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8257B1 - 토사량 조절이 가능한 추진관 - Google Patents

토사량 조절이 가능한 추진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8257B1
KR101628257B1 KR1020150144625A KR20150144625A KR101628257B1 KR 101628257 B1 KR101628257 B1 KR 101628257B1 KR 1020150144625 A KR1020150144625 A KR 1020150144625A KR 20150144625 A KR20150144625 A KR 20150144625A KR 101628257 B1 KR101628257 B1 KR 101628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pipe
soil
injection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4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성기
황선영
Original Assignee
석정건설(주)
주식회사 에스티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정건설(주), 주식회사 에스티알 filed Critical 석정건설(주)
Priority to KR1020150144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2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6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3/00Large underground chamber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01Improving soil or rock, e.g. by freezing; Inj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2Devices for removing or hauling away excavated material or spoil; Working or loading platforms
    • E21D9/122Working or loading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어 추진되는 강관; 및 상기 강관 내부에 구비되어 강관으로 유입되는 토사가 적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토사량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토사량조절부는 상기 공간을 구획하는 지지막이 구비된 적재통;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토사량 조절이 가능한 추진관{PROPULSION PIPE ADJUSTABLE EARTH AND SAND QUANTITY}
본 발명은 유압추진공법을 이용하여 지하에서 강관을 추진함으로써, 토사량을 조절하며 추진할 수 있는 추진관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강관 추진시 추진관 내부로 유입되는 토사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 토사가 위로 솟거나 또는 가라앉아 함몰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수분이 많이 함유된 지반에서의 굴착시 경화제를 토사에 주입함으로써, 주변 토사를 안정시키며 강관을 추진시킬 수 있는 토사량 조절이 가능한 추진관에 관한 것이다.
추진관이란 전력구, 통신구, 가스, 상하수도 등의 관로를 신설 및 확충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기존의 개착식 공법으로 인한 소음, 분진, 지반침하 및 교통장애 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유압추진공법을 통해 선단측에서 추진관을 압입 후 토사를 외부로 반출시키는 공법이 사용된다.
이러한 유압추진공법은 강관압입공법과 동일한 의미로, 후방의 반력벽에 지지된 유압잭(jack)을 이용하여 추진관을 압입 후, 추진관 내부에서 인력 및 장비로 수평굴착하여 토사를 외부로 반출시킴으로써, 소구경 터널을 형성하게 된다.
이는 굴착 작업시 유압 Jack에 의한 압입 및 추진하는 방식이므로 붕괴 위험이 적어 안전도 면에서 유리하며, 시공중 각종 건설 공해(교통 장애, 소음, 분진 및 진동 등)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모든 토질에 적용 가능하여 시공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나아가, 굴착시 지중의 토사가 강관 내부로 유입되어 적재되고, 이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굴착된 부분의 토사를 위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관을 추진시켜 굴착하는 공법을 이용한 추진관 중 하나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08490호에 경사 차단판이 설치된 추진관이 개시되었다.
