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939B1 - The strobo for smartphone - Google Patents
The strobo for smartpho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24939B1 KR101624939B1 KR1020140028739A KR20140028739A KR101624939B1 KR 101624939 B1 KR101624939 B1 KR 101624939B1 KR 1020140028739 A KR1020140028739 A KR 1020140028739A KR 20140028739 A KR20140028739 A KR 20140028739A KR 101624939 B1 KR101624939 B1 KR 1016249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illumination
- elastic
- guide
- ge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75—Reflectors for light source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6—Accessory clips, holders, shoes to attach accessories to camer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용 스트로보에 관한 것이다. 그 구체적인 구성은 하판(71)에는 램프(51)가 안착되고, 상판(72)에는 램프커버(77)가 끼워지는 개구부(75)가 형성되며, 상판(72)과 하판(71)이 결합된 흡착조명(70)의 일측에는 내부에 기어홈(74)이 형성된 기어걸림공(73)이 형성되고, 분할된 걸림봉(83)의 내부에는 코일스프링(88)이 내장되고, 상기 코일스프링(88)의 양측단에는 탄성걸림구(85)가 위치되되, 상기 탄성걸림구(85)는 외주면에 걸림기어(86)가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기어(86)의 측방에는 파지돌기(87)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봉(83)의 외주면 중앙에는 회전방지돌기(84)가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봉(83)의 외주면 양측에는 탄성걸림구(85)의 파지돌기(87)가 돌출되도록 축방향을 따라 장공(89)이 형성되어, 외주연에 회전방지홈(82)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흡착판(80)의 관통공(81)으로 상기 걸림봉(83)의 회전방지돌기(84)가 대응되어 장착되고, 상기 탄성걸림구(85)의 걸림기어(86)는 상기 흡착조명(70)의 기어걸림공(73)의 기어홈(74)에 치합되는 구성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obe for a smartphone. A lamp 51 is mounted on the lower plate 71 and an opening 75 in which the lamp cover 77 is fitted is formed on the upper plate 72. An upper plate 72 and a lower plate 71 A gear engagement hole 73 having a gear groove 74 formed therein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absorption illumination 70. A coil spring 88 is embedded in the divided engagement groove 83, Elastic gripping openings 85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ngaging gears 88. The elastic gripping openings 85 are radiall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gaging gears 85. The engaging protrusions 87 A rotation preventing protrusion 84 is radially formed at the center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taining rod 83 and a grip protrusion 87 of the elastic retaining hole 85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taining rod 83 A long hole 89 is formed along the axial direction so as to protrude so as to protrude from the through hole 81 of the suction plate 80 in which the rotation preventing groove 82 is radiall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And the engagement gear 86 of the elastic engagement hole 85 is engaged with the gear groove 74 of the gear engagement hole 73 of the attraction illumination 70 .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폰용 스트로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미 인화된 앨범사진을 촬영하거나, 문서를 포함한 인쇄물을 촬영하는 등 스마트폰의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사진을 찍을 때, 간접조명을 비춤으로써 선명한 결과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용 스트로보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디지털 카메라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폰이 널리 공급되기 전에는 통상 필름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 촬영을 하고, 현상과 인화과정을 거쳐 추억이 담긴 사진을 앨범에 끼워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인 사진 보관 방법이었다. 그러나 스마트폰이 대중화 되고, 블로그, 개인 홈페이지,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밴드 등 다양한 사이버 개인 공간이 저변화 되면서 촬영된 사진은 사이버 공간으로 저장되는 추세이다.Until a smartphone equipped with a digital camera function was widely available, it was common to store photographs using a film camera, to store the pictures containing the memories through the process of development and printing, and to store them in an album. However, as smartphones become more popular, and cyber personal spaces such as blogs, personal homepages, Facebook, Cacao Stories, and bands are changing, pictures taken are stored in cyberspace.
