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566B1 - 스마트 미터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미터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566B1
KR101625566B1 KR1020140179612A KR20140179612A KR101625566B1 KR 101625566 B1 KR101625566 B1 KR 101625566B1 KR 1020140179612 A KR1020140179612 A KR 1020140179612A KR 20140179612 A KR20140179612 A KR 20140179612A KR 101625566 B1 KR101625566 B1 KR 101625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mart meter
power
current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9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병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테크
Priority to KR1020140179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5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007Adapted for special tariff measu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06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measuring current and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133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using digital techniq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스마트 미터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스마트 미터는 원격 전력 제어 장치와 연동 가능한 스마트 미터로서, 옥내 전력을 제공하는 배전반으로부터 아날로그 전압 및 전류를 검침하는 검침부; 검침된 아날로그 전압 및 전류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부; 아날로그 전압 및 전류를 디지털 전압 및 전류로 변환하는 ADC; 변환된 디지털 전류 및 전압 값으로 사용 전력량을 산출하는 사용 전력량 산출부; 사용자 단말의 지시에 따라, 스마트 미터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 단말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미터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 장치{Remote power control device using smart meter}
본 발명은 스마트 미터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폰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여 전력 사용량 및 사용 요금을 표시 및 제어하는 스마트 미터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기 계량기의 검침 방법은 검침원들이 직접 계량기를 찾아가서 계량기 수치를 확인하고, 확인한 데이터를 기록한 후, 다시 기록된 내용을 컴퓨터에 입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수동 방식의 검침은 수행하는 중에 오차가 발생될 수 있고, 시간적, 경제적 측면에서 많은 낭비를 수반하게 된다. 따라서, 배전반 검침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검침 방법 및 원격으로 검침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미터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또한, 각각의 배전반을 중앙에서 관리하는 중앙 시스템은 검침 데이터를 관리하기 용이하다는 것에 반해, 개별적인 배전반의 제어는 용이하지 않아 필요없는 전기가 낭비될 수 있다. 이에 각각의 배전반을 따로 관리하여 보다 전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전력 관리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KR 2001-0029518 A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배전반에서 검침된 데이터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어, 사용 전력량 및 사용 요금을 표시 및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미터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원격 전력 제어 장치와 연동 가능한 스마트 미터로서, 옥내 전력을 제공하는 배전반으로부터 아날로그 전압 및 전류를 검침하는 검침부; 상기 검침된 아날로그 전압 및 전류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부; 상기 아날로그 전압 및 전류를 디지털 전압 및 전류로 변환하는 ADC; 상기 변환된 디지털 전압 및 전류 값으로 상기 사용 전력량을 산출하는 사용 전력량 산출부; 상기 원격 전력 제어 장치의 지시에 따라, 상기 스마트 미터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원격 전력 제어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미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구역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미터와 연동 가능한 원격 전력 제어 장치로서, 상기 스마트 미터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 전력량에서 사용 요금을 산출하는 요금 산출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목표 사용 전력량, 목표 사용 요금, 네트워크 아이피 및 모니터링 구역이 입력되는 설정부; 상기 설정된 모니터링 구역별, 사용 전력량, 사용 요금, 목표 사용 전력량 및 목표 사용 요금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수신된 사용 전력량 또는 상기 산출된 사용 요금이 상기 설정된 목표 사용 전력량 또는 상기 설정된 목표 사용 요금에 도달하면 알람하는 알람부; 상기 수신된 사용 전력량 및 상기 산출된 사용 요금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알람에 의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스마트 미터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미터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미터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 장치는 배전반 검침시 노이즈를 제거하여 오차를 줄일 수 있어 사용 전력량 산출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미터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 장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원격으로 배전반을 구역별로 제어할 수 있어 에너지의 효율적 사용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미터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미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미터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 장치의 동작 순서도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미터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미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미터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 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미터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 장치(10)는 스마트 미터(100), 무선 중계기(200) 및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한다.
스마트 미터(100)는 배전반에 설치될 수 있고, 특히,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구역에 대응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검침부(110), 노이즈 제거부(120), ADC(130), 전력량 산출부(140), 제어부(150) 및 통신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검침부(110)는 옥내 전력을 제공하는 배전반으로부터 아날로그 전압 및 전류를 검침할 수 있다.
