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3835B1 - Control box for provent stolen of the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Control box for provent stolen of the mobi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3835B1
KR101633835B1 KR1020140097286A KR20140097286A KR101633835B1 KR 101633835 B1 KR101633835 B1 KR 101633835B1 KR 1020140097286 A KR1020140097286 A KR 1020140097286A KR 20140097286 A KR20140097286 A KR 20140097286A KR 101633835 B1 KR101633835 B1 KR 101633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key
main body
uni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72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15467A (en
Inventor
한기원
Original Assignee
한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기원 filed Critical 한기원
Priority to KR1020140097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835B1/en
Publication of KR20160015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4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8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08B13/24Electrical 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electromagnetic field distribu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모바일 단말기 도난 방지를 위한 컨트롤 박스가 개시된다. 본 컨트롤 박스는, 케이블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전력을 공급하고, 연결해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의 연결이 해지되면 경보신호가 생성되어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하며, 온-오프를 위한 키 삽입구를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키 삽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부의 동작을 온-오프(on-off)하기 위해 마련되는 키;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해지신호는, 상기 본체부가 상기 키에 의해 오프(off)되면 생성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이 해지되면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도난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타인에 의해 컨트롤 박스가 제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 control box for preventing theft of a mobile terminal is disclosed. The control box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 cable to supply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and generates an alarm signal when the conne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is terminated without a connection release signal being received, A main body portion including a key insertion port for on-off; And a key inserted into the key insertion port to turn on the operation of the main body unit. The connection cancellation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main body unit is turned off by the key Signal. Accordingly, when the conne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is canceled, an alarm sound is generated, thereby preventing the mobile terminal from being stolen, and also preventing the control box from being controlled by another person.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 도난 방지를 위한 컨트롤 박스{CONTROL BOX FOR PROVENT STOLEN OF THE MOBILE DEVICE}[0001] CONTROL BOX FOR PROTECTION OF THE SECURITY OF MOBILE PHONES [0002] CONTROL BOX FOR PROVENT STOLEN OF THE MOBILE DEVICE [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 도난 방지를 위한 컨트롤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인에 의해 조작이 가능하지 않은 모바일 단말기 도난 방지를 위한 컨트롤 박스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box for preventing theft of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rol box for preventing theft of a mobile terminal which can not be operated by others.

일반적으로 모바일 단말기를 시연하거나 판매하는 매장에서는,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자가 직접 사용해보거나 체험해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기가 매장 내외부에 비치되도록 한다. Generally, in a store where a mobile terminal is demonstrated or sold, a mobile terminal is provided inside and outside the store so that the user can directly try and experience the mobile terminal.

하지만 근래에 제공되고 있는 모바일 단말기들은 고가이고 휴대성이 좋아 도난의 위험성이 높아지고 있다. However, the mobile terminals that have been provided in recent years are expensive and portable, and the risk of theft is increasing.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기를 거치대에 부착해놓거나, 특정한 재질의 연결 장치를 이용해 상품이 물리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나 특정 주파수의 전파에 반응하도록 설계된 라벨이나 태그를 부착해 출입구를 통과할 때 경보가 울리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To prevent theft, a mobile terminal may be attached to a cradle, a product may be physically fixed using a specific material connection device, or a label or tag designed to respond to radio waves of a specific frequency, There is a way to make the alarm ring.

특히 모바일 단말기가 물리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면서 모바일 단말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컨트롤 박스의 경우에는 누름방식의 전원스위치를 사용하고 있어, 관리자가 아닌 제3 자가 임의적인 컨트롤 박스의 조작을 통해 컨트롤 박스가 온-오프(on-off)되도록 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control box used to supply power to a mobile terminal while a mobile terminal is physically fixed, a push-type power switch is used, so that a third party other than an administrator controls the control box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 be made on-off.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이 해지되면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도난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타인에 의해 컨트롤 박스가 제어되는 것을 방지할 수있는 모바일 단말기 도난 방지를 위한 컨트롤 박스를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which can prevent a stolen of a mobile terminal by generating an alarm sound when a connection with a mobile terminal is terminated, And a control box for preventing the mobile terminal from being stole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는, 케이블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전력을 공급하고, 연결해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의 연결이 해지되면 경보신호가 생성되어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하며, 온-오프를 위한 키 삽입구를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키 삽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부의 동작을 온-오프(on-off)하기 위해 마련되는 키;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해지신호는, 상기 본체부가 상기 키에 의해 오프(off)되면 생성되는 신호이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box connected to a mobile terminal through a cable to supply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A main body portion including a key insertion port for on-off, and an alarm signal is generated to generate an alarm sound; And a key inserted into the key insertion port to turn on the operation of the main body unit. The connection cancellation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main body unit is turned off by the key Signal.