따라서, 앨범에 보관된 옛날 사진을 스마트폰으로 찍어 사이버 공간으로 옮기는 작업을 하는 개인이 많이 늘어나고 있으나, 두손으로 스마트폰을 잡은 상태에서 앨범사진을 찍는것이 여러모로 어려운 실정이다. 예를 들어, 앨범사진을 아래에 두고 앨범사진의 직상부에서 스마트폰을 두손으로 잡고 촬영을 할때 스마트폰과 앨범사진이 수평하게 되어야 촬영된 사진도 일그러지지 않고 수평하게 촬영된다. 그러나, 손으로 잡고 촬영을 하는 이상 촛점이 흐러지거나 수평도가 틀어질 뿐 아니라, 카메라의 플래시를 사용하게 되면 빛이 반사되어 원하는 화질을 얻을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Therefore, the number of individuals who take old pictures stored in albums on their smartphones and move them to cyberspace is increasing, but it is difficult to take pictures of albums while holding a smartphone with both hands. For example, when you take a photo of an album with a photograph at the bottom of the album, and then hold the smartphone with both hands, the photo of the smartphone and the album should be level.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deal focus or blurring of the image by the hand is blurred or the horizontal level is changed, and when the flash of the camera is used, the light is reflected and the desired image quality can not be obtain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추억이 담긴 앨범사진을 스마트폰의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촬영하거나, 문서를 포함한 인쇄물을 촬영하는 과정에서 고품질의 결과물을 얻을 수 있도록 간접조명이 구성된 스마트폰용 스트로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000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photographing an album photograph containing memories by using a camera function of a smart phone, We want to provide a strobe for a smartphone with lighting.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스트로보의 구체적인 과제 해결 수단으로는, 하판(71)에는 램프(51)가 안착되고, 상판(72)에는 램프커버(77)가 끼워지는 개구부(75)가 형성되며, 상판(72)과 하판(71)이 결합된 흡착조명(70)의 일측에는 내부에 기어홈(74)이 형성된 기어걸림공(73)이 형성되고, 분할된 걸림봉(83)의 내부에는 코일스프링(88)이 내장되고, 상기 코일스프링(88)의 양측단에는 탄성걸림구(85)가 위치되되, 상기 탄성걸림구(85)는 외주면에 걸림기어(86)가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기어(86)의 측방에는 파지돌기(87)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봉(83)의 외주면 중앙에는 회전방지돌기(84)가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봉(83)의 외주면 양측에는 탄성걸림구(85)의 파지돌기(87)가 돌출되도록 축방향을 따라 장공(89)이 형성되어, 외주연에 회전방지홈(82)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흡착판(80)의 관통공(81)으로 상기 걸림봉(83)의 회전방지돌기(84)가 대응되어 장착되고, 상기 탄성걸림구(85)의 걸림기어(86)는 상기 흡착조명(70)의 기어걸림공(73)의 기어홈(74)에 치합되는 구성이다.
A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스트로보를 사용하게 되면, 스마트폰에 탑재된 카메라의 기능을 이용하여 추억이 담긴 앨범사진을 찍어 디지털 사진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고품질의 결과물이 얻어지게 된다. 즉, 측면조명(50), 중앙조명(50), 흡착조명(70) 들이 사진 촬영에 필요한 간접조명을 연출함으로써, 촬영된 사진의 화질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문서를 포함한 인쇄물을 촬영할 때에도 측면조명(50), 중앙조명(50), 흡착조명(70) 들이 간접조명을 연출함으로써, 마치 스마트폰이 스캐너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탁상용 스마트폰 거치대로 활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스탠드 조명과 야간 외부 활동시 독서 조명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The use of the strob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high-quality results to be obtained in the process of taking an album photograph containing memories and converting it into a digital photograph by using the function of a camera mounted on a smart phone. That is, th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스트로보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중 다단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중 연장받침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중 다단지지부와 연장받침부의 접철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스트로보의 보관 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스트로보의 측면조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스트로보의 중앙조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스트로보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9, 10은 본 발명중 흡착조명의 거치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스트로보의 스탠드 조명으로의 사용 상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스트로보의 탁상용 거치대로의 사용 상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병중 흡착조명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14는 본 발병중 흡착판과 걸림봉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15는 본 발병중 흡착판과 흡착조명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중 흡착조명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중 흡착조명의 탁상용 거치대로의 사용 상태 사시도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strob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multi-
