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880B1 -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1880B1
KR101631880B1 KR1020140150543A KR20140150543A KR101631880B1 KR 101631880 B1 KR101631880 B1 KR 101631880B1 KR 1020140150543 A KR1020140150543 A KR 1020140150543A KR 20140150543 A KR20140150543 A KR 20140150543A KR 101631880 B1 KR101631880 B1 KR 101631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nnector
receptacle
coupl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0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1104A (ko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0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880B1/ko
Publication of KR20160051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88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의 일 양태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되는 플러그 하우징; 및 상기 결합부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결합부에 위치되어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과 접촉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어 제2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되는 다수개의 플러그 터미널; 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터미널의 일부는,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패턴에 접속되고, 상기 플러그 터미널의 나머지는,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패턴에 접속된다.

Description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PLUG CONNECTER AND CONNECTE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란, 와이어와 와이어, 와이어와 기판 또는 기판과 기판을 연결하여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가 결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가 하나의 어셈블리를 구성한다. 그리고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에는 서로 접속되어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다수개의 단자가 각각 구비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03489호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1)는 다수개의 (병렬) 단자(2)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는, 단자(2)의 전기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하게 1열(列)로 배치한 것으로, 특히, 단자(2)의 개수 증가하는 경우에는, 리셉터클 커넥터(2)의 폭이 증가되거나 단자(2) 상호간의 간격의 감소 등에 따른 전기적 특성의 저하가 우려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1)와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31)의 (병렬) 단자(16)가 기판에 접속되는 경우에는 단자(16)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의 패턴이 기판에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성 등을 위하여 패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기판의 폭이 증가되고, 기판의 폭을 일정하기 유지하기 위해서는 패턴 사이의 간격이 감소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03489호(발명의 명칭: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추는 플러그 커넥터)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체적으로 경박단소하게 구성되는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속되는 기판의 폭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패턴의 간격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의 일 양태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되는 플러그 하우징; 및 상기 결합부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결합부에 위치되어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과 접촉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어 제2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되는 다수개의 플러그 터미널; 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터미널의 일부는,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패턴에 접속되고, 상기 플러그 터미널의 나머지는,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패턴에 접속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패턴에 접속되는 상기 플러그 터미널의 일부와 상기 제2패턴에 접속되는 상기 플러그 터미널의 나머지는, 상기 결합부의 폭 방향으로 서로 교호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의 다른 양태는, 일단에서 돌출되는 결합부가 구비되는 플러그 하우징; 및 상기 결합부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결합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어 제2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되는 다수개의 플러그 터미널; 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터미널은,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패턴에 접속되는 제1플러그 터미널; 및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패턴에 접속되는 제2플러그 터미널;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플러그 터미널은, 상기 결합부의 폭 방향으로 서로 교호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일 양태는,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 공간이 구비되는 리셉터클 하우징, 및 상기 결합 돌부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결합 돌부의 상면에 그 일부가 위치되는 다수개의 리셉터클 터미널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및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플러그 커넥터;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일 양태에서,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는, 상기 결합 공간의 내부에 위치되는 결합 돌부가 구비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결합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 돌부가 삽입되는 결합 슬롯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일 양태는, 상기 플러그 터미널은, 상기 결합 슬롯의 내부로 노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리셉터클 터미널 사이에 위치되는 돌출부에 의하여 리셉터클 터미널의 전기적 특성을 만족할 수 있는 간격이 확보되고, 플러그 커넥터에 구비되는 플러그 터미널과의 정확한 접촉을 위하여 리셉터클 터미널의 컨텍트부의 일부가 상대적으로 폭이 증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수개의 리셉터클 터미널을 1열로 배치하는 경우에도, 리셉터클 커넥터의 폭을 최소화하고, 리셉터클 터미널 및 플러그 터미널의 정확한 접촉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터미널의 전기적 특성을 만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플러그 터미널이 인쇄회로기판의 양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및 제2패턴에 교호되게 접속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동일한 폭의 인쇄회로기판에 상대적으로 넓은 간격으로 제1 및 제2패턴이 구비됨으로써, 보다 용이하고 정확한 인쇄회로기판의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터미널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플러그 터미널을 보인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터미널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플러그 터미널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는 리셉터클 커넥터(100) 및 플러그 커넥터(200)를 포함한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내부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가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양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리셉터클 하우징(110), 및 다수개의 리셉터클 터미널(120)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는, 플러그 하우징(210) 및 다수개의 플러그 터미널(22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10)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외관을 정의한다.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결합 공간(111)이 구비된다. 상기 결합 공간(111)은 그 일단이 개방되는 것으로,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 실질적으로 후술할 결합부(211)가 삽입되어 결합되어 결합되는 곳이다.
