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3682B1 - 안내방송 청취를 위한 사용자 단말의 음성 출력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안내방송 청취를 위한 사용자 단말의 음성 출력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3682B1
KR101633682B1 KR1020150013358A KR20150013358A KR101633682B1 KR 101633682 B1 KR101633682 B1 KR 101633682B1 KR 1020150013358 A KR1020150013358 A KR 1020150013358A KR 20150013358 A KR20150013358 A KR 20150013358A KR 101633682 B1 KR101633682 B1 KR 101633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requency
user terminal
volume
con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3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승환
김성우
최대영
손세호
임상민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13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6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을 통해 음성 출력 기능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주위의 상황을 안내하는 안내 방송을 청취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의 음성 출력을 제어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방송 청취를 위한 사용자 단말의 음성 출력 제어 장치는, 사용자 단말의 음성 입력 수단을 통해 외부로부터 기설정된 제1 주파수를 갖는 제1 신호가 수신됨을 감지하는 제1 신호 감지부; 제1 신호 감지부로부터 제1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 시,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는 음성 컨텐츠의 음량을 기설정된 크기로 감소시키거나 음성 컨텐츠의 재생을 일시 정지하는 제1 출력 제어부; 제1 출력 제어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는 음성 컨텐츠의 음량이 기설정된 크기로 감소되거나 음성 컨텐츠의 재생이 일시 정지된 후, 사용자 단말의 음성 입력 수단을 통해 외부로부터 기설정된 제2 주파수를 갖는 제2 신호가 수신됨을 감지하는 제2 신호 감지부; 및 제2 신호 감지부로부터 제2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 시,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는 음성 컨텐츠의 음량을 원래 재생되었던 크기로 증가 시키거나, 음성 컨텐츠의 재생의 일시 정지를 해제하는 제2 출력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내방송 청취를 위한 사용자 단말의 음성 출력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audio output of user terminal for listening announcement}
본 발명은, 음악 등 음성 출력 기능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음성의 출력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음성 출력 기능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주위의 상황을 안내 또는 경고하는 안내음 또는 경고음을 청취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의 음성 출력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 등의 사용자 단말의 하드웨어 및 데이터 송수신 기술의 발달과, 이어폰 등 음성 출력 기기의 품질 향상 및 개인 컨텐츠 이용 문화의 활성화에 힘입어, 길거리 및 대중 교통 이용 시 음성 컨텐츠가 포함된 미디어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다. 음성 컨텐츠는 음원 사이트 등에서 이용 가능한 음성 전용 미디어 컨텐츠 이외에, 동영상 등 음성 컨텐츠와 영상 컨텐츠가 결합된 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된다.
사용자들은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어 있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 스트리밍되는 미디어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의 프로그램을 통해 재생하고, 이를 이어폰 등 음성 출력 기기를 이용하여 이용하게 된다.
이때, 이어폰 등 사용자의 귀에 장착하여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미디어 컨텐츠를 이용하는 경우, 길거리에서 자동차 등 이동 수단의 경적 소리를 포함하는 경고음 및 대중 교통에서 방송되는 안내 방송 음성을 듣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수단에 의한 교통 사고의 발생 및 대중 교통 안내 방송 음성을 듣지 못함에 따라서 대중 교통 이용 시의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어, 사용자 단말을 통한 음성 컨텐츠 청취 중 경고음 및 안내 방송음을 청쥐하도록 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39515호 등에서는, 열차 방송 시스템의 방송 여부를 감지하여, 열차 방송 시스템의 방송 시 이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기기의 출력을 정지시키기 위한 기술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의 기술의 경우, 열차 방송 시스템의 방송 여부를 감지하는 별도의 구성이 반드시 포함되어 있어야 하며, 이에 따라서 경고음 및 안내 방송의 출력 기기와 반드시 특정 방송 시스템의 방송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되어야 함에 따라서 다양한 경고음 및 안내 방송에 대한 호환성이 부족하고, 경고음 및 안내 방송의 출력 기기와 완전히 독립된 사용자 단말 자체에서의 음성 출력을 제어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은, 경고음 및 안내 방송의 출력 기기와 완전히 독립된 사용자 단말 자체에서 경고음 및 안내 방송의 출력을 판단하고, 이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고 있는 음성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경고음 및 안내 방송을 사용자가 정확하게 청취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방송 청취를 위한 사용자 단말의 음성 출력 제어 장치는, 사용자 단말의 음성 입력 수단을 통해 외부로부터 기설정된 제1 주파수를 갖는 제1 신호가 수신됨을 감지하는 제1 신호 감지부; 상기 제1 신호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1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 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는 음성 컨텐츠의 음량을 기설정된 크기로 감소시키거나 상기 음성 컨텐츠의 재생을 일시 정지하는 제1 출력 제어부; 상기 제1 출력 제어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는 음성 컨텐츠의 음량이 