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3337B1 - 레거시 시스템 및 멀티 캐리어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전송방법 - Google Patents

레거시 시스템 및 멀티 캐리어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3337B1
KR101633337B1 KR1020107015901A KR20107015901A KR101633337B1 KR 101633337 B1 KR101633337 B1 KR 101633337B1 KR 1020107015901 A KR1020107015901 A KR 1020107015901A KR 20107015901 A KR20107015901 A KR 20107015901A KR 101633337 B1 KR101633337 B1 KR 101633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egacy system
subframes
center frequency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5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3463A (ko
Inventor
육영수
김정기
류기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03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프레임 구조 및 이러한 프레임 구조를 이용한 정보 전송 방법 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은,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를 생성하는 단계와 프레임 구조에 대한 할당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 헤더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거시 시스템 및 멀티 캐리어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전송방법{METHOD OF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SUPPORTING LEGACY SYSTEM AND MULTI-CARRIER SYSTEM}
본 발명은 무선접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프레임 구조 및 이러한 프레임 구조를 이용한 정보 전송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이하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예를 들어, IEEE 802.16)에서 사용되는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프레임의 가로축은 시간 단위로서 직교주파수분할 다중접속(OFDMA) 심볼을 나타내고, 프레임의 세로축은 주파수 단위로서 서브채널의 논리적 번호를 나타낸다. 도 1에서 하나의 프레임은 물리적인 특성에 의해 일정 시간 주기 동안의 데이터 시퀀스 채널로 구분된다. 즉, 하나의 프레임은 하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DownLink Subframe)과 하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UpLink Subframe)으로 구성된다.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TTG(Transmit Transition Gap)로 구분되며, 프레임간에는 RTG(Receive Transition Gap)로 구분된다.
이때,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하나의 프리엠블(preamble), 프레임 제어 헤더(FCH: Frame Control Header), 하향링크 맵(DL-MAP), 상향링크 맵(UL-MAP) 및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데이터 버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HARQ ACK 채널, 고속 피드백 채널(Fast Feedback channel) 및 레인징 서브채널 등 상향링크 제어채널과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데이터 버스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프리엠블(preamble)은 매 프레임의 처음 심볼에 위치하는 특정 시퀀스 데이터로서 단말이 기지국에 동기를 맞추거나 채널을 추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FCH는 DL-MAP에 관련된 채널 할당정보 및 채널 부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DL-MAP/UL-MAP은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에서 채널 자원할당을 단말에 알려주기 위해 사용되는 매체접근제어(MAC: Media Access Control) 메시지이다. 또한, 데이터 버스트(burst)는 기지국에서 단말에 전송하거나 또는 단말에서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의 단위를 나타낸다.
도 1에서 사용될 수 있는 하향링크 채널 디스크립터(DCD: Downlink Channel Descriptor)는 하향링크 채널에서 물리적 특성을 알려주기 위한 MAC 메시지를 나타내며, 상향링크 채널 디스크립터(UCD: Uplink Channel Descriptor)는 상향링크 채널의 물리적 특성을 알려주기 위한 MAC 메시지를 나타낸다.
하향링크의 경우, 도 1을 참조하면 단말은 기지국에서 전송된 프리엠블을 검출하여 기지국과의 동기를 맞춘다. 이후, FCH에서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하향링크 맵을 디코딩할 수 있다. 기지국은 하향 또는 상향링크 맵(DL-MAP/UL-MAP) 메시지를 사용하여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매 프레임(예를 들어, 5ms) 마다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접속 시스템이 발전함에 따라, 기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프레임 구조와 발전된 프레임 구조 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새로 개발된 시스템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시스템과 호환이 이뤄져야 자연스러운 통신이 가능하다. 즉, 새로 개발된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예를 들어, 멀티 캐리어 시스템)에서 기존의 무선 접속 시스템(예를 들어, 싱글 캐리어 시스템)을 지원하는 경우, 새로운 시스템은 단말들에게 기존의 시스템과 관련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단말들이 올바로 동작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새로운 시스템에서 서브 맵(즉, 자원 할당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이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마다 전송된다고 가정할 경우, 기존 시스템(legacy system)의 프레임 구조는 새로운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와 다를 수 있다. 즉, 새로운 시스템을 지원하는 단말이 기존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를 알지 못한다면, 단말은 새로운 시스템에서 전송한 서브 맵을 디코딩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시스템이 적용되는 단말이 무선자원을 적절히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존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에 대한 정보들(예를 들어, bandwidth, center frequency, DL ratio with 16e, UL ratio with 16e,etc.)을 알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효율적인 프레임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새로운 무선 접속 시스템(e.g. 멀티 캐리어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프레임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은 무선 접속시스템이 발전함에 따라 기존의 무선접속 시스템(예를 들어, 싱글 캐리어 시스템)과 발전된 무선 접속시스템(예를 들어, 멀티 캐리어 시스템) 간의 호환성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기존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 구조를 정의하고, 기존 시스템에 관련된 정보를 단말들에게 전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하나로서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은,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를 생성하는 단계와 프레임 구조에 대한 할당정보(프레임 구조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 헤더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상기 할당정보를 프레임 헤더의 방송채널(BCH)을 통해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다른 하나로서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에 대한 할당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 헤더를 수신하는 단계와 프레임 헤더가 지시하는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는 영역을 통해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할당정보는 프레임 헤더에 포함되는 부방송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할당정보는 기지국이 상기 레가시 시스템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제 1 지시자와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 레가시 시스템을 지원하는 제 1 서브프레임들의 비율에 대한 제 1 정보와 제 1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대역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정보는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각각에서, 제 1 서브프레임들과 레가시 시스템을 지원하지 않는 제 2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비율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정보는 수퍼프레임에 포함된 서브프레임들 중 제 1 서브프레임들 및 레가시 시스템을 지원하지 않는 제 2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비율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할당정보는 제 1 서브프레임들 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의 다중화(multiplexing) 정보를 나타내는 제 2 지시자와 제 1 서브프레임들의 중심 주파수에 대한 제 2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지시자는 제 1 서브프레임들 중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이 시분할다중 방식(TDM) 및 주파수분할다중 방식(FDM) 중 하나 이상으로 다중화되는 것을 나타낼 수 있고, 제 1 서브프레임들의 중심 주파수는 현재 단말에 할당된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상대적인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때, 상대적인 값은 위치정보 형태 또는 주파수 오프셋 정보 형태로 나타내질 수 있다.
만약, 상기 할당정보가 제 2 지시자가 제 1 서브프레임들 중 상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이 주파수 분할다중 방식으로 다중화되는 것을 나타내면, 제 1 서브프레임들에 할당된 상향링크 자원블록의 개수를 나타내는 제 3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방송채널 영역은 주 방송채널(PBCH) 및 부 방송채널(SBCH)를 포함하고, 할당정보는 주 방송채널 및 부 방송채널 중 하나를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할당정보는 시스템 정보 전달 메시지에 포함되어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프레임 구조는 수퍼 프레임 구조이고, 상기 프레임 헤더는 수퍼 프레임 헤더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할당정보는 멀티 캐리어를 지원하기 위한 멀티 캐리어 지원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 캐리어를 지원하는 시스템은 멀티 캐리어를 지원하는 단말을 위해서, 멀티 캐리어에 관련된 시스템 정보들이 레가시 시스템에서 정의한 정보들의 구조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멀티 캐리어 지원 정보는 중심 주파수 정보, 대역폭 정보 및 자원할당 비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 캐리어에서 중심 주파수 정보는 현재 단말에 할당된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정보를 기준으로 상대적인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때, 중심 주파수에 대한 상대적인 값은 위치 정보나 주파수 오프셋 정보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멀티 캐리어를 지원하는 기지국은 멀티 캐리어에 관한 시스템 정보들을 유니캐스트 형식으로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멀티 캐리어 지원정보는 중심 주파수, 대역폭 정보 및 자원 할당 비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기지국은 멀티 캐리어 지원정보들을 방송채널 및/또는 시스템정보전달 메시지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방송채널은 수퍼 프레임 헤더 또는 부가적인 방송 메시지(Additional broadcast information)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기지국은 멀티 캐리어 지원정보들을 유니캐스트 메시지(unicast message) 형태로 단말에게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 캐리어를 지원하는 단말이 초기 망 진입 절차를 수행하는 동안, 기지국은 유니캐스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멀티 캐리어 지원정보들을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유니캐스트 메시지로서 레인징 응답(RNG-RSP) 메시지, 등록응답(REG-RSP) 메시지 및/또는 가입자단말 기본능력응답(SBC-RSP)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멀티 캐리어를 지원하는 단말의 초기 망 진입 절차가 완료된 후 별도의 유니캐스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멀티 캐리어를 지원하는 단말에 멀티 캐스트 지원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프레임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효율적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둘째, 새로운 시스템(e.g. 멀티 캐리어 시스템) 및 기존 시스템(e.g. 싱글 캐리어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다.
셋째, 기지국이 기존 시스템(legacy system)을 지원할 때, 단말이 프레임 구조를 획득할 수 있는 정보를 전달해주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단말이 올바르게 자원을 할당받을 수 있다.
넷째, 단말이 획득할 정보들에 대한 효율적인 프레임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기존 보다 적은 자원을 이용하여 단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예를 들어, IEEE 802.16)에서 사용되는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새로운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는 새로운 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기지국에서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 구조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의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기지국에서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 구조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의 다른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로서, 레가시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 구조들을 나타낸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프레임 구조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태는 도면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본 발명은 무선접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프레임 구조 및 이러한 프레임 구조를 이용한 정보 전송 방법 등을 개시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수 있는 절차 또는 단계 등은 기술하지 않았으며, 당업자의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절차 또는 단계는 또한 기술하지 아니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지국과 단말 간의 데이터 송수신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기지국은 단말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가 있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MS: Mobile Station)'은 UE(User Equipment), SS(Subscriber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또는 단말(Mobile Terminal)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송신단은 데이터 또는 음성 서비스를 전송하는 노드를 말하고, 수신단은 데이터 또는 음성 서비스를 수신하는 노드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향링크에서는 단말이 송신단이 되고, 기지국이 수신단이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향링크에서는 단말이 수신단이 되고, 기지국이 송신단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이동 단말로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 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IEEE 802.16 시스템의 표준 문서인 P802.16e-2004, P802.16e-2005 또는 P802.16Rev2 중 하나 이상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거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시스템을 나타내고, 새로운 시스템 또는 발전된 시스템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개시하고 있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레거시 시스템의 일례로써 IEEE 802.16e 시스템(예를 들어, 싱글 캐리어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발전된 시스템의 일례로써 IEEE 802.16m 시스템(예를 들어, 멀티 캐리어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레거시 시스템의 경우에도 주파수 다중화 기법 또는 시분할 방식을 적용함에따라 멀티캐리어 시스템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레거시 시스템이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개시하는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새로운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수퍼 프레임(Super Frame)은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포함하고, 하나의 프레임은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하나 이상의 OFDMA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수퍼 프레임, 프레임, 서브프레임 및 심볼의 길이와 개수는 사용자의 요구사항 또는 시스템 환경 등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서브프레임'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이때, '서브프레임'은 소정의 길이로 하나의 프레임을 분할하여 생성되는 모든 하부 프레임 구조를 의미한다.
도 2에서 하나의 수퍼 프레임의 길이가 20ms이고, 프레임의 길이는 5ms임을 가정한다. 즉, 하나의 수퍼 프레임은 4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프레임은 8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6개의 OFDMA 심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구체적인 값들은 채널 환경에 따라 바뀔 수 있다.
도 2에서 각 수퍼 프레임의 앞 부분에는 수퍼 프레임 맵이 존재한다. 여기서, 수퍼 프레임 맵은 수퍼맵 또는 수퍼 프레임 헤더라 부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수퍼맵이라 부르기로 한다. 또한, 서브프레임의 앞 부분에는 서프 프레임 맵이 존재한다. 여기서 서브프레임 맵은 서브맵이라 부를 수 있다. 서브맵은 하향링크 서브맵(DL-Sub MAP) 및 상향링크 서브맵(UL-Sub MAP)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가 다른 비율을 가지는 서브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비율이 5:3으로 설정된 경우를 확인할 수 있다. 즉, 하나의 프레임이 8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하나의 프레임은 5개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3개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서브프레임 구조에서 하향링크 버스트에 대한 제어채널을 할당하는 방법을 새로이 정의할 수 있다. 송신단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대한 제어채널의 할당정보를 수퍼맵 및 서브맵 중 하나를 통해 알려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는 새로운 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레거시 시스템(legacy system; 802.16e)은 발전된 시스템(advanced system; 802.16m)과 동일한 중심 주파수(Center Frequency)를 가지고 있고, 일정 부분의 심볼을 공유하고 있다.
만약, 802.16m 시스템에서 서브 맵(즉, 자원 할당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이 매 하향링크(DL: Down Link) 서브프레임마다 전송되는 경우에 단말이 도 4의 프레임 구조를 알지 못한다면, 단말은 802.16e+802.16m DL 영역에 있는 서브 맵을 디코딩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802.16m 단말이 802.16m 영역의 자원을 적절히 사용하기 위해서, 단말은 도 4에서 프레임에 할당된 802.16e 프레임 구조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bandwidth, center frequency, DL ratio with 16e, UL ratio with 16e,etc.)를 미리 알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기지국에서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 구조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의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지국(BS: Base Station)은 다양한 구조의 프레임 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802.16e를 지원하는 경우에는 802.16e에서 사용되는 프레임을 생성하고, 802.16m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802.16m에서 사용되는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이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 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 구조의 일례로서 도 4의 프레임 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S501).
S501 단계에서, 기지국은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 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생성한 프레임 구조에 대한 프레임 구조 정보들을 방송채널(BCH: Broadcast Channel)을 이용하여 단말에 미리 알려줄 수 있다(S502).
다음 표 1은 S502 단계에서 방송채널을 통해 단말에 전송되는 프레임 구조 정보들의 일례를 나타낸다.
표 1
Figure 112010046049424-pct00001

