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8063B1 - Rock handle of riding toy - Google Patents

Rock handle of riding to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8063B1
KR101628063B1 KR1020140071368A KR20140071368A KR101628063B1 KR 101628063 B1 KR101628063 B1 KR 101628063B1 KR 1020140071368 A KR1020140071368 A KR 1020140071368A KR 20140071368 A KR20140071368 A KR 20140071368A KR 101628063 B1 KR101628063 B1 KR 101628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rotating body
toy
protrus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13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10247A (en
Inventor
정태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파야나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파야나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파야나인
Publication of KR20150110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02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0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63H17/36Steering-mechanisms for toy vehicles
    • A63H17/38Steering-mechanisms for toy vehicles actuated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Abstract

본 발명은 탑승완구의 핸들 록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탑승 완구 핸들의 하부에 결합된 회전체 내측에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도록 자가운전 또는 무선운전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체를 정 또는 역회전에 의해 스위치를 전환하여 자가운전 또는 무선운전 모드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회전체를 회전할 시 핸들이 조향축과 연결 또는 연결해제를 할 수 있어 유아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탑승완구의 핸들 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용 탑승완구의 전방부에 결합되는 핸들; 상기 핸들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부 내측면에 가압돌기가 형성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체를 정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시 상기 핸들이 회전체와 동시에 회전되거나 또는 핸들만 아이들 회전되도록 하는 록킹부; 상기 회전체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기 핸들과 결합되어 핸들의 회전에 의해 동시에 회전되는 결합부; 및 상기 회전체가 정회전되어 핸들과 동시에 회전될 시 자가운전모드로, 상기 회전체가 역회전되어 핸들만 아이들 회전 될 시 무선운전모드로 전환하되, 상기 가압돌기에 의해 조작되는 전환 스위치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le lock of a boarding toy, and more specifically, a switch which is capable of switching to a self-driving mode or a wireless driving mode so as to be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of a rotating body is provided inside a rotating body , The rotary body can be switched to a self-driving mode or a wireless driving mode by switching the switch by forward or reverse rotation, and at the same time, when the rotary body is rotated, the steering wheel can be connected to or disconnected from the steering shaft, To the handle lock of the boarding to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y vehicle comprising: a handle coupled to a front portion of a vehicle ride toy; A rotating bod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handle, wherein a press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upper inner surface; A locking unit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rotating body to rotate the handle simultaneously with the rotating body or rotate the handle only when the rotating body rotates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n engaging portion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body, the engaging portion being engaged with the handle and simultaneously rotated by rotation of the handle; And a change-over switch operated by the pressing protrusion when the rotating body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simultaneously rotates with the handle in a self-operation mode, when the rotating body is reversely rotated so that only the handle is idly rotated, do.

Description

탑승완구의 핸들 록{Rock handle of riding toy}{Rock handle of riding toy}

본 발명은 탑승완구의 핸들 록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탑승 완구 핸들의 하부에 결합된 회전체 내측에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도록 자가운전 또는 무선운전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체를 정 또는 역회전에 의해 스위치를 전환하여 자가운전 또는 무선운전 모드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회전체를 회전할 시 핸들이 조향축과 연결 또는 연결해제를 할 수 있어 유아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탑승완구의 핸들 록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le lock of a boarding toy, and more specifically, a switch which is capable of switching to a self-driving mode or a wireless driving mode so as to be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of a rotating body is provided inside a rotating body , The rotary body can be switched to a self-driving mode or a wireless driving mode by switching the switch by forward or reverse rotation, and at the same time, when the rotary body is rotated, the steering wheel can be connected to or disconnected from the steering shaft, To the handle lock of the boarding toy.

일반적으로 승용완구는 유아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탑승이 가능한 장난감 자동차 또는 자전거를 의미하며, 보호자가 밀어서 주행되는 수동식과 모터의 구동력으로 작동되는 전동식으로 구분된다.Generally, a riding toy refers to a toy car or a bicycle which can be boarded for infants or children, and is divided into a manual type in which the protector is pushed and an electric type which is oper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상기 수동식 승용완구는 승용완구의 후단부에 설치된 푸시 바(push bar)를 보호자가 미는 동작에 의해 주행이 이루어지고, 푸시 바를 회전시킴에 따라 푸시 바에 연결된 바퀴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The passive riding toy is configured to travel by a protector pushing a push bar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riding toy, and the direction of the wheel connected to the push bar is changed as the push bar is rotated.

