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3731B1 - 종기 제거기 - Google Patents

종기 제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3731B1
KR101633731B1 KR1020140034908A KR20140034908A KR101633731B1 KR 101633731 B1 KR101633731 B1 KR 101633731B1 KR 1020140034908 A KR1020140034908 A KR 1020140034908A KR 20140034908 A KR20140034908 A KR 20140034908A KR 101633731 B1 KR101633731 B1 KR 101633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water pump
switch
needl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1228A (ko
Inventor
강정길
노진호
강지희
노상철
Original Assignee
강정길
강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정길, 강지희 filed Critical 강정길
Priority to KR1020140034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731B1/ko
Publication of KR20150111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0Instruments, other than pincettes or toothpicks, for removing foreign bodies from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rmat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종기제거기는 워터펌프, 스위치부, 석션부, 튜브부 및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워터펌프는 석션과 배출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워터펌프에 압력을 가하여 구동을 발생시키며, 상기 석션부는 상기 워터펌프의 구동에 의해 상기 염증을 석션 또는 상기 식염수를 배출하며, 상기 튜브부는 상기 염증과 상기 식염수를 보관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튜브부와 상기 워터펌프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종기 제거기{PIMPLE REMOVER}
본 발명은 제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기 내부의 염증을 제거하고 식염수로 소독하는 종기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피부에 생겨나는 일반적인 피부질환으로써 종기, 피지, 여드름 등이 존재한다. 종기는 모낭이 세균에 감염이 되어 노란 고름이 잡히면 모낭염이 심해지고 커져서 결절이 생긴 것을 종기라고 하고, 피지는 피부에 있는 피지 선에서 나오는 분비물이며, 여드름은 피지 선에 발생한 염증이다.
위와 같은 피부 질환들은 대부분 세균감염, 스트레스, 남성호르몬 증가의 영향으로 발생하게 되며, 근본적인 치료로 아직까지 명확히 알려진 것은 없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이를 방치하거나 짜서 터트리는 방법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방법은 보통 양손을 이용하여 제거하고자 하는 종기, 여드름 또는 피지 부위를 압박하여 염증 부위를 돌출시키고, 돌출된 염증 부위를 터트려 그 안의 내용물을 제거하는 것이다.
하지만 양손을 동일한 압력으로 해당 부위를 압박하는 방법은 손이 오염된 경우 염증이 악화될 수 있고, 종기를 짤 때마다 원하는 결과를 얻기가 어렵다. 또한 날카롭고 단단한 손톱으로 인해 모공에 상처를 유발하여 붉은 반점이나 부어오름 또는 가려움 증상이 발생할 수 있고, 흉터가 남을 가능성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3-0061321에서는, 공기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피부에 형성된 여드름 또는 피지를 흡입하기 위한 발명을 개시하고 있고, 여드름 또는 피지의 크기에 따라 접촉캡을 교체가 가능하지만, 한번 사용할 경우 여드름 또는 피지의 염증에 의해 오염되어 다른 부위에 사용할 경우 여드름 또는 피지가 재발할 가능성이 크고,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3-0022998에서는 바늘로 여드름을 터뜨리고 음압을 가하여, 여드름내의 피지를 제거하는 핸드피스 팁 발명을 개시하고 있고, 바늘을 탈부착 가능하지만 선행 발명 1의 문제점과 같이 오염에 의한 재발의 가능성의 문제점이 있고, 염증의 저장용기를 따로 휴대해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여드름 및 피지를 제거하고 난 후 살균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여드름이 제거된 부위가 치유되는 과정에서 흉터가 남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기의 내부의 염증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제거한 부위를 살균하여 흉터를 남기지 않는 제품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기를 제거하고 살균하여 흉터와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종기제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종기제거기는 워터펌프, 스위치부, 석션부, 튜브부 및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워터펌프는 석션과 배출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워터펌프에 압력을 가하여 구동을 발생시키며, 상기 석션부는 상기 워터펌프의 구동에 의해 상기 염증을 석션 또는 상기 식염수를 배출하며, 상기 튜브부는 상기 염증과 상기 식염수를 보관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튜브부와 상기 워터펌프를 커버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석션부는 상기 튜브부와 연결되는 니들과 상기 니들의 외부에 형성되는 압지관 및 상기 압지관의 외부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와 결합하는 압지관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니들은 상기 압지관과 탈부착이 가능하고 외부로 돌출되면 종기의 내부로 주입되며, 상기 압지관은 종기를 압박하고, 상기 압지관 커버의 내부에서 슬라이드가 가능하며, 상기 압지관 커버는 종기를 압박하고, 상기 니들과 상기 압지관을 커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튜브부는 상기 워터펌프와 연결되어, 주입되는 상기 염증을 보관하는 오물튜브와 상기 워터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식염수를 