기설정된 크기로 감소되거나 상기 음성 컨텐츠의 재생이 일시 정지된 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음성 입력 수단을 통해 외부로부터 기설정된 제2 주파수를 갖는 제2 신호가 수신됨을 감지하는 제2 신호 감지부; 및 상기 제2 신호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2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 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는 음성 컨텐츠의 음량을 원래 재생되었던 크기로 증가 시키거나, 상기 음성 컨텐츠의 재생의 일시 정지를 해제하는 제2 출력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을 통해 음성 출력 수단으로부터 음악 등의 음성 컨텐츠가 재생되어 음성이 출력되는 도중이라도,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사용자 단말이 수신하게 되면, 자동으로 음성 컨텐츠가 재생되는 음량을 감소시키거나 재생을 일시 정지시키기 때문에, 이후 외부의 음성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안내 방송 등을 사용자가 정확하게 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특정 주파수의 신호의 수신 여부를 다른 주파수의 신호와의 음량의 크기 및 크기의 변화율을 통해 판별하기 때문에, 노이즈에 의하여 불필요하게 음성 컨텐츠가 재생되는 음량을 감소시키지 않고 정확하게 특정 주파수의 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방송 청취를 위한 사용자 단말의 음성 출력 제어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방송 청취를 위한 사용자 단말의 음성 출력 제어 장치의 기능 흐름에 관한 플로우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특정 주파수의 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 흐름에 관한 플로우차트.
도 4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구현을 위해 특정 주파수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푸리에 변환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구현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방송 청취를 위한 사용자 단말의 음성 출력 제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 등의 단위로 규정되는 안내방송 청취를 위한 사용자 단말의 음성 출력 제어 장치(이하 장치라 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장치가 수행하는 각 기능은, 해당 장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이 사용자 단말에 의해 실행되어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될 것이나, 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이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방송 청취를 위한 사용자 단말의 음성 출력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방송 청취를 위한 사용자 단말의 음성 출력 제어 장치의 기능 흐름에 관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과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방송 청취를 위한 사용자 단말의 음성 출력 제어 장치(10)는 제1 신호 감지부(11), 제1 출력 제어부(12), 제2 신호 감지부(13), 제2 출력 제어부(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1 신호 감지부(11) 및 제2 신호 감지부(13)는 기능 수행을 위하여 음성 입력 수단(15)과 연결되며, 제1 출력 제어부(12) 및 제2 출력 제어부(14)는 기능 수행을 위하여 음성 출력 수단(16)과 연결되어 있다.
제1 신호 감지부(11)는 사용자 단말의 음성 입력 수단(15)을 통해 외부로부터 기설정된 제1 주파수를 갖는 제1 신호를 수신함을 감지하는 단계(S10)를 수행한다. 외부라 함은, 본 발명의 목적 상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 장소에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 단말 이외의 음성 출력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대중 교통 수단에 설치된 방송용 스피커 또는 경고음 발생 수단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을 것이다.
사용자 단말의 음성 입력 수단(15)이라 함은, 마이크 등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주파수 및 신호의 음량 크기를 판별할 수 있는 모든 기기를 의미한다.
S10 단계의 구체적인 수행 과정에 대해서는 도 3에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신호 감지부(11)는 기설정된 제1 주파수를 포함하는 기설정된 대역폭의 제1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신호의 음량의 변화량이, 제1 주파수 대역 이외의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된 제3 주파수에 대응하는 신호의 음량의 변화량의 기설정된 배수보다 큰 조건인 제1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1)와, 제1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신호의 음량의 절대값이 제3 주파수에 대응하는 신호의 음량의 절대값보다 큰 조건인 제2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2)를 수행한다.
S11 및 S12 단계는 도 3에서 순차적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S11 단계 및 S12 단계에서의 제1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신호는 양 단계에서 동일한 주파수에 대응하는 신호로서 하나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하나 이상의 신호일 수 있다. 물론, 제3 주파수에 대응하는 신호 역시, 양 단계에서 동일한 주파수에 대응하는 신호로서 하나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하나 이상의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신호의 주파수인 제1 주파수가 18900Hz 라고 하면, 18997Hz 및 18990Hz로 제1 주파수 대역이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이하 도 4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할 푸리에 변환에 의하여 주파수 구간을 어떠한 구간으로 분할할지 여부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제3 주파수는 제1 주파수 대역 이외의 주파수들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값으로서, 제1 신호로서 의미가 있는 주파수 대역의 이외의 주파수들 중 선택된 값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해당 주파수는 상기의 제1 주파수 대역을 기준으로 할 때, 제1 주파수 대역보다 작은 주파수들 중 선택된 18616Hz 및 제1 주파수 대역보다 큰 주파수들 중 선택된 19272Hz가 될 수 있다.