한편, 전동식 승용완구는 보호자가 무선 조종기를 통하여 승용완구를 조작할 수 있는 승용완구로서, 보호자의 리모컨 조작을 통해 주행 및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한 승용완구이다. 이러한 전동식 승용완구는 자전거보다는 자동차 형태의 승용완구를 말한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ic ride-on toy is a ride-on toy in which a protector can operate a ride-on toy through a radio-controlled robot, and is a riding toy in which the traveling and direction are switched through remote control operation of the protector. These electric-powered riding toys are cars rather than bicycles.

상기한 바와 같이 리모컨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식 승용완구의 기술은 "국내등록실용 제 20-313981호, 국내등록실용 제 20-325675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echnology of the electric ride-on toy driven by the remote controller is disclosed in "Domestic Registration Room No. 20-313981, Domestic Registration Room No. 20-325675" and the like.

상기 전동식 승용완구는 리모컨을 이용하여 승용완구를 보호자가 조종할 수 있음으로써, 유아의 갑작스러운 돌발 행동에 의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The power-driven toys can control the riding toys by a protector using a remote control, thereby preventing accidents caused by sudden unexpected behavior of the infant.

하지만, 상기한 수동식 승용완구 및 전동식 승용완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passive riding toy and the electric riding toy described above have the following problems.

핸들 조작에 대한 완력이 충분치 않은 유아가 승용완구에 탑승한 경우에는 보호자의 푸시 바 조작 및 리모컨 조작을 통해 유아의 미숙한 핸들 조작에 의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지만, 핸들 조작을 스스로 할 수 있을 정도의 완력을 갖는 어린이, 특히 남자 유아의 경우에는 보호자의 푸시 바 조작 및 리모컨 조작에 반하는 핸들 조작을 통해 방향 전환을 스스로 할 수 있음으로써 보호자의 푸시 바 조작 및 리모컨 조작만으로는 사고를 완전히 예방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When an infant whose abilities to handle the handle are not suffici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ccident caused by an infant's inexperienced handle operation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push bar of the protector and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However, In the case of a child with a strength, especially a male infant,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prevent the accident by only manipulating the push bar of the protector and the remote control by allowing the user to change the direction by manipulating the push bar of the protector or the remote control. to be.

물론, 탑승 유아의 핸들 조작에 의한 방향 전환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사고예방을 위한 승용 완구가 제공되기도 한다.Of course, riding toys for preventing accidents are also provided by blocking the direction by the steering wheel operation of the infant on a boarding basis.

이러한 승용 완구에 설치된 핸들은 바퀴의 방향 전환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오직 놀이 정도의 기능만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향 축 상에서 자유 회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The handle provided on the riding toy is configured to freely rotate on the steering shaft so as to provide only the function of play without affecting the direction of the wheels.

하지만, 핸들이 자유회전만 되는 승용완구는 스스로 핸들 조작하고 싶어 하는 유아들에게 있어, 승용완구 운행에 대한 흥미를 반감시킬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riding toy having only the free rotation of the handle is able to reduce the interest in the riding toy operation for the infant who wants to handle the handle by himself.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자가운전 또는 무선운전의 기능이 동시에 탑재된 탑승완구가 출시되고 있지만, 자가운전 및 무선운전을 전환하는 스위치가 승용완구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유아나 어린이가 쉽게 만질 수 있기 때문에 장난삼아 상기 스위치를 조작할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consideration of such circumstances, although a toys with both self-driving and wireless driving functions are being marketed, a switch for switching between self-driving and wireless driving is provided inside the toys so that infants and children can easily touch them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a safety accident occurs when the switch is operated in a joke.

