로 전달될 때 성적 흥분의 결과로 개시된다. 발기 부전은 발기가 잘 되지 않을 때에 나타난다. 내분비선, 심리요인, 도관과 외상장애 혹은 의원성 요인이 발기 부전의 기초적 요인 예이다.
발기 부전은 일반적으로 약물치료, 외부 장치(예를 들어 페니스 펌프) 혹은 외과적 주입을 통해 치료되거나 취급된다. 외과적 주입은 반-견고성 장치이거나 팽창가능한 장치이다. 반 견고성 장치는 변경될 수 없는 영구적으로 직립 장치에서 적절한 경우에 구부리려는 가단성 장치로 분화된다. 공지된 임플란트 중 일부는 페니스의 발기 모형물 내에 외과적으로 주입되는 한 쌍의 가단성 막대이다. 이러한 타입의 주입과 관련하여 페니스는 항상 반 견고하거나 단순히 원하는 위치로 상승되거나 조정된다. 수압식, 팽창식 보철이 또한 존재한다. 이들은 유체를 이용하며 필요시 수축된다. 팽창가능하거나 비팽창인 임플란트가 페니스 생체 조각편의 깊숙이 주입된다.
일부 반 견고성 장치는 일반적으로 페니스를 일정한 반 견고 모드로 유지하며 심지어 발기가 요구되지 않거나 바람직한 때에도 있다. 따라서 반 견고 장치는 환자에게 불안을 가져온다. 일반적으로 팽창성 장치는 외부로부터의 유체물로 충진되어 발기를 야기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최신 임플란트(특히 팽창성 물질)는 남성 성기의 내부 조직이나 관다발을 압박하여 상당한 부분에서 페니스의 수축이나 변형을 가져온다. 팽창성 임플란트의 이용은 자연 발기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새로운 외과적 주입 장치가 기술 분야에서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페니스에 최소의 외과적 침투를 유발하면서 환자가 성교 과정중 질 침투를 유지하거나 선택적 자연발기 유발 보조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심부 전면근과 외면 남성 성기 전면근 간에 혹은 각 측의 외면 전면근 바로 위에 피하적으로 주입된 윤활된 슬리브를 통해 페니스 축 안과 밖으로 미끄러지는 적어도 두 개의 막대를 포함한다. 막대는 상호 연결되며 페니스 축 내에서 막대를 고정하는 상호 연결 구조와 만난다. 축에 배치되지 않은 때에 막대는 치골이나 회음부 영역으로 후퇴된다.
페니스 축으로 이동된 때에 막대는 인공 발기를 가능케 하며 질 침투를 수행하거나 유지하는데 필요한 팽창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환자는 질 자극을 경험하며 확실한 자연 발기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또한 사정 후 침투를 유지케 한다. 발기 유지가 더 이상 요구되지 않는 때에 막대는 페니스 축에서 후퇴되며 페니스가 그 원형 상태로 복귀되게 한다.
막대가 후퇴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 장치는 단지 필요한 때에 발기가 되도록 하며 장치가 사용될 때마다 외부 유체가 환자 신체로 유입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그 구조와 크기 때문에 본 발명 장치는 남성성기 조직의 최소 외상과 침투를 가져오며 자연 발기를 유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남성 환자의 페니스 발기를 돕는 임플란트와 관련되며 임플란트는 한 쌍의 실질적으로 직선이고 실질적으로 견고한 막대와 상호 연결 구조를 포함한다. 막대는 환자에 피하적으로 주입되는 임플란트이고 임플란트의 후퇴 모드에서 임플란트의 배치 모드로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하다. 배치 모드에서 막대는 페니스 축 내에 있지만 후퇴 모드에서 적어도 대다수의 각 막대는 페니스 축 밖에 있다. 상호 연결 구조는 환자에 피하적으로 주입되고 막대와 만나며 페니스 축 내에 막대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상호 연결 구조는 축 내에서 이동하거나 실질적으로 정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는 남성 환자의 페니스가 발기되도록 돕는다. 장치는 전술한 임플란트와 밀봉되고 중공인 연성의 덮개를 포함한다. 임플란트는 막대와 1 및 2 단부를 가진 실질적으로 견고한 곡선부를 포함하는 막대 유닛 형태이며, 곡선부는 상호 연결 장치를 형성하며 각 막대는 곡선부의 각 단부와 만나며 곡선부를 포함하는 평면과 실질적으로 비제로 각도에서 곡선부에서 연장된다. 막대는 곡선부에서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덮개는 막대 유닛을 포위하도록 구성되며 보디부와 보디부의 일측에서 실제로 연장되는 두 개의 얇은 신장된 다리부를 포함한다. 보디부는 막대 유닛이 보디부 내에서 후퇴되는 때에 막대의 적어도 대다수를 포위하도록 구성되며 다리부는 막대 유닛이 보디부 밖으로 배치된 때에 막대를 포위하도록 구성된다. 막대 유닛은 그 후퇴 모드에서 그 배치 모드로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하며 후퇴 모드에서 막대 유닛의 적어도 대부분은 덮개 보디부 내에 있으며 배치 모드에서 막대는 덮개 각 다리에서 포위된다.
선택적으로 보디부는 환자의 페니스를 상회하는 환자 치부에 피하적으로 주입되도록 구성되며 다리부는 페니스 피부 아래와 환자 페니스 축의 측을 따라 그리고 페니스의 심부 혹은 외면 전면근 위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막대 유닛은 그 후퇴 모드에서 그 배치 모드로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하며 후퇴 위치에서 막대는 페니스 축을 따라 연장되지 않으며 배치 모드에서 곡선부는 페니스 기부를 잡아서 막대가 덮개 각 다리에 포위되는 동안 막대를 고정시켜 페니스 축의 견고성을 제공한다.
변형물에서 막대와 곡선부를 포함하는 평면 간의 비제로 각도는 약 60도 내지 120도이다.
다른 변형물에서 곡선부는 다소 유연성이다.
또 다른 변형물에서 덮개는 윤활물을 포함하여 포위한다.
추가적 변형물에서 상기 장치는 덮개의 적어도 하나의 다리의 외면과 만나는 적어도 일 루프를 포함한다.
부가적 변형물에서 막대는 막대 유닛이 배치 모드인 때 페니스 현수 인대 근방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중공 장치는 중공 저장소와 도관과 발포된 포위망을 더 포함한다. 중공 저장소는 환자 신체에 주입되며 유체를 수신 유지한다. 도관은 중공 저장소와 유체 통신하는 1단부와 2단부를 가진다. 발포된 포위망은 적어도 하나의 다리의 외면과 만나며 적어도 하나의 다리의 길이를 따라 연장한다. 발포된 포위망은 도관 제2단부와 유체 통신하며 도관을 통해 저장소에서 발포된 포위망으로 전달된 유체를 환자 신체로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가진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저장소와 도관 간의 교착점에서 밸브를 가지며 밸브는 저장소에서 도관으로 유체 흐름을 가능케 하며 이때 저장소에 적어도 소정의 압력이 가해진다.
