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3346B1 - 홍채 차단막 - Google Patents

홍채 차단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3346B1
KR101633346B1 KR1020140106130A KR20140106130A KR101633346B1 KR 101633346 B1 KR101633346 B1 KR 101633346B1 KR 1020140106130 A KR1020140106130 A KR 1020140106130A KR 20140106130 A KR20140106130 A KR 20140106130A KR 101633346 B1 KR101633346 B1 KR 101633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is
corneal incision
present
cornea
biocompatible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6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0855A (ko
Inventor
엄영섭
김효명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06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346B1/ko
Publication of KR20160020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47Implants to be inserted in the stroma for refractive correction, e.g. ring-like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13Instruments for compensation of ocular refraction ; Instruments for use in cornea removal, for reshaping or performing incisions in the corn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ardiology (AREA)
  •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osthes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채 차단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연성을 가지는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제조되는 납작한 원호형상의 홍채 차단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홍채 차단막은 유연성을 가지고 있어 작은 각막 절개창에 삽입가능하여 각막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삽입 이후에도 홍채와 밀착되어 차단막이 내부에서 미끌어져 홍채가 손상되는 것이 최소화되므로 효율적인 백내장 수술에 유용하다.

Description

홍채 차단막{Iris Block}
본 발명은 홍채 차단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연성을 가지는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제조되는 납작한 원호형상의 홍채 차단막에 관한 것이다.
백내장은 안구의 수정체가 흐려져 시야를 방해하는 질병이다. 이러한 백내장의 치료방법으로는 혼탁해진 수정체를 제거한 뒤 인공수정체를 삽입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혼탁해진 수정체를 제거하기 위하여 과거에는 각막을 완전히 절개한 뒤 수정체를 외과적인 수술방법으로 제거하였지만, 이러한 외과적 수술방법은 각막의 손상이 필연적으로 크게 되므로 수정체를 인공수정체로 교환하더라도 각막의 손상에 의한 시력저하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각막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파코팁을 이용한 초음파 유화술이 개발되었다. 이 초음파 유화술은 각막의 측면에 작은 절개창을 형성한 뒤 이 절개창으로 파코팁을 삽입하고, 파코팁에서 나오는 초음파로 수정체를 분해하여 흡인하는 수술법이다. 이 방식은 각막에 작은 절개창을 이용하여 수술하므로 각막의 손상이 매우 적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안압이 올라가거나 심한 운동을 하는 경우 이 각막 절개창으로 각막하부의 홍채가 탈출할 가능성을 가진다. 특히 수술시 각막 절개창이 뒤쪽에 위치하는 경우나, 전립선 약을 복용하는 환자의 경우 이러한 홍채 탈출이 더욱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홍채 탈출은 한번 일어나게 되면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환자에게 통증을 유발하고 홍채손상과 같은 합병증을 가져올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미국 공개특허 2014-0090653에서는 원호의 형상을 가지는 홍채 차단막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이 발명은 원호의 형상을 가지는 홍채 차단막을 각막 안으로 삽입하여 홍채의 탈출을 방지하고 있지만, 재질이 매끄럽고 두꺼운 플라스틱판으로 이루어져 있어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삽입시 정위치에 있도록 안구 내부에서 회전시켜 홍채의 상부로 위치하는 동안 미끄러운 재질로 인하여 내부에서 돌아다니면서 각막이나 홍채에 손상을 줄 수 있으며, 삽입후에도 내부에서 미끌어지면서 시야를 방해하거나 홍채의 탈출을 방지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유연성을 가지는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홍채 차단막을 제작하고, 상기 제작된 홍채 차단막 삽입시 접어서 삽입할 수 있어 각막 절개창의 크기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삽입후 안구내부에서 회전하는 동안 홍채와 각막의 손상이 줄어들고, 홍채에 밀착되어 내부에서 미끌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연성을 가지는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제작되는 홍채 차단막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심각이 30~180이고 반지름이 R인 부채꼴에서 반지름이 r(R>r)인 부채꼴이 잘려진 형태의 납작한 원호 형상을 가지며, 각막절개창을 통해 삽입되어 홍채상부의 외측면과 각막사이에 위치하여 각막절개창을 통한 홍채의 탈출을 방지하며, 유연성을 가지는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구성되어 각막 절개창으로 삽입 시 접힌 상태에서 삽입될 수 있는 홍채 차단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홍채 차단막은 유연성을 가지고 있어 작은 각막 절개창에 삽입가능하여 각막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삽입 이후에도 홍채와 밀착되어 차단막이 내부에서 미끌어져 홍채가 손상되는 것이 최소화되므로 효율적인 백내장 수술에 유용하다.