등록실용신안 20-465779호Registered utility model 20-465779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탑승 완구 핸들의 하부에 결합된 회전체 내측에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도록 자가운전 또는 무선운전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스위치를 구비하여, 회전체를 정 또는 역회전하게 되면 스위치가 전환되어 자가운전 모드 또는 무선운전 모드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탑승완구의 핸들 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oy which is capable of switching to a self-driving mode or a wireless driving mode so as to be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of a rotating body,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andle lock of a boarding toy which can prevent an erroneous operation by allowing the switch to be switched to a self-operation mode or a wireless operation mode when the rotating body is rotated forwardly or reversel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회전체를 정 또는 역회전하게 되면 자가운전 모드 또는 무선운전 모드로 선택될 시 핸들도 조향축과 연결 또는 연결해제를 동시에 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탑승완구의 핸들 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eering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by simultaneously or simultaneously disconnecting a steering wheel from a steering shaft when the rotator is selected as a sel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dle lock of a boarding toy.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용 탑승완구의 전방부에 결합되는 핸들; 상기 핸들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부 내측면에 가압돌기가 형성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체를 정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시 상기 핸들이 회전체와 동시에 회전되거나 또는 핸들만 아이들 회전되도록 하는 록킹부; 상기 회전체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기 핸들과 결합되어 핸들의 회전에 의해 동시에 회전되는 결합부; 및 상기 회전체가 정회전되어 핸들과 동시에 회전될 시 자가운전모드로, 상기 회전체가 역회전되어 핸들만 아이들 회전 될 시 무선운전모드로 전환하되, 상기 가압돌기에 의해 조작되는 전환 스위치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y vehicle comprising: a handle coupled to a front portion of a toy vehicle; A rotating bod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handle, wherein a press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upper inner surface; A locking unit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rotating body to rotate the handle simultaneously with the rotating body or rotate the handle only when the rotating body rotates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n engaging portion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body, the engaging portion being engaged with the handle and simultaneously rotated by rotation of the handle; And a change-over switch operated by the pressing protrusion when the rotating body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simultaneously rotates with the handle in a self-operation mode, when the rotating body is reversely rotated so that only the handle is idly rotated, do.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핸들의 하부와 결합되되, 상기 회전체의 내측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돌기가 양측부에 형성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고, 외측부에 일정구간 돌출되는 가압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승하강수단 관통공에 인출입되는 승하강부재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locking portion includes: a fram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handle, wherein a coupling protrusion for engaging with the inside of the rotator is formed at both sides; And an elevating and lowering memb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frame and integrally formed with a pressing member protruding from the outer side of the fram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being drawn into and out of the elevating and lowering means through hol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와 록킹부는, 상기 회전체의 내측벽면에 파형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켰을 시 상기 돌기에 의해 상기 돌출부가 가압되어 상기 승하강부재가 하강되면서 상기 핸들의 연결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rotating body and the locking portion have wave protrusions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so that when the rotating body is rotated, the protrusions are pressed by the protrusions to lower the lifting and lowering member And the connection of the handle is releas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회전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결합되어 외부로 돌출되되, 상기 핸들의 중심부 내측에 일부가 삽입되는 돌출부재; 상기 돌출부재와 하우징 내측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돌출부재를 탄성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engaging portion includes: a housing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body; A protruding member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projecting to the outside, the protruding member partially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handle; And a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projecting member and the inside of the housing to elastically support the projecting member.

본 발명의 탑승완구의 핸들 록에 의하면, 첫째, 탑승완구에 탑승한 유아 또는 어린이가 실수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자가운전 또는 무선운전 모드의 조작오류 및 미숙한 핸들 조작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handle lock of the boarding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ly, a safety accident which can be caused by a malfunction of the self-driving or wireless driving mode and an inexperienced handle operation which may occur due to a child accidentally caused by a child or a child, Can be prevented.

둘째, 상기한 회전체를 정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스위치의 온/오프 작동과 동시에 핸들이 조향축과 연결 또는 연결해제를 동시에 할 수 있어 유아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when rotating the rotary body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he steering wheel can be connected or disconnected simultaneously with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switch, thereby enhancing the safety of the child.

셋째, 자가운전 또는 무선운전 모드의 전환을 위한 스위치가 외부에 설치되어 있지 않아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으며, 미관상 깔끔해지는 효과가 있다.Third, since a switch for switching the self-driving mode or the radio driving mode is not provided on the outside, erroneous operation can be prevented, an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appearance is clean and neat.

