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491B1 - Methods for Manufacturing Stent - Google Patents

Methods for Manufacturing St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1491B1
KR101631491B1 KR1020140134014A KR20140134014A KR101631491B1 KR 101631491 B1 KR101631491 B1 KR 101631491B1 KR 1020140134014 A KR1020140134014 A KR 1020140134014A KR 20140134014 A KR20140134014 A KR 20140134014A KR 101631491 B1 KR101631491 B1 KR 101631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wire
moving
distance
s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40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40760A (en
Inventor
한종현
박헌국
장봉석
호 윤
김선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아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to KR1020140134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491B1/en
Publication of KR20160040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07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4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88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the wire-like elements formed as helical or spiral coils
    • A61F2/88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the wire-like elements formed as helical or spiral coils comprising a coil including a plurality of spiral or helical sections with alternate directions around a centr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1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 A61F2002/016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made from wire-like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텐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조되는 스텐트와 동일한 지름(R)과 길이(L)를 가지는 원통체의 원주(W)와 길이(L)를 등간격으로 분배하여 설정한 원주분할선과 길이분할선이 교차하는 모든 위치점에 각각 탈착 가능한 돌출핀이 설치된 지그를 사용하되, 어느 하나의 기준이 되는 위치점을 시작점으로 하여 출발한 뒤,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한 돌출핀을 경유하도록 와이어를 상, 하로 절곡 이동하면서 와이어간의 교차에 의해 셀을 형성하는 스텐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그 일단의 시작점으로부터 상기 지그 타단의 제1지점까지 한 개의 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시켜 이동시키는 A단계;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지그 타단의 전환점까지 상기 와이어를 지그재그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하부 헤드를 형성하는 B단계; 상기 전환점으로부터 상기 지그 일단의 제2지점까지 상기 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시켜 이동시키는 C단계; 및 상기 제2지점으로부터 상기 시작점까지 상기 와이어를 지그재그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상부 헤드를 형성하는 D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단계는 상기 시작점에서 상기 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1칸 당 길이분할선 1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A-1단계; 및 상기 A-1단계의 마감점에서 상기 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A-1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A-2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단계는 상기 전환점에서 상기 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C-1단계; 및 상기 C-1단계의 마감점에서 상기 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C-1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C-2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단계는 상기 A-1단계 및 상기 A-2단계를 번갈아 진행하며, 상기 A단계는 상기 C-1단계 및 상기 C-2단계를 번갈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와이어를 이용하여 일정 방식으로 절곡을 주어 엮음으로써, 구조적 유연성을 가진 스텐트를 제조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tent, which comprises a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 set by equally spacing a circumference (W) and a length (L) of a cylindrical body having the same diameter (R) A jig provided with detachable projecting pins at all of the positional points where the dividing lines intersect is used as the jig for starting and stopping the wire so as to pass through the projecting pin located in the diagonal direc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nt in which a cell is formed by intersection of wires while bending downward, the method comprising: A) bending and moving one wire from a starting point of one end of the jig to a first point of the other end of the jig; (B) repeating a pattern in which the wire is folded in a zigzag from the first point to a point of turning of the other end of the jig to form a lower head; C) bending the wire from the transition point to the second point of the one end of the jig; And a step D of forming an upper head by repeating a pattern in which the wires are staggered from the second point to the starting point in a zigzag manner, wherein the step A comprises, at the starting point, After dividing the line, move it by one diagonal distance). Repeating a zigzag bent pattern formed by shifting a distance from the position point by a diagonal line in a downward direction; And A-2 step of moving the wire by a distance of 2L in a downward diagonal line at a finishing point of step A-1 to separate the position point from the part formed in step A-1, After the wire is moved by the diagonal line of the downward direction at the turning point by?. A C-1 step of repeating a zigzag bent pattern by moving a distance from the position point to a diagonal line of the upper direction by l again; And a C-2 step of moving the wire by a distance of 2 L in a diagonal direction of the upper direction at a finishing point of the step C-1 to separate the position point from the part formed at the step C-1, The step A-1 and the step A-2 alternately, and the step A alternates between the step C-1 and the step C-2.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ent having structural flexibility can be manufactured by bending a woven wire using a single wire.

Description

스텐트 제조방법 {Methods for Manufacturing Stent}[0001] METHOD FOR MANUFACTURING STENT [0002]

본 발명은 스텐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nt.

신체 내 각종 기관들의 직경 확장을 통해 협착 부위의 추가 진행을 방지하고 체내 물질들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제조되는 스텐트는 형상기억합금 등으로 마련되는 와이어를 일정한 방식으로 엮어서 교차하여 특정한 성질을 나타낸다.The stent manufactured to prevent further progression of the stenotic region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diameter of various organs in the body and to smooth the flow of materials in the body exhibits a specific property by crossing the wires formed by the shape memory alloy or the like in a certain manner.

