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3487B1 - 차량 후면 공기 저항의 감소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후면 공기 저항의 감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3487B1
KR101633487B1 KR1020140138231A KR20140138231A KR101633487B1 KR 101633487 B1 KR101633487 B1 KR 101633487B1 KR 1020140138231 A KR1020140138231 A KR 1020140138231A KR 20140138231 A KR20140138231 A KR 20140138231A KR 101633487 B1 KR101633487 B1 KR 101633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ehicle
reducing
air resistance
rear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8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3712A (ko
Inventor
류수형
Original Assignee
브이티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티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브이티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8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487B1/ko
Publication of KR20160043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3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7/00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 B62D37/02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by aerodynam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62D35/007Rear spo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후면 공기 저항의 감소 장치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후면이 유선형이 아닌 형상이 되는 차량의 뒷면에서 발생되는 후면 와류로 인한 공기 저항을 감소시켜 연료 소비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차량 후면 공기 저항의 감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후면에 설치되는 공기 저항의 감소 장치는 공기의 주입에 의하여 차량 후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기둥을 형성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심 튜브(11); 중심 튜브(11)에 한쪽 끝이 연결되고 다른 끝은 상기 차량 후면에 고정될 수 있는 공기 유도 면(12a, 12b); 및 중심 튜브(11)에 공기를 주입 및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 이송 도관(151)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유도 면(12a, 12b)은 중심 튜브(11)의 공기 주입에 따라 뿔 형상이 된다.

Description

차량 후면 공기 저항의 감소 장치{Apparatus for Reducing Air Resistance at Rear Part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후면 공기 저항의 감소 장치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후면이 유선형이 아닌 형상이 되는 차량의 뒷면에서 발생되는 후면 와류로 인한 공기 저항을 감소시켜 연료 소비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차량 후면 공기 저항의 감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주행 과정에서 주행방향에 직각인 차량의 단면적이 갑자기 단절되면 뒤쪽 면이 진공 상태로 되고 이로 인하여 후면에 와류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화물차의 경우 화물 적재 공간의 최대화를 위한 차량 설계 구조의 제한으로 인하여 이와 같은 후면 기류로 인한 공기 저항은 더욱 커질 수 있다. 화물차의 경우 공기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공기 역학적으로 설계가 된 루프 스포일러가 캡 지붕에 설치되거나, 차량 측면에 사이드 스커트 또는 보트 테일이 장착될 수 있다. 루프 스포일러는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사이트 스커트에 의한 공기 저항의 감소는 사이트 스커트 자체의 구조로 인하여 한계가 있고 보트 테일은 모든 차량에 장착되기 어렵다.
특허공개번호 10-2009-0036065는 운전석 캐빈의 루프 위에 설치된 루프 스포일러와, 컨테이너의 후단에서 컨테이너의 상단과 이격되게 배치된 가이드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베인은 상기 컨테이너의 상단과 이격된 상태에서 나란히 배치되는 앞날개와, 상기 앞날개로부터 뒤쪽으로 연장되며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뒷날개로 구성되는 공기 저항 감소 장치를 가진 상용 차량에 대하여 개시한다.
