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0822B1 - 무선통신 자원할당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자원할당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0822B1
KR101630822B1 KR1020090030784A KR20090030784A KR101630822B1 KR 101630822 B1 KR101630822 B1 KR 101630822B1 KR 1020090030784 A KR1020090030784 A KR 1020090030784A KR 20090030784 A KR20090030784 A KR 20090030784A KR 101630822 B1 KR101630822 B1 KR 101630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link
resource
resource allocation
user terminal
resour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0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2327A (ko
Inventor
김영락
여운영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0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822B1/ko
Publication of KR20100112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2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 자원할당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즉, 고속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상향링크 자원할당 명령을 감시하여 가용자원을 파악하고, 가용자원 일부를 이용하여 자신의 상태정보를 기지국에 전달함으로써 단말들 상호간의 경쟁을 억제하고 스케줄링 정보의 신속한 전송을 지원함으로써, 무선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을 지원하고, 상향링크 자원을 신속하게 할당할 수 있다.
상향링크(Up Link), 하향링크(Down Link), 가용자원

Description

무선통신 자원할당 시스템 및 그 방법{ALLOCATION SYSTEM FOR WIRELESS TELECOMMUNICATION RESOUR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서의 자원할당 방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속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상향링크 자원할당 명령을 감시하여 이를 기반으로 고속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자원할당을 수행하는 무선통신 자원할당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기 및 기지국에 관한 것이다.
고속상향패킷접속(HSUPA, High-Speed Uplink Packet Access) 기술은 기존의 TD-SCDMA(Time Division-Synchronou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체계를 활용하여 상향링크 전송속도를 최대 2.23Mbps까지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더 나아가, HSUPA의 효율적인 스케줄링을 지원하기 위해 기지국은 모든 단말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SI, scheduling information)를 충분히 인지하고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단말은 상향링크 전송이 요구될 때, 자신의 SI를 적절한 시기에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SI를 전송하는 방법들 중에서 단말의 데이터와 함께 SI를 전 송하는 방법은 단말의 상태를 효율적으로 알려주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단말이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있다면 단말은 상향링크 자원인 E-RUCCH(enhanced random access uplink channel)를 통해 SI를 전송해야 한다.
그러나, E-RUCCH는 다수의 단말들이 공유하는 자원이기 때문에 단말들이 서로 경쟁해야 한다. 더욱이, E-RUCCH는 일반적인 임의 접속(random access) 서비스를 제공하는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와 공유되기 때문에, HSUPA를 사용하는 단말들뿐만 아니라 일반 단말들에 의해서도 충돌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충돌이 발생할 경우, 단말의 SI 전송은 지속적으로 지연되고, 이에 따라 상향링크 자원할당도 늦어지게 되어 원활한 스케줄링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선행 기술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속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상향링크 자원할당 명령을 감시하여 가용자원을 파악하고, 가용자원 일부를 이용하여 자신의 상태정보를 기지국에 전달함으로써 단말들 상호간의 경쟁을 억제하고 스케줄링 정보의 신속한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무선통신 자원할당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기 및 기지국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무선통신 자원할당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시스템은, 셀(Cell) 내에 공유되는 하향링크(Down Link) 채널에 대한 감시를 통해 상향링크 점유상태를 확인하여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Up Link) 가용자원을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상향링크 가용자원 중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상향링크(Up Link) 가용자원을 통해 수신되는 상향링크 자원할당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기지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운용자 설정 시간 동안 상기 하향링크 채널 중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지원하기 위한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감시하여 미사용중인 상기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상향링크 자원할당 요청이 수신되는 상기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이 기 저장된 상향링크 자원할당 이력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토대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무선통신 자원할당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제공되며: 이 단말기는, 셀(Cell) 내에 공유되는 하향링크(Down Link) 채널에 대한 감시를 통해 상향링크 점유상태를 확인하여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Up Link) 가용자원을 파악하는 채널 감시부; 및 상기 파악된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가용자원 중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통해 상기 셀(Cell) 영역을 갖는 기지국에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요청하는 자원할당 요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상향링크 자원할당 요청에 따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채널 감시부는, 운용자 설정 시간 동안 상기 하향링크 채널 중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지원하기 위한 하향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감시를 통해 미사용중인 상기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무선통신 자원할당을 수행하는 기지국이 제공되며: 이 기지국은, 셀(Cell)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상향 링크 가용자원 중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향링크 자원할당 요청을 수신하는 단말 연동부; 상향링크 자원할당 이력을 저장하는 이력정보 저장부; 상기 상향링크 자원할당 요청이 수신되는 상기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에 대한 할당 이력을 확인하는 이력정보 확인부; 및 상기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의 할당 이력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자원 할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원 할당부는, 상기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이 기 저장된 상향링크 자원할당 이력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무선통신 자원할당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시스템은,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지원하기 위해 셀(Cell) 내에 공유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감시하여 미사용중인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상향 링크 가용자원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상향링크(Up Link) 가용자원을 통해 수신되는 