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300B1 - 가구용 기능성 투시도어 - Google Patents

가구용 기능성 투시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300B1
KR101632300B1 KR1020150136310A KR20150136310A KR101632300B1 KR 101632300 B1 KR101632300 B1 KR 101632300B1 KR 1020150136310 A KR1020150136310 A KR 1020150136310A KR 20150136310 A KR20150136310 A KR 20150136310A KR 101632300 B1 KR101632300 B1 KR 101632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member
reflective layer
furniture
door fram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호
Original Assignee
김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찬호 filed Critical 김찬호
Priority to KR1020150136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3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49Specific panel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binets, Racks, Or The Like Of Rigid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용 기능성 투시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가구(F)의 입구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사각틀 형상의 도어프레임(10)과; 상기 도어프레임(10)의 내측에 설치되는 LED 모듈(20)과; 상기 도어프레임(10)의 전방측에 고정되는 전방투명부재(30)와; 상기 전방투명부재(30)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광을 반사하는 제1반사층(35)과; 상기 도어프레임(10)의 후방측에 고정되는 후방투명부재(40)와; 상기 후방투명부재(40)에 위치된 것으로서, 광을 반사하는 제2반사층(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구용 기능성 투시도어{furniture door}
본 발명은 가구에 설치되는 가구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평소에는 가구에 수납된 물품을 보이지 않게 하고, 필요에 따라 가구 내부를 선택적으로 투시하여 보이게 할 수 있는 가구용 기능성 투시도어에 관한 것이다.
각종 가구, 예를 들면 주방가구에는 물품의 유출입을 위한 도어가 설치되며, 도어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되면서 가구내부를 개폐하는 미닫이 방식이나 힌지를 이용하여 가구내부를 개폐하는 여닫이 방식으로 설치된다. 특히 주방가구의 경우 다양한 식기류나 냄비류, 조미료, 각종 주방용품과 같은 물품을 수납하기 때문에, 주방일을 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도어를 여러번 개폐하여 필요한 물품을 꺼내거나 보관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그런데 주방가구에 보관되는 주방용품의 가지수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어느 가구에 어떤 물품이 보관되었는지 여부를 잊을 때가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여러개의 도어를 모두 열어 특정 물품이 보관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야 하였다. 이에 따라, 평소에는 가구 내부의 물품이 외부로 보이지 않다가, 필요에 따라 가구 내부에 수납된 물품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필요성이 발생되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이 실용신안등록번호 20-0318429호에 물품 보관함용 투명도어란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평소에는 가구에 수납된 물품을 외부로 보이지 않게 하고,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가구에 수납된 물품이 보이도록 할 수 있는 가구용 기능성 투시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기능성 투시도어는, 가구(F)의 입구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사각틀 형상의 도어프레임(10); 상기 도어프레임(10)의 내측에 설치되는 LED 모듈(20); 상기 도어프레임(10)의 전방측에 고정되는 전방투명부재(30); 상기 전방투명부재(30)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광을 반사하는 제1반사층(35); 상기 도어프레임(10)의 후방측에 고정되는 후방투명부재(40); 상기 후방투명부재(40)에 위치된 것으로서, 광을 반사하는 제2반사층(45); 및 단면이 상방으로 개구된 "ㄷ" 형상을 가지는 커버몸체(61)와, 상기 커버몸체(61)의 입구측 내측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LED 모듈의 PCB 기판(21)이 끼어지는 끼움홈(62)을 가지는 모듈커버(60);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프레임(10) 내측에는 상기 모듈커버(60)가 끼어지는 모듈끼움홈(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LED 모듈(20)을 작동시키는 스위치(50)를 더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3,4프레임(11)(12)(13)(14)의 단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전방투명부재(30) 및 후방투명부재(40)의 가장자리가 거치되는 걸침턱(11a)(12a)(13a)(14a)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층(35)의 반사율은 상기 제2반사층(45)의 반사율보다 크다. 