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722B1 - 원자력 발전소의 노심손상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기기들의 공간적 배치 적정성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원자력 발전소의 노심손상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기기들의 공간적 배치 적정성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722B1
KR101626722B1 KR1020150099027A KR20150099027A KR101626722B1 KR 101626722 B1 KR101626722 B1 KR 101626722B1 KR 1020150099027 A KR1020150099027 A KR 1020150099027A KR 20150099027 A KR20150099027 A KR 20150099027A KR 101626722 B1 KR101626722 B1 KR 101626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
evaluation
power plant
core damage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9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혁순
김명수
배연경
이현교
나장환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9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7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G21D3/04Safety arrangemen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fuel or fuel elements outside the reactor core, e.g. for burn-up, for contam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의 노심손상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기기들의 공간적 배치 적정성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노심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격실 파손의 조합이 공간적으로 충분히 안전하게 분리되어 있는지를 평가하여 설계단계에서 이를 보완하도록 하며, 운영 중인 원자력 발전소에 광역상실 사고 발생 시 노심손상 여부를 즉각 판단하여 신속하게 대응 전략 및 방안을 수립할 수 있도록 의사판단을 지원하도록 하며, 다량으로 도출된 노심손상 시나리오에 대하여 각각의 격실 파손 조합을 체계적으로 검토하여 설계자의 인적오류를 방지하고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하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 접근 권한 및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 워크스테이션 또는 서버에 사용자 권한을 정의하는 사용자 관리부; 발전소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발전소 정보 저장부; 공간적 배치를 위한 정성적 평가 기준 및 가점 방식을 이용하여 정량적 평가 기준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평가 기준 관리부; 노심손상을 유발하는 격실 조합에 관한 시나리오 목록을 수신하여, 파일 또는 2차원/3차원 도면 상에서 입력 및 수정하는 시나리오 입력부; 및 격실 조합에 대한 각각의 시나리오에 대하여, 격실배치 적정성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제공하는 평가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자력 발전소의 노심손상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기기들의 공간적 배치 적정성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SPATIAL DISTRIBUTION ADEQUACY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FOR SAFETY RELATED EQUIPMENT TO PREVENT CORE DAMAGE DURING LARGE AREA LOSS AT NUCLEAR POWER PLANTS}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에 자연적 또는 인위적 원인으로 광역에 걸쳐 대규모의 피해가 발생할 경우, 노심손상 방지를 위하여 작동시킬 수 있는 기기들의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관련 기기의 설치 위치가 적절한지 평가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출 가능한 모든 노심손상 유발 시나리오에 대하여 해당 격실들이 공간적으로 충분히 분리되어 상호 영향을 주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지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소는 방사성 물질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안전성을 검토하고 있다.
안정성을 검토하는 기법중 하나로 확률론적 안전성 평가(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 PSA) 방식이 있으며, 이를 통하여 노심손상을 유발하는 다양한 조합의 기기 작동실패 시나리오를 도출한다.
또한, 고장수목 기법을 이용하여 기기 자체의 문제점 뿐 아니라, 기기의 작동에 영향을 주는 보조계통의 작동영향을 보다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화재 또는 침수 발생으로 인하여 기기를 작동하지 못하는 상황에 대해서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종래에는 원자력 발전소 설계 시 사보타주 또는 폭발/화재 등 인위적인 대규모 재해 측면의 검토보다는 정상운전 중 기기의 고장을 위주로 안전해석을 수행하였다.
확률론적 안전성 평가 역시, 원자력 발전소의 노심손상 및 기타 리스크에 대하여 기기단위의 평가를 수행하고 있으며, 관련 기기들의 공간적 배치에 대해서는 크게 고려하고 있지 않다.
또한, 대규모 자연 재해 또는 사보타주와 같은 인위적 요인의 리스크 평가를 위하여 공간 개념의 노심손상 시나리오를 도출하여도, 그 결과를 원전 설계에 활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상황이다.
더불어, 확률론적 안전성 평가의 고장수목 평가 방법으로 도출되는 노심손상 시나리오(파손되는 격실의 조합)의 개수가 수천 내지 수만개 이상이어서 이를 개별적으로 검토하는 것 역시 불가능 하다.