실용신안등록번호 20-0267035는 박스형 화물차 적재함 후면 부분 전체에 부착되어 공기 소용돌이를 방지하고 기류를 유도하는 공기저항 감소 장치가 적재함 후면 부분 크기의 사각뿔 형태로 구성되는 공기 저항 감소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선행기술의 공기 저항의 감소 장치는 측면으로부터 발생되는 공기 저항의 감소가 어렵고 차량 자체에 견고한 구조물로 부착되어야 한다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감소 장치 전체에 공기를 주입시켜야 하므로 설치 및 제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문헌1: 특허공개번호 10-2009-0036065(서울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2009년04월13일 공개) 공기저항 감소장치를 구비한 상용 차량 선행문헌2: 실용신안등록번호 20-0267035(조희광, 2002년03월06일 공개) 박스형 화물차 후면부 공기저항 감소 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 및 제거가 간단하면서 차량 후면에서 발생되는 와류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후면 공기 저항의 감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차량 후면에 설치되는 공기 저항의 감소 장치는 공기의 주입에 의하여 차량 후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기둥을 형성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심 튜브; 중심 튜브에 한쪽 끝이 연결되고 다른 끝은 상기 차량 후면에 고정될 수 있는 공기 유도 면; 및 중심 튜브에 공기를 주입 및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 이송 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유도 면은 중심 튜브의 공기 주입에 따라 뿔 형상이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공기 유도 면의 경계를 형성하는 뿔 형성 면은 공기 튜브 구조가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뿔 형성 면은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중심 튜브의 끝으로 수렴되면서 단면이 점차적으로 작아지고, 상기 뿔 형성 면은 유체 흐름에 대하여 서로 연결되거나 또는 서로 분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후면 공기 저항의 감소 장치는 차량 후면에 발생하는 와류의 감소로 인하여 차량의 연료 소비가 감소되도록 한다. 또한 감소 장치는 차량 후면에 설치가 간단하면서 차량의 운행이 중지되는 경우 쉽게 제거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감소 장치는 공지의 장치에 비하여 차량의 후면 사용에 따른 불편이 감소되도록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저항의 감소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저항의 감소 장치의 기하학적 구조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저항 감소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저항의 감소 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저항의 감소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후면에 설치되는 공기 저항의 감소 장치(10)는 공기의 주입에 의하여 차량 후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기둥을 형성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심 튜브(11); 중심 튜브(11)에 한쪽 끝이 연결되고 다른 끝은 상기 차량 후면에 고정될 수 있는 공기 유도 면(12a, 12b); 및 중심 튜브(11)에 공기를 주입 및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 이송 도관(151)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유도 면(12a, 12b)은 중심 튜브(11)의 공기 주입에 따라 뿔 형상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저항의 감소 장치(10)는 탑 차량, 윙 바디 트럭, 트레일러 또는 컨테이너 차량과 같이 화물 수송을 위한 차량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대형 화물 차량 또는 컨테이너 차량의 후면에 후면 기류가 발생하게 되고 후면 기류에 따른 진공 형성으로 인하여 저항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저항의 감소 장치(10)는 이러한 후면 기류의 발생을 방지하여 공기 저항이 감소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후면 도어의 사용 또는 차량의 주행에 불편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저항의 감소 장치(10)는 차량의 후면 또는 뒷문에 간단히 부착되어 탈거되지 않고 고정적으로 사용되거나 필요에 따라 탈거가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차량 또는 독립된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주입에 의하여 팽창되는 공기 튜브에 의하여 골조 또는 골격이 형성될 수 있다. 감소 장치(10)는 전체적으로 예를 들어 방수포(tarpaulin 또는 tarp)와 같은 신축성 및 방수성을 가진 시트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방수성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차량은 후면은 도어를 가지지 않거나 도어를 가질 수 있고, 후면 도어는 단일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저항의 감소 장치(10)는 후면 도어의 구조에 적합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후면 도어의 구조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후면 도어가 2개의 여닫이 도어로 형성된 경우 각각의 도어에 공기 저항의 감소 장치(10)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 저항의 감소 장치(10)는 압축 공기가 주입된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사각뿔 형상이 될 수 있고 차량의 위쪽과 아래쪽 사이의 유속 차이를 고려하여 사각뿔의 정점(apex)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차량의 후면 도어를 통한 화물의 적재 및 적하의 경우, 저속 주행의 경우 또는 뒤 차량이 근접되는 경우 공기 튜브 내의 압축 공기가 배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감소 장치(10)가 차량의 후면 또는 후면 도어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각각의 공기 튜브는 단면의 원형이 되면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고 단면은 사각뿔의 정점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질 수 있다. 각각의 공기 튜브는 유체 흐름에 대하여 서로 연결되거나 서로 분리되어 독립될 수 있다. 또한 공기 튜브에 압축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제어 밸브는 운전석에서 원격으로 제어되거나 또는 수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추가로 사각뿔의 측면에 다양한 도안 또는 광고가 부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감소 장치(10)에 대하여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감소 장치(10)는 전체적으로 방수포(tarpaulin),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폴리비닐, 폴리프로필렌 또는 불소 수지(teflon)과 같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금속 또는 다른 비금속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고리(16a, 16b)와 같은 것은 적절한 합성수지, 금속, 합금 또는 비금속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된 소재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중심 튜브(11)는 원통 형상이 될 수 있고 중심 튜브(11)는 차량 후면 또는 후면 도어가 형성하는 평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공기 이송 도관(151)을 통하여 공기가 중심 튜브(11)로 공급될 수 있고 중심 튜브(11)에 공기 이송 도관(151)과 연결될 수 있는 개폐 유닛(15)이 형성될 수 있다. 중심 튜브(11)와 개폐 유닛(15)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공기 이송 도관(151)은 펌프 또는 다른 적절한 공기 주입 수단과 연결될 수 있다.