도 1은 종래 경사 차단판이 설치된 추진관의 공법 설명도로, 그 구성은 지중구조물 시공용 추진관(100)에 있어서, 추진관(100) 내부 상단면에 회동축(121)을 통하여 차단판(110)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추진관(100)의 추진시 차단판(110)은 수평상태로 고정되며; 고정상태가 해제되면 차단판(110)이 하방(下方)으로 회동된 후 경사진 상태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경사 차단판이 설치된 추진관은 선두 추진관(100)의 선단부에 경사 차단판(110)이 설치됨으로써, 토질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토사 유입 및 상부 지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관추진 공법에 의한 지중구조물의 시공시 추진관(100) 선단부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으며, 공사구간 상부 지반의 안정성 또한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추진관 추진시 관 내에 유입되는 토사량보다 관의 추진에 따른 전진이 더 이루어지게 되면, 관 선단측 상단인 지상부위에 융기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이 5m 추진되어 전진되었는데, 이때 관 내부에 수용된 토사량이 4m 추진되어 전진된 양만큼만 유입되어 적재되는 경우, 약 1m분의 토사가 상단으로 밀려나 지상부위에 융기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반대로, 추진관 추진시 관 내에 유입되는 토사량보다 관의 추진에 따른 전진이 더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면, 관 선단측 상단인 지상부위에 함몰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이 5m 추진되어 전진되었는데, 이때 관 내부에 수용된 토사량이 6m 추진되어 전진된 양만큼 유입되어 적재되는 경우, 약 1m분의 토사가 관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지상부위에 함몰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나아가, 서술한 바와 같이, 관의 추진량보다 관 내에 유입되는 토사량이 많거나 또는 적은 경우 추진관 외부에도 불규칙적인 공극이 발생되어 안전사고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추진관 추진시 관 내에 유입되는 토사량을 조절하여 추진관 외부의 불규칙적인 공극 발생을 최소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 경사 차단판이 설치된 추진관은 추진관(100) 선단부에 경사 차단판(110)이 설치되어, 토사가 급격히 유입되거나 상부 지반 붕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은 긍정적이나, 추진관(100) 내부로 유입되는 토사량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추진관(100) 선단부에 구비된 차단판(110)에 의해 추진관(100) 내부로 유입되는 토사량을 줄이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나, 유입수가 많은 경우, 효과가 미비하여 토사량 조절이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으며, 이에, 함몰 현상을 최소화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경사 차단판이 설치된 추진관은 추진관(100) 내부로 유입되는 토사량을 늘릴 수 없어, 융기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08490호(2007.11.12.)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강관 추진시 추진관 내부로 유입되는 토사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 토사가 위로 솟아 발생될 수 있는 융기 현상 또는 가라앉아 발생될 수 있는 함몰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 발생을 최소화하고, 수분이 많이 함유된 지반에서의 굴착시 경화제를 토사에 주입하는 동시에 관 추진이 이루어짐으로써, 주변 토사를 안정시키며 강관을 추진시킬 수 있는 토사량 조절이 가능한 추진관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토사량 조절이 가능한 추진관은 지중에 매설되어 추진되는 강관; 및 상기 강관 내부에 구비되어 강관으로 유입되는 토사가 적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토사량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토사량조절부는 상기 공간을 구획하는 지지막이 구비된 적재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량 조절이 가능한 추진관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강관 추진시 내부로 유입되는 토사가 적재되는 토사량조절부가 구비됨으로써, 토사가 적재되는 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외부 토사가 위로 솟아 발생될 수 있는 융기 현상 또는 가라앉아 발생될 수 있는 함몰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안전사고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분이 많이 함유된 지반에서의 굴착시 관 추진과 동시에 경화제를 주입함으로써, 주변 토사를 안정시키며 불규칙적인 공극 발생을 최소화하여 안전사고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경사 차단판이 설치된 추진관의 공법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토사량 조절이 가능한 추진관의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토사량 조절이 가능한 추진관에서 강관의 선단측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A-A`의 정면측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 B-B`의 정면측 단면도로, 후단주입구를 나타낸 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강관 추진시 내부로 유입되는 토사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 토사가 위로 솟거나 또는 가라앉아 함몰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수분이 많이 함유된 지반에서의 굴착시 경화제를 토사에 주입함으로써, 주변 토사를 안정시키며 강관을 추진시킬 수 있는 토사량 조절이 가능한 추진관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토사량 조절이 가능한 추진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토사량 조절이 가능한 추진관의 측면측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토사량 조절이 가능한 추진관은 강관(100) 추진시 강관(100) 내부로 유입되는 토사량을 조절하여, 외부공극을 최소화하는 추진관에 관한 것으로, 강관(100), 토사량조절부(200) 및 주입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강관(1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시설 작업구내에 투입되어 추진됨으로써, 강관(100)의 선단측으로 굴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존의 개착식 공법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 분진, 지반침하 및 교통장애 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강관(100)은 그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 형태로 이루어지며, 강관(100) 내부에 토사가 유입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때, 강관(100)이 추진하는 방향, 즉 강관(100)의 선단측에는 선단외부보강부재(110) 및 선단내부보강부재(120)가 구비될 수 있다.