도 1은 본 발명의 탑승완구의 핸들 록이 구비된 탑승완구의 핸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회전체를 일부 절개하여 확대한 부분확대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반대편을 나타낸 부분확대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탑승완구의 핸들이 자가운전 모드일 때를 나타낸 평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탑승완구의 핸들이 무선운전 모드일 때를 나타낸 평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 of a boarding toy provided with a handle lock of the boarding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Fig. 3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rotating body of Fig. 1 partially enlarged and enlarged. Fig.
4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posite side of Fig.
5 and 6 are a plan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andle of the loading toy when it is in the self-driving mode.
Figs. 7 and 8 are a plan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andle of the loading toy when it is in the wireless operation mode.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hapes and the lik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can be exaggeratedly express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member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urther,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b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탑승완구의 핸들 록을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handle lock of a ride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탑승완구의 핸들 록이 구비된 탑승완구의 핸들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회전체를 일부 절개하여 확대한 부분확대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반대편을 나타낸 부분확대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 of a ride toy provided with a handle lock of a ride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3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And Fig. 4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posite side of Fi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탑승완구의 핸들 록은, 차량용 탑승완구의 전방부에 결합되는 핸들(10)이 구비된다. 상기 핸들(10)은 공지 기술로 대체하기로 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s. 1 to 4, the handle lock of the ride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handle 10 which is coupl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vehicle ride toy. The handle 10 will be replaced with a known techniqu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핸들(10)의 하부에는, 상부 내측면에 가압돌기(21)가 형성되는 회전체(20)가 결합된다. 상기 회전체(20)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표면에는 복수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회전 시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Meanwhile, a rotating body 20 having a pressing protrusion 21 formed on an upper inner surface thereof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handle 10. The rotating body 20 is formed in a truncated conical shape, and a plurality of concave-convex portions are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to prevent a user's hand from slipping during rotation.

또한, 상기 회전체(20)의 내측벽면에는 곡면이 유연한 파형돌기(22)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돌기(22)는 상기 회전체(20)가 회전될 시 돌출부(33)의 상단부와, 돌기(22)의 하단부가 접하면서 상기 돌출부(33)를 가압하게 되어 승하강부재(32)가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체(20) 및 록킹부(30)의 구체적인 작동상태는 후술에서 살펴보기로 한다.A wave-like projection 22 having a curved surface is protrudingly formed on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20 and the projection 22 projects from the upper end of the projection 33 when the rotating body 20 is rotated,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and lowering member 22 abuts against the projection 33 to lower the lifting member 32. The concrete operation states of the rotating body 20 and the locking portion 30 will be described later.

게다가 상기 회전체(20)의 상부면에는 후술할 승하강수단(32)이 관통되도록 하기 위한 승하강수단 관통공(23)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20 is provided with a lifting and lowering means through-hole 23 for allowing the lifting means 3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pass therethrough.

한편, 상기 회전체(2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체(20)를 정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시 상기 핸들(10)이 회전체(20)와 동시에 회전되거나 또는 핸들(10)만 아이들(idle) 회전되도록 하는 록킹부(30)가 구비된다.When the handle 10 is rotated at the same time as the rotating body 20 or when only the handle 10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idle state idle.

상기 록킹부(3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록킹부(30)는, 상기 핸들(10)의 하부와 결합되되, 상기 회전체(20)의 내측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돌기(34)가 양측부에 형성되는 프레임(31)과, 상기 프레임(31)의 일측에 결합되되, 외측부로 일정구간 돌출부(33)가 형성되는 승하강부재(32)로 구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locking portion 30 is engaged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10, and the engaging protrusion 34 for engaging with the inside of the rotating body 20 is provided on both sides And a lifting member 32 coupled to one side of the frame 31 and having a protruding portion 33 formed at an outer side of the frame 31.

한편, 상기 회전체(20)가 정회전되어 핸들(10)과 동시에 회전될 시 자가운전모드로, 상기 회전체(20)가 역회전되어 핸들(10)만 아이들 회전 될 시 무선운전모드로 전환하되, 상기 가압돌기(21)에 의해 조작되는 전환 스위치(40)가 구비된다.When the rotating body 20 is rotated forwardly and simultaneously rotated with the handle 10, the rotating body 20 is reversely rotated in the self-operation mode, and when the handle 10 rotates idly, (40) operated by the pressing projection (21).

