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8930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8930B1
KR101628930B1 KR1020140097108A KR20140097108A KR101628930B1 KR 101628930 B1 KR101628930 B1 KR 101628930B1 KR 1020140097108 A KR1020140097108 A KR 1020140097108A KR 20140097108 A KR20140097108 A KR 20140097108A KR 101628930 B1 KR101628930 B1 KR 101628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semantic network
extracted text
content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7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4929A (ko
Inventor
이민호
박욱업
아미타시 오자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97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930B1/ko
Publication of KR20160014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4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및, 컨텐츠에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추출하고, 시멘틱 네트워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출한 텍스트에 대응되는 감성 자극 요소를 판단하고 판단된 감성 자극 요소에 기초하여 추출한 텍스트의 색상, 크기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컨텐츠를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감성 자극 요소를 가미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TV, PC, 랩탑 컴퓨터, 태블릿 PC,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대부분의 가정에서 사용될 정도로 보급율이 높다.
최근에는 더 새롭고 다양한 기능을 원하는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부합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좀 더 새로운 형태로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인간의 감성을 자동으로 인지하고, 사용하는 상황에 맞게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감성 ICT 융합기술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컨텐츠를 어떠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지에 따라 사용자가 느끼는 감정도 다르게 될 것이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자의 감성을 적용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컨텐츠의 내용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텐츠 내에 있는 텍스트의 각 단어를 인식하여 이에 대응되는 이모티콘으로 변환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텍스트를 읽으면서, 각 단어의 의미에 따라 시각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사용자에 대한 고려 없이, 단방향의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데에 그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사랑"이라는 단어에서 한 사람은 빨간색의 감성 자극 요소를 떠올릴 수 있으나, 다른 사람은 노란색의 감성 자극 요소를 떠올릴 수도 있다. 또, 컨텐츠의 전체적인 내용에 따라 "사랑"이라는 단어의 감성 자극 요소로서 가벼운 느낌의 폰트가 어울릴 수도 있고, 또는 무거운 느낌의 폰트가 어울릴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시멘틱 네트워크(sementic network)를 기반으로 컨텐츠가 의미하는 내용 및 사용자에 따라 컨텐츠에 감성 자극 요소를 가미함으로써, 컨텐츠의 가독성 및 인지력을 높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및, 컨텐츠에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추출하고, 시멘틱 네트워크(semantic network)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출한 텍스트에 대응되는 감성 자극 요소를 판단하고 판단된 감성 자극 요소에 기초하여 추출한 텍스트의 색상, 크기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컨텐츠를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는 컨텐츠에서 상기 시멘틱 네트워크 알고리즘에 적용가능한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시멘틱 네트워크 알고리즘은 추출된 텍스트와 단어와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시멘틱 네트워크, 추출된 텍스트와 색상과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시멘틱 네트워크, 추출된 텍스트와 크기와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시멘틱 네트워크, 추출된 텍스트와 형태와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시멘틱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추출된 텍스트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구성하는 요소 중 추출된 텍스트 이외의 다른 요소를 변경하여 컨텐츠를 재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복수의 시멘틱 네트워크 중에서 추출한 텍스트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시멘틱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시멘틱 네트워크 각각을 구성하는 복수의 감성 자극 요소 중에서 추출한 텍스트와 가장 인접한 감성 자극 요소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시멘틱 네트워크 내에서 추출한 텍스트에 대응되는 노드와 복수의 감성 자극 요소 각각에 대응되는 노드 사이의 거리는 변경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변경된 텍스트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에 기초하여, 시멘틱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복수의 노드 사이의 거리가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컨텐츠에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시멘틱 네트워크(sementic network)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출한 텍스트에 대응되는 감성 자극 요소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된 