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534B1 -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System using Rolling Shutter Camera - Google Patents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System using Rolling Shutter Camer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534B1
KR101625534B1 KR1020150024036A KR20150024036A KR101625534B1 KR 101625534 B1 KR101625534 B1 KR 101625534B1 KR 1020150024036 A KR1020150024036 A KR 1020150024036A KR 20150024036 A KR20150024036 A KR 20150024036A KR 101625534 B1 KR101625534 B1 KR 101625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transmission data
image
rolling shutter
ro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40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영민
반 뉴엔 트랑
Original Assignee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24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534B1/en
Priority to US15/551,561 priority patent/US10560188B2/en
Priority to PCT/KR2016/000482 priority patent/WO201613328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5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3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9Motion occurring during a rolling shutter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3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exposure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50Control of the SSIS exposure
    • H04N25/53Control of the integration time
    • H04N25/531Control of the integration time by controlling rolling shutters in CMOS SSIS
    • H04N5/225
    • H04N5/353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OCC) system which extracts data from an on-image and an off-image of a light source shot by a rolling shutter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CC system using the rolling shutter camera comprises: a coding unit which codes transmission data to transmit; the light source turned on and off depending on the transmission data coded by the coding unit; the rolling shutter camera which continuously shoots the on-image and the off-image depending on the on state and the off state of the light source for each plurality of rows in the rolling shutter mode; an image processing unit which generates a luminance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luminance value of the on-image and the off-image of the light source shot for each of the rows by the rolling shutter camera; and a data extracting unit which extracts the transmission data form the luminance signal of the on-image and the off-image of the light source generat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Description

롤링 셔터 카메라를 이용한 광학 카메라 통신시스템{Optical Camera Communication System using Rolling Shutter Camera}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rolling shutter camera,

본 발명은 광학 카메라 통신(Optical Camera Communication; OCC)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롤링 셔터 카메라(rolling shutter camera)를 이용하여 촬영된 광원의 온/오프 이미지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롤링 셔터 카메라를 이용한 광학 카메라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OCC)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OCC) system using a rolling shutter camera that extracts data from on / off images of a light source photographed using a rolling shutter camera Communication system.

대표적인 조명통신융합기술인 가시광통신(VLC:Visible Light Communication)은 광원의 조명에 정보를 실어 무선통신하는 기술로서, 종래에서는 광원의 빛을 포토다이오드(PD:photo diode)로 수신하여 광원의 온/오프(on/off)에 따라 디지털 데이터 1 또는 0을 검출하여 이들의 조합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기술이다.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which is a typical illumination / communication convergence technology, is a technology for carrying out wireless communication by transmitting information on illumination of a light source. Conventionally, a light source is received by a photodiode (PD) (digital data 1 or 0) in accordance with the on / off state of the data.

종래에는 포토다이오드 대신에 카메라를 이용하여 다수의 LED를 촬영하고 그 카메라의 프레임별로 획득된 LED의 온/오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가시광통신시스템이 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를 이용한 가시광통신은 광수신기로서 포토다이오드가 아니라 카메라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광학 카메라 통신(Optical Camera Communication;OCC) 시스템으로도 불리며, IEEE 802.15.7a 연구그룹에서 표준화를 위한 작업이 시도되고 있다.Conventionally,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has been proposed in which a plurality of LEDs are photographed using a camera instead of a photodiode, and data corresponding to ON / OFF of the LEDs acquired for each frame of the camera is extracted. In this way,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sing a camera is also called an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OCC) system in that a camera is used instead of a photodiode as an optical receiver, and work for standardization in the IEEE 802.15.7a research group is attempted have.

최근 이러한 광학 카메라 통신 시스템(OCC)에 롤링 셔터 카메라를 적용하려는 시도가 있다. 롤링 셔터 카메라는 대부분의 CMOS 이미지센서에 채용되는 전자식 셔터로서, 다수의 열(row)로 조합된 이미지센서의 각 열(row)마다 이루어지는 이미지를 캡쳐하여 이를 조합함으로써 프레임별로 이미지를 획득하게 된다.Recently, there has been an attempt to apply a rolling shutter camera to such an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system (OCC). The rolling shutter camera is an electronic shutter used in most CMOS image sensors. The rolling shutter camera captures images for each row of image sensors combin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combines them to obtain an image for each frame.

하지만, 종래기술에서는 아직까지 롤링 셔터 카메라에서 각 열(row)에 대한 광원의 온/오프 이미지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기술이 제시되지 않고 있다. 또한, 광학 카메라 통신 시스템에서 롤링 셔터 카메라를 이용하여 광원의 온/오프 이미지를 촬영하는 경우 임의의 시점에 촬영을 시작하므로 롤링 셔터 카메라의 프레임이 광원의 온/오프 타이밍에 정확하게 맞추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정확한 데이터의 추출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there is not yet a technique for extracting data corresponding to on / off images of a light source for each row in a rolling shutter camera. In addition, when an on / off image of a light source is photographed using a rolling shutter camera in an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system, since the photographing starts at an arbitrary point in time, the frame of the rolling shutter camera can not be precisely aligned with the on / off timing of the light source do.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to extract accurate data.