선단외부보강부재(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100) 외주면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선단외부보강부재(110)는 강관(100) 추진시 강관(100)의 선단측 부분이 마모되거나 또는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강관(100)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선단내부보강부재(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100) 내부면을 따라 구비되되, 강관(100)의 선단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커지는 테이퍼가 형성된다.
설계조건에 따라, 선단내부보강부재(120)는 강관(100)의 내주면, 즉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강관(100)의 선단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커지는 형태의 선단내부보강부재(120)가 다수 개의 블럭 형태로 구비되되, 강관(100)의 선단측 내주면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에 따라, 선단내부보강부재(120)에 테이퍼가 형성됨으로써, 강관(100) 추진시 마찰을 최소화하여 원활하게 추진되도록 하며, 강관(100) 선단측 토사가 상기 테이퍼의 경사면을 따라 강관(100) 내부로 자연스럽게 유입되도록 한다.
또한 다수 개 구비되는 선단내부보강부재(120)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선단내부보강부재(120)의 후단측에 구비되는 선단주입구(320)를 통해 강관(100)의 선단측으로 액상제를 도포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선단내부보강부재(120)를 분리시켜 액상제가 도포되는 방향으로의 장애물을 제거함으로써, 액상제가 용이하게 토사로 주입될 수 있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다수 개 구비되는 선단내부보강부재(120)는 강관(100)의 선단에 전체적인 링 형태로 구비되되, 후술되는 선단주입구(320)가 구비되는 부분에만 탈부착 가능하도록 블럭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토사량조절부(200)는 강관(100) 내부로 유입되는 토사가 적재되는 공간을 제공하되, 유입되는 토사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적재통(210), 고정벽(220) 및 유압스토퍼(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토사량조절부(200)는 후술되는 유압스토퍼(230)의 동작에 의해 강관(10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된다.
적재통(210)은 강관(1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강관(10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며, 토사가 적재되는 공간으로, 롤러베어링(211), 지지막끼움블록(212) 및 지지막(2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적재통(210)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100)의 선단측으로 개구된 원통형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측이 일부 절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측면측 단면이 초승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적재통(210)의 후단측은 벽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강관(100) 내부에 유입된 토사가 적재통(210)에 적재되는 경우, 상기 토사가 적재통(210)의 후단측으로 유출되어 적재통(210) 외부로 벗어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벽형태로 이루어진 적재통(210)의 후단측은 후술되는 지지막끼움블록(212)에 지지막(213)이 끼워져 벽체를 형성하는 구성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롤러베어링(211)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적재통(210)의 후단 하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강관(10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된 적재통(210)이 슬라이딩되는 경우, 롤러베어링(211)의 구름 동작에 의해 원활하게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이때, 롤러베어링(211)이 적재통(210)의 후단에만 구비되는 이유는, 적재통(210)의 선단은 선단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기울어진 형태가 되어, 강관(100)의 선단측에서 유입되는 토사가 보다 적재통(210)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되어 적재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막끼움블록(212)은 적재통(210) 내주면에 중심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후술되는 지지막(213)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지지막끼움블록(212)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적재통(210)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적재통(210)의 중심측으로 돌출되며, 지지막끼움블록(212)의 길이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지지막(213)이 상기 홈에 끼워진다.
지지막(213)은 지지막끼움블록(212)에 끼워져 적재통(210)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100)의 상측을 연통되도록 하고, 하측 일부를 폐쇄하여 강관(100) 내부로 유입된 토사가 적재통(210)에 적재시 지지막(213)에 의해 일부분만 지지막(213) 다음 공간으로 적재되도록 한다.
즉 지지막(213)을 설치함으로써, 적재통(210)에 적재되는 토사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지지막(213)의 높이는 강관(100)의 직경과 5 : 8 정도의 비율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강관(100)의 직경이 800mm인 경우, 지지막(213)의 높이는 500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지지막끼움블록(212)에 지지막(213)이 끼워지면, 지지막끼움블록(212)과 겹쳐지는 지지막(213)의 외측 둘레의 폭은 18 ~ 22mm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지지막끼움블록(212)과 겹치는 지지막(213)의 외측 둘레의 폭은 20mm일 수 있다.