감성 자극 요소에 기초하여 추출한 텍스트의 색상, 크기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컨텐츠를 재구성하는 단계, 및 재구성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를 추출하는 단계는, 컨텐츠에서 시멘틱 네트워크 알고리즘에 적용가능한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시멘틱 네트워크 알고리즘은, 추출된 텍스트와 단어와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시멘틱 네트워크, 추출된 텍스트와 색상과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시멘틱 네트워크, 추출된 텍스트와 크기와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시멘틱 네트워크, 추출된 텍스트와 형태와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시멘틱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를 재구성하는 단계는, 추출된 텍스트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구성하는 요소 중 추출된 텍스트 이외의 다른 요소를 변경하여 컨텐츠를 재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감성 자극 요소를 판단하는 단계는, 복수의 시멘틱 네트워크 중에서 추출한 텍스트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시멘틱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시멘틱 네트워크 각각을 구성하는 복수의 감성 자극 요소 중에서 추출한 텍스트와 가장 인접한 감성 자극 요소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시멘틱 네트워크 내에서 추출한 텍스트에 대응되는 노드와 복수의 감성 자극 요소 각각에 대응되는 노드 사이의 거리는 변경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변경된 텍스트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에 기초하여, 시멘틱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복수의 노드 사이의 거리가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텐츠가 의미하는 내용 및 사용자에 따라 컨텐츠에 감성 자극 요소를 가미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해줄 수 있으므로, 컨텐츠의 가독성 및 인지력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에 감성 자극 요소를 가미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멘틱 네트워크 알고리즘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텍스트에 감성 자극 요소를 가미하는 다양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감성 자극 요소가 가미된 텍스트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추출된 텍스트 이외의 다른 요소를 변경하여 재구성된 컨텐츠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부(110) 및 디스플레이부(12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을 처리하여 출력할 수 있는 디지털 TV, 다양한 종류의 모니터, 스마트폰, PMP, 노트북 컴퓨터, 전자사전 등이 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양한 구성에 대한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특히, 제어부(110)는 컨텐츠에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추출하고, 시멘틱 네트워크(semantic network)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출한 텍스트에 대응되는 감성 자극 요소를 판단하고 판단된 감성 자극 요소에 기초하여 추출한 텍스트의 색상, 크기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컨텐츠를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시멘틱 네트워크(sementic network)란, 네트워크를 기초로 하여 객체(Object), 개념(Concepts), 사건(Events)들을 표현하는 노드(Node)의 집합과 노드 사이의 관계(Predicates)를 표현하는 것으로 매우 복잡한 분류에 따른 집합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감성 자극 요소가 노드에 해당한다. 감성 자극 요소란, 기쁨, 즐거움, 사랑, 욕망, 노여움, 슬픔, 미움, 두려움 등의 인간의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이미지, 색상, 크기, 형태, 특정 단어 및 배치 등 다양한 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시멘틱 네트워크 알고리즘은, 추출된 텍스트와 단어와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시멘틱 네트워크, 추출된 텍스트와 색상과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시멘틱 네트워크, 추출된 텍스트와 크기와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시멘틱 네트워크, 추출된 텍스트와 형태와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시멘틱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컨텐츠에서 시멘틱 네트워크 알고리즘에 적용가능한 텍스트만을 추출할 수 있다. 시멘틱 네트워크 알고리즘에 적용가능한 텍스트는 외부 서버 또는 저장부에 기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 시멘틱 네트워크 알고리즘에 적용가능한 텍스트에는 특정한 단어, 문장, 기호 및 숫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추출된 텍스트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구성하는 요소 중 추출된 텍스트 이외의 다른 요소를 변경하여 컨텐츠를 재구성할 수 있다. 추출된 텍스트 이외의 다른 요소란, 텍스트의 배경화면, 이미지, 텍스트의 배치, 화면의 밝기 및 색의 농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출된 텍스트 이외의 다른 요소는 추출된 텍스트가 내포하고 있는 감성 자극 요소를 기초로 하여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변경된 단어들이 내포하고 있는 감성 자극 요소들을 각각 분석하여 감성 자극 요소들이 어떤 특정 감정에 치우쳐져 있다면, 전체 텍스트의 분위기를 치우쳐진 특정 감정과 동일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판단된 분위기에 대응되는 배경화면, 이미지, 텍스트의 배치, 화면의 밝기 및 색의 농도 등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복수의 시멘틱 네트워크 중에서 추출한 텍스트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시멘틱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시멘틱 네트워크 각각을 구성하는 복수의 감성 자극 요소 중에서 추출한 텍스트와 가장 인접한 감성 자극 요소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가장 인접하다는 의미는, 추출한 텍스트에 대응되는 노드와 어느 한 감성 자극 요소에 대응되는 노드 사이의 거리가 다른 노드 사이의 거리보다 짧다는 것을 뜻한다. 