한국등록특허 제1472583호Korea Patent No. 1472583 한국공개특허 제2009-001617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9-0016176 한국공개특허 제2010-0135683호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0-0135683

본 발명은 롤링 셔터 카메라를 이용하여 광원을 촬영하여 광원의 온/오프 이미지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광원 및 롤링 셔터 카메라를 이용한 광학 카메라 통신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light source and a rolling shutter camera that photographs a light source using a rolling shutter camera and extracts data from on / off images of the light sourc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롤링 셔터 카메라를 이용한 광학 카메라 통신시스템은, 전송할 전송데이터를 코딩하는 코딩부; 상기 코딩부에서 코딩된 전송데이터에 따라 온/오프(on/off)되는 광원; 상기 광원의 온/오프에 따른 온/오프 이미지를 롤링 셔터 방식으로 다수의 열(row)마다 연속적으로 촬영하는 롤링 셔터 카메라; 상기 롤링 셔터 카메라에서 다수의 열(row)마다 촬영된 상기 광원의 온/오프 이미지의 밝기값에 따른 밝기신호를 생성하는 이미지처리부; 및 상기 이미지처리부에서 생성된 광원의 온/오프 이미지의 밝기신호로부터 상기 전송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추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시작프레임(SF:start frame)을 나타내기 위한 온 또는 오프의 시간간격과 전송데이터를 나타내기 위한 온 또는 오프의 시간간격을 서로 다르게 설정한다.An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rolling shutter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ding unit for coding transmission data to be transmitted; A light source that is turned on / off according to transmission data coded in the coding unit; A rolling shutter camera for continuously photographing on / off images according to ON / OFF of the light source in a plurality of rows by a rolling shutter system; An image processor for generating a brightness signal according to a brightness value of an on / off image of the light source photographed for each of a plurality of rows in the rolling shutter camera; And a data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the transmission data from the brightness signal of the on / off image of the light source generat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wherein the light source includes a time interval of on or off for indicating a start frame (SF) And the time interval of on or off for indicating transmission data are set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삭제delete

본 발명에서, 상기 데이터추출부는 상기 온 또는 오프의 시간간격으로부터 시작프레임 및 전송데이터를 구분하고, 두 시작프레임의 밝기신호 사이에 존재하는 전송데이터의 밝기신호로부터 전송데이터를 추출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extracting unit distinguishes the start frame and the transmission data from the on / off time interval, and extracts the transmission data from the brightness signal of the transmission data existing between the brightness signals of the two start frames.

본 발명에서, 상기 데이터추출부는 상기 다수의 열(row)별로 생성된 밝기신호에서 상기 다수의 열(row)별로 기설정된 밝기값에서의 밝기신호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데이터를 추출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extracting unit extracts the transmission data using the slope of the brightness signal at a predetermined brightness valu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rows in the brightness signal generat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rows.

본 발명에서, 상기 데이터추출부는 상기 기설정된 밝기값에서 밝기신호가 상승하는 부분과 상기 상승하는 부분에 이어서 나타나는 하강하는 부분의 조합으로 상기 전송데이터를 추출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extracting unit extracts the transmission data by a combination of a portion where the brightness signal rises at the predetermined brightness value and a portion that falls after the rising portion.

본 발명에서,상기 데이터추출부는 상기 다수의 열(row)별로 생성된 상기 밝기신호에서 상기 다수의 열(row)마다의 최대 밝기값과 최소 밝기값의 조합으로 상기 전송데이터를 추출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extracting unit extracts the transmission data by a combination of a maximum brightness value and a minimum brightness valu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rows in the brightness signal generat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rows.

