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8216B1 - 배터리의 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배터리의 상태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터리의 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배터리의 상태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8216B1
KR101628216B1 KR1020150005645A KR20150005645A KR101628216B1 KR 101628216 B1 KR101628216 B1 KR 101628216B1 KR 1020150005645 A KR1020150005645 A KR 1020150005645A KR 20150005645 A KR20150005645 A KR 20150005645A KR 101628216 B1 KR101628216 B1 KR 101628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voltage
data
temperature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5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영
Original Assignee
김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영 filed Critical 김선영
Priority to KR1020150005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2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배터리의 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배터리의 상태 감시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상태 감시 장치는,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의 전해액 온도 및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측정된 전해액 온도의 온도 데이터와 상기 측정된 배터리 전압의 전압 데이터를 획득하며, 상기 온도 데이터 및 전압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의 방전량의 비율을 추정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의 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배터리의 상태 감시 시스템{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STATE OF BATTERY, AND STATE MONITORING SYSTEM OF BATTERY}
본 발명은 배터리의 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배터리의 상태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의 전해액 온도 및 배터리 전압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배터리의 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배터리의 상태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 제품의 급속한 발전과 소비자들의 고성능 전력원에 대한 높은 기대로 인해 에너지 소모가 높은 제품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노트북, 비디오 카메라,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제품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대되고, 에너지 저장용 축전지, 로봇, 위성 등의 개발이 본격화됨에 따라, 반복적으로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고성능 이차 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이러한 이차 전지로는 리튬 이차 전지가 충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낮은 등의 여러 장점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차량에는 충방전 배터리가 설치되어 엔진을 시동할 때와 발전량이 부족할 때 점화 장치와 등화 장치 등의 전장품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충방전 배터리는 양극과 음극을 형성하는 다수의 극판, 상기 극판 사이에서 단락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격리판, 다수의 극판 중 일부 극판을 서로 용접해 발생된 일정한 기전력을 인출시켜 주면서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연결시키기 위한 전극이 설치된 셀, 상기 극판과 접촉하여 들어온 전류의 저장이나 전류 발생을 하도록 증류수로 황산을 희석시킨 묽은 황산으로 이루어진 전해액 등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 즉 이차 전지의 효율적인 운용을 위하여 상태 감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기존의 이차 전지의 상태 감시 방법으로, 전압, 전해액 비중에 의한 충전 상태를 평가하는 방법 등이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전압과 전해액 비중의 특성을 고려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139476호 (2011.12.29. 공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터리의 전해액 온도 및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배터리의 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배터리의 상태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상태 감시 장치는,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의 전해액 온도 및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측정된 전해액 온도의 온도 데이터와 상기 측정된 배터리 전압의 전압 데이터를 획득하며, 상기 온도 데이터 및 전압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의 방전량의 비율을 추정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배터리의 내부에 설치된 온도 센서 및 전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은, 프로그램을 내장하기 위한 메모리가 구비된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에 구비된 메모리는, 상기 온도 및 전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방전량의 비율을 연산하는 연산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전량의 비율을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방전량의 비율을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상태 감시 방법은, 배터리의 전해액 온도 및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전해액 온도의 온도 데이터 및 상기 측정된 배터리 전압의 전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온도 데이터 및 전압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의 방전량의 비율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내부에 설치된 온도 센서 및 전압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전해액 온도 및 배터리 전압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전량의 비율을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상태 감시 시스템은, 배터리의 전해액 온도 및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며, 상기 측정된 전해액 온도의 온도 데이터 및 상기 측정된 배터리 전압의 전압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및 상기 온도 데이터 및 전압 데이터를 전송받아 이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의 방전량의 비율을 추정하는 중앙 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는, 상기 배터리의 전해액 온도 및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의 내부에 설치된 온도 센서 및 전압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온도 데이터 및 전압 데이터를 상기 중앙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제1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 처리 장치는, 상기 온도 데이터 및 전압 데이터를 전송받는 제2 통신 모듈; 및 상기 온도 데이터 및 전압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의 방전량의 비율을 추정하는 제어 모듈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의 전해액 온도 및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고, 이를 기초로 배터리의 방전량의 비율을 추정함으로써, 배터리의 상태를 정확히 평가하여 감시할 수 있다.