이때 상기 제1반사층(35)의 반사율을 50~70% 이고 제2반사층(45)의 반사율을 10~20% 범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층(35)과 제2반사층(45)은 상기 전방투명부재(30) 및 후방투명부재(40)의 마주보는 면에 위치된다.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듈커버(60)는, 상기 PCB 기판(21)과 커버몸체(61) 바닥 사이에는, 그 PCB 기판(21)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경유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커버공간(63)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소에는 가구에 수납된 물품을 외부로 보이지 않게 하고, 스위치(50)를 작동하였을 때 LED 모듈(20)이 발광되면서 수납된 물품을 보이게 한다. 이에 따라 투시도어를 개방하지 않고도 가구에 수납된 물품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투시도어를 투과율이 다른 제1,2반사층 및 LED 모듈(20)을 이용하여 구현되므로 구조가 단순하여 고장의 우려가 없고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대량생산 및 대량보급이 가능하다라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투시도어가 장착된 가구의 일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투시도어를 발췌하여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도어프레임에 LED 모듈이 모듈커버에 의하여 장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의 모듈커버를 발췌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의 투시도어가 투명해짐으로서 수납된 물품이 보이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기능성 투시도어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투시도어가 장착된 가구의 일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투시도어를 발췌하여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기능성 투시도어는, 가구(F)의 입구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사각틀 형상의 도어프레임(10)과; 도어프레임(10)의 내측에 설치되는 LED 모듈(20)과; 도어프레임(10)의 전방측에 고정되는 전방투명부재(30)와; 전방투명부재(30)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광을 반사하는 제1반사층(35)과; 도어프레임(10)의 후방측에 고정되는 후방투명부재(40)와; 후방투명부재(40)에 위치된 것으로서, 광을 반사하는 제2반사층(45)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LED 모듈(20)을 작동시키는 스위치(50);를 포함한다. 이러한 투시도어(100)는, 가구(F)에 설치된 가이드레일를 따라 이송되는 미닫이식으로 구현되거나, 가구(F)에 설치된 힌지에 연결된 여닫이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일반 가구는 물론 주방씽크대, 사무집기 서랍장, 화장대, 서류보관함등 다양한 가구에 적용할 수 있다.
도어프레임(10)은, 4개의 제1,2,3,4프레임(11)(12)(13)(14)이 전체적으로 사각틀 형태로 연결되어 구현된다. 이러한 도어프레임(10)은 전방 및 후방 투명부재(30)(40)를 이격된 상태로 고정하며, 전방 및 후방 투명부재(30)(40) 사이에서 LED 모듈(20)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제1,2,3,4프레임(11)(12)(13)(14)의 단부에는 상기한 전방투명부재(30) 및 후방투명부재(40)의 가장자리가 거치되는 걸침턱(11a)(12a)(13a)(14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반사층(35)이 위치된 전방투명부재(30)와 제2반사층(45)이 위치된 후방투명부재(40)를 손상시키지 않고 제1,2,3,4프레임(11)(12)(13)(14)에 위치고정할 수 있다.
LED 모듈(20)은, 도어프레임(10)의 내측에서 마주보는 프레임에 설치된다. 이러한 LED 모듈(20)은 구현되는 투시도어의 크기에 따라, 제1프레임(11)과 제3프레임(13)의 마주보는 면에 설치되거나, 혹은 제1,2,3,4프레임(11)(12)(13)(14)의 마주보는 면 모두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LED 모듈(20)은 PCB 기판(21)에 LED 칩(22)이 식립되어 구현된다. 이때 LED 칩(22)에서 조사되는 광은 약 120ㅀ 각도로 확산되는데, 이때 확산각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LED 칩(22)의 전방에는 렌즈(23)가 설치된다. 예를 들면 렌즈(23)는 LED 칩(22)에서 조사되는 중앙을 기준으로 60ㅀ 정도로 집속되게 조사되게 함으로써, 도어프레임(10)의 중앙측의 조도가 가장자리측의 조도보다 현저하게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LED 모듈(20)의 간격을 촘촘하게 배치함으로써 LED 모듈(20)에서 조사되는 다수의 광의 경계가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전방투명부재(30)는, 도어프레임(10)의 전방측, 즉 가구(F) 반대측의 고정된다. 이러한 전방투명부재(30)는 유리로 구현될 수도 있고,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제1반사층(35)은, 전방투명부재(30)의 표면에 위치된 것으로서, 특정 반사율을 가지는 재질, 예를 들면 알루미늄이 증착 코팅되어 구현된다. 그러나 제1반사층(35)은 특정한 반사율을 가지는 필름을 전방투명부재(30)에 부착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후방투명부재(40)는, 도어프레임(10)의 후방측, 즉 가구(F) 측에 고정된다. 