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8877B1 - 믹서기용 진공형 믹싱용기 - Google Patents

믹서기용 진공형 믹싱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8877B1
KR101628877B1 KR1020140039600A KR20140039600A KR101628877B1 KR 101628877 B1 KR101628877 B1 KR 101628877B1 KR 1020140039600 A KR1020140039600 A KR 1020140039600A KR 20140039600 A KR20140039600 A KR 20140039600A KR 101628877 B1 KR101628877 B1 KR 101628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heck valve
container
container body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9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5129A (ko
Inventor
조희성
Original Assignee
(주)포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에스텍 filed Critical (주)포에스텍
Priority to KR1020140039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877B1/ko
Publication of KR20150115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5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0Lid-lo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분을 갖는 각종 믹싱 대상물에 대한 믹싱이 진행되는 도중 해당 믹싱 작업이 진행되는 공간이 진공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품의 발생량을 최소화하고, 또한 믹싱 상태에서 별도의 장소로 옮겨 담지 않더라도 장시간 보관이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믹서기용 진공형 믹싱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면이 개방된 통체로 형성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을 형성하면서 분쇄날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믹서기 본체에 장착되어 분쇄날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받도록 이루어진 바닥부;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밀폐하도록 형성되며, 어느 한 부위에는 상기 용기본체 내외를 연통하는 연통공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연통공의 둘레로는 원통형의 돌출리브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기밀커버; 그리고, 상기 기밀커버의 돌출리브에 결합되며, 진공 흡입력의 제공시 상기 연통공이 개방된 상태를 이루도록 함과 더불어 진공 흡입력의 해제시에는 상기 연통공을 폐쇄한 상태로 유지하는 체크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용 진공형 믹싱용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믹서기용 진공형 믹싱용기{vacuum type mixing container of mixer}
본 발명은 믹서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분을 갖는 각종 믹싱 대상물에 대한 믹싱이 진행되는 도중 해당 믹싱 작업이 진행되는 공간이 진공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품의 발생량을 최소화하고, 또한 믹싱 상태에서 별도의 장소로 옮겨 담지 않더라도 장시간 보관이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믹서기용 진공형 믹싱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믹서기는 야채나 과일 등을 갈거나 이겨서 가로 또는 즙을 내는 기기이다.
이와 같은 믹서기는 구동모터가 내장되는 믹서기 본체와, 분쇄날이 내장되면서 상기 믹서기 본체에 얹혀 사용되는 믹싱용기로 크게 구분되며, 상기 믹싱용기를 상기 믹서기 본체에 얹은 상태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이 상기 분쇄날로 제공되어 상기 분쇄날의 회전에 의한 각종 믹싱 대상물의 믹싱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는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9558호, 등록특허 제10-1336733호 및 공개특허 제10-2008-090220호 등과 같이 다양하게 개시된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의 일반적인 믹서기의 믹싱용기는 단순히 믹싱 대상물이 수용되는 통체로만 형성됨에 따라 수분을 갖는 각종 믹싱 대상물에 대한 믹싱이 진행되는 도중 상기 믹싱 대상물이 믹싱용기 내의 공기와 혼합됨에 따른 다량의 거품이 발생되며, 이러한 거품에 의해 믹싱 대상물의 분쇄가 고르게 이루어지지 못하다는 단점에 의해 믹싱물의 취식시 목넘김이 좋지 못하다는 소비자의 불만이 야기되었다.
