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4590B1 - Apparatus for severe accident survivablity assessment of nuclear plant devices by fluid injection at high temperature and hight pressure and method for severe accident survivablity assessment of nuclear plant devices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evere accident survivablity assessment of nuclear plant devices by fluid injection at high temperature and hight pressure and method for severe accident survivablity assessment of nuclear plant devices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4590B1
KR101634590B1 KR1020150043465A KR20150043465A KR101634590B1 KR 101634590 B1 KR101634590 B1 KR 101634590B1 KR 1020150043465 A KR1020150043465 A KR 1020150043465A KR 20150043465 A KR20150043465 A KR 20150043465A KR 101634590 B1 KR101634590 B1 KR 101634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fluid
accident
nuclea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34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혁
김대환
류경하
이태현
김상교
김재형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43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59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5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01Mechanical simulator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17Inspection or maintenance of pipe-lines or tubes in nuclear install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2Devices or arrangements for monitoring coolant or moder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Provided are a severe accident survivability testing apparatus of a nuclear plant device by injecting a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fluid and a severe accident survivability testing method of the nuclear plant device using the same. The severe accident survivability testing apparatus comprises: a first chamber which can heat or pressurize a fluid contained therein to simulate a nuclear plant accident and includes a discharge portion for discharging the fluid; a second chamber which includes an inlet portion which can be connected to or disconnected from the discharge portion by a movement of the first chamber, wherein a test piece for measuring an effect by the fluid, which is introduced to the inlet portion, is arranged in the second chamber; and an accident simulating unit which is arranged outside the first chamber and can pressurize one side of the first chamber to simulate an accident of the nuclear plant device, such that the discharg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inlet portion. Since the accident simulating unit pressurizes one side of the first chamber to move the first chamber,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fluid can be introduced into the second chamber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refore, a severe accident can be simulated more accurately and precisely.

Description

고온 및 고압 유체 주입에 의한 원전기기 중대사고 생존성 평가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전기기 중대사고 생존성 평가시험 방법{APPARATUS FOR SEVERE ACCIDENT SURVIVABLITY ASSESSMENT OF NUCLEAR PLANT DEVICES BY FLUID INJECTION AT HIGH TEMPERATURE AND HIGHT PRESSURE AND METHOD FOR SEVERE ACCIDENT SURVIVABLITY ASSESSMENT OF NUCLEAR PLANT DEVICES USING THE SAME}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st apparatus for evaluating viability of a critical nuclear accident by injection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fluid, FOR SEVERE ACCIDENT SURVIVITY ASSESSMENT OF NUCLEAR PLANT DEVIC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원전기기 중대사고 생존성 평가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전기기 중대사고 생존성 평가시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고온 및 고압 유체를 짧은 시간 내에 시편에 주입하고 그 영향을 평가하는 원전기기 중대사고 생존성 평가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전기기 중대사고 생존성 평가시험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st apparatus for evaluating the survival rate of critical accidents of nuclear power plants, and a test method for evaluating the survival rate of nuclear power plants using nuclear power plant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uclear reactor accident criticality evaluation test apparatus for injecting a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fluid into a specimen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evaluating the influence thereof, and a test method for evaluating nuclear reactor accident seriousness.

일본의 원자력 발전소의 대형사고 이후,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환경에서 원전기기들의 생존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예를 들어, 원자력발전소에서 냉각재상실사고 또는 대형배관 파단사고가 일어날 때 고온 및 고압의 유체가 누수되고, 상기 누수되는 유체에 의해 원전기기들의 작동에 심각한 영향을 초래하여 상기 사고에 의한 추가적인 사고들이 발생할 수 있다.Since the accident at a nuclear power plant in Japan,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the survival of nuclear power plants in an accident environment that may occur in nuclear power plants. For example, when a coolant loss event or a large pipe breakage accident occurs in a nuclear power plant,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fluid leaks, and the leaked fluid seriously affects the operation of the nuclear equipment, Lt; / RTI >

따라서, 원자력발전소의 사고 환경을 모사하여 고온 및 고압의 유체가 누수될 때 원전기기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할 수 있는 실험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크다.Therefore, there is a great need for an experimental apparatus that can simulate the accident environment of a nuclear power plant and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fluid on the nuclear power plants.

특히, 600도 이상의 고온 및 5기압 이상의 고압으로 유체를 가열 및 가압하고, 가열 및 가압된 유체를 짧은 시간 내에 시험 시편에 주입하여 원자력발전소의 중대사고 상황을 모사할 수 있는 기술적 요구가 큰 실정이다.Particularly, there is a great technical demand for heating and pressurizing the fluid at a high temperature of 600 degrees or more and a high pressure of 5 atmospheres or higher, and injecting the heated and pressurized fluid into the test specimen in a short time to simulate a serious accident of a nuclear power plant .

미국공개특허 제2013/0235965호에는 주수관을 통해 모의 냉각수를 원자력발전소 격납용기 모형에 주입하는 모사 실험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공개특허의 내용은 주수관을 통하여 모의 냉각수를 주입하는 것으로 600도 이상의 고온 및 5기압 이상의 고압의 유체를 짧은 시간 내에 시편에 주입하기 어렵다.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3/0235965 discloses a simulation apparatus for injecting a simulated cooling water into a nuclear power plant containment vessel model through a main water pipe. However, the above-mentioned patent discloses that a simulated cooling water is injected through a main water pipe, It is difficult to inject a fluid having a high temperature and a high pressure of 5 atm or higher in a short time.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3-0077607에는 원자력발전소의 증기발생기의 배관 파단에 대한 모의 실험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고온 및 고압의 유체를 짧은 시간 내에 시편에 주입하는 기술과는 차이가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3-0077607 discloses a simulator device for piping rupture of a steam generator of a nuclear power plant, but differs from the technique of injecting a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fluid into a specimen in a short time.

본 발명의 일 과제는 고온 및 고압의 유체를 짧은 시간 내에 시험 시편에 주입할 수 있는 원전기기 중대사고 생존성 평가시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uclear reactor accident criticality evaluation test apparatus capable of injecting a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fluid into a test specimen in a short time.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상기 평가시험장치를 이용한 원전기기 중대사고 생존성 평가시험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st method for evaluating the survival probability of critical accidents of nuclear power plants using the above evaluation test apparatus.