보관하는 식염수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압지관과 연결되고, 누르면 상기 워터펌프와 접촉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워터펌프 상부에 형성되어 누르면 상기 워터펌프와 접촉하는 제2 스위치, 및 상기 니들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3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스위치는 상기 니들이 외부로 슬라이드하면 외부로 돌출되고, 누르면 상기 니들은 탄성에 의해 내부로 슬라이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펌프는, 상기 제1 스위치의 압력으로 상기 염증의 석션을 위한 펌핑을 하고, 상기 제2 스위치의 압력으로 상기 식염수의 배출을 위한 펌핑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튜브부와 상기 워터펌프를 둘러싸고, 일단은 상기 석션부와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스위치부와 결합하며, 중앙에 제1 및 제2 투명창들이 형성되어 상기 튜브부의 액체 보관량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종기제거기는 기존의 종기제거기와 달리 온열팁이 있어 종기를 제거하고 남을 수 있는 흉터의 발생을 억제하는데 큰 효과가 있고, 크기가 작아 휴대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기 내부의 상기 염증을 석션하고 식염수를 주입하여 남은 상기 염증의 잔존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식염수를 사용하여 3차례 세척함으로써 상기 종기가 발생한 부위를 살균 및 소독하는데 효과가 있다.
상기 니들과 상기 튜브부는 각각 오염되거나 손상이 발생한 경우 탈착하여 교체가 가능하며,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형성된 상기 제1 및 제2 투명창들을 통해 상기 오물튜브와 상기 식염수 튜브에 각각 채워져 있는 상기 염증 및 식염수의 양을 체크하여 상기 염증을 배출하거나 식염수를 주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종기제거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종기제거기의 제1 및 제2 투명창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종기제거기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종기제거기의 석션부와 튜브부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종기제거기의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종기제거기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블록선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션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종기제거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종기제거기(10)는 석션부(11), 튜브부(12), 스위치부(13), 케이스(14) 및 워터펌프(15)를 포함하고, 상기 석션부(11)는 니들(101), 압지관(102) 및 압지관커버(103)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부(12)는 식염수 튜브(110) 및 오물튜브(111)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부(13)는 제1 스위치(104), 제2 스위치(105) 및 제3 스위치(10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종기제거기(10)의 상기 니들(101)이 형성된 방향을 나타낸다.
도 1의 상기 니들(101)은 내부에 미세한 관이 형성된 바늘로써, 일단은 날카로워 종기의 내부를 쉽게 관통할 수 있고 타단은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압지관(102) 내부에 장착이 가능하다. 상기 니들(101)은 식염수로 인한 세척의 한계 때문에 일정기간 사용 후 교체가 가능하고 재질은 플라스틱, 실리콘 및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종기, 여드름 및 피지는 통칭하여 종기로 한다.
한편, 상기 니들(101)은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니들(101)이 상기 종기제거기(10)의 내부로 들어가는 깊이를 조절 할 수 있고, 상기 니들(101)의 길이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종기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니들(101)의 종류를 달리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압지관(102)은 상기 니들(101)을 커버하고, 상기 압지관커버(103)의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압지관(102)은 도 1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제1 스위치(104)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스위치(104)를 상기 제1 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압지관(102)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움직이고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스위치(104)가 움직이면 상기 니들(101)도 동시에 움직이게 된다.
상기 압지관 커버(103)는 상기 압지관(102)을 커버하고 상기 케이스(14)와 결합하게 된다. 상기 압지관 커버(103)를 통해서 상기 튜브부(12)의 교체가 가능하고 상기 튜브부(12)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결국 상기 석션부(11)는 각각 분리가 가능하여 상기 종기제거기(10)에서 탈착 및 부착이 가능하고, 오염되거나 손상된 부분이 발생할 경우, 상기 니들(101), 상기 압지관(102) 및 상기 압지관 커버(103)들 중 하나를 교체하여 해결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종기의 상태에 적합한 상기 니들(101)을 선택하여 치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의 상기 종기제거기(10)의 내부에는 상기 튜브부(12)가 형성된다. 상기 튜브부(12)는 상기 식염수 튜브(110)와 상기 오물튜브(111)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물튜브(111)는 상기 종기 내부의 염증을 상기 니들(101)을 통해 석션하여 저장하는 공간이고, 상기 식염수 튜브(110)는 상기 염증의 석션 후 상기 염증이 있던 공간을 살균 및 세척하기 위해 주입되는 식염수를 저장하게 된다.