이러한 후방투명부재(40)는 유리로 구현될 수도 있고,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제2반사층(45)은, 후방투명부재(40)의 표면에 위치된 것으로서, 특정 반사율을 가지는 재질, 예를 들면 알루미늄이 증착 코팅되어 구현된다. 그러나 제2반사층(45)은 특정한 반사율을 가지는 필름을 후방투명부재(40)에 부탁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제1반사층(35)의 반사율은 가구측(F)을 향하는 제2반사층(45)의 반사율보다 크며, 제1반사층(35)의 반사율을 50~70% 그리고 제2반사층(45)의 반사율을 10~20% 범위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제1반사층(35)의 반사율이 63% 이고, 제2반사층(45)의 반사율을 15% 이다. 이러한 제1,2반사층(35)(45)에 의하여, 평소에 투시도어(100)의 전체 반사율은 제1반사층(35)과 제2반사층(45)의 반사율을 더한 값이 되며, 투시도어(100)는 거울처럼 보이게 되어 가구(F) 내부에 수납된 물품이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LED 모듈(20)이 작동되어 광이 조사되면, LED 모듈(20)에서 조사되는 광은 반사율이 낮은 제2반사층(45)을 투과하여 가구(F) 내측을 조명하고, 이에 따라 가구 내부와 외부의 조도 차이를 줄임으로써 가구(F) 내부에 수납된 물품이 보이게 되고, 또한 LED 모듈(20)에서 조사되는 광은 반사율이 높은 제1반사층(35)과 반사율이 낮은 제2반사층(45) 사이에서 난반사된 후 다시 반사율이 낮은 제2반사층(45)을 통하여 가구(F) 내부로 조사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가구(F) 내부로 조사되는 광은 넓은 면적으로 확산된 상태가 되므로, 수납된 물품에 그림자가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수납된 물품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1반사층(35)과 제2반사층(45)은 전방투명부재(30) 및 후방투명부재(40)의 마주보는 면에 위치된다. 따라서 전,후방 투명부재(30)(40)보다 내구성이 작은 제1,2반사층(35)(45)은 투시도어(100)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된다.
스위치(5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LED 모듈(20)을 작동시키는 것으로서, 사용자 손이 닿을 수 있는 위치, 예를 들면 투시도어(100)의 손잡이(H) 하부측에 위치된다. 이러한 스위치(50)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압력방식. 근접방식, 터치방식등 스위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식 스위치(50)를 채용하고, 일단 사용자가 한번 터치하면 수초간 LED 모듈(20)을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2의 도어프레임에 LED 모듈이 모듈커버에 의하여 장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모듈커버를 발췌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LED 모듈(20)이 바 타입으로 구현될 경우, 즉 기다란 PCB 기판(21)에 다수의 LED 칩(22)이 식립된 형태일 경우, 도어프레임(10) 내측에 정확히 장착하기 위하여 모듈커버(60)를 채용한다. 이러한 모듈커버(60)는 단면이 상방으로 개구된 "ㄷ" 형상을 가지는 커버몸체(61)와, 커버몸체(61)의 입구측 내측면에 형성된 끼움홈(62)을 가진다. 끼움홈(62)에는 LED 모듈의 PCB 기판(21)이 끼어짐으로서 모듈커버(60)에 장착된다.
또한 모듈커버(60)는, PCB 기판(21)과 커버몸체(61) 바닥 사이에 형성되는 커버공간(63)을 더 포함한다. 커버공간(63)은 PCB 기판(61)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나, 후술할 스위치(50)와 연결되는 신호선이 경유하는 공간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LED 모듈(20)이 작동되어 투시도어(100)가 투명하게 될 때 전선이나 신호선이 외부로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디자인적인 마감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모듈커버(60)는 LED 모듈(20)을 구성하는 PCB 기판(21)의 가장자리 부분을 보이지 않게 마감하게 된다.
도어프레임(10) 내측, 즉 제1,2,3,4프레임(11)(12)(13)(14)에는 상기 모듈커버(60)가 강제로 끼어지는 모듈끼움홈(15)이 형성된다. 모듈끼움홈(15)에는 LED 모듈(20)이 장착된 모듈커버(60)를 도어프레임(10)에 용이하게 설치하게 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투시도어가 투명해짐으로서 수납된 물품이 보이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방투명부재(30) 및 후방투명부재(40) 각각에는 제1,2반사층(35)(4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평소에는 도 1에서와 같이, 가구(F) 내측이 노출되지 않고, 투시도어(100)는 거울의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제1반사층(35)과 제2반사층(45)의 반사율이 더해진 값이 전체 반사율이 되므로, 외부의 광을 효과적으로 반사하여 거울의 기능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스위치(50)를 터치하여 조작하면 LED 모듈(20)이 작동되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시도어(100)가 투명해지고, 이에 따라 투시도어(100)를 통하여 가구(F) 내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가구에 수납된 물품을 학인하기 위하여 투시도어(100)를 열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시도어에 따르면 평소에는 거울과 같은 역할을 하여 가구에 수납된 물품을 외부로 보이지 않게 함과 동시에, 외부의 광을 반사함으로써 가구가 설치된 공간을 환하게 한다.