그리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10)의 내부, 즉 상기 결합 공간(111)의 내부에는 결합 돌부(113)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 돌부(113)는, 그 테두리면이 상기 결합 공간(111)의 내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결합 공간(111)의 타단에서 상기 결합 공간(111)의 개구되는 일단을 향하여 돌출된다. 상기 결합 돌부(113)는, 상기 결합 공간(111)의 내부에 결합부(211)가 삽입되면, 후술할 결합 슬롯결합 슬롯(213)에 삽입된다.
도 3에 확대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 돌부(113)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연장 돌기(114)가 구비된다. 상기 연장 돌기(114)는, 상기 결합 돌부(113)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 돌부(113)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결합 돌부(113)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120)은 상기 결합 돌부(113)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120)은, 제1컨텍트부(121), 제1리드부(122) 및 제1연결부(123)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제1컨텍트부(121)는 실질적으로 상기 플러그 터미널(220)과 접촉되고, 상기 제1리드부(122)는 제1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123)는 상기 제1컨텍트부(121) 및 제1리드부(122)를 연결한다. 상기 제1컨텍트부(121)는 상기 결합 돌부(113)의 상면, 실질적으로 인접하는 상기 연장 돌기(114)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결합 돌부(113)의 상면에 각각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리드부(122)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10)의 후면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에 납땜 등에 의하여 접속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컨텍트부(121)의 일단에서 상기 제1연결부(123)가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리드부(122)가 상기 제1연결부(123)의 하단에서 상기 제1컨텍트부(121)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장 돌기(114)에 의하여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120) 사이의 거리, 실질적으로 상기 제1컨텍트부(121)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증가됨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120)의 전기적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즉, 상기 연장 돌기(114)의 테두리면의 길이만큼 인접하는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120)의 일단 사이의 거리가 증가됨으로써, 서로 인접하는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120) 상호간의 임피던스 간섭이 감소되어 상대적으로 높은 임피던스값을 확보활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컨텍트부(121)가 연장부(121A)를 포함한다. 상기 연장부(121A)는, 상기 제1컨텍트부(121)의 일부의 폭이 상기 제1컨텍트부(121)의 나머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증가됨으로써 정의된다. 상기 연장부(121A)는, 실질적으로 상기 플러그 터미널(220)과 접촉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이, 상기 플러그 터미널(220)과 실질적으로 접촉되는 상기 제1컨텍트부(121)의 일부의 폭만 상대적으로 증가됨으로써,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120)의 전기적 특성의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상기 플러그 터미널(220)과의 정확한 접촉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플러그 하우징(210)의 일단에는 결합부(211)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211)는, 상기 결합 공간(111)에 형합되는 형상으로 상기 플러그 하우징(210)의 일단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211)의 내부에는 결합 슬롯(213)이 구비된다. 상기 결합 슬롯(213)은, 상기 결합부(211)의 일단을 통하여 개방되도록 상기 결합부(211)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 슬롯(213)에는 상기 결합 돌부(113)가 삽입된다.
상기 플러그 터미널(220)은 상기 결합부(211)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플러그 터미널(220)은, 제2컨텍트부(221), 제2리드부(222), 제2연결부(223)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제2컨텍트부(221)는 상기 플러그 터미널(220), 즉 상기 제1컨텍트부(121)와 실질적으로 접촉되고, 상기 제2리드부(222)는 제2인쇄회로기판(10)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부(223)는 상기 제2컨텍트부(221) 및 제2리드부(222)를 연결한다. 상기 제1컨텍트부(121)는 상기 결합 슬롯(213)의 상면을 통하여 노출되도록 상기 결합부(211)에 각각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리드부(222)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210)의 후면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10)에 납땜 등에 의하여 접속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2컨텍트부(221)의 일부가 상기 제2컨텍트부(221)의 일단에서 상기 제2연결부(223)가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리드부(222)가 상기 제2연결부(223)의 후단에서 상기 제2컨텍트부(221)의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러그 터미널(220)이 다수개의 제1 및 제2플러그 터미널(220A)(220B)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플러그 터미널(220A)(220B)은 상기 결합부(211)의 폭 방향으로 서로 교호되게 위치된다.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20A)의 제2리드부(222)는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1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패턴(11)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220B)의 제2리드부(222)는,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10)에 형성되는 비어홀(13)을 통하여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10)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2패턴(12)에 접속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동일한 폭의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10)에서 상기 제1 및 제2패턴(11)(12)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증가됨으로써,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10)의 제작의 용이성 및 정밀성을 확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리셉터클 커넥터 110: 리셉터클 하우징
111: 결합 공간 113: 결합 돌부
114: 연장 돌기 120: 리셉터클 터미널
121: 제1컨텍트부 121A: 연장부
122: 제1리드부 123: 제1연결부
200: 플러그 커넥터 210: 플러그 하우징
211: 결합부 213: 결합 슬롯
220: 플러그 터미널 220A: 제1플러그 터미널
220B: 제2플러그 터미널 221: 제2커넥트부
222: 제2리드부 223: 제2연결부