S11 단계에 있어서, 선택된 각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음량의 변화량은 제1 신호를 수신하기 전 디폴트 음량에 비하여 해당 주파수의 음량이 얼마나 변화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값이다. 기설정된 배수는 제1 신호의 주파수 및 환경에 의해 변동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3배가 될 수 있다.
한편 S12 단계는 상기의 기준으로 S11 단계를 수행하는 동시에, 디폴트 음량의 크기에 관계없이 상기 선택된 주파수의 음량의 크기의 절대값을 비교하는 판단 단계를 의미한다.
이후 제1 신호 감지부(11)는 S11 및 S12 단계의 수행 결과 제1 조건 및 제2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1 신호가 음성 입력 수단(15)을 통해 정상적으로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13)를 수행하게 된다.
도 3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신호의 수신 여부를 절대값 비교를 통한 S12 단계만을 통해 판단하게 되면, 노이즈 등에 의해 제1 신호가 아닌 신호가 수신되더라도 제1 신호를 수신한 것으로 감지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부정확한 판단에 의해 불필요하게 음성 출력 수단(16)의 음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의 문제는 도 3의 실시예와 같은 방법을 통해 해결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더욱 정확하게 제1 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1 신호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초음파 영역의 주파수를 갖도록 하는 신호일 수 있다. 대중 교통에서의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을 통해 음성 컨텐츠를 재생하는 사용자의 경우 제1 신호가 음성 신호라도 음성 컨텐츠를 청취하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될 가능성이 적으나, 그렇지 않은 사용자들은 해당 신호를 청취하는 경우 불쾌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제1 신호는 초음파 영역의 주파수 중 어느 한 주파수를 갖는 신호로서, 안내방송 청취를 위한 사용자 단말의 음성 출력 제어 장치(10)의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들 중 어느 한 주파수를 갖는 신호임이 바람직하다.
제1 신호는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의 음성 출력 장치의 음량을 안내 방송 등의 청취를 위해 감소시키는 트리거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안내 방송 등은 다양한 장소 및 다양한 기기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안내 방송을 위한 제1 신호의 경우 대중 교통의 종류 등 안내 방송이 이루어지는 장소에 따라서 서로 다른 제1 신호를 통해 출력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안내방송 청취를 위한 사용자 단말의 음성 출력 제어 장치(10) 또는 제1 신호 감지부(11)에는 상기와 같이 다양한 제1 신호에 대한 주파수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특정하게 큰 신호가 음성 입력 수단을 통해 수신되는 경우, 라이브러리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와 일치하는 주파수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기능 흐름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여 제1 신호의 수신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다양한 장소에서 다양한 안내 방송을 정확하게 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도 1 및 2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와서, 제1 출력 제어부(12)는 도 2 및 도 3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기능 수행에 따라서 제1 신호 감지부(11)로부터 제1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는 음성 컨텐츠의 음량을 기설정된 크기로 감소시키거나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는 음성 컨텐츠의 재생을 일시 정지 하도록 사용자 단말의 음성 출력 수단(16)을 제어하는 단계(S20)를 수행하게 된다.
이를 통해, 외부에서 예를 들어 안내 방송의 출력 전 제1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들은 제1 신호를 수신 시 사용자 단말의 음성 출력 수단(16)에서 출력되는 음량이 자동으로 감소되거나 일시적으로 재생이 정지되어, 안내 방송을 정확하게 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2 신호 감지부(13)는, 제1 출력 제어부(12)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는 음성 컨텐츠의 음량이 기설정된 크기로 감소되거나 음성 컨텐츠의 재생이 일시 정지된 후에, 사용자 단말의 음성 입력 수단(15)을 통해 외부로부터 기설정된 제2 주파수의 음성 신호를 갖는 제2 신호를 수신함을 감지하는 단계(S30)를 수행한다.
이후, 제2 출력 제어부(14)는 제2 신호 감지부(13)로부터 제2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는 음성 컨텐츠의 음량을 원래 재생되었던 크기로 증가시키거나 음성 컨텐츠의 재생의 일시 정지를 해제하는 단계(S40)를 수행한다.