여기서, 노드 사이의 거리란, 추출한 텍스트와 각각의 감성 자극 요소의 상관 관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죽음"이라는 단어가 추출되었다면, "죽음"이라는 단어에서 연상되는 감성 자극 요소로서의 색상은 밝은 색보다는 어두운 색에 가까울 것이다. 이 경우, "죽음"과 대응되는 노드와 검은색에 대응되는 노드 사이의 거리가, "죽음"과 대응되는 노드와 노란색에 대응되는 노드 사이의 거리보다 더 가까울 것이다. 이 때, "죽음"과 대응되는 노드에 가장 인접한 노드에 대응되는 감성 자극 요소가 검은색이라면, 제어부(110)는 "죽음"이라는 단어의 색을 가장 인접한 감성 자극 요소인 검은색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시멘틱 네트워크 내에서, 추출한 텍스트에 대응되는 노드와 복수의 감성 자극 요소 각각에 대응되는 노드 사이의 거리를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노드 사이의 거리는 기설정된 노드 사이의 거리의 기설정된 가중치가 변경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변경된 텍스트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에 기초하여, 시멘틱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복수의 노드 사이의 거리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각 복수의 노드 사이의 거리를 변경할 수도 있다. 이 때, 노드 사이의 거리는 사용자가 기설정된 노드 사이의 거리의 기설정된 가중치를 직접 변경함으로써 변경된다. 예를 들어, "사랑"이라는 단어에서 사용자 1은 빨간색의 감성 자극 요소를 떠올릴 수 있으나, 사용자 2는 노란색의 감성 자극 요소를 떠올릴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1은 "사랑"에 대응되는 노드에서 빨간색의 노드와의 가중치를 높일 수 있다. 반면, 사용자 2는 "사랑"에 대응되는 노드에서 노란색의 노드와의 가중치를 높일 것이다. 한편, 컨텐츠 내의 변경된 텍스트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상에서 사용자가 직접 텍스트의 색깔, 폰트 및 크기 등을 조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에 의해 조정된 정보가 시멘틱 네트워크에 반영되어 가중치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 내의 "사랑"을 터치하여 "사랑"의 색깔을 빨간색에서 노란색으로 조정했다면, 이렇게 조정된 정보가 시멘틱 네트워크에 반영될 수 있다. 이 경우, "사랑"에 대응되는 노드와 노란색에 대응되는 노드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 수 있다. 반면, "사랑"에 대응되는 노드와 빨간색에 대응되는 노드 사이의 거리는 멀어질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20)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재구성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0) 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에서의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텍스트 추출부(111)는 입력된 컨텐츠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텍스트 추출부(111)는 시멘틱 네트워크 알고리즘에 적용할 수 있는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시멘틱 네트워크 알고리즘에 적용할 수 있는 텍스트는 저장부(130)에 기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
감성 자극 요소 판단부(112)는 시멘틱 네트워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텍스트 추출부(111)에서 추출한 텍스트에 대응되는 감성 자극 요소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감성 자극 요소 판단부(112)는 복수의 시멘틱 네트워크 중에서 추출한 텍스트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시멘틱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시멘틱 네트워크 각각을 구성하는 복수의 감성 자극 요소 중에서 상기 추출한 텍스트와 가장 인접한 감성 자극 요소를 선택할 수 있다.
컨텐츠 재구성부(113)는 판단된 감성 자극 요소에 기초하여 추출한 텍스트의 색상, 크기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컨텐츠를 재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재구성부(113)는 추출된 텍스트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구성하는 요소 중 추출된 텍스트 이외의 다른 요소를 변경하여 컨텐츠를 재구성할 수도 있다. 재구성된 컨텐츠는 디스플레이부(120)에서 디스플레이된다.
저장부는(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130)는 시멘틱 네트워크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추출한 텍스트가 "사랑"이라는 단어인 경우, 데이터베이스는 "사랑"을 노드로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멘틱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특정 텍스트를 시멘틱 네트워크에 등록하거나 시멘틱 네트워크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0)는 판단된 감성 자극 요소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재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들과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0)는 입력되는 컨텐츠의 재구성을 위한 저장 장소를 재공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저장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들과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동작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의 일시 저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30)는 플래시 메모리, 하드디스크 등 다양한 저장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저장부(130), 컨텐츠 입력부(140), 통신부(15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 오디오 처리부(170)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제어부(11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시멘틱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RAM(115), ROM(116), 메인 CPU(117), 그래픽 처리부(11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18-1 ~ 118-n), 버스(119)를 포함한다.