도 1은 백내장 수술 중 홍채가 탈출된 것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홍채 차단막을 각막 절개창을 통하여 삽입한 뒤 위치를 바로잡아서 홍채의 탈출을 방지하는 수술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홍채 차단막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홍채 차단막을 각막 절개창에 접어서 삽입하는 모식도이다.
도 5는 각막절개창을 통하여 홍채가 탈출된 것과 본 발명의 홍채 차단막을 이용하여 홍채 탈출을 방지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은 각막절개창을 통하여 홍채가 탈출된 것과 본 발명의 홍채 차단막을 이용하여 홍채 탈출을 방지하는 것을 측면에서 나타낸 모식도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유연성을 가지는 생체적합성 고분자을 이용하여 홍채 차단막을 제작하였으며, 이 홍채 차단막이 백내장수술시 삽입되어 각막과 홍채의 손상 없이 홍채의 탈출을 방지하는 것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중심각이 30~180이고 반지름이 R인 부채꼴에서 반지름이 r(R>r)인 부채꼴이 잘려진 형태의 납작한 원호 형상을 가지며, 각막절개창(300)을 통해 삽입되어 홍채상부의 외측면과 각막사이에 위치하여 각막절개창(300)을 통한 홍채의 탈출을 방지하며, 유연성을 가지는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구성되어 각막 절개창(300)으로 삽입 시 접힌 상태에서 삽입될 수 있는 홍채 차단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홍채 차단막(100)은 중심각(200)이 30~180이고 반지름이 R인 부채꼴에서 반지름이 r(R>r)인 부채꼴이 잘려진 형태의 납작한 원호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홍채는 안구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부에는 안부로 빛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개구부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홍채 차단막은 홍채 상측면에 위치하면서도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납작한 원호 형상으로 제작되며, 환자의 상태와 수술시 각막절개창(300)의 크기에 따라 30~180의 중심각(200)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중심각(200)이 30도 이하인 경우 안구 내부에서 움직여서 홍채 탈출을 방지하지 못하거나 시야를 방해할 수 있으며, 유연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홍채 차단막 특성상 홍채와 종시에 각막절개창(300)으로 빠져나올 가능성을 가진다. 또한 중심각(200)이 180도 이상인 경우 홍채를 과도하게 가리면서 홍채의 본 기능인 조리개 역할을 방해할 수 있으며, 길어진 길이로 인하여 수술시 각막의 손상이나 수술시간 연장등의 부작용을 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홍채 차단막(100)은 유연성을 가지는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구성되어 각막 절개창으로 삽입 시 접힌 상태에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기존의 발명에서 홍채 차단막은 단단한 재질로 구성되어 홍채의 탈출을 방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단단한 재질의 홍채 차단막은 각막절개창(300) 이상의 크기를 가질 수 없어 각막절개창(300)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각막의 손상이 올 수 있으며, 각막 삽입 후에도 내부에서 정확한 위치를 잡기 위하여 이리저리 움직이는 동안 홍채 또는 각막내부와 접촉하여 상처를 줄 수 있어 시술에 큰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홍채 차단막(100)은 유연성을 가지는 고분자로 재작되어 각막 삽입시 접혀서 삽입 될 수 있으므로 각막절개창(300)의 크기를 최소화 할 수 있어 각막의 손상역시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내부에서 자리를 잡는 동안에도 홍채의 모양에 따라 부드럽게 이동하여 홍채와 각막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을 가지는 생체 적합성 고분자는 아크릴수지, 폴리우레탄(Polyurethan),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Cellulose Acetate Butylate), 디메틸 실록산(Dimethyl Siloxan), 부틸 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폴리 비닐 피롤리돈(Poly Vinyl Pyrrolidone), 폴리 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Poly Ethylene Glycol Methacrylate), 폴리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Poly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및 폴리 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Poly Hydroxyethyl Methacrylat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생체적합성 재질은 모두 홍채 차단막에 적용 가능하지만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으며, 높은 투명도를 가지고 있어 삽입시 미관상으로 우수한 콘텍트렌즈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홍채 차단막은 상단부 및/또는 하단부에 인젝터(Injector)(11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인젝터(110)는 상단부 및/또는 하단부에 설치되며, 수술실이나 고리(400)을 걸어 당길 수 있는 모양이면 어떠한 모양이라도 선택 가능하다.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홍채 차단막 삽입시 상기 인젝터(110)에 수술실이나 고리(400)를 연결하여 당기게 되면 유연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홍채 차단막은 접힌 상태에서 쉽게 안구내로 삽입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인젝터(110)는 홍채 차단막 재거시나 정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홍채 차단막(100)은 1~5mm의 폭(R-r)과 0.01~1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홍채 차단막(100)의 폭이 1mm보다 작은 경우 가려지지 않는 부분의 홍채가 탈출할 수 있으며, 5mm이상인 경우 홍채 안쪽의 개구부를 가려 시야를 방해할 수 있다. 또한 두께가 0.01mm이하인 경우 너무 얇아서 홍채와 같이 탈출 할 수 있으며, 1mm이상인 경우 유연성이 저하되어 삽입시 각막이 손상되거나 홍채가 상처를 입을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0 : 홍채 차단막
110 : 인젝터(Injector)
200 : 중심각
300 : 각막 절개창
400 : 수술용 고리 또는 수술실