상기 식염수 튜브(110)와 상기 오물튜브(111)의 일단은 각각 상기 니들(101)과 결합되고, 타단은 각각 상기 워터펌프(15)와 결합된다. 상기 오물튜브(111)와 상기 식염수 튜브(110)는 상기 압지관 커버(103)를 개폐하고, 상기 워터펌프(15)와 분리하여 식염수를 공급하거나 세척 및 교체가 용이하여, 오염의 가능성이 줄어들 게 된다. 또한, 상기 식염수 튜브(110)와 상기 오물튜브(111)의 재질은 내부가 드러나는 투명한 재질의 아크릴, 실리콘 또는 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종기제거기(10)의 후면에는 상기 스위치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 1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제1 스위치(104)는 상기 종기제거기(10)의 내부의 연결부를 통해 상기 압지관(102)과 연결되어 사용자가 누르면 상기 종기제거기(10)의 끝단에서 상기 압지관(102)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스위치(104)는 스프링이 결합되어 있어 상기 압지관(102)과 결합된 상기 니들(101)이 쉽게 움직이지 않도록 일정한 힘을 가해야 움직이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스위치(104)를 누르게 되면 상기 제1 스위치(104)에 형성된 공이가 상기 워터펌프(15)의 후면에 형성된 석션 스위치를 누르게 되고, 상기 워터펌프(15)가 펌핑하며 상기 오물튜브(111)를 통해 상기 종기 내부의 염증을 석션하게 된다. 상기 제1 스위치(104)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3 스위치(106)가 돌출되어 상기 압지관(102)과 연결된 상기 연결부를 고정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스위치(104)를 1mm 정도로 상기 제1 방향으로 움직여도 상기 제3 스위치(106)의 걸쇠에 의해 상기 연결부가 고정되어 상기 니들(101)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3 스위치(106)를 누르게 되면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니들(101)은 상기 종기제거기(10)의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반면 상기 제1 스위치(104)를 누르는 압력을 줄이면, 상기 제1 스위치(104)는 상기 공이와 함께 상기 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돌아가게 되며, 반대로, 상기 제1 스위치(104)를 누르는 압력을 높이면, 상기 공이가 상기 석션 스위치에 가하는 힘이 커지면서 상기 워터펌프(15)가 상기 종기 내부의 염증을 석션하는 힘이 강해지게 된다.
상기 워터펌프(15) 상부에는 상기 워터펌프(15)를 작동시켜 상기 식염수 튜브(110) 내부의 식염수를 상기 니들(101)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스위치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스위치(105)를 하부를 향해 누르게 되면 상기 워터펌프(15) 상부에 위치한 상기 스위치가 눌려지게 되어 상기 식염수가 배출된다.
한편, 상기 제2 스위치(105)는 상기 제1 스위치(104)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1 스위치(104)가 눌려질 경우 상기 워터펌프(15)에 압력을 가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제1 스위치(104)에 의한 석션 도중에 상기 제2 스위치(105)에 의한 상기 식염수의 배출이 불가능하여, 상기 식염수의 불필요한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종기제거기(10)의 사용으로 종기 제거가 마무리되면 상기 제3 스위치(106)를 눌러 상기 니들(101)을 내부로 이동시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1의 상기 케이스(14)는 상기 튜브부(12)와 상기 워터펌프(15)를 둘러싸고 있으며, 일단은 상기 압지관 커버(103)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스위치부(13)와 결합된다. 상기 케이스(14)의 내부는 상기 튜브부(12)외에 상기 워터펌프(15)를 위한 배터리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종기제거기의 제1 및 제2 투명창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100)는 내부를 주시할 수 있는 제1 투명창(112)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투명창(112)은 상기 케이스(100)의 일면에 원형으로 생성되어 상기 식염수 튜브(110) 내부에 남아있는 식염수의 양의 측정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식염수 튜브(110) 내부의 식염수의 양을 수시로 체크하여, 상기 식염수의 양이 적은 경우 상기 석션부(11)를 탈착하여 상기 식염수 튜브(110)에 상기 식염수를 주입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100)와 상기 제1 투명창(112)의 재질은 플라스틱이나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플라스틱이 아닌 나무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종기제거기는 제2 투명창(113)을 더 포함한다.