상기 전환 스위치(40)는 상기 가압돌기(21)의 이동반경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설계의 편의상 상기 승하강부재(32)의 반대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The changeover switch 40 is preferably coupl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radius of the pressing projection 21 and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lifting member 32 for convenience of design.

한편, 상기 회전체(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10)과 결합시켜주는 결합부(50)가 구비된다.Meanwhile, a coupling unit 5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body 20 to couple with the handle 10 is provided.

상기 결합부(5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결합부(50)는, 상기 회전체(20)의 상부에 결합되는 하우징(51)과, 상기 하우징(51)의 내측에 결합되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핸들(10)의 중심부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돌출부재(52)로 구성된다. 또한,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돌출부재(52)와 하우징(51) 내측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돌출부재(52)를 탄성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이 더 구성될 수 있다.
The engaging portion 50 includes a housing 51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body 20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51 which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51 and protrudes outward And a protruding member 52 inserted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handle 10. 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in the drawing, a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projecting member 52 and the inside of the housing 51 to elastically support the projecting member 52 may be further configured.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탑승완구의 핸들 록의 작동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ng state of the handle lock of the ride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 및 도 6은 탑승완구의 핸들이 자가운전 모드일 때를 나타낸 평단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탑승완구의 핸들이 무선운전 모드일 때를 나타낸 평단면도 및 사시도이다.FIGS. 5 and 6 are a plan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andle of the boarding toy in the self-operation mode, and FIGS. 7 and 8 are a plan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ase where the handle of the boarding toy is in the wireless operation mode.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탑승완구의 핸들 록은 우선 유아나 어린이가 자가운전모드로 운전을 할 시에는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부재(32)는 핸들(10)의 상부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 즉 회전체(20)의 승하강 수단 관통공(23)에 삽입된 상태가 되어 상기 회전체(20)와 핸들(10)이 동시에 회전하게 되며, 따라서 핸들(10)의 회전에 의해 탑승완구의 전륜 조향축도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환스위치(40)도 오프 상태로 유지되어 무선조종을 할 수 없게 된다.Referring to FIGS. 5 to 8, when the infant or the child drives in the self-driving mode, the handle of the ride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as follows.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rotating body 20 and the handle 10 are rotated at the same time as the rotating body 20 and the handle 10 are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le 20 or the elevating and lowering means through holes 23 of the rotating body 20, The front wheel steering shaft of the boarding toy is rotated simultaneously. At this time, the changeover switch 40 is also kept in the off state, and radio control can not be performed.

이후 보호자가 탑승완구의 무선조종을 위해서는 상기 회전체(20)를 반시계방향인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파형돌기(22)가 서서히 돌출부(33)의 상단부를 향하여 이동하게 되며 최후에는 파형돌기(22)의 하단부와 돌출부(33)의 상단부가 만나게 됨으로서 돌출부(33)는 하강하게 된다. 이후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33)와 연동하는 승하강수단(32)도 같이 하강하게 되면서 상기 핸들(10)의 상부 내측에서 빠져나오게 된다.After that, the protector rotates the rotating body 20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order to perform the radio control of the boarding toy. The corrugated protrusions 22 are gradually moved toward the upper end of the protrusions 33 and finally the lower ends of the corrugated protrusions 22 and the upper ends of the protrusions 33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cause the protrusions 33 to descend.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lifting and lowering means 32 interlocked with the protruding portion 33 also descends and comes out from the in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le 10.

이때 상기 가압돌기(21)도 동시에 이동하면서 전환스위치(40)를 가압하게 되어, 그로 인해 보호자의 무선조종도 가능하게 되며, 유아나 어린이는 상기 핸들(10)을 회전하더라도 핸들(10)만 겉돌게 되는 즉, 아이들 회전만이 가능하게 되어 보호자가 탑승완구를 이동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조종이 가능해진다.At this time, the pressing protrusion 21 also moves simultaneously and presses the changeover switch 40, thereby enabling wireless control of the protector. Even if the infant or child rotates the handle 10, That is, only the idle rotation is possible, so that the caregiver can steer the vehicl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toddler wants to move.