이때, 지지막끼움블록(212)에 지지막(213)을 고정하기 위해 별도의 쐐기(21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쐐기(21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막끼움블록(212)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는 일측은 폭이 좁으며, 타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점 커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지지막(213)이 지지막끼움블록(212)에 형성된 홈에 끼워진 후, 상기 홈에 쐐기(214)의 일측 부분을 밀어넣게 되면, 지지막끼움블록(212)의 홈에 지지막(213)과 쐐기(214)가 견고하게 밀착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지지막(213)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지지막끼움블록(212)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지지막(213)이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져, 적재통(210)의 공간을 구획하는 지지막(213)이 형성되는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강관(100)으로 유입되는 토사가 적재통(210)으로 보다 많게 적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재되는 토사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지지막끼움블록(212)은 각각 쐐기(214)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적재통(210)의 길이방향으로 지지막끼움블록(212) 및 지지막(213)은 다수의 열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토사가 적재되는 적재통(210)의 공간을 다수로 구획함으로써, 강관(100)의 선단측으로 유입되는 토사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나아가, 토사량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고정벽(220)은 강관(100) 내부에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유압스토퍼(230)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고정벽(220)은 강관(100)의 바닥면에 고정 결합될 수 있으며, 용접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유압스토퍼(230)는 고정벽(220)에 일측이 지지되고 타측으로 길이가 가변되어 상기 적재통(210)을 밀거나 또는 끌어당기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적재통(210)에 지지막(213)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적재통(210)의 적재공간을 구획하고, 강관(100)의 선단측으로 유입되는 토사가 보다 적게 적재되도록 토사량을 조절하는 반면, 유압스토퍼(230)를 동작시켜 적재통(210)을 강관(100)의 선단측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강관(100)의 선단측과 후단측이 벽형태로 이루어진 적재통(210)이 상호 멀어져, 토사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넓어지게 된다.
이에, 유압스토퍼(230)가 동작되면, 유입되는 토사가 보다 많게 적재되도록 토사량을 조절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유압스토퍼(230)는 수동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지하수위층과 같은 수분이 많이 함유된 지반에서 강관(100) 추진시 유입수와 토사가 함께 강관(100) 내부로 유입되면, 불규칙적인 공극이 발생되어 외부 토사가 가라앉아 함몰 현상이 발생되거나 또는 강관(100) 내부로 많은 양의 토사가 유입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토사량 조절이 가능한 추진관은 주입부(300)가 구비됨으로써, 불규칙적인 공극 발생을 최소화하여 안전사고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주입부(300)는 강관(100) 추진시 전진하는 방향과 강관(100)의 중간 부분에 구비되어 하측으로 액상제를 토사에 주입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주입파이프(310), 선단주입구(320) 및 후단주입구(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주입파이프(310)는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강관(100) 내부에 설치되어 후술되는 선단주입구(320) 및 후단주입구(330)로 액상제가 이송되도록 한다.
