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918B1 -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4918B1
KR101624918B1 KR1020140151989A KR20140151989A KR101624918B1 KR 101624918 B1 KR101624918 B1 KR 101624918B1 KR 1020140151989 A KR1020140151989 A KR 1020140151989A KR 20140151989 A KR20140151989 A KR 20140151989A KR 101624918 B1 KR101624918 B1 KR 101624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device
unit
removable storage
area
record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1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2139A (ko
Inventor
이종수
고성현
정우연
Original Assignee
(주)이에스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에스브이 filed Critical (주)이에스브이
Priority to KR1020140151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918B1/ko
Publication of KR20160052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2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데이터가 저장된 이동식 저장장치; 차량용 영상기록장치에 장착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용 영상기록장치에 삽입되는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의 삽입을 감지하여 감지한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송신한 감지신호에 대한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의 손상유무를 판별하는 판별부; 상기 판별부에서 판별한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의 손상유무에 대해 응답하는 응답부; 상기 응답부에서 손상유무에 대해 응답된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의 손상된 영역을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프로그램을 통해 복구시키는 복구부; 및 상기 응답부로부터 손상유무에 대해 응답된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의 손상된 영역에 대응하는 복구력을 결정하여 상기 복구부에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 시스템 및 방법{A REMOVABLE STORAGE DEVICE USING VIDEO RECORDING EQUIPMENT TO RESTORE A SYSTEM AND METHOD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상된 이동식 저장장치의 영역을 차량용 영상기록장치에 의해 복구시킬 수 있으므로, 이동식 저장장치에서 영역이 손상되어도 자동으로 안정되게 복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복구가 가능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고기능화, 영상의 고화질화 및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춘 성능이 진보된 이동 통신 단말기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대용량의 메모리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이동 통신 환경도 함께 발전하여 서버와 이동 통신 단말기 간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사용자는 필요한 데이터를 자신의 단말기로 다운로드 받아서 언제든지 다양한 컨텐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식 저장장치는 메모리 구성이 크게 파티션 영역, 시스템 영역, 사용자 영역으로 나누어지고, 실제 데이터가 저장되는 부분은 사용자 영역이며, 파티션 영역과 시스템 영역은 파일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이동식 저장장치는 PC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꽂아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특히 파일 시스템을 이용하여 콘텐츠 데이터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러나, 이동식 저장장치를 사용하다 보면, 데이터를 읽거나 쓰는 과정에서 이동식 저장장치를 갑자기 뽑거나 기기의 전원을 차단할 경우 또는 전압이 불안정한 기기에서 사용하는 경우에 이동식 저장장치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손상된 이동식 저장장치로 인해 파일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 파티션 영역과 시스템 영역의 일부 또는 전체가 깨지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26693호(발명의 명칭: 재생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장치의 손상 복구 방법, 공개일자: 2006년 03월 24일) 및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56646호(발명의 명칭: 이동 저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시스템 복구 방법, 공개일자: 2006년 05월 25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손상된 이동식 저장장치의 영역을 차량용 영상기록장치에 의해 복구시킬 수 있으므로, 이동식 저장장치에서 영역이 손상되어도 자동으로 안정되게 복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복구가 가능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이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 시스템은, 데이터가 저장된 이동식 저장장치; 차량용 영상기록장치에 장착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용 영상기록장치에 삽입되는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의 삽입을 감지하여 감지한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송신한 감지신호에 대한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의 손상유무를 판별하는 판별부; 상기 판별부에서 판별한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의 손상유무에 대해 응답하는 응답부; 상기 응답부에서 손상유무에 대해 응답된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의 손상된 영역을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프로그램을 통해 복구시키는 복구부; 및 상기 응답부로부터 손상유무에 대해 응답된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의 손상된 영역에 대응하는 