본 발명에 따르면 롤링 셔터 카메라를 광학 카메라 통신 시스템에 적용하여 광원의 온/오프에 따른 온/오프 이미지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olling shutter camera can be applied to an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system to extract data corresponding to an on / off image according to on / off of a light sour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롤링 셔터 카메라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임의의 시점에 촬영되는 경우 시작프레임을 정확히 검출함으로써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data is transmitted using a rolling shutter camera, the reliability of data transmission can be improved by accurately detecting a start frame when the camera is photographed at an arbitrary point in ti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롤링 셔터 카메라에서 광원의 온/오프 이미지의 캡쳐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롤링 셔터 카메라에서 캡쳐한 광원의 온/오프 이미지의 예시도,
도 3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롤링 셔터 카메라를 이용한 광학 카메라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처리부에서 밝기신호를 생성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원의 온/오프 이미지에 대한 밝기신호로부터 전송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원의 온/오프 이미지에 대한 밝기신호로부터 전송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을 도면.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apturing on / off images of a light source in a rolling shutter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illustration of an on / off image of a light source captured by a rolling shutter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rolling shutter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inciple of generating a brightness signal in an image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extracting transmission data from a brightness signal for an on / off image of a light sou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llustrates a process of extracting transmission data from a brightness signal for an on / off image of a light sour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differenc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clusi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롤링 셔터 카메라에서 광원의 온/오프 이미지의 캡쳐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apturing on / off images of a light source in a rolling shutter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롤이 셔터 카메라는 하나의 캡쳐타임(10) 동안 다수의 열(row)마다 이미지를 촬영하여 캡쳐한다. 이때, 열(row)별 이미지 촬영은 기설정된 일정한 시간간격을 두고 비선형 스캔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카메라 내부에 마련된 이미지센서(미도시)의 각 열(row)을 순차적으로 기설정된 노출시간(integration time)(11) 동안 노출시키되, 각 열(row)마다 일정한 시간간격을 노출시키는 것이다. 첫 번째 열(row)의 마지막 노출시간과 마지막 열(row)의 마지막 노출시간을 프레임 시간(frame time)(12)이라 하며 노출시간과 프레임시간이 캡쳐타임(capturing time)(10)이 된다.Referring to FIG. 1, the roll shutter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ptures and captures an image for each of a plurality of rows during one capture time 10. At this time, image capturing for each row is performed by a nonlinear scanning metho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This exposes each row of an image sensor (not shown) provided in the camera for a predetermined integration time 11, and exposes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for each row. The last exposure time of the first row and the last exposure time of the last row are called the frame time 12 and the exposure time and frame time are the capturing time 10.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롤링 셔터 카메라에서 캡쳐한 광원의 온/오프 이미지의 예시도이다.2 is an exemplary view of an on / off image of a light source captured by a rolling shutter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원이 온/오프(on/off)되는 동안 롤링 셔터 카메라는 광원을 촬영한다. 도면에는 일례로 하나의 광원이 온 및 오프되는 동안 롤링 셔터 카메라에서 다수의 열(row)마다 온/오프 이미지를 캡쳐하는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캡쳐타임 동안 캡쳐된 이미지는 광원이 온(on)인 경우에는 흰색(W)으로 나타나고 오프(off)된 경우에는 검정색(B)으로 나타난다. 이때, 주의할 것은 광원이 온(on) 또는 오프(off)되는 과정에서 흰색(W)과 검정색(B)의 밝기값은 다를 수 있다. 예컨대, 롤링 셔터 카메라는 임의의 시점에 촬영하기 때문에 광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하는 동안에 캡쳐하는 경우에는 밝기값이 흰색(W)과 검정색(B)의 중간색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캡쳐된 이미지는 도 2의 (b)와 같이 나타난다.Referring to FIG. 2, a rolling shutter camera photographs a light source while the light sou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urned on / off. The figure shows an example of capturing an on / off image for each of a plurality of rows in a rolling shutter camera while one light source is on and off, for example. Referring to the drawing, an image captured during a capture time is displayed as white (W) when the light source is on, and displayed as black (B) when the light source is off. Note that the brightness values of white (W) and black (B) may be different in the process that the light source is turned on or off. For example, since the rolling shutter camera captures images at an arbitrary point in time, when the light source is captured while the light source changes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the brightness value may be an intermediate color between white (W) and black (B). The captured image thus appears as shown in FIG. 2 (b).

도 3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롤링 셔터 카메라를 이용한 광학 카메라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rolling shutter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롤링 셔터 카메라를 이용한 광학 카메라 통신 시스템(100)은 코딩부(110), 광원(120), 롤링 셔터 카메라(130), 이미지처리부(140) 및 데이터추출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3, an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system 100 using a rolling shutter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ding unit 110, a light source 120, a rolling shutter camera 130, an image processing unit 140, (150).

코딩부(110)는 광학 카메라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전송데이터를 코딩한다. 이러한 코딩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전송하고자 하는 전송데이터가 1인 경우 광원(120)을 온(on)에 대응시키고 전송데이터가 0인 경우에는 광원(120)을 오프(off)에 대응시킬 수 있다. 이러한 예시는 광원(120)의 주파수 펄스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전송데이터가 1인 경우 광원을 온-온에 대응시키고 전송데이터가 0인 경우 광원을 오프-오프에 대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코딩부(110)은 전송데이터에 대응하는 광원의 온/오프 상태를 서로 매칭시켜 향후 광원의 온/오프를 통해 전송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한다.The coding unit 110 codes transmission data to be transmitted in the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system. Such coding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when the transmission data to be transmitted is 1, the light source 120 is turned on, and when the transmission data is 0, the light source 120 is turned off. Such an example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frequency pulse of the light source 120. [ For example, when the transmission data is 1, the light source is made to correspond to on-on, and when the transmission data is 0, the light source can be made to correspond to off-off.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ding unit 110 matches the ON / OFF states of the light sources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data and transmits the transmission data through on / off of the light source in the future.