스텐트가 설치되는 각종 기관 및 내강의 크기 및 성질, 환경에 따라 스텐트는 그 용도에 맞게 형성되어야하며, 이를 위해 와이어의 교차에 의해 제조되는 스텐트 제조 방법은 다양한 셀의 형태 및 엮기 구조를 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ize, nature, and environment of various organs and lumens in which the stent is installed, the stent should be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use thereof. For this purpose, the stent manufacturing method produced by the crossing of wires can provide various cell shapes and weaving structures have.

특히 스텐트는 내강의 확장을 통해 협착 방지 기능을 계속해서 유지하기 위해 와이어의 교차 구조가 견고하고 안정적이여야 하며, 쉽게 확장 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력을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단순한 원통형 구조가 아닌 다양하게 휘어있는 내강의 형태에 따라 적합하게 밀착되어 협착 부위를 확장할 수 있도록 스텐트는 일정한 구조적 유연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In particular, the stent must have a rigid and stabl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wire in order to keep the stenosis prevention function through expansion of the lumen, and it should have a supporting force so that the extension shape is not easily deformed. In addition, the stent should have a certain structural flexibility so that it can be closely adhered to the shape of the various bending lumens instead of a simple cylindrical structure to expand the stenosis region.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438742호의 "스텐트 및 이의 제조방법"(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일정한 구조의 셀로 이루어진 스텐트 구조로 내강에 밀착되어 협착 부위의 확장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A prior art document for solving these problems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1438742 entitled "St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In such a conventional technique, a stent structure having cells of a constant structure is closely attached to the lumen to perform the function of expanding the stenotic region.

하지만 종래기술의 경우, 스텐트 제조에 많은 와이어 재료가 필요 시 되고, 이렇게 형성된 스텐트들이 가변적으로 다양하게 굴곡되어있는 많은 신체 내 내강에 설치되어질 경우, 유연성을 갖추지 못해 내강에 밀착되지 못함으로써, 협착 부위에서 병변을 일으키거나 설치 위치를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many wire materials are required for manufacturing the stent, and when the stent thus formed is installed in many variable bending lumens in the body, it can not be attached to the lumen because of lack of flexibility, There was a problem in causing lesion or leav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아울러, 종래기술은 내강의 구조에 따른 스텐트 외형의 변형, 즉 최초의 원통형의 스텐트 확장 형태로부터 굴곡진 형태로의 변형이 발생할 경우, 스텐트에 가해지는 외력들에 반하여 협착부위의 재협착을 방지하기 위해 굴곡된 형태를 유지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와이어의 금속피로도가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와이어 수명을 단축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prior art, when the deformation of the stent contour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lumen, that is, the deformation from the first cylindrical stent expansion shape to the curved shape occurs, the restenosis of the stenosis site is prevented against the external forces applied to the ste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etal fatigue of the wir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maintaining the bent shape is increased, and as a result, the wire life is shortened.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와이어만을 이용하여 일정 방식으로 엮어서 구조적 유연성을 갖춘 스텐트를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ique for fabricating a stent having structural flexibility by using only one wire to weave in a certain mann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스텐트 제조방법은, 제조되는 스텐트와 동일한 지름(R)과 길이(L)를 가지는 원통체의 원주(W)와 길이(L)를 등간격으로 분배하여 설정한 원주분할선과 길이분할선이 교차하는 모든 위치점에 각각 탈착 가능한 돌출핀이 설치된 지그를 사용하되, 어느 하나의 기준이 되는 위치점을 시작점으로 하여 출발한 뒤,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한 돌출핀을 경유하도록 와이어를 상, 하로 절곡 이동하면서 와이어간의 교차에 의해 셀을 형성하는 스텐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그 일단의 시작점으로부터 상기 지그 타단의 제1지점까지 한 개의 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시켜 이동시키는 A단계;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지그 타단의 전환점까지 상기 와이어를 지그재그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하부 헤드를 형성하는 B단계; 상기 전환점으로부터 상기 지그 일단의 제2지점까지 상기 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시켜 이동시키는 C단계; 및 상기 제2지점으로부터 상기 시작점까지 상기 와이어를 지그재그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상부 헤드를 형성하는 D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단계는 상기 시작점에서 상기 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1칸 당 길이분할선 1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A-1단계; 및 상기 A-1단계의 마감점에서 상기 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A-1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A-2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단계는 상기 전환점에서 상기 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C-1단계; 및 상기 C-1단계의 마감점에서 상기 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C-1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C-2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단계는 상기 A-1단계 및 상기 A-2단계를 번갈아 진행하며, 상기 C단계는 상기 C-1단계 및 상기 C-2단계를 번갈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tent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nt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dividing a circumference (W) and a length (L) of a cylindrical body having the same diameter (R) A jig provided with detachable projecting pins at all of the position points where the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 and the length dividing line intersect is used, and after starting from the position point serving as a reference as a starting point, the projecting pin located diagonally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nt in which a cell is formed by intersection of wires while bending and moving a wire upwardly and downwardly, the method comprising: A step of folding and moving one wire from a starting point of one end of the jig to a first point of the other end of the jig; (B) repeating a pattern in which the wire is folded in a zigzag from the first point to a point of turning of the other end of the jig to form a lower head; C) bending the wire from the transition point to a second point of the one end of the jig; And a step D of forming an upper head by repeating a pattern in which the wires are staggered from the second point to the starting point in a zigzag manner, wherein the step A comprises, at the starting point, After dividing the line, move it by one diagonal distance). Repeating a zigzag bent pattern formed by shifting a distance from the position point by a diagonal line of the lower direction again; And A-2 step of moving the wire by a distance of 2L in a downward diagonal line at a finishing point of step A-1 to separate the position point from the part formed in step A-1, After the wire is moved by the diagonal line of the downward direction at the turning point by ℓ. A C-1 step of repeating a zigzag bent pattern by moving a distance from the position point to a diagonal line of the upper direction by l again; And a C-2 step of moving the wire by a distance of 2 L in a diagonal direction of the upper direction at a finishing point of the step C-1 to separate the position point from the part formed at the step C-1, Step A-1 and step A-2 alternately, and step C alternates between step C-1 and step C-2.