이와 함께, 종래의 일반적인 믹서기의 믹싱용기는 믹싱이 완료된 믹싱물을 오랜 기간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는 별도의 저장 용기에 옮겨 담은 후 보관하여야만 한다는 불편함 역시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분을 갖는 각종 믹싱 대상물에 대한 믹싱이 진행되는 도중 해당 믹싱 작업이 진행되는 공간이 진공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품의 발생량을 최소화하고, 또한 믹싱 상태에서 별도의 장소로 옮겨 담지 않더라도 장시간 보관이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믹서기용 진공형 믹싱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믹서기용 진공형 믹싱용기에 따르면 상면이 개방된 통체로 형성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을 형성하면서 분쇄날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믹서기 본체에 장착되어 분쇄날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받도록 이루어진 바닥부;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밀폐하도록 형성되며, 어느 한 부위에는 상기 용기본체 내외를 연통하는 연통공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연통공의 둘레로는 원통형의 돌출리브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기밀커버; 그리고, 상기 기밀커버의 돌출리브에 결합되며, 진공 흡입력의 제공시 상기 연통공이 개방된 상태를 이루도록 함과 더불어 진공 흡입력의 해제시에는 상기 연통공을 폐쇄한 상태로 유지하는 체크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체크밸브 어셈블리는 하단이 상기 기밀커버의 돌출리브에 결합되면서 휨 변형 가능한 연질의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가이드패킹과, 상기 가이드패킹의 상단에 결합되면서 진공력에 의해 휨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강성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기밀커버의 연통공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바닥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밸브캡과, 상기 밸브캡의 관통공에 설치되며, 진공 흡입력의 비제공시에는 용기본체 내부로부터 제공되는 진공압에 의해 상기 관통공을 폐쇄함과 더불어 진공 흡입력의 제공시에는 상승 이동되면서 상기 관통공을 개방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패킹은 상기 기밀커버의 돌출리브를 감싸면서 결합되는 리브결합단 및 상기 리브결합단의 외주면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수용결합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밸브캡은 상기 가이드패킹을 이루는 수용결합단 내에 압입 고정되면서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바닥을 갖는 압입단과, 상기 압입단의 상부로 연장되면서 몸체단 및 상기 몸체단의 상단 둘레면으로부터 확장 형성되면서 상기 가이드패킹의 수용결합단 상면을 감싸는 확장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밸브캡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후크형 결합단 및 상기 후크형 결합단의 상단에 구비되어 진공 흡입력의 비제공시에는 상기 관통공을 가로막도록 위치됨과 더불어 진공 흡입력의 제공시에는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상기 관통공이 개방되도록 위치되는 폐쇄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를 이루는 폐쇄단의 상면 양측에는 상기 폐쇄단의 직경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중앙측 부위로 갈수록 서로 간의 대향 방향을 향해 인접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폐쇄단의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보강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밸브캡을 이루는 바닥의 상면 중 관통공의 둘레를 따라 상기 체크밸브를 이루는 폐쇄단의 저면이 밀착되는 밀착리브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의 하단에는 상기 용기본체 내에 믹싱물을 보관하고자 할 경우 상기 바닥부를 밀폐하는 보조커버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믹서기용 진공형 믹싱용기는 내부 공간에 대한 진공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수분을 갖는 믹싱 대상물에 대한 분쇄시 거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고른 분쇄도를 이룰 수 있게 되며, 이로써 해당 믹싱물을 취식시 목넘김이 수월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믹서기용 진공형 믹싱용기는 체크밸브 어셈블리에 대한 구조적 개선을 추가로 수행함으로써, 용기본체 내의 진공압에 의해 기밀커버가 휨 변형된다 하더라도 체크밸브 및 이 체크밸브에 의해 폐쇄되는 밸브캡의 관통공은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체크밸브에 의한 관통공의 밀폐가 항상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믹싱용기 내부의 원치않은 진공 해제가 방지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믹서기용 진공형 믹싱용기는 전술된 체크밸브 어셈블리 이외에도 상부의 기밀커버와 하부의 보조커버에 의해 용기본체의 내부가 기밀 상태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믹싱물의 장시간 보관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된 효과를 추가로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믹서기용 진공형 믹싱용기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믹서기용 진공형 믹싱용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믹서기용 진공형 믹싱용기를 이루는 체크밸브 어셈블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분해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믹서기용 진공형 믹싱용기를 이루는 체크밸브 어셈블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믹서기용 진공형 믹싱용기를 이루는 체크밸브 어셈블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믹서기용 진공형 믹싱용기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믹서기용 진공형 믹싱용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믹서기용 진공형 믹싱용기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믹서기용 진공형 믹싱용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믹서기용 진공형 믹싱용기(이하, “믹싱용기”라 함)(10)는 용기본체(100)와 기밀커버(200) 및 체크밸브 어셈블리(300)를 포함하여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체크밸브 어셈블리(300)는 상기 기밀커버(200)의 연통공이 형성된 부위에 장착되면서 진공흡입력의 제공시에만 상기 연통공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수분을 갖는 믹싱 대상물의 분쇄 과정에서 공기가 섞여 다량의 거품이 발생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믹싱 대상물의 균일한 분쇄가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믹싱용기(10)의 각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용기본체(100)는 믹싱 대상물(또는, 믹싱물)이 수용되면서 분쇄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부위로써, 상하로 개방된 통체로 형성된다.