그리고, 상기 키 및 상기 키 삽입구는 복수 개로 마련되고, 상기 본체부는, 복수의 키가 복수의 키 삽입구에 각각 삽입되어 동시에 기설정된 방향으로 회전되어야 구동 또는 미구동될 수 있다. The key and the key insertion opening are provided in plural, and the main body may be driven or not driven until the plurality of keys ar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key insertion openings and simultaneously rot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경보음이 발생된 상태에서는 상기 키가 상기 키 삽입구에 삽입되어 오프(off)되더라도 경보해제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경보음이 중단되지 않을 수 있다. Also, in the state where the alarm sound is generated, the main unit may not stop the alarm sound if the alarm release signal is not received even if the key is inserted into the key insertion slot and turned off.

이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이 해지되면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도난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타인에 의해 컨트롤 박스가 제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conne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is canceled, an alarm sound is generated, thereby preventing the mobile terminal from being stolen, and also preventing the control box from being controlled by another pers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평면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측면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control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trol box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provided to explain a control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control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control box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측면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평면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trol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rol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control box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컨트롤 박스는 전시 및 판매되는 모바일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에서 충전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 타인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가 도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The control box is used to charge the mobile terminal displayed and sold while it is stationary and to prevent the mobile terminal from being stolen by another person.

이를 위해 컨트롤 박스는 본체부(100) 및 키(200)로 구성된다. To this end, the control box is composed of a main body 100 and a key 200.

본체부(100)는 케이블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되어 모바일 단말기로 전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모바일 단말기가 충전될 수 있도록 한다. The main body 100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 cable so that electric power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so that the mobile terminal can be charged.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는 모바일 단말기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고, 모바일 단말기와의 연결이 해지되면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마련되어 모바일 단말기의 분실 또는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The main bod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 cable, and an alarm sound is generated when the conne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is canceled, thereby preventing the mobile terminal from being lost or stolen.

이를 위해 본체부(100)는 전원부(110), 단자부(120), 경보부(130), 리모컨 수신부(140), 보조전원부(140) 및 제어부(160) 및 키 삽입구(170)를 포함한다. The main body 100 includes a power unit 110, a terminal unit 120, an alarm unit 130, a remote control receiving unit 140, an auxiliary power unit 140, a controller 160, and a key input port 170.

전원부(110)는 키 삽입구(170)에 의해 외부 전력공급장치로부터 전력이 공급되거나 차단되고, 모바일 단말기를 비롯한 상품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The power supply unit 110 is provided to allow power to be supplied to or disconnected from the external power supply unit by the key inserting port 170 and to power the product including the mobile terminal.

한편, 단자부(120)는 전원부(12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모바일 단말기에 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마련되는 케이블과 연결되면 모바일 단말기에 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마련된다. The terminal unit 120 is provided to transmit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when it is connected to a cable provided to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120 and to transmit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그리고 단자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동시에 복수 개의 모바일 단말기가 충전될 수 있도록 한다. The terminal unit 12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as shown in FIG. 2, so that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can be charged at the same time.

또한, 단자부(120)는 케이블이 모바일 단말기와의 결합이 해지되거나, 케이블과의 결합이 해지되면 제어부(160)를 통해 경보부(130)로 결합이 해지되었다는 결합해지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cable is disconnected from the mobile terminal or the cable is disconnected, the terminal unit 120 transmits a connection release signal indicating that the connection to the alarm unit 130 has been canceled through the controller 160.

한편, 경보부(130)는 제어부(160)로부터 연결해제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모바일 단말기와 케이블의 결합해지신호가 수신되거나 케이블과 단자부의 결합해지신호가 수신되면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On the other hand, the alarm unit 130 is configured to generate an alarm sound when a connection release signal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able is received or a connection release signal of the cable and the terminal unit is received while the connection release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160 do.