광원(120)은 광학 카메라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기(transmitter)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광원(120)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코딩부(110)에서 코딩된 전송데이터에 따라 기설정된 펄스속도(pulse rate)로 온(on) 또는 오프(off)된다. 실시 예에 따라 광원(120)이 다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1×N으로 배열될 수 있고, M×1으로 배열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M×N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물론, 원형, 방사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광원(110)이 온/오프되는 펄스속도가 초당 110회 이상이면 사람의 눈으로 그 온/오프를 구분하지 못하고 계속 온 상태인 것으로 인식한다. 이러한 펄스속도는 물론 조정이 가능하다.The light source 120 serves as a transmitter in an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system. At least one such light source 120 is provided and is turned on or off at a predetermined pulse rate according to transmission data coded in the coding unit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en the light sources 120 are provided in a plurality of the light sources 120, they may be arranged in 1 × N, M × 1, and preferably M × N. Of course, it can be arranged in various forms such as circular, radial, elliptical and the like. If the pulse rate at which the light source 110 is turned on / off is 110 times or more per second, it is recognized that the on / off state of the light source 110 can not be distinguished by the human eye. This pulse rate can of course be adjusted.

롤링 셔터 카메라(130)는 광학 카메라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기(receiver)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롤링 셔터 카메라(130)는 온/오프 되는 광원(120)을 롤링 셔터 방식으로 다수의 열(row)마다 광원의 온/오프 이미지를 캡쳐한다. 이를 위해 내부에 롤링 셔터 방식으로 이미지를 캡쳐하는 이미지센서가 구비되며, 이미지센서의 각 열(row)을 순차적으로 노출시킨다. 광원(120)이 온(on)된 경우 노출된 열(row)의 출력은 흰색의 밴드(white band) 형상으로 나타나고, 광원이 오프(off)된 경우는 검정색이 밴드(black band) 형상으로 나타난다. 이때, 흰색 밴드와 검정색 밴드는 각각 데이터로서 1과 0을 나타내도록 설정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프레임 내에서 다중 데이터 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이미지센서로는 예컨대 CMOS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롤링 셔터 카메라(130)는 광원(120)이 온 또는 오프되는 중에 임의의 시점에 촬영을 시작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캡쳐된 이미지로부터 시작프레임과 데이터 프레임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서 롤링 셔터 카메라(130)는 디지털 카메라, 휴대폰이나 스마트기기 등에 탑재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lling shutter camera 130 serves as a receiver in an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system. The rolling shutter camera 130 captures an on / off image of a light source for each of a plurality of rows by a rolling shutter method using the light source 120 to be turned on and off. To this end, an image sensor for capturing an image by a rolling shutter method is provided, and sequentially exposes each row of the image sensor. When the light source 120 is turned on, the output of the exposed row appears as a white band, and when the light source is turned off, black appears as a black band . At this time, the white band and the black band are set to represent 1 and 0 as data, respectively. Thus, multiple data can be received within one frame. As the image sensor, for example, a CMOS sensor can be used. At this time, the rolling shutter camera 130 can start shooting at an arbitrary point in time when the light source 120 is turned on or off.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start frame and the data frame from the captured image.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In this embodiment, the rolling shutter camera 130 may include a digital camera, a camera mounted on a mobile phone, a smart device, or the like.

이미지처리부(140)는 롤링 셔터 카메라(130)에서 다수의 열(row)마다 촬영된 광원(120)의 온/오프 이미지의 밝기값에 따른 밝기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광원(120)이 온(on) 또는 오프(off)되는 과정에서 흰색 밴드와 검정 밴드로 나타나는데, 이러한 각 밴드의 밝기값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즉, 광원(120)의 온/오프에 따라 나타나는 색상은 일례로 0~255의 밝기값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흰색 밴드는 255의 밝기값, 검정 밴드는 0의 밝기값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밝기값의 범위는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롤링 셔터 카메라(130)는 임의의 시점에서 촬영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광원(120)이 오프된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하는 동안에 캡쳐하는 경우에는 밝기값이 흰색 밴드와 검정 밴드의 중간색의 밴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0~255사이의 밝기값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이미지처리부(140)는 각 열(row)마다 촬영된 광원(120)의 온/오프 이미지에 따른 각 밴드의 밝기값에 대응하는 밝기신호를 각 열(row)마다 생성하는 것이다. 이때, 광원(120)은 기설정된 주파수 펄스에 따라 연속적으로 온 또는 오프되므로 온/오프 이미지의 밝기신호는 각각의 열(row)에 대하여 연속적인 값을 가진다.The image processing unit 140 generates a brightness signal corresponding to the brightness value of the on / off image of the light source 120 photographed for each of a plurality of rows in the rolling shutter camera 130. 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a white band and a black band appear in the process of turning on or off the light source 120. The brightness values of the respective bands may be different. That is, the hue that appears on / off of the light source 120 may be displayed as a brightness value of 0 to 255, for example. For example, a white band may represent a brightness value of 255, and a black band may represent a brightness value of 0. [ Of course, the range of brightness values can be changed.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olling shutter camera 130 can capture images at an arbitrary point in time, when capturing while the light source 120 is changed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the brightness values of the white band and the black band It is possible to obtain a neutral color band. This means that the brightness value may be between 0 and 255. The image processor 140 generates a brightness signal corresponding to the brightness value of each band according to the on / off image of the light source 120 photographed for each row for each row. At this time, since the light source 120 is continuously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frequency pulse, the brightness signal of the on / off image has a continuous value for each row.