상기 용기본체(100)의 둘레면에는 사용자의 파지 영역을 제공하는 손잡이(110)가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바닥부(500)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방된 하부를 폐쇄하면서 바닥을 형성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바닥부(500)는 상단은 상기 용기본체(100)의 하단에 결합 고정됨과 더불어 하단은 믹서기 본체(20)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도록 형성된 원통형의 하우징(510)과, 상기 하우징(510)의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구획플레이트(520)와, 상기 구획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분쇄날(5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믹서기 본체(20) 내에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21)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모터(21)의 구동축(22)과 상기 분쇄날(530)을 이루는 축(531)에는 서로 대응되는 구조의 동력전달부재(540,23)가 각각 장착되어 서로 간의 맞물림에 의한 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바닥부(500)를 믹서기 본체(20)에 장착할 경우 상기 믹서기 본체(20)에 설치된 구동모터(21)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축(22)이 상기 동력전달부재(540)와 결합되어 그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바닥부(500)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저부에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구성될 수도 있지만, 이의 경우 상기 바닥부(500)에 구비되는 분쇄날(530)의 세척이나 유지보수가 어려울 수 있음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시된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500)를 상기 용기본체(100)의 저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닥부(500)의 하단에 상기 바닥부(500)의 저면을 밀폐하는 보조커버(도시는 생략됨)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추가로 제시한다. 이때 상기 보조커버는 상기 바닥부(500)의 하단을 덮는 덮개형 구조로 형성되며, 기밀 유지를 위해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혹은, 그 내주면에 씨일부재(도시는 생략됨)가 구비되어 상기 바닥부(500)와의 결합시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한 보조커버의 추가적 제공을 통해 상기 용기본체(100) 내에 믹싱물을 보관한 상태로 유지하고자 할 경우 상기 보조커버 및 후술될 기밀커버(200)의 결합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100) 내부가 진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기밀커버(200)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방된 상면을 기밀하게 밀폐하는 부위이다.
상기한 기밀커버(200)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단 내부 둘레면 일부를 감싸는 둘레벽(210)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용기본체(100) 내외를 연통하는 연통공(22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기밀커버(200)의 상면 중 상기 연통공(220)이 형성된 부위의 주변 부위는 상기 기밀커버(200)의 여타 부위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230)가 구비되며, 이러한 오목부(230)로 인해 다양한 구조의 진공기(30)가 동시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함께, 상기 기밀커버(200)의 오목부(230) 중 상기 연통공(220)의 둘레에는 원통형의 돌출리브(24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돌출리브(240)는 후술될 체크밸브 어셈블리(300)가 설치되는 구조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통공(220)과는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이격되게 형성됨을 그 예로 한다. 물론, 상기 돌출리브(24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연통공(220)에 접하여 상향 돌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체크밸브 어셈블리(300)는 상기 기밀커버(200)의 돌출리브(240)에 결합되면서 진공 흡입력의 제공시 상기 기밀커버(200)에 형성된 연통공(220)이 개방된 상태를 이루도록 함과 더불어 진공 흡입력의 해제시에는 상기 연통공(220)이 폐쇄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체크밸브 어셈블리(300)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 어셈블리(300)는 첨부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패킹(310)과, 밸브캡(320)과, 체크밸브(33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해 상기 용기본체(100) 내의 진공화에 의한 기밀커버(200)의 휨 변형으로 체크밸브(330)가 원치 않게 정위치를 이탈하는 경우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가이드패킹(310)은 상기 기밀커버(200)의 돌출리브(240)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구조물로써, 상기 기밀커버(200)의 돌출리브(240)를 감싸면서 결합되는 리브결합단(311) 및 상기 리브결합단(311)의 외주면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수용결합단(312)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리브결합단(311)은 저면 둘레를 따라 상기 돌출리브(240)가 압입 결합되도록 압입홈(313)이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결합단(312)은 상기 리브결합단(311)의 외측 둘레로부터 상향 돌출되면서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링 구조로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가이드패킹(310)이 링 형상으로 형성된 휨 변형 가능한 연질의 고무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는 상기 