본 실시예에서 연결해제신호라 함은, 모바일 단말기와 케이블 또는 케이블과 단자부(120)간의 연결이 해제되어도 도난 또는 분실로 판단하지 않기 위한 신호로, 키 삽입구(170)가 off로 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on release signal is a signal for judging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able or cable is not stolen or lost even if the connec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terminal unit 120 is released. .

구체적으로, 키 삽입구(170)가 오프(off)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모바일 단말기와 케이블 또는 케이블과 단자부(120)간의 연결이 해제되었다는 결합해지신호가 제어부(160)를 통해 전달되면, 경보부(130)는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한다. Specifically, when the connection release signal indicating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able or the terminal unit 120 is released in a state where the key insertion port 170 is not turned off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ntroller 160, the alarm unit 130 ) Causes an alarm sound to be generated.

이를 위해 경보부(130)는 스피커와 같은 경보음을 송출할 수 있는 부재와 연결되거나 경보부(130) 자체가 스피커가 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the alarm unit 130 may be connected to a member capable of transmitting an alarm sound such as a speaker, or the alarm unit 130 itself may be a speaker.

한편, 리모컨 수신부(140)는 경보부(130)에서 경보음이 발생되면 경보음이 종료되도록 하는 리모컨으로부터 경보해제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마련된다. Meanwhile, the remote control receiver 140 is provided to receive an alarm release signal from a remote controller that causes an alarm sound to be terminated when an alarm sound is generated by the alarm unit 130.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는 공급자에 의해 경보음이 종료되도록 하는 리모컨이 별도로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The main bod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supplied with a remote controller for terminating the alarm sound by the supplier separately.

이상에서처럼 별도의 연결해제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케이블과 모바일 단말기, 또는 케이블과 단자부(120)의 연결이 해지되면 경보부(130)에 의해서 경보음이 발생되게 되는데, 발생된 경보음이 단순히 사용자의 실수에 의해서 발생되었거나 분실 또는 도난에 의해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는 경보음이 종료되도록 리모컨을 조작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able, the mobile terminal, or the cable is disconnected from the terminal unit 120 in a state where no separate connection release signal is received, the alarm unit 130 generates an alarm sound, The user will operate the remote control so that the alarm sound is terminated.

도면에는 리모컨이 미도시되었으나, 리모컨에는 경보음이 종료되도록 하는 경보해제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버튼이 구비되고, 사용자에 의해 해당 버튼이 가압되게 되면, 경보해제신호를 생성하여 본체부(100)로 전송하게 된다. Although the remote controller is not shown in the figure, the remote controller includes a button for generating an alarm release signal for ending the alarm sound. When the user presses the corresponding button, the alarm release signal is generated and is transmitted to the main body 100 .

리모컨 수신부(140)는 이상에서 전송된 경보해제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60)로 전송하게 되고, 제어부(160)는 경보부(130)를 통해 경보음이 종료되도록 한다. The remote control receiver 140 receives the alarm releas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unit 140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ontroller 160. The controller 160 causes the alarm unit 130 to terminate the alarm sound.

또한, 리모컨 수신부(140)는, 본체부(100) 내부에 매립되어 마련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컨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전선으로써, 본체부(100)와는 별도의 부재인 유선의 형태로 마련되어 단자부(120)에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remote control receiver 140 may be embedded in the main unit 100 or may be a wire capable of receiving a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ler as shown in FIG. And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or separated from the terminal unit 120.

한편, 보조 전원부(150) 전력이 저장되고, 전원부(110)가 미구동되더라도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경보부가 동작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Meanwhile, the auxiliary power unit 150 is provided to store the power and operate the alarm unit for a preset time even if the power unit 110 is not operated.

본체부(100)는 전자기기이므로 본체부(100)의 정상적인 구동을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전력이 공급되어야 한다. Since the main body 100 is an electronic device, power must be continuously supplied for normal operation of the main body 100.

하지만, 정전과 같이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본체부(100)에 전력이 공급되지 못하게 되면, 본체부(100)와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의 분실 또는 도난을 방지할 수 없게 된다. However, if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main body 100 in an unexpected situation such as a power failure, the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can not be prevented from being lost or stolen.