노이즈 제거부(120)는 검침된 아날로그 전압 및 전류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노이즈 제거부(120)는 노이즈로 인한 데이터 왜곡으로 인한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선형 필터보다는 필터링 특성이 더 우수한 적응 노이즈 제거기(Adaptive Noise Canceler; ANC)와 같은 적응 필터를 이용하여 더 효과적으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이즈 제거부(120)는 FIR 필터 형태의 적응 필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주입력에 검침부(110)에서 검침된 아날로그 신호가 인가되고, 기준 입력에 검침된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제거하고자 하는 특정 노이즈 주파수 성분(예를 들면, 60[Hz], 120[Hz], …)이 인가될 수 있다. 이때, FIR 필터는 주입력과 기준 입력과의 출력 차이가 최소가 되도록하는 적응 필터의 개수를 조정함으로써, 주입력에 포함된 노이즈 성분이 지속적으로 제거되어 노이즈가 최소화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ADC(130)는 무선 통신 등과 같은 이후의 신호 처리에 적합하도록 노이즈 제거부(120)에서 노이즈가 제거된 아날로그 전압 및 전류를 디지털 전압 및 전류로 변환할 수 있다.
전력량 산출부(140)는 ADC(130)에서 변환된 디지털 전압 및 전류 값으로부터 사용 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력량 산출부(140)는 전압 값과 전류 값을 이용하여 해당 전력을 산출할 수 있고, 산출된 전력에 사용 시간을 연산하여 사용 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전력량 산출부(140)에서 산출된 사용 전력량을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의 지시에 따라, 스마트 미터(100)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160)는 802.11 b/g/n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무선 중계기(200)를 통해 와이파이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30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원격 전력 제어 장치로서, 스마트 미터(100)로부터 산출된 사용 전력량을 수신하고, 스마트 미터(10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고, 통신부(310), 요금 산출부(320), 설정부(330), 제어부(340), 디스플레이부(350), 알람부(360) 및 저장부(370)를 포함한다.
통신부(310)는 무선 중계기(200)를 통해 와이파이 방식으로 스마트 미터(1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스마트 미터(100)에서 전송하는 사용 전력량을 수신할 수 있다.
요금 산출부(320)는 누진세가 적용되는 전력 구간 정보 및 구간별 요금 정보를 기반하여 스마트 미터(100)로부터 수신된 사용 전력량으로부터 사용 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300)은 수신된 사용 전력량 및 산출된 사용 요금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에서, 사용 전력량 및 사용 요금은 각각에 해당하는 수치와 함께 가로 막대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목표 사용 전력량을 기준으로 사용 전력량에 해당하는 부분을 막대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설정부(330)는 사용자에 의해 데이터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설정부(330)는 사용자로부터 목표 사용 전력량, 목표 사용 요금, 네트워크 아이피 및 모니터링 구역이 입력되어 각각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b)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에서, 네트워크 아이피 및 모니터링 구역 등을 설정할 수 있는 항목들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 사용 요금을 설정할 수 있는 입력 창이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목표 사용 요금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스마트 미터(100)에서 수신된 전력 사용량 및 요금 산출부(320)에서 산출된 사용 요금이 설정부(330)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 전력 사용량 및 목표 사용 요금을 초과하게 되면, 알람부(360)에서 알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40)는 알람부(360)에 의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스마트 미터(100)의 온/오프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300)은 구역별 전력의 허용 및 차단을 제어할 수 있는 아이콘을 통하여 스마트 미터(100)의 온/오프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구역별 전력의 허용 및 차단을 위한 해당 구역에 대응하는 아이콘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구역 1의 전력을 차단하기 위해 좌측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고, 다시, 구역 1의 전력을 허용하기 위해 우측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40)는 사용된 전력 사용량 또는 사용 요금에 따른 날짜별 및 요일별 등의 형태로 통계를 산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50)는 설정부(330)에서 설정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350)는 모니터링 구역별, 사용 전력량, 사용 요금, 목표 사용 전력량 및 목표 사용 요금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알람부(360)는 수신된 사용 전력량 또는 산출된 사용 요금이 목표 설정 값들을 초과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알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람부(360)는 스마트 미터(100)에서 수신된 사용 전력량이 설정부(330)에서 설정된 목표 사용 전력량을 초과하게 되거나, 또는, 요금 산출부(320)에서 산출된 사용 요금이 설정부(330)에서 설정된 목표 사용 요금을 초과하게 된다면 알람할 수 있다. 이때, 알람부(360)는 예를 들면, 진동, 소리를 통하여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알람할 수 있다.