RAM(115), ROM(116), 메인 CPU(117), 그래픽 처리부(11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18-1 ~ 118-n) 등은 버스(119)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18-1 내지 118-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메인 CPU(117)는 저장부(13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3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13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116)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17)는 ROM(116)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30)에 저장된 O/S를 RAM(115)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17)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15)에 복사하고, RAM(115)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11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미도시)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미도시)는 연산부(미도시)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미도시)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2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통신부(15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통신부(150)는 SNS 서버를 포함하는 다양한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50)는 와이파이칩(151), 블루투스 칩(152), 무선 통신 칩(153), NFC 칩(미도시) 등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50)는 외부 서버 또는 외부 단말로부터 감성 자극 요소를 적용할 다양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 밖에 통신부(150)는 SNS 서버, E-mail 서버, 프로그램 관리 서버 등으로부터, 메시지, E-mail, 프로그램 업데이트 정보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는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는 UI 화면에 대한 다양한 사용자 조작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휴대 가능한 휴대 단말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패널 또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해, 시멘틱 네트워크의 기설정된 노드 사이의 거리의 기설정된 가중치를 직접 변경할 수 있고, 컨텐츠 내의 변경된 텍스트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상에서 사용자가 직접 텍스트의 색깔, 폰트 및 크기 등을 조정할 수도 있다.
오디오 처리부(17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17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그 밖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오디오 처리부(170)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 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스피커(미도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는 마이크(미도시)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촬영부(미도시) 및 마이크(미도시)는 그 기능에 따라 상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의 일 구성이 될 수 있다.
또한, 헤드셋, 마우스, LAN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외부 입력 포트들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든 것으로,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생략 또는 변경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에 감성 자극 요소를 가미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입력된 컨텐츠에서 "희망이라는 ~ 다 가기 전이 좋다"라는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a). 제어부(110)는 추출된 텍스트를 저장부(130)에 저장된 시멘틱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분류할 수 있다(b). 이 경우, 제어부(110)는 시멘틱 네트워크 상에서 '희망(410)', '두근(420)', '사랑(430)' 및 '가난(440)'에 대응하는 노드를 찾을 수 있고, 각 노드에 가장 인접하는 노드에 해당하는 감성 자극 요소가 각 단어를 대표하는 감성 자극 요소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성 자극 요소의 종류별로 각 시멘틱 네트워크가 존재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렇게 분류된 텍스트들을 이를 대표하는 감성 자극 요소별로 분류한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으며(c), 생성된 테이블에 따라 추출한 텍스트에 대응되는 감성 자극 요소를 적용하여 컨텐츠를 재구성할 수 있다(d). 한편, (c)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멘틱 네트워크 알고리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추출된 텍스트와 색상과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시멘틱 네트워크이고, 도 5b는 추출된 텍스트와 연상되는 단어와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시맨틱 네트워크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컨텐츠에서 추출된 '사랑'이라는 단어에 대응되는 노드와 여러가지 감성 자극 요소로 이루어진 노드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사랑'과 가장 인접한 노드에 해당하는 감성 자극 요소는 빨강이다. 빨강 다음으로 분홍, 노랑 등의 색상이 '사랑'과 인접해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사랑'과 가장 상관 관계가 큰 색상은 빨강이며, 그 다음으로 분홍 및 노랑 색상의 순서로 상관 관계가 큰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검정, 회색, 흰색 등에 해당하는 노드들은 '사랑'과 상대적으로 떨어져 있는 바, 상관 관계가 크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랑'이라는 글자는 컨텐츠 내에서 빨간색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사랑'과 가장 인접한 노드에 해당하는 감성 자극 요소는 따뜻함이다. 따뜻함 다음으로, 연인, 행복 등의 단어가 '사랑'과 인접해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사랑'과 가장 상관 관계가 큰 단어는 따뜻함이며, 그 다음으로 연인 및 행복의 순서로 상관 관계가 큰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증오, 혐오에 해당하는 노드들은 '사랑'과 상대적으로 떨어져 있는바, 상관 관계가 크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랑'이라는 글자는 '연인' 및 '행복'이라는 글자와 유사한 양상을 띄면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도 5a의 시맨틱 네트워크와 도 5b의 시맨틱 네트워크를 종합 분석하여, 그 결과에 따라 '사랑'이라는 글자를 변경할 수 있다. 