도 1은 전해액 비중과 방전량의 비율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상태 감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배터리의 상태 감시 장치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상태를 감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상태 감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배터리의 상태 감시 방법의 상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상태 감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2의 배터리의 상태 감시 시스템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상태를 감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이루어지다(made of)"는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전해액 비중과 방전량의 비율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는 그 내부에 전해액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전해액은 방전이 진행됨에 따라 물로 변한다. 예를 들어, 축전지는 양극의 과산화 납(PbO2)과 음극의 납(Pb), 전해액으로 묽은 황산(H2SO4)이 화학 작용을 하여 전자를 운반하고, 전자의 균형이 깨져 전기 에너지로 변환되고, 방전의 경우에는 각 극성 물질은 양극 모두 황산납(PbSO4)으로 변하고, 전해액에는 물(H2O)이 생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전해액 비중은 완전 충전시 1.260에서 순수한 물의 비중 1.000으로 점차적으로 변하게 되며, 전해액 비중은 방전의 진행에 따라 낮아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배터리의 전해액 비중은 섭씨 20도에 있어서, 완전 충전시의 전해액 비중이 1.260이고, 100% 방전시의 전해액 비중이 1.060이 된다. 이는 배터리의 제조 회사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으나, 그 값은 고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의 전해액 비중은 섭씨 20도에 있어서, 완전 충전시의 전해액 비중이 1.280이고, 100% 방전시의 전해액 비중이 1.080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의 전해액 비중을 알면 방전량의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상태 감시 장치의 구성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의 배터리의 상태 감시 장치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상태를 감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상태 감시 장치(100)는,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50)의 전해액 온도 및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는 센서 모듈(110), 및 상기 측정된 전해액 온도의 온도 데이터와 상기 측정된 배터리 전압의 전압 데이터를 획득하며, 상기 온도 데이터 및 전압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50)의 방전량의 비율을 추정하는 제어 모듈(120)을 포함하며, 방전량의 비율을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130), 및 전해액 온도, 배터리 전압, 방전량의 비율 등을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110)은 배터리(50)의 내부에 설치된 온도 센서(112) 및 전압 센서(114)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112) 및 전압 센서(114)를 이용하여 전해액(50)의 온도 데이터 및 배터리(50)의 전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온도 센서(112)는 배터리(50)의 전해액(52)의 온도를 측정하고, 제어 모듈(120)에서 온도 데이터를 획득하게 한다. 전해액(52)의 비중은 전해액(52)의 온도에 따라 변하며, 전해액(52)의 온도가 상승하면 전해액(52)이 팽창하여 체적이 커지므로 비중이 낮아진다. 역으로, 전해액(52)의 온다가 낮아지면 전해액(52)이 수축하여 비중은 커진다. 그러므로, 전해액(52)의 온도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온도 센서(112)가 배터리(50)의 내부에 수용된 전해액(52)의 온도를 직접 측정함으로써, 정확한 온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방전량의 비율을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전압 센서(114)는 배터리(50)의 두 단자(57, 58) 간 전압을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측정한다. 일반적으로, 전압 센서(114)는 배터리(50)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하는 것이므로, 배터리(50)와 병렬로 연결된다. 이러한 전압 센서(114)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압 센서(114)는 두 단자(57, 58) 간 전압을 감지하여 전압을 측정할 수 있고, 전압 센서(114)는 배터리 셀 팩(Battery Cell Pack)에서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설치된 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밖에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전압 측정 기기가 채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제어 모듈(120)은 온도 데이터 및 전압 데이터를 기초로 배터리(50)의 방전량의 비율을 추정하며, 이를 위해 프로그램을 내장하기 위한 메모리가 구비된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Micro Controlloer Unit)일 수 있다. 즉, 배터리의 상태 감시 장치(100)에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 일명 MCU가 채용돼 배터리의 상태 감시 장치(100)의 두뇌 역할을 하며, 배터리의 상태 감시 장치(100)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은 롬(ROM)과 램(RAM) 회로까지 내장할 수 있으며, 칩 형태로 제작된다.