표 1을 참조하면, 프레임 구조 정보는 기지국이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는지에 여부를 나타내는 레가시 시스템 지시자(Legacy System Indicator), 레거시 시스템이 존재할때 상향링크 다중화 구조 정보(UL Multiplexing structure indicator), 레거시 시스템의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대역폭(DL/UL bandwidth of legacy system), 레거시 시스템의 DL/UL 중심 주파수(DL/UL center frequency of legacy system), 레거시 시스템의 DL/UL 비율(DL/UL ratio with legacy system) 및 802.16e와 802.16m의 상향링크가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방식으로 할당될 경우 802.16e에 할당된 UL 자원블록(UL Resource Block)의 수를 나타내는 UL 자원블록 정보(UL resource block information for legacy system in FDM)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 표 2는 레거시 시스템 지시자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표 2
Figure 112010046049424-pct00002

표 2를 참조하면, 레거시 시스템 지시자는 1 비트로서 '0'이면 현재 발전된 시스템에서 레거시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고, '1'이면 레거시 시스템이 존재함을 나타낼 수 있다.
다음 표 3은 상향링크 다중화 구조 지시자의 일례를 나타낸다.
표 3
Figure 112010046049424-pct00003

표 3을 참조하면, 상향링크 다중화 구조 지시자는 1 비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향링크 다중화 구조 지시자가 '0'이면 레거시 시스템 및 발전된 시스템의 다중화 구조가 시분할 다중화(TDM) 방식임을 나타내고, '1'이면 주파수분할 다중화(FDM) 방식임을 나타낼 수 있다.
다음 표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레거시 시스템의 DL/UL 비율 필드의 일례를 나타낸다.
표 4
Figure 112010046049424-pct00004

표 4에서 레거시 시스템의 DL/UL 비율 필드는 8 비트 또는 3 비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만약, 8 비트의 크기를 갖는다면, 각 비트들은 한 프레임에서 각 서브프레임에 매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bit #7(MSB)는 첫 번째 서브 프레임, bit #6은 두 번째 서브 프레임,..., bit #0(LSB)는 마지막 서브 프레임(여덟 번째 서브 프레임)을 나타낼 수 있다.
표 4에서 하나의 비트가 나타내는 정보는 그 비트에 해당되는 서브프레임에 802.16m 만으로 사용하는지 아니면 다른 시스템(16e system)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 6 비트(bit #6)가 '0'이면, 제 6 비트에 맵핑되는 두 번째 서브프레임은 레거시 시스템(802.16e)을 위해 사용되거나 또는 레거시 시스템(802.16e)과 공존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만약, 제 6 비트가 '1'이면, 두 번째 서브 프레임은 802.16m 시스템만을 위해서 사용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다음 표 5는 레거시 시스템의 DL/UL 대역폭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다.
표 5
Figure 112010046049424-pct00005

표 5를 참조하면, 레거시 시스템의 하향링크 대역폭 정보(DL bandwidth of legacy system) 및 레거시 시스템의 상향링크 대역폭 정보(UL bandwidth of legacy system)는 각각 3비트의 크기로서 나타내질 수 있다.
다음 표 6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FDM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레거시 시스템에 할당된 상향링크 자원블록 개수(Number of UL resource blocks for legacy system) 필드의 일례를 나타낸다.
표 6
Figure 112010046049424-pct00006

표 6을 참조하면, 레거시 시스템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블록의 개수 필드는 8비트의 크기로서 표현될 수 있다. 즉, 자원블록 개수필드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레거시 시스템과 발전된 시스템이 FDM으로 구성된 경우, 레거시 시스템에 할당된 자원블록의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다음 표 7은 레거시 시스템의 DL/UL 중심 주파수(DL/UL center frequency of legacy system) 필드의 일례를 나타낸다.
표 7
Figure 112010046049424-pct00007

표 7에서 레거시 시스템의 하향링크 중심주파수 필드 및 상향링크 중심주파수 필드는 각각 3비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표 7에서, 하향링크 중심주파수 필드는 레거시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하향링크 중심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하향링크 중심주파수 필드가 '0b000' 이면, 레거시 시스템이 발전된 시스템과 동일한 중심 주파수를 갖는 것을 나타낸다. 나머지 비트들에 해당하는 정보들은 발전된 시스템과 레거시 시스템이 지원하는 대역폭 정보들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만약, 발전된 시스템이 10MHz 또는 20MHz의 크기를 갖고, 레거시 시스템이 5MHz 또는 10MHz의 크기를 갖는 경우에, 하향링크 중심주파수 필드가 '0b001'이면 레거시 시스템은 발전된 시스템의 중심주파수보다 맨 위쪽에 위치하는 중심주파수를 나타내고, '0b010'이면 현재 시스템의 중심 주파수보다 맨 아래쪽에 위치하는 중심주파수를 나타내고, '0b011∼0b111' 비트는 예약된 값(reserved)을 가질 수 있다.
만약, 발전된 시스템이 20MHz의 크기를 갖고, 레거시 시스템이 5 MHz의 크기를 갖는 경우에, 하향링크 중심주파수 필드가 '0b001'이면 레거시 시스템은 발전된 시스템의 중심주파수보다 맨 위쪽에 위치하는 중심주파수를 나타내고, '0b010' 이면 레거시 시스템의 중심주파수보다 맨 위쪽에서 두 번째에 위치하는 중심 주파수를 나타내고, '0b011'이면 발전된 시스템의 중심주파수보다 맨 아래쪽에서 두 번째에 위치하는 중심주파수를 나타내고, '0b100'이면 발전된 시스템의 중심주파수보다 맨 아래쪽에 위치하는 중심주파수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하향링크 중심주파수 필드에서 '0b101∼0b111'의 경우에는 예약된 값(reserved)을 갖는 것으로 표현될 수 있다.
다음 표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중심주파수 필드의 또 다른 구조를 나타낸다.
표 8
Figure 112010046049424-pct00008

표 8을 참조하면, 레거시 시스템의 하향링크 중심주파수 필드 및 상향링크 중심주파수 필드는 각각 32비트의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중심주파수 필드는 KHz 단위의 절대적인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중심주파수 값은 특정 값으로 제한될 필요는 없다.
다음 표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레거시 시스템의 DL/UL 비율(DL/UL ratio with legacy system) 필드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표 9
Figure 112010046049424-pct00009