가이드패킹(310)이 기밀커버(200)의 변형과 함께 변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가이드패킹(310)은 기밀커버(200)에 형성된 돌출리브(240)의 내외벽면 및 상면을 감싸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용기본체(100) 내부의 수분 및 공기 등의 유체가 상기 가이드패킹(310)과 상기 돌출리브(240) 간의 결합 부위로 누수됨을 방지하면서도 상기 기밀커버(200)의 휨 변형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상기 가이드패킹(310)이 돌출리브(240)로부터 분리되거나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밸브캡(320)은 후술될 체크밸브(330)가 설치되는 부위로 제공되는 구성으로써, 상기 가이드패킹(310)의 휨변형이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상기 체크밸브(330)에 의한 밀폐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한 밸브캡(320)은 바닥(321)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가이드패킹(310)의 상단 내주면에 압입 고정되는 몸체단(322)과, 상기 몸체단(322)의 둘레면으로부터 확장 형성된 확장단(3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단(322)을 이루는 바닥(321)의 내측 중앙 부위에는 기밀커버(200)의 연통공(220)과 연통되는 관통공(324)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바닥(321)의 상면 중 상기 관통공(324)의 둘레를 따라 후술될 체크밸브(330)을 이루는 폐쇄단(332)의 저면이 밀착되는 밀착리브(325)가 돌출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확장단(323)의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패킹(310)을 이루는 수용결합단(31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링 형상의 수용리브(326)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가이드패킹(310)을 이루는 수용결합단(312)의 상단은 상기 수용리브(326)의 내주면과 확장단(323)의 저면 및 몸체단(322)의 둘레면 사이에 압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캡(320)은 진공력에 의해 휨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강성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기밀커버(200)의 휨 변형시에도 상기 가이드패킹(310)만 변형될 뿐 상기 밸브캡(320)의 변형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을 제시한다.
그리고, 상기 체크밸브(330)는 상기 밸브캡(320)의 몸체단(322)에 형성된 관통공(324)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구성으로써, 상기 밸브캡(320)의 관통공(324)에 설치되어 진공 흡입력의 비제공시에는 용기본체(10) 내부로부터 제공되는 진공압에 의해 상기 관통공(324)을 폐쇄함과 더불어 진공 흡입력의 제공시에는 상기 관통공(324)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상기 관통공(324)을 개방하도록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체크밸브(330)는 상기 밸브캡(320)에 형성된 관통공(324)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후크형 결합단(331)과, 상기 후크형 결합단(331)의 상단에 확장 형성되면서 상기 관통공(324)의 주위를 따라 형성된 밀착리브(325)의 상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관통공(324)을 가로막도록 평판형으로 형성된 폐쇄단(3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체크밸브(330)는 진공 흡입력의 비제공시 용기본체(100) 내로부터 제공되는 진공압에 의해 상기 폐쇄단(332)이 상기 관통공(324)을 가로막으면서 폐쇄하고, 진공 흡입력의 제공시에는 상기 폐쇄단(332)이 상기 진공 흡입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되면서 상기 관통공(324)이 개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후크형 결합단(331)의 외주면은 저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축소되는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관통공(324)에의 관통 설치는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기 관통공(324)의 관통시에는 밸브캡(320)을 이루는 몸체단(322)의 바닥 저면에 걸려 상기 체크밸브(330)의 과도한 상승 이동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크밸브(330)를 이루는 폐쇄단(332)의 상면에는 강도보강부(333)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상기 강도보강부(333)는 상기 폐쇄단(332)의 휨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폐쇄단(332)의 강도를 보강하는 구성으로써, 상기 체크밸브(330)가 밸브캡(320)의 관통공(324)을 가로막은 상태에서 용기본체(100) 내의 진공압이 제공된다 하더라도 상기 강도보강부(333)에 의해 상기 폐쇄단(332)의 휨 변형이 방지됨에 따라 상기 폐쇄단(332)의 원치않는 휨 변형에 의한 밀착리브(325)와의 틈새 발생이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강도보강부(333)는 상기 폐쇄단(332)의 상면 양측에 상기 폐쇄단(332)의 직경 방향으로 가로지르면서 각각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중앙측 부위로 갈수록 서로 간의 대향 방향을 향해 인접되는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강도보강부(333)의 형상적인 특징에 의해 상기 폐쇄단(332)의 둘레 부위에 대한 휨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믹싱용기(10)의 사용 과정 및 이 과정시의 체크밸브 어셈블리(330)가 수행하는 작용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용기본체(100)의 상면에 결합된 기밀커버(200)를 분리하여 상기 개방된 용기본체(100)의 상면을 통해 믹싱 대상물을 투입한다. 이때 상기 용기본체(100)의 저부는 바닥부(500)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방된 저면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상기 믹싱 대상물의 투입이 완료되면 상기 기밀커버(200)로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방된 상면을 다시금 폐쇄한다.