특히,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에 구비되는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를 채택하여 배터리의 상태 감시 장치(100)에 필요한 여러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120)에 구비된 메모리는 온도 데이터 및 전압 데이터를 이용하여 방전량의 비율을 연산하는 연산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연산 프로그램은 아래의 수학식들에 의해 방전량의 비율을 연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5003280733-pat00001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섭씨 20도에 있어서, 완전 충전시의 전해액 비중이 1.260이고, 100% 방전시의 전해액 비중이 1.060이며, 측정된 전해액 비중이 1.180이면, 방전량의 비율은 40%가 된다.
배터리(50)에 의해 완전 충전시의 전해액 비중 및 100% 방전시의 전해액 비중은 정해져 있으므로, 전해액의 측정 비중값을 구하면 되며, 측정 비중값은 다음의 수학식 2에 의해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15003280733-pat00002
여기에서, S20은 섭씨 20도에서 전해액 비중, t는 측정한 전해액 온도, St는 측정한 t도에서 전해액 비중이다.
또한, 기전력, 측정한 전압에 따른 전해액 비중은 다음의 수학식 3에 의해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15003280733-pat00003
여기에서, St는 측정한 t도에서 전해액 비중이고, 기전력은 측정한 전압값이 된다.
따라서, 상기 수학식 2 및 3에 의해 상기 수학식 1은 다음의 수학식 4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5003280733-pat00004
예를 들어, 제어 모듈(120)에 구비된 메모리는 온도 데이터 및 전압 데이터를 이용하여 방전량의 비율을 연산하는 상기 수학식 4에 기초한 연산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섭씨 20도에 있어서, 완전 충전시의 전해액 비중이 1.260이고, 100% 방전시의 전해액 비중이 1.060인 배터리의 경우, 상기 수학식 4는 아래의 수학식 5와 같게 된다.
Figure 112015003280733-pat00005
따라서, 수학식 4 또는 수학식 5에 의해 온도 데이터(t값) 및 전압 데이터(E값)를 획득하여 방전량의 비율을 정확히 계산할 수 있게 된다. 즉,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50)의 전해액(52)의 온도를 직접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 데이터 및 전압 데이터를 이용하여 방전량의 비율을 추정함으로써, 배터리(50)의 정확한 충방전 상태 감시가 가능하다. 종래의 배터리 상태를 감시하는 방법들은 전해액(52)의 온도를 배제하고 상기 St값으로 방전량의 비율을 계산하고 있어 정확한 방전량의 비율을 계산할 수 없다.
통신 모듈(130)은 제어 모듈(120)에서 추정된 방전량의 비율을 외부로 전송하며,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방전량의 비율을 외부, 예를 들어 외부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외부 기기(200)는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phone),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등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 2G/3G/4G, 와이브로 무선망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 블루투스/지그비/와이브리(Wibree)/RS-485 통신 등이 기능한 단말,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왑폰(WAP phone: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 등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모든 무선 가전/통신 장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으며, IEEE 802.11 무선 랜 네트워크 카드 등의 무선랜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기기일 수 있다. 또한, 외부 기기(200)는 이동 통신 단말 이외에 컴퓨터, 노트북 등의 정보 통신 기기이거나 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도 있다.
또한, 통신 모듈(130)은 블루투스 통신, 지그비 통신, 와이브리(Wibree) 통신, RS-485 통신 등 여러 무선 통신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여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응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2세대 또는 3세대 이동통신망이나 HSDPA, WIBRO, WiFi 등을 통해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외부 기기(200)와 통신할 수도 있다.
저장 모듈(140)은 전해액 온도, 배터리 전압, 방전량의 비율 등을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하며, 메모리 또는 자기적 기록 매체 등 저장이 가능한 모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저장 모듈(140)은 물리적 또는 논리적 저장 공간의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저장 모듈(140)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서버가 될 수 있으며, 이에만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배터리의 상태 감시 장치(100)를 통해, 배터리(50)의 전해액(52)의 온도 및 배터리(50)의 전압을 직접 측정하여 신뢰성 있는 온도 데이터 및 전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배터리의 방전량의 비율을 정확히 추정할 수 있고, 보다 정확한 배터리의 상태 감시가 무선 통신에 의해 가능하여 실시간으로 신뢰성 있는 배터리(50)의 진단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상태 감시 방법의 순서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4의 배터리의 상태 감시 방법의 상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상태 감시 방법은, 배터리의 전해액 온도 및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며(S110), 상기 측정된 전해액 온도의 온도 데이터 및 상기 측정된 배터리 전압의 전압 데이터를 획득하고(S120), 상기 획득된 온도 데이터 및 전압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의 방전량의 비율을 추정한다(S130).