[선행기술문헌]한국공개특허 10-2008-004035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노심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격실 파손의 조합이 공간적으로 충분히 안전하게 분리되어 있는지를 평가하여 설계단계에서 이를 보완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운영 중인 원자력 발전소에 광역상실 사고 발생 시 노심손상 여부를 즉각 판단하여 신속하게 대응 전략 및 방안을 수립할 수 있도록 의사판단을 지원하도록 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다량으로 도출된 노심손상 시나리오에 대하여 각각의 격실 파손 조합을 체계적으로 검토하여 설계자의 인적오류를 방지하고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하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 과제의 해결 수단은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의 노심손상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기기들의 공간적 배치 적정성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 접근 권한 및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 워크스테이션 또는 서버에 사용자 권한을 정의하는 사용자 관리부; 발전소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발전소 정보 저장부; 공간적 배치를 위한 정성적 평가 기준 및 가점 방식을 이용하여 정량적 평가 기준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평가 기준 관리부; 노심손상을 유발하는 격실 조합에 관한 시나리오 목록을 수신하여, 파일 또는 2차원/3차원 도면 상에서 입력 및 수정하는 시나리오 입력부; 및 격실 조합에 대한 각각의 시나리오에 대하여, 격실배치 적정성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제공하는 평가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발전소 정보는, 건물 목록, 격실 목록, 격실별 기기목록, 격실별 좌표 및 격실간 벽 두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정성적 평가 기준은, 건물간 이격거리, 격실간 벽두께, 격실간 이격거리, 격실간 벽의 개수, 격실간 화재 및 침수 전파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의 노심손상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기기들의 공간적 배치 적정성 평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사용자 관리부가 사용자 접근 권한 및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 워크스테이션 또는 서버에 사용자 권한을 정의하는 단계; (b) 평가 기준 관리부가 발전소 정보를 바탕으로, 공간적 배치를 위한 정성적 평가 기준 및 가점 방식을 이용하여 정량적 평가 기준을 생성하는 단계; (c) 시나리오 입력부가 노심손상을 유발하는 격실 조합에 관한 시나리오 목록을 수신하여, 파일 또는 2차원/3차원 도면 상에서 입력 및 수정하는 단계; 및 (d) 평가부가 격실 조합에 대한 각각의 시나리오에 대하여, 격실배치 적정성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발전소 정보는, 건물 목록, 격실 목록, 격실별 기기목록, 격실별 좌표 및 격실간 벽 두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정성적 평가 기준은, 건물간 이격거리, 격실간 벽두께, 격실간 이격거리, 격실간 벽의 개수, 격실간 화재 및 침수 전파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원자력 발전소 확률론적 안전성 평가 기법을 기반으로 도출한 수천 내지 수만 개의 노심손상 시나리오에 대하여, 노심손상 방지에 사용되는 기기 및 보조계통이 위치한 격실들이 공간적으로 충분히 격리되어 있는지를 평가하여, 설계단계에서 격실 재배치 또는 설계 변경으로 이를 보완하고, 운영 중인 발전소의 경우 자연적 또는 사보타주와 같은 인위적 원인으로 광역피해가 발생하는 사고에 대하여 노심손상 방지라는 안전해석 측면에서 대응방안을 사전에 수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사고 발생시 노심손상 여부를 빠르게 평가하여 사고 초기의 대응 전략수립 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노심손상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기기들의 공간적 배치 적정성 평가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노심손상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기기들의 공간적 배치 적정성 평가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노심손상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기기들의 공간적 배치 적정성 평가 시스템에 관하여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노심손상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기기들의 공간적 배치 적정성 평가 시스템(S)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전체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관리부(100), 발전소 정보 저장부(200), 평가 기준 관리부(300), 시나리오 입력부(400) 및 평가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사용자 관리부(100)는 사용자 접근 권한 및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 워크스테이션 또는 서버에 사용자 권한을 정의한다.
발전소 정보 저장부(200)는 발전소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발전소 정보는 건물 목록, 격실 목록, 격실별 기기목록, 격실별 좌표 및 격실간 벽 두께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평가 기준 관리부(300)는 공간적 배치를 위한 정성적 평가 기준 및 가점 방식 등을 이용하여 정량적 평가 기준을 생성하고, 관리한다.