Claims (4)

  1. 중심각이 30~180°이고 반지름이 R인 부채꼴에서 반지름이 r(R>r)인 부채꼴이 잘려진 형태의 원호 형상을 가지고,
    각막절개창을 통해 삽입되어 홍채상부의 외측면과 각막사이에 위치하여 각막절개창을 통한 홍채의 탈출을 방지하며,
    유연성을 가지는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구성되어 각막 절개창으로 삽입 시 접힌 상태에서 삽입될 수 있는 홍채 차단막에 있어서,
    상기 홍채 차단막은 상단부 및 하단부중 어느 한 부분 또는 두 부분 모두에 원형 또는 고리형의 인젝터(Injecter)를 가지고,
    1~5mm의 폭(R-r)과 0.01~1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 차단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을 가지는 생체 적합성 고분자는 아크릴수지, 폴리우레탄(Polyurethan),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Cellulose Acetate Butylate), 디메틸 실록산(Dimethyl Siloxan), 부틸 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폴리 비닐 피롤리돈(Poly Vinyl Pyrrolidone), 폴리 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Poly Ethylene Glycol Methacrylate), 폴리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Poly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또는 폴리 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Poly Hydroxyethyl Methacrylate)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 차단막.
  3. 삭제
  4. 삭제
KR1020140106130A 2014-08-14 2014-08-14 홍채 차단막 KR101633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130A KR101633346B1 (ko) 2014-08-14 2014-08-14 홍채 차단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130A KR101633346B1 (ko) 2014-08-14 2014-08-14 홍채 차단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855A KR20160020855A (ko) 2016-02-24
KR101633346B1 true KR101633346B1 (ko) 2016-06-24

Family

ID=55449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6130A KR101633346B1 (ko) 2014-08-14 2014-08-14 홍채 차단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334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943B1 (ko) 2017-12-28 2018-12-1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헤파린이 표면 처리된 단차형 홍채 차단막
WO2019161499A1 (en) * 2018-02-21 2019-08-29 Francis Roy Intraocular iris protector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2047253B1 (ko) 2018-05-21 2019-11-21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수술도구 고정구를 구비하는 홍채 차단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95761B2 (en) 2018-10-03 2022-07-26 Realens, Inc. Iris shiel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90653A1 (en) * 2012-10-01 2014-04-03 Gerald Paul Clarke Iris shield
CN203763350U (zh) * 2014-02-12 2014-08-13 江苏省苏北人民医院 一种阻止虹膜脱出的隔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90653A1 (en) * 2012-10-01 2014-04-03 Gerald Paul Clarke Iris shield
CN203763350U (zh) * 2014-02-12 2014-08-13 江苏省苏北人民医院 一种阻止虹膜脱出的隔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943B1 (ko) 2017-12-28 2018-12-1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헤파린이 표면 처리된 단차형 홍채 차단막
WO2019161499A1 (en) * 2018-02-21 2019-08-29 Francis Roy Intraocular iris protector and method of using same
US11337854B2 (en) 2018-02-21 2022-05-24 Francis Roy Intraocular iris protector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2047253B1 (ko) 2018-05-21 2019-11-21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수술도구 고정구를 구비하는 홍채 차단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855A (ko) 2016-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4566B1 (ko) 바이-레이디얼 환자 인터페이스
KR101633346B1 (ko) 홍채 차단막
CA2887062C (en) Iris shield
US20020055753A1 (en) Corneal implant methods and pliable implant therefor
JP5528600B1 (ja) 瞳孔拡張器
US20060116761A1 (en) One-piece minicapsulorhexis valve
US6886565B2 (en) Macula cover and method
US20160030163A1 (en) Surgical Apparatus and Method Of Implanting The Same
GB2436068A (en) Surgical contact lens
JP2014193241A (ja) 瞳孔拡張器
KR101928943B1 (ko) 헤파린이 표면 처리된 단차형 홍채 차단막
EP3632384B1 (en) Iris shield
KR102047253B1 (ko) 수술도구 고정구를 구비하는 홍채 차단막
MacLEAN Limbal lip cautery for glaucoma
US20230181311A1 (en) Plate haptic sulcus intraocular lens with improved ophthalmic viscosurgical device evacuation
US11110004B2 (en) Flexible/expandable phacoemulsification tip
US20200345394A1 (en) Protector for a Trans-Corneal Incision
RU2203638C1 (ru) Способ хирургического лечения открытоугольной глаукомы
Patterson et al. Alternative management of capsulorhexis phimosis using vitrector trimming
RU2254110C1 (ru) Способ защиты тканей переднего отрезка глазного яблока в хирургии катаракты
NL2015483B1 (en) Eye surgery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KR20160025241A (ko) 전낭 절개용 각막 가이드
CN109498263A (zh) 一种板层角膜剥离器
Tabin February Consultation# 3
Dosso April consultation# 7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