여기에서, 배터리의 전해액 온도 및 배터리 전압을 측정 시(S110), 배터리의 내부에 설치된 온도 센서 및 전압 센서를 이용하여 전해액 온도 및 배터리 전압을 실시간으로 측정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온도 데이터 및 전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배터리의 방전량의 비율은 전술한 수학식 4에 의해 계산할 수 있고, 온도 및 전압 값만을 이용하여 방전량의 비율을 정확히 추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상태 감시 방법은, 배터리의 전해액 온도 및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며(S110), 상기 측정된 전해액 온도의 온도 데이터 및 상기 측정된 배터리 전압의 전압 데이터를 획득하고(S120), 상기 획득된 온도 데이터 및 전압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의 방전량의 비율을 추정한 후(S130), 상기 방전량의 비율을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S140). 이를 통해, 정확히 추정된 방전량의 비율을 무선 통신에 의해 외부에서 알 수 있어 실시간으로 신뢰성 있는 배터리(50)의 상태 감시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상태 감시 방법은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에 의해 하나의 모듈로 구현 가능하며,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롬(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의 자기적 매체, CD, DVD 등의 광학적 매체 및 인터넷을 통한 송신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와 같은 형태로 구현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크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상태 감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2의 배터리의 상태 감시 시스템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상태를 감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상태 감시 시스템(10)은, 배터리(50)의 전해액 온도 및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며, 상기 측정된 전해액 온도의 온도 데이터 및 상기 측정된 배터리 전압의 전압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300), 및 상기 온도 데이터 및 전압 데이터를 전송받아 이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50)의 방전량의 비율을 추정하는 중앙 처리 장치(4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전송 장치(300)는, 배터리(50)의 전해액 온도 및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50)의 내부에 설치된 온도 센서(312) 및 전압 센서(314)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310), 및 상기 온도 데이터 및 전압 데이터를 상기 중앙 처리 장치(400)로 전송하는 제1 통신 모듈(32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온도 센서(312) 및 전압 센서(314)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310)의 전술한 따른 배터리의 상태 감시 장치(100)의 온도 센서(112) 및 전압 센서(114)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110)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제1 통신 모듈(320)은 온도 데이터 및 전압 데이터를 외부의 중앙 처리 장치(4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원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온도 데이터 및 전압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중앙 처리 장치(400)는, 온도 데이터 및 전압 데이터를 전송받는 제2 통신 모듈(420), 및 상기 온도 데이터 및 전압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의 방전량의 비율을 추정하는 제어 모듈(410)을 포함한다. 그리고, 중앙 처리 장치(400)는, 상기 온도 데이터 및 전압 데이터와 상기 배터리(50)의 방전량의 비율 등을 저장하는 저장 모듈(430), 및 상기 배터리(50)의 방전량의 비율 등을 표시하는 표시 모듈(4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통신 모듈(420)은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원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온도 데이터 및 전압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제어 모듈(41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신호를 데이터 전송 장치(300)나 다른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410)은 온도 데이터 및 전압 데이터를 기초로 배터리(50)의 방전량의 비율을 추정하며, 배터리의 상태 감시 시스템(10)에 필요한 여러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410)에 구비된 메모리는 온도 데이터 및 전압 데이터를 이용하여 방전량의 비율을 연산하는 연산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연산 프로그램은 상기 수학식 4에 의해 방전량의 비율을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저장 모듈(430)은 데이터 전송 장치(300)에서 전송된 전해액 온도, 배터리 전압 등의 수신 정보를 저장할 뿐만 아니라, 제어 모듈(410)에서 추정된 방전량의 비율 등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 모듈(430)은 메모리 또는 자기적 기록 매체 등 저장이 가능한 모든 매체를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표시 모듈(440)은 배터리(50)의 방전량의 비율을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 모듈(440)은 시각적 또는 청각적 정보를 제공하여 배터리(50)를 사용하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배터리(50)의 상태를 알 수 있게 한다. 