보조 전원부(150)는 이상의 경우에 일정한 시간동안 본체부(100)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분실 또는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auxiliary power unit 150 can prevent the mobile terminal from being lost or stolen by allowing the main body 100 to be drive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전원부(150)는 키 삽입구(170)가 온(on)되어 있는 상태이지만 전원부(110)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지 못하는 경우 제어부(160)의 제어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도록 한다.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llows the power to be supplied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60 when the key input port 170 is turned on but power is not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0. [

이를 위해 보조 전원부(150)는 배터리를 포함하도록 마련되며, 전원부(110)가 정상적으로 구동될 때 전원부(1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한다. To this end, the auxiliary power unit 150 includes a battery and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unit 110 when the power unit 110 is normally driven to charge the battery.

그리고, 전원부(110)의 미구동에 의해 보조 전원부(150)가 전력을 공급하게 되는 경우에는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은 이루지지 않고 분실 또는 도난이 방지되도록 한다. When the sub power supply unit 150 supplies power by the non-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110, the mobile terminal is not charged and is prevented from being lost or stolen.

보조 전원부(150)는 전원부(110)가 미구동되는 경우, 본체부(100)가 약 24시간동안 분실 및 도난을 감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은 이루지지 않도록 구현되게 된다. The auxiliary power unit 150 is implemented such that charging of the mobile terminal is not performed in order to enable the main body 100 to monitor the loss and theft for about 24 hours when the power source unit 110 is not driven.

물론,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전력 충전을 위한 배터리의 용량 등을 달리 구현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분실 및 도난 방지는 물론 충전도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Of course, this is merely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it is also possible to charge the portable terminal as well as prevent the loss or theft of the mobile terminal by realizing different capacities of the battery for power charging.

한편, 제어부(160)는 전원부(110), 단자부(120), 경보부(130), 리모컨 수신부(140) 및 보조 전원부(150)를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다. The control unit 160 is provided to control the power unit 110, the terminal unit 120, the alarm unit 130, the remote control receiver 140, and the sub power unit 150.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전원부(110)가 키 삽입구(170)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면 공급된 전력이 모바일 단말기나 경보부(130) 같이 전력이 필요한 다른 구성 부재들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ower supply unit 110 receives power from the key input port 170, the controller 160 supplies power to other components requiring power, such as the mobile terminal or the alarm unit 130, .

그리고 제어부(160)는 단자부(120)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가 본체부(100)와 연결되면 모바일 단말기와 본체부(100)가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키 삽입구(170)가 온(on)되어 있는 상태에서 연결이 해지되게 되면 경보부(130)에서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제어한다. When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terminal unit 120, the control unit 160 determines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If the key insertion slot 170 is turned on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alarm unit 130 to generate an alarm sound.

또한, 제어부(160)는 경보부(130)에서 경보음이 발생된 후 리모컨 수신부(140)로부터 경보해제신호를 수신하면 경보부(130)를 제어하여 경보음이 종료되도록 한다. In addition, when the alarm unit 130 generates an alarm sound and receives an alarm release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receiver 140,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alarm unit 130 to terminate the alarm sound.

그리고, 제어부(160)는 보조 전원부(150)에서 전원부(110)가 동작될 때 전력을 충전하여 저장하도록 하고, 전원부(110)가 정전 등에 의해 미구동되면 보조 전원부(150)가 동작되도록 하여 분실 및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controller 160 charges and stores power when the power supply 110 is operated in the auxiliary power supply 150. When the power supply 110 is not operated due to a power failure or the like, the controller 160 operates the auxiliary power supply 150, And to prevent theft.

한편,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는 측면에 LED 램프가 더 마련되는데, 이는 경보부(130)로부터 경보음이 발생될 때 LED 램프가 점등되면서 청각 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 분실 또는 도난이 감지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수단으로 사용되거나, 본체부(100)의 구동 상태를 알리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to 4, the main bod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n LED lamp on the side thereof. When an alarm sound is generated from the alarm unit 130, the LED lamp is lit, But may be used as a means for informing the user that a visual loss or theft has been detected or may be used as a means for notifying the driving state of the main body 100. [

한편, 본 실시예에에 따른 키 삽입구(170)는 본체부(100)의 측면에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턴키(turn-key)방식으로 구현된다 Meanwhile, the key insertion port 17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nd is realized in a turn-key manner as shown in the figure

이는 본체부(100)가 사용자 이외의 제3 자에 의해 본체부(100)가 제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This is to prevent the main body 100 from being controlled by a third person other than the user.