변형물에서 막대 유닛은 서로에 대해 제거가능하게 만나는 두 부분을 가지며 1부분은 곡선부 1부분과 막대 1단부를 포함하며 2부분은 곡선부 2부분과 막대 2단부를 포함하며 이로써 곡선부 1부분은 곡선부 2부분과 제거가능하게 만난다.
다른 변형물에서 막대 유닛은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곡선부와 만나는 복수의 막대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덮개는 복수의 다리를 포함하며 각 다리는 막대 각각을 포위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의 신체에 주입되며 남성 환자의 페니스 발기를 돕는 장치가 제공된다. 장치는 전술한 임플란트와 두 개의 밀봉된 연성 슬리브를 포함한다. 임플란트는 막대 쌍을 포함하며 상호 연결 구조는 곡선 기부 프레임과 두 개의 튜브를 포함한다. 곡선 기부 프레임은 실질적으로 견고하며 두 개의 튜브를 가진다. 각 튜브는 곡선 기부 프레임 각 단 근처에서 곡선 기부 프레임과 만나며 곡선 기부 프레임에서 실제로 연장하며 튜브는 곡선 기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평면과 비제로 각도이다. 각 튜브는 연성 슬리브 각각으로 횡단된다. 각 슬리브는 막대 각각을 포위한다. 각 막대는 곡선 기부 프레임 후측과 곡선 기부 프레임 전측 간의 각 슬리브 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하다.
선택적으로 곡선 기부 프레임은 환자 페니스 기초의 치골에서 주입되어 환자 페니스 기부의 일부를 둘러싸며 페니스 피부 아래와 페니스의 현수 인대 위나 내부나 아래에 주입된다. 각 튜브는 페니스 기부 근방의 피부 아래에 주입된다. 곡선 기부 프레임 후측 상의 각 슬리브의 1부분은 페니스 근부를 따라 주입되거나 환자 치골 영역 상의 피부 아래에 주입된다. 곡선 기부 프레임 전측 상의 각 슬리브 2부분은 환자 페니스 축을 따라 주입된다. 각 막대는 곡선 기부 프레임 후측과 곡선 기부 프레임 전측 간의 슬리브 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하여 막대는 각 슬리브 2부분에 위치되는 때에 페니스 축을 견고하게 한다.
변형물에서 곡선 기부 프레임은 다소 연성이다.
다른 변형물에서, 슬리브의 적어도 하나는 윤활물을 포함하여 포위한다.
또 다른 변형물에서 장치는 곡선 기부 프레임 전측 상의 적어도 슬리브의 외면과 만나는 적어도 일 루프를 포함한다.
추가적 변형물에서 장치는 중공 저장소, 도관과 발포된 포위망을 더 포함한다. 중공 저장소는 환자 신체에 주입되며 유체를 수신하여 유지한다. 도관은 중공 저장소와 유체 통신하는 1단부와 2단부를 가진다. 발포된 포위망은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의 외면과 만나며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된다. 발포된 포위망은 도관 제2단부와 유체 통신하며 도관을 통해 저장소에서 발포된 포위망으로 전달된 유체를 환자 신체로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가진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저장소와 도관 간의 교착점에서 밸브를 가지며 밸브는 저장소에서 도관으로 유체 흐름을 가능케 하며 이때 저장소에 적어도 소정의 압력이 가해진다.
변형물에서 장치는 곡선 기부 프레임에서 만나는 복수의 튜브, 복수의 슬리브로 각각이 각 튜브를 횡단하는 것이며 그리고 복수의 막대로 각각이 각 슬리브 내에 포위된 것을 포함한다.
변형물에서 장치는 곡선 기부 프레임과 만나는 복수의 튜브, 각각이 각기 튜브를 횡단하는 복수의 슬리브와 각각이 각 슬리브 내에서 포위되는 복수의 막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양태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하며 상세한 설명은 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징을 도시하는 첨부 도면과 함께 고려된다. 요약본은 첨부된 청구항으로 단독으로 정의되는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페니스에 최소의 외과적 침투를 유발하면서 환자가 성교 과정중 질 침투를 유지하거나 선택적 자연 발기를 유발할 수 있다.
도 1a 내지 1b는 그 배치 모드와 후퇴 모드에서의 본 발명의 장치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개략도이고 본 발명 장치는 덮개 내에서 이동가능한 막대 유닛을 가진다.
도 4, 도 5a 내지 5b는 환자 내에 주입되는 때에 도 2와 3의 장치 사용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2와 도 3의 장치가 주입된 때에 페니스 절단을 예시하는 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개략도이고 발포된 포위망은 덮개의 다리의 적어도 하나의 외면과 만난다.
도 8,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발명 실시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며 막대 유닛은 서로에 대해 제거 가능하도록 만나는 두 부분을 가진다.
도 10은 막대 유닛이 복수의 막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투시도이다.
도 11은 곡선 기부 프레임 단부 근방에서 적어도 두 개의 중공 튜브와 만나는 곡선 기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본 발명 장치를 예시하는 투시도이고 각 튜브는 슬리브 내에서 이동 가능한 막대를 포위하는 밀봉된 슬리브를 유지한다.
도 12는 도 11의 장치의 튜브, 슬리브와 막대로 형성된 조립체의 상세도이다.
도 13과 도 14는 도 11 장치의 사용을 도시하고 슬리브 일 측은 페니스의 근부에 주입되는 동안 슬리브의 다른 측은 페니스 축에 주입된다.
도 15와 도 16은 도 11 장치의 사용을 도시하고 슬리브 일 측은 치부에 주입되고 슬리브 다른 측은 페니스 축에 주입된다.
도 17은 본 발명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11의 장치는 페니스 축에 주입된 슬리브의 외면과 만나는 발포된 포위망 및/또는 페니스 축에 주입된 슬리브의 외면과 만나는 복수의 루프를 포함한다.
도 18은 본 발명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11의 장치는 적어도 세 개의 막대를 포함한다.
도면은 철저히 소모적이거나 본 발명의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한정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변형과 변화로 실시되고 본 발명이 청구범위와 그 등가물로만 제한됨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하기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며 도면은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되며 단순히 본 발명의 전형적 혹은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도면은 발명에 대한 독자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도록 제공되며 발명의 범위, 범주나 적용가능성을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지 않아야 한다. 명확하게는 하나 예시의 용이를 위해 도면이 척도에 맞게 작성되지 않았음을 주목해야 한다.
본원에서 포함된 도면 일부는 다른 견해에서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첨부된 설명문이 이러한 조망을 “상부”, “하부” 혹은 “측부” 조망으로 언급하지만 이러한 참조는 단순히 설명적이며 본 발명이 이와 달리 실시되지 않았다면 특정 공간적 배향으로 실행되거나 사용되었음을 의미하거나 요구하지 않는다.