도 2b는 상기 종기제거기(10)가 완성된 모습을 나타내며, 사용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니들(101)은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압지관(102)과 상기 케이스(100) 내부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1 스위치(104)를 누르게 되면 상기 압지관(102)과 함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제2 투명창(113)은 상기 케이스(100)의 일면에 원형으로 생성되어 상기 오물튜브(111) 내부에 남아있는 상기 종기 내부의 염증의 양의 측정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오물튜브(111) 내부의 염증의 양을 수시로 체크하여, 상기 염증이 들어갈 공간이 부족한 경우 상기 석션부(11)를 탈착하여 상기 오물튜브(111)의 상기 염증을 배출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하게 된다.
도 3은 도 1의 종기제거기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종기제거기(10)는 상기 제1 스위치(104)의 후면에 온열팁(107)을 더 포함한다.
상기 온열팁(107)은 LED 블루라이트가 형성되어 발광함과 동시에 30~50도의 열을 발산하여 상기 종기를 제거한 후 남아 있는 오염물질에 대한 살균과 마사지를 하게 된다. 상기 온열팁(107)의 살균과 마사지를 통해서 외부의 오염물질에 대한 2차감염을 예방하게 되고, 상기 종기를 제거하고 남은 염증들을 제거할 수 있어 흉터의 발생을 억제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온열팁(107)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는 배터리와 연결되어 상기 LED 블루라이트를 발광시키며, 상기 LED 블루라이트의 표면에 돌기들이 형성되어 상기 마사지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온열팁의 재질은 세라믹이나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50도 이상으로 열이 높아질 경우 자동으로 전력을 차단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상기 온열팁(107)의 작동은 상기 종기제거기(10)가 상기 종기를 제거한 후 상기 제3 스위치(106)를 눌러 상기 니들(101)이 상기 압지관(102)과 상기 케이스(100) 내부로 이동하면 시작하게 된다. 상기 온열팁(107)의 작동 시간은 내부 회로의 설정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온열팁(107)의 작동이 중단된 경우, 상기 제1 스위치(104)를 누르고 돌출된 상기 제3 스위치(106)를 누르게 되면 다시 작동하게 된다.
도 4는 도 1의 종기제거기의 석션부와 튜브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니들의 일단은 날카롭고 내부에 통로가 있어 액체가 드나들 수 있게 된다. 반면 타단은 두 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구멍들은 각각 상기 식염수 튜브(110)와 상기 오물튜브(111)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니들(101)을 통해서 석션되는 상기 염증은 상기 오물튜브(111)와 연결된 상기 구멍들 중 하나를 통해 상기 오물튜브(111)로 주입되고, 상기 식염수는 상기 식염수 튜브(110)에서 배출되어 상기 식염수 튜브(110)와 연결된 상기 구멍들 중 하나를 통해 상기 니들(101)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니들(101)은 상기 제1 스위치(104)의 작동으로 외부로 이동하거나 상기 압지관(102)과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로 이동하므로, 상기 튜브부(12)와 상기 니들(101)의 타단에 형성된 두 개의 구멍들은 각각 탄성을 가지고 있는 튜브로 연결된다.
도 5는 도 1의 종기제거기의 사용방법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압지관(102)과 상기 압지관 커버(103)는 상기 염증(200)을 감싸고 있는 상기 종기를 압박하고, 상기 제1 스위치(104)를 눌러 상기 니들(101)을 상기 종기 내부로 주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스위치(104)를 누르는 힘에 비례하여, 상기 워터펌프(15)가 작동하여 상기 오물튜브(111)의 내부로부터 상기 염증(200)을 석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압지관(102)과 상기 압지관 커버(130)는 상기 염증(200)의 외부 표면을 압박하여, 상기 염증(200)이 상기 니들(101)을 통해 상기 오물튜브(111)의 내부로 이동하도록 압박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압지관(102)과 상기 압지관 커버(130)는 다양한 모양의 종기를 압박하기 적합하고, 교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종기제거기(10)가 상기 염증(200)을 대부분 석션한 후, 상기 제3 스위치(105)를 누르면 상기 워터펌프(15)가 펌핑을 시작하여 상기 식염수 튜브(110) 내의 식염수는 상기 니들(101)을 통해 상기 염증(200)이 위치해 있던 공간에 주입된다. 상기 식염수는 상기 공간에 주입되어 남아있는 상기 염증(200)의 잔존물을 세척하고, 2차 오염을 대비하여 상기 염증(200)이 있던 부위를 살균하게 된다.