FIG. 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extension receiv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folding process of the double-stitched portion and the extending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oboscopic storage state of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side lighting of a strob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entral lighting of a strob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strob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9 and 10 are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the position of the absorption illumi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oboscop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a strobe for a smartphone in a tablet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dsorption illumination during the onset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adsorption plate and a latching rod during the onse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assembly of an adsorption plate and adsorption illumination during the onse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use of absorption illumin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te of use of the adsorption illumin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필름 카메라로 찍었던 사진을 스마트폰(1)에 탑재된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디지털 사진으로 찍어 저장하거나, 문서를 포함한 인쇄물을 촬영하여 스마트폰을 스캐너의 기능으로 활용하기 위한 스마트폰용 스트로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술구성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obe for a smartphone for photographing a photograph taken by a film camera by using a camera function mounted on th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스트로보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중 다단지지부(3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스마트폰(1)을 올려놓기 위한 거치부(10)가 구성되되, 거치부(10)의 중앙에는 스마트폰(1)의 저면이 직접 맞닿는 대면부(20)가 형성되고, 상기 대면부(20)의 양측에는 제1가이드(11)와 제2가이드(12)가 대면부(20)보다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대면부(20)에 올려진 스마트폰(1)이 제1,2가이드(11, 12)의 안내로 인해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use state of a strob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상기 거치부(10)를 하부에서 지지하기 위한 다단지지부(30)는 도 1, 2에서와 같이 제1,2가이드(11, 12)의 선단과 말단에 각각 설치되는바, 도 2의 원내확대도에 도시된 것처럼, 다단지지부(30)의 일측은 제1끼움구(31)가 형성되고, 상기 제1끼움구(31)의 직하방에는 제1고정구(3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끼움구(31) 및 제1고정구(32)와 대응되어 조립되는 것으로서, 제1,2가이드(11, 12)의 내측에는 제1끼움공(13) 및 제1고정공(14)이 형성된다.The
상기 다단지지부(30)는 제1끼움구(31)를 통해 제1끼움공(13)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후, 회동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1,2가이드(11, 12)의 제1끼움공(13)의 직하방에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된 제1고정공(14)에 다단지지부(30)의 제1고정구(32)를 끼움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가 유지도록 한다. 참고로, 제1가이드(11)와 제2가이드(12)는 대면부(20)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응되어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세 구성 또한 동일한 것이므로 필요에 따라 제1가이드(11) 또는 제2가이드(12)중 1개만 선별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도 3은 본 발명중 연장받침부(4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10)를 지지하기 위한 다단지지부(30)의 타측에는 연장받침부(40)가 장착된다. 