여기서, 상기 원주분할선의 개수는 6+4x(x: 0 또는 자연수)개이다.Here, the number of the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s is 6 + 4x (x: 0 or a natural number).

또한. 상기 길이분할선의 개수는 8+2y(y: 0 또는 자연수)개이다.Also. The number of length division lines is 8 + 2y (y: 0 or a natural number).

아울러, 상기 제1지점은 상기 시작점과 동일한 원주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A-1단계 및 상기 A-2단계가 번갈아 진행되어 형성된 복수의 상기 A-1단계의 마감점 중에서 마지막 마감점에 해당한다.In addition, the first point is located on the same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 as the starting point, and the last finishing point among the plurality of finishing points of the step A-1 formed by alternating the steps A-1 and A- .

또한, 상기 제2지점은 상기 제1지점과 동일한 길이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C-1단계 및 상기 C-2단계가 번갈아 진행되어 형성된 복수의 상기 C-1단계의 마감점 중에서 마지막 마감점에 해당한다.Also, the second point is located on the same length dividing line as the first point, and the last finishing point among the plurality of finishing points of the C-1 stage formed by alternating the C-1 and C-2 steps Point.

그리고, 상기 B단계는, 상기 제1지점에서 상기 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2칸 당 길이분할선 3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B-1단계; 상기 B-1단계에서 이동된 위치점으로부터 상기 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B-2단계; 및 상기 B-2단계에서 이동된 위치점으로부터 상기 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전환점에 위치시키는 B-3단계;를 포함한다.In the step B-1, the wire is moved by a diagonal line of the downward direction at the first point by a distance L '(a diagonal distance obtained by moving three divisions of the lengthwise dividing line per two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s). B-2 repeats the zigzag bent pattern formed by moving the wire from the position point moved in the step B-1 by a distance of 2L in a diagonal line in the upward direction, step; And (B-3) moving the wire from the position point moved in the step B-2 by a distance of '1' diagonally in the upward direction and positioning the wire at the turning point.

또한, 상기 D단계는, 상기 제2지점에서 상기 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2칸 당 길이분할선 3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D-1단계; 상기 D-1단계에서 이동된 위치점으로부터 상기 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D-2단계; 및 상기 D-2단계에서 이동된 위치점으로부터 상기 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시작점에 위치시키는 D-3단계;를 포함한다.
The step (D) further includes a step D-1 for moving the wire at the second point by a diagonal line of the upper direction by a distance of ℓ '(a diagonal distance obtained by moving three divisions of the length dividing line per two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s). D-2 repeats a zigzag bent pattern formed by moving the wire by 2 L in a downward diagonal line from the position point moved in the step D-1, step; And a D-3 step of moving the wire by a distance of ℓ 'in a downward diagonal from the position point moved in the step D-2 and positioning the wire at the starting point.

본 발명에 의해, 하나의 와이어를 이용하여 일정 방식으로 절곡을 주어 엮음으로써, 구조적 유연성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변형된 구조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는 스텐트를 제조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stent capable of keeping the deformed structure constant while having structural flexibility, by bending and knitting in a certain manner using one wire.