상술한 본 발명의 일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원전기기 중대사고 생존성 평가시험장치는 원전사고의 모의실험을 위해 내부에 수용된 유체를 가열하거나 가압할 수 있고, 상기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갖는 제1 챔버, 상기 제1 챔버의 이동에 의해 상기 배출부와 연통되거나 연통되지 않을 수 있는 유입부를 갖고 상기 유입부로 유입되는 유체에 의한 영향을 측정하기 위한 시편이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챔버, 및 상기 제1 챔버의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원전사고의 발생을 모사하도록 상기 제1 챔버의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제1 챔버를 이동시켜 상기 배출부와 상기 유입부를 서로 연통시킬 수 있는 사고 발생 모사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mentione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or evaluating criticality of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occurrenc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eat or pressurize the fluid contained therein for simulating nuclear accident A first chamber having a discharge portion for discharging the fluid, a specimen for measuring the influence of the fluid flowing into the inlet portion, the specimen having an inlet portion that may or may not communicate with the outlet portion by movement of the first chamber, And a second chamber disposed outside the first chamber to pressurize one side of the first chamber to simulate the occurrence of the nuclear accident to move the first chamber so that the outlet and the inlet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an accident simulator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는 상기 제1 챔버가 상기 사고 발생 모사부에 의해 이동할 때 상기 유체가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챔버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챔버를 가이드하고 상기 제2 챔버의 적어도 일부를 기밀 수용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first chamber is configured to guide the second chamber alo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first chamber so that the fluid does not leak outward when the first chamber is moved by the accident- And a guide portion for hermetically accommodating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chamber.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제1 챔버의 제1 측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배출구들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부는 상기 제1 챔버의 상기 제1 측부와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2 챔버의 제2 측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유입구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부와 상기 제2 측부는 서로 접촉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outlet includes a plurality of outlets provided in a first side of the first chamber, the inlet having a first chamber and a second chamber, And a plurality of inlets provided in the second side, wherein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각각의 배출구 및 유입구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 및 상기 유입구는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엇갈려 구비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each outlet and inlet may be provided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the outlet and the inlet may be staggered along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사고 발생 모사부는 상기 제1 챔버의 상기 제1 측부를 상기 제1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시키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accident simulation unit presses the first side of the first chamber in the first direction to separate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in the first direction, May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사고 발생 모사부가 상기 제1 챔버의 상기 제1 측부를 가압하기 전에,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제2 챔버의 상기 제2 측부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차단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제1 챔버의 상기 제1 측부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s, the outlet is blocked by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side of the second chamber and the inlet is closed by the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side of the first chamber before the accident simulating portion presses the first side of the first chamber. And may be blocked by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ide of the first chamber.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는 원전 작동 조건을 모사하기 위하여 내부에 수용된 상기 유체를 가열할 수 있는 가열장치 및 상기 유체를 가압할 수 있는 가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first chamber may further include a heating device capable of heating the fluid contained therein to simulate nuclear operating conditions and a pressurizing device capable of pressurizing the fluid.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는 상기 유체를 600도 이상으로 가열하며, 상기 가압장치는 상기 유체를 5기압 이상으로 가압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heating device heats the fluid to at least 600 degrees Celsius, and the pressurizing device can pressurize the fluid above 5 atm.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챔버는 상기 원전사고의 발생 이후를 모사하기 위하여 상기 유체를 냉각할 수 있는 냉각장치 및 상기 제2 챔버 내에 형성될 수 있는 대류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진공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second chamber may include a cooling device capable of cooling the fluid to simulate after the occurrence of the nuclear accident, and a cooling device to minimize the effect of convection that may be formed in the second chamber. And may further include a vacuum device.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원전사고의 모의실험을 위해 내부에 수용된 유체를 가열하거나 가압할 수 있고 제1 측부에 구비된 복수의 배출구들을 갖는 제1 챔버, 상기 제1 측부와 서로 접촉하는 제2 측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챔버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2 챔버의 상기 배출구들과 연통될 수 있는 복수의 유입구들을 갖고 시편이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챔버, 및 상기 제1 챔버를 이동시켜 상기 배출구들과 상기 유입구들을 연통시키는 사고 발생 모사부를 포함하는 원전기기 중대사고 생존성 평가 시험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원전기기 중대사고 생존성 평가시험방법은 상기 제2 측부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상기 배출구가 차단되어 밀폐되는 제1 챔버 내에 유체를 배치하고, 상기 제2 챔버 내로 시편을 배치한다. 상기 제1 챔버 내의 유체를 600도 이상 및 5 기압 이상으로 가열 및 가압한다. 원전사고 발생을 모사하기 위해, 상기 사고 발생 모사부가 상기 제1 챔버의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제1 챔버를 이동시켜 상기 배출구들과 상기 유입구들을 연통시키며, 상기 유체가 상기 제2 챔버 내로 유입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simulating a nuclear accident, comprising: a first chamber having a plurality of outlets provided on a first side, the first chamber being capable of heating or pressurizing a fluid contained therein; A second chamber disposed at a second side in contact with the first chamber and having a plurality of inlets communicating with the outlets of the second chamber by movement of the first chamber and the specimen being disposed therein; And an accident occurrence simulator for moving the exhaust ports and the inlet ports to move the exhaust ports and the inlet ports, wherein the test method for evaluating the nuclear accident seriousness of nuclear power plants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lacing the fluid in a first chamber in which the outlet is closed and sealed by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side, and placing the specimen into the second chamber . And the fluid in the first chamber is heated and pressurized to a pressure of 600 degrees or higher and a pressure of 5 atmospheres or higher. In order to simulate the occurrence of a nuclear accident, the accident simulation unit presses one side of the first chamber to move the first chamber to communicate the outlets with the inlets, and the fluid flows into the second chamber.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챔버 내로 시편을 배치한 후, 진공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챔버 내에 진공을 유지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after placing the specimen into the second chamber, a vacuum may be used to maintain a vacuum within the second chamber.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유체가 상기 제2 챔버 내로 유입된 후, 가압장치 및 냉각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챔버 내 상기 유체의 압력과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after the fluid enters the second chamber,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of the fluid in the second chamber may be regulated using a pressure device and a cooling device.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원전기기 중대사고 생존성 평가시험장치 및 방법은 사고 발생 모사부가 제1 챔버의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제1 챔버를 이동시켜 고온 및 고압의 유체가 짧은 시간 내에 제2 챔버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모사할 수 있다.The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nuclear accident seriousness accident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accident occurrence simulation unit presses one side of the first chamber to move the first chamber so that the high- And the like.