표 9에서 레거시 시스템의 하향링크 비율 필드 및 상향링크 비율 필드는 각각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에 대해서 단말에 전달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 9의 각 비율에 대해서 가능한 조합이 생성할 수 있는 경우에는 예약된 값을 사용할 수 있다.
표 9를 참조하면, 레거시 시스템의 하향링크 비율 필드는 서브프레임 단위로 레거시 시스템에 할당되는 서브프레임의 비율을 나타낸다. 레거시 시스템의 하향링크 비율 필드가 '0b000'이면 레가시 시스템에 할당된 서브프레임과 발전된 시스템을 위해 할당된 서브프레임이 3 : 2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고, '0b001'이면 2 : 3으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고(이상, DL이 5개의 서브 프레임으로 구성된 경우), '0b010'이면 2: 2 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낸다(DL이 4개의 서브 프레임으로 구성된 경우). 또한, 레거시 시스템의 하향링크 비율 필드가 '0b011∼0b110' 이면 예약된 값(reserved) 또는 다른 경우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레거시 시스템의 하향링크 비율 필드가 '0b111'이면 레거시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즉, 레거시 시스템 지시자가 '0b0'일 경우; 표 2 참조).
또한, 레거시 시스템의 상향링크 비율 필드는 서브프레임 단위로 레거시 시스템에 할당되는 서브프레임의 비율을 나타낸다. 레거시 시스템의 상향링크 비율 필드가 '0b000'이면 레가시 시스템(802.16e)에 할당된 서브프레임과 발전된 시스템(802.16m)을 위해 할당된 서브프레임이 1:2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고, '0b001'이면 2:1 (이상, UL이 3개의 서브 프레임으로 구성된 경우), '0b010'이면 1:3으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고, '0b011'이면 2:2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며, '0b100'이면 3:1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이상, UL이 4개의 서브 프레임으로 구성된 경우). 이때, 레거시 시스템의 상향링크 비율 필드가 '0b101 내지 0b110'인 경우에는 예약된 값(reserved)을 나타내거나, 또는 다른 경우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레거시 시스템의 상향링크 비율 필드가 '0b111'인 경우에는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거나, 상향링크(UL) 서브프레임이 레가시 시스템과 FDM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즉, 표 2의 레거시 시스템 지시가의 값이 '0b0'으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레거시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0b1'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FDM 방식으로 레거시 시스템이 사용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다음 표 10은 레거시 시스템의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대역폭(DL/UL bandwidth of legacy system) 필드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표 10
Figure 112010046049424-pct00010

표 10을 참조하면, 레거시 시스템의 하향링크 대역폭 필드 및 상향링크 대역폭 필드는 각각 8비트의 크기로써 125 KHz 단위의 하향링크 대역폭 및 상향링크 대역폭을 나타낼 수 있다.
다음 표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레가시 시스템의 중심 주파수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표 11
Figure 112010046049424-pct00011