상향링크 자원할당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기지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운용자 설정 시간 동안 E-AGCH(enhanced absolute grant channel)를 포함하는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감시를 통해 상기 셀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상기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가용자원 중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통해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SI,Scheduling Information)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여 상기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가 수신되는 상기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이 기 저장된 상향링크 자원할당 이력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토대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무선통신 자원할당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제공되며: 이 단말기는,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지원하기 위해 셀(Cell) 내에 공유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감시하여 미사용중인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파악하는 채널 감시부; 및 상기 파악된 가용자원을 통해 스케줄링 정보(SI,Scheduling Information)를 상기 셀(Cell) 영역을 갖는 기지국에 전송하여 상향링크 자원할당 을 요청하는 자원할당 요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상향링크 자원할당 요청에 따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채널 감시부는, 운용자 설정 시간 동안 E-AGCH(enhanced absolute grant channel)를 포함하는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 상의 슬롯자원(TRRI, timeslot resource related information) 및 코드자원(CRRI, code resource related information)에 대한 감시를 통해 셀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상기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원할당 요청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상기 상향링크 가용자원 중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선택하여 상기 스케줄링 정보(SI,Scheduling Information)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여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무선통신 자원할당을 수행하는 기지국이 제공되며: 이 기지국은, 셀(Cell)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상향 링크 가용자원 중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향링크 자원할당 요청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SI,Scheduling Information)를 수신하는 단말 연동부; 상향링크 자원할당 이력을 저장하는 이력정보 저장부; 상기 스케줄링 정보가 수신되는 상기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에 대한 할당 이력을 확인하는 할당 이력 관리부; 및 상기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의 할당 이력에 따라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 용자 단말기에 대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자원 할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원 할당부는, 상기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이 기 저장된 상향링크 자원할당 이력 정보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토대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여 E-AGCH(enhanced absolute grant channel)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무선통신 자원할당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셀(Cell) 내에 공유되는 하향링크(Down Link) 채널에 대한 감시를 통해 상향링크 점유상태를 확인하여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Up Link) 가용자원을 파악하는 가용자원 파악 단계; 상기 파악된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가용자원 중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요청하는 자원할당 요청 단계; 상기 상향링크(Up Link) 가용자원을 통해 수신되는 상향링크 자원할당 요청을 토대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자원할당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용자원 파악 단계는, 운용자 설정 시간 동안 상기 하향링크 채널 중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지원하기 위한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감시를 통해 미사용중인 상기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원할당 단계는, 상기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이 기 저장된 상향링크 자원할당 이력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토대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무선통신 자원할당을 요청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셀(Cell) 내에 공유되는 하향링크(Down Link) 채널에 대한 감시를 통해 상향링크 점유상태를 확인하여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Up Link) 가용자원을 파악하는 가용자원 파악 단계; 상기 파악된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가용자원 중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통해 상기 셀(Cell) 영역을 갖는 기지국에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요청하는 자원할당 요청 단계; 및 상기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요청에 따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요청 단계는, 운용자 설정 시간 동안 상기 하향링크 채널 중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지원하기 위한 하향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감시를 통해 미사용중인 상기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무선통신 자원할당 처리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셀(Cell)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상향 링크 가용자원 중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향링크 자원할당 요청을 수신하는 자원할당 요청 수신 단계; 상기 자원할당 요청이 수신되는 상기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에 대한 할당 이력을 확인하는 이력 정보 확인 단계; 및 상기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의 할당 이력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자원할당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원할당 단계는, 상기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이 기 저장된 상향링크 자원할당 이력 정보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토대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무선통신 자원할당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지원하기 위해 셀(Cell) 내에 공유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감시하여 미사용중인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파악하는 가용자원 파악 단계; 상기 파악된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가용자원 중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요청하는 자원할당 요청 단계; 및 상기 상향링크(Up Link) 가용자원을 통해 수신되는 상향링크 자원할당 요청을 토대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자원할당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용자원 파악 단계는, 운용자 설정 시간 동안 E-AGCH(enhanced absolute grant channel)를 포함하는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감시를 통해 상기 