또한, 상기 제1 챔버에 구비된 가열장치 및 가압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유체를 600도 이상 및 5기압 이상의 원전 작동 조건까지 높일 수 있고, 상기 제2 챔버에 구비된 냉각장치 및 진공장치에 의해 상기 제2 챔버 내 유체의 온도를 조절하고 상기 제2 챔버 내 대류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uid can be raised to a power operating condition of 600 ° C or higher and 5 atmospheric pressure or higher by using the heating device and the pressurizing device provided in the first chamber, and the cooling device and the vacuum device provided in the second chamber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in the second chamber can be controlled and the influence of the convection in the second chamber can be minimized.

이에 의해,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환경에서의 원전기기의 생존성에 대해 보다 정확한 평가 실험을 진행할 수 있어, 원자력발전소의 안정성에 대한 정밀한 진단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carry out a more accurate evaluation test on the survivability of the nuclear equipment in the accident environment that may occur in the nuclear power plant, and it is possible to perform precise diagnosis of the stability of the nuclear power plant.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may be variously expand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원전기기 중대사고 생존성 평가시험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원전기기 중대사고 생존성 평가시험방법의 단계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nuclear reactor accident seriousness accident evaluat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Figs. 2 to 4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steps of the method for evaluating criticality of accident occurrence of nuclear power plants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Fig.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For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isclosed herein, specific structural and functional descriptions are set forth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only,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in various forms,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Fi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 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having",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s a matter of principl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consistent with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meaning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omitted.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원전기기 중대사고 생존성 평가시험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nuclear reactor accident seriousness accident evaluat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도 1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원전기기 중대사고 생존성 평가시험장치는 유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1 챔버(100), 상기 유체에 의한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시편이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챔버(200), 및 제1 챔버(100) 내 유체를 제2 챔버(200) 내로 유입시키는 사고 발생 모사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apparatus for evaluating nuclear accident seriousness of nuclear power plants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includes a first chamber 100 for receiving a fluid therein, a specimen for evaluating the influence of the fluid, And an accident simulator 300 for introducing the fluid in the first chamber 100 into the second chamber 200. The second chamber 200 may include a first chamber 200 and a second chamber 200,

제1 챔버(100)는 원전사고의 모의실험을 위해 내부에 수용된 상기 유체를 가열하거나 가압할 수 있고, 상기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부(110)을 갖는다.The first chamber 100 has a discharge portion 110 for heating or pressurizing the fluid contained therein for discharging the fluid for simulating a nuclear accident.

상기 유체는 원자력발전소의 노심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 또는 냉각수로 모사되어 제1 챔버(100) 내에 수용될 수 있다.The fluid may be stored in the first chamber 100 by being simulated as cooling water or cooling water for cooling the core of the nuclear power plant.

예를 들어, 상기 유체는 가압경수로의 냉각재로 모사되어 물 및/또는 수증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는 고속로의 냉각재로 모사되어 액체금속 및/또는 이의 기체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fluid may be water and / or water vapor simulated with a coolant of a pressurized light water reactor. Further, the fluid may be a liquid metal and / or a gas thereof that is simulated with a high-speed coolant.

제1 챔버(100)는 상기 유체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장치(140) 및/또는 상기 유체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장치(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hamber 100 may further include a heating device 140 for heating the fluid and / or a pressurizing device 150 for pressurizing the fluid.

가열장치(140)는 열선을 이용하여 제1 챔버(100) 내 상기 유체를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체는 가열장치(140)에 의해 600도 이상으로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제1 챔버(100)는 상기 유체의 상기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단열될 수 있으며, 상기 고온에 견디도록 강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heating device 140 may heat the fluid in the first chamber 100 using a hot wire. For example, the fluid may be heated to above 600 degrees by the heating device 140. [ Also, the first chamber 100 may be insulated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and may include a material that is rigid to withstand the high temperature.

가압장치(150)는 배출부(110)가 구비되는 제1 챔버(100)의 제1 측부(120)에 대향하는 제2 측부(130)에 구비될 수 있다.The pressurizing device 150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side 130 facing the first side 120 of the first chamber 100 in which the discharge portion 110 is provided.

예를 들어, 가압장치(150)는 제1 챔버(100)의 제2 측부(130)를 가압하여 상기 유체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유체는 가압장치(150)에 의해 5기압 이상으로 가압될 수 있다. 또한, 제1 챔버(100)는 상기 유체의 상기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고압에 견디도록 밀폐될 수 있으며, 상기 고압을 견디도록 강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essurizing device 150 may press the second side 130 of the first chamber 100 to pressurize the fluid. The fluid may be pressurized to a pressure of 5 atm or higher by the pressure device 150. [ Also, the first chamber 100 may be sealed to withstand the high pressure to maintain the pressure of the fluid, and may include a material that is rigid to withstand the high pressure.

배출부(110)는 제1 챔버(100)의 제1 측부(120)에 구비되어 상기 고온 및 고압으로 가열 및 가압된 상기 유체를 제2 챔버(200) 내로 배출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11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side 120 of the first chamber 100 to discharge the fluid heated and pressurized at the high temperature and the high pressure into the second chamber 200.

예를 들어, 배출부(110)는 복수의 배출구들(1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배출구(112)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112)는 후술하는 사고 발생 모사부(300)에 의해 제2 챔버(200)의 유입구(212)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배출구(112)는 제2 챔버(200)의 제3 측부(220)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charge unit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112, and each discharge port 112 may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D1. The outlet 112 may communicate with the inlet 212 of the second chamber 200 by an accident simulation unit 300 described later. The outlet 112 may also be blocked by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rd side 220 of the second chamber 200.

또한, 제1 챔버(100)는 제1 챔버(100)가 후술하는 사고 발생 모사부(300)에 의해 이동할 때, 상기 유체가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제1 챔버(100)의 이동방향을 따라 제2 챔버(200)를 가이드하고 제2 챔버(200)의 적어도 일부를 기밀 수용하는 가이드부(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first chamber 100 is moved by the accident occurrence simulation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chamber 100 is moved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chamber 100 to prevent the flui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And a guide unit 132 for guiding the two chambers 200 and hermetically accommodating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chamber 200.