공기의 주입에 따라 중심 튜브(11)는 팽창되면서 원통 형상이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기 유도 면(12a, 12b)이 펼쳐져 전체적으로 원뿔 또는 다각뿔 형상이 될 수 있다.
공기 유도 면(12a, 12b)의 한쪽은 중심 튜브(11)의 위쪽 부분에 연결될 수 있고 다른 끝 부분은 차량 후면 또는 후면 도어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공기 유도 면(12a, 12b)은 다수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질 수 있고 공기 유도 면(12a, 12b)은 뿔 형성 면(121)에 의하여 구분될 수 있다. 뿔 형성 면(121)은 공기 유도 면(12a, 12b)의 아래쪽으로부터 중심 튜브(11)의 끝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공기 유도 면(12a, 12b)이 전체적으로 뿔 형상이 되도록 한다. 뿔 형성 면(121)은 다른 부분에 비하여 견고한 소재로 만들어지거나, 두껍게 만들어지거나 또는 별도로 막대 형상의 부재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대안으로 아래에서 설명되는 것처럼 뿔 형성 면(121)은 공기 튜브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뿔 형성 면(121)은 다수 개가 될 수 있고 공기 유도 면(12a, 12b)은 다수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뿔 형상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뿔 형성 면(121)은 공기 유도 면(12a, 12b)의 아래쪽 변과 중심 튜브(11)의 위쪽을 연결하는 직선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막대 형상의 부재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직선을 따라 다수 개의 짧은 막대가 일정 간격으로 분리되어 전체적으로 직선 형상이 되는 방식으로 공기 유도 면(12a, 12b)에 삽입될 수 있다.
뿔 형성 면(121)은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되어 중심 튜브(11)의 팽창에 의하여 공기 유도 면(12a, 12b)이 뿔 형상의 측면이 되도록 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공기 유도 면(12a, 12b)의 아래쪽 끝 부분에 체결 고리(16a, 16b)가 결합될 수 있다. 공기 유도 면(12a, 12b)의 아래쪽 부분은 전체적으로 사각형 또는 원형이 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공기 유도 면(12a, 12b)의 적어도 일부는 차량 후면 또는 차량 도어에 고정되고, 나머지 부분은 펼쳐지거나 또는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 또는 도 1b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체결 고리(16a, 16b)가 부착된 모서리와 마주보는 공기 유도 면(12a, 12b)의 변이 차량 후면 또는 후면 도어에 고정될 수 있다.
체결 고리(16a, 16b)는 차량의 후면 또는 후면 도어에 고정될 수 있고 감소 장치(10)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체결 고리(16a, 16b)가 분리되고 이에 따라 감소 장치(10)가 접히거나 또는 말려질 수 있다. 그리고 차량 후면에 고정된 변으로 접히거나 또는 말려져 차량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대안으로 감소 장치(10) 전체가 분리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각각의 모서리 또는 공기 유도 면(12a, 12b)의 아래쪽 둘레 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체결 고리(16a, 16b)가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 감소 장치(10)는 차량 후면도어 또는 차량 후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중심 튜브(11a, 11b)는 2개가 될 수 있고 설치 평면에 대하여 편심 또는 비대칭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차량의 후면 도어(D)가 2개로 이루어지는 경우 중심 튜브(11a, 11b)는 각각의 후면 도어(D)를 기준으로 설치되고 각각의 도어(D)에 기초하여 뿔 형상이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 튜브(11a, 11b)는 도어 개폐 유닛(L)의 위쪽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 고리(16a, 16b)는 각각의 공기 유도 면(12a, 12b)의 아래쪽에 설치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차량이 정지 상태로 되어 감소 장치(10)가 사용될 필요가 없는 경우 체결 고리(16a, 16b)를 차량으로부터 분리하여 도어(D)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리 체결 유닛(17a, 17b)이 도어(D)에 배치될 수 있다.