다시 탑승완구를 자가운전 모드로 전환하고자 할 시에는 상기한 설명의 무선운전 모드 역순으로 즉 회전체(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되는 것이다.When the toys are to be switched to the self-driving mode, the rotating body 20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the reverse order of the wireless operation mode described above.

상기한 전환스위치(40)를 온오프함에 따라 무선조종의 가능하게 되는 구성은 일반적인 무선조종 탑승완구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radio control can be performed by turning on / off the above-described changeover switch 40 is also applied to a general radio-controlled ride-on toy,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탑승완구의 핸들 록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 of the handle lock of the inventive ride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You will know very well.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핸들 20 : 회전체
21 : 가압돌기 22 : 파형돌기
23 : 승하강 수단 관통공
30 : 록킹부 31 : 프레임
32 : 승하강수단 33 : 돌출부
34 : 결합돌기 40 : 전환스위치
50 : 결합부 51 : 하우징
52 : 돌출부재
10: handle 20: rotating body
21: pressing projection 22: corrugated projection
23: lifting and lowering means through hole
30: locking portion 31: frame
32: ascending / descending means 33:
34: engaging projection 40: changeover switch
50: engaging portion 51: housing
52:

Claims (4)

차량용 탑승완구의 전방부에 결합되고 하부면이 개방되며 내측이 비어 있는 원통부를 하부에 형성하는 핸들(10);
상부면이 상기 핸들(10)의 원통부의 하부면에 맞닿아 있고, 상부 내측면에 가압돌기(21)가 형성되고, 내측벽면에 곡면이 유연한 파형돌기(22)가 돌출 형성되며, 일측에 관통공(23)이 형성되는 회전체(20);
상기 회전체(20)의 내측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돌기(34)가 양측부에 형성되는 프레임(31)과, 상기 프레임(31)의 일측에 결합되되, 외측부로 일정구간 돌출되는 돌출부(33)와 연동하는 승하강부재(32)를 구비한 록킹부(30); 및
상기 회전체(20)의 상부에 결합하는 하우징(51)과, 상기 하우징(51)의 내측에 결합되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핸들(10)의 하부에 형성된 원통부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돌출부재(52)로 구성되는 결합부(50)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체(2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파형돌기(22)의 하단부와 상기 돌출부(33)의 상단부가 만나게 되어 상기 돌출부(33)를 하강하고 상기 돌출부(33)와 연동하는 상기 승하강부재(32)를 하강하면 상기 승하강부재(32)가 상기 핸들(10)의 결합부(50)와 분리되어 상기 핸들(10)의 하부에 형성된 원통부가 상기 회전체(20)의 상부에서 헛돌며,
상기 회전체(2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파형돌기(22)의 하단부와 상기 돌출부(33)의 상단부에서 벗어나 상기 돌출부(33)를 상승시키고 상기 돌출부(33)와 연동하는 상기 승하강부재(32)를 함께 상승시켜 상기 승하강부재(32)가 상기 회전체(20)의 관통공(23)을 관통하여 상부 방향으로 튀어 나오면서 상기 승하강부재(32)가 상기 핸들(10)의 결합부(50)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체(20)와 상기 핸들(10)이 동시에 회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완구의 핸들 록.
A handle (10) coupled to a front portion of a vehicle-mounted toy and having a lower portion opened and a hollow interior with a hollow interior;
A pressing protrusion 21 is formed on the upper inner surface, a wave protrusion 22 having a curved surface is protruded and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A rotating body 20 in which a hole 23 is formed;
A frame 31 formed at both sides of a coupling protrusion 34 for coupling with the inside of the rotating body 20 and a protrusion 33 coupled to one side of the frame 31, A locking part (30) provided with a lifting member (32) linked with the lifting member (32); And
A housing 51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body 20 and a protruding member 52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portion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10, And an engaging portion (50) constituted by an engaging portion (52)
The lower end of the corrugated protrusion 22 and the upper end of the protruding portion 33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lower the protruding portion 33 and interlock with the protruding portion 33 Descending member 32 is separated from the engaging portion 50 of the handle 10 so that a cylindrical portion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10 is separated from the engaging portion 50 of the handle 10, Idle from the top,
When the rotating body 20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protrusion 33 is lifted off the lower end of the wave protrusion 22 and the upper end of the protrusion 33,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member 32 is lifted up together with the descending member 32 so that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member 32 protrudes upwardly through the through hole 23 of the rotating body 20,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art (50) of the handle (10), so that the rotating body (20) and the handle (10) are simultaneously rot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2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가압돌기(21)가 상기 프레임(31)의 상부면에 형성된 전환스위치(40)를 가압하여 상기 전환스위치(40)를 온시켜 상기 회전체(20)에서 상기 핸들(10)의 원통부가 헛돌게 되는 아이들(Idle) 회전되어 무선 조정이 가능한 무선운전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회전체(2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가압돌기(21)가 상기 프레임(31)의 상부면에 형성된 전환스위치(40)를 가압하여 상기 전환스위치(40)를 오프시켜 상기 회전체(20)와 상기 핸들(10)이 동시에 회전하게 되어 무선 조정이 불가능한 자가운전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완구의 핸들 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ing projection 21 presses the changeover switch 4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31 to turn on the changeover switch 40 to turn the rotary body 20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cylindrical portion of the handle 10 is rotated idle in the rotating body 20 to switch to a wireless operation mode capable of wireless adjustment,
The pressing projection 21 presses the changeover switch 4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31 to turn the changeover switch 40 off (20) and the handle (10) rotate at the same time to switch to a self-driving mode in which wireless adjustment is impossibl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071368A 2014-03-21 2014-06-12 Rock handle of riding toy KR10162806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371 2014-03-21
KR20140033371 2014-03-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247A KR20150110247A (en) 2015-10-02
KR101628063B1 true KR101628063B1 (en) 2016-06-09