예를 들어, 사고 발생 모사부(300)가 제1 방향(D1)으로 제1 챔버(100)를 이동시킬 때, 가이드부(132)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제2 챔버(2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제1 챔버(100)와 제2 챔버(200) 사이에서 상기 유체가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accident simulating part 300 moves the first chamber 100 in the first direction D1, the guide part 132 extends in the first direction D1 to the second chamber 200 To prevent the flui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between the first chamber 100 and the second chamber 200.

제2 챔버(200)는 상기 제1 챔버의 이동에 의해 배출부(110)와 연통되거나 연통되지 않을 수 있는 유입부(210)를 가진다. 또한, 유입부(210)에 의해 유입되는 상기 유체에 의한 영향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 시편이 내부에 배치된다.The second chamber 200 has an inlet 210 that may or may not communicate with the outlet 110 by movement of the first chamber. In addition, a test specimen for measuring the influence of the fluid introduced by the inflow section 210 is disposed therein.

유입부(210)는 제1 챔버(100)의 제1 측부(110)와 서로 마주하는 제2 챔버(200)의 제3 측부(210)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부(210)는 복수의 유입구들(212)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let 210 may be provided on the third side 210 of the second chamber 200 facing the first side 110 of the first chamber 100. For example, inlet 2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lets 212.

각각의 유입구(212)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유입구(212)는 배출구(112)와 제1 방향(D1)과 실질적으로 수직한 제2 방향(D2)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구(212)와 배출구(112)는 제2 방향(D2)을 따라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Each of the inlets 212 may extend in a first direction D1. In addition, the inlet 212 may be arranged to be offset from the outlet 112 in a second direction D2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D1. For example, the inlet 212 and the outlet 112 may be arranged alternately along the second direction D2.

이에 의해, 후술하는 사고 발생 모사부(300)가 제1 챔버(100)의 제1 측부(120)를 가압하여 제1 챔버(100)를 제1 방향(D1)으로 이동시키지 않는 경우에, 유입구(212)는 제1 챔버(100)의 제1 측부(120)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차단되고, 배출구(112)는 제2 챔버(200)의 제3 측부(220)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Thus, when the accident occurrence simulation unit 300 described later does not press the first side portion 120 of the first chamber 100 to move the first chamber 100 in the first direction D1, The outlet 212 is blocked by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ide 120 of the first chamber 100 and the outlet 112 is blocked by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rd side 220 of the second chamber 200 .

제2 챔버(200)는 후술하는 사고 발생 모사부(300)가 제1 챔버(100)를 이동시켜 제1 챔버(100)와 제2 챔버(200)가 서로 이격되는 경우에도 제1 챔버(100)의 가이드부(132)에 의해 가이드 되고, 제1 챔버(100) 및 제2 챔버(200) 사이는 기밀이 유지되어 상기 유체가 외부로 누수되지 않는다.The second chamber 200 can be moved to the first chamber 100 even when the first chamber 100 and the second chamber 2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moving the first chamber 100, And the gap between the first chamber 100 and the second chamber 200 is kept airtight so that the fluid is not leaked to the outside.

제2 챔버(200)는 제3 측부(220)와 대향하는 제4 측부(230)에 상기 유체를 냉각할 수 있는 냉각장치(240) 및 제2 챔버(200) 내 진공을 유지할 수 있는 진공장치(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hamber 200 includes a cooling device 240 that can cool the fluid on the fourth side 230 facing the third side 220 and a vacuum device 240 that can maintain a vacuum in the second chamber 200. [ (250).

냉각장치(240)는 제2 챔버(200)의 제4 측부(230)에 구비되는 냉각 배관일 수 있다. 상기 냉각 배관 내에는 냉각수(도시되지 않음)이 흘러, 상기 유체를 냉각할 수 있다.The cooling device 240 may be a cooling pipe provided on the fourth side 230 of the second chamber 200. Cooling water (not shown) flows in the cooling pipe to cool the fluid.

진공장치(250)는 제2 챔버(200)의 제4 측부(230)에 구비되어 제2 챔버(200) 내 진공을 유지할 수 있다. 진공장치(250)에 의해 제2 챔버(200) 내에 진공이 유지되는 경우에, 제2 챔버(200) 내 대류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공장치(250)는 진공펌프를 포함하여 제2 챔버(200) 내에 고진공을 유지할 수 있다.The vacuum device 250 may be provided on the fourth side 230 of the second chamber 200 to maintain a vacuum in the second chamber 200. When the vacuum is maintained in the second chamber 200 by the vacuum device 250, the influence of the convection in the second chamber 200 can be minimized. For example, the vacuum device 250 may include a vacuum pump to maintain a high vacuum in the second chamber 200.

사고 발생 모사부(300)는 제1 챔버(100)의 제1 측부(120)를 가압하여 제1 챔버(100)를 제1 방향(D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accident simulator 300 may press the first side 120 of the first chamber 100 to move the first chamber 100 in the first direction D1.

사고 발생 모사부(300)에 의해 제1 챔버(100)가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면, 제2 챔버(200)는 제1 챔버(100)의 가이드부(132)에 의해 가이드되며 제1 챔버(100)와 제2 챔버(200)는 서로 이격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2 챔버(200)의 제3 측부(220)에 의해 차단된 배출구들(112)이 개방되고, 제1 챔버(100)의 제1 측부(120)에 의해 차단된 유입구들(212)이 개방될 수 있다.When the first chamber 10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D1 by the accident occurrence simulator 300, the second chamber 200 is guided by the guide part 132 of the first chamber 100, The first chamber 100 and the second chamber 2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reby, the outlets 112 blocked by the third side 220 of the second chamber 200 are opened and the inlets 212 closed by the first side 120 of the first chamber 100 Can be opened.

개방된 유입구들(212) 및 배출구들(112)은 가이드부(132) 내에서 서로 연통하게 되어 제1 챔버(100) 내의 고압 및 고온의 상기 유체가 제2 챔버(200) 내로 유입할 수 있다.The open inlets 212 and the outlets 112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ithin the guide portion 132 so that the high pressure and high temperature fluid in the first chamber 100 can flow into the second chamber 200 .