표 11을 참조하면, 중심주파수의 방향 오프셋(Direction of center frequency offset)은 레가시 시스템의 중심주파수가 발전된 시스템의 중심주파수 값에 비해 상위에 존재하는지 또는 하위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중심주파수의 방향 오프셋 값이 '0b0'이면 레가시 시스템의 중심주파수가 발전된 시스템에 비해 상위에 위치하는 것을 나타내고, '0b1'이면 레가시 시스템의 중심 주파수가 발전된 시스템에 비해 하위에 존재함을 나타낼 수 있다. 만약, 레거시 시스템의 중심주파수가 발전된 시스템의 중심주파수와 동일한 값을 갖는 경우에는 방향 오프셋 값이 1로 설정될 수 있다.
표 11에서 레가시 시스템의 하향링크 중심주파수 필드는 7비트의 크기를 갖으면서, 발전된 시스템의 하향링크 중심주파수와의 오프셋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오프셋 값은 125KHz 단위로 설정된다. 만약, 레거시 시스템의 중심주파수가 발전된 시스템의 중심주파수와 동일한 값을 갖는 경우에는 오프셋 값은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레가시 시스템의 상향링크 중심주파수 필드는 7비트의 크기를 갖으면서, 발전된 시스템의 상향링크 중심주파수와의 오프셋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오프셋 값은 125KHz 단위로 설정된다. 만약, 레거시 시스템의 중심주파수가 발전된 시스템의 중심주파수와 동일한 값을 갖는 경우에는 오프셋 값은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표 11에서 중심주파수의 방향 오프셋 값은 2비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중심주파수의 방향 오프셋 값이 '0b00'이면 레가시 시스템의 중심주파수가 발전된 시스템에 비해 상위에 위치하는 것을 나타내고, '0b01'이면 레가시 시스템의 중심 주파수가 발전된 시스템에 비해 하위에 존재함을 나타내고, '0b10'이면 레가시 시스템의 중심 주파수가 발전된 시스템의 중심주파수와 동일한 위치에 존재함을 나타낼 수 있고, 이 경우, 기지국은 중심 주파수 정보(DL center frequency and UL center frequency)를 별로도 보내지 않는다. 이때, '0b11'은 예약된 값을 나타낸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주기적으로 방송채널을 전송함으로써 단말에 프레임 구조 정보를 전달해 줄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발전된 시스템이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는 특정 수퍼프레임에서만 프레임 구조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채널을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채널환경 또는 사용자 요구사항에 따라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단말에 프레임 구조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S503).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기지국에서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 구조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의 다른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기지국 및 단말이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는 경우에, 프레임 구조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특히, 도 6은 프레임 구조 정보가 쉽게 변경되지 않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지국(BS)이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 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 구조의 일례로서 도 4의 프레임 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S601).
S601 단계에서, 기지국이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 구조를 생성하는 경우에, 기지국은 생성한 프레임 구조에 대한 프레임 구조 정보들을 시스템정보 전달 메시지를 이용하여 단말에 미리 알려줄 수 있다(S602).
기지국은 주기적으로 시스템 정보전달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단말에 프레임 구조 정보를 전달해 줄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발전된 시스템이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는 특정 수퍼프레임에서만 프레임 구조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전달 메시지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S603).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할당정보 또는 프레임 구조 정보는 멀티 캐리어를 지원하기 위한 멀티 캐리어 지원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 캐리어를 지원하는 시스템은 멀티 캐리어를 지원하는 단말을 위해서, 멀티 캐리어에 관련된 시스템 정보들이 레가시 시스템에서 정의한 정보들의 구조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멀티 캐리어 지원 정보는 중심 주파수 정보, 대역폭 정보 및 자원할당 비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 캐리어에서 중심 주파수 정보는 현재 단말에 할당된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정보를 기준으로 상대적인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때, 중심 주파수에 대한 상대적인 값은 위치 정보나 주파수 오프셋 정보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멀티 캐리어를 지원하는 기지국은 멀티 캐리어에 관한 시스템 정보들을 유니캐스트 형식으로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멀티 캐리어 지원정보는 중심 주파수, 대역폭 정보 및 자원 할당 비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기지국은 멀티 캐리어 지원정보들을 방송채널 및/또는 시스템정보전달 메시지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방송채널은 수퍼 프레임 헤더 또는 부가적인 방송 메시지(Additional broadcast information)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기지국은 멀티 캐리어 지원정보들을 유니캐스트 메시지(unicast message) 형태로 단말에게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 캐리어를 지원하는 단말이 초기 망 진입 절차를 수행하는 동안, 기지국은 유니캐스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멀티 캐리어 지원정보들을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유니캐스트 메시지로서 레인징 응답(RNG-RSP) 메시지, 등록응답(REG-RSP) 메시지 및/또는 가입자단말 기본능력응답(SBC-RSP)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멀티 캐리어를 지원하는 단말의 초기 망 진입 절차가 완료된 후 별도의 유니캐스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멀티 캐리어를 지원하는 단말에 멀티 캐스트 지원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레가시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레가시 시스템을 지원하는 발전된 프레임 구조는 변경 지점(switch point)인 TTG가 1 개이고, 서브프레임 단위로 DL/UL 비율(DL/UL ratio)이 5:3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7에서 발전된 프레임 구조는 5 개의 연속된 DL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고, 나머지 세 개의 연속된 UL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레가시 시스템의 DL/UL 비율 필드(DL/UL ratio with legacy system)는 '0b00011/001'로 설정될 수 있다(표 4 참조).
즉, 5 개의 연속된 DL 서브 프레임에서 처음 세 개의 서브 프레임은 레가시 시스템(802.16e)과 공존해서 쓰는 것을 나타내고, 나머지 두 개의 DL 서브 프레임은 발전된 시스템(802.16m)을 위해서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UL 서브 프레임에서 처음 두 개의 서브 프레임은 레거시 시스템(802. 16e)과 공존해서 사용되고, 나머지 하나의 서브 프레임은 발전된 시스템(802. 16m)을 위해서만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레가시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 구조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도 8은 발전된 시스템(802.16m)이 레거시 시스템(802.16e)을 지원하는 경우에, 레거시 시스템을 위해 할당된 DL 서브프레임에서 802.16e 대역폭과 발전된 시스템을 위해 할당된 DL 서브프레임에서 802.16m 대역폭이 동일한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즉, 처음 세 개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은 802.16e 시스템을 위해 할당되고, 나머지 두 개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802.16m 시스템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처음 2 개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802.16e를 위해 사용되고, 나머지 1 개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802.16m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레거시 시스템의 DL/UL 비율은 '0b00011/001'로 설정될 수 있다(표 4 참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레가시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 구조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대한 프레임 구조는 도 8과 동일하다. 따라서, 하향링크 프레임 구조에 대한 설명은 도 8을 참조할 수 있다. 다만, 도 9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도 8과 차이가 있다. 도 9에서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FDM 방식을 이용하여 다중화된 것을 나타낸다.
도 9는 802.16e 시스템과 802.16m 시스템의 서브프레임 구조가 FDM 형태로 공존할 때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이 때에, 레거시 시스템의 DL/UL 비율은'0b00011/000'로 설정될 수 있다(표 4 참조).