따라서, 스마트폰(1)을 대면부(20)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피사체와의 거리 등을 고려하여 거리 연장이 필요하면 다단지지부(30)에서 연장받침부(40)를 단계적으로 인출함으로써, 탄력적으로 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다단지지부(30)와 연장받침부(40)의 단계적인 인출은 다단지지부(30)의 표면에 형성된 톱니 구성으로 인해 가능한 것이며, 톱니 구성을 이용한 인출 방식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톱니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한편, 도 4는 본 발명중 다단지지부(30)와 연장받침부(40)의 접철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스트로보의 보관 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앞서 도 2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다단지지부(30)는 제1끼움구(31)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서, 도 4에서 보듯이 다단지지부(30)와 연장받침부(40)가 회전되어 대면부(20)의 상부로 접혀지면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스트로보가 보관 상태로 변형되는 것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folding process of th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스트로보의 측면조명(50)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도면은 도 5의 상태를 뒤집어 놓은 것이다. 도 6에서와 같이 일측에 램프(51)가 장착된 측면조명(50)의 양측에는 도 6의 (a)의 원내확대도에서와 같이 제2끼움구(52)가 형성되고, 상기 제2끼움구(52)의 측방에는 제2고정구(53)가 형성된다. 한편, 도 6의 (b)의 원내확대도는 제1가이드(11) 또는 제2가이드(12)의 일측에 형성된 제2끼움공(15)과 제2고정공(16)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측면조명(50)의 제2끼움구(52)가 끼워지는 제2끼움공(15)이 제1,2가이드(11, 12)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끼움공(15)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제2고정공(16)이 방사상으로 형성된다.6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따라서, 측면조명(50)이 제2끼움구(52)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바, 조명을 비추기 위한 각도가 설정되면 제2고정구(53)가 다수개 형성된 제2고정공(16)의 어느 하나에 끼워짐으로써, 조명각도가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측면조명(50)은 도 6에서 보듯이 대면부(20)의 양측에 장착된다.Accordingly, when the angle for illuminating the light is set, th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스트로보의 중앙조명(60)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에서와 같이 대면부(20)의 저면에는 중공부(21)를 중심으로 일측에는 제1배터리장착부(2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배터리장착부(23)가 형성된다. 상기 제1,2배터리장착부(22, 23)에 건전지를 장착하여 측면조명(50)과 중앙조명(6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즉, 도 7에서 보듯이 상기 제1배터리장착부(22)의 양측에는 걸림구(24)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조명(60)의 일측에는 도 7의 (b)의 원내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공(61)이 형성되는바, 상기 걸림구(24)가 걸림공(61)에 끼워지되, 플라스틱 사출물의 특성상 중앙조명(60)의 상부와 하부를 분리하여 걸림구(24)를 분리된 걸림공(61)의 사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끼우게 된다.7,
한편, 상기 중앙조명(60)은 앨범사진 또는 문서 또는 인쇄물을 향해 사진 촬영을 할 때에 상기 걸림공(61)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인출되는바, 인출된 중앙조명(60)의 각도를 유지하고자, 도 7의 (b)의 원내확대도에서와 같이 걸림공(61)의 일측에 제3고정공(62)을 형성하고, 도 7의 (a)의 원내확대도에서와 같이 걸림구(24)의 일측에 탄성포착구(25)를 형성하여 상기 제3고정공(62)에 탄성포착구(25)가 탄성으로 끼워짐으로써, 각도가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2배터리장착부(22, 23)에는 덮개(26)가 끼워진다.In order to maintain the angle of th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스트로보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8의 (a)는 정면도이고, 도 8의 (b)는 측면도이다. 스마트폰(1)을 대면부(20)에 올려놓고, 지면에 위치된 앨범사진 또는 문서 또는 인쇄물을 향해 사진 촬영에 필요한 적정한 조명을 측면조명(50)과 중앙조명(60)을 통해 비쳐줌으로써, 우수한 사진촬영 환경이 조성되도록 한다.FIG. 8 is a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strob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FIG. 8 (a) is a front view and FIG. 8 (b) is a side view. The
한편, 도 9, 10은 본 발명중 흡착조명(70)의 거치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에서 보듯이 연장받침부(40)에는 거치공(41)이 형성되고, 이 거치공(41)에는 흡착판(80)이 부착된 흡착조명(70)이 탄성걸림구(85)를 매개체로 하여 장착되는바, 본 발명의 다리에 해당하는 연장받침부(40)에 장착된 흡착조명(70)을 통해, 앨범사진 또는 문서의 사진 촬영시에 더욱 많은 광량을 조사할 수 있음에 따라, 더욱 우수한 사진촬영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9 and 10 are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the position of the