상기 종기를 제거하기 위한 상기 석션 및 상기 식염수 주입 과정은 각각 총 3회 이상이 적합하며, 상기 종기의 크기와 상태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한편, 상기 니들(101)의 길이는 한정되어 있지 않으며, 교체에 의해서 다양한 길이의 니들을 사용가능 하고, 상기 니들(101)을 회전시켜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종기제거기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블록선도이다.
상기 석션부(11)를 상기 종기의 표면을 향하여 위치시키고, 상기 제1 스위치(104)를 천천히 누르면 상기 니들(101)은 상기 종기 내부로 주입되며 동시에 상기 워터펌프(15)가 펌핑하여 상기 오물튜브(111)를 통해 상기 종기 내부의 상기 염증(200)을 석션하게 된다(단계 S101).
상기 종기 내부의 상기 염증(200)을 석션하여 공간이 발생하면, 상기 제1 스위치(104)에 가해지는 압력을 낮추어 상기 워터펌프(15)의 석션을 중단시키고, 상기 제 2 스위치(105)를 눌러서 상기 식염수 튜브(110) 내부의 식염수를 주입하고 다시 상기 제1 스위치(104)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식염수를 석션한다(단계 S102).
상기 제1 스위치(104)에 가해지는 압력을 낮추어 상기 워터펌프(15)의 석션을 중단시키고, 상기 제 2 스위치(105)를 눌러서 상기 식염수 튜브(110) 내부의 식염수를 2차로 주입하고, 다시 상기 제1 스위치(104)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식염수를 석션한다(단계 S103).
상기 제1 스위치(104)에 가해지는 압력을 낮추어 상기 워터펌프(15)의 석션을 중단시키고, 상기 제 2 스위치(105)를 눌러서 상기 식염수 튜브(110) 내부의 식염수를 3차로 주입하고, 다시 상기 제1 스위치(104)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식염수를 석션한다(단계 S104).
상기 식염수의 3차 세척이 마무리 된 후 상기 종기제거기(10)의 상기 온열팁(107)을 상기 종기가 제거된 부위에 접촉시켜 상기 부위를 살균 및 마사지하게 된다(단계 S105).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종기제거기(10)는 기존의 종기제거기와 달리 온열팁이 있어 종기를 제거하고 남을 수 있는 흉터의 발생을 억제하는데 큰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종기 내부의 상기 염증(200)을 석션하고 식염수를 주입하여 남은 상기 염증(200)의 잔존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식염수를 사용하여 3차례 세척함으로써 상기 종기가 발생한 부위를 살균 및 소독하는데 효과가 있다.
상기 니들(101)과 상기 튜브부(12)는 각각 오염되거나 손상이 발생한 경우 탈착하여 교체가 가능하며, 상기 케이스(14)의 외부에 형성된 상기 제1 및 제2 투명창(112, 113)들을 통해 상기 오물튜브(111)와 상기 식염수 튜브(110)에 각각 채워져 있는 상기 염증(200) 및 식염수의 양을 체크하여 상기 염증을 배출하거나 식염수를 주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종기를 제거하고 식염수와 온열팁으로 살균 및 소독을 하여 흉터발생을 억제하는 종기제거기는 종기의 발생으로 거동이 힘든 환자를 위해 대부분의 병원 및 가정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10 : 종기제거기 11 : 석션부
12 : 튜브부 13 : 스위치부
14 : 케이스 15 : 워터펌프
101 : 니들 102 : 압지관
103 : 압지관 커버 104 : 제1 스위치
105 : 제2 스위치 106 : 제3 스위치
107 : 온열팁 110 : 식염수 튜브

Claims (8)

  1. 석션과 배출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워터펌프;
    상기 워터펌프에 압력을 가하여 구동을 발생시키는 스위치부;
    상기 워터펌프의 구동에 의해 염증을 석션 또는 식염수를 배출하는 석션부;
    상기 염증과 상기 식염수를 보관하는 튜브부; 및
    상기 튜브부와 상기 워터펌프를 커버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석션부는,
    상기 튜브부와 연결되는 니들과 상기 니들의 외부에 형성되는 압지관 및 상기 압지관의 외부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와 결합하는 압지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압지관과 연결되고 누르면 상기 워터펌프와 접촉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워터펌프 상부에 형성되어 누르면 상기 워터펌프와 접촉하는 제2 스위치; 및
    상기 니들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3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기제거기.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은 상기 압지관과 탈부착이 가능하고, 외부로 돌출되면 종기의 내부로 주입되며,
    상기 압지관은 종기를 압박하고, 상기 압지관 커버의 내부에서 슬라이드가 가능하며,
    상기 압지관 커버는 종기를 압박하고, 상기 니들과 상기 압지관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기제거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는,