중심 튜브(11a, 11b)의 수 또는 차량 후면에 대한 배치 위치는 차량 전체의 구조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위쪽 부분으로 강한 공기 흐름이 형성되므로 뿔 형상에서 차량의 위쪽에 위치하는 면의 경사가 완만한 것이 유리하다. 그러므로 중심 튜브(11a, 11b)는 차량 후면이 형성하는 평면에서 위쪽에 위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중심 튜브(11a, 11b)는 다양한 위치에 다수 개로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뿔 형상의 구조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중심 튜브(11a, 11b)의 팽창 높이에 따라 뿔의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차량의 구조에 따라 중심 튜브(11a, 11b)의 수, 팽창 높이 또는 배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다양한 형상을 가진 중심 튜브(11a, 11b)가 본 발명에 따른 감소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감소 장치에서 공기 유도 면(12a, 12b)의 적어도 일부가 고정적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공기 유도 면(12a, 12b) 전체가 분리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저항의 감소 장치의 기하학적 구조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가)는 감소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의 (나)는 수직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가)를 참조하면, 감소 장치는 전체적으로 사각뿔 형상이 될 수 있고 공기 유도 면의 아래쪽 변에 체결 고리(16a, 16b)가 부착되고 그리고 마주 보는 변의 모서리에 고정 고리(21a, 21b)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 고리(16a, 16b)는 차량 후면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고정 고리(21a, 21b)는 차량 후면에 예를 들어 볼트 또는 스크루와 같은 고정 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체결 고리(16a, 16b)와 고정 고리(21a, 21b)는 서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감소 장치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체결 고리(16a, 16b)가 차량 후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공기 유도 면(12a, 12b)과 중심 튜브(11)가 접히거나 또는 말려질 수 있고, 체결 고리(16a, 16b)가 고정 고리(21a, 21b)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감소 감치가 간단하게 차량 후면의 위쪽에 고정될 수 있다. 접히거나 또는 말려진 감소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부가 수단이 차량 후면 도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의 (나)를 참조하면, 중심 튜브(11)의 아래쪽에 결합 고리(22a, 22b)가 설치되어 중심 튜브(11)의 아래쪽이 차량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중심 튜브(11)의 아래쪽에 개폐 밸브(23)가 설치되고 개폐 밸브(23)에 펌프와 같은 공기 유입 및 배출 수단과 연결된 이송 관(24)이 연결될 수 있다.
감소 장치가 사용되어야 하는 경우 결합 고리(22a, 22b) 및 체결 고리(16a, 16b)가 각각 차량 후면의 정해진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 관(24)을 통하여 공기가 주입되어 중심 튜브(11)가 팽창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이 운행될 수 있다.
감소 장치가 사용될 필요가 없는 경우 이송 관(24)을 통하여 공기가 배출되고, 공기가 중심 튜브(11)로부터 완전히 배출되면 체결 고리(16a, 16b) 및 결합 고리(22a, 22b)가 차량 후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유도 면(12a, 12b) 및 중심 튜브(11)가 말리거나 또는 접혀질 수 있다. 그리고 체결 고리(16a. 16b)가 고정 고리(21a, 21b)에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차량 후면의 사용에 대한 불편이 제거될 수 있다.