이와는 달리, 사고 발생 모사부(300)는 제1 챔버(100)의 다른 측부를 가압하여 제1 챔버(100)를 제2 방향(D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Alternatively, the incident simulator 300 may press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hamber 100 to move the first chamber 100 in the second direction D2.

사고 발생 모사부(300)에 의해 제1 챔버(100)가 제2 방향(D2)으로 이동하면, 제1 챔버(100)와 제2 챔버(200)는 서로 이격하지 않지만 제2 챔버(200)의 제3 측부(220)에 의해 차단된 배출구들(112)이 개방되고 제1 챔버(100)의 제1 측부(120)에 의해 차단된 유입구들(212)이 개방되도록 배출구들(112) 및 유입구들(212)이 서로 제2 방향(D2)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When the first chamber 100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D2 by the accident simulation unit 300, the first chamber 100 and the second chamber 200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outlets 112 blocked by the third side 220 of the first chamber 100 are opened and the inlets 212 blocked by the first side 120 of the first chamber 100 are opened. The inlets 212 may be align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D2.

또한, 사고 발생 모사부(300)는 제1 챔버(100)를 가압하는 것이 아니라, 제2 챔버(200)의 다른 일측을 가압하여 배출구들(112)과 유입구들(212)이 서로 연통하도록 할 수 있다.The accident occurrence simulator 300 does not pressurize the first chamber 100 but presses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hamber 200 so that the outlets 112 and the inlets 212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원전기기 중대사고 생존성 평가시험장치에 의하면, 사고 발생 모사부(300)가 제1 챔버(100)의 제1 측부(120)를 가압하여 제1 챔버(100)를 이동시켜 고온 및 고압의 유체가 짧은 시간 내에 제2 챔버(200)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모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nuclear plant accident seriousness evaluat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the accident occurrence simulator 300 presses the first side portion 120 of the first chamber 100 to detect the first chamber 100 So that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fluids can be introduced into the second chamber 200 within a short time.

또한, 제1 챔버(100)에 구비된 가열장치(140) 및 가압장치(150)를 이용하여 상기 유체를 600도 이상 및 5기압 이상의 원전 작동 조건까지 높일 수 있고, 제2 챔버(200)에 구비된 냉각장치(240) 및 진공장치(250)에 의해 제2 챔버(200) 내 유체의 온도를 조절하고 제2 챔버(200) 내 대류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uid can be raised to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nuclear reactor of 600 ° C or higher and 5 atmospheric pressure or higher by using the heating device 140 and the pressurizing device 150 provided in the first chamber 100,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in the second chamber 200 can be controlled by the provided cooling device 240 and the vacuum device 250 and the influence of the convection in the second chamber 200 can be minimized.

사고 발생 모사부(300)는 복수의 배출구들(112) 및 복수의 유입구들(212)을 한번에 연통시키거나 차단하여, 600도 이상의 고온 및 5기압 이상의 고압의 상기 유체를 짧은 시간 내에 상기 시편에 주입하거나 차단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중대사고 실험이 가능하다.The accident occurrence simulator 300 communicates or cuts off the plurality of outlets 112 and the plurality of inlets 212 at one time so that the fluid at a high temperature of 600 degrees or more and a high pressure of 5 atm or more It can be injected or intercepted, so it is possible to conduct a serious accident experiment.

이에 의해,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환경에서의 원전기기의 생존성에 대해 보다 정확한 평가 실험을 진행할 수 있어, 원자력발전소의 안정성에 대한 정밀한 진단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carry out a more accurate evaluation test on the survivability of the nuclear equipment in the accident environment that may occur in the nuclear power plant, and it is possible to perform precise diagnosis of the stability of the nuclear power plant.

이하에서는 원전기기 중대사고 생존성 평가시험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test method for evaluating the survival probability of critical accidents of nuclear power plants.

도 2 내지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원전기기 중대사고 생존성 평가시험방법의 단계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Figs. 2 to 4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steps of the method for evaluating criticality of accident occurrence of nuclear power plants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Fig.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제1 챔버(100)의 배출구들(112)은 제2 챔버(200)의 제3 측부(220)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차단되고 제2 챔버(200)의 유입구들(212)은 제1 챔버(100)의 제1 측부(120)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차단되어, 제1 챔버(100) 및 제2 챔버(200)는 각각 밀폐된다. 또한, 제1 챔버(100) 내에 유체(L)를 배치하고, 제2 챔버(200) 내에 시편(S)을 배치한다.1 and 2, the outlets 112 of the first chamber 100 are blocked by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rd side 220 of the second chamber 200 and the outlets 112 of the second chamber 200 The first chamber 100 and the second chamber 200 are sealed by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ide 120 of the first chamber 100 so that the first chamber 100 and the second chamber 200 are respectively sealed. Further, the fluid L is placed in the first chamber 100 and the specimen S is placed in the second chamber 200.

예를 들어, 유체(L)는 원자력발전소의 노심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 또는 냉각수로 모사되어 제1 챔버(10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시편(S)은 원전기기로 모사되어 제2 챔버(2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luid L may be received in the first chamber 100 by being simulated as cooling water or cooling water for cooling the core of the nuclear power plant. In addition, the specimen S may be simulated with the nuclear equipment and placed in the second chamber 200.

또한, 가열장치(140) 및 가압장치(150)를 이용하여 제1 챔버(100) 내 유체(L)를 600도 이상 및 5기압 이상으로 가열 및 가압한다.The fluid L in the first chamber 100 is heated and pressurized to a pressure of 600 ° C or higher and a pressure of 5 atm or higher by using the heating device 140 and the pressure device 150.

가열장치(140)는 열선을 이용하여 제1 챔버(100) 내 유체(L)를 가열할 수 있다. 제1 챔버(100)는 유체(L)의 상기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단열될 수 있으며, 상기 고온에 견디도록 강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heating device 140 may heat the fluid L in the first chamber 100 using a heat wire. The first chamber 100 may be insulated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L and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rigidity to withstand the high temperature.