시간적 일시적 진행에서 본 발명은 본원에서 예시적 환경의 관점에서 설명된다. 이러한 환경의 관점에서 설명은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실시예의 예시적 응용의 환경에서 구현되도록 제공된다. 본 설명을 읽은 후에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이 어떻게 다른 대안 환경에서 실시되는지가 분명해 진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다면 본원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 당업자 중 일인에게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서 참조된 모든 특허, 응용, 공표된 응용과 다른 공표는 전체적으로 참조로 포함된다. 본 파트에서 제시된 정의가 참조로 본원에 포함된 응용, 공표된 응용과 다른 공표에서 제시된 정의와 대조형이나 혹은 모순되는 경우 본 문서에서 제시된 정의가 참조로 본원에 포함된 정의를 우선하게 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a와 도 1b는 그 배치 모드(1a)와 후퇴 모드(1b)에서 본 발명 장치(10)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 장치(10)는 제1 막대(12), 제2 막대(14)와 상호 연결 구조(16)를 포함한다. 막대(12 및 14)와 상호 연결 구조(16)는 환자에 피하로 주입되도록 구성된다. 장치의 배치모드에서 막대(12와 14)는 피부(202a) 아래 페니스 축(202)에 위치되며 성교과정 동안 페니스에 견고성을 제공한다. 장치의 후퇴 모드에서 막대(12와 14)는 페니스 축에서 후퇴되고 페니스가 그 원형 상태로 돌아가게 한다. 축에 배치되지 않은 때에 막대(12 및 14)는 후퇴한다.
상호 연결 구조(16)는 막대(12 및 14)와 만나서 막대(12 및 14)를 페니스 축에 고정시킨다. 상호 연결 구조(16)는 막대(12 및 14)와 함께 이동하거나 막대(12 및 14)가 페니스 축으로 이동되거나 페니스 축에서 멀어지는 동안 실질적으로 정적이다.
도 2 내지 도 10은 상호 연결 구조가 막대가 함께 이동하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11 내지 도 18은 상호 연결 구조가 실제로 막대와 함께 이동하지 않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2와 3을 참조하면, 개략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하고 본 발명 장치(100)는 덮개(104) 내에서 이동 가능한 막대 유닛(102)을 포함한다. 장치(100)는 환자 신체에 외과적으로 주입되게 구성되며 환자에 의해 조작되어 환자가 발기를 달성하게 한다.
막대 유닛(102)은 곡선부(106)와 2개의 실질적인 직선 막대(108와 110)를 포함한다. 막대 유닛(102)은 도 1a와 1b의 장치(10)의 예이고 막대(108과 110)는 장치(10)의 막대(10과 12)에 대응하지만 곡선부(106)는 장치(10)의 상호 연결 구조(16)의 예이다.
곡선부(106)는 2개의 단부를 가지며 따라서 루프가 아니다. 막대(108과 110)는 곡선부(106) 각 단부와 만난다. 막대(108와 110)는 곡선부(106)에서 연장하며 곡선부(106)를 포함하는 평면과 비제로 각도(0도가 아닌 소정의 각도)를 가진다. 막대(108과 110)는 동일 방향으로 곡선부(106)에서 연장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각도(β)는 60도 내지 120도이다. 곡선부(106)는 개방 형상을 갖는데 페니스 기부 배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 페니스 기부 부분을 둘러싸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곡선부(106)는 원의 일부로 만들거나 예를 들어 반원형이 된다.
막대 유닛(102)은 단일 장치로 주조되거나 록킹 방식(나사, 접착제, 프레스압입 등)으로 서로 만나는 다른 구성일 수 있다. 곡선부 존재와 막대로의 연결은 서로에 대해 막대 이동을 제한한다. 따라서 곡선부(106)는 서로와 페니스에 대해 막대의 위치와 배향을 고정시킨다. 막대는 실질적으로 견고한데 이들은 페니스에 견고성을 부여하여 막대가 페니스 축 측부를 따라 위치되는 때 페니스 질 침입 유지를 가능케 하기 때문이다. 선택적으로 곡선부(106)는 견고하지만 유연하다. 이는 사용자(환자)로 하여금 곡선부(106)를 구부릴 수 있게 하여 곡선부(106)의 페니스 기부로의 유지력 강도를 조정하게 한다. 곡선부의 페니스 기부로의 유지력 강도는 증가되는데 곡선부를 내부방향으로 밀어넣어 곡선을 조이게 된다. 곡선부의 페니스 기부로의 유지력 강도는 감소되는데 곡선부 단부를 바깥으로 당겨서 곡선을 늘어뜨리게 된다. 나중 것은 발기 동안 확대되는 페니스를 수용하기 위함이다.
변형물에서 곡선부(106)와 막대(108과 110)는 실질적으로 견고하거나 일정한 인장 특성을 가진 구리로 이루어진다. 다른 변형물에서 곡선부(106)와 막대(108 및 110)는 중합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진다. 몰딩 압출로 생성된 견고하거나 반견고 연성 플라스틱 물질이 예를 들어 적합한데 이러한 종류의 플라스틱 물질이 내구적이고 생체적합성으로 제조되기 때문이다. 또 다른 변형물에서 곡선부(106)와 막대(108와 110)는 플라스틱 밀봉 구리로 이루어진다.
덮개(104)는 막대 유닛(102)을 포위하도록 구성된 중공의 닫힌(밀봉된) 요소이다. 덮개(104)는 보디부(112)와 보디부 일측에서 연장되는 2개의 얇은 신장된 다리(114와 116)를 포함한다. 덮개(104)는 환자 외음부 영역에 피하로 주입되게 되며 보디부(112)는 치부 영역에 있고 다리(114와 116)는 피부 아래 페니스 축의 각 측을 따라 연장하게 된다. 다리(114와 116)는 심부 전면근과 외피 전면근 사이에 혹은 외피 전면근 위에나 피부 아래에 주입된다. 덮개(104)는 유연성(탄성)이고 연성이지만 내구적이다. 보디부(112)는 환자의 페니스 위에 삽입된다. 보디부(112)는 충분히 커서 막대 유닛(102)이 치부로 후퇴되는 때에(도 2 참조) 적어도 막대 유닛의 대다수를 포함하게 된다. 다리(114와 116)는 막대 유닛에 연장하여 페니스 축의 측을 따라 주입된다. 다리(114와 116)는 막대 유닛(102)이 페니스 축에 배치되어 페니스에 견고성을 제공할 때(도 3 참조) 각기 막대(108과 11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덮개(104)는 막상의 실리콘으로 이루어진다. 막상 실리콘이나 덮개 형태가 다른 물질은 다리부보다 보디부에서 두꺼우며 덮개는 다소 견고하며(고무질이고) 다리는 막상으로 얇다.