도 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레가시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 구조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에서 레가시 시스템 구조는 발전된 시스템 구조와 동일한 중심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도 10을 나타내기 위해 표 7 및 표 11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7의 필드를 이용하는 경우, 레가시 시스템의 DL 중심주파수 값은 대역폭 크기에 관계 없이 '0b000'으로 설정될 것이다. 또한, 표 10을 이용하면 중심주파수의 방향 오프셋 값은 '1'로 설정되고, DL 서브프레임에 대한 중심주파수의 오프셋 값은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레가시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 구조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도 11은 레거시 시스템(16e)의 대역폭을 발전된 시스템(16m)의 대역폭의 반(1/2)으로 설정한 경우를 가정한다. 예를 들어, 16m 시스템의 대역폭(BW)이 20MH이고, 16e 시스템의 대역폭(BW)이 10MHz인 경우 또는 16m 시스템의 BW가 10MHz이고, 16e 시스템의 BW가 5MHz으로 설정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11은 레거시 시스템의 중심주파수가 발전된 시스템의 중심주파수보다 상위에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때, 표 7을 참조하면, 레가시 시스템의 DL 중심주파수 값은 '0b001'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1은 표 11을 이용하여 레거시 시스템의 중심주파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1의 중심주파수 방향 오프셋 값은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DL 중심주파수 오프셋 값은 발전된 시스템의 대역폭이 20MHz이고, 레거시 시스템의 대역폭이 10MHz라면, 레거시 시스템의 DL 중심주파수 값은 '0b0101000'(0.125×40 = 5MHz)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발전된 시스템의 대역폭이 10MHz이고, 레거시 시스템의 대역폭이 5MHz라면, 레거시 시스템의 DL 중심주파수 값은 '0b0010100'(0.125×20 = 2.5MHz)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레가시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 구조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도 12는 레거시 시스템(16e)의 대역폭을 발전된 시스템(16m)의 대역폭의 반(1/2)으로 설정한 경우를 가정한다. 예를 들어, 발전된 시스템(16m)의 대역폭(BW)이 20MH이고, 레거시 시스템(16e)의 대역폭(BW)이 10MHz인 경우 또는 발전된 시스템의 BW가 10MHz이고, 레거시 시스템의 BW가 5MHz으로 설정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12는 레거시 시스템의 중심주파수가 발전된 시스템의 중심주파수보다 하위에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때, 표 7을 참조하면, 레가시 시스템의 DL 중심주파수 값은 '0b010'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2은 표 11을 이용하여 레거시 시스템의 중심주파수 필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1의 중심주파수 방향 오프셋 값은 '1'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DL 중심주파수 오프셋 값은 발전된 시스템의 대역폭이 20MHz이고, 레거시 시스템의 대역폭이 10MHz라면, 레거시 시스템의 DL 중심주파수 값은 '0b0101000'(0.125×40 = 5MHz)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발전된 시스템의 대역폭이 10MHz이고, 레거시 시스템의 대역폭이 5MHz라면, 레거시 시스템의 DL 중심주파수 값은 '0b0010100'(0.125×20 = 2.5MHz)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레가시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 구조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도 13은 레거시 시스템(16e)의 대역폭을 발전된 시스템(16m)의 대역폭의 1/4로 설정한 경우를 가정한다. 예를 들어, 발전된 시스템(16m)의 대역폭(BW)이 20MH이고, 레거시 시스템(16e)의 대역폭(BW)이 5MHz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13과 같은 대역폭 크기에서 레거시 시스템의 중심 주파수는 대역폭의 맨 위부분에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표 7에서 레가시 시스템의 중심주파수 필드는 '0b001'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3은 표 11을 이용하여 레거시 시스템의 중심주파수 필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1의 중심주파수 방향 오프셋 값은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DL 중심주파수 오프셋 값은 발전된 시스템의 대역폭이 20MHz이고, 레거시 시스템의 대역폭이 5MHz라면, 레거시 시스템의 DL 중심주파수 오프셋은 '0b0111100'(0.125×60 = 7.5MHz)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레가시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 구조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도 14는 레거시 시스템(16e)의 대역폭을 발전된 시스템(16m)의 대역폭의 1/4로 설정한 경우를 가정한다. 예를 들어, 발전된 시스템(16m)의 대역폭(BW)이 20MH이고, 레거시 시스템(16e)의 대역폭(BW)이 5MHz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14와 같은 대역폭 크기에서 레거시 시스템의 중심 주파수는 대역폭의 맨 위에서 두 번째 부분에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표 7에서 레가시 시스템의 중심주파수 필드는 '0b010'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4는 표 11을 이용하여 레거시 시스템의 중심주파수 필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1의 중심주파수 방향 오프셋 값은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DL 중심주파수 오프셋 값은 발전된 시스템의 대역폭이 20MHz이고, 레거시 시스템의 대역폭이 5MHz라면, 레거시 시스템의 DL 중심주파수 오프셋은 '0b0010100'(0.125×20 = 2.5MHz)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레가시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 구조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도 15는 레거시 시스템(16e)의 대역폭을 발전된 시스템(16m)의 대역폭의 1/4로 설정한 경우를 가정한다. 예를 들어, 발전된 시스템(16m)의 대역폭(BW)이 20MH이고, 레거시 시스템(16e)의 대역폭(BW)이 5MHz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15와 같은 대역폭 크기에서 레거시 시스템의 중심 주파수는 대역폭의 아래에서 두 번째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표 7에서 레가시 시스템의 중심주파수 필드는 '0b011'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5는 표 11을 이용하여 레거시 시스템의 중심주파수 필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1의 중심주파수 방향 오프셋 값은 '1'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DL 중심주파수 오프셋 값은 발전된 시스템의 대역폭이 20MHz이고, 레거시 시스템의 대역폭이 5MHz라면, 레거시 시스템의 DL 중심주파수 오프셋은 '0b0010100'(0.125×20 = 2.5MHz)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레가시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 구조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도 16은 레거시 시스템(16e)의 대역폭을 발전된 시스템(16m)의 대역폭의 1/4로 설정한 경우를 가정한다. 예를 들어, 발전된 시스템(16m)의 대역폭(BW)이 20MH이고, 레거시 시스템(16e)의 대역폭(BW)이 5MHz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16과 같은 대역폭 크기에서 레거시 시스템의 중심 주파수는 대역폭의 맨 아래부분에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표 7에서 레가시 시스템의 중심주파수 필드는 '0b10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6은 표 11을 이용하여 레거시 시스템의 중심주파수 필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1의 중심주파수 방향 오프셋 값은 '1'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DL 중심주파수 오프셋 값은 발전된 시스템의 대역폭이 20MHz이고, 레거시 시스템의 대역폭이 5MHz라면, 레거시 시스템의 DL 중심주파수 오프셋은 '0b0111100'(0.125×60 = 7.5MHz)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프레임 구조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태는 도면이다.
도 17에서 수퍼프레임은 도 2 및 도 3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및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할당 비율(DL/UL ratio)은 5:3이다. 또한, 도 17은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16eDL) 및 발전된 시스템만을 지원하는 하향링크 서브맵(16m DL)의 비율은 3:2이다. 또한, 도 17은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16e UL) 및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지원하는 서브프레임(16m UL)의 비율은 2:1인 경우를 나타낸다.