구체적으로, 키 삽입구(170)가 본 실시예에서와 달리 단순히 누름형 스위치인 경우에는, 제3 자가 임의로 본체부(100)가 동작 또는 미동작되도록 키 삽입구(170)를 조작할 수 있게 되지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자물쇠처럼 지정된 키(200)를 이용하는 턴키 방식의 키 삽입구(170)가 마련되는 경우에는 지정된 키(200)를 소지한 사용자만이 본체부(100)를 통제할 수 있게 된다. Specifically, when the key insertion port 170 is a push type switch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a third party can arbitrarily operate the key insertion port 170 to operate or not operate the main body 100. However, When a turn key type key insertion port 170 using a key 200 designated as a lock is provided as in the embodiment, only the user having the designated key 200 can control the main body 100.

키 삽입구(110)는 본체부(100)가 온-오프(ON-OFF)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측면에 형성된다. The key insertion port 110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s shown in FIG. 1 so that the main body 100 can be turned on and off.

키 삽입구(110)는 키(200)가 삽입된 상태에서 키(200)가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본체부(100)가 온(ON)되거나 오프(OFF)되도록 하며, 본체부(100)의 온-오프(ON-OFF)상태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키 삽입구(110)의 주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온(ON) 및 오프(OFF)가 기재되게 된다. The key inserting hole 110 allows the main body 100 to be turned on or off by rotating the key 200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a state where the key 200 is inserted, In order to allow the user to easily identify the ON-OFF state, ON and OFF are written around the key insertion opening 110 as shown in FIG.

키 삽입구(100)에 키(2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온(ON) 방향으로 회전되면 본체부(100)에 전원이 공급되어 본체부(100)가 구동되고, 키(200)가 오프(OFF) 방향으로 회전되면 본체부(100)에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본체부(100)가 미구동되게 된다. When the key 200 is inserted into the key insertion slot 100 and is rotated in the ON direction, power is supplied to the main body 100 to drive the main body 100. When the key 200 is turned off The power supply to the main body 100 is cut off and the main body 100 is not driven.

그리고, 본체부(100)는 키 삽입구(100)가 오프(OFF)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연결해지신호를 생성하게 되는데, 연결해지신호가 생성된 상태에서 본체부(100)와 케이블 간의 결합이 해지되거나 케이블과 모바일 단말기 간의 결합이 해지되면 경보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The main body 100 generates a connection cancellation signal when the key insertion slot 100 is turned off. In the state where the connection cancellation signal is generated, the connection between the main body 100 and the cable is canceled When the coupling between the cable and the mobile terminal is terminated, an audible alarm is not generated.

반면, 키 삽입구(110)가 온(ON)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오프(OFF)상태와는 달리 연결해지신호가 생성되지 않게 되는데, 연결해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본체부(100)와 케이블 간의 결합이 해지되거나 케이블과 모바일 단말기 간의 결합이 해지되면 경보신호가 생성되어 본체부(100)에 마련된 스피커와 같은 경보부(140)를 통해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in a state in which the key insertion port 110 is turned on, a connection cancellation signal is not generated unlike the off state. In a state where the connection cancellation signal is not received, When the connection is canceled or the coupling between the cable and the mobile terminal is canceled, an alarm signal is generated to generate an alarm sound through the alarm unit 140 such as a speaker provided in the main body unit 100.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는 결합해지신호에 의해 경보부(140)에서 경보음이 발생되면, 키 삽입구(170)에 키(200)가 삽입되어 키 삽입구(170)가 오프(OFF)상태이더라도 리모컨과 같은 외부장치로부터 경보해제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경보음이 중단되지 않도록 마련된다. In the main bod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n alarm sound is generated by the alarm unit 140 due to the release signal, the key 200 is inserted into the key insertion slot 170, and the key insertion slot 170 is turned off The alarm sound is not interrupted unless an alarm release signal is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remote controller.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rol box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는 도 1 내지 4에서와 같이 본체부(100) 및 키(200)를 포함하고, 본체부(100)의 키 삽입구(170) 및 키(20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로부터 충분히 유추가능하거나 동일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control box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and a key 200 as shown in FIGS. 1 to 4 and includes a key insertion slot 170 and a key 200 The remaining configurations can be sufficiently deduced from the control box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or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 삽입구(170) 및 키(200)는 본체부(100)가 타인에 조작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삽입구(170) 및 키(200)와는 달리 복수 개로 마련되고, 본체부(100)는 복수의 키(200)가 복수의 키 삽입구(200)에 각각 삽입되어 동시에 기설정된 방향으로 회전되어야 구동 또는 미구동된다. The key insertion port 170 and the key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include a key insertion port 170 and a key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enhancing security by preventing the main body 100 from being operated by another person And the body 100 is driven or not driven until the plurality of keys 200 ar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key insertion openings 200 and simultaneously rot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복수의 키 삽입구(170) 및 복수의 키(200)는 다양한 설정을 통해 본체부(100)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게 된다. The plurality of key insertion openings 170 and the plurality of keys 200 can enhance the security of the main body 100 through various settings.