저장부(370)는 스마트 미터(100)에서 수신된 사용 전력량 및 요금 산출부(320)에서 산출된 사용 요금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370)는 제어부(340)에서 산출된 전력 사용량 또는 사용 요금에 대한 통계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미터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 장치는 배전반 검침시 노이즈를 제거하여 오차를 줄일 수 있어 사용 전력량 산출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 단말을 통해 원격으로 배전반을 구역별로 제어할 수 있어 에너지의 효율적 사용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스마트 미터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 장치의 동작(500)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미터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 장치의 동작 순서도를 나타낸다.
먼저, 스마트 미터(100)가 옥내 전력을 제공하는 배전반으로부터 아날로그 전압 및 전류를 검침할 수 있다(단계 S510). 이때, 검침은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구역별로 설치된 스마트 미터(100)를 통하여 설정된 구역별로 검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마트 미터(100)는 검침된 아날로그 전압 및 전류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단계 S520). 즉, 후술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및 전력량 산출에서의 오차를 제거하기 위해 검침 신호로부터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마트 미터(100)는 아날로그 전압 및 전류를 디지털 전압 및 전류로 변환할 수 있다(단계 S530).
다음으로, 스마트 미터(100)가 사용 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단계 S540). 예를 들면, 스마트 미터(100)에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된 전압 및 전류 값을 이용하여 전력을 산출할 수 있고, 산출된 전력에 사용 시간을 연산하여 사용 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마트 미터(100)가 사용자 단말(300)로 산출된 사용 전력량을 전송할 수 있다(단계 S550). 이때, 스마트 미터(100)에서 802.11 b/g/n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무선 중계기(200)를 통해 와이파이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30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300)이 사용 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단계 S560). 여기서, 사용자 단말(300)은 누진세가 적용되는 전력 구간 정보 및 구간별 요금 정보를 기반하여 스마트 미터(100)로부터 수신된 사용 전력량으로 사용 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 전력량 또는 사용 요금이 구역별 목표 사용 전력량 또는 목표 사용 요금을 초과했는지 판단하여(단계 S570), 사용 전력량 또는 사용 요금이 목표 사용 전력량 또는 목표 사용 요금을 초과되었다고 판단하면, 해당 구역의 전력을 차단하기 위해 해당 스마트 미터(100)를 오프시킬 수 있다(단계 S580). 이때, 사용자 단말(300)은 전력 오프 요청을 해당 스마트 미터(100)로 무선 통신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570의 판단 결과, 사용 전력량 또는 사용 요금이 목표 사용 전력량 또는 목표 사용 요금을 초과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단계 S550으로 복귀하여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 전력량 또는 사용 요금이 구역별 목표 사용 전력량 또는 목표 사용 요금을 초과하는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사용 전력량 수신 및 사용 요금 산출을 반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스마트 미터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 장치
100 : 스마트 미터 110 : 검침부
120 : 노이즈 제거부 130 : ADC
140 : 전력량 산출부 150 : 제어부
160 : 통신부 200 : 무선 중계기
300 : 사용자 단말 310 : 통신부
320 : 요금 산출부 330 : 설정부
340 : 제어부 350 : 디스플레이부
360 : 알람부 370 : 저장부

Claims (2)

  1. 옥내 전력을 제공하는 배전반으로부터 아날로그 전압 및 전류를 검침하는 검침부와, 상기 검침된 아날로그 전압 및 전류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적응 노이즈 제거기(ANC)와, 상기 아날로그 전압 및 전류를 디지털 전압 및 전류로 변환하는 ADC와, 상기 변환된 디지털 전압 및 전류 값으로 사용 전력량을 산출하는 사용 전력량 산출부와,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외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구역별 배전반에 설치되는 다수의 스마트 미터와,
    무선 통신신호를 중계하는 무선 중계기와,
    상기 무선 중계기를 통해 중계되는 상기 스마트 미터의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사용 전력량을 이용하여 구역별 사용 요금을 산출하는 요금 산출부와, 사용자로부터 목표 사용 전력량, 목표 사용 요금, 네트워크 아이피 및 모니터링 구역이 입력되는 설정부와, 상기 설정된 모니터링 구역별, 사용 전력량, 사용 요금, 목표 사용 전력량 및 목표 사용 요금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수신된 사용 전력량 또는 상기 산출된 사용 요금이 상기 설정된 목표 사용 전력량 또는 상기 설정된 목표 사용 요금에 도달하면 알람하는 알람부와, 상기 수신된 사용 전력량 및 상기 산출된 사용 요금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알람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아이콘을 조작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스마트 미터의 제어부에 상기 제어명령을 송신하여 해당 구역에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터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 장치.