선택적으로 덮개(104)는 윤활물(예를 들어 생체활성 윤활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진되어 덮개(104) 내에서 막대 유닛(102)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변형물에서 장치(100)는 덮개(104)의 적어도 하나의 다리의 외면과 만나는 복수의 루프(120)를 포함한다. 루프(120)는 덮개의 환자 조직으로의 봉합을 용이케 하는데 사용되며 예를 들어 전면근과 인대이다. 봉합은 덮개의 바람직하지 않은 위치를 방지하는데 필요하다.
비제한적 예에서 막대 유닛(102)은 하기와 같이 구성된다. 막대와 곡선부를 정의하는 와이어 직경은 약 1/8 내지 1/4 인치이다. 각 막대 길이는 약 4-5 인치이다. 곡선부의 폭(즉 두 막대 간 거리)은 약 1.5 내지 2 인치이다. 곡선부의 깊이(즉 곡선부의 폭에 수직인 축을 따른 최대 크기)는 약 2 인치이다. 막대 유닛 치수는 의사에 의해 정해지는 바와 같이 환자의 개인 필요에 따라 달라짐을 주목해야 한다. 게다가 의사는 원하는 치수의 막대 유닛(102)을 제조할 수 있는데 곡선부(106)와 막대부(108과 110)의 물품과 곡선부에 막대를 연결하는 툴이 공급되면 그러하다.
도 4와 도 5a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환자 내에 주입시 도 2와 도 3의 장치 사용을 예시하는 개략도가 있다. 도 4에서 막대 유닛(102)은 덮개(104)의 보디부 내에서 후퇴된다. 도 5a에서 페니스는 회전하여 막대 유닛을 덮개(104) 다리에 배치시켜 페니스에 약간의 견고성을 부여한다. 도 5b에서 막대가 배치되면 페니스는 이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덮개(104)의 보디부(112)는 치부(200)의 피부 아래 주입되고 다리(이중 다리(114) 만이 도시됨)는 페니스의 축(202)을 따라 연장하도록 주입된다. 장치(100)가 사용되지 않은 때에 막대 유닛(102)은 치부의 덮개 보디부 내에서 후퇴된다(도 3 참조). 보디부(112)에서 막대 유닛(102) 막대는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정상적인 환경 하에서 페니스는 수직이 아니며 덮개 다리는 막대 유닛 막대와 각도를 이룬다. 이는 막대 유닛이 덮개 다리 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환자가 발기를 얻기 원하는 때에 회전하거나 페니스 축(202)을 구부리며 페니스는 수직 배향을 하게 되어(도 5a 참조) 막대 유닛(102)을 배치케 한다. 페니스 회전에 이어 덮개(104) 다리는 수직으로 연장하고 막대 유닛(102) 막대와 정렬된다. 따라서 막대 유닛(102)은 아래로 미끄러져 처지며 막대 유닛(102) 막대는 덮개(104) 다리로 유지된다. 막대구성 곡선부는 페니스 기부상의 부분을 둘러싼다(배 부분 제외됨).
도 5b에서 페니스는 해제되어 그 자연 상태로 돌아가지만 막대 유닛(102)은 그 배치 모드에 있다. 막대 유닛(102)은 더 이상 수직이 아니며 따라서 덮개 보디부로 제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성교 종료 후 막대 유닛(102)은 덮개(104)의 보디부로 다시 안내된다. 이를 위해 페니스는 회전하거나 구부려져 수직 배향을 취하게 되며 막대 유닛의 막대는 막대 유닛이 덮개(104) 보디부 내로 돌아올 때까지 밀어 올려진다. 이후 페니스는 이완되어 그 자연 상태로 되돌아간다.
장치가 피부 아래의 연조직에 주입되기 때문에 환자는 외부로부터 막대 유닛을 용이하게 다룰 수 있게 된다. 예로서 환자가 막대를 밀어 올려 막대 유닛이 후퇴되게 하고 환자가 곡선부 양단부를 눌러 곡선부의 페니스에 대한 유지력을 강화하거나 환자가 곡선부의 단부들을 당겨 곡선부의 페니스에 대한 유지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1과 도 2의 장치가 페니스에 견고성을 제공할 때에 페니스의 절단을 예시하는 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장치(100)는 환자 피부 아래에 주입된다. 페니스 축에서 덮개(104) 다리는 환자 피부(202a) 아래와 전면근(202b) 위에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면근(202b)은 외피 전면근 혹은 심부 전면근이다. 따라서 막대 유닛이 배치되는 때에 막대 유닛(102) 곡선부는 페니스 기부의 현수 인대(202c) 영역으로 미끄러진다. 선택적으로 막대 유닛(202)의 막대는 페니스 기부의 현수 인대(202c)를 유지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한 개략도이며 발포된 포위망이 덮개 다리의 적어도 하나의 외면과 만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100)는 덮개(104) 다리의 적어도 하나의 외면과 만나고 다리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발포된 포위망(304)을 포함한다. 발포된 포위망(304)은 하나 이상의 개구(306)를 가진다. 발포된 포위망은 도관(302)을 통해 중공 저장소(300)와 유체 통신한다. 저장소(300)는 환자의 몸에서 멀리 떨어져 주입되는데,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 하복부 영역이다.
중공 저장소(300)는 환자 신체의 외부로부터(예를 들어 주사를 통해) 유체(예를 들어 시약 및/또는 약)를 주입하도록 구성되며 도관(308)을 통해 유체를 발포된 포위망으로 전달하기 위해 도관(308)과 연결된 출구(301)를 가진다. 이러한 식으로 유체는 환자의 필요에 따라 개구(306)를 통해 환자 신체로 방출된다. 바람직하게 저장소(300)는 출구(301)에서 체크 밸브를 포함한다. 밸브는 적어도 소정의 압력이 저장소(300) 위에 가해지는(예를 들어 사용자가 저장소(300) 위의 눌러짐으로) 때에 저장소(300)에서 도관(308)으로 유체 흐름을 허여하도록 구성된다. 저장소(300)는 탄성 고무 재료로 만들어지며 유체를 수신하도록 구멍이 나 있어 사실상 셀프실링되게 한다.
저장소(300) 내에 포함되거나/주사된 유체는 예를 들어 하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막대 이동에 대한 피부 저항을 감소하는 생체 윤활유, 통증을 감소시키는 마취제, 감염을 국부적으로 제어하는 항생제, 허혈성 조직 손상을 감소하는 펜톨아민, 발기를 돕거나 해부적 결함을 치료하는 국부작용 생물약제, 줄기세포와 의학적으로 적절한 경우 신경성장인자 등이다.