예를 들면 본체부(100)의 작동은 단일의 키 삽입구(170)에 단일의 키(200)가 삽입되어 온(ON)상태로 회전되더라도 구동되도록 설정하고, 본체부(100)의 미작동은 복수의 키 삽입구(170)에 복수의 키(200)를 각각 삽입하여 오프(OFF)상태로 회전되어야만 미작동되도록 설정되는 것이다. For example, the operation of the main body 100 is set to be driven even when the single key 200 is inserted into the single key insertion opening 170, And is set to be inoperative only by inserting a plurality of keys 200 into a plurality of key insertion openings 170 and turning them into an OFF state.

또 다른 예로는 키 삽입구(170)가 회전되어 있는 방향을 서로 달리 하여 본체부(100)의 구동 및 미구동뿐만 아니라 보안모드, 비보안모드 등 모드가 달리 구현되도록 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key insertion port 170 may be rotated in different directions to realize different modes such as a security mode and a non-security mode as well as driving and non-driving of the main body 100.

구체적으로, 단일의 키 삽입구(170)와 단일의 키(200)만을 이용하여 본체부(100)가 구동 또는 미구동되도록 하고, 복수의 키 삽입구(170)에 복수의 키(200)가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동시에 왼쪽에 위치된 키 삽입구(170)는 온(ON) 방향으로 회전되고 오른쪽에 위치된 키 삽입구(170)는 오프(OFF) 방향으로 회전되면 보안모드로 동작되도록 설정되는 것으로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Specifically, the main body 100 is driven or not driven by using only the single key insertion port 170 and the single key 200, and a plurality of keys 200 ar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key insertion ports 170 It is assumed that the key insertion port 170 positioned at the left side is rotated in the ON direction and the key insertion port 170 positioned at the right side is set to be operated in the security mode when the key insertion port 170 is rotated in the OFF direction It will be possible.

또한, 리모컨과 같이 경보해제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외부 장치를 미소지한 상태에서 단순한 실수로 경보음이 발생되면 경보음을 중단할 수 있도록 복수의 키 삽입구(170)에 복수의 키(200)가 각각 삽입되어 이상에서와 같이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되면 경보해제신호가 생성되도록 하여 경보음 중단되도록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keys 200 are provided on the plurality of key insertion openings 170 so as to stop the alarm sound when an alarm sound is generated in a simple mistake in a state in which an external device for generating an alarm release signal, such as a remote control,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 alarm canceling signal so that the alarm sound is interrupted.

이상에서와 같이 키 삽입구(170) 및 키(200)의 동작에 따른 본체부(100)의 모드 설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이상에서 보다 다양하게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 턴키방식과 누름스위치를 병행하여 본체부(100)가 동작되도록 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ode setting of the main body 1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key insertion port 170 and the key 200 is merely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 The main body 100 may be operated in parallel with the turn key system and the push switch.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싱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 : 본체부 110 : 전원부
120 : 단자부 130 : 경보부
140 : 리모컨 수신부 150 : 보조 전원부
160 ; 제어부 170 : 키 삽입구
200 : 키
100: main body 110: power source
120: terminal part 130: alarm part
140: remote control receiver 150: auxiliary power supply
160; Control unit 170:
200: Key

Claims (3)