다만, 실시 예로써 추출된 텍스트와 단어와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시멘틱 네트워크 및 추출된 텍스트와 색상과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두가지 시멘틱 네트워크를 예로 들었으나, 추출된 텍스트와 크기와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시멘틱 네트워크 및 추출된 텍스트와 형태와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시멘틱 네트워크도 텍스트 변경에 있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 외의 다양한 감성 자극 요소와 추출된 텍스트와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시멘틱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어부(110)는 이러한 시멘틱 네트워크를 모두 종합하여 분석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텍스트에 감성 자극 요소를 가미하는 다양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입력된 문장에서, '불행', '아픔' 등의 단어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저장부(130)의 시멘틱 네트워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출한 단어들에 각각 대응되는 감성 자극 요소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추출된 단어에 감성 자극 요소를 적용하여 단어의 색상, 크기 및 형태 등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써, 제어부(110)는 추출된 단어인 '불행', '아픔'에만 감성 자극 요소를 적용할 수 있다(출력문 1). 다른 실시 예로써, 제어부(110)는 추출된 단어를 포함하는 어절인 '불행했다', '아픔으로'에 감성 자극 요소를 적용할 수 있다(출력문 2). 다른 실시 예로써, 제어부(110)는 추출된 단어를 포함하는 문장인 '나, 그들을 만나 불행했다.' 및 '그리고, 아픔으로 그 시절을 견뎠다.' 전체에 감성 자극 요소를 적용할 수도 있다(출력문 3).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감성 자극 요소가 가미된 텍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통신부(150)를 통해 타인과 문자메세지를 수신하거나 송신하는 경우에도 감성 자극 요소가 가미된 텍스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수신된 메세지에서 '파란하늘'이라는 단어를 추출하여 이로부터 연상되는 색깔인 파란색으로 추출된 단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 제어부(110)는 송신된 메세지에서 '황사' 및 '붉기만한데'라는 단어 및 어절을 각각 추출하여 이로부터 연상되는 색깔인 빨간색으로, 추출된 단어 및 어절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추출된 텍스트 이외의 다른 요소를 변경하여 재구성된 컨텐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컨텐츠에서 '희망(810)', '두근(820)', '좋다(830)', '사랑(840)' 및 '가난(850)' 등의 단어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10)는 시멘틱 네트워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출한 단어들에 각각 대응되는 감성 자극 요소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렇게 판단된 감성 자극 요소를 종합하여, 컨텐츠의 전체적인 감성 자극 요소, 즉 분위기를 산출할 수 있고, 산출된 분위기에 대응되는 이미지(860)를 컨텐츠의 배경화면으로 적용하여 사용자가 느끼는 컨텐츠의 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산출된 분위기에 대응되는 이미지(860)는 저장부(130)에 매칭되어 기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배경화면으로 적용되는 이미지(860)는 텍스트의 가독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명암이 조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컨텐츠에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추출한다(S910). 여기서, 컨텐츠는 외부로부터 입력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기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여기서, 시멘틱 네트워크 알고리즘에 적용 가능한 텍스트만을 추출할 수도 있다.
이 후, 시멘틱 네트워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출한 텍스트에 대응되는 감성 자극 요소를 판단한다(S920). 이 과정에서 시멘틱 네트워크 알고리즘이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이 후, 추출한 텍스트의 색상, 크기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컨텐츠를 재구성한다(S930). 여기서, 추출된 텍스트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구성하는 요소 중 추출된 텍스트 이외의 다른 요소를 변경하여 컨텐츠를 재구성할 수도 있다.
이 후, 재구성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S940).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가독성 및 인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이성이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컨텐츠에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시멘틱 네트워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출한 텍스트에 대응되는 감성 자극 요소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된 감성 자극 요소에 기초하여 추출한 텍스트의 색상, 크기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컨텐츠를 재구성하는 단계 및, 재구성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통신은 버스(119)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상술한 다양한 단계를 수행하는 CPU,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과 같은 프로세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제어부
120: 디스플레이부 130: 저장부

Claims (14)

  1. 디스플레이부; 및
    컨텐츠에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추출하고, 시멘틱 네트워크(semantic network)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복수의 감성 자극 요소 중에서 상기 추출한 텍스트에 대응되는 감성 자극 요소를 판단하고 상기 추출한 텍스트의 색상, 크기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판단된 감성 자극 요소에 대응되도록 변경하여 상기 컨텐츠를 재구성하고 상기 재구성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시멘틱 네트워크 중에서 상기 추출한 텍스트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시멘틱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시멘틱 네트워크 각각을 구성하는 복수의 감성 자극 요소 중에서 상기 추출한 텍스트와 가장 인접한 감성 자극 요소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에서 상기 시멘틱 네트워크 알고리즘에 적용가능한 텍스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틱 네트워크 알고리즘은,
    상기 추출된 텍스트와 단어와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시멘틱 네트워크, 상기 추출된 텍스트와 색상과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시멘틱 네트워크, 상기 추출된 텍스트와 크기와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시멘틱 네트워크, 상기 추출된 텍스트와 형태와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시멘틱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텍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요소 중 상기 추출된 텍스트 이외의 다른 요소를 변경하여 상기 컨텐츠를 재구성하고,