데이터추출부(150)는 이미지처리부(140)에서 생성된 광원(120)의 온/오프 이미지의 밝기신호로부터 전송데이터를 추출한다. 이는 코딩부(110)에서 광원(120)의 온/오프 이미지에 코딩된 전송데이터를 복원하는 것이다. 예컨대, 코딩부(110)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전송데이터가 1인 경우 광원(120)을 온(on)에 대응시키고 전송데이터가 0인 경우에는 광원(120)을 오프(off)에 대응시킨 경우, 데이터추출부(150)에서는 광원(120)의 온 이미지에서는 1을 추출하고, 오프 이미지에서는 0을 추출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광원(120)의 온/오프 이미지의 밝기신호에서 밝기값을 이용하여 전송데이터를 추출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밝기신호의 기울기, 즉 밝기신호의 상승 및 하강을 조합하여 추출하도록 한다.The data extraction unit 150 extracts transmission data from the brightness signal of the on / off image of the light source 120 generat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140. This is to restore the transmission data coded in the on / off image of the light source 120 in the coding unit 110. For example, when the transmission data to be transmitted by the coding unit 110 is 1, the light source 120 is turned on, and when the transmission data is 0, the light source 120 is turned off, The data extracting unit 150 extracts 1 from the on image of the light source 120 and extracts 0 from the off image. 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ssion data is extracted using the brightness value in the brightness signal of the on / off image of the light source 120. Specifically, the inclination of the brightness signal, that is, the rise and fall of the brightness signal are combined and extract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처리부에서 밝기신호를 생성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inciple of generating a brightness signal in an image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롤링 셔터 카메라(130)의 전체 화면(20)이 광원(120)보다 작은 경우의 예시도이다. 물론 전체 화면(20)이 광원(120)보다 클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도 4에 도시된 일례에서 광원(10)이 온 또는 오프되는 동안 롤링 셔터 카메라(130)는 다수의 열(row)마다 흰색밴드(W)와 검정밴드(B)로 이미지를 캡쳐한다. 도면에는 일례로 5개의 열을 도시하고 있으며, 각각 W,B,W,W,B의 밴드를 캡쳐한 예를 도시한다. 이때, W는 흰색밴드이므로 밝기값이 예컨대 255이고, B는 검정밴드이므로 밝기값이 예컨대 0이다. 이러한 밝기값은 다른게 설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우측에 도시된 형태와 같은 밝기값에 대한 밝기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우측에 도시된 밝기신호는 이상적인 예를 설명하고 있으며, 광원(120)이 온 및 오프되는 동안 밝기값은 0~255 사이에서 임의의 값을 가진다. 예컨대, 광원(120)이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변하는 동안에 임의의 열에서 촬영을 하는 경우, 일례로 175의 밝기값을 가질 수도 있다. 이는 흰색과 검정색의 중간정도의 색상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이 밝기값에 따른 밝기신호는 각 열(row)별로 나타내면 도 5 및 도 6과 같이 나타날 수 있다.4 is an example of a case where the entire screen 20 of the rolling shutter camera 130 is smaller than the light source 120. [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entire screen 20 may be larger than the light source 120. In the example shown in FIG. 4, the rolling shutter camera 130 captures an image with a white band W and a black band B for each of a plurality of rows while the light source 10 is turned on or off. In the figure, for example, five columns are shown, and examples of capturing bands of W, B, W, W, and B are shown. At this time, since W is a white band, a brightness value is, for example, 255, and B is a black band. These brightness values may be set to other values. Thus, a brightness signal for a brightness value such as the one shown on the right side can be generated. Here, the brightness signal shown on the right side illustrates an ideal example, and the brightness value has an arbitrary value between 0 and 255 while the light source 120 is on and off. For example, when shooting is performed in an arbitrary column while the light source 120 changes from the on state to the off state, it may have a brightness value of 175, for example. It appears to be halfway between white and black. The brightness signal according to the brightness value may be expressed as shown in FIG. 5 and FIG. 6 when it is expressed for each row.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원의 온/오프 이미지에 대한 밝기신호로부터 전송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원의 온/오프 이미지에 대한 밝기신호로부터 전송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을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extracting transmission data from a brightness signal for on / off images of a light sou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xtracting transmission data from the brightness signal for the image.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밝기신호는 가로축이 열(row)을 나타내고 세로축이 밝기값의 상대값을 나타낸다. 예컨대, 흰색밴드를 255로, 검정밴드를 0으로 설정한 경우, 세로축에서 상대값이 클수록 흰색밴드, 즉 255에 가깝고, 상대값이 작을수록 검정밴드, 즉 0에 가깝다. 이와 같이 각 열(row)별로 광원(120)의 온/오프 이미지에 대한 밝기값이 결정되면 이미지처리부(140)에서 밝기값으로부터 각 열(row)에 따른 밝기신호를 도 5 및 도 6와 같이 생성하는 것이다. 도 5에서는 광원(120)이 온/오프되는 동안 그 광원(120)의 온/오프 시간을 이용하여 시작프레임(SF:start frame)과 전송데이터를 구분하기 위하여 시작프레임에 대한 광원(120)의 온 또는 오프 시간간격과 전송데이터에 대한 광원(120)의 온 또는 오프 시간간격을 서로 다르게 설정한다. 예컨대, 도 5에서 시작프레임(A)은 온되는 시간을 상대적으로 길게 구현하고, 전송데이터(B)는 온되는 시간을 상대적으로 짧게 구현한다. 