또한,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스트로보의 스탠드 조명으로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1에서 보듯이 대면부(20)의 일측에 장착되는 다단지지부(30)와 연장받침부(40)는 지면에 맞닿도록 각도를 조절하고, 대면부(20)의 타측에 장착된 다단지지부(30)와 연장받침부(40)는 마치 스탠드 조명처럼 상부를 향해 각도를 조절하되, 다단지지부(30)에서 연장받침부(40)를 인출하여 길이가 길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장받침부(40)에 장착된 흡착조명(70)이 책상에서의 스탠드 조명 또는 야간 낚시에서 조명도구로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oboscopic strobosco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1, the stroboscopic strobosco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한편,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스트로보를 탁상용 거치대로 사용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12에서와 같이 대면부(20)의 일측에 장착되는 다단지지부(30)와 연장받침부(40)를 지면에 맞닿도록 각도를 조절하고, 스마트폰(1)을 대면부(20)에 기대어 놓으면 탁상에서 스마트폰(1)을 세워놓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12, the stroboscop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tabletop for a desk. The strobosco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도 13은 본 발병중 흡착조명(70)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3에서 보듯이, 흡착조명(70)은 플라스틱 사출물임을 고려할 때, 하판(71)과 상판(72)으로 분리되고, 하판(71)에는 램프(51)와 충전식 배터리(76)가 위치된다. 상기 램프와 배터리의 작동구성 및 배선에 관한 구성들은 공지 기능이며 본 발명의 요지와 부합되지 않는 부연 설명에 지나지 않음으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에서와 같이 흡착조명(70)의 상판(72)에는 램프커버(77)가 끼워지는 개구부(75)가 양측에 형성되고, 상판(72)과 하판(71)이 결합된 흡착조명(70)의 일측에는 기어홈(74)이 내부에 형성된 기어걸림공(73)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걸림봉(83)의 탄성걸림구(85)가 끼워지도록 한다.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도 14는 앞서 설명한 흡착조명(70)를 끼우기 위한 흡착판(80)과 걸림봉(83)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로서, 도 14의 (a)에서 보듯이, 분할된 걸림봉(83)의 내부에는 코일스프링(88)이 내장되고, 상기 코일스프링(88)의 양측단에는 탄성걸림구(85)가 위치되되, 상기 탄성걸림구(85)는 외주면에 걸림기어(86)가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기어(86)의 측방에는 파지돌기(87)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돌기(87)를 잡고 탄성걸림구(85)를 코일스프링(88)의 중간지점으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걸림구(85)가 걸림봉(83)의 내부에서 수평이동이 되도록 걸림봉(83)의 양측 외주면에는 탄성걸림구(85)의 파지돌기(87)가 돌출되도록 축방향을 따라 장공(89)이 형성된다.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한편, 도 1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착판(80)에는 상기 걸림봉(83)이 관통되도록 관통공(8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81)의 외주연에는 회전방지홈(82)이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는바, 상기 걸림봉(83)이 흡착판(80)의 관통공(81)에 끼워진 다음, 걸림봉(83)의 중앙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회전방지돌기(84)가 회전방지홈(82)에 대응되면서 조립됨에 따라, 걸림봉(83)이 흡착판(80)에서 헛돌지 않음으로 결국 걸림봉(83)에 장착되는 흡착조명(70)의 조명각도가 임의로 회전되지 않게 된다. 도 14의 (b)는 흡착판(80)과 걸림봉(83)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14 (a), a through
도 15는 본 발병중 흡착판(80)과 흡착조명(70)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로서,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착조명(70)의 기어걸림공(73)에는 걸림봉(83)의 탄성걸림구(85)가 끼워지되, 사용자가 파지돌기(87)를 잡고 탄성걸림구(85)를 안쪽으로 움직이면 도면에 화살표로 표시한 것처럼 탄성걸림구(85)가 수평이동되고, 사용자가 탄성걸림구(85)에서 손을 놓으면 도 15의 (b)와 같이 코일스프링(88)의 탄성으로 인해 탄성걸림구(85)가 기어걸림공(73)에 끼워지면서 흡착조명(70)과 흡착판(80)이 조립되는 것이다.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assembling of the
한편, 도 15의 (b)에서 2점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흡착조명(70)은 상황에 따라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바, 원활한 사진 촬영을 위하여 각도 조절이 된 이후에는 설정된 각도가 유지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설정한 흡착조명(70)의 각도를 유지하고자, 도 13의 원내확대도에서와 같이 기어걸림공(73)의 내측에 기어홈(74)을 형성하고, 도 14에서와 같이 탄성걸림구(85)의 외주면에 걸림기어(86)를 방사상으로 돌출형성한다. 이로써, 탄성걸림구(85)의 걸림기어(86)가 기어걸림공(73)의 기어홈(74)에 치합됨으로써, 사용자가 설정한 각도가 유지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indicated by the chain double-dashed line in FIG. 15 (b), the