이때에는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밸브(330)가 밸브캡(320)의 관통공(324)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로 유지되며, 가이드패킹(310)은 상기 기밀커버(200)의 연통공(220)을 감싸도록 고정 설치됨과 더불어 그 내주면에 상기 밸브캡(320)을 이루는 몸체단(322)의 하단측 부위가 압입 고정되면서 상기 연통공(322)이 외부 환경과 연통됨을 차단하는 상태로 유지된다.
특히, 상기 용기본체(100) 내부는 용기본체(100) 외부와 동일한 대기압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체크밸브(330)는 단순히 자중에 의해 밸브캡(320)의 관통공(324)을 가로막는 상태로만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의 상태에서 진공기(30)를 이용하여 용기본체(100) 내에 존재하는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킬 경우 상기 진공기(30)로부터의 제공되는 진공 흡입력에 의해 밸브캡(320) 내의 체크밸브(330)가 상승 이동된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다.
여기서, 상기 밸브캡(320) 내의 공간은 상기 진공기(30)의 선단에 의해 외부 환경으로부터 폐쇄된 상태임을 고려할 때 상기 진공기(30)로부터 제공되는 진공 흡입력에 의해 상기 체크밸브(330)는 상기 진공 흡입력이 제공되는 진공기(30)를 향해 상승 이동하면서 밸브캡(320)의 관통공(324)을 개방하게 된다. 물론, 상기 진공 흡입력에 의해 상기 체크밸브(330)의 상승 이동은 이루어지지 않고 폐쇄단(332)의 둘레 부위만 상부로 휘면서 관통공(324)을 개방할 우려도 있으나, 상기 폐쇄단(332)의 상면에는 강도보강부(333)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폐쇄단(332)의 둘레 부위만 상부로 휘는 문제점이 방지된다.
이와 함께, 상기한 체크밸브(330)의 상승 이동 도중 상기 체크밸브(330)를 이루는 후크형 결합단(331)이 밸브캡(320)을 이루는 바닥(321)의 저면에 걸릴 경우에는 더 이상 상기 체크밸브(330)의 상승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 체크밸브(330)의 과도한 상승 이동에 의한 밸브캡(320)으로부터의 탈거됨은 방지된다.