셀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상기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원할당 요청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가용자원 중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통해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SI,Scheduling Information)를 전송하여 상기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원할당 단계는, 상기 스케줄링 정보가 수신되는 상기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이 기 저장된 상향링크 자원할당 이력에 포함되지 않을 경 우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토대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무선통신 자원할당을 요청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지원하기 위해 셀(Cell) 내에 공유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감시하여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파악하는 가용자원 파악 단계; 상기 파악된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가용자원 중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통해 스케줄링 정보(SI,Scheduling Information)를 상기 셀(Cell) 영역을 갖는 기지국에 전송하여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요청하는 자원할당 요청 단계; 및 상기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요청에 따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용자원 파악 단계는, 운용자 설정 시간 동안 E-AGCH(enhanced absolute grant channel)를 포함하는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 상의 슬롯자원(TRRI, timeslot resource related information) 및 코드자원(CRRI, code resource related information)에 대한 감시를 통해 셀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무선통신 자원할당 처리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셀(Cell)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상향 링크 가용자원 중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향링크 자원할당 요청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SI,Scheduling Information)를 수신하는 자원할당 요청 수신 단계; 상기 스케줄링 정보가 수신되는 상기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에 대한 할당 이력을 확인하는 이력 정보 확인 단계; 및 상기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의 할당 이력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자원할당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원할당 단계는, 상기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이 기 저장된 상향링크 자원할당 이력 정보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토대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여 E-AGCH(enhanced absolute grant channel)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자원할당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기 및 기지국에 따르면, 단말이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받고 싶을 때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파악한 후 이 가용자원을 이용하여 자신의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무선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을 지원하고, 상향링크 자원을 신속하게 할당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자원할당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셀(Cell) 내에 존재하는 상향링크(Up Link) 가용자원을 통해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기(100) 및 상향링크 자원할당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기지국(20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셀(Cell) 내에 공유되는 하향링크(Down Link) 채널에 대한 감시를 통해 상향링크 점유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Up Link) 가용자원을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상향링크 가용자원 중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요청한다. 즉, 사용자 단말기(100)는 운용자 설정 시간 동안 상기 하향링크 채널 중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지원하기 위한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감시하여 미사용중인 상기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파악한다.
한편, 이러한 본원의 구성이 고속상향패킷접속(HSUPA, High-Speed Uplink Packet Access) 기술에 적용될 경우를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운용자 설정 시간 동안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인 E-AGCH(enhanced absolute grant channel)에 대한 감시를 통해 상기 셀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가용자원 즉 RU(Resource Unit)을 파악한다. 즉, 사용자 단말기(100)는 E-AGCH의 할당 패턴을 감시할 때 특별히 할당하지 않는 RU가 있는지 검사한다. 이때, E-AGCH에 의해 지속적으로 할당되지 않는 RU는 보통 다른 서비스를 위해 예약되어 있는 자원이라 판단한다. 또한, HSUPA의 동작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E-AGCH가 수신된 후 상향링크로 nE-AGCH 슬롯 이후부터 상향링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채널인 E-PUCH(enhanced physical uplink channel)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현재 슬롯을 기준으로 향후 nE-AGCH 슬롯 동안에는 모든 슬롯 및 코드에 대한 할당이 끝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이어질 nE-AGCH 슬롯 즉 운용자 설정 시간 이내에서 사용되지 않는 슬롯자원(TRRI, timeslot resource related information) 및 코드자원(CRRI, code resource related information)을 상향링크 가용자원이라고 판단한다.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기(100)는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가용자원 중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통해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SI,Scheduling Information)를 기지국(100)에 전송함으로써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요청한다. 여기서, 스케줄링 정보에는 서빙 셀(serving cell)과 이웃 셀(neighbor cell)들에 대한 경로손실(path loss)을 지시하여 셀간 간섭의 영향을 억제하기 위한 SNPL(serving and neighboring cell path loss), 단말에서 추가적으로 사용 가능한 송신전력인 UPH(UE power headroom),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총 양을 지시하는 TEBS(total E-DCH buffer status), 단말이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단말 내부의 논리채널들 중에서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논리채널을 지시하는 HLID(highest priority logical channel identification) 및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논리채널로 전송될 예정인 데이터의 양을 지시하는 HLBS(highest priority logical channel buffer status)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기지국(200)은 상향링크(Up Link) 가용자원을 통해 수신되는 상향링크 자원할당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에 대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한다. 즉, 기지국(200)은 상향링크 자원할당 요청이 수신되는 상기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이 기 저장된 상향링크 자원할당 이력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토대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한다.