상기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신호가 안내 방송을 청취하기 위한 트리거 역할을 하는 신호인 경우, 안내 방송이 종료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때, 사용자가 수동으로 사용자 단말의 음성 출력 수단의 음량을 다시 증가시키도록 하게 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안내 방송이 종료되는 상황에서 발생되는 제2 신호를 수신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음성 컨텐츠의 음량을 원래의 음량으로 증가시키거나 일시 정지된 음성 컨텐츠의 재생을 재개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안내 방송이 종료되었음을 용이하게 알리는 한편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키도록 할 수 있다. 증가되는 음량은 감소 전 음성 컨텐츠가 출력되고 있었던 음량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을 것이다.
제2 신호 감지부(13)는 도 3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동일한 기능 수행을 통해 제2 신호가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도 3에서의 제1 주파수 대역은 제2 주파수를 사이에 포함하도록 설정된 제2 주파수 대역일 수 있으며, 제1 조건의 경우 제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음량의 변화량을 비교하는 제3 조건으로, 제2 조건의 경우, 제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음량의 절대값을 비교하는 제4 조건으로 치환될 수 있다. 제3 조건 및 제4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의 기능 수행에 관한 설명은 도 3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기 때문에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신호 감지부(13)는 제3 조건 및 제4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면, 제2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2 신호가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제2 출력 제어부(14)에 전송한다. 제2 출력 제어부(14)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S40 단계를 수행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재생되고 있는 음성 컨텐츠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구현을 위해 특정 주파수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푸리에 변환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의 음성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함수를 푸리에 변환(FFT, Fast Fourier Transform)을 사용하여 주파수를 분석하게 된다. 이를 통해, 주파수에 따른 푸리에 함수값은 연속적인 그래프(10)로 형성되는데, 이를 블록화하여 하나의 주파수에 따른 푸리에 함수값(11)을 추출함으로써, 연속적인 음파를 주파수별로 블록화하게 된다. 이후, 도 1 내지 3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주파수별 음량의 크기를 비교하여, 특정 주파수의 신호가 입력될 때, 해당 신호가 제1 신호 또는 경고음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 1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특정 장소에서 안내 방송이 송출되기 직전, 외부의 음성 출력 수단에서는 제1 신호(20)를 발생하여 외부에 송출하게 된다. 송출된 제1 신호(20)는 사용자 단말의 음성 입력 수단에 입력되어 도 3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알고리즘을 통해 제1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며, 이후 사용자 단말의 음성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음량의 크기를 감소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서 음성 컨텐츠를 청취하고 있는 사용자들은, 사용자 단말에서 음량을 자동으로 감소시키거나 재생을 일시정지하기 때문에, 이후 송출되는 안내 방송(30)을 청취할 수 있다.
안내 방송(30)이 종료되면, 사용자들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다시 음성 컨텐츠를 청취하고자 할 것이기 때문에, 외부의 음성 출력 수단에서는 도 1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제2 신호(40)를 발생하여 외부에 송출하게 된다. 사용자 단말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신호(20)의 수신 여부의 판단 과정과 동일하게 제2 신호(40)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여, 제2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 단말의 음성 출력 수단의 음량을 증가시키거나 일시 정지된 음성 컨텐츠의 재생을 재개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시 정상적으로 음성 컨텐츠를 청취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방송 청취를 위한 사용자 단말의 음성 출력 제어 장치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방송 청취를 위한 사용자 단말의 음성 출력 제어 장치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안내방송 청취를 위한 사용자 단말의 음성 출력 제어 장치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예: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커넥션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적어도 하나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안내방송 청취를 위한 사용자 단말의 음성 출력 제어 장치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Application Store Server),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Application Provider Server)에 포함된 저장매체(예: 하드디스크 등)이거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그 자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안내방송 청취를 위한 사용자 단말의 음성 출력 제어 장치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방송 청취를 위한 사용자 단말의 음성 출력 제어 장치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서 일반 PC로 다운로드 되어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적어도 하나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사용자 단말의 음성 입력 수단을 통해 외부 음성 출력수단으로부터 기설정된 제1 주파수를 갖는 제1 신호가 수신됨을 감지하는 제1 신호 감지부; 상기 제1 신호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1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 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는 음성 컨텐츠의 음량을 기설정된 크기로 감소시키거나 상기 음성 컨텐츠의 재생을 일시 정지하는 제1 출력 제어부; 상기 제1 출력 제어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는 음성 컨텐츠의 음량이 기설정된 크기로 감소되거나 상기 음성 컨텐츠의 재생이 일시 정지된 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음성 입력 수단을 통해 외부 음성 출력수단으로부터 기설정된 제2 주파수를 갖는 제2 신호가 수신됨을 감지하는 제2 신호 감지부; 및 상기 제2 신호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2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 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는 음성 컨텐츠의 음량을 원래 재생되었던 크기로 증가 시키거나, 상기 음성 컨텐츠의 재생의 일시 정지를 해제하는 제2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 신호 감지부는,