가압장치(150)는 제1 챔버(100)의 제2 측부(130)를 가압하여 상기 유체를 가압할 수 있다. 유체(L)는 가압장치(150)에 의해 5기압 이상으로 가압될 수 있다. 또한, 제1 챔버(100)는 유체(L)의 상기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고압에 견디도록 밀폐될 수 있으며, 상기 고압을 견디도록 강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surizing device 150 may press the second side 130 of the first chamber 100 to pressurize the fluid. The fluid L can be pressurized to 5 atm or higher by the pressurizing device 150. [ Also, the first chamber 100 may be sealed to withstand the high pressure to maintain the pressure of the fluid L, and may include a material that is rigid to withstand the high pressure.

또한, 진공장치(250)를 이용하여 제2 챔버(200) 내에 진공을 유지할 수 있다. 제2 챔버(200) 내에 진공이 유지되는 경우, 제2 챔버(200) 내 대류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 vacuum can be maintained in the second chamber 200 by using the vacuum device 250. When the vacuum is maintained in the second chamber 200, the influence of the convection in the second chamber 200 can be minimized.

이후에,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사고 발생 모사부(300)가 제1 챔버(100)의 제1 측부(120)를 가압하여 제1 챔버(100)를 제1 방향(D1)으로 이동시켜 배출구들(112)과 유입구들(212)이 서로 연통되고 유체(L)가 제2 챔버(200) 내로 유입된다.1 and 3, the accident simulator 300 presses the first side 120 of the first chamber 100 to move the first chamber 100 in the first direction D1 So that the outlets 112 and the inlets 212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fluid L flows into the second chamber 200.

사고 발생 모사부(300)에 의해 제1 챔버(100)가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면, 제2 챔버(200)는 제1 챔버(100)의 가이드부(132)에 의해 가이드되며 제1 챔버(100)와 제2 챔버(200)는 서로 이격하게 된다.When the first chamber 10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D1 by the accident occurrence simulator 300, the second chamber 200 is guided by the guide part 132 of the first chamber 100, The first chamber 100 and the second chamber 2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이에 의해, 제2 챔버(200)의 제3 측부(220)에 의해 차단된 배출구들(112)이 개방되고, 제1 챔버(100)의 제1 측부(120)에 의해 차단된 유입구들(212)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제1 챔버(100)와 제2 챔버(200) 사이에 가이드부(132) 내 이격공간(C)이 생성될 수 있다.Thereby, the outlets 112 blocked by the third side 220 of the second chamber 200 are opened and the inlets 212 closed by the first side 120 of the first chamber 100 Can be opened. In addition, a space C may be created in the guide part 132 between the first chamber 100 and the second chamber 200. [

개방된 유입구들(212) 및 배출구들(112)은 가이드부(132) 내에서 서로 연통하게 되어 제1 챔버(100) 내의 고압 및 고온의 상기 유체가 배출구들(112), 이격공간(C) 및 유입구들(212)을 통하여 제2 챔버(200) 내로 유입할 수 있다.The open inlets 212 and the outlets 112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ithin the guide portion 132 so that the high pressure and high temperature fluid in the first chamber 100 pass through the outlets 112, And inlets 212 into the second chamber 200.

이와는 달리, 사고 발생 모사부(300)는 제1 챔버(100)의 다른 측부를 가압하여 제1 챔버(100)를 제2 방향(D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Alternatively, the incident simulator 300 may press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hamber 100 to move the first chamber 100 in the second direction D2.

사고 발생 모사부(300)에 의해 제1 챔버(100)가 제2 방향(D2)으로 이동하면, 제1 챔버(100)와 제2 챔버(200)는 서로 이격하지 않지만 제2 챔버(200)의 제3 측부(220)에 의해 차단된 배출구들(112)이 개방되고 제1 챔버(100)의 제1 측부(120)에 의해 차단된 유입구들(212)이 개방되도록 배출구들(112) 및 유입구들(212)이 서로 제2 방향(D2)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When the first chamber 100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D2 by the accident simulation unit 300, the first chamber 100 and the second chamber 200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outlets 112 blocked by the third side 220 of the first chamber 100 are opened and the inlets 212 blocked by the first side 120 of the first chamber 100 are opened. The inlets 212 may be align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D2.

또한, 사고 발생 모사부(300)는 제1 챔버(100)를 가압하는 것이 아니라, 제2 챔버(200)의 다른 일측을 가압하여 배출구들(112)과 유입구들(212)이 서로 연통하도록 할 수 있다.The accident occurrence simulator 300 does not pressurize the first chamber 100 but presses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hamber 200 so that the outlets 112 and the inlets 212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이후에,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 챔버(200) 내에 배치된 시편(S)이 유입된 유체(L)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1 and 4, the specimen S placed in the second chamber 200 is influenced by the fluid L introduced therein.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챔버(100)에 구비된 가압장치(150)를 이용하여 제2 챔버(200) 내 유체(L)의 압력을 조절하거나, 제2 챔버(200)에 구비된 냉각장치(240)를 이용하여 제2 챔버(200) 내 유체(L)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s, the pressure of the fluid L in the second chamber 200 may be adjusted by using the pressure device 150 provided in the first chamber 100,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L in the second chamber 200 can be adjusted by using the cooling device 240. [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원전기기 중대사고 생존성 평가시험방법에 의하면, 사고 발생 모사부(300)가 제1 챔버(100)의 제1 측부(120)를 가압하여 제1 챔버(100)를 이동시켜 고온 및 고압의 유체가 짧은 시간 내에 제2 챔버(200)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모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nuclear reactor accident seriousness evaluation test method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the accident occurrence simulator 300 presses the first side portion 120 of the first chamber 100 and the first chamber 100 So that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fluids can be introduced into the second chamber 200 within a short time.

사고 발생 모사부(300)는 복수의 배출구들(112) 및 복수의 유입구들(212)을 한번에 연통시키거나 차단하여, 600도 이상의 고온 및 5기압 이상의 고압의 상기 유체를 짧은 시간 내에 상기 시편에 주입하거나 차단할 수 있으므로 정밀한 사고 모사실험이 가능하며, 보다 정확한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The accident occurrence simulator 300 communicates or cuts off the plurality of outlets 112 and the plurality of inlets 212 at one time so that the fluid at a high temperature of 600 degrees or more and a high pressure of 5 atm or more Injection or blocking can be done, so precise accident simulation is possible and more accurate data can be measur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possible.