선단주입구(3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100)의 내부 선단측에 구비되되, 선단내부보강부재(120)의 후단측에 구비되며, 강관(100) 추진시 전진하는 방향으로 액상제를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서술한 바와 같이, 선단주입구(320)를 통해 액상제를 강관(100)의 선단측 토사에 주입하고자 하는 경우, 다수의 선단내부보강부재(120) 중 선단주입구(320)가 위치한 부분에 구비된 선단내부보강부재(120)를 분리함으로써, 액상제가 주입되는 방향이 강관(100)의 선단측으로 향하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선단주입구(320)는 주입파이프(310)를 통해 이송되는 액상제를 선택적으로 토사에 주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강관(100) 추진시 지반 상태를 고려하여 수분이 많이 함유된 지반에서 선단주입구(320)에 의해 액상제가 토사에 주입되도록 함으로써, 수분이 많이 함유된 토사를 안정시켜 불규칙한 공극 발생에 의해 토사가 강관(100) 내부로 갑작스럽게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 토사가 가라앉아 발생될 수 있는 함몰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후단주입구(330)는 주입파이프(310)를 통해 이송되는 액상제를 강관(100)의 하측 방향에 위치한 외부 토사에 주입하도록 하는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소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후단주입구(330)는 주입파이프(310)를 통해 이송되는 액상제가 상시주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추진관이 추진되는 동안 액상제가 주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강관(100)이 추진되어 전진하는 동안 후단주입구(330)를 통해 지속적으로 강관(100)의 하측 방향으로 액상제를 주입하고, 추진이 종료되면 액상제 주입 또한 종료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후단주입구(330) 각각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강관(100)의 중심축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30° ~ 60°기울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후단주입구를 수평보다 하측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후단주입구(330)로 배출되는 액상제는 하부에서부터 차올라 상기 강관(100)의 주위를 둘러싸게 되어, 강관(100) 주변의 토사를 고형화 시키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강관(100)의 중심축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30°기울어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후단주입구(330)는 60°기울기를 갖도록 상호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강관(100)이 추진되어 전진하는 동안 한 쌍의 후단주입구(330)를 통해 액상제가 보다 넓은 공간으로 주입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액상제는 경화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주입부(300)를 통해 강관(100) 외부 토사에 경화제 주입시 토사가 굳기 때문에 불규칙적인 공극 발생을 최소화하여 토사를 안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토사량 조절이 가능한 추진관은 강관 추진시 내부로 유입되는 토사가 적재되는 토사량조절부가 구비됨으로써, 토사가 적재되는 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외부 토사가 위로 솟아 발생될 수 있는 융기 현상 또는 가라앉아 발생될 수 있는 함몰 현상을 최소화하고, 불규칙적인 공극 발생을 최소화하여 안전사고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수분이 많이 함유된 지반에서의 강관(100) 추진시 토사에 경화제를 주입함으로써, 주변 토사를 안정시키며 추진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0 : 강관 110 : 선단외부보강부재
120 : 선단내부보강부재 200 : 토사량조절부
210 : 적재통 211 : 롤러베어링
212 : 지지막끼움블록 213 : 지지막
214 : 쐐기 220 : 고정벽
230 : 유압스토퍼 300 : 주입부
310 : 주입파이프 320 : 선단주입구
330 : 후단주입구

Claims (10)

  1. 지중에 매설되어 추진되는 강관(100); 및
    상기 강관(100) 내부에 구비되어 강관(100)으로 유입되는 토사가 적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토사량조절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토사량조절부(200)는
    상기 공간을 구획하는 지지막(213)이 구비된 적재통(210);을 포함하며,
    상기 적재통(210)은
    길이방향으로 공간을 구획하는 지지막(213)이 탈부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막끼움블록(212)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지지막끼움블록(212)은
    상기 적재통(210)의 내주면을 따라 중심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막(213)의 외측 일부분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량 조절이 가능한 추진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사량조절부(200)는
    강관(100) 내부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벽(220); 및
    상기 고정벽(220)에 일측이 지지되고 타측으로 길이가 가변되어 상기 적재통(210)을 밀거나 또는 끌어당기는 유압스토퍼(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량 조절이 가능한 추진관.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막(213)은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막끼움블록(212)에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지지막(213)을 선택적으로 끼움으로써, 지지막(213)이 형성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량 조절이 가능한 추진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막끼움블록(212)은
    상기 적재통(21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구비되되,
    다수 개 구비된 지지막끼움블록(212) 각각에 지지막(213)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량 조절이 가능한 추진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관(100)은
    선단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는 선단외부보강부재(110); 및
    선단 내주면을 따라 구비되는 선단내부보강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선단내부보강부재(120)는
    강관(100)의 선단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커지는 테이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량 조절이 가능한 추진관.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선단내부보강부재(120)는
    강관(100)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 개의 블럭 형태로 이루어지되,
    강관(100)의 내주면에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량 조절이 가능한 추진관.