한편, 이러한 본원의 구성이 고속상향패킷접속(HSUPA, High-Speed Uplink Packet Access) 기술에 적용될 경우를 살펴보면, 기지국(200)은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스케줄링 정보가 수신되는 상기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이 기 저장된 상향링크 자원할당 이력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상기 스케줄링 정보(SI)를 토대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한다. 즉, 데이터 송신을 마친 후 다시 전송을 원하는 사용자 단말기(100)는 가용 RU들 중에서 임의의 RU를 선택하여 SI정보를 송신한다. 이 상향링크 자원은 E-PUCH(enhanced physical uplink channel)의 일부이기 때문에 기지국(200)은 정상적인 HSUPA 데이터로 판단하고 수신한다. 하지만, 기지국 입장에서는 자신이 이전에 할당하지 않은 자원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기지국(200)은 이 데이터를 SI 전송이라고 판단한다. 더불어, SI 전송에 대해서는 E-PUCH를 통한 상향링크 전송에 대하여 기지국(200)에서의 수신성공 여부를 알려주는 하향링크 채널인 E-HICH(enhanced acknowledgement indicator channel)를 통한 ACK/NACK을 전송할 필요가 없다. 참고로, E-AGCH로 사용자 단말기(100)에게 E-HICH 위치를 알려주지 않았기 때문에 SI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E-HICH를 수신할 수 없다. 만약, 가용 RU를 이용한 SI 전송이 실패하면,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는 단순히 자원할당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할 뿐 일정한 시간이 흐른 후 다시 SI 전송을 시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자원할당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가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받고 싶을 때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상향링크 가용 자원을 파악한 후 이 가용자원을 이용하여 자신의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함에 따라 무선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을 지 원하고, 기지국(200)은 신속하게 상향링크 자원을 사용자 단말기(100)에게 할당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는 셀(Cell) 내에 존재하는 상향링크(Up Link) 가용자원을 파악하는 채널 감시부(110),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요청하기 위한 자원할당 요청부(120), 및 할당된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채널 감시부(110)는 셀(Cell) 내에 공유되는 하향링크(Down Link) 채널에 대한 감시를 통해 상향링크 점유상태를 확인하여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Up Link) 가용자원을 파악한다. 즉, 채널 감시부(110)는 운용자 설정 시간 동안 상기 하향링크 채널 중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지원하기 위한 하향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감시를 통해 미사용중인 상기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파악한다.
한편, 이러한 본원의 구성이 고속상향패킷접속(HSUPA, High-Speed Uplink Packet Access) 기술에 적용될 경우를 살펴보면, 상기 채널 감시부(110)는 운용자 설정 시간 동안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인 E-AGCH(enhanced absolute grant channel)에 대한 감시를 통해 상기 셀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가용자원 즉 RU(Resource Unit)을 파악한다. 즉, 채널 감시부(110)는 E-AGCH의 할당 패턴을 감시할 때 특별히 할당하지 않는 RU가 있는지 검사한다. 이때, E-AGCH에 의해 지속적으로 할당되지 않는 RU는 보통 다른 서비스를 위해 예약되어 있는 자원이 라 판단한다. 또한, HSUPA의 동작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E-AGCH가 수신된 후 상향링크로 nE-AGCH 슬롯 이후부터 E-PUCH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현재 슬롯을 기준으로 향후 nE-AGCH 슬롯 동안에는 모든 슬롯 및 코드에 대한 할당이 끝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채널 감시부(110)는 이어질 nE-AGCH 슬롯 즉 운용자 설정 시간 이내에서 사용되지 않는 슬롯자원(TRRI, timeslot resource related information) 및 코드자원(CRRI, code resource related information)을 상향링크 가용자원이라고 판단한다.