여기서, 평가의 기준은 건물간 이격거리, 격실간 벽두께, 격실간 이격거리, 격실간 벽의 개수, 격실간 화재 및 침수 전파 여부 등을 포함한다. 분석에 적용되는 거리, 두께, 벽의 개수 등에 대한 기술기준은 별도의 공학적 분석을 통하여 산출하거나 준수하여야 할 법적 요건 또는 전문가 판단으로 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한 격실간 거리는 30미터 이상 격리되어야 하며 벽의 두께는 최소 30CM 이상이 되고, 해당 격실 사이에는 1개 이상의 격실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기준을 수립할 수 있다. 사용자는 격실간 거리 10미터 당 1점씩의 점수를 부여할 수 있으며, 벽의 두께, 격실의 개수 등도 유사한 방법으로 점수 부여가 가능하다. 시설의 특성에 따라 각각의 요소에 대한 가중치를 달리 할 수 있다.
시나리오 입력부(400)는 노심손상을 유발하는 격실 조합에 관한 시나리오 목록을 수신하여, 파일 또는 2차원/3차원 도면 상에서 입력 및 수정한다. 상용 원자력 발전소의 설계 특성 상 1개의 격실 파손으로도 노심손상을 유발 할 수 있는 경우는 매우 제한 적이다. 하지만, 2개 이상의 특정 격실이 파손되어 해당 격실에 위치한 기기들이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경우 노심손상을 유발 할 수도 있다. 노심손상을 유발 할 수 있는 격실의 조합은 확률론적안전성평가(Probabilistc Safety Analysis; PSA)에 기반한 핵심구역파악을 통해 별도로 도출 할 수 있다.
시나리오 개발 시 격실내 모든 기기의 작동불능, 화재의 발생으로 인한 구동 전원 및 제어신호의 상실, 탱크 또는 배관의 파손으로 인한 침수 발생 및 그에 따른 인근 격실의 기기 작동상실을 각각 또는 각각의 조합으로 구성할 수 있다.
시나리오의 형태는 전산파일(엑셀 또는 텍스트 파일 등)에 격실1과 격실2를 하나의 묶음으로 하여 평가 시스템에 입력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격실1, 격실2, 격실3과 같이 3개 격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받은 해당 격실을 사용자의 화면상에 2차원/3차원 형태의 도면으로 표현하며, 사용자는 해당 격실들의 물리적 위치를 판단하고 필요시 해당화면에서 직접 격실을 지정하여 분석 시나리오를 수정하거나 추가, 삭제 할 수 있다.
평가부(500)는 격실 조합에 대한 각각의 시나리오에 대하여, 격실배치 적정성(SPATIAL DISTRIBUTION ADEQUACY 또는 SDA)을 평가하고, 평가기준 불만족 항목 및 재검토 우선순위 등 사용자에게 평가 결과를 제공한다.
이때, 평가부(500)는 발전소 정보 및 정성적 평가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건물간 배치 적정성을 평가한다.
또한, 평가부(500)는 발전소 정보와 정성적 평가 기준 및 격실 조합에 관한 시나리오 정보를 이용하여, 격실간 벽 두께와 개수를 고려한 적정성을 평가하고, 발전소 정보와 정성적 평가 기준 및 격실 조합에 관한 시나리오 정보를 이용하여, 격실간 최단거리 또는 중심거리 기준을 고려한 적정성을 평가한다.
정성적 평가는 평가 기준 관리부(300)에서 설정한 기술기준을 만족 또는 불만족 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정량적 평가는 사용자가 각각의 기술기준 항목에 평가 점수를 부여하고 총 합을 구하는 방식으로 최종 점수가 일정 수준을 만족하는지를 검사하는 방법이다. 정성적 평가와 정량적 평가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격실배치 적정성 평가 지표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각각의 평가지표에 대하여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정량적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각각의 시나리오별 점수를 정렬할 수 있으며, 전체 시나리오에 대하여 격실별로 점수를 합산 또는 빈도를 구하여 설계상 취약 또는 개선이 필요한 격실을 도출 할 수 있다.