복구력을 결정하여 상기 복구부에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구부를 통해 복구된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상태를 확인하는 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응답부는 영상이나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는 블랙박스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는 사용자 영역과 시스템 영역으로 나누어지는 것으로,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의 손상된 영역은 시스템 영역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영역은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고, 상기 시스템 영역은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의 물리적인 정보에 관한 동작 전압, 전체 사용 가능한 메모리 공간, 한번에 읽고 쓸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기록된 영역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 시스템에 있어서, 복구된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는 전자제품인 피씨(PC), 핸드폰,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되어 재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는 에스디(SD) 카드, 스마트미디어(SmartMedia) 카드, 엠엠씨(MMC) 카드, 씨에프(CF) 카드, 메모리스틱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 방법은, 이동식 저장장치에서 데이터가 저장된 단계; 감지부에서 차량용 영상기록장치에 장착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용 영상기록장치에 삽입되는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의 삽입을 감지하여 감지한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판별부에서 상기 감지부에서 송신한 감지신호에 대한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의 손상유무를 판별하는 단계; 응답부에서 상기 판별부에서 판별한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의 손상유무에 대해 응답하는 단계; 복구부에서 상기 응답부에서 손상유무에 대해 응답된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의 손상된 영역을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프로그램을 통해 복구시키는 단계; 및 제어부에서 상기 응답부로부터 손상유무에 대해 응답된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의 손상된 영역에 대응하는 복구력을 결정하여 상기 복구부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 방법에 있어서, 확인부에서 상기 복구부를 통해 복구된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응답부는 영상이나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는 블랙박스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는 사용자 영역과 시스템 영역으로 나누어지는 것으로,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의 손상된 영역은 시스템 영역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영역은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고, 상기 시스템 영역은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의 물리적인 정보에 관한 동작 전압, 전체 사용 가능한 메모리 공간, 한번에 읽고 쓸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기록된 영역이다.
본 발명은 손상된 이동식 저장장치의 영역을 차량용 영상기록장치에 의해 복구시킬 수 있으므로, 이동식 저장장치에서 영역이 손상되어도 자동으로 안정되게 복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복구가 가능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식 저장장치가 물리적으로 완전히 손상되지 않은 이상 재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복구된 이동식 저장장치의 재사용으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이동식 저장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 방법의 일 실시예의 순서도,
도 4는 도 3의 실시예의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 방법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이동식 저장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 시스템(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식 저장장치(110), 감지부(120), 판별부(130), 응답부(140), 복구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이동식 저장장치(110)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동식 저장장치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로, 통상적으로 다운로드받은 예컨대, MP3 파일과 같은 데이터들은 메모리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 플래시 메모리에 압축되어 저장된다.
이러한 이동식 저장장치(110)는 하드디스크와 같이 비휘발성이면서도 빠른 접근 속도를 가지고, 전력을 적게 소비하기 때문에 내장형 시스템이나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의 응용 분야에서 많이 사용된다.
이동식 저장장치(110)는 하드디스크와 같은 기계적 저장장치가 아니고, 반도체를 이용한 기억장치로서 저렴하면서 호환성이 우수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영상기록장치 뿐만 아니라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네비게이션, 핸드폰 등에 탈착 또는 장착이 가능하다.
이동식 저장장치(110)는 And, Or, Not, Nand, Nor 등의 논리(Logic) 반도체 중에서 Nand를 사용하기 때문에 낸드메모리라고 부른다.
이동식 저장장치(110)는 구조에 따라 SLC(Single Level Cell)형, MLC(Multi Level Cell)형, TLC(Triple Level Cell)형이 있다.
이동식 저장장치(110)는 차량용 영상기록장치인 블랙박스의 내부에 펌웨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낸드메모리가 내장되어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주로 SLC형으로 사용된다. SLC형은 MLC형보다 값이 몇 배 비싸지만, 리드(Read) 속도와 라이트(Write) 속도가 빠르므로 속도면에서 우수하여 신뢰성이 훨씬 높다.