상기 자원할당 요청부(120)는 상기 파악된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가용자원 중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통해 상기 셀(Cell) 영역을 갖는 기지국에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요청한다.
한편, 이러한 본원의 구성이 고속상향패킷접속(HSUPA, High-Speed Uplink Packet Access) 기술에 적용될 경우를 살펴보면, 자원할당 요청부(120)는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가용자원 중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통해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SI,Scheduling Information)를 기지국(100)에 전송함으로써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요청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30)는 상기 상향링크 자원할당 요청에 따라 상기 기지국(200)으로부터 할당된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한편, 이러한 본원의 구성이 고속상향패킷접속(HSUPA, High-Speed Uplink Packet Access) 기술에 적용될 경우를 살펴보면, 데이터 처리부(130)는 E-AGCH(enhanced absolute grant channel)를 통해 기지국(200)으로부터 통지된 E- PUCH 상의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참고로, 데이터 처리부(130)는 E-PUCH를 통한 상향링크 전송에 대하여 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성공 여부를 알려주는 하향링크 채널인 E-HICH(enhanced acknowledgement indicator channel)를 통한 ACK/NACK를 수신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의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받고 싶을 때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상향링크 가용 자원을 파악한 후 이 가용자원을 이용하여 자신의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함에 따라 무선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을 지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200)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200)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향링크 자원할당 요청을 수신하는 단말 연동부(210), 상향링크 자원할당 이력을 저장하는 이력정보 저장부(220), 상기 상향링크 자원할당 요청이 수신되는 상기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에 대한 할당 이력을 확인하는 이력정보 확인부(230) 및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자원 할당부(24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단말 연동부(210)는 셀(Cell)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상향 링크 가용자원 중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향링크 자원할당 요청을 수신한다.
한편, 이러한 본원의 구성이 고속상향패킷접속(HSUPA, High-Speed Uplink Packet Access) 기술에 적용될 경우를 살펴보면, 단말 연동부(210)는 셀(Cell)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상향 링크 가용자원 중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향링크 자원할당 요청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SI,Scheduling Information)를 수신한다.
상기 자원 할당부(230)는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이 이력정보 저장부(220)에 기 저장된 상향링크 자원할당 이력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대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한다.
한편, 이러한 본원의 구성이 고속상향패킷접속(HSUPA, High-Speed Uplink Packet Access) 기술에 적용될 경우를 살펴보면, 자원 할당부(230)은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스케줄링 정보가 수신되는 상기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이 이력정보 저장부(200)에 기 저장된 상향링크 자원할당 이력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상기 스케줄링 정보(SI)를 토대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여 해당 정보를 E-PUCH(enhanced absolute grant channel)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에 통지한다. 즉, 데이터 송신을 마친 후 다시 전송을 원하는 사용자 단말기(100)는 가용 RU들 중에서 임의의 RU를 선택하여 SI정보를 송신한다. 이 상향링크 자원은 E-PUCH(enhanced physical uplink channel)의 일부이기 때문에 기지국(200)은 정상적인 HSUPA 데이터로 판단하고 수신한다. 하지만, 기지국 입장에서는 자신이 이전에 할당하지 않은 자원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기지국(200)은 이 데이터를 SI 전송이라고 판단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200)의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가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받고 싶을 때 하향링크 제어채 널을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상향링크 가용 자원을 파악한 후 이 가용자원을 이용하여 자신의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함에 따라 신속하게 상향링크 자원을 사용자 단말기(100)에게 할당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자원할당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자원할당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셀(Cell) 내에 공유되는 하향링크(Down Link) 채널에 대한 감시를 통해 상향링크 점유상태를 확인하여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Up Link) 가용자원을 파악한다(S110-S120).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단말기(100)는 운용자 설정 시간 동안 상기 하향링크 채널 중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지원하기 위한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감시하여 미사용중인 상기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파악한다. 한편, 이러한 본원의 구성이 고속상향패킷접속(HSUPA, High-Speed Uplink Packet Access) 기술에 적용될 경우를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운용자 설정 시간 동안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인 E-AGCH(enhanced absolute grant channel)에 대한 감시를 통해 미사용중인 슬롯자원(TRRI, timeslot resource related information) 및 코드자원(CRRI, code resource related information)에 해당하는 가용자원 즉, RU(Resource Unit)를 파악한다. 참고로, 사용자 단말기(100)는 자신이 임의로 사용할 수 있는 가용 RU 자원의 목록을 관리하는데, E-AGCH에서 특정한 RU가 발견되 면, 이 목록에서 해당 RU를 삭제하고 남아 있는 가용 RU 자원들 중에서 임의로 하나를 선택하여 자신의 SI를 송신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목록에는 다른 서비스를 위해 할당된 자원들도 배제되고 오직 E-PUCH 전송에 사용되는 RU들만을 관리해야 한다.