그리고, 전술된 바와 같은 관통공(324)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되면 용기본체(100) 내에 존재하는 공기는 기밀커버(200)의 연통공(220)을 통과하여 상기 관통공(324)을 통해 밸브캡(320) 내의 공간으로 유동된 후 상기 진공기(30) 내로 유동되며, 이로써 상기 용기본체(100) 내부는 점진적으로 진공화된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은 용기본체(100) 내부에 대한 진공화가 진행되는 도중에는 상기 용기본체(100) 내부의 진공 압력에 의해 기밀커버(200)의 휨 변형이 발생되며,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기밀커버(200)의 휨 변형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체크밸브(330)가 설치된 부위 즉, 밸브캡(320)에 대한 변형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는 상기한 기밀커버(200)의 휨 변형이 발생될 경우 상기 기밀커버(200)에 결합 고정된 가이드패킹(310)만이 휨 변형될 뿐 상기 가이드패킹(310)에 설치된 밸브캡(320)의 변형은 발생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의 과정에 의해 용기본체(100) 내부에 대한 진공화가 완료되어 진공기(30)의 동작이 중단될 경우 체크밸브(330)의 폐쇄단(332)은 용기본체(100) 내의 진공압에 의한 영향을 제공받아 밸브캡(320)을 이루는 몸체단(322)의 관통공(324)을 가로막음으로써 상기 관통공(324)을 통한 용기본체(100) 내부로의 외부 공기 유입이 방지된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다.
특히, 상기 체크밸브(330)의 폐쇄단(332) 상면에는 강도보강부(333)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상기 폐쇄단(332)의 둘레 부위가 휘거나 변형되는 등의 문제점은 원천적으로 방지되며, 이로 인해 상기 폐쇄단(332)은 항상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관통공(324)을 밀폐함에 따라 용기본체(100) 내부는 진공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전술된 과정을 통해 분쇄 대상물이 보관된 상태로 진공을 이루도록 한 믹싱용기(10)를 믹서기 본체(20)에 안착시킨다.
이의 경우, 상기 믹싱용기(10)를 이루는 바닥부(500)를 이루는 동력전달부재(540)는 상기 믹서기 본체(20)의 구동축(22)에 결합된 동력전달부재(23)와 맞물리면서 서로 간이 동력 전달 가능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믹서기 본체(20)의 구동모터(21)로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구동모터(21)가 구동되면서 상기 구동축(22)을 회전시키며, 이로 인해 상기 구동축(22)에 결합된 동력전달부재(23)가 회전되면서 분쇄날(530)의 축(531)에 결합된 동력전달부재(540)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로써 상기 분쇄날(530)도 함께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분쇄날(5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100) 내에 존재하는 믹싱 대상물의 분쇄가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와 같은 믹싱 대상물의 분쇄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는 상기 용기본체(100) 내에 공기가 존재하지 않음을 고려할 때 거품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더욱이 상기 믹싱 대상물에 대한 분쇄도가 균일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된 과정을 통해 믹싱 대상물에 대한 분쇄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믹싱용기(10)를 믹서기 본체(20)로부터 분리한 후 기밀커버(200)를 개방하여 그 내부에 분쇄된 상태의 믹싱물을 별도의 용기(예컨대, 컵 등)에 옮겨 담아 취식하면 된다.
만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믹싱물을 별도의 용기에 옮겨 담지 않고 보관하고자 할 경우라면 상기 믹싱용기(10)를 믹서기 본체(20)로부터 분리한 후 보조커버로 상기 믹싱용기(10)를 이루는 바닥부(500)의 저면을 밀폐하여 보관하면 된다.
즉, 상기 믹싱용기(10)를 이루는 용기본체(100)의 내부는 믹싱 대상물에 대한 분쇄를 수행하기 전에 진공화시킨 상태임을 고려할 때 상기 용기본체(100)의 저면을 추가로 기밀하게 밀폐한다면 상기 믹싱용기(10)를 진공 보관용기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의 상태에서는 비록 용기본체(010) 내부에 대한 추가적인 진공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하더라도 기밀커버(200) 및 이 기밀커버(200)에 직접적으로 결합된 가이드패킹(310)은 여전히 휨 변형된 상태로 유지됨과 더불어 체크밸브 어셈블리(300)의 체크밸브(330)는 밸브캡(320)의 관통공(324)을 차단한 상태로 유지된다.