다양한 공기 주입 및 배출 구조가 본 발명에 따른 감소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주입 및 배출은 운전 위치에서 제어되도록 공기 주입 및 배출 유닛 및 이송 관(24)이 배치될 수 있다. 대안으로 별도로 독립된 구조로 공기 주입 및 배출 장치, 이송 관(24) 및 감소 장치가 차량 후면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체결 고리(16a, 16b), 고정 고리(21a, 21b) 또는 고정 고리(22a, 22b)는 차량 후면에 분리 또는 결합이 가능한 임의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저항 감소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감소 장치는 후면 도어를 가지지 않는 차량의 후면에 설치될 수 있고 중심 튜브(31)를 중심으로 4개의 공기 유도 면(32a, 32b)을 가지는 사각뿔 형상이 될 수 있다. 공기 유도 면(32a, 32b)의 경계 면을 형성하는 뿔 형성 면(34a, 34b)은 공기 튜브 구조가 될 수 있다. 뿔 형성 면(34a, 34b)은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중심 튜브(31)의 끝으로 수렴되면서 단면이 점차적으로 작아지고, 상기 뿔 형성 면(34a, 34b)은 유체 흐름에 대하여 서로 연결되거나 또는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유체 흐름에 대하여 서로 연결되는 것은 예를 들어 중심 튜브(31)에 공기를 주입하는 것에 의하여 뿔 형성 면(34a, 34b)으로 공기가 주입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는 하나의 뿔 형성 면(34a, 34b)을 통하여 공기를 주입하는 것에 의하여 나머지 뿔 형성 면(34a, 34b)으로 공기가 주입되는 구조를 의미한다. 이에 비하여 서로 분리된다는 것은 중심 튜브(31) 및 각각의 뿔 형성 면(34a, 34b)으로 별도의 공기 주입 장치를 통하여 공기가 주입되는 구조를 의미한다. 뿔 형성 면(34a, 34b)의 아래쪽은 베이스 유닛(33)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베이스 유닛(33)이 공기 튜브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압축 공기는 베이스 유닛(33)을 통하여 또는 뿔 형성 면(34a, 34b)으로 직접 주입될 수 있다. 대안으로 뿔 형성 면(34a, 34b)이 수렴되는 중심 튜브(31)의 정점을 통하여 유체 흐름에 대하여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 유닛(33)에 위에서 설명된 체결 고리와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고정 부분(331)이 형성될 수 있다. 감소 장치는 공기가 주입되지 않는 상태에서 접힘 구조로 만들어져야 하므로 아래쪽의 한쪽 변에 베이스 유닛(33)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a의 (나)를 참조하면, 2개의 후면 도어(D)가 설치된 경우 2개의 중심 튜브(31a, 31b)에 의하여 2개의 다각뿔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다각뿔은 펼치진 상태에서 도어 개폐 유닛(L)의 위쪽으로 배치되고 그리고 접힌 상태에서 도어 개폐 유닛(L)의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다. 감소 장치는 도어 개폐 유닛(L)의 구조 및 위치에 따라 적절하게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도 3b의 (가) 및 (나)는 차량 후면에 설치된 감소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b의 (가) 및 (나)는 각각 후면 도어가 없는 차량 및 후면 도어가 있는 차량에 설치될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감소 장치는 측면은 삼각형 형상이 될 수 있다.
도 3c의 (가) 및 (나)는 감소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중심 튜브(31, 31a, 31b)는 차량의 위쪽과 아래쪽 사이의 유속 차이를 고려하여 사각뿔의 정점(apex)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위쪽의 흐름이 강하고 빠르므로 중심 튜브(31, 31a, 31b)는 후면의 높이를 기준으로 위쪽으로 편중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소 장치는 다양한 차량의 후면에 설치되어 차량 후면에 발생되는 와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저항의 감소 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을 참조하면, 박스 형상의 적재함(41)을 가진 화물 차량의 후면(411)에 본 발명에 따른 감소 장치(10)가 배치될 수 있다. 후면(411)의 구조에 따라 다수 개의 감소 장치(10)가 배치될 수 있고 그리고 감소 장치(10)는 다양한 방법으로 후면(411)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의 운행 과정에서 감소 장치(10)는 적재함(41)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차량 후면의 와류 발생을 방지하여 차량이 안전하게 운행되도록 하면서 공기 저항을 감소시켜 연료의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후면 공기 저항의 감소 장치는 차량 후면에 발생하는 와류의 감소로 인하여 차량의 연료 소비가 감소되도록 한다. 또한 감소 장치는 차량 후면에 설치가 간단하면서 차량의 운행이 중지되는 경우 쉽게 제거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감소 장치는 공지의 장치에 비하여 차량의 후면 사용에 따른 불편이 감소되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감소 장치 11, 11a, 11b: 중심 튜브
12a, 12b: 공기 유도 면 15: 개폐 유닛
16a, 16b: 체결 고리 17a, 17b: 고리 체결 유닛
21a, 21b: 고정 고리 22a. 22b: 결합 고리
23: 개폐 밸브 24: 이송 관
31, 31a, 31b: 중심 튜브 32a, 32b: 공기 유도 면
33: 베이스 유닛 34a. 34b: 뿔 형성 면
41: 적재함 121: 뿔 형성 면
151: 공기 도관 331: 고정 부분
411: 후면

Claims (3)

  1. 차량 후면에 설치되는 공기 저항의 감소 장치에 있어서,
    공기의 주입에 의하여 차량 후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기둥을 형성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심 튜브(11);
    중심 튜브(11)에 한쪽 끝이 연결되고 다른 끝은 상기 차량 후면에 고정될 수 있는 공기 유도 면(12a, 12b); 및
    중심 튜브(11)에 공기를 주입 및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 이송 도관(151)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유도 면(12a, 12b)은 중심 튜브(11)의 공기 주입에 따라 뿔 형상이 되고, 상기 공기 유도 면(12a, 12b)의 경계를 형성하는 뿔 형성 면(121)은 공기 튜브 구조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저항의 감소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뿔 형성 면(121)은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중심 튜브(11)의 끝으로 수렴되면서 단면이 점차적으로 작아지고, 상기 뿔 형성 면(121)은 유체 흐름에 대하여 서로 연결되거나 또는 서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저항의 감소 장치.