그런 다음,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요청한다(S130-S140).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단말기(200)는 셀 내에 공유된 하향링크 제어 채널 감시를 통해 파악된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가용자원 중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요청한다. 한편, 이러한 본원의 구성이 고속상향패킷접속(HSUPA, High-Speed Uplink Packet Access) 기술에 적용될 경우를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가용자원 중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통해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SI,Scheduling Information)를 기지국(100)에 전송함으로써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요청한다.
이후, 상향링크(Up Link) 가용자원을 통해 수신되는 상향링크 자원할당 요청을 토대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한다(S150-S180). 바람직하게는, 기지국(200)이 상향링크(Up Link) 가용자원을 통해 수신되는 상향링크 자원할당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에 대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한다. 즉, 기지국(200)은 상향링크 자원할당 요청이 수신되는 상기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이 기 저장된 상향링크 자원할당 이력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토대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고 할당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에 통지한다. 한편, 이러한 본원의 구성 이 고속상향패킷접속(HSUPA, High-Speed Uplink Packet Access) 기술에 적용될 경우를 살펴보면, 기지국(200)은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스케줄링 정보가 수신되는 상기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이 기 저장된 상향링크 자원할당 이력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상기 스케줄링 정보(SI)를 토대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고, 할당 정보를 E-AGCH(enhanced absolute grant channel)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에 통지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자원할당 시스템의 구동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가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받고 싶을 때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상향링크 가용 자원을 파악한 후 이 가용자원을 이용하여 자신의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함에 따라 무선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을 지원하고, 기지국(200)은 신속하게 상향링크 자원을 사용자 단말기(100)에게 할당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무선통신 자원할당을 요청 위한 사용자 단말기(100)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셀(Cell) 내에 공유되는 하향링크(Down Link) 채널에 대한 감시를 통해 상향링크 점유상태를 확인하여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Up Link) 가용자원을 파악한다(S210-S230). 바람직하게는, 채널 감시부(110)가 셀(Cell) 내에 공유되는 하향링크(Down Link) 채널에 대한 감시를 통해 상향링크 점유상태를 확인하여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Up Link) 가용자원을 파악한다. 즉, 채널 감시부(110)는 운용자 설정 시간 동안 상기 하향링크 채널 중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지원하기 위한 하향링 크 제어 채널에 대한 감시를 통해 미사용중인 상기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파악한다. 한편, 이러한 본원의 구성이 고속상향패킷접속(HSUPA, High-Speed Uplink Packet Access) 기술에 적용될 경우를 살펴보면, 상기 채널 감시부(110)는 운용자 설정 시간 동안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인 E-AGCH(enhanced absolute grant channel)에 대한 감시를 통해 미사용중인 슬롯자원(TRRI, timeslot resource related information) 및 코드자원(CRRI, code resource related information)에 해당하는 가용자원 즉, RU(Resource Unit)를 파악한다.
그런 다음, 상기 파악된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가용자원 중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통해 상기 셀(Cell) 영역을 갖는 기지국에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요청한다(S240-S250). 바람직하게는, 자원할당 요청부(120)가 상기 파악된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가용자원 중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통해 상기 셀(Cell) 영역을 갖는 기지국에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요청한다. 한편, 이러한 본원의 구성이 고속상향패킷접속(HSUPA, High-Speed Uplink Packet Access) 기술에 적용될 경우를 살펴보면, 자원할당 요청부(120)는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가용자원 중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통해 상향링크 자원 요청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SI,Scheduling Information)를 기지국(100)에 전송함으로써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요청한다.