100: 제1 챔버 110: 배출부
112: 배출구 120: 제1 측부
130: 제2 측부 132: 가이드부
140: 가열장치 150: 가압장치
200: 제2 챔버 210: 유입부
212: 유입구 220: 제3 측부
230: 제4 측부 240: 냉각장치
250: 진공장치 300: 사고 발생 모사부
100: first chamber 110:
112: outlet 120: first side
130: second side portion 132: guide portion
140: Heating device 150: Pressure device
200: second chamber 210: inlet
212: inlet port 220: third side
230: fourth side 240: cooling device
250: Vacuum unit 300: Accident simulation unit

Claims (12)

원전사고의 모의실험을 위한 원전기기 평가시험장치에서,
내부에 수용된 유체를 가열하거나 가압하고, 상기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갖는 제1 챔버;
상기 제1 챔버의 이동에 의해 상기 배출부와 연통되거나 연통되지 않는 유입부를 갖고, 상기 유입부로 유입되는 유체에 의한 영향을 측정하기 위한 시편이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챔버; 및
상기 제1 챔버의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원전사고의 발생을 모사하도록 상기 제1 챔버의 일측을 가압하고 상기 제1 챔버를 이동시켜, 상기 배출부와 상기 유입부를 서로 연통시키는 사고 발생 모사부를 포함하는 원전기기 중대사고 생존성 평가시험장치.
In nuclear device evaluation test equipment for simulating nuclear accident,
A first chamber having a discharge portion for heating or pressurizing the fluid contained therein and discharging the fluid;
A second chamber having an inlet portion communicating with or not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ortion by movement of the first chamber, the specimen for measuring the influence of the fluid flowing into the inlet portion; And
An accident occurrence simulator provided outside the first chamber and pressing one side of the first chamber to simulate the occurrence of the nuclear accident and moving the first chamber to allow the discharge part and the inflow part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est equipment for the evaluation of survivability of critical accidents of nuclear power plan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는,
상기 제1 챔버가 상기 사고 발생 모사부에 의해 이동할 때 상기 유체가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챔버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챔버를 가이드하고 상기 제2 챔버의 적어도 일부를 기밀 수용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기기 중대사고 생존성 평가시험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chamber comprises:
The second chamber is guided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chamber so as to prevent the flui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when the first chamber is moved by the accident occurrence simulating part and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chamber is hermetically accommodated Further comprising a guiding unit for guiding the nuclear reactor accident to the nuclear reacto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제1 챔버의 제1 측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배출구들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부는 상기 제1 챔버의 상기 제1 측부와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2 챔버의 제2 측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유입구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부와 상기 제2 측부는 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기기 중대사고 생존성 평가시험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ischarge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outlets provided on a first side of the first chamber,
The inlet includes a plurality of inlets provided in a second side of the second chamber facing the first side of the first chamber,
Wherein the first sid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portion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제 3 항에 있어서,
각각의 배출구 및 유입구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 및 상기 유입구는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엇갈려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기기 중대사고 생존성 평가시험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each of the outlets and inlets extends in a first direction and the outlets and the inlets are staggered along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 발생 모사부는 상기 제1 챔버의 상기 제1 측부를 상기 제1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시키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기기 중대사고 생존성 평가시험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accident simulating unit presses the first side of the first chamber in the first direction to separate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in the first direction,
Wherein the guide portion extends in the first direction. ≪ RTI ID = 0.0 > 8. < / RTI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 발생 모사부가 상기 제1 챔버의 상기 제1 측부를 가압하기 전에,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제2 챔버의 상기 제2 측부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차단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제1 챔버의 상기 제1 측부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기기 중대사고 생존성 평가시험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outlet is blocked by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side of the second chamber and the inlet is closed by the first side of the first chamber before the accident simulating part presses the first side of the first chamber, Of the nuclear reactor accident severity tes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는,
원전 작동 조건을 모사하기 위하여 내부에 수용된 상기 유체를 가열하는 가열장치 및 상기 유체를 가압하는 가압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기기 중대사고 생존성 평가 시험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chamber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heating device for heating the fluid contained therein to simulate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nuclear power plant, and a pressurizing device for pressurizing the flui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는 상기 유체를 600도 이상으로 가열하며,
상기 가압장치는 상기 유체를 5기압 이상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기기 중대사고 생존성 평가 시험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heating device heats the fluid to 600 degrees or higher,
Wherein the pressurizing device pressurizes the fluid at 5 atm or hig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챔버는,
상기 원전사고의 발생 이후를 모사하기 위하여 상기 유체를 냉각하는 냉각장치 및 상기 제2 챔버 내에 형성되는 대류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진공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기기 중대사고 생존성 평가 시험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chamber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cooling device for cooling the fluid to simulate after the occurrence of the nuclear accident, and a vacuum device for minimizing the influence of convection formed in the second chamber. tester.
내부에 수용된 유체를 가열하거나 가압할 수 있고 상기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갖는 제1 챔버, 상기 제1 챔버의 이동에 의해 상기 배출부와 연통되거나 연통되지 않는 유입부를 갖고 시편이 배치되는 제2 챔버, 및 상기 제1 챔버의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제1 챔버를 이동시킴으로 상기 배출부와 상기 유입부를 서로 연통시키는 사고 발생 모사부를 포함하는 원전기기 중대사고 생존성 평가 시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 내에 상기 유체를 배치하고, 상기 제2 챔버 내로 상기 시편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챔버 내의 유체를 가열 및 가압하는 단계; 및
원전사고 발생을 모사하기 위해, 상기 사고 발생 모사부가 상기 제1 챔버의 상기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제1 챔버를 이동시켜 상기 배출부와 상기 유입부를 연통시키며, 상기 유체가 상기 제2 챔버 내로 유입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전기기 중대사고 생존성 평가 시험 방법.
A second chamber having an inlet portion communicating with or not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ortion by movement of the first chamber, and a second chamber having a second chamber in which the sample is disposed, the first chamber having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fluid, And an accident occurrence simulator that presses one side of the first chamber to move the first chamber so that the discharge unit and the inle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apparatus comprising:
Placing the fluid within the first chamber and placing the specimen into the second chamber;
Heating and pressurizing the fluid in the first chamber; And
In order to simulate the occurrence of a nuclear accident, the accident simulation unit presses the one side of the first chamber to move the first chamber to communicate the discharge unit and the inlet, and the fluid flows into the second chamber Test method for evaluating the survivability of critical accidents involving nuclear power plants.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챔버 내로 시편을 배치하는 단계 이후,
진공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챔버 내에 진공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원전기기 중대사고 생존성 평가 시험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after placing the specimen into the second chamb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maintaining a vacuum in the second chamber by using a vacuum apparatus.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가 상기 제2 챔버 내로 유입되는 단계 이후,
가압장치 및 냉각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챔버 내 상기 유체의 압력과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기기 중대사고 생존성 평가 시험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after the fluid enters the second chamb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djusting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of the fluid in the second chamber using a pressurizing device and a cooling device.
KR1020150043465A 2015-03-27 2015-03-27 Apparatus for severe accident survivablity assessment of nuclear plant devices by fluid injection at high temperature and hight pressure and method for severe accident survivablity assessment of nuclear plant devices using the same KR1016345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465A KR101634590B1 (en) 2015-03-27 2015-03-27 Apparatus for severe accident survivablity assessment of nuclear plant devices by fluid injection at high temperature and hight pressure and method for severe accident survivablity assessment of nuclear plant device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465A KR101634590B1 (en) 2015-03-27 2015-03-27 Apparatus for severe accident survivablity assessment of nuclear plant devices by fluid injection at high temperature and hight pressure and method for severe accident survivablity assessment of nuclear plant devices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4590B1 true KR101634590B1 (en) 2016-06-29