또한, 제2 통신 모듈(420)을 통해 수신된 전압 데이터 및 온도 데이터 등 여러 다른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시 모듈(440)은 여러 데이터 및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 액정 화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Plasma Display Panel) 등의 영상 표시 수단이 구비된 모듈로서 전달 받은 여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배터리의 상태 감시 시스템(10)을 통해, 배터리(50)의 전해액(52)의 온도 및 배터리(50)의 전압을 직접 측정하여 외부로 전송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온도 데이터 및 전압 데이터를 배터리(50)의 외부에서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50)에서 획득한 온도 데이터 및 전압 데이터를 기초로 배터리의 방전량의 비율을 외부에서 정확히 추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정확한 배터리의 상태 감시가 가능하고, 신뢰성 있는 배터리(50)의 진단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배터리의 상태 감시 장치
110: 센서 모듈 120: 제어 모듈
130: 통신 모듈 140: 저장 모듈

Claims (12)

  1.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의 전해액 온도 및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측정된 전해액 온도의 온도 데이터와 상기 측정된 배터리 전압의 전압 데이터를 획득하며, 상기 온도 데이터 및 전압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의 방전량의 비율을 추정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온도 및 전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방전량의 비율을 연산하는 연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가 구비되고,
    상기 연산 프로그램은 상기 온도 데이터가 t, 상기 전압 데이터가 E인 경우,
    Figure 112016012137465-pat00013
    에 의해 상기 방전량의 비율은 연산하는, 배터리의 상태 감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배터리의 내부에 설치된 온도 센서 및 전압 센서를 포함하는, 배터리의 상태 감시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량의 비율을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배터리의 상태 감시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방전량의 비율을 외부로 전송하는, 배터리의 상태 감시 장치.
  7. 배터리의 전해액 온도 및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전해액 온도의 온도 데이터 및 상기 측정된 배터리 전압의 전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온도 데이터 및 전압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의 방전량의 비율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방전량의 비율을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온도 데이터가 t, 상기 전압 데이터가 E인 경우,
    Figure 112016012137465-pat00014
    에 의해 상기 방전량의 비율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의 상태 감시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내부에 설치된 온도 센서 및 전압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전해액 온도 및 배터리 전압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의 상태 감시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량의 비율을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의 상태 감시 방법.
  10. 배터리의 전해액 온도 및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며, 상기 측정된 전해액 온도의 온도 데이터 및 상기 측정된 배터리 전압의 전압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및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상기 온도 데이터 및 전압 데이터를 전송받는 제2 통신 모듈과, 상기 온도 데이터 및 전압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의 방전량의 비율을 추정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중앙 처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온도 데이터가 t, 상기 전압 데이터가 E인 경우,
    Figure 112016012137465-pat00015
    에 의해 상기 방전량의 비율은 연산하는, 배터리의 상태 감시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는,
    상기 배터리의 전해액 온도 및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의 내부에 설치된 온도 센서 및 전압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온도 데이터 및 전압 데이터를 상기 중앙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제1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의 상태 감시 시스템.