더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면, 유연성을 가진 스텐트를 통해 신체 내 다양한 형태로 굴곡된 내강의 종류에 무관하게 내강 벽에 밀착하여 협착 부위를 밀어낼 수 있다.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nt with flexibility can be pressed against the lumen wall irrespective of the type of the lumen bent in various forms in the body to push out the stenotic region.

도1 내지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하강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헤드 형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상승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8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헤드 형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9 및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의 교차 및 절곡 상태 전체를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스텐트의 실물은 촬영한 사진이다.
도12 내지 도1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스텐트에 대한 굽힘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 to 5 are exploded views for explaining a wire descending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eveloped view for explaining a bottom head forming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view for explaining a wire rising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view for explaining an upper head forming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exploded views showing the entire crossing and folding state of the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hotograph of a real product of a stent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to 14 are photographs of a bending state of a stent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flowchart showing a stent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the technical parts already known will be omitted or compressed for the sake of brevity.

<스텐트 제조방법에 관한 설명><Description of Stent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의 스텐트 제조방법이 어떠한 과정으로 이루어지는지에 대해 이하에서 도15의 흐름도 및 도1 내지 도10의 전개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process of the stent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15 and the developed view of FIG. 1 to FIG. 10 below.

먼저, 도1 내지 도9는 지그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스텐트(100)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점선은 기 진행된 와이어의 이동 경로를, 실선은 각 도면의 해당 단계에서 진해되어 지는 와어이의 이동 경로를 도시하고 있다.1 to 9 show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ten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jig. Here, the dotted line represents the movement path of the wire being advanced, and the solid line represents the movement path of the wire that is widened at the corresponding step in each drawing.

여기서, 지그는 제조되는 스텐트(100)와 동일한 지름(R)과 길이(L)를 가지는 원통체의 원주(W)와 길이(L)를 등간격으로 분배하여 설정한 원주분할선(a1, a2, a3, …, a14)과 길이분할선(b1, b2, b3,…, b20)이 교차하는 모든 위치점에 각각 탈착 가능한 돌출핀(2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지그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위치점을 시작점으로 설정하여, 그로부터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한 돌출핀(20)을 경유하도록 와이어(10)를 상, 하로 절곡 이동시켜 교차가 일어나게 하여 셀을 형성함으로써 스텐트를 제조한다.Here, the jig is formed by dividing the circumference W of the cylindrical body having the same diameter R and length L as the manufactured stent 100 and the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s a 1 , b 2 , b 3 , ..., b 20 and the lengthwise dividing lines b 1 , a 2 , a 3 , ..., a 14 , By using any of these jigs, one of the position points is set as a starting point, and the wire 10 is bent upward and downward to pass through the projecting pin 20 positioned diagonally therefrom, thereby forming a cell. .

또한, 지그의 원주분할선 개수는 6+4x(x: 0 또는 자연수)개로 정의 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기 설명의 기준이 되는 지그의 원주분할선 개수는 x=2인 경우의 14개이다.The number of the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s of the jig is defined as 6 + 4x (x: 0 or a natural number), and the number of the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s of the jig as a referenc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14.

아울러, 지그의 길이분할선 개수는 8+2y(y: 0 또는 자연수)개로 정의 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기 설명의 기준이 되는 지그의 길이분할선 개수는 y=6인 경우의 20개이다.The number of lengthwise dividing lines of the jig is defined as 8 + 2y (y: 0 or natural number), and the number of length dividing lines of the jig as a referenc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20.

1.와이어 하강 단계<S100>1. Wire descending step < S100 >

본 단계에서는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 일단의 시작점(S1, a2/b4)으로부터 지그 타단의 제1지점(F15, a7/b17)까지 한 개의 와이어(10)를 지그재그로 절곡시켜 이동시킨다. In this step the fixture once the starting point as shown in Figs. 1 to 5 (S1, a 2 / b 4) a first point on the jig the other end from the (F15, a 7 / b 17 ) from a single wire (10) Zigzag is bent and moved.

이 과정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작점(S1)에서 와이어(10)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1칸 당 길이분할선 1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a3/b3)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제1지그재그 이동단계;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그재그 이동단계의 마감점(F1, a7/b3)에서와이어(10)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지그재그 이동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제1이격단계;를 포함한다.In this process, as shown in FIG. 1, the wire 10 is moved by a diagonal line of the upward direction at a starting point S1 by a distance of 1 (a diagonal distance obtained by moving one division of the length division line per column of the circumferential division line). A first zigzag moving step of repeating a zigzag bent pattern formed by shifting the position point a 3 / b 3 by a distance of a diagonal line in a downward direction; And location point from the first portion to the finish point wire 10 from (F1, a 7 / b 3 ) of the zigzag movement stage moves 2ℓ in the downward diagonal formed by the zig-zag movement phase, as shown in And a first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from each other.