수퍼프레임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수퍼프레임 헤더(SFH: Super Frame Header)가 할당될 수 있다. 수퍼프레임헤더(SFH)는 BCH 및 다른 제어채널이 할당되는 하향링크 스케줄링 채널(DL-SCH)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레거시 시스템에 관련된 프레임 구조 정보들은 수퍼프레임 주기(예를 들어, 20ms) 마다 전송되는 수퍼프레임헤더를 통해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도 17에서 방송채널은 주방송채널(PBCH: Primary BCH) 및 부방송채널(SBCH: Secondary BCH)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레임 구조 정보는 SBCH를 통해 단말에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프레임 구조 정보는 사용자의 요구사항 또는 채널환경에 따라 PBCH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도 17에서 SBCH를 통해 전송되는 프레임 구조 정보로서 DL/UL 비율 필드(DL/UL ratio with legacy system)는 표 3을 참조시 '0b00011/001'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DL/UL 비율 필드는 표 6을 참조시 DL 비율필드(DL ratio with legacy system)은 '0b000'으로 설정되고, UL 비율필드(UL ratio with legacy system)는 '0b001'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레거시 시스템의 중심 주파수가 발전된 시스템과 같기 때문에 DL/UL 중심 주파수는 '0b000'으로 설정될 수 있다(표 7 참조). 또한, DL/UL 대역폭은 발전된 시스템의 중심주파수와 동일하게 설정된 것을 나타내다.
상술한 중심 주파수 정보 구조나 대역폭 정보 구조는 레가시 시스템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 대한 실시예들을 설명한 것이다. 다만, 중심 주파수 정보 구조나 대역폭 정보를 사용하는 다른 실시예들도 레가시 시스템을 함께 사용하는 실시예들과 동일 하게 사용되거나, 변경하여 유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 캐리어를 지원하는 시스템(즉, 여러 개의 중심 주파수를 사용하는 기지국 또는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멀티 캐리어를 지원하는 단말을 위해서 멀티 캐리어에 관련된 정보(PHY & Mac)를 단말에게 전송해야 한다. 이때, 멀티 캐리어를 지원하는 시스템에서도 중심 주파수 정보나 대역폭 정보들과 같은 물리적 정보들은 레가시 시스템을 위해서 정의한 정보들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레가시 시스템 또는 멀티 캐리어를 지원하는 시스템(System for supporting multi-carrier)을 위한 정보(i.e. 멀티 캐리어 지원정보)를 단말들에게 전달하기 위해서 방송채널(BCH: Broadcast Channel) 또는 시스템 정보전달 메시지를 사용하였다. 방송채널로는 주방송채널(PBCH: Primary BCH) 및 부방송채널(SBCH: Secondary BCH)가 있다. 또한, 시스템 정보전달 메시지에는 하향링크 채널 서술자(DCD: Downlink Channel Descriptor) 메시지 및 상향링크 채널 서술자(UCD: Uplink Channel Descriptor) 메시지가 있다.
기지국이 멀티 캐리어 지원정보를 방송채널 또는 방송 형태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불특정 단말에 멀티 캐리어 지원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이는 멀티캐리어 지원정보를 필요로 하지 않는 단말에게 까지 전송될 수 있다. 즉, 기지국이 멀티 캐리어를 지원하지 않는 단말에까지 멀티 캐리어 지원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불필요한 정보전달 오버헤드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레거시 시스템 또는 다중 캐리어(multi-carrier)를 지원하는 시스템에 대한 정보(멀티 캐리어 지원정보) 및/또는 이종망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유니캐스트(unicast) 메시지를 단말에게 전송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말이 초기 망진입(initial network entry) 절차를 수행하는 동안, 기지국은 레거시 시스템에 관련된 정보나 다중 캐리어 지원정보를 단말에게 유니캐스트 형태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레인징 응답(RNG-RSP) 메시지, 가입자단말 기본능력응답(SBC-RSP) 메시지 및/또는 등록응답(REG-RSP) 메시지에 멀티 캐리어 지원정보 및/또는 이종망정보를 포함하여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초기 망진입 절차가 끝난 후 별도의 유니캐스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단말에게 멀티 캐리어 지원정보 및/또는 이종망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BCH나 시스템 정보전달 메시지를 이용하여 멀티 캐리어 지원정보 및/또는 이종망정보를 전송하는 경우보다 효율적으로 특정 단말에필요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멀티 캐리어 지원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유니 캐스트 전송 방식은 상술한 레거시 시스템 정보들을 전송할 때도 사용될 수 있다. 레거시 시스템(legacy system)를 지원하는 멀티 캐리어 시스템에서, 단말이 레거시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에게 요청하거나 기지국에서 단말에 레거시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에, 기지국은 특정 단말에게 유니캐스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레거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는 802.16m 기지국에 존재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단말이 802.16m시스템 영역에서 802.16e(legacy)시스템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단말은 기지국에게 영역 스위칭을 요구하기 위하여 유니캐스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영역 스위칭 요청에 대한 유니캐스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은 이에 대한 응답으로 스위칭 지시(indication) 정보가 포함된 유니캐스트 응답 메시지를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유니캐스트 응답 메시지(즉, 영역 스위칭 응답 메시지)에 레가시 시스템에 대한 정보(e.g. DCD, UCD)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단말의 요청이 없이도(unsolicited) 해당 단말에 대하여 영역을 스위칭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은 스위칭 명령 정보, 영역 스위칭에 관련된 정보 및 레가시 시스템 정보를 포함하는 영역 스위칭 응답 메시지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단말은 레가시 시스템에 대한 시스템 정보(e.g. DCD/UCD)를 미리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이 영역을 이동하는 등의 레가시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필요로 하는 경우, 미리 수신한 레가시 시스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레가시 시스템 정보가 변경된 경우에는, 단말은 변경된 레가시 시스템 정보만을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은 기지국에게 레가시 시스템 정보 요청 메시지(또는, 영역 스위칭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때, 해당 메시지에 자신이 가지고 있는 레가시 시스템 정보에 대한 변경 카운트(change count)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레가시 시스템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변경 카운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레가시 시스템 정보 응답 메시지에 변경된 레가시 시스템 지원 정보만을 포함하여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은 변경 카운트(change count)에 해당하는 시스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변경 카운트의 값이 8 bit인 경우, 기지국은 256개 변경 카운트에 대한 시스템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단말이 레가시 시스템에 대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은 초기 진입시 한 번 받을 수도 있고, 소정의 주기를 가지고 주기적으로 레가시 시스템에 대한 시스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만약, 단말이 레가시 시스템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경우, 변경 카운터가 재설정되기 전에(예를 들어, 주기적으로 수신된 레가시 시스템 정보에 대한 변경 카운터의 크기가 8비트라 했을 경우, 카운터가 256 만큼 증가되어 다시 8 비트로 돌아오기 전까지), 갱신된 레가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수신 주기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DCD/UCD 전송 간격이 0.5sec라 할 경우, 주기는 0.5*256sec 값보다 작게 설정되어야 한다. 기지국은 수신 주기에 대한 타이머 정보를 단말에게 유니캐스트나 브로드캐스트 방식을 사용하여 명시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레가시 시스템에 대한 시스템 정보(e.g. DCD/UCD)가 전송되는 시점이나 위치를 포인터 형태로 알려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레가시 시스템에 대한 시스템 정보가 전송되는 시점이나 위치에 대한 포인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포인터에 포함된 전송 시점이나 위치에서 레가시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포인터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7 내지 도 16의 프레임 구조에 대한 정보들은 도 5, 도 6 및 도 7에서 설명한 방법들 중 하나를 이용하여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레거시 시스템에 대한 프레임 구조 정보들(표 1 내지 표 11 참조)을 방송채널(BCH) 또는 방송 MAC 관리 메시지(예를 들어, 하향링크 채널 서술자(DCD) 및/또는 상향링크 채널 서술자(UCD))를 이용하여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무선접속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무선접속 시스템들의 일례로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2 및/또는 IEEE 802.xx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802) 시스템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 다양한 무선접속 시스템뿐 아니라, 상기 다양한 무선접속 시스템을 응용한 모든 기술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4)