  12. 삭제
KR1020150005645A 2015-01-13 2015-01-13 배터리의 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배터리의 상태 감시 시스템 KR101628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5645A KR101628216B1 (ko) 2015-01-13 2015-01-13 배터리의 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배터리의 상태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5645A KR101628216B1 (ko) 2015-01-13 2015-01-13 배터리의 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배터리의 상태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8216B1 true KR101628216B1 (ko) 2016-06-08

Family

ID=56194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5645A KR101628216B1 (ko) 2015-01-13 2015-01-13 배터리의 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배터리의 상태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82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23666A1 (en) * 2017-07-28 2019-01-31 Northstar Battery Company, Llc BATTERY WITH INTERNAL SURVEILLANCE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0983A (ko) * 1997-12-31 1999-07-26 추호석 배터리 충전/출력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JP2007261433A (ja) * 2006-03-28 2007-10-11 Fujitsu Ten Ltd バッテリ制御装置およびバッテリ制御方法
KR100892821B1 (ko) * 2007-11-29 2009-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충전상태 산출방법
KR20110139476A (ko) 2010-06-23 2011-12-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발전 제어 장치 및 그 배터리 충전상태 초기화 방법
KR101138576B1 (ko) * 2011-10-20 2012-05-10 장현봉 전지 성능 진단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0983A (ko) * 1997-12-31 1999-07-26 추호석 배터리 충전/출력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JP2007261433A (ja) * 2006-03-28 2007-10-11 Fujitsu Ten Ltd バッテリ制御装置およびバッテリ制御方法
KR100892821B1 (ko) * 2007-11-29 2009-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충전상태 산출방법
KR20110139476A (ko) 2010-06-23 2011-12-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발전 제어 장치 및 그 배터리 충전상태 초기화 방법
KR101138576B1 (ko) * 2011-10-20 2012-05-10 장현봉 전지 성능 진단 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23666A1 (en) * 2017-07-28 2019-01-31 Northstar Battery Company, Llc BATTERY WITH INTERNAL SURVEILLANCE SYSTEM
US10684330B2 (en) 2017-07-28 2020-06-16 Northstar Battery Company,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thermal runaway of a battery
US10816607B2 (en) 2017-07-28 2020-10-27 Northstar Battery Company,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 state of charge of a battery
US10823786B2 (en) 2017-07-28 2020-11-03 Northstar Battery Company, Llc Battery with internal monitoring system
US10830826B2 (en) 2017-07-28 2020-11-10 Northstar Battery Company,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ning crank health of a battery
US10830827B2 (en) 2017-07-28 2020-11-10 Northstar Battery Company, Llc Operating conditions information system for an energy storage device
US10921381B2 (en) 2017-07-28 2021-02-16 Northstar Battery Company,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presenting battery information
EP3658934A4 (en) * 2017-07-28 2021-04-28 Northstar Battery Company, LLC SYSTEMS AND PROCEDUR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CHARGE OF A BATTERY
EP3658941A4 (en) * 2017-07-28 2021-10-27 Northstar Battery Company, LLC SYSTEMS AND PROCEDURES FOR DETERMINING THE RESERVE TIME OF A MONOBLOCK
US11243260B2 (en) 2017-07-28 2022-02-08 Northstar Battery Company,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n operating mode of a battery
US11300624B2 (en) 2017-07-28 2022-04-12 Northstar Battery Company, Llc System for utilizing battery operating dat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28449A1 (en) Battery charg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805514B1 (ko) 배터리의 동적 엔트로피 추정 방법
US8399115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large battery stacks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s
US10084333B2 (en) Charging method, power adapter, mobile terminal, and charging system
EP2176674B1 (en) Battery short circuit monitoring
US20150064525A1 (en) Sensor device for a battery cell of an electrical energy accumulator, battery cell,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method for monitoring same
CN104396082A (zh) 用于包括混合阴极材料的二次电池的电池系统及其管理设备和方法
EP360512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soc of battery
CN111600077B (zh) 具有涂覆的锂参比电极的电池电芯和提供方法
US1090104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1817396B1 (ko) 배터리 잔존수명 추정 장치 및 방법
WO2018218686A1 (zh) 一种检测可再充电电池鼓胀的方法和便携电子设备
KR101628216B1 (ko) 배터리의 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배터리의 상태 감시 시스템
US11302955B2 (en) Battery cell design with a coated lithium reference electrode
US2022026064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ng State of Battery
CN113361128A (zh) 一种异常电芯筛选方法、系统、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WO2019058666A1 (ja) 二次電池劣化検出システム
CN112904217B (zh) 一种确定电池电芯的日历模型的方法
KR20190096673A (ko) 이차 전지 상태 추정 장치 및 방법
JP6721170B1 (ja) 非常用充放電器の遠隔監視システム
US20200321650A1 (en) Battery cell design with a non-invasive lithium reference lead
Bokstaller et al. Estimating SoC, SoH, or RuL of Rechargeable Batteries via IoT: A Review
EP4300111A1 (en) System for estimation of state of health of battery pack and method thereof
CN112649741B (zh) 一种用于荒野环境的蓄电池远程监测系统
WO2024024379A1 (ja) 推定装置、推定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