이동식 저장장치(110)는 본체(111)의 일면에 메모리칩이 실장되어 수백만 내지 수십억개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읽어내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동식 저장장치(110)는 시스템 영역(110a)과 사용자 영역(110b)으로 나누어지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이동식 저장장치(110)의 손상된 영역은 시스템 영역(110a)인 것이다. 이동식 저장장치(110) 내의 영역 중에서 시스템 영역(110a)이 깨지는 등의 손상되면 포맷 기능을 통한 복구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실제 물리적으로는 아무런 문제가 없을지라도 이동식 저장장치(110)의 사용이 불가능해지는 반면, 사용자 영역(110b)만 손상된 경우에는 포맷 기능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복구가 가능하다.
시스템 영역(110a)은 이동식 저장장치(110)의 물리적인 정보에 관한 동작 전압, 전체 사용 가능한 메모리 공간, 한번에 읽고 쓸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기록된 영역이고, 사용자 영역(110b)은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이동식 저장장치(110)는 메모리칩이 실장된 일면에 대응되는 타면에 커넥터(110c)가 형성된다. 커넥터(110c)는 복수개의 금속이 본체의 일단부에 실장되어 삽입되는 차량용 영상기록장치의 내부에 접촉되는 부분이다.
이동식 저장장치(110)는 커넥터(110c)에 이웃하게 쓰기방지홈(110d)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쓰기방지홈(110d)은 본체(111)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의 회로기판과는 관련이 없다.
이동식 저장장치(110)는 차량용 영상기록장치인 블랙박스의 슬롯 내부에 쓰기방지 스위치가 있어 이 쓰기방지 스위치를 누르느냐 누르지 않는냐의 선택에 따라 쓰기 또는 포맷된다.
이동식 저장장치(110)는 에스디(Secure Digital, SD) 카드, 스마트미디어(SmartMedia) 카드, 엠엠씨카드(Multi Media Card, MMC), 씨에프(Compact Flash, CF) 카드, 메모리스틱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이동식 저장장치(110)는 SD 카드, SmartMedia 카드, MMC 카드, CF 카드 , 메모리스틱 등이 있는데, 그 각각의 카드는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각기 다른 방법을 가지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것이 FAT 파일 시스템이다. 따라서, 메모리 카드의 종류에 따라 각각의 FAT 정보가 저장되는데, FAT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 구성은 카드에 종류에 따라 다르게 구성된다.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하여 복구된 이동식 저장장치(110)는 차량용 영상기록장치 뿐만 아니라 전자제품인 피씨(PC), 핸드폰,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되어 재사용이 가능하다. 복구된 이동식 저장장치(110)는 재사용이 가능하여 비용이 절감된다.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는 이동식 저장장치(110)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드(Read) 또는 라이트(Write)할 수 있는 장치로 본 발명에서는 블랙박스로 이루어진다.
감지부(120)는 차량용 영상기록장치에 장착된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용 영상기록장치에 삽입되는 이동식 저장장치(110)의 삽입을 감지하여 감지한 감지신호를 송신한다. 감지부(120)는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장착된 센서로 인해 이동식 저장장치(110)의 삽입 여부를 감지한다. 감지부(120)의 감지신호는 센서가 차량용 영상기록장치에 이동식 저장장치(110)가 삽입되었을 때 미리 설정된 룰에 따라서 생성하는 전기적 신호를 말한다.
판별부(130)는 감지부(120)에서 송신한 감지신호에 대한 이동식 저장장치(110)의 손상유무를 판별한다. 판별부(130)는 감지부(120)로부터 송신한 감지신호를 통해 이동식 저장장치(110)가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식 저장장치(110)인지 아니면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이동식 저장장치(110)인지를 판별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판별부(130)는 이동식 저장장치(110)가 삽입된 경우 시스템 영역(110a)이나 사용자 영역(110b)에 기록된 값을 리드하여 기본 동작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이동식 저장장치(110)의 시스템 영역(110a)이나 사용자 영역(110b)이 정상적으로 리드되지 않는 경우에는 물리적으로 손상된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사용 불가임을 알린다.