제1지그재그 이동단계와 제1이격단계는 번갈아가며 진행되며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속 진행되어 특정 제1지그재그 이동단계의 마감점(F15, a7/b17)에서 와이어 하강 단계(S100)를 마친다. A first zigzag movement stage and the first spaced phase alternating progression, and is still in progress, as illustrated in Figures 3-5 a particular first closing point of the zigzag movement phase gamyeo (F15, a 7 / b 17 ) the wire falling step in (S100).

결과적으로 와이어 하강 단계(S100)의 마지막 위치이자 하부 헤드 형성단계(S200)의 시작 위치가 되는 제1지점은 제1지그재그 이동단계와 제1이격단계가 번갈아가며 진행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많은 마감점(F1, F2, F3,…,F15) 중에서 마지막 마감점(F15)에 해당하며, 이러한 제1지점(F15)은 시작점(S1)과 동일한 원주분할선 상에 위치하게 된다.
As a result, the first point, which is the final position of the wire descending step S100 and is the starting position of the bottom head forming step S200, is formed by a plurality of finish points formed in the course of the first zigzag moving step and the first separating step alternately F1, F2, F3, ..., F15, and the first point F15 is located on the same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 as the starting point S1.

2.하부 헤드 형성단계<S200>2. Lower head forming step < S200 >

본 단계에서는 S100단계를 통해 하강하며 스텐트 몸체(110)의 일부를 형성한 뒤 위치하는 제1지점(F15)으로부터 지그 타단의 전환점(C1, a9/b17)까지 와이어(10)를 지그재그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하부 헤드(120)를 형성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In this step fall through the step S100 and the first point (F15), the wire 10 to the turning point of the jig the other end (C1, a 9 / b 17 ) from a position after forming a portion of the stent body 110 in a staggered The lower head 120 is formed by repeating the folding pattern.

여기서, 와이어(1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점(F15)으로부터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2칸 당 길이분할선 3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a9/b20)으로부터 와이어(10)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킨다.6, the wire 10 is moved from the first point F15 by a diagonal line in the lower direction by a distance L '(a diagonal distance obtained by moving the lengthwise division line three spaces per two circumferential division lines) And moves the wire 10 from the position point a 9 / b 20 by 2 L in a diagonal line in the upward direction.

그 후, 그 위치점(a10/b18)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고, 그 결과 이동된 위치점(a7/b20)으로부터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와이어(10)를 전환점(C1)에 위치시킨다.
Thereafter, a zigzag bent pattern formed by shifting by 2 L from the position point a 10 / b 18 by a diagonal line in the downward direction is repeated, and as a result, from the shifted position point a 7 / b 20 , And the wire 10 is moved to the turning point C1 by moving the wire 10 by a distance of?

3.와이어 상승 단계<S300>3. Wire rising step < S300 >

본 단계에서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 타단의 전환점(C1)으로부터 지그 일단의 제2지점(F'15, a14/b4)까지 한 개의 와이어(10)를 지그재그로 절곡시켜 이동시킨다. Then the step moves to the bending jig one end of the second branch (F'15, a 14 / b 4 ) one wire 10 to the other end of the jig from the turning point (C1) as shown in Figure 7 in a zigzag pattern.

이 과정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점(C1)에서 와이어(10)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1칸 당 길이분할선 1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a10/b18)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제2지그재그 이동단계; 및 제2지그재그 이동단계의 마감점(F'1, a14/b18)에서 와이어(10)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지그재그 이동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제2이격단계;를 포함한다.This process moves the wire 10 at a turning point C1 by a diagonal line of a downward direction (a diagonal distance obtained by moving one division of a lengthwise division line per column of the circumferential division line) by a diagonal line as shown in FIG. A second staggering step of repeating a zigzag bent pattern formed by shifting the position point a 10 / b 18 by a distance diagonal to the upper diagonal line again; And the second of the second closing point wire 10 from (F'1, 14 a / 18 b) of the zigzag movement stage is moved by a 2ℓ in the upper diagonal direction away from the location point portion formed in the zigzag movement phase Separation step.

제2지그재그 이동단계와 제2이격단계는 번갈아가며 진행되며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속 진행되어 특정 제2지그재그 이동단계의 마감점(F'15, a14/b4)에서 와이어 상승 단계(S300)를 마친다. A second zigzag movement step and the second step are alternately spaced in progress and Fig. 7 a continuing specific second finishing point of the zigzag movement step is, as shown in gamyeo (F'15, a 14 / b 4 ) wire up-step in ( S300).