선택적으로 생체조직은 페니스 축을 따라 덮개 다리 주위에서 감겨진다. 생체 조직은 성기 조직과 다리의 (심지어 이 물질이 생체활성인 경우도) 비생물학적 합성 물질과의 직접 접촉을 차단하며 따라서 성기 조직의 외계체에 대한 반응가능성을 최소화한다. 다리 주위에 감겨진 생체조직은 다리 체적을 증가시켜 임플란트가 견고하고 안정되도록 돕는데, 이는 큰 다리가 이동에 대한 증가된 저항을 갖기 때문이다. 생체 조직은 사용자 외음부 영역으로부터의 복막 및/또는 조직을 포함한다.
도 8, 도 9a와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며 막대 유닛(102)은 서로에 대해 제거가능하게 만나는 두 부분을 포함한다. 도 8은 막대 유닛(102)의 투시도이다. 도 9a와 도 9b는 각기 개방 모드와 폐쇄 모드에서의 막대 유닛(102)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곡선부(106)는 제1 단부(320)를 가진 제1 부분(106a)과 제2 단부(322)를 가진 제2 부분(106b)으로 형성된다. 제1 부분(106a)과 제2 부분(106b) 간의 록킹 방식은 제1 단부(322)에 위치된 암부재로 형성된다.
막대 유닛(102)이 덮개 신체부에 저장되면 두 부분은 분리되고 제1 부분(106a)과 제2 부분(106b)은 하나가 다른 것 위로 미끄러진다(도 9b 참조). 이러한 방식으로 막대 유닛을 저장하는데 요구되는 공간이 감소한다. 막대 유닛이 덮개 다리에 배치되면 두 부분은 서로에 대해 다시 만난다.
도 10은 막대 유닛이 복수의 막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투시도이다.
지금까지 막대 장치에서 2개 막대와 덮개에서 2 다리를 가진 장치(100)가 설명되었다. 본 발명은 이 경우에 국한되지 않는다. 사실 막대 장치는 곡선부와 만나는 임의 개수의 실질적으로 평행 막대(2, 3, 4개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며 덮개는 대응하는 개수의 다리를 포함하며 각 다리는 각 막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로서 도 10은 4개의 다리(114, 115, 116, 117)를 가진 막대 유닛(102)을 예시한다.
도 11과 도 12는 곡선 기부 프레임(402)과 두 중공 튜브(406)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장치(400)를 예시하는 투시도이며 각 튜브는 기부 개구를 통한 각 슬리브 내에 이동하는 막대(410)를 포위하는 밀봉된 슬리브(408)를 유지한다. 장치(400)는 도 1a와 도 1b 장치(10)의 예이다. 막대(410)는 장치(10)의 막대(10과 12)와 대응하며 곡선 기부 프레임(402)과 튜브(406)로 형성된 조립체는 장치(10)의 상호 연결 구조(16)의 예이다.
도 11은 장치(400)의 예를 도시하고 곡선 기부 프레임(402)은 두 단을 갖는 곡선 와이어이고 각 단이 각 중공 튜브와 만난다. 도 12는 튜브, 슬리브와 막대 유닛을 예시하는 확대도이다.
장치(400)는 곡선 기부 프레임(402), 적어도 2개의 튜브(406), 적어도 2개의 밀봉된 슬리브(408)와 적어도 2개의 막대(410)를 포함한다. 곡선 기부 프레임(402)은 환자의 페니스 기부에 외과적으로 주입되며 피부 아래와 현수 인대 위 혹은 내부나 아래에 구성되며 다만 성기 전면근을 침입하지 않는다. 주입시에 곡선 기부 프레임(402)은 페니스 기부 근처의 치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페니스 일부를 둘러싸고 페니스 배부분은 자유로이 남겨 놓는다. 곡선 기부 프레임은 실질적으로 견고하며 다소 연성일 수 있어 환자가 강도를 제어하여 막대로 곡선 기부 프레임이 페니스를 유지케 한다. 곡선 기부 프레임은 반견고 및/또는 반연성 및/또는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진다.
곡선 기부 프레임은 두 단을 가진다. 두 중공 튜브(406)는 곡선 기부 프레임(402) 각 단 근방에서 곡선 기부 프레임과 만난다. 각 튜브(406)는 곡선 기부 프레임에서 연장되며 곡선 기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평면과 각도가 있다. 튜브는 곡선 기부 프레임 평면과 수직이다. 장치(400)가 페니스에 주입되면 각 튜브(406)는 페니스 근처 혹은 기부에 위치되며 페니스 축으로 연장된다. 튜브(406)는 제1 부분(408a)과 제2 부분(408b)을 가진 밀봉 슬리브(408)로 횡단된다. 제1 부분(408a)은 기부(402) 제1 (후) 측에 있으며 페니스 축에서 연장하여 페니스 근부를 따라 혹은 치부에 있다. 제2 부분(408b)은 기부(402) 제2 (전) 측에 있으며 페니스 축을 따라 연장하도록 주입된다. 슬리브는 유연성(탄성)과 연성이지만 내구적이다. 각 슬리브(408)는 각 견고 막대를 포위한다. 막대는 슬리브 내에서 이동가능하다.
선택적으로 슬리브와 막대는 곡선 기부 프레임과 튜브 이전 주입된다. 슬리브는 회음부(페니스 근)에서 혹은 저복부 치부에서 페니스 축으로 주입된다. 슬리브 사전주입의 경우 슬리브는 주입 완료 이전 각 튜브 내로 삽입된다. 이를 위해 각 튜브는 다소 탄성이고 슬릿 형상이다. 이 방식으로 각 슬리브는 슬릿을 통해 대응 튜브로 삽입되지만 삽입을 위한 튜브 개방을 위해 최소 외력을 요구한다. 튜브 탄성은 슬리브 삽입이 완료된 이후 튜브를 닫히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 튜브는 각 막대가 튜브 중심축을 따라 이동하게 하도록 선택된 치수를 갖는 견고한 부재이지만 각 막대가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따라서 곡선 기부 프레임(402)과 튜브(406)(상호 연결 구조)로 형성된 조립체는 막대가 페니스 축에 있을시 막대를 고정하며 막대 위치와 배향에서의 변화를 제한한다.
선택적으로 슬리브 제2 부분(408b)의 직경은 슬리브 제1 부분(408a)의 직경보다 크며 제2 부분(408b)으로 막대에 가해진 원심력은 제1 부분(408a)으로 막대에 가해진 원주력보다 낮다. 이러한 방식으로 막대는 슬리브 제1 부분(408a)에서 제2 부분(408b)으로 후퇴할 가능성이 적다.
슬리브(408)는 윤활물을 포함하여 슬리브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간의 막대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비제한적 예에 따르면 막대(410)의 길이는 약 4 내지 5 인치이고 튜브(406)의 길이는 약 0.5 내지 1 인치이다. 막대 직경은 약 인치의 1/4 내지 1/8이다. 곡선 기부 프레임 치수는 도 2 내지 10의 치수와 유사하다.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곡선 기부 프레임(402)과 튜브(406)로 형성된 장치(400) 부는 단일품으로 구성되거나 주입 몰드로 제조된다.