정상적으로 리드되지 않은 영역이 시스템 영역(110a)이 정상적으로 리드되지 않을 경우에는 포맷 기능도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동식 저장장치(110)의 사용이 불가능하고, 사용자 영역(110b)일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맷 기능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복구가 가능하다.
응답부(140)는 판별부(130)에서 판별한 이동식 저장장치(110)의 손상유무에 대해 응답한다. 응답부(140)는 이동식 저장장치(110)가 손상으로 사용 불가임을 화면 영상이나 음성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화면 영상으로 출력되는 응답부(140)는 이동식 저장장치(110)의 손상유무의 정보를 육안으로 식별하도록 안내하고, 음성으로 즉, 스피커로 출력되는 응답부(140)는 이동식 저장장치(110)의 손상유무의 정보를 청취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화면 영상이나 음성으로 출력하는 응답부(140)는 사용자가 확인하지 못할 경우에 화면 영상과 음성이 동시에 출력하므로 이 둘 중에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복구부(150)는 응답부(140)에서 손상유무에 대해 응답된 이동식 저장장치(110)의 손상된 영역인 시스템 영역(110a)을 이동식 저장장치(110)를 복구프로그램을 통해 복구시킨다.
복구부(150)의 복구프로그램은 차량용 영상기록장치에 설치된다. 차량용 영상기록장치에 설치된 복구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펌웨어(Firmware)로, 이 펌웨어를 통해 운용된다. 펌웨어는 차량용 영상기록장치 구동 시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이러한 펌웨어는 차량용 영상기록장치의 안정된 성능과 버그를 수정하기 위해 제품의 출시 이후에도 새로운 버전이 지속적으로 개발된다.
이러한 복구부(150)는 손상된 다양한 이동식 저장장치(110)의 삽입으로 시스템 영역(110a)을 복구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응답부(140)로부터 손상유무에 대해 응답된 이동식 저장장치(110)의 손상된 영역에 대응하는 복구력을 결정하여 복구부(150)에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어부(160)는 차량용 영상기록장치에 삽입된 이동식 저장장치(110)가 손상되지 않을 경우에 정상적으로 이동식 저장장치(110)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드 또는 라이트한다.
반대로, 제어부(160)는 이동식 저장장치(110)가 손상될 경우에 정상적으로 이동식 저장장치(110)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드 또는 라이트를 할 수 없어 이동식 저장장치(110)의 손상된 영역인 시스템 영역(110a)이 복구프로그램을 통해 원래대로 용이하게 복구시킬 수 있다.
확인부(170)는 복구부(150)를 통해 복구된 이동식 저장장치(110)의 복구상태를 확인한다. 확인부(170)는 복구부(150)를 통해 복구된 이동식 저장장치(110)가 전자제품인 피씨(PC), 핸드폰,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되기 전에 이동식 저장장치(110)의 손상유무를 최종적으로 확인한다.