결과적으로 와이어 상승 단계(S300)의 마지막 위치이자 상부 헤드 형성단계(S400)의 시작 위치가 되는 제2지점은 제2지그재그 이동단계와 제2이격단계가 번갈아가며 진행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많은 마감점(F'1, F'2, F'3,…,F'15) 중에서 마지막 마감점(F'15)에 해당하며, 이러한 제2지점(F'15)은 시작점(S1)과 동일한 길이분할선 상에 위치하게 된다.
As a result, the second point, which is the final position of the wire lifting step (S300) and becomes the starting position of the upper head forming step (S400), is formed by a plurality of finish points formed in the process of alternately moving the second staggering step and the second spacing step (F'15) corresponds to the last finishing point (F'15) among the first division points F'1, F'2, F'3, ..., F'15, Lt; / RTI &gt;

4.상부 헤드 형성단계<S400>4. Upper Head Forming Step < S400 >

본 단계에서는 S300단계를 통해 상승하며 스텐트 몸체(110)의 일부를 형성하여 전체적인 몸체(110)의 와이어(10) 교차 구조를 완성한 뒤 위치하는 제2지점(F'15)으로부터 지그 일단의 시작점(S1, a2/b4)까지 와이어(10)를 지그재그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상부 헤드(130)를 형성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In this step, step S300 is performed to form a part of the stent body 110 to complete the wire 10 crossing structure of the body 110 from the second point F'15, S1, a 2 / b 4) and to repeat the pattern of bending the wire 10 in a zigzag pattern is made as the process of forming the upper head (130).

여기서, 와이어(10)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점(F'15)으로부터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2칸 당 길이분할선 3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a2/b1)으로부터 와이어(10)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킨다.Here, as shown in FIG. 8, the wire 10 is moved from the second point (F'15) by a diagonal line in the upper direction by a distance of ℓ '(a diagonal distance obtained by moving three divisional lines per two divisional columns) Then, the wire 10 is moved from the position point a 2 / b 1 by a distance of 2 L in a downward diagonal direction.

그 후, 그 위치점(a3/b3)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고, 그 결과 이동된 위치점(a14/b1)으로부터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와이어(10)를 시작점(S1)에 위치시킨다.After that, the upper direction from its position dots (a 3 / b 3) again moved by 2ℓ in the upper direction diagonally was formed repeatedly zigzag bent pattern, with the result that the movement position points (a 14 / b 1) in the And the wire 10 is moved to the starting point S1 by moving the wire 10 by a distance of?

이와 같이 다시 시작점(S1)에 도착한 와이어(10)는 용접 등을 통해 마무리 연결되어 하나의 와이어(10)로 제조된 스텐트(100)가 형성된다.
The wire 10 arriving at the start point S1 is finely connected through welding or the like to form the stent 100 made of one wire 10. [

<제조된 스텐트의 특징에 관한 설명>&Lt; Description of characteristics of the manufactured stent >

본 발명의 스텐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스텐트(100)의 경우, 도9 및 도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특정 원주분할선(a1/b8) 상에 위치한 와이어의 교차 방식은 서로 엇갈린 형태의 교차부(30)를 형성하고, 나머지 원주분할선 상의 와어어 교차 방식은 돌출핀(20)의 양쪽을 각각 감싸는 형태로 진행되어 원형고리(20)가 형성된다. In the case of the stent 100 manufactured by the stent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 and FIG. 10, the intersection method of the wire placed on the specific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 a 1 / b 8 is a cross And the convex crossing method on the remaining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s progresses in the form of wrapping both sides of the projecting pin 20 to form the circular ring 20.

여기서, 도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원주분할선(a1/b8)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는 A1 및 A2 점에서 와이어가 두 겹으로 겹쳐지고, 중앙에는 돌출핀(20)에 의해 가운데가 빈 원형고리(50)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원형고리(50)는 스텐트(100)의 전체 구조 변화 시 셀 형태 변화를 위한 충분한 공간을 마련해 줄뿐만 아니라, 스텐트(100)의 전체 구조가 쉽게 휘어질 수 있도록 교차된 와이어 형태가 변형되어 위치 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준다.Here, the middle by a specific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 (a 1 / b 8) except for A1 and A2 are that the wires overlap in two layers in the projecting pin 20 the center of the remainder of the steps shown in A of Figure 10 The circular ring 50 is provided with a sufficient space for changing the shape of the cell when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stent 100 is changed and the entire structure of the stent 100 is easily bent The crossed wire form can be deformed to provide a space that can be positioned.

즉, 도10에 도시된 전개도의 스텐트(100) 양끝 선을 연결하여 중공의 원통형 스텐트를 구현해 보았을 때, 마주보는 두 원주분할선상의 와이어(10) 교차 형태만이 교차부(30)를 형성하고, 나머지 원주분할선상의 와이어(10) 교차 형태는 원형고리(50)를 형성하여, 도11과 같은 스텐트(100) 형태가 제조된다.That is, when a hollow cylindrical stent is formed by connecting both ends of the stent 100 of the developed view shown in FIG. 10, only the intersection of the wires 10 on the opposite two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s forms the intersection 30 , And the intersection of the wires 10 on the other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 forms the circular ring 50 to form the stent 100 as shown in FIG.