그리고 스위치(50)를 작동하였을 때 투시도어(100)가 투명해지면서 가구(F)에 수납된 물품이 보이게 한다. 이에 따라 투시도어(100)를 개방하지 않고도 가구에 수납된 물품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투시도어(100)가 투과율이 다른 제1,2반사층 및 LED 모듈(20)을 이용하여 구현되므로, 구조가 단순하여 고장의 우려가 없고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대량생산 및 대량보급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 투시도어
10 ... 도어프레임 11, 12, 13, 14 ... 제1,2,3,4프레임
20 ... LED 모듈 21 ... PCB 기판
22 ... LED 칩 23 ... 렌즈
30 ... 전방투명부재 35 ... 제1반사층
40 ... 후방투명부재 45 ... 제2반사층
50 ... 스위치

Claims (8)

  1. 가구(F)의 입구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사각틀 형상의 도어프레임(10);
    상기 도어프레임(10)의 내측에 설치되는 LED 모듈(20);
    상기 도어프레임(10)의 전방측에 고정되는 전방투명부재(30);
    상기 전방투명부재(30)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광을 반사하는 제1반사층(35);
    상기 도어프레임(10)의 후방측에 고정되는 후방투명부재(40);
    상기 후방투명부재(40)에 위치된 것으로서, 광을 반사하는 제2반사층(45); 및
    단면이 상방으로 개구된 "ㄷ" 형상을 가지는 커버몸체(61)와, 상기 커버몸체(61)의 입구측 내측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LED 모듈의 PCB 기판(21)이 끼어지는 끼움홈(62)을 가지는 모듈커버(60);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프레임(10) 내측에는 상기 모듈커버(60)가 끼어지는 모듈끼움홈(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기능성 투시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LED 모듈(20)을 작동시키는 스위치(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기능성 투시도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4프레임(11)(12)(13)(14)의 단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전방투명부재(30) 및 후방투명부재(40)의 가장자리가 거치되는 걸침턱(11a)(12a)(13a)(14a)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기능성 투시도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층(35)의 반사율은 상기 제2반사층(45)의 반사율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기능성 투시도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층(35)의 반사율을 50~70% 이고 제2반사층(45)의 반사율을 10~2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기능성 투시도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층(35)과 제2반사층(45)은 상기 전방투명부재(30) 및 후방투명부재(40)의 마주보는 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기능성 투시도어.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커버(60)는,
    상기 PCB 기판(21)과 커버몸체(61) 바닥 사이에는, 그 PCB 기판(21)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경유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커버공간(6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기능성 투시도어.
KR1020150136310A 2015-09-25 2015-09-25 가구용 기능성 투시도어 KR101632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310A KR101632300B1 (ko) 2015-09-25 2015-09-25 가구용 기능성 투시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310A KR101632300B1 (ko) 2015-09-25 2015-09-25 가구용 기능성 투시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2300B1 true KR101632300B1 (ko) 2016-06-21

Family

ID=56354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310A KR101632300B1 (ko) 2015-09-25 2015-09-25 가구용 기능성 투시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30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564B1 (ko) * 2018-10-25 2019-12-13 주식회사 인투시 선택적 투시창 및 이를 갖는 수용 장치
WO2020067635A1 (ko) * 2018-09-28 2020-04-02 주식회사 인투시 외부감지 투시 도어 및 이를 가지는 외부감지 투시 보관함
KR20200090475A (ko) * 2019-01-21 2020-07-29 주식회사 인투시 선택적 투시가 가능한 테이블
CN112689601A (zh) * 2018-09-28 2021-04-20 株式会社引透视 状态检测透视保管箱
KR20210092656A (ko) 2020-01-16 2021-07-26 주식회사 인투시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보관함
KR20210092651A (ko) 2020-01-16 2021-07-26 주식회사 인투시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보관함