도 13과 도 14는 도 11 장치의 사용을 예시하며 각 슬리브 일 측은 페니스 근부에 주입되고 슬리브 다른 측은 페니스 축에 주입된다. 도 13에서 각 막대는 페니스 근부로 후퇴된다. 도 14에서 각 막대는 페니스 축에 배치되어 페니스 축의 견고성을 증가시킨다.
도 13과 도 14 예에서 기부(402)는 페니스 기부를 유지하며 피부(202a) 아래와 현수 인대(202c) 위 혹은 내부나 아래에 있으며 전면근(202b) 노출이 없다. 슬리브 제1 부분(408a)은 페니스 근(203)을 따라 연장되도록 주입된다. 슬리브 제2 부분(408b)은 페니스 축에 피부(202a) 아래와 전면근(202b) 위에 주입된다. 전술한 바로서 전면근(202b)은 외피 전면근 혹은 심부 전면근이다.
발기가 필요하지 않은 때에 각 막대는 슬리브 제1 부분(408a)으로 후퇴한다(도 13). 발기가 필요하지 않은 때에 막대는 슬리브의 제1 부분(408a)에서 제2 부분(408b)으로 미끄러지지 않는데 이는 제1 부분이 제2 부분과 비제로 각도(0도가 아닌 소정의 각도)에 있기 때문이다.
막대(410)를 페니스 축으로 배치하기 위해 페니스는 회전하며 제2 부분(408b)이 슬리브 제1 부분(408a)과 정렬된다(도 14). 사용자가 슬리브 제2 부분(408b)에 대해 막대(410)를 당긴다. 이때 페니스는 이완되어 슬리브 제1 부분(408a)과 제2 부분(408b)이 다시 제 각도로 돌아간다. 따라서 막대가 페니스 축에 배치되면 막대는 제1과 제2 부분간의 비제로 각도(0도가 아닌 소정의 각도)로 인해 제1 부분(408a)으로 자유로이 미끄러지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링(420)이 페니스 축 외장에 위치되어 막대에 압력이 가해지므로 막대가 성교도중 제1 부분(408a)으로 미끄러져 들어가지 않게 한다. 변형물에서 링(420)은 탄성 특성을 가지며 페니스 위에 놓이면 페니스를 제약한다.
도 15와 도 16은 도 11 장치의 사용을 예시하며 여기서 슬리브 일 측은 치부와 저복부 영역에 주입되고 슬리브 다른 측은 페니스 축에 주입된다. 도 15에서 각 막대는 치골 복부 영역으로 후퇴된다. 도 16에서 각 막대는 페니스 축에 배치되어 페니스 축의 견고성을 증가시킨다.
도 15와 도 16의 구성은 도 13과 도 14의 구성과 유사하다. 단지 차이점은 도 15와 도 16에서 슬리브 제1 부분(408a)이 치부와 하복부 영역에 주입되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것이다. 페니스 자연배향은 수직이 아니며 따라서 페니스가 자연 배향인 때에 막대(410)는 슬리브 제1과 제2 부분 간에 미끄러지지 않는다. 이는 자체로서 막대 후퇴 혹은 배치 유지를 돕는다.
막대를 페니스 축으로 배치하기 위해 페니스는 회전하여 수직 배향을 취한다. 이 방식으로 2 부분(408b)은 1 부분(408a)과 정렬되고 막대(410)는 튜브를 통해 2 부분(408b)으로 미끄러진다. 막대를 다시 치부로 후퇴하기 위해 페니스는 다시 회전하여 수직 배향을 취하고 막대는 상방으로 밀려난다.
막대를 조작하고 이동하는 환자 능력은 아래 사실로서 슬리브 제2 부분(408b)이 잘 윤활되어 피부 아래와 심부 혹은 외피 전면근 위에 주입되면서 발생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개략도로서 도 11 장치(400)는 페니스 축에 주입된 슬리브 부 외면과 만나는 발포된 포위망(304) 및/또는 페니스 축에 주입된 슬리브 부 외면과 만나는 복수의 루프(120)를 포함한다. 발포된 포위망(304)과 함께 그와 관련된 저장소(300)와 도관(308)은 도 6에서 설명되었고 루프(120)는 도 2에서 설명되었다. 루프(120)는 필요한 경우 장치(400)를 봉합선에 묶도록 구성된다.
변형물에서 발포된 포위망(304)은 곡선 기부 프레임 양측상 슬리브(408)와 만난다. 발포된 포위망(304)은 슬리브(408)와 융해적으로 연결되어 튜브(406)를 궤도한다. 선택적으로 도관(308)이 튜브(406) 근방(따라서 페니스 기부 근처)의 발포된 포위망(304)과 만난다. 따라서 유체를 저장소(300)에서 제1 부분(408a)과 만나는 발포된 포위망(304) 부로 (도 13과 도 14 예의 페니스 근으로), 제2 부분(408b)과 만나는 발포된 포위망(304) 부로(도 13과 도 14 예의 페니스 축으로), 혹은 발포된 포위망(304) 양 부분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는 제2 부분(408b)(페니스 축)을 상방, 하방 혹은 수평으로 기울여 인입 유체를 원하는 위치(들)로 안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제2 부분(408b)과 만나는 발포된 포위망(304) 부가 눌러져 유체 흐름을 제2 부분(408b)과 만나는 발포된 포위망(304) 부로 감소 혹은 제거하고 유체 대부분을 제1 부분(408a)과 만나는 발포된 포위망(304) 부로 안내하는데 사용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1 장치(400)는 적어도 3개 막대를 포함한다.