    상기 다른 요소는 배경화면, 이미지, 텍스트의 배치 및 색의 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틱 네트워크 내에서 상기 추출한 텍스트에 대응되는 노드와 상기 복수의 감성 자극 요소 각각에 대응되는 노드 사이의 거리는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텍스트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에 기초하여, 상기 시멘틱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복수의 노드 사이의 거리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에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시멘틱 네트워크(sementic network)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복수의 감성 자극 요소 중에서 상기 추출한 텍스트에 대응되는 감성 자극 요소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텍스트의 색상, 크기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판단된 감성 자극 요소에 대응되도록 변경하여 상기 컨텐츠를 재구성하는 단계;및
    상기 재구성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감성 자극 요소를 판단하는 단계는,
    복수의 시멘틱 네트워크 중에서 상기 추출한 텍스트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시멘틱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시멘틱 네트워크 각각을 구성하는 복수의 감성 자극 요소 중에서 상기 추출한 텍스트와 가장 인접한 감성 자극 요소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에서 상기 시멘틱 네트워크 알고리즘에 적용가능한 텍스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틱 네트워크 알고리즘은,
    상기 추출된 텍스트와 단어와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시멘틱 네트워크, 상기 추출된 텍스트와 색상과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시멘틱 네트워크, 상기 추출된 텍스트와 크기와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시멘틱 네트워크, 상기 추출된 텍스트와 형태와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시멘틱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재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텍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요소 중 상기 추출된 텍스트 이외의 다른 요소를 변경하여 상기 컨텐츠를 재구성하고,
    상기 다른 요소는 배경화면, 이미지, 텍스트의 배치 및 색의 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12. 삭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틱 네트워크 내에서 상기 추출한 텍스트에 대응되는 노드와 상기 복수의 감성 자극 요소 각각에 대응되는 노드 사이의 거리는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텍스트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에 기초하여, 상기 시멘틱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복수의 노드 사이의 거리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KR1020140097108A 2014-07-30 2014-07-3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28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108A KR101628930B1 (ko) 2014-07-30 2014-07-3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108A KR101628930B1 (ko) 2014-07-30 2014-07-3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929A KR20160014929A (ko) 2016-02-12
KR101628930B1 true KR101628930B1 (ko) 2016-06-09

Family

ID=55354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7108A KR101628930B1 (ko) 2014-07-30 2014-07-3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89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6838B1 (ko) * 2019-01-21 2021-01-25 박준희 작품 이미지와 텍스트를 매칭하여 도서를 제작하는 도서 제작 시스템
KR20230112092A (ko) 2023-07-08 2023-07-26 조진영 배터리보호시스템 및 실장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13872B (zh) * 2010-01-18 2016-03-23 日本鼎意株式会社 生成混合显示文字和图画的信息的系统
KR101593720B1 (ko) * 2011-12-27 2016-02-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시맨틱 네트워크 기반 콘텐츠 검색추천 장치 및 방법
KR20140078312A (ko) * 2012-12-17 2014-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텍스트 기반 감성 분석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929A (ko) 2016-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1194B2 (en) User terminal device for recommending response to a multimedia message based on age or gender, and method therefor
US1009749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KR102207208B1 (ko) 음악 정보 시각화 방법 및 장치
US9607421B2 (en) Displaying particle effect on screen of electronic device
US10222963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capable of performing an initial setting
US10786196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or skin care analysis
KR102285699B1 (ko)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이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US10628121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4508684A (zh) 使用照片来设置操作系统颜色
CN106610826B (zh) 在线场景应用的制作方法及装置
CN114237399B (zh) 触觉反馈方法、装置、介质、设备
JP2018536952A (ja) スマートデバイス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KR102034838B1 (ko)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과 서버
US20170090725A1 (en) Selecting at least one graphical user interface item
TWI554900B (zh) 提供資訊的裝置與方法
CN106909366A (zh) 一种微件显示的方法及装置
KR20160133271A (ko) 아트 폰트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
KR10162893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3596529A (zh) 一种终端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20150310093A1 (en) Method of providing contents of an electronic device
CN105518577A (zh) 用于创建手写内容的用户装置和方法
KR20150095523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색상 추출 방법
US20230015797A1 (en) Us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7526597A (zh) 用户界面编辑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4731466B (zh) 一种信息输入方法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