이렇게, 제조된 스텐트(100)는 도12 내지 도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교차부(30) 및 원형고리(50)형태의 구성 및 배치에 따라 쉽게 구조적 변화를 일으킬 수 있도록 충분한 유연성을 지닌다.Thus, the stent 100 thus fabricated is sufficiently flexible to allow easy structural changes in accordance with the configuration and arrangement of the intersections 30 and the circular rings 50, as shown in Figures 12-14.

이러한 스텐트(100)는 일정한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있지 않는 체내 다양한 내강들에서 각각의 형태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굴곡을 형성하고, 이렇게 가변성을 가진 스텐트(100)의 구조가 굴곡되어 일정한 형태로 마련되어지면, 마련된 구조를 유지하면서 확장되어 협착 부위를 밀어내고 일정 직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stent 100 is bent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spective lumens in various lumens in the body, which are not formed in a constant cylindrical shape, and the structure of the stent 100 having such flexibility is formed in a constant shape , While expanding while maintaining the structure, to push out the stenosis site and to maintain the constant diameter.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is to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스텐트
110 : 몸체
120 : 하부 헤드
130 : 상부 헤드
10 : 와이어
20 : 돌출핀
30 : 교차부
50 : 원형고리
100: stent
110: Body
120: Lower head
130: upper head
10: Wire
20: projecting pin
30: intersection
50: Circular ring

Claims (7)

제조되는 스텐트와 동일한 지름(R)과 길이(L)를 가지는 원통체의 원주(W)와 길이(L)를 등간격으로 분배하여 설정한 원주분할선과 길이분할선이 교차하는 모든 위치점에 각각 탈착 가능한 돌출핀이 설치된 지그를 사용하되, 어느 하나의 기준이 되는 위치점을 시작점으로 하여 출발한 뒤,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한 돌출핀을 경유하도록 와이어를 상, 하로 절곡 이동하면서 와이어간의 교차에 의해 셀을 형성하는 스텐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그 일단의 시작점으로부터 상기 지그 타단의 제1지점까지 한 개의 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시켜 이동시키는 A단계;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지그 타단의 전환점까지 상기 와이어를 지그재그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하부 헤드를 형성하는 B단계;
상기 전환점으로부터 상기 지그 일단의 제2지점까지 상기 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시켜 이동시키는 C단계; 및
상기 제2지점으로부터 상기 시작점까지 상기 와이어를 지그재그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상부 헤드를 형성하는 D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단계는
상기 시작점에서 상기 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1칸 당 길이분할선 1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A-1단계; 및
상기 A-1단계의 마감점에서 상기 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A-1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A-2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단계는
상기 전환점에서 상기 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C-1단계; 및
상기 C-1단계의 마감점에서 상기 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C-1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C-2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단계는 상기 A-1단계 및 상기 A-2단계를 번갈아 진행하며,
상기 C단계는 상기 C-1단계 및 상기 C-2단계를 번갈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방법.
A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 and a length dividing line set by dividing the circumference W and the length L of the cylindrical body having the same diameter (R) and length (L) equal to the stent to be manufactured are equally spaced A jig provided with detachable projecting pins is used. After starting from a position point serving as a reference as one of the starting points, the wires are bent upward and downward to pass through the projecting pins positioned diagonally,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nt,
A step of folding and moving one wire from the starting point of one end of the jig to the first point of the other end of the jig;
(B) repeating a pattern in which the wire is folded in a zigzag from the first point to a point of turning of the other end of the jig to form a lower head;
C) bending the wire from the transition point to the second point of the one end of the jig; And
And repeating a pattern in which the wire is bent in a zigzag from the second point to the starting point to form an upper head,
The step A
After moving the wire at the starting point by a diagonal line of the upper direction by a distance of ℓ (a diagonal distance obtained by moving one division of the length dividing line per one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 Repeating a zigzag bent pattern formed by shifting a distance from the position point by a diagonal line of the lower direction again; And
And a step (A-2) of moving the wire by a distance of 2L in a downward diagonal line at a finishing point of the step A-1 to separate the position point from the part formed in the step A-1,
In step C,
And then moves the wire by a distance of 1 in a downward diagonal line at the turning point. A C-1 step of repeating a zigzag bent pattern by moving a distance from the position point to a diagonal line of the upper direction by l again; And
And a C-2 step of moving the wire by a distance of 2 L in a diagonal line of the upper direction at a finishing point of the step C-1 to separate the position point from the part formed at the step C-1,
The step A alternates between step A-1 and step A-2,
And the step C alternates between the step C-1 and the step C-2.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분할선의 개수는 6+4x(x: 0 또는 자연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number of the columnar dividing lines is 6 + 4x (x: 0 or a natural numb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분할선의 개수는 8+2y(y: 0 또는 자연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number of length division lines is 8 + 2y (y: 0 or a natural numb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점은 상기 시작점과 동일한 원주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A-1단계 및 상기 A-2단계가 번갈아 진행되어 형성된 복수의 상기 A-1단계의 마감점 중에서 마지막 마감점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oint is located on the same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 as the starting point, and the first point is located on the same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 as the starting point, and the first point is the second finishing point among the plurality of finishing points of the A- Characterized by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점은 상기 제1지점과 동일한 길이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C-1단계 및 상기 C-2단계가 번갈아 진행되어 형성된 복수의 상기 C-1단계의 마감점 중에서 마지막 마감점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point is located on the same length dividing line as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finishing point is located on the same length dividing line as the first finishing point among the plurality of finishing points of the C-1step formed by the alternating C-1 and C- Characterized in that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제1지점에서 상기 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2칸 당 길이분할선 3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B-1단계;
상기 B-1단계에서 이동된 위치점으로부터 상기 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B-2단계; 및
상기 B-2단계에서 이동된 위치점으로부터 상기 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전환점에 위치시키는 B-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B,
(B-1) moving the wire at the first point by a diagonal line of a downward direction by a distance L '(a diagonal distance obtained by moving three divisions of the lengthwise division line per two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s);
B-2 repeats the zigzag bent pattern formed by moving the wire from the position point moved in the step B-1 by 2L in the diagonal line in the upward direction and moving the wire by 2L in the diagonal line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position point again step; And
And a B-3 step of moving the wire by a distance of ℓ 'from the position point moved in the step B-2 to a diagonal line of the upper direction and positioning the wire at the turning point.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제2지점에서 상기 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원주분할선 2칸 당 길이분할선 3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D-1단계;
상기 D-1단계에서 이동된 위치점으로부터 상기 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D-2단계; 및
상기 D-2단계에서 이동된 위치점으로부터 상기 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시작점에 위치시키는 D-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D)
(D-1) moving the wire at the second point by a diagonal line of an upper direction by a distance L '(a diagonal distance obtained by moving three divisions of the lengthwise division line per two circumferential dividing lines);
D-2 repeats a zigzag bent pattern formed by moving the wire by 2 L in a downward diagonal line from the position point moved in the step D-1, step; And
And a D-3 step of shifting the wire by a distance of? 'In a downward diagonal line from the position point moved in the step D-2 and positioning the wire at the starting point.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nt.
KR1020140134014A 2014-10-06 2014-10-06 Methods for Manufacturing Stent KR1016314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014A KR101631491B1 (en) 2014-10-06 2014-10-06 Methods for Manufacturing S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014A KR101631491B1 (en) 2014-10-06 2014-10-06 Methods for Manufacturing St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760A KR20160040760A (en) 2016-04-15
KR101631491B1 true KR101631491B1 (en) 2016-06-17