격실간 화재 및 침수 전파 여부 등의 추가정보를 바탕으로 적정성을 평가한다. 이를 바탕으로 화재에 취약한 격실 또는 침수에 취약한 격실을 선별할 수 있으며, 그 특성을 고려하여 전원 또는 제어 전선, 배관, 탱크의 위치 등에 대한 재배치를 고려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시스템을 이용한 원자력 발전소의 노심손상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기기들의 공간적 배치 적정성 평가 방법에 관하여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노심손상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기기들의 공간적 배치 적정성 평가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관리부(100)는 사용자 접근 권한 및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 워크스테이션 또는 서버에 사용자 권한을 정의하며(S10), 평가 기준 관리부(300)는 발전소 정보 저장부(200)에 저장된 발전소 정보를 바탕으로, 공간적 배치를 위한 정성적 평가 기준 및 가점 방식 등을 이용하여 정량적 평가 기준을 생성한다(S20).
이후, 시나리오 입력부(400)는 노심손상을 유발하는 격실 조합에 관한 시나리오 목록을 수신하여, 파일 또는 2차원/3차원 도면 상에서 입력 및 수정한다(S30).
그리고, 평가부(500)는 격실 조합에 대한 각각의 시나리오에 대하여, 격실배치 적정성을 평가하고(S40), 평가기준 불만족 항목 및 재검토 우선순위 등 사용자에게 평가 결과를 제공한다(S50).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평가부(500)는 발전소 정보 및 정성적 평가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건물간 배치 적정성을 평가한다.
또한, 평가부(500)는 발전소 정보와 정성적 평가 기준 및 격실 조합에 관한 시나리오 정보를 이용하여, 격실간 벽 두께와 개수를 고려한 적정성을 평가하고, 발전소 정보와 정성적 평가 기준 및 격실 조합에 관한 시나리오 정보를 이용하여, 격실간 최단거리 또는 중심거리 기준을 고려한 적정성을 평가한다. 그리고, 격실간 화재 및 침수 전파 여부 등의 추가정보를 바탕으로 적정성을 평가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사용자 관리부 200: 발전소 정보 저장부
300: 평가 기준 관리부 400: 시나리오 입력부
500: 평가부

Claims (6)

  1. 사용자 접근 권한 및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 워크스테이션 또는 서버에 사용자 권한을 정의하는 사용자 관리부;
    발전소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발전소 정보 저장부;
    공간적 배치를 위한 정성적 평가 기준 및 가점 방식을 이용하여 정량적 평가 기준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평가 기준 관리부;
    노심손상을 유발하는 격실 조합에 관한 시나리오 목록을 수신하여, 파일 또는 2차원 또는 3차원 도면 상에서 입력 및 수정하는 시나리오 입력부; 및
    격실 조합에 대한 각각의 시나리오에 대하여, 격실 배치의 적정성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제공하는 평가부를 포함하되,
    상기 발전소 정보는 건물 목록, 격실 목록, 격실별 기기목록, 격실별 좌표 및 격실간 벽 두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노심손상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기기들의 공간적 배치 적정성 평가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성적 평가 기준은 건물간 이격거리, 격실간 벽두께, 격실간 이격거리, 격실간 벽의 개수, 격실간 화재 및 침수 전파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노심손상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기기들의 공간적 배치 적정성 평가 시스템.
  4. (a) 사용자 관리부가 사용자 접근 권한 및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 워크스테이션 또는 서버에 사용자 권한을 정의하는 단계;
    (b) 평가 기준 관리부가 발전소 정보를 바탕으로, 공간적 배치를 위한 정성적 평가 기준 및 가점 방식을 이용하여 정량적 평가 기준을 생성하는 단계;
    (c) 시나리오 입력부가 노심손상을 유발하는 격실 조합에 관한 시나리오 목록을 수신하여, 파일 또는 2차원/3차원 도면 상에서 입력 및 수정하는 단계; 및
    (d) 평가부가 격실 조합에 대한 각각의 시나리오에 대하여, 격실 배치의 적정성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발전소 정보는 건물 목록, 격실 목록, 격실별 기기목록, 격실별 좌표 및 격실간 벽 두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노심손상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기기들의 공간적 배치 적정성 평가 방법.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성적 평가 기준은 건물간 이격거리, 격실간 벽두께, 격실간 이격거리, 격실간 벽의 개수, 격실간 화재 및 침수 전파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노심손상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기기들의 공간적 배치 적정성 평가 방법.