KR1020140138231A 2014-10-14 2014-10-14 차량 후면 공기 저항의 감소 장치 KR101633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231A KR101633487B1 (ko) 2014-10-14 2014-10-14 차량 후면 공기 저항의 감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231A KR101633487B1 (ko) 2014-10-14 2014-10-14 차량 후면 공기 저항의 감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712A KR20160043712A (ko) 2016-04-22
KR101633487B1 true KR101633487B1 (ko) 2016-06-24

Family

ID=55918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8231A KR101633487B1 (ko) 2014-10-14 2014-10-14 차량 후면 공기 저항의 감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3487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5903Y1 (ko) * 1992-12-16 1998-04-21 이범창 승용차용 리어 스포일러 구조
KR200267035Y1 (ko) 2001-12-12 2002-03-06 조희광 박스형 화물차 후면부 공기저항 감소장치.
KR100913705B1 (ko) 2007-10-08 2009-08-26 서울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저항 감소장치를 구비한 상용차량
KR101170693B1 (ko) * 2009-07-29 2012-08-07 김재영 차량용 삼각 스포일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712A (ko) 2016-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5329B1 (en) Collapsible airfoil for trucks and trailers
US7585015B2 (en) Frame extension device for reducing the aerodynamic drag of ground vehicles
US8007030B2 (en) Frame extension device for reducing the aerodynamic drag of ground vehicles
CN102596696A (zh) 减阻设备
EP2352666B1 (en) Aerodynamic device for a vehicle
US5240306A (en) Aerodynamic drag reduction fairing
US8540304B2 (en) Rear aerodynamic device for a vehicle and vehicle equipped with such a device
US5348366A (en) Drag reducing device for land vehicles
EP2162342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tion of aerodynamic drag
EP1870322B1 (en) System for optimizing the aerodynamics of the underside of a semi-trailer of an articulated industrial or commercial vehicle
EP1870320B1 (en) System for completely closing the space between the cab and semi-trailer of an industrial or commercial vehicle, to improve the aerodynamics of the vehicle
US20090236872A1 (en) Outboard wake stabilization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the aerodynamic drag of ground vehicles
US20120086234A1 (en) Sealed aft cavity drag reducer
US20050040637A1 (en) Undercarriage flow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the aerodynamic drag of ground vehicles
US20110204677A1 (en) Dam skirt aerodynamic fairing device
MX2010010375A (es) Aparato reductor de arrastre para un vehiculo.
US20150166129A1 (en) Wake convergence device for a vehicle
US4057280A (en) Aerodynamic drag reduction devices for surface vehicles
US20120126573A1 (en) Tractor trailer fairing
US20160096559A1 (en) Retractable fairing for reducing aerodynamic drag at the rear end of a commerical motor vehicle
US10843746B1 (en) Vortex drag disruption apparatus
KR101633487B1 (ko) 차량 후면 공기 저항의 감소 장치
US20180154951A1 (en) Air conduction element for reducing air resistance of a load-carrying vehicle
US10227094B1 (en) Aerodynamic drag reduction system for trucks, cargo trailers and train boxcars
US20150166128A1 (en) Corner coupled vortex structures, trailers, and vehicles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