KR102342972B1 (ko) 2020-08-20 2021-12-24 주식회사 인투시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보관함 관리 시스템
KR102451476B1 (ko) * 2022-03-03 2022-10-07 주식회사 인투시 투시 기능을 갖는 신발장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5971A (ja) * 2002-02-05 2003-08-12 Masao Yoshida 内部に超光輝描画部を有する積層型樹脂ガラス構造体
JP2006169861A (ja) * 2004-12-17 2006-06-29 Tostem Corp 発光パネルユニット、及び、該ユニットを備えた建具、並びに透明パネルの取り付け構造
KR101258408B1 (ko) * 2012-04-05 2013-04-26 삼성유리공업 주식회사 Led램프가 삽입된 복층유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5971A (ja) * 2002-02-05 2003-08-12 Masao Yoshida 内部に超光輝描画部を有する積層型樹脂ガラス構造体
JP2006169861A (ja) * 2004-12-17 2006-06-29 Tostem Corp 発光パネルユニット、及び、該ユニットを備えた建具、並びに透明パネルの取り付け構造
KR101258408B1 (ko) * 2012-04-05 2013-04-26 삼성유리공업 주식회사 Led램프가 삽입된 복층유리장치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76490B2 (en) 2018-09-28 2023-02-14 Intosee Co. Ltd External detection see-through door and external detection see-through cabinet having same
WO2020067635A1 (ko) * 2018-09-28 2020-04-02 주식회사 인투시 외부감지 투시 도어 및 이를 가지는 외부감지 투시 보관함
KR20200036579A (ko) * 2018-09-28 2020-04-07 오재환 외부감지 투시 도어 및 이를 가지는 외부감지 투시 보관함
KR102133732B1 (ko) * 2018-09-28 2020-07-14 오재환 외부감지 투시 도어 및 이를 가지는 외부감지 투시 보관함
CN112689601A (zh) * 2018-09-28 2021-04-20 株式会社引透视 状态检测透视保管箱
CN112739882A (zh) * 2018-09-28 2021-04-30 株式会社引透视 外部检测透视门及具有其的外部检测透视保管箱
CN112689601B (zh) * 2018-09-28 2023-03-07 株式会社引透视 状态检测透视保管箱
KR102055564B1 (ko) * 2018-10-25 2019-12-13 주식회사 인투시 선택적 투시창 및 이를 갖는 수용 장치
KR20200090475A (ko) * 2019-01-21 2020-07-29 주식회사 인투시 선택적 투시가 가능한 테이블
KR102168717B1 (ko) * 2019-01-21 2020-10-26 주식회사 인투시 선택적 투시가 가능한 테이블
KR20210092656A (ko) 2020-01-16 2021-07-26 주식회사 인투시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보관함
CN113412362A (zh) * 2020-01-16 2021-09-17 株式会社引透视 具备显示面板的保管箱
KR20210092651A (ko) 2020-01-16 2021-07-26 주식회사 인투시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보관함
CN113412362B (zh) * 2020-01-16 2023-11-17 株式会社引透视 具备显示面板的保管箱
KR102342972B1 (ko) 2020-08-20 2021-12-24 주식회사 인투시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보관함 관리 시스템
KR102451476B1 (ko) * 2022-03-03 2022-10-07 주식회사 인투시 투시 기능을 갖는 신발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2300B1 (ko) 가구용 기능성 투시도어
CN105324057B (zh) 用于电器照明的模块化照明器
US7845809B2 (en) Domestic appliance, in particular fitted domestic appliance with a controllable operating display
TW201725352A (zh) 電冰箱及其控制方法
CN110831463B (zh) 箱式家具
RU2011149154A (ru) Предмет мебели с гибким экраном
US10724789B2 (en) Shelf with lighting function for a domestic cooling device
CN211424841U (zh) 具有带有倾斜的条面和布置在其上的功能构件的器具部件的家用器具
KR102342972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보관함 관리 시스템
KR20210092651A (ko)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보관함
JP2017176515A (ja) キャビネット
US20110031854A1 (en) Medicine/cosmetic cabinet with pivoting mirror assembly
JP5385671B2 (ja) 照明付き家具
KR101241297B1 (ko) 코너용 물품 수납장
KR20140059475A (ko) 은닉형 슬라이딩 방식의 진열장
KR200493959Y1 (ko) 욕실용 수납장
KR102341295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보관함
CN216020227U (zh) 一种内置灯光的置物柜
CN215063180U (zh) 制冷器具
US20220003039A1 (en) Storage box having display panel
KR200400639Y1 (ko) 투영 가능한 그림이 구비된 가구용 도어
KR102446478B1 (ko) 동작감지 센서를 이용한 내부 투시 신발장
KR102451476B1 (ko) 투시 기능을 갖는 신발장
CN212729339U (zh) 一种散光均匀的展柜
JP5771784B2 (ja) 照明付き家具及び照明付き内装建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