Family

ID=54341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1368A KR101628063B1 (en) 2014-03-21 2014-06-12 Rock handle of riding to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806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981Y1 (en) 2003-02-20 2003-05-22 김현호 a passenger toys
KR200465779Y1 (en) 2012-12-05 2013-03-18 주식회사 파파야구 Ride-On Toys steer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6585A (en) * 1988-07-15 1990-01-29 Arii Seisakusho:Kk Wheel for toy automobi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981Y1 (en) 2003-02-20 2003-05-22 김현호 a passenger toys
KR200465779Y1 (en) 2012-12-05 2013-03-18 주식회사 파파야구 Ride-On Toys steer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247A (en) 2015-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9197B1 (en) Toy vehicle with enhanced jumping capability
KR200474422Y1 (en) Baby stroller attached electric moving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the speed without using hands
US8628109B2 (en) User interface for a power folding stroller
CN104085438B (en) Steering wheel of baby carrier
KR101628063B1 (en) Rock handle of riding toy
TWI767319B (en) Child carrier
CN205554291U (en) Brake mechanism and children's shallow of children's shallow
JP6167066B2 (en) Radio control transmitter
WO2017206770A1 (en) Swinging stroller
KR200465779Y1 (en) Ride-On Toys steering device
CN105564497B (en) A kind of perambulator
CN205499044U (en) Bassinet turns to supplementary slewing mechanism
US8668546B2 (en) Remote signal responsive small vehicle with free wheeling feature
CN208371387U (en) A kind of mechanism controlling go-cart scope of activities and the go-cart using it
KR200303416Y1 (en) Electromotive a baby carriage
TWI545045B (en) A wheel orientation mechanism and a mobile device having the mechanism
JP4456932B2 (en) Small electric car
JP2011046367A (en) Electric stroller
WO2017062351A1 (en) Ride-on vehicle mechanism
KR102516679B1 (en) Brackets for and electric car for kids using the same
CN201343119Y (en) Brake device for baby carrier
CN105620546B (en) A kind of perambulator steering assistance rotating mechanism
CN207784800U (en) It learns to walk in a kind of children's room device
CN203854707U (en) Steering wheel for buggy
KR101560677B1 (en) Non-contact forward backward lever for electronic boarding to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