Claims (7)

  1.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200)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부(211)가 구비되는 플러그 하우징(210); 및
    상기 결합부(211)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결합부(211)에 위치되어 리셉터클 터미널(120)과 접촉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210)의 외부로 연장되어 제2인쇄회로기판(10)에 접속되는 다수개의 플러그 터미널(220); 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터미널(220)의 일부는, 결합 슬롯(213)의 상면을 통하여 노출되어 상기 결합부(211)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210)의 후면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제2인쇄회로기판(10)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패턴(11)에 접속되고,
    상기 플러그 터미널(220)의 나머지는, 상기 결합 슬롯(213)의 상면을 통하여 노출되어 상기 플러그 터미널(220)의 일부와 1열로 배치되도록 상기 결합부(211)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210)의 후면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10)에 형성되는 비어홀(13)을 관통하여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10)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패턴(12)에 접속되는 플러그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11)에 접속되는 상기 플러그 터미널(220)의 일부와 상기 제2패턴(12)에 접속되는 상기 플러그 터미널(220)의 나머지는, 상기 결합부(211)의 폭 방향으로 서로 교호되게 배치되는 플러그 커넥터.
  3. 일단에서 돌출되는 결합부(211)가 구비되는 플러그 하우징(210); 및
    상기 결합부(211)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결합부(211)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210)의 외부로 연장되어 제2인쇄회로기판(10)에 접속되는 다수개의 플러그 터미널(220); 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터미널(220)은,
    결합 슬롯(213)의 상면을 통하여 노출되어 상기 결합부(211)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210)의 후면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제2인쇄회로기판(10)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패턴(11)에 접속되는 제1플러그 터미널(220A); 및
    상기 결합 슬롯(213)의 상면을 통하여 노출되어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20A)와 1열로 배치되도록 상기 결합부(211)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210)의 후면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10)에 형성되는 비어홀(13)을 관통하여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10)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패턴(12)에 접속되는 제2플러그 터미널(220B); 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플러그 터미널(220A)(220B)은, 상기 결합부(211)의 폭 방향으로 서로 교호되게 배치되는 플러그 커넥터.
  5. 리셉터클 커넥터(100); 및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플러그 커넥터(200); 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6. 삭제
  7. 삭제
KR1020140150543A 2014-10-31 2014-10-31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101631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543A KR101631880B1 (ko) 2014-10-31 2014-10-31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543A KR101631880B1 (ko) 2014-10-31 2014-10-31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104A KR20160051104A (ko) 2016-05-11
KR101631880B1 true KR101631880B1 (ko) 2016-06-24

Family

ID=56025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0543A KR101631880B1 (ko) 2014-10-31 2014-10-31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188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491B1 (ko) 2013-02-18 2014-04-08 주식회사 후성테크 조립이 용이한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647B1 (ko) * 2005-05-26 2007-01-04 주식회사 씨티씨 커넥터
KR101218231B1 (ko) * 2010-11-01 2013-01-03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통합 인터페이스 커넥터
JP2012190614A (ja) 2011-03-09 2012-10-04 Yazaki Corp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この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に嵌合するプラグ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491B1 (ko) 2013-02-18 2014-04-08 주식회사 후성테크 조립이 용이한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104A (ko)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663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eparate grounding pieces
US9583900B2 (en)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653848B2 (en) Connector
US9484679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upper and lower terminals coupled with each other
JP5634095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用プリント基板フットパターン
TWI593192B (zh) 電性連接器
JP6068405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7695318B1 (en) Plug connector
TWI442650B (zh) Electrical connector
US9059543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having a shell contacting a grounding pad of an internal printed circuit board
JP2011138775A (ja) コネクタ装置
US8662936B2 (en) USB female connector
US20160126677A1 (en) Electrical connector
JP2010153242A (ja) 多極コネクタ
US9425558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outer shielding covered by a cover with a resilient plate extending upward and rearward
JP6206713B2 (ja) コネクタ
US9711912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insulative member
JP6166040B2 (ja) コネクタ
US8721366B2 (en) Connector
US20170018885A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a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ing to a part of contacts thereof
US20160079713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assembly thereof
JP4289606B2 (ja) コネクタ
EP2538498A1 (en) Connector and signal line structure
KR101631880B1 (ko)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101631878B1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