이후, 상기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요청에 따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S260-S270). 바람직하게는, 데이터 처리부(130)가 상기 상향링크 자원할당 요청에 따라 상기 기지국(200)으로부터 할당된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한편, 이러한 본원 의 구성이 고속상향패킷접속(HSUPA, High-Speed Uplink Packet Access) 기술에 적용될 경우를 살펴보면, 데이터 처리부(130)는 E-AGCH(enhanced absolute grant channel)를 통해 기지국(200)으로부터 통지된 E-PUCH 상의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참고로, 데이터 처리부(130)는 E-PUCH를 통한 상향링크 전송에 대하여 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성공 여부를 알려주는 하향링크 채널인 E-HICH(enhanced acknowledgement indicator channel)를 통한 ACK/NACK를 수신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의 구동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받고 싶을 때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상향링크 가용 자원을 파악한 후 이 가용자원을 이용하여 자신의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함에 따라 무선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을 지원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무선통신 자원할당 처리를 위한 기지국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셀(Cell)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상향 링크 가용자원 중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향링크 자원할당 요청을 수신한다(S310). 바람직하게는, 단말 연동부(210)가 셀(Cell)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상향 링크 가용자원 중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향링크 자원할당 요청을 수신한다. 한편, 이러한 본원의 구성이 고속상향패킷접속(HSUPA, High-Speed Uplink Packet Access) 기술에 적용될 경우를 살펴보면, 단말 연동부(210)는 셀(Cell)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상향 링크 가용자원 중 특 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향링크 자원할당 요청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SI,Scheduling Information)를 수신한다.
그런 다음, 상기 자원할당 요청이 수신되는 상기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에 대한 할당 이력을 확인한다(S320-S350). 바람직하게는, 이력정보 확인부(230)가 상기 상향링크 자원할당 요청이 수신되는 상기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에 대한 할당 이력을 확인한다.
이후, 상기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의 할당 이력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한다(S360-S380). 바람직하게는, 자원 할당부(230)가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이 이력정보 저장부(220)에 기 저장된 상향링크 자원할당 이력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대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고 할당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통지한다. 한편, 이러한 본원의 구성이 고속상향패킷접속(HSUPA, High-Speed Uplink Packet Access) 기술에 적용될 경우를 살펴보면, 자원 할당부(230)은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스케줄링 정보가 수신되는 상기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이 이력정보 저장부(200)에 기 저장된 상향링크 자원할당 이력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상기 스케줄링 정보(SI)를 토대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여 해당 정보를 E-PUCH(enhanced absolute grant channel)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에 통지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200)의 구동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가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받고 싶을 때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상향링크 가용 자원을 파악한 후 이 가용자원을 이용하여 자신의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함에 따라 신속하게 상향링크 자원을 사용자 단말기(100)에게 할당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자원할당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기 및 기지국에 따르면 무선통신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상향링크 자원할당 명령을 감시하여 가용자원을 파악하고, 가용자원 일부를 이용하여 자신의 상태정보를 기지국에 전달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자원할당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자원할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사용자 단말기
110: 채널 감시부 120: 자원할당 요청부
130: 데이터 처리부
200: 기지국
210: 단말 연동부 220: 이력정보 저장부
230: 이력정보 확인부 240: 자원 할당부

Claims (3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무선통신 자원할당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있어서,
    셀 내에서 사용자 단말기들에게 공유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에게 할당되지 않은 상향링크 가용자원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채널 감시부; 및
    상기 상향링크 가용자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통해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요청하여,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상향링크 가용자원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할당한 상향링크 자원이 아닌 것을 확인한 경우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게 하는 자원할당 요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가용자원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기들에게 전송되는 상기 하향링크 제어채널 내 슬롯자원(TRRI, timeslot resource related information) 및 코드자원(CRRI, code resource related information)을 기초로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할당 요청부는,
    상기 상향링크 가용자원 중 설정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에게 할당되지 않은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제외한 나머지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통해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할당 요청부는,
    상기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통해 스케줄링 정보(SI, Scheduling Information)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여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되는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9. 무선통신 자원할당을 수행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셀 내에 존재하는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향링크 자원할당 요청을 수신하는 단말 연동부;
    기 저장된 상향링크 자원할당 이력으로부터 상기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할당된 상향링크 자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이력정보 확인부; 및