  8. 청구항 1에 있어서,
    주입부(3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주입부(300)는
    강관(100) 내부에 수용되는 주입파이프(310);
    상기 주입파이프(310)의 중간 부분에 연결되되 강관(100) 외측으로 연통되어 상기 주입파이프(310)에 수용되어 이송되는 액상제를 강관(100) 외부로 배출시키는 후단주입구(330); 및
    상기 주입파이프(310)의 선단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주입파이프(310)에 수용되어 이송되는 액상제를 강관(100)의 선단측으로 배출시키는 선단주입구(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량 조절이 가능한 추진관.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후단주입구(330)는 강관(100) 추진시 액상제가 지속적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선단주입구(320)는 액상제가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되,
    상기 선단주입구(320)의 동작은 강관(100)의 선단 내주면을 따라 구비되는 선단내부보강부재(120)를 제거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량 조절이 가능한 추진관.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후단주입구(33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한 쌍의 후단주입구(330) 각각은 강관(100)의 수평보다 하측으로 30° ~ 60°기울어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량 조절이 가능한 추진관.
KR1020150144625A 2015-10-16 2015-10-16 토사량 조절이 가능한 추진관 KR101628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625A KR101628257B1 (ko) 2015-10-16 2015-10-16 토사량 조절이 가능한 추진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625A KR101628257B1 (ko) 2015-10-16 2015-10-16 토사량 조절이 가능한 추진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8257B1 true KR101628257B1 (ko) 2016-06-21

Family

ID=56353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4625A KR101628257B1 (ko) 2015-10-16 2015-10-16 토사량 조절이 가능한 추진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825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56Y2 (ja) * 1988-02-19 1994-01-26 ヤンマーディーゼル株式会社 エンジン作業機組立体
KR20070108490A (ko) 2007-10-17 2007-11-12 주식회사 대용이엔씨 경사 차단판이 설치된 추진관
KR101065872B1 (ko) * 2011-03-18 2011-09-19 백종익 분사노즐이 구비된 추진용 선도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56Y2 (ja) * 1988-02-19 1994-01-26 ヤンマーディーゼル株式会社 エンジン作業機組立体
KR20070108490A (ko) 2007-10-17 2007-11-12 주식회사 대용이엔씨 경사 차단판이 설치된 추진관
KR101065872B1 (ko) * 2011-03-18 2011-09-19 백종익 분사노즐이 구비된 추진용 선도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11689B2 (ja) トンネル掘削方法
KR101381566B1 (ko) 이농식 굴진기 및 이를 이용한 이농식 추진공법
KR20060032164A (ko) 추진관 압입공법
KR20060032163A (ko) 압입공법용 선도관 및 추진관 조립체
KR101628257B1 (ko) 토사량 조절이 가능한 추진관
KR100902364B1 (ko) 쉴드 터널링 장치 및 그 공법
CN111749292B (zh) 一种管线密集区地连墙成槽施工工艺
JP2003206691A (ja) シールド到達工法
WO2014078878A1 (en) Shaft sink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314590B1 (ko) 이농식 굴진기 및 이농식 추진공법
KR20170093024A (ko) 지하수 역주입 방식의 쉴드 터널 굴진 장치 및 방법
KR102115148B1 (ko) 관로 굴진용 이수 연속 처리시스템
JP4273031B2 (ja) シールド工法における地山の安定化方法
WO2021160798A1 (en) Method for introducing a soil penetrating tool into a soil and underground construction device
CN113090275A (zh) 适用于双线盾构始发和出渣运料的隧道结构及施工方法
JP2015155634A (ja) トンネル掘削システム
JP6168658B2 (ja) シールド工法における鋼製セグメントの補強方法
KR102230972B1 (ko) 친환경 세미실드 굴착장치
JP7303756B2 (ja) オープンシールド機、及び、トンネル構築方法
JP2022118274A (ja) トンネル掘削方法
JP2004169455A (ja) 泥濃式推進工法および掘進機
JP3714625B2 (ja) 泥土のリサイクルによるソイルセメント柱又はソイルセメント壁の造成方法
JP3066293B2 (ja) 開削土木工事における土留工法
JPH09279984A (ja) 到達立坑へのシールド掘進機の受入方法および到達立坑におけるシールド掘進機の受入部の構造
JP2585137B2 (ja) 固結柱体による地盤改良法およびその地盤改良用削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