Family

ID=56365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3465A KR101634590B1 (en) 2015-03-27 2015-03-27 Apparatus for severe accident survivablity assessment of nuclear plant devices by fluid injection at high temperature and hight pressure and method for severe accident survivablity assessment of nuclear plant devices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4590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1529B1 (en) * 2016-10-10 2017-11-27 한국기계연구원 equipment for performance test of coating in loss of coolant accident test of nuclear power plant
KR20200114612A (en) * 2019-03-29 2020-10-07 한국기계연구원 Saturated steam simulation test apparatus and method for safety related nuclear equipment using the same
WO2021125556A1 (en) * 2019-12-19 2021-06-24 한국기계연구원 Nuclear accident simulation system and nuclear accident simulation method using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505A (en) * 2000-03-31 2001-11-01 장인순 Apparatus and method for thermal ratchet structural test
KR101002008B1 (en) * 2010-08-12 2010-12-16 한국기계연구원 Appratus for design basis accident test
KR101352953B1 (en) * 2012-04-13 2014-01-23 한국기계연구원 Insurge property testing system and insurge property testing method using the same
CN104269196A (en) * 2014-08-27 2015-01-07 上海发电设备成套设计研究院 Device and method for carrying out tests for stimulating environment in high energy pipeline rupture accident in nuclear power pla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505A (en) * 2000-03-31 2001-11-01 장인순 Apparatus and method for thermal ratchet structural test
KR101002008B1 (en) * 2010-08-12 2010-12-16 한국기계연구원 Appratus for design basis accident test
KR101352953B1 (en) * 2012-04-13 2014-01-23 한국기계연구원 Insurge property testing system and insurge property testing method using the same
CN104269196A (en) * 2014-08-27 2015-01-07 上海发电设备成套设计研究院 Device and method for carrying out tests for stimulating environment in high energy pipeline rupture accident in nuclear power plant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1529B1 (en) * 2016-10-10 2017-11-27 한국기계연구원 equipment for performance test of coating in loss of coolant accident test of nuclear power plant
KR20200114612A (en) * 2019-03-29 2020-10-07 한국기계연구원 Saturated steam simulation test apparatus and method for safety related nuclear equipment using the same
KR102281787B1 (en) * 2019-03-29 2021-07-27 한국기계연구원 Saturated steam simulation test apparatus and method for safety related nuclear equipment using the same
WO2021125556A1 (en) * 2019-12-19 2021-06-24 한국기계연구원 Nuclear accident simulation system and nuclear accident simulation method using same
KR20210078984A (en) * 2019-12-19 2021-06-29 한국기계연구원 Nuclear accident testing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nuclear accident
KR102374418B1 (en) * 2019-12-19 2022-03-15 한국기계연구원 Nuclear accident testing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nuclear accid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4590B1 (en) Apparatus for severe accident survivablity assessment of nuclear plant devices by fluid injection at high temperature and hight pressure and method for severe accident survivablity assessment of nuclear plant devices using the same
US7454956B1 (en) Heat exchanger leak detection using mass gas flow metering
CN104101470B (en) Pipe flange test system
KR101696690B1 (en) Apparatus for severe accident survivablity assessment of nuclear plant devices by specimen movement in temperature gradient region and method for severe accident survivablity assessment of nuclear plant devices using the same
EP3345676A1 (en) Reactor system for high throughput applications
KR101177429B1 (en) Small punch testing apparatus under
CN102564709A (en) Leakage detecting method for sealing structure part
US3721116A (en) Method for detecting steam leakage in a heat exchanger having circulation tubes surrounded by liquid sodium and devices for the application of said method
CN104062123A (en) Simulating device for on-rocket liquid-hydrogen temperature zone cold-helium heater
CN112378765B (en) Pressurization test device of cladding pipe
CN110926731A (en) High-pressure gas leakage diffusion linkage measurement test system
Kusunoki et al. Air-water tests on counter-current flow limitation at lower end of vertical pipes simulating lower part of steam generator U-tube
CN103953613A (en) Spot diagnosis method for emergently interdicting low safety oil pressure
Muftuoglu et al. Experimental study of abrupt discharge of water at supercritical conditions
KR101195493B1 (en) The apparatus for leaking check of hydraulic and pneumatic components
CN113409969B (en) Nuclear power plant valve internal leakage fault diagnosis method
CN207558441U (en) Sealed cylinder
KR102066995B1 (en) An inspector for tube leakage checking of a shell and tube type heat exchanger
Torres et al. A MTR fuel element flow distribution measurement preliminary results
KR101471456B1 (en) Fatigue testing apparatus for heat exchanger
KR101801529B1 (en) equipment for performance test of coating in loss of coolant accident test of nuclear power plant
CN205350647U (en) Device that leaks hunting of high temperature flange joint system
Bergagio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mixing of non-isothermal water streams at BWR operating conditions
Sudo et al. Downcomer effective water head during reflood in postulated PWR LOCA
KR102374418B1 (en) Nuclear accident testing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nuclear accid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