도 16은 본 발명중 흡착조명(70)의 단독사용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서 하부조명으로 사용되는 흡착조명(70)을 탈거한 후, 도 16의 (a)에서와 같이 흡착판(80)을 스파트폰(1)에 부착시키면, 조명을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 되는 것이다.FIG. 16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16A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도 16의 (b)는 도 16의 (a)의 상태에서 뒤집어 놓은 것으로서, 실제 사진 촬영에서 흡착조명(70)이 하부에 있는 피사체를 향해 조명을 조사하는 것이다. 물론, 스마트폰(1)에도 카메라 플래시가 내장되지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흡착조명(70)은 은은한 간접조명을 조사함으로써, 스튜디오 촬영과 같은 효과가 발현될 수 있다.Fig. 16 (b) is an inverted state in the state of Fig. 16 (a), in which the
한편, 도 17은 상기 흡착조명(70)을 이용한 스마트폰의 탁상용 거치대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7에서와 같이 스마트폰(1)에 흡착된 흡착조명(70)의 각도를 일정하게 설정한 다음, 흡착조명(70)과 스마트폰(1)을 테이블에 올려놓으면 마치 흡착조명(70)이 지지대의 역할을 하면서 흡착조명(70)을 스마트폰의 탁상용 거치대로 활용할 수 있다.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tabletop stand of the smartphone using th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스트로보를 사용하게 되면, 스마트폰에 탑재된 카메라의 기능을 이용하여 추억이 담긴 앨범사진을 찍어 디지털 사진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고품질의 결과물이 얻어지게 된다. 즉, 측면조명(50), 중앙조명(50), 흡착조명(70) 등이 사진 촬영에 필요한 간접조명을 연출함으로써, 촬영된 사진의 화질이 향상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trobe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 high-quality result is obtained in the process of taking an album photograph containing memories and converting it into a digital photograph using the functions of a camera mounted on a smart phone . That is, the
또한, 문서를 포함한 인쇄물을 촬영할 때에도 측면조명(50), 중앙조명(50), 흡착조명(70) 등이 간접조명을 연출함으로써, 마치 스마트폰이 스캐너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탁상용 스마트폰 거치대로 활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스탠드 조명과 야간 외부 활동시 독서 조명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when the printed matter including the document is photographed, the
1 : 스마트폰
10 : 거치부
11 : 제1가이드
12 : 제2가이드
13 : 제1끼움공
14 : 제1고정공
15 : 제2끼움공
16 : 제2고정공
20 : 대면부
21 : 중공부
22 : 제1배터리장착부
23 : 제2배터리장착부
24 : 걸림구
25 : 탄성포착구
26 : 덮개
30 : 다단지지부
31 : 제1끼움구
32 : 제1고정구
40 : 연장받침부
41 : 거치공
50 : 측면조명
51 : 램프
52 : 제2끼움구
53 : 제2고정구
60 : 중앙조명
61 : 걸림공
62 : 제3고정공
70 : 흡착조명
71 : 하판
72 : 상판
73 : 기어걸림공
74 : 기어홈
75 : 개구부
76 : 배터리
77 : 램프커버
80 : 흡착판
81 : 관통공
82 : 회전방지홈
83 : 걸림봉
84 : 회전방지돌기
85 : 탄성걸림구
86 : 걸림기어
87 : 파지돌기
88 : 코일스프링
89 : 장공1: Smartphone
10: Mounting portion
11: First guide
12: The second guide
13: first fitting ball
14: first fixing hole
15: second fitting ball
16: second fixing hole
20: Facing portion
21:
22: first battery mounting portion
23: second battery mounting portion
24:
25: Elastic seals
26: Cover
30: Da Just Branch
31: First fitting portion
32: First fixture
40:
41: Mounting ball
50: Side lighting
51: lamp
52: second fitting portion
53: second fastener
60: Central light
61:
62: third fixing hole
70: Adsorption illumination
71: Lower plate
72: top plate
73: Catching gear
74: Gear groove
75: opening
76: Battery
77: Lamp cover
80: Suction plate
81: Through hole
82: Anti-rotation groove
83:
84: rotation preventing projection
85: Elastic strap
86: Engaging gear
87:
88: coil spring
89: Slots
Claims (2)
A lamp 51 is mounted on the lower plate 71 and an opening 75 into which the lamp cover 77 is fitted is formed on the upper plate 72. The upper plate 72 and the lower plate 71, A coil spring 88 is embedded in the divided stopper rod 83 and the coil springs 88 are fixed to both sides of the coil spring 88 The elastic stopper 85 is provided with a latch gear 86 radiall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grip protrusion 87 formed on the side of the latch gear 86 Rotation protrusions 84 are radially formed at the center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taining rods 83 and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retaining rods 83 in the axial direction so that the gripping protrusions 87 of the elastic retaining holes 85 are projected. And the rotation preventing protrusion 84 of the engaging rod 83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81 of the