물론, 이러한 상대적인 시간길이는 서로 반대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시작프레임(A)과 전송데이터(B)의 시간간격의 차이는 광원(120)이 연속적으로 온 또는 오프되는 동안 어느 부분부터 전송데이터인지를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도 5에서는 제1시작프레임(A)와 다음의 제2시작프레임(A') 사이에 있는 밝기신호가 전송데이터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밝기신호로부터 전송데이터를 추출하도록 한다. 이때, 데이터추출부(140)는 다수의 열(row)별로 생성된 밝기신호에서 다수의 열(row)별로 기설정된 같은 밝기값에서의 밝기신호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전송데이터를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기설정된 같은 밝기값에서 밝기신호의 상승 및 하강의 조합으로 전송데이터를 추출한다. 예컨대, 도 5에서 빨간색 점(dot)과 초록색 점이 위치한 밝기값을 설정하고 해당 밝기값에서의 밝기신호의 기울기, 즉 빨간색 점에서는 기울기값이 (+)값을 가지고 초록색 점에서는 기울기값이 (-)값을 가진다. 이때, 기설정된 밝기값에서의 빨간색 점에서의 (+)기울기값과 다음에 이어지는 초록색 점에서의 (-)기울기값을 조합하면 일부 열(row)에서의 전송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B에서의 밝기신호는 약 140~160번째 열에서 흰색밴드가 형성된다. 이는 140~160번째 열에서 광원(120)이 온(on)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약 160~175번째 열에서는 밝기신호가 하강하는 구간이므로 광원(120)이 온(on)에서 오프(off)로 변하는 동안 해당 열에서 촬영한 것이다. 이와 같이, 데이터추출부(150)에서는 광원(120)의 온/오프 이미지의 밝기신호에서 기설정된 밝기값에서의 밝기신호의 기울기가 상승하는 부분과 그 상승부분 이후에 이어지는 하강부분이 있다면 이들 두 부분을 조합함으로써 광원(120)이 온(on)된 경우가 존재함을 알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전송데이터를 추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기설정된 밝기값은 밝기신호에서 밝기값으로 결정한다. 즉, 밝기값을 너무 높거나 너무 낮게 설정하게 되면 밝기값이 존재하는 부분이 있을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빨간색 점과 초록색 점이 밝기신호에 대응될 때 모든 밝기신호에 대응될 수 있는 밝기값을 설정함이 바람직하다.5 and 6,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a row,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a relative value of a brightness value. For example, when the white band is set to 255 and the black band is set to 0, the relative value on the vertical axis is closer to the white band, that is, to 255, and the lower the relative value, the closer to the black band. When the brightness value of the on / off image of the light source 120 is determined for each row as described above, the brightness signal according to each row is calculated from the brightness value in the image processing unit 140 as shown in FIGS. 5 and 6 . 5, in order to distinguish the start frame (SF) from the transmission data by using the on / off time of the light source 120 while the light source 120 is on / off, The ON or OFF time interval and the ON or OFF time interval of the light source 120 for the transmission data are set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in Fig. 5, the start frame A implements a relatively long ON time and the transmission data B implements a relatively short ON time. Of course, these relative time lengths may be reversed. The difference in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start frame A and the transmission data B is to distinguish which portion is transmitted data while the light source 120 is continuously turned on or off. Accordingly, in FIG. 5, it is determined that the brightness signal between the first start frame A and the second start frame A 'corresponds to the transmission data, and transmission data is extracted from the brightness signal. At this time, the data extracting unit 140 extracts transmission data using the slope of the brightness signal at the same brightness value preset for a plurality of rows in the brightness signal generated for each of a plurality of rows. Specifically, transmission data is extracted by a combination of rising and falling of a brightness signal at the same brightness value set in advance. For example, in FIG. 5, a brightness value at which a red dot and a green dot are located is set, and the slope of the brightness signal at the corresponding brightness value, that is, the slope value at the red point has a positive value, ) Value. At this time, if the (+) slope value at the red point at the predetermined brightness value is combined with the (-) slope value at the next green point, transmission data in a certain row can be extracted. For example, a brightness signal in B is formed in a white band in about 140th to 160th columns. It can be seen that the light source 120 is turned on in the 140th to 160th columns. In the 160th to 175th columns, since the brightness signal falls in the period, the light source 120 is photographed in the corresponding row while the light source 120 changes from on to off. In this case, if there is a portion where the slope of the brightness signal at a predetermined brightness value rises and a falling portion that follows the rising portion of the brightness signal of the on / off image of the light source 120,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case where the light source 120 is turned on by combining the parts so that the transmission data can be extracted. 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brightness value is determined as a brightness value in the brightness signal. That is, if the brightness value is set too high or too low, there may be a portion where the brightness value exists. It is preferable to set a brightness value that can correspond to all the brightness signals when the red dot and the green dot shown in FIG. 5 correspond to the brightness signal.