  1.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이 상기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프레임 헤더의 방송채널(BCH)을 통해 상기 프레임 구조에 대한 할당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할당정보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제1지시자,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 상기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는 제1서브프레임들의 비율을 지시하기 위한 제1정보, 상기 제1서브프레임들에 대한 대역폭 정보, 상기 제1서브프레임들에 포함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다중화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제2지시자 및 상기 제1서브프레임들의 중심 주파수에 대한 제2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전송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각각에서, 상기 제 1 서브프레임들과 상기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지 않는 제 2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비율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전송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수퍼프레임에 포함된 서브프레임들 중 상기 제 1 서브프레임들 및 상기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지 않는 제 2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비율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전송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시자는 상기 제 1 서브프레임들에 포함되는 상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이 시분할다중 방식(TDM) 및 주파수분할다중 방식(FDM)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고,
    상기 중심 주파수는 현재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상대적인 값으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전송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인 값은 위치정보 형태로 나타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전송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인 값은 주파수 오프셋의 정보 형태로 나타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전송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정보는,
    상기 제 2 지시자가 상기 제 1 서브프레임들에 포함되는 상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에 주파수 분할다중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면,
    상기 제 1 서브프레임들에 할당된 상향링크 자원블록의 개수를 나타내는 제 3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전송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채널 영역은 주 방송채널(PBCH) 및 부 방송채널(SBCH)를 포함하고,
    상기 할당정보는 상기 주 방송채널 및 상기 부 방송채널 중 하나를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전송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정보는 시스템 정보 전달 메시지에 포함되어 상기 단말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전송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는 수퍼 프레임 구조이고,
    상기 프레임 헤더는 수퍼 프레임 헤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전송방법.
  11.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는 프레임에 대한 할당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 헤더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프레임 헤더가 지시하는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는 영역을 통해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할당정보는 상기 프레임 헤더에 포함되는 부방송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할당정보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제1지시자,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 상기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는 제1서브프레임들의 비율을 지시하기 위한 제1정보, 상기 제1서브프레임들에 대한 대역폭 정보, 상기 제1서브프레임들에 포함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다중화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제2지시자 및 상기 제1서브프레임들의 중심 주파수에 대한 제2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전송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07015901A 2008-03-03 2009-03-03 레거시 시스템 및 멀티 캐리어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전송방법 KR1016333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302908P 2008-03-03 2008-03-03
US61/033,029 2008-03-03
US3730008P 2008-03-17 2008-03-17
US61/037,300 2008-03-17
KR1020080096320 2008-09-30
KR1020080096320A KR20090094736A (ko) 2008-03-03 2008-09-30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전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463A KR20110003463A (ko) 2011-01-12
KR101633337B1 true KR101633337B1 (ko) 2016-07-08