    상기 워터펌프와 연결되어, 주입되는 상기 염증을 보관하는 오물튜브; 및
    상기 워터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식염수를 보관하는 식염수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기제거기.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스위치는,
    상기 니들이 외부로 슬라이드하면 외부로 돌출되고,
    누르면 상기 니들은 탄성에 의해 내부로 슬라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기제거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펌프는,
    상기 제1 스위치의 압력으로 상기 염증의 석션을 위한 펌핑을 하고,
    상기 제2 스위치의 압력으로 상기 식염수의 배출을 위한 펌핑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기제거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튜브부와 상기 워터펌프를 둘러싸고, 일단은 상기 석션부와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스위치부와 결합하며, 중앙에 제1 및 제2 투명창들이 형성되어 상기 튜브부의 액체 보관량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기제거기.












KR1020140034908A 2014-03-25 2014-03-25 종기 제거기 KR101633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908A KR101633731B1 (ko) 2014-03-25 2014-03-25 종기 제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908A KR101633731B1 (ko) 2014-03-25 2014-03-25 종기 제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228A KR20150111228A (ko) 2015-10-05
KR101633731B1 true KR101633731B1 (ko) 2016-06-27

Family

ID=54344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908A KR101633731B1 (ko) 2014-03-25 2014-03-25 종기 제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37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80394B2 (en) 2017-06-05 2024-05-14 Bateman Bottle, Llc Device for removal of implants and associated method of use
USD1024310S1 (en) 2019-03-28 2024-04-23 Bateman Bottle, Llc Implant removal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031Y1 (ko) * 2002-03-14 2002-11-23 주식회사 프라임 메디텍 자동 여드름 압출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765B1 (ko) * 2000-02-14 2006-07-12 강형철 여드름 치료기
KR100346504B1 (ko) * 2000-04-20 2002-08-01 장명우 휴대용 피부 미용기
KR20090108318A (ko) * 2008-04-11 2009-10-15 (주)한디 의료용 국부소독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031Y1 (ko) * 2002-03-14 2002-11-23 주식회사 프라임 메디텍 자동 여드름 압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228A (ko) 2015-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65329B (zh) 眼科医疗工具用清洗烘干装置
CN107949343A (zh) 用于抽除根管的装置及其使用方法
CN106984585B (zh) 一种内窥镜清洁装置
KR200489634Y1 (ko) 피부 미용기기
TW201731414A (zh) 安瓿直連型美容設備
KR20090087607A (ko) 의료용 세정 석션장치
KR20190080220A (ko) 초음파 프로브 자동 살균장치
CN112274092A (zh) 一种胸腔镜自动清洁装置
KR101633731B1 (ko) 종기 제거기
JP2020531235A (ja) 新型灌流抽出吸引システム
KR101289439B1 (ko) 여드름 제거장치
WO2017066620A1 (en) Energetic device for treating an eye disorder
CN111701107A (zh) 一种普外科手术冲洗装置
KR101298654B1 (ko) 외과수술용 세척장치
CN112890958A (zh) 一种外科用医用手套摘除回收装置
JP2013075033A (ja) 生体洗浄器、生体洗浄システムおよび生体洗浄方法
KR101713991B1 (ko) 석션기구와 약물주사장치
CN104784038A (zh) 一种火罐干燥存放装置、清洗装置、冲洗装置及处理系统
WO2018032750A1 (zh) 用于健康管理的伤口清洁装置
CN102120053B (zh) 电动负压式痤疮治疗器
KR20170005269A (ko) 약물주사장치
CN205463376U (zh) B超探头清洗装置
CN205094965U (zh) 中医内科手足熏蒸盆
CN210991420U (zh) 一种重症创伤创口冲洗护理装置
CN210056872U (zh) 一种超声检查探头的清洁消毒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