attracting plate 80 having the rotation preventing groove 82 radially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thereof. And the engaging gear 86 of the elastic engaging portion 85 engages with the gear engaging hole 74 of the engaging hole 73 of the attracting illumination 70. The stroboscope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흡착조명(70)은 상기 걸림봉(83)의 탄성걸림구(85)를 매개체로 하여 거치부(10)의 연장받침부(40)에 형성된 거치공(41)에 장착되되, 상기 거치부(10)는 중앙에 중공부(21)가 형성된 대면부(20)가 형성되고, 상기 대면부(20)의 양측에는 제1가이드(11)와 제2가이드(12)가 형성되며, 제1,2가이드(11, 12)의 선단과 말단에는 다단지지부(30)가 각각 장착되되, 다단지지부(30)의 일측은 제1끼움구(31)가 형성되고, 상기 제1끼움구(31)의 직하방에는 제1고정구(32)가 형성되어, 상기 제1,2가이드(11, 12)의 내측에 형성된 제1끼움공(13)과 상기 제1끼움공(13)의 직하방에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된 제1고정공(14)에 상기 다단지지부(30)의 제1끼움구(31)와 제1고정구(32)가 대응되어 조립되고, 상기 다단지지부(30)의 타측에는 길이 연장이 가능한 연장받침부(40)가 장착되며,
램프(51)가 장착된 측면조명(50)이 구비되되, 상기 측면조명(50)의 양측에는 제2끼움구(52)가 형성되고, 상기 제2끼움구(52)의 측방에는 제2고정구(53)가 형성되며, 상기 측면조명(50)의 제2끼움구(52)가 끼워지는 제2끼움공(15)이 제1,2가이드(11, 12)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구(53)가 끼워지는 제2고정공(16)은 상기 제2끼움공(15)의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대면부(20)의 저면에는 중공부(21)를 중심으로 일측에는 제1,2배터리장착부(22, 23)가 각각 형성되고, 제1배터리장착부(22)의 양측에는 걸림구(24)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구(24)의 일측에는 탄성포착구(25)가 형성되어, 중앙조명(60)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공(61)이 상기 걸림구(24)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중앙조명(60)의 인출시에는 상기 걸림공(61)의 일측에 형성된 제3고정공(62)에 탄성포착구(25)가 끼워지므로, 상기 측면조명(50) 또는 중앙조명(60) 또는 흡착조명(70)을 통해 간접조명을 만들면서 앨범사진, 인쇄물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스트로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bsorption illumination light 70 is mounted on the mounting hole 41 formed in the extension receiving portion 40 of the mounting portion 10 with the elastic receiving portion 85 of the fixing rod 83 as a medium, The first guide 11 and the second guide 1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acing portion 20 and the first guide 11 and the second guide 12 ar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acing portion 20, The first and second guides 11 and 12 are mounted on the distal end and the distal end of the first guide 11 and the second guide 11, respectively. The first guide member 3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guide member 30, 31 are formed with a first fixing hole 32 and a first fitting hole 13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s 11 and 12 and a first fitting hole 13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fitting hole 13 The first fastening holes 31 and the first fastening holes 32 of the multiple fastening portions 30 are assembled in correspondence to the first fastening holes 14 form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first fastening holes 30, An extension receiving portion 40 capable of extending a length is mounted on the other side,
A second fitting member 52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ide lighting member 50 and a second fixing member 52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second fitting member 52. [ A second fitting hole 15 in which the second fitting hole 52 of the side illumination 50 is fitted is formed inside the first and second guides 11 and 12, A plurality of second fixing holes 16 into which the fixing members 53 are fitted are formed radiall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fitting hole 15. A hollow portion 21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acing portion 20,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loading portions 22 and 23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battery loading portion 22 and the latching holes 24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battery