Family

ID=414785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6320A KR20090094736A (ko) 2008-03-03 2008-09-30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전송방법
KR1020107015901A KR101633337B1 (ko) 2008-03-03 2009-03-03 레거시 시스템 및 멀티 캐리어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전송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6320A KR20090094736A (ko) 2008-03-03 2008-09-30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전송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411620B2 (ko)
KR (2) KR20090094736A (ko)
WO (1) WO200911073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482B1 (ko) * 2007-05-17 2014-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 제어 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방법
KR20090078715A (ko) * 2008-01-15 2009-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브맵을 이용한 통신방법
CN101926214B (zh) * 2008-03-24 2013-08-21 中兴通讯美国公司 动态调整和信令通知lte/tdd系统中的下行/上行分配比率
DE102008031407A1 (de) * 2008-07-02 2010-01-14 Enocean Gmbh Initialisierungsverfahren und Betriebsverfahren für ein Funknetzwerk
US8315225B2 (en) * 2008-09-22 2012-11-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Aspects to support LTE-A downlink hi-order MIMO
US8327216B2 (en) * 2008-10-22 2012-1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ngle-stage decoder for raptor codes
KR101243302B1 (ko) * 2008-12-19 2013-03-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생성 방법 및 프레임 정보 전송방법
US8565260B2 (en) * 2009-04-13 2013-10-2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ystem information from a base station supporting an improved system
KR101636399B1 (ko) * 2009-10-15 2016-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9247547B2 (en) * 2009-10-15 2016-01-26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and uplink resource element mapping for carrier extension
WO2011046386A2 (en) 2009-10-15 2011-04-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information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676308B1 (ko) 2009-12-22 2016-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전송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신호 수신 방법 및 기지국
KR101883425B1 (ko) 2011-08-01 2018-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위폐 감별법
EP2807860A4 (en) 2012-01-23 2016-04-13 Intel Corp NETWORK-SUPPORTED USER LINK AND RELEASE PROCESS FOR INTEGRATED HETEROGENIC MULTI-RAT NETWORKS
EP2829101A4 (en) * 2012-03-21 2015-12-09 Nokia Technologies Oy CYCLIC CHANNEL STATUS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ONFIGURATION FOR NEW CARRIER TYPE WITH REVERSE COMPATIBLE SEGMENT
WO2014014317A1 (en) * 2012-07-19 2014-0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system information to user equipment in region of co-channel interference
ES2835737T3 (es) * 2012-10-22 2021-06-23 Qualcomm Inc Procedimiento para configurar la trama inalámbrica del equipo de usuario, equipo de usuario, procedimiento para configurar la trama inalámbrica de la estación base y estación base
US10027462B2 (en) * 2014-10-31 2018-07-17 Qualcomm Incorporated Unified frame structure
US20160143030A1 (en) * 2014-11-14 2016-05-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transmitting frame for supporting legacy system, and method and apparatus of searching cell using the same
US10404332B2 (en) * 2016-01-28 2019-09-03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common burst channelization
KR102632966B1 (ko) 2016-02-05 2024-02-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프레임 구조 운용 방법 및 장치
US11432242B2 (en) * 2018-02-01 2022-08-30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information updat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90724A1 (en) 2004-02-13 2005-09-01 Hansen Christopher J. Transmission of wide bandwidth signals in a network having legacy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44108A1 (en) * 2001-03-29 2002-10-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ublic-key-based secure authentication to distributed legacy applications
US8842657B2 (en) * 2003-10-15 2014-09-23 Qualcomm Incorporated High speed media access control with legacy system interoperability
US20090133129A1 (en) 2006-03-06 2009-05-21 Lg Electronics Inc. Data transferring method
KR100876747B1 (ko) * 2006-09-29 2009-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확장성 대역폭을 지원하는 셀룰러 무선통신시스템을 위한방송채널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454482B1 (ko) * 2007-05-17 2014-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 제어 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방법
WO2009019117A1 (en) * 2007-08-03 2009-02-12 Affibody Ab Igf-1r binding polypeptides and their use
WO2009022295A2 (en) * 2007-08-13 2009-02-19 Nokia Corporation Mapping of uplink ack in tdd with asymmetric frame structure
US8139537B2 (en) * 2007-11-07 2012-03-20 Wi-Lan, Inc. Advanced technology frame structure with backward compatibility
WO2009091931A1 (en) * 2008-01-15 2009-07-23 Zte U.S.A., Inc. Methods for superframe/frame overhead reduction within ofdma-based communication systems
US8332712B2 (en) * 2008-07-04 2012-1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hybrid ARQ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90724A1 (en) 2004-02-13 2005-09-01 Hansen Christopher J. Transmission of wide bandwidth signals in a network having legacy devic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H.Teo, "Adaptive Frame Structure for Mobile multihop Relay(MMR) Network, IEEE 2007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Sigapore 10-13 Dec 20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02320A1 (en) 2011-01-06
WO2009110733A3 (ko) 2009-10-29
KR20110003463A (ko) 2011-01-12
US8411620B2 (en) 2013-04-02
KR20090094736A (ko) 2009-09-08
WO2009110733A2 (ko) 2009-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3337B1 (ko) 레거시 시스템 및 멀티 캐리어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전송방법
KR101570350B1 (ko) 동적 전송시간간격 할당방법
EP2109338B1 (en) Indicating the frame offset of Multicast Broadcast Service data bursts in an MBS-MAP message
USRE45996E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information elements in a wireless access system
US8531999B2 (en) Method of communication supporting half-duplex frequency division duplex
JP5583842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アップリンク制御チャネルのためのリソース割当方法及び装置
JP6451969B2 (ja) 通信システム
US89135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 system information in a wireless access system
KR20060106559A (ko)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상향링크 구간 할당 정보 송수신방법
US201300282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sistent resource allocation in a wireless access system
US8634337B2 (en) Method for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and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KR101784008B1 (ko)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대역폭 요청 채널 할당 방법 및 장치
KR20090078715A (ko) 서브맵을 이용한 통신방법
CN109891975B (zh) 用于标识和使用无线通信网络中的无线电资源的方法和装置
US20110058511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of multicast broadcast service using superframe header in mobile wireless connection system
US20120099556A1 (en) Method for reconfiguring user bitmap in wireless access system
US20120093116A1 (en) Method for allocating harq feedback channel in group resource allocation
US87807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90093735A (ko) 상향링크 자원영역 할당방법
US20110149832A1 (en) Method for data transmitting in mobile multicast broadcast service
KR101801944B1 (ko) 다중 반송파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반송파 스위칭을 이용한 통신방법
KR20110115099A (ko)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e-mbs 시스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10027629A (ko)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슈퍼프레임헤더를 이용하여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KR20110073373A (ko) 모바일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서비스에서의 데이터 전송방법
KR20100048854A (ko) 단말의 중계기 map 위치 검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