결국, 본 발명의 믹싱용기(10)는 내부 공간에 대한 진공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수분을 갖는 믹싱 대상물에 대한 분쇄시 거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고른 분쇄도를 이룰 수 있게 되며, 이로써 해당 믹싱물을 취식시 목넘김이 수월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믹싱용기(100)는 체크밸브 어셈블리(300)에 대한 구조적 개선을 추가로 수행함으로써, 용기본체(100) 내의 진공압에 의해 기밀커버(200)가 휨 변형된다 하더라도 체크밸브(330) 및 이 체크밸브(330)에 의해 폐쇄되는 밸브캡(320)의 관통공(324)은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체크밸브(330)에 의한 관통공(324)의 밀폐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 믹싱용기(10)의 진공 보관은 장시간 동안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믹싱용기(10)는 상부의 기밀커버(200)와 하부의 보조커버에 의해 용기본체(100)의 내부가 기밀 상태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믹싱물의 장시간 보관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 9는 본 발명의 믹싱용기(10)에 대한 다른 형상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본 발명의 믹싱용기(10)는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형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믹싱용기(10)의 용기본체(100) 및 기밀커버(200)에 대한 구조가 첨부된 도 1 및 도 2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믹싱용기 20. 믹서기 본체
21. 구동모터 22. 구동축
23. 동력전달부재 30. 진공기
100. 용기본체 110. 손잡이
200. 기밀커버 210. 둘레벽
220. 연통공 230. 오목부
240. 돌출리브 300. 체크밸브 어셈블리
310. 가이드패킹 311. 리브결합단
312. 수용결합단 313. 압입홈
320. 밸브캡 321. 바닥
322. 몸체단 323. 확장단
324. 관통공 325. 밀착리브
326. 수용리브 330. 체크밸브
331. 후크형 결합단 332. 폐쇄단
333. 강도보강부 500. 바닥부
510. 하우징 520. 구획플레이트
530. 분쇄날 531. 축
540. 동력전달부재

Claims (5)

  1. 상하로 개방되게 형성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저부에 결합되어 바닥을 형성하면서 분쇄날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믹서기 본체에 장착되어 분쇄날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받도록 이루어진 바닥부;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밀폐하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저면 둘레에는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측 내부 둘레면을 감싸는 둘레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용기본체 내외를 연통하는 연통공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연통공의 둘레로는 원통형의 돌출리브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기밀커버;
    상기 기밀커버의 돌출리브에 결합되며, 진공 흡입력의 제공시 상기 연통공이 개방된 상태를 이루도록 함과 더불어 진공 흡입력의 해제시에는 상기 연통공을 폐쇄한 상태로 유지하는 체크밸브 어셈블리;
    상기 바닥부의 하단에는 상기 용기본체 내에 믹싱물을 보관하고자 할 경우 상기 바닥부의 저면을 밀폐하는 보조커버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용 진공형 믹싱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 어셈블리는
    하단이 상기 기밀커버의 돌출리브에 결합되면서 휨 변형 가능한 연질의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가이드패킹과,
    상기 가이드패킹의 상단에 결합되면서 진공력에 의해 휨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강성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기밀커버의 연통공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바닥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밸브캡과,
    상기 밸브캡의 관통공에 설치되며, 진공 흡입력의 비제공시에는 용기본체 내부로부터 제공되는 진공압에 의해 상기 관통공을 폐쇄함과 더불어 진공 흡입력의 제공시에는 상승 이동되면서 상기 관통공을 개방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용 진공형 믹싱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패킹은 상기 기밀커버의 돌출리브를 감싸면서 결합되는 리브결합단 및 상기 리브결합단의 외주면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수용결합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밸브캡은 상기 가이드패킹을 이루는 수용결합단 내에 압입 고정되면서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바닥을 갖는 압입단과, 상기 압입단의 상부로 연장되면서 몸체단 및 상기 몸체단의 상단 둘레면으로부터 확장 형성되면서 상기 가이드패킹의 수용결합단 상면을 감싸는 확장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밸브캡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후크형 결합단 및 상기 후크형 결합단의 상단에 구비되어 진공 흡입력의 비제공시에는 상기 관통공을 가로막도록 위치됨과 더불어 진공 흡입력의 제공시에는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상기 관통공이 개방되도록 위치되는 폐쇄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용 진공형 믹싱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를 이루는 폐쇄단의 상면 양측에는 상기 폐쇄단의 직경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중앙측 부위로 갈수록 서로 간의 대향 방향을 향해 인접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폐쇄단의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보강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밸브캡을 이루는 바닥의 상면 중 관통공의 둘레를 따라 상기 체크밸브를 이루는 폐쇄단의 저면이 밀착되는 밀착리브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용 진공형 믹싱용기.