    상기 상향링크 가용자원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할당된 상향링크 자원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자원 할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은,
    상기 셀 내에서 사용자 단말기들에게 공유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로부터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부는,
    상기 자원할당 요청과 관련하여 상기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스케줄링 정보(SI, Scheduling Information)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 할당된 상향링크 자원은,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통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사용자 단말기에서 이루어지는 무선통신 자원할당 방법에 있어서,
    셀 내에서 사용자 단말기들에게 공유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에게 할당되지 않은 상향링크 가용자원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채널 감시 단계; 및
    상기 상향링크 가용자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통해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요청하여,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상향링크 가용자원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할당한 상향링크 자원이 아닌 것을 확인한 경우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게 하는 자원할당 요청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자원할당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가용자원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기들에게 전송되는 상기 하향링크 제어채널 내 슬롯자원(TRRI, timeslot resource related information) 및 코드자원(CRRI, code resource related information)을 기초로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자원할당 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가용자원 중 설정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에게 할당되지 않은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제외한 나머지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통해 상향링크 자원할당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자원할당 방법.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되는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자원할당 방법.
  26. 기지국에서 이루어지는 무선통신 자원할당 방법에 있어서,
    셀 내에 존재하는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향링크 자원할당 요청을 수신하는 단말 연동 단계;
    기 저장된 상향링크 자원할당 이력으로부터 상기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 할당된 상향링크 자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이력정보 확인 단계; 및
    상기 상향링크 가용자원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할당된 상향링크 자원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자원 할당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자원할당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은,
    상기 셀 내에서 사용자 단말기들에게 공유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로부터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자원할당 방법.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단계는,
    상기 자원할당 요청과 관련하여 상기 특정 상향링크 가용자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스케줄링 정보(SI, Scheduling Information)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자원할당 방법.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KR1020090030784A 2009-04-09 2009-04-09 무선통신 자원할당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30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784A KR101630822B1 (ko) 2009-04-09 2009-04-09 무선통신 자원할당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784A KR101630822B1 (ko) 2009-04-09 2009-04-09 무선통신 자원할당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327A KR20100112327A (ko) 2010-10-19
KR101630822B1 true KR101630822B1 (ko) 2016-06-16

Family

ID=43132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0784A KR101630822B1 (ko) 2009-04-09 2009-04-09 무선통신 자원할당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08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73988B2 (en) 2011-06-06 2016-10-18 Lg Electronics Inc. Multiplexing method for signals related to a plurality of termina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ying carrier aggregation techniques and apparatus therefor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R 25.224 v7.10.0, Physical layer procedures (TDD) (Release 7), March 2009.*
3GPP TR 25.827 v7.1.0, Physical Layer Aspects (Release 7), May 2007.*
3GPP TR 25.928 v4.0.1, 1.28Mcps functionality for UTRA Physical layer (TDD) (Release 4), March 200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327A (ko) 2010-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0340B1 (ko) 업링크 채널 자원의 예비할당을 위한 방법 및 장치
EP2234434B1 (en) A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triggering the resource distribution
KR10121896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랜덤 액세스 방법
US200802323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Random Access Proced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20100118919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의 랜덤 액세스 프리엠블 및 자원 최적화 장치 및 방법
US20180027575A1 (en)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data
US201502641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Random Access
TW202021404A (zh) 使用者設備、網路節點及其在無線通信網路中處理兩步驟隨機存取程序的方法
WO2015085839A1 (zh) 一种数据通信方法、系统及装置
KR101812045B1 (ko) 멀티채널 액세스 방법 및 장치
US11425709B2 (en) Data transmiss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KR20090036517A (ko)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방법 및 기지국
CN112567858B (zh) 带宽部分的共享资源配置
KR101630822B1 (ko) 무선통신 자원할당 시스템 및 그 방법
US8380233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the allocation of E-DCH common resources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KR101631290B1 (ko) 무선통신 자원할당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5022865A (zh) 一种通信方法及设备
KR20090049994A (ko) Cqich 할당과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