또한, 도 6에서는 데이터추출부(150)가 다수의 열(row)별로 생성된 밝기신호에서 다수의 열(row)마다의 최대 밝기값(Max)과 최소 밝기값(Min)의 조합으로 전송데이터를 추출한다. 즉, 시작프레임 이후에 나타나는 밝기신호 중 밝기값이 최대인 부분(Max)과 이후 나타나는 밝기값이 최소인 부분(Min)을 조합하여 전송데이터를 추출할 수도 있다. 이는 밝기값의 최대값(Max)과 그 이후에 최소값(Min)이 나타나면 이들 두 개의 값으로부터 예컨대 전송데이터 1을 추출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밝기값의 최소값(Min) 이후에 최대값(Max)이 나타나면 전송데이터 0을 추출하도록 할 수 있다.6, the data extracting unit 150 extracts transmission data (hereinafter referred to as transmission data) by combining a maximum brightness value Max and a minimum brightness value Min for each of a plurality of rows in a brightness signal generated for each of a plurality of rows. . That is, transmission data may be extracted by combining a portion Max having a maximum brightness value and a portion Min having a minimum brightness value appearing after the start frame. It is possible to extract, for example, transmission data 1 from these two values when the maximum value Max of the brightness value and the minimum value Min thereafter appear. Conversely, if the maximum value (Max) appears after the minimum value (Min) of the brightness value, the transmission data 0 can be extract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m. Furthermore, the terms "comprises", "comprising",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 코딩부 120 : 광원
130 : 롤링 셔터 카메라 140 : 이미지처리부
150 : 데이터추출부
110: coding unit 120: light source
130: Rolling shutter camera 140: Image processing unit
150:

Claims (6)

전송할 전송데이터를 코딩하는 코딩부;
상기 코딩부에서 코딩된 전송데이터에 따라 온/오프(on/off)되는 광원;
상기 광원의 온/오프에 따른 온/오프 이미지를 롤링 셔터 방식으로 다수의 열(row)마다 연속적으로 촬영하는 롤링 셔터 카메라;
상기 롤링 셔터 카메라에서 다수의 열(row)마다 촬영된 상기 광원의 온/오프 이미지의 밝기값에 따른 밝기신호를 생성하는 이미지처리부; 및
상기 이미지처리부에서 생성된 광원의 온/오프 이미지의 밝기신호로부터 상기 전송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추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시작프레임(SF:start frame)을 나타내기 위한 온 또는 오프의 시간간격과 전송데이터를 나타내기 위한 온 또는 오프의 시간간격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는 롤링 셔터 카메라를 이용한 광학 카메라 통신 시스템.
A coding unit for coding transmission data to be transmitted;
A light source that is turned on / off according to transmission data coded in the coding unit;
A rolling shutter camera for continuously capturing an on / off image according to on / off of the light source in a plurality of rows in a rolling shutter manner;
An image processor for generating a brightness signal according to a brightness value of an on / off image of the light source photographed for each of a plurality of rows in the rolling shutter camera; And
A data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the transmission data from the brightness signal of the on / off image of the light source generat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Lt; / RTI >
Wherein the light source sets a time interval of ON or OFF for indicating a start frame (SF) and a time interval of ON or OFF for indicating transmission data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추출부는 상기 온 또는 오프의 시간간격으로부터 시작프레임 및 전송데이터를 구분하고, 두 시작프레임의 밝기신호 사이에 존재하는 전송데이터의 밝기신호로부터 전송데이터를 추출하는 롤링 셔터 카메라를 이용한 광학 카메라 통신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ata extracting unit separates the start frame and the transmission data from the time interval of the on or off and extracts the transmission data from the brightness signal of the transmission data existing between the brightness signals of the two start frames,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추출부는 상기 다수의 열(row)별로 생성된 밝기신호에서 상기 다수의 열(row)별로 기설정된 밝기값에서의 밝기신호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데이터를 추출하는 롤링 셔터 카메라를 이용한 광학 카메라 통신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ata extracting unit extracts the transmission data using a slope of a brightness signal at a predetermined brightness valu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rows in the brightness signal generat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rows, Camera communication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추출부는 상기 기설정된 밝기값에서 밝기신호가 상승하는 부분과 상기 상승하는 부분에 이어서 나타나는 하강하는 부분의 조합으로 상기 전송데이터를 추출하는 롤링 셔터 카메라를 이용한 광학 카메라 통신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ata extracting unit extracts the transmission data by a combination of a portion where the brightness signal rises at the predetermined brightness value and a portion that falls after the ris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추출부는 상기 다수의 열(row)별로 생성된 상기 밝기신호에서 상기 다수의 열(row)마다의 최대 밝기값과 최소 밝기값의 조합으로 상기 전송데이터를 추출하는 광원 및 롤링 셔터 카메라를 이용한 광학 카메라 통신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ata extracting unit extracts the transmission data using a combination of a maximum brightness value and a minimum brightness valu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rows in the brightness signal generat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rows,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system.
KR1020150024036A 2015-02-17 2015-02-17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System using Rolling Shutter Camera KR1016255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036A KR101625534B1 (en) 2015-02-17 2015-02-17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System using Rolling Shutter Camera
US15/551,561 US10560188B2 (en) 2015-02-17 2016-01-15 Image sensor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rolling shutter modulation
PCT/KR2016/000482 WO2016133285A1 (en) 2015-02-17 2016-01-15 Image sensor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rolling shutter modul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036A KR101625534B1 (en) 2015-02-17 2015-02-17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System using Rolling Shutter Camer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5534B1 true KR101625534B1 (en) 2016-05-30

Family

ID=57124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4036A KR101625534B1 (en) 2015-02-17 2015-02-17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System using Rolling Shutter Camer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53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6592B1 (en) * 2016-11-30 2017-10-1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apparatus of smart device with internet of things and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odule
WO2018169179A1 (en) * 2017-03-16 2018-09-20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Roi-based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2504A (en) 2012-05-24 2014-11-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KR101466954B1 (en) 2013-07-15 2014-12-03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LED Visual Light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KR101472583B1 (en) 2014-01-28 2014-12-16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Camera communication system, camera communication method and camera device theref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2504A (en) 2012-05-24 2014-11-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JP2014220791A (en) 2012-05-24 2014-11-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KR101466954B1 (en) 2013-07-15 2014-12-03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LED Visual Light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KR101472583B1 (en) 2014-01-28 2014-12-16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Camera communication system, camera communication method and camera device theref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6592B1 (en) * 2016-11-30 2017-10-1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apparatus of smart device with internet of things and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odule
WO2018169179A1 (en) * 2017-03-16 2018-09-20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Roi-based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US11088763B2 (en) 2017-03-16 2021-08-10 Kookmin University Industry 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RoI-based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US11575445B2 (en) 2017-03-16 2023-02-07 Kookmin University Industry 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RoI-based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2583B1 (en) Camera communication system, camera communication method and camera device therefor
US10291859B2 (en) Imaging device and imaging method for composing a non-visible light image and a visibile light image
US10136076B2 (en) Imaging device, imaging system, and imaging method
KR10114389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sible light communication with image processing
US8390736B2 (en) Shooting parameter adjustment method for face detection and image capturing device for face detection
US9667865B2 (en) Optical demodulation using an image sensor
KR10195361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image of camera device and terminal equipment having a camera
KR101937560B1 (en) Image sensor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dimmable M-PSK
US10148936B2 (en) Multi-band image sensor for providing three-dimensional color images
KR101952994B1 (en)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method using LED and rolling shutter camera
KR20170060498A (en)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KR101903588B1 (en) Visible light receiving method
US9584714B2 (en) Imaging apparatus, client apparatus, imaging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imag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cli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ing system for controlling sensitivity using the insertion and retraction of an infrared cut filter into and from an optical path
KR101625534B1 (en)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System using Rolling Shutter Camera
KR10170684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ceiving data using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CN111556225A (en) Image acquisition device and image acquisition control method
CN104917938A (en) Depth camera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1550375B1 (en)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system
JP2023059952A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TWI620420B (e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JP2013098995A (en) Operation method of image processor and image processor
CN113728564B (en) Method and system for invisible light communication using visible light camera
KR101945969B1 (en) object color independence camer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70032158A (en) Imaging apparatus
KR101524278B1 (en) Camer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reference light sour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