케이블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전력을 공급하고, 연결해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의 연결이 해지되면 경보신호가 생성되어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하며, 온-오프를 위한 키 삽입구를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키 삽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부의 동작을 온-오프(on-off)하기 위해 마련되는 키;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해지신호는,
상기 본체부가 상기 키에 의해 오프(off)되면 생성되는 신호이며,
상기 키 및 상기 키 삽입구는 복수 개로 마련되고,
상기 본체부는, 복수의 키가 복수의 키 삽입구에 각각 삽입되는 동시에 기설정된 방향으로 회전되어야 구동 또는 미구동되며,
상기 기설정된 방향은,
상기 복수의 키가 유출되더라도 타인에 의해 상기 본체부의 동작이 오프(off) 되지 못하도록 상기 복수의 키 삽입구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정되며,
상기 본체부는,
연결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의 연결이 해지되면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가 구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가 충전되고, 상기 전원부의 구동이 중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원부가 다시 구동되거나, 상기 충전된 배터리의 전원이 완전히 방전될 때까지 구동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은 중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이 해지되면 상기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전력을 공급하는 것만 유지하는 보조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박스.
An alarm signal is generated and an alarm sound is generated when the conne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is terminated in a state in which a connection release signal is not received and an on- A main body including a key insertion port for the key; And
And a key inserted into the key insertion port and provided for on-off operation of the main body,
The connection cancellation signal,
A signal generated when the main body unit is turned off by the key,
The key and the key insertion port are provided in plural,
Wherein the main body is driven or not driven until a plurality of keys ar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key insertion openings and simultaneously rot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is a direc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keys are set so as to be rotated in differen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key insertion ports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main body unit can not be turned off by a third person even if the plurality of keys are leaked,
Wherein,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nected mobile terminal and supplying electric power to generate an alarm sound when the conne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is canceled; And
When the power source unit is driven, the power source unit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power source unit to charge the battery. When the power source unit is stopped, the power source unit is driven again or until the power source of the charged battery is completely discharged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power unit for maintaining only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so as to stop the power supply and to generate the alarm sound when the conne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is disconnected.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경보음이 발생된 상태에서는 상기 키가 상기 키 삽입구에 삽입되어 오프(off)되더라도 경보해제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경보음이 중단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박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the alarm sound is not interrupted if an alarm cancel signal is not received even if the key is inserted into the key insertion slot and turned off in a state where the alarm sound is generated.
KR1020140097286A 2014-07-30 2014-07-30 Control box for provent stolen of the mobile device KR1016338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286A KR101633835B1 (en) 2014-07-30 2014-07-30 Control box for provent stolen of the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286A KR101633835B1 (en) 2014-07-30 2014-07-30 Control box for provent stolen of the mobil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467A KR20160015467A (en) 2016-02-15
KR101633835B1 true KR101633835B1 (en) 2016-06-27

Family

ID=55356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7286A KR101633835B1 (en) 2014-07-30 2014-07-30 Control box for provent stolen of the mobi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3835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2130A (en) * 2009-09-22 2011-03-30 변지은 A burglarproof device for bicycles
KR20110003933U (en) * 2009-10-15 2011-04-21 임동규 Bicycle antitheft for lock device
KR20120116599A (en) * 2011-04-13 2012-10-23 최호정 An antitheft system for electronic equipment using us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467A (en) 201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692300U (en) A kind of for guaranteeing the security system that commodity are the most stolen
US7936267B2 (en) Theft protection
US10510228B2 (en) Security system with kill switch functionality
EP1690648B1 (en) Power tool system
US102238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librating a wireless security range
EP2742497A2 (en) Proximity tag
WO2015141416A1 (en) Dongle device for audio/music device
JP2015192311A (en) Portable device cover
US2007001323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electronic devices
JP2015081504A (en) Electronic locking system and electronic key for controlling electronic locking system
US20060148449A1 (en) Anti-theft system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KR101633835B1 (en) Control box for provent stolen of the mobile device
KR101664020B1 (en) A safe for mobile device and a depository using the same
CN103903404A (en) Base and display device
KR101633828B1 (en) Control box for provent stolen of the mobile device and method there of
US20150314753A1 (en) Portable, self-contained anti-theft alarm system for the cargo compartment of a vehicle
JP2012080724A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WO2017031313A1 (en) Security system with benefit denial functionality
JP2014223687A (en) Non-contact rechargeable electric tool system
WO2012102164A1 (en) Wireless lan terminal and method for preventing removal of same
KR20160128648A (en) Notebook anti-theft adapter with battery
KR101618678B1 (en) Beacon having prevention function to misuse and steal and management system thereof
JP2007005855A (en) Encryption communication system, encryption key setting method, communication terminal, and breaker apparatus
TWM515499U (en) Wireless battery control system
KR102057695B1 (en) Antitheft smart device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