KR1020150099027A 2015-07-13 2015-07-13 원자력 발전소의 노심손상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기기들의 공간적 배치 적정성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26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027A KR101626722B1 (ko) 2015-07-13 2015-07-13 원자력 발전소의 노심손상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기기들의 공간적 배치 적정성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027A KR101626722B1 (ko) 2015-07-13 2015-07-13 원자력 발전소의 노심손상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기기들의 공간적 배치 적정성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6722B1 true KR101626722B1 (ko) 2016-06-01

Family

ID=56138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027A KR101626722B1 (ko) 2015-07-13 2015-07-13 원자력 발전소의 노심손상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기기들의 공간적 배치 적정성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7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20586C2 (ru) * 2016-04-06 2020-05-12 Кепко Ньюклеар Фьюэл Ко., Лтд. Система определения допустимого предела корреляци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итеративной перекрестной валидации и способ ее выполнения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027B1 (ko) * 2011-08-26 2012-12-0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발전소 디지털계측제어계통의 사이버보안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496756B1 (ko) * 2013-09-16 2015-02-2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의 격실 건전성을 반영한 보안 대응 시나리오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027B1 (ko) * 2011-08-26 2012-12-0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발전소 디지털계측제어계통의 사이버보안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496756B1 (ko) * 2013-09-16 2015-02-2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의 격실 건전성을 반영한 보안 대응 시나리오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20586C2 (ru) * 2016-04-06 2020-05-12 Кепко Ньюклеар Фьюэл Ко., Лтд. Система определения допустимого предела корреляци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итеративной перекрестной валидации и способ ее выполнения
RU2720586C9 (ru) * 2016-04-06 2020-09-18 Кепко Ньюклеар Фьюэл Ко., Лтд. Система определения допустимого предела корреляци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итеративной перекрестной валидации и способ ее выполнени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orter et al. Estimating earthquake-induced failure probability and downtime of critical facilities
Lavrov et al. Automation of functional reliability evaluation for critical human-machine control systems
Garcez et al. Multidimensional risk assessment of manhole events as a decision tool for ranking the vaults of an underground electricity distribution system
Bao et al. Hazard analysis for identifying common cause failures of digital safety systems using a redundancy-guided systems-theoretic approach
Ale Risk analysis and big data
Park et al. SAMEX: A severe accident management support expert
KR102232876B1 (ko) 디지털 설비의 고장 유형 분석 시스템 및 방법
Himanen et al. Risk‐Informed Regulation and Safety Management of Nuclear Power Plants—On the Prevention of Severe Accidents
Prochazkova et al. Risk Management at Technical Facilities Designing, Building and Commissioning
KR101626722B1 (ko) 원자력 발전소의 노심손상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기기들의 공간적 배치 적정성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Hu et al. Determination of optimal MR&R policies for retaining life-cycle connectivity of bridge networks
KR101714029B1 (ko)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평가 시스템 및 방법
Samanta et al. Regulatory Review of Micro-Reactors: Initial Considerations
Falk et al. Challenges in performing technical safety reviews of modifications–a case study
Skow et al. Distribution Reliability Using Machine Learning
van Xanten et al. Risk evaluation in Dutch land-use planning
Kaspar et al. Integrated Fire Probabilistic Risk Assessment (PRA) Modeling in Support of Operational Efficiency
Cacciabue et al. 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 and Management’96: ESREL’96—PSAM-III June 24–28 1996, Crete, Greece Volume 1
Alzbutas et al. Risk zoning in relation to risk of external events (application to IRIS design)
Torabi Canadian licensing framework of CANDU reactors and safety analysis challenges in the allocation of Emergency Mitigating Equipment
Lawrence et al. Risk-Informed Initiating Events and Accident Response
Mashele et al. Safety Case Nuclear Engineering
Kompella Advancements in Safety Assessment Methods and Techniques for Analysis of Internal and External Hazards
Koskinen Evaluation of simulation tool for Safe Return to Port assessment
Bao et al. Hazard Analysis of Digital Engineered Safety Features Actuation System in Advanced Nuclear Power Plants Using a Redundancy-Guided Approa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