  2. 삭제
KR1020140179612A 2014-12-12 2014-12-12 스마트 미터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 장치 KR101625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612A KR101625566B1 (ko) 2014-12-12 2014-12-12 스마트 미터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612A KR101625566B1 (ko) 2014-12-12 2014-12-12 스마트 미터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5566B1 true KR101625566B1 (ko) 2016-05-30

Family

ID=57124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9612A KR101625566B1 (ko) 2014-12-12 2014-12-12 스마트 미터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5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809A (ko)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유트론 계량기 검침함 모니터링 장치
CN109444536A (zh) * 2018-11-23 2019-03-08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自适应信号传输的电力功耗检测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812Y1 (ko) * 2006-08-25 2006-11-1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선 통신에 의한 원격검침 가능한 일체형 전자식 전력량계
KR101147004B1 (ko) * 2011-07-27 2012-05-23 코스모전기 주식회사 부하별 전력량 및 전기품질계측이 가능한 스마트 수배전반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812Y1 (ko) * 2006-08-25 2006-11-1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선 통신에 의한 원격검침 가능한 일체형 전자식 전력량계
KR101147004B1 (ko) * 2011-07-27 2012-05-23 코스모전기 주식회사 부하별 전력량 및 전기품질계측이 가능한 스마트 수배전반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809A (ko)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유트론 계량기 검침함 모니터링 장치
CN109444536A (zh) * 2018-11-23 2019-03-08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自适应信号传输的电力功耗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33443A1 (en) Power extraction for a medium voltage sensor using a capacitive voltage divider
KR20190079917A (ko) 산업용 IoT 기반 설비데이터와 센서데이터 취득 시스템 및 장치
KR20130013908A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대기 전력 무선 제어 시스템
KR101625566B1 (ko) 스마트 미터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 장치
JP2013186621A (ja) 水使用状況監視システム
JP6173068B2 (ja) 電力抑制方法、電力管理システム及び電力管理プログラム
CN108469101A (zh) 一种远程控制空气净化装置的方法
CN104931774A (zh) 一种电器电量监控系统及监控方法
CN205427537U (zh) 一种电力信息通信监控系统
US9955527B2 (en) Recorder
WO2012133024A1 (ja) 充電制御装置及びそれを用いる充電制御システム
KR101318982B1 (ko) 다양한 규격의 전력 공급선에 대한 전력을 측정하는 카트리지 방식의 무정전 전력 측정장치
JP2011002363A (ja) 電力監視システム
JP6122770B2 (ja) センサ端末
JP6163437B2 (ja) 電力系統解析支援システム、電力系統の解析支援装置、電力系統の解析支援方法、および電力系統用の計測装置
JP6102808B2 (ja) 機器アダプタ、機器システム、及び起動制御方法
JP6851007B2 (ja) 表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システム
KR20150101759A (ko) 실시간 수요전력 및 요금 관리 시스템
KR101413829B1 (ko) 전력 시스템에서 계측 정보 제공 기능을 가지는 하위 디지털 기기
KR101318984B1 (ko) 다양한 규격의 전력 공급선에 대한 전력을 측정하는 무정전 전력 측정장치
JP6454878B2 (ja) 使用量監視システム
CN205844847U (zh) 基于物联网的电气控制系统
CN204883345U (zh) 一种智能家居管理控制系统
CN109040250A (zh) 一种楼宇建筑能耗管理系统及方法
KR102486933B1 (ko) 온도조절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