loading portion 22, A catching hole 25 is formed so that a latching hole 61 formed at one side of the central lighting 60 is rotatably fitted in the latching hole 24. When the central lighting 60 is pulled out, A third fixing hole 62 formed at one side of the first fixing hole 61, And the elastic catching member 25 is fitted in the recessed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50 so that the indirect lighting can be made through the side illumination 50 or the central illumination 60 or the absorption illumination 70, Strob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8739A KR101624939B1 (en) | 2014-03-12 | 2014-03-12 | The strobo for smartpho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8739A KR101624939B1 (en) | 2014-03-12 | 2014-03-12 | The strobo for smartpho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6545A KR20150106545A (en) | 2015-09-22 |
KR101624939B1 true KR101624939B1 (en) | 2016-05-27 |
Family
ID=54245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28739A KR101624939B1 (en) | 2014-03-12 | 2014-03-12 | The strobo for smartpho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24939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06451A (en) | 2000-06-22 | 2002-01-09 | Fuji Photo Film Co Ltd | Close-up photographing adapter for film unit with lens |
JP2002258365A (en) | 2001-02-28 | 2002-09-11 | Sugiura Kenkyusho:Kk | Uniform lighting unit for photography |
JP2005128535A (en) | 2003-10-22 | 2005-05-19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 Lp |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with camera and strobe lights |
-
2014
- 2014-03-12 KR KR1020140028739A patent/KR10162493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06451A (en) | 2000-06-22 | 2002-01-09 | Fuji Photo Film Co Ltd | Close-up photographing adapter for film unit with lens |
JP2002258365A (en) | 2001-02-28 | 2002-09-11 | Sugiura Kenkyusho:Kk | Uniform lighting unit for photography |
JP2005128535A (en) | 2003-10-22 | 2005-05-19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 Lp |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with camera and strobe light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6545A (en) | 2015-09-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27458B1 (en) | Foldable soft box | |
US3802102A (en) | Special effects box | |
JP2006208857A (en) | Attachment for cellular phone with camera or digital camera | |
US20140219645A1 (en) | Document holder for a portable imaging apparatus | |
TWM411588U (en) | light source module | |
KR101624939B1 (en) | The strobo for smartphone | |
EP3958053A1 (en) | Easily-foldable soft box | |
US7748858B2 (en) | Photographic diffuser | |
JPH07281257A (en) | Photograph game set with improved illumination | |
US20070003277A1 (en) | Camera lens attachment to aid macro photography of fingerprints | |
AU2009308306B2 (en) | Collapsible photographic light diffuser | |
US9771197B2 (en) | Accessory storage device | |
CN210270494U (en) | Projection imaging device | |
KR101274542B1 (en) | Reading stand having enhanced usability structures | |
JP5532704B2 (en) | Lighting device for photography | |
Wildi | The Hasselblad Manual | |
CN109210326B (en) | Micro-distance shooting instrument for smart phone | |
CN207851477U (en) | Special efficacy photograph filter | |
KR101975641B1 (en) | lighting device with camera stand | |
CN208224687U (en) | Integral type light compensating lamp | |
CN210200226U (en) | Projection lamp | |
US9341927B1 (en) | Slide projector housing with mount for detachable lens and strobe | |
CN207586510U (en) | A kind of micro- digital imaging devices of camera | |
JP2017175396A (en) | Imaging apparatus stand and illuminating device | |
JP3166515U (en) | Camera strobe light diffus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