    상기 기설정된 제1 주파수를 포함하는 기설정된 대역폭의 제1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신호의 음량의 변화량이,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이외의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된 제3 주파수에 대응하는 신호의 음량의 변화량의 기설정된 배수보다 큰 조건인 제1 조건과,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신호의 음량의 절대값이, 상기 제3 주파수에 대응하는 신호의 음량의 절대값보다 큰 조건인 제2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감지하되,
    상기 제1 주파수 및 상기 제2 주파수는,
    초음파 영역의 주파수로서, 안내 방송 청취를 위한 사용자 단말의 음성 출력 제어 장치의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들 중 어느 한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방송 청취를 위한 사용자 단말의 음성 출력 제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 감지부는,
    상기 기설정된 제2 주파수를 포함하는 기설정된 대역폭의 제2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신호의 음량의 변화량이,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이외의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된 제4 주파수에 대응하는 신호의 음량의 변화량의 기설정된 배수보다 큰 조건인 제3 조건과,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신호의 음량의 절대값이, 상기 제4 주파수에 대응하는 신호의 음량의 절대값보다 큰 조건인 제4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방송 청취를 위한 사용자 단말의 음성 출력 제어 장치.
  4. 삭제
KR1020150013358A 2015-01-28 2015-01-28 안내방송 청취를 위한 사용자 단말의 음성 출력 제어 장치 KR101633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358A KR101633682B1 (ko) 2015-01-28 2015-01-28 안내방송 청취를 위한 사용자 단말의 음성 출력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358A KR101633682B1 (ko) 2015-01-28 2015-01-28 안내방송 청취를 위한 사용자 단말의 음성 출력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3682B1 true KR101633682B1 (ko) 2016-07-11

Family

ID=56499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3358A KR101633682B1 (ko) 2015-01-28 2015-01-28 안내방송 청취를 위한 사용자 단말의 음성 출력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368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423A (ko) * 1993-11-11 1995-06-15 박재룡 맹인용 길 안내장치
KR20070055191A (ko) * 2005-11-25 2007-05-30 베타웨이브 주식회사 위험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단말기를 이용한 위험 감지 방법
KR101360215B1 (ko) * 2011-10-11 2014-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423A (ko) * 1993-11-11 1995-06-15 박재룡 맹인용 길 안내장치
KR20070055191A (ko) * 2005-11-25 2007-05-30 베타웨이브 주식회사 위험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단말기를 이용한 위험 감지 방법
KR101360215B1 (ko) * 2011-10-11 2014-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6439B2 (en) Method and devices for outputting an audio file
US20090232325A1 (en) Reactive headphones
JP6497986B2 (ja) オーディオシステム、オーディオ装置、携帯端末装置、及びオーディオ信号制御方法
CN106302997B (zh) 一种输出控制方法、电子设备及系统
KR20140074549A (ko) 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한 상황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40019023A (ko) 전자 디바이스 상에서의 마스킹 신호 생성
US9641660B2 (en) Modifying sound output in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US20130101125A1 (en) Acoustic Shock Prevention Apparatus
KR20190019078A (ko) 오디오 스트림에서의 변경에 대한 사용자에의 경고
RU2014104295A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ослабления звука в транспортном средстве для прослушивания указаний от мобильных приложений
JP2016005268A (ja) 情報伝送システム、情報伝送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295669A (ja) 音声再生装置
KR102110515B1 (ko) 음향 광고 또는 음향 데이터를 재생하는 보청기
US9214914B2 (en) Audio device control program, mobile telephone, recording medium, and control method
KR101633682B1 (ko) 안내방송 청취를 위한 사용자 단말의 음성 출력 제어 장치
US94730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ltrasonic triggered audio reduction
WO2015030642A1 (en) Volume reduction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1609777B1 (ko) 이어폰 탈착 판별 장치, 방법, 및 이어폰 탈착 판별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N115022773A (zh) 蓝牙设备音频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1895471B2 (en) Method for operating a device having a speaker so as to prevent unexpected audio output
US11823551B2 (en) Detecting disturbing sound
KR101687894B1 (ko) 안전과 편의를 위한 사용자 단말의 음성 출력 제어 장치
US10937445B2 (en) Providing alerts for events
CN110809219A (zh) 播放音频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6941649B (zh) 改变车辆的音频输出模式的方法及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