도 18에서 전술한 부가적 튜브-슬리브-막대 조립체는 와이어-유사 곡선 기부 프레임으로 정의되는 곡선을 따라 와이어-유사 곡선 기부 프레임과 만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전술되었지만 이것은 단지 예로서 제공되며 제한적인 것이 아니다. 마찬가지로 다양한 도면은 구조적 예나 본 발명에 포함되는 특성과 기능을 이해하는데 도움되는 발명에 대한 다른 구성을 보이고 있다. 발명은 예시된 구조적 예나 구성에 제한되지 않으며 원하는 특성은 다양한 대안 구조물과 구성을 이용해 실시된다. 사실상 본 발명의 원하는 특징을 실시하는데 대안 기능적, 논리 또는 물리적 분할과 구성이 실시되는지는 기술분야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일이다. 또한 본원에서 도시된 것과 다른 명칭의 다른 구성 모듈들이 다양한 분할에 적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흐름도, 동작 설명과 방법 청구항과 관계되어서 본원에서 제시된 순서는 문맥이 이와 달리 제시하지 않는 한 기재된 기능을 동일 순서로 실시하는 다양한 실시예가 실시됨을 명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이 다양한 예시적 실시예와 실시물 관점에서 전술되었지만 개별 실시예 하나 이상에 설명된 다양한 특징, 양상 및 기능은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대한 적용에 제한되지 않으며 대신에 단독 혹은 다양한 조합으로 발명의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됨을 이해해야 하며 이러한 실시예가 설명되는지와 이러한 특징이 설명된 실시예 일부로 제시되는지는 언급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와 범주는 전술한 예시적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어구와 문구와 그 변화물은 달리 표현되지 않는 한 제한과 반대적인 것으로 포함적 말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앞선 예와 같이 용어 “포함하는”은 “제한 없이 포함함” 등의 의미로 해독되어야 하며 용어 “예”는 총소모적이나 그 리스트를 제한함이 아니라 논의되는 항목의 예시적 사례를 제공하도록 사용되며 어구 “하나” 혹은 “한개”는 “적어도 하나”, “하나 이상”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종래의”, “통상적인”, “정상의”, “표준의”, “공지된”과 유사한 어구 등의 부사는 설명된 항목을 소정의 시간이나 소정의 일자에서 이용가능 항목으로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대신에 이용가능하거나 현재 공지되거나 미래 어느 시간에 있을 종래의, 통상적인, 정상적 혹은 표준 기술을 포함하는 것으로 판독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본 문서가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분명하거나 공지된 기술을 지칭하면 이러한 기술은 현재나 미래 어느 시간의 기술분야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공지된 기술을 포함한다.
접속사 “그리고”와 관련된 항목 그룹에서 이들 항목이 그룹에서 각별히 존재함을 요구함으로 해석되지 않으며 달리 진술되지 않는 한 “그리고/또는”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유사하게 접속사 “또는”과 관련된 항목 그룹은 그룹 중에서 상호배타성을 요구하는 것으로 해석되기보다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그리고/또는”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욱이 발명의 항목, 요소나 구성요소가 단수로 설명되고 청구되지만 단수에 대한 제한이 명시적 진술이 없는 한 복수형이 그 범주 내에서 예기된다.
“하나 이상의”, “적어도”, “이에 제한되지 않음” 혹은 일부 사례에서 다른 유사 어구의 존재는 이러한 확장적 어구가 부재하면 사례에서 보다 좁은 경우가 의도되거나 요구됨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독되지 않아야 한다. 항목 “모듈”의 사용은 모듈의 일부로서 설명되거나 청구된 구성이나 기능이 공통 패키지에 모두 구성됨을 의미하지 않는다. 사실상 모듈의 다양한 요소가 제어 로직이든 다른 요소이든 간에 단일 패키지로 조합되고 개별적으로 유지되거나 다양한 표적지로 분배된다.
명확화를 위해 개별 실시예 환경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정 특징이 또한 단일 실시예에서 조합으로 제공됨을 이해해야 한다. 대조적으로 간략화를 위해 단일 실시예 환경에서 설명된 발명의 다양한 특징이 개별적으로 임의의 적합한 부조합으로 혹은 발명의 달리 설명된 실시예에서 적합한 것으로 제공된다. 다양한 실시예 환경에서 설명된 일정 특징은 이들 요소 없이 실시예가 동작되지 않는 한 이 실시예의 필수적 특징으로 고려되지 않아야 한다.
부가적으로 본원에서 제시된 다양한 실시예가 예시적 블록도, 흐름도와 기타 예시 관점에서 설명되었다. 이 문서를 판독 후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 예시된 실시예와 그 다양한 대안이 예시된 예에 대한 제한 없이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도와 그 첨부설명은 특정 구조나 구성을 지령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10,100,400... 장치
12... 제1막대 14... 제2막대 16... 상호 연결 구조
102... 막대 유닛 104... 덮개 106... 곡선부
112... 보디부 114,115,116,117... 다리
120... 루프 300... 저장소 301... 출구
304... 포위망 306... 개구 308... 도관
402... 곡선 기부 프레임 406... 중공 튜브
408... 슬리브 410... 막대 420... 링

Claims (23)

  1. 남성 환자의 성기 발기를 돕는 임플란트로서,
    상기 임플란트는 한 쌍의 직선의 견고성이 있는 막대와 상호 연결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막대는 환자에게 피하적으로 주입되고 임플란트의 후퇴 모드에서 임플란트의 배치 모드로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하며, 배치 모드의 막대는 페니스 축 내에 있으며 후퇴 모드에서 각 막대는 페니스 축 밖에 있으며,
    상기 상호 연결 구조는 환자에 피하적으로 주입되고 막대와 만나며 페니스 축 내에 막대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임플란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연결 구조는 상기 막대와 함께 이동하는 임플란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연결 구조는 정적인 임플란트.
  4. 남성 환자의 성기 발기를 돕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청구항 2의 임플란트와 밀봉되고 중공인 연성 덮개를 포함하며,
    청구항 2의 임플란트는 막대와 제1 및 제2 단부를 가진 견고성이 있는 곡선부를 포함하는 막대 유닛 형태이고, 곡선부는 상호 연결 장치를 형성하고 막대의 각 단부는 곡선부의 각 단부와 만나고 곡선부를 포함하는 평면과 0도가 아닌 소정의 각도로 상기 곡선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막대는 곡선부에서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덮개는 막대 유닛을 포위하고 보디부와 상기 보디부 일측에서 연장하는 2개의 얇은 신장된 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보디부는 막대 유닛이 보디부 내에서 후퇴시 막대 유닛을 포위하며 다리는 막대 유닛이 보디부 밖으로 배치될 시 막대를 둘러싸며,
    상기 막대 유닛은 후퇴 모드에서 배치 모드로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하며 후퇴 모드에서 각 막대는 덮개의 보디부 내에 있으며 배치 모드에서 막대는 덮개의 각 다리에 포위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부는 환자 페니스 위의 환자 치부에 피하적으로 주입되고, 다리는 페니스 피부 아래와 페니스 심부 혹은 외피 전면근 위에서 환자 페니스 축의 측을 따라 주입되며,
    상기 막대 유닛은 후퇴 모드에서 배치 모드로 선택적으로 이동되며 막대 유닛은 페니스 축을 따라 연장하지 않으며 배치 모드에서 곡선부는 페니스 기부를 유지하고 막대를 고정시킨 반면 막대는 덮개 각 다리에 포위됨에 따라 페니스 축의 견고성을 제공하는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막대와 곡선부를 포함하는 0도가 아닌 소정의 각도는 60도 내지 120도 인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부는 유연성인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윤활물을 포함하여 포위하는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적어도 하나의 다리의 외면과 만나는 적어도 하나의 루프를 포함하는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부는 막대 유닛이 배치 모드인 때에 페니스의 현수 인대 근방에 위치되는 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환자 신체에 주입되며 유체를 수신하여 유지하는 중공 저장소와 상기 중공 저장소와 유체 통신하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갖는 도관과 적어도 하나의 다리 외면과 만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리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발포된 포위망을 더 포함하며,
    발포된 포위망은 도관 제2 단부와 유체 통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가져 저장소에서 발포된 포위망으로 전달된 유체를 도관을 통해 환자 신체로 방출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저장소와 도관 간의 교착점에서 밸브를 포함하고 밸브는 소정의 압력이 저장소에 가해지는 때에 저장소에서 도관으로의 유체 흐름을 가능케 하는 장치.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 유닛은 서로에 대해 제거 가능하게 만나는 두 부분을 포함하며, 제1 부분은 곡선부 제1 부분과 막대 제1 단부를 포함하고, 제2 부분은 곡선부 제2 부분과 막대 제2 단부를 포함하여, 곡선부 제1 부분은 곡선부 제2 부분과 제거 가능하게 만나는 장치.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 유닛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고 곡선부와 만나는 복수의 막대를 포함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복수의 다리를 포함하며, 각 다리는 막대 각 하나를 포위하는 장치.