Family

ID=55801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014A KR101631491B1 (en) 2014-10-06 2014-10-06 Methods for Manufacturing St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149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648B1 (en) * 2014-12-15 2017-03-09 주식회사 엠아이텍 Methods for Manufacturing Stent
CN115553972B (en) * 2022-10-19 2023-10-20 常州乐奥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Biliary tract stent manufacturing method and biliary tract st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308B1 (en) * 2008-08-05 2010-08-05 주식회사 엠아이텍 stent
KR101330825B1 (en) * 2011-01-14 2013-11-15 신경민 A making method for the stent and the stent thereof
KR101320480B1 (en) * 2012-03-19 2013-10-23 주식회사 엠아이텍 Flexible stent
KR101602400B1 (en) * 2014-04-03 2016-03-10 주식회사 엠아이텍 Method for manufacturing s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760A (en) 2016-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8319B1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Stent
KR101696810B1 (en) Stent for connecting adjacent tissu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0477974C (en) Self-expandable shape memory alloy stent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4797473B2 (en) Flexible stent with excellent expandability
CA2384521C (en) Flexible stent
JP5777012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stent having good bending characteristics and stent
KR101631491B1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Stent
JP6791974B2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nt using a shape memory alloy wire, and a stent manufactured by this method.
KR101713648B1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Stent
JP6334820B2 (en) St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tent
KR101735702B1 (en) Cell extendable stent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US1043456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hree-dimensional lattice truss structure using flexible linear bodies
KR101616864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tent
KR102395506B1 (en) Medical Stent
KR101797075B1 (en) St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ent
KR20130111740A (en) A making method for the stent and the stent thereof
KR101645629B1 (en) Stent and stent method of the same
KR20160116071A (en) Stent
KR20020072698A (en) Extended intravascular stent configured by combining multi stent l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