  5. 삭제
KR1020140039600A 2014-04-02 2014-04-02 믹서기용 진공형 믹싱용기 KR101628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600A KR101628877B1 (ko) 2014-04-02 2014-04-02 믹서기용 진공형 믹싱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600A KR101628877B1 (ko) 2014-04-02 2014-04-02 믹서기용 진공형 믹싱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129A KR20150115129A (ko) 2015-10-14
KR101628877B1 true KR101628877B1 (ko) 2016-06-10

Family

ID=54357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9600A KR101628877B1 (ko) 2014-04-02 2014-04-02 믹서기용 진공형 믹싱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88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0478A (ko) * 2016-10-12 2018-04-20 웬 칭 리 믹서기 컵 어셈블리 및 컵 뚜껑
KR20190057499A (ko) 2017-11-20 2019-05-29 송정식 편심된 회전력으로 분쇄가능한 믹서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03150B (zh) * 2016-04-22 2023-10-13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料理机
EP3621501B1 (en) * 2017-05-09 2024-05-01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Method for preparing a cold beverag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229Y1 (ko) * 2001-08-23 2001-12-01 고려알파라인(주) 저장공간의 가변이 가능한 진공보존용기
KR200269004Y1 (ko) * 2001-08-23 2002-03-18 고려알파라인(주) 진공보존용기의 공기유출입밸브
JP2008206907A (ja) * 2007-02-28 2008-09-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動調理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0847A (en) * 1998-06-16 1999-10-26 Saltzman; David L. Baby formula prepar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229Y1 (ko) * 2001-08-23 2001-12-01 고려알파라인(주) 저장공간의 가변이 가능한 진공보존용기
KR200269004Y1 (ko) * 2001-08-23 2002-03-18 고려알파라인(주) 진공보존용기의 공기유출입밸브
JP2008206907A (ja) * 2007-02-28 2008-09-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動調理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0478A (ko) * 2016-10-12 2018-04-20 웬 칭 리 믹서기 컵 어셈블리 및 컵 뚜껑
KR102007209B1 (ko) 2016-10-12 2019-08-05 웬 칭 리 믹서기 컵 어셈블리 및 컵 뚜껑
KR20190057499A (ko) 2017-11-20 2019-05-29 송정식 편심된 회전력으로 분쇄가능한 믹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129A (ko) 2015-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8877B1 (ko) 믹서기용 진공형 믹싱용기
CN208491863U (zh) 搅拌机
KR101821786B1 (ko) 진공 믹서기
US7048136B2 (en) Canister lid with improved evacuation and vent assembly
CN105682517B (zh) 真空搅切机及其操作控制方法
JP4286153B2 (ja) 真空ホース用容器蓋
EP1780143A2 (en) Container lid of vacuum valve operation type
US7338001B2 (en) Household food preparation appliance for preparing liquid products
EP1900649B1 (en) Airtight container with a vacuum valve
CN108025841B (zh) 密封容器盖子
KR101789971B1 (ko) 밀폐 타입 화장품 용기
EP3081510A1 (en) Bottle vacuum sealing device
WO2018133368A1 (en) Cooking appliance
EP1701895A1 (en) Cover of a container, especially of a vacuum receptacle for storage of foodstuffs
CN108910307A (zh) 一种按压式保温保鲜真空饭盒
CN110997150A (zh) 真空破壁机
KR101836074B1 (ko) 블렌더용 보조용기의 진공장치
KR20190001281U (ko) 식품 블렌더 및 그의 블레이드 베이스
KR200482022Y1 (ko) 진공 믹서기용 보조용기
KR200473786Y1 (ko) 화장용 퍼프용기
CN209595550U (zh) 食材存储囊体及烹饪器具
KR102275784B1 (ko) 진공블렌더
EP2301399B1 (en) Blade assembly for food processor
KR101511661B1 (ko) 진공용기용 체크밸브 어셈블리
KR101001750B1 (ko) 진공패드가 부착된 진공팩과 진공흡입기를 갖는진공보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