  16. 환자 신체에 주입되고 남성 환자의 성기 발기를 돕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청구항 3의 임플란트와 2개의 밀봉된 연성 슬리브를 포함하며,
    청구항 3의 상기 임플란트는 막대 쌍과 상호 연결 구조를 포함하며 상호 연결 구조는 곡선 기부 프레임과 2개의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곡선 기부 프레임은 견고성이 있고 2개의 단부를 가지며,
    각 튜브는 곡선 기부 프레임 각 단부 근처에서 곡선 기부 프레임과 만나고 곡선 기부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고 튜브는 곡선 기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평면과 0도가 아닌 소정의 각도에 있으며,
    각 튜브는 연성 슬리브 각 하나로 횡단되고,
    각 슬리브는 막대 각 하나를 포위하고
    각 막대는 곡선 기부 프레임 후측과 곡선 기부 프레임 전측 간의 각 슬리브 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기부 프레임은 환자 페니스 기부 근방에서 치부에 주입되어 환자 페니스 기부 부분을 포위하고 성기 피부 아래와 페니스 현수 인대 위 또는 내에 주입되며,
    각 튜브는 페니스 기부 근방에서 피부 아래에 주입되고,
    곡선 기부 프레임 후측 상의 각 슬리브 제1부분은 페니스 근을 따라 혹은 환자 치부의 피부 아래로 주입되고,
    곡선 기부 프레임 전측상의 각 슬리브 제2 부분은 환자 페니스 축을 따라 주입되고,
    각 막대는 곡선 기부 프레임 후측과 곡선 기부 프레임 전측 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되어, 상기 막대가 각 슬리브의 전면부에 위치되어 페니스 축에 견고성을 제공하는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기부 프레임은 유연성인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슬리브는 윤활물을 포함하여 포위하는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기부 프레임 전측상에서 슬리브 외면과 만나는 적어도 하나의 튜브를 포함하는 장치.
  21. 제16항에 있어서,
    환자 신체에 주입되어 유체를 수신하여 유지하는 중공 저장소와 중공 저장소와 유체 통신하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가진 도관과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 외면과 만나고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의 길이의 일부를 따라 연장하는 발포된 포위망을 더 포함하며 발포된 포위망은 도관 제2 단부와 유체 통신하고 저장소로부터 전달된 유체를 도관을 통해 환자 신체로 방출하는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도관과 저장소 간의 교착점에서 밸브를 포함하며 밸브는 소정의 압력이 저장소에 가해지는 때에 저장소에서 도관으로의 유체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
  23. 제16항에서 있어서,
    각각이 곡선 기부 프레임과 만나는 복수의 튜브와
    각각이 각 튜브를 횡단하는 각 슬리브 및
    각각이 각 슬리브 내에 포위된 복수의 막대를 포함하는 장치.
KR1020130039052A 2013-02-18 2013-04-10 성기의 발기 보조용 음경 임플란트 KR1016347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769,815 2013-02-18
US13/769,815 US8529432B1 (en) 2013-02-18 2013-02-18 Penile implant for aiding achievement of a penile er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795A KR20140103795A (ko) 2014-08-27
KR101634704B1 true KR101634704B1 (ko) 2016-06-29

Family

ID=49084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9052A KR101634704B1 (ko) 2013-02-18 2013-04-10 성기의 발기 보조용 음경 임플란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29432B1 (ko)
KR (1) KR1016347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40770B1 (en) * 2013-07-23 2014-06-03 William K. Joh Penile implant for aiding achievement of a penile ere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766B1 (ko) 2003-10-02 2011-05-06 에이엠에스 리써치 코오포레이션 음경 보형물 및 펌프
JP2011526503A (ja) 2008-07-03 2011-10-13 イェス・ベック・ミューラー ペニスに牽引を適用するため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7608A (en) * 1987-07-22 1989-02-28 American Medical Systems Mechanical penile prosthesis
US5230694A (en) * 1992-01-09 1993-07-27 Rosenblum Jeffrey L Urological prosthesis
JPH07187940A (ja) * 1993-12-27 1995-07-25 Rifure:Kk 忌避剤入りワックス
KR101235864B1 (ko) * 2011-06-23 2013-02-20 배범철 발기 보조 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766B1 (ko) 2003-10-02 2011-05-06 에이엠에스 리써치 코오포레이션 음경 보형물 및 펌프
JP2011526503A (ja) 2008-07-03 2011-10-13 イェス・ベック・ミューラー ペニスに牽引を適用するため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795A (ko) 2014-08-27
US8529432B1 (en) 2013-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9230B2 (en) Penile prosthesis and method of implantation
US8231521B2 (en) Penile prosthesis insertion tool and system
EP2480169B1 (en) Penile prosthesis, penile prosthesis insertion tool and system thereof
CN111772884B (zh) 用于改善的阴茎功能的假体
US10182914B2 (en) Method of implanting a penile prosthetic with a tool having movable jaws
US10813762B2 (en) Inflatable penile prosthesis with reinforced cylinder
AU2021250888B2 (en) Inflatable penile prosthesis having a cylinder with a porous portion
KR101634704B1 (ko) 성기의 발기 보조용 음경 임플란트
US10874517B2 (en) Inflatable penile prosthesis with reinforced members
US20220226120A1 (en) Inflatable penile prosthesis with a structured cylinder
KR200468397Y1 (ko) 남성용 성기 확장기구
KR101062318B1 (ko) 의료시술용 보형물
CN107928842A (zh) 植入式记忆勃起支架
US8740770B1 (en) Penile implant for aiding achievement of a penile erection
CN111936085A (zh) 具有带细长构件的圆柱的可胀大阴茎假体
KR101574425B1 (ko) 음경 보조기구
ES2792984T3 (es) Dilatador acanalado para la implantación de una prótesis de pene
EP3001982B1 (en) A kit of parts for implanting a penile prostetic insert
CN118161310A (zh) 具有结构化缸体的可膨胀阴茎假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