복구상태를 확인한 결과, 이동식 저장장치(110)가 정상적으로 복구될 경우에 전자제품에 삽입되어 재사용되고, 반대로 이동식 저장장치(110)가 정상적으로 복구되지 않을 경우에 다시 복구부(150)를 통해 복구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을 반복하여 손상된 이동식 저장장치(110)를 복구시킨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 방법의 일 실시예의 순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시예의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 방법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 방법(S100)은, 이동식 저장장치(110)에서 데이터가 저장된 단계인 데이터 저장단계(S110); 감지부(120)에서 차량용 영상기록장치에 장착된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용 영상기록장치에 삽입되는 이동식 저장장치(110)의 삽입을 감지하여 감지한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인 감지신호 송신단계(S120); 판별부(130)에서 감지부(120)에서 송신한 감지신호에 대한 이동식 저장장치(110)의 손상유무를 판별하는 단계인 손상유무 판별단계(S130); 응답부(140)에서 판별부(130)에서 판별한 이동식 저장장치(110)의 손상유무에 대해 응답하는 단계인 손상유무 응답단계(S140); 복구부(150)에서 응답부(140)에서 손상유무에 대해 응답된 이동식 저장장치(110)의 손상된 영역을 이동식 저장장치(110)의 복구프로그램을 통해 복구시키는 단계인 복구프로그램 복구단계(S150); 및 제어부(160)에서 응답부(140)로부터 손상유무에 대해 응답된 이동식 저장장치(110)의 손상된 영역에 대응하는 복구력을 결정하여 복구부(150)에 전달하는 단계인 복구력 전달단계(S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 방법(S100)은, 확인부(170)에서 복구부(150)를 통해 복구된 이동식 저장장치(110)의 복구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인 복구상태 확인단계(S170)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데이터 저장단계(S110)는 이동식 저장장치(110)에서 데이터가 저장된 단계이다. 이동식 저장장치(110)는 하드디스크와 같은 기계적 저장장치가 아니고 반도체를 이용한 기억장치로서 저렴하면서 호환성이 우수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영상기록장치 뿐만 아니라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네비게이션, 핸드폰 등에 탈착 또는 장착이 가능하다.
감지신호 송신단계(S120)는 감지부(120)에서 차량용 영상기록장치에 장착된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용 영상기록장치에 삽입되는 이동식 저장장치(110)의 삽입을 감지하여 감지한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감지부(120)는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장착된 센서로 인해 이동식 저장장치(110)의 삽입 여부를 감지한다. 감지부(120)의 감지신호는 센서가 차량용 영상기록장치에 이동식 저장장치(110)가 삽입되었을 때 미리 설정된 룰에 따라서 생성하는 전기적 신호를 말한다.
손상유무 판별단계(S130)는 판별부(130)에서 감지부(120)에서 송신한 감지신호에 대한 이동식 저장장치(110)의 손상유무를 판별하는 단계이다. 판별부(130)는 감지부(120)로부터 송신한 감지신호를 통해 이동식 저장장치(110)가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식 저장장치(110)인지 아니면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이동식 저장장치(110)인지를 판별한다.
손상유무 응답단계(S140)는 응답부(140)에서 판별부(130)에서 판별한 이동식 저장장치(110)의 손상유무에 대해 응답하는 단계이다. 응답부(140)는 이동식 저장장치(110)가 손상으로 사용 불가임을 화면 영상이나 음성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화면 영상으로 출력되는 응답부(140)는 이동식 저장장치(110)의 손상유무의 정보를 육안으로 식별하도록 안내하고, 음성으로 즉, 스피커로 출력되는 응답부(140)는 이동식 저장장치(110)의 손상유무의 정보를 청취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복구프로그램 복구단계(S150)는 복구부(150)에서 응답부(140)에서 손상유무에 대해 응답된 이동식 저장장치(110)의 손상된 영역인 시스템 영역(110a)을 이동식 저장장치(110)의 복구프로그램을 통해 복구시키는 단계이다. 복구부(150)의 복구프로그램은 차량용 영상기록장치에 설치된다. 차량용 영상기록장치에 설치된 복구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펌웨어(Firmware)로, 이 펌웨어를 통해 운용된다. 펌웨어는 차량용 영상기록장치 구동 시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이러한 복구부(150)는 손상된 다양한 이동식 저장장치(110)의 삽입으로 시스템 영역(110a)을 복구할 수 있다.
복구력 전달단계(S160)는 제어부(160)에서 응답부(140)로부터 손상유무에 대해 응답된 이동식 저장장치(110)의 손상된 영역에 대응하는 복구력을 결정하여 복구부(150)에 전달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어부(160)는 차량용 영상기록장치에 삽입된 이동식 저장장치(110)가 손상되지 않을 경우에 정상적으로 이동식 저장장치(110)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드(Read) 또는 라이트(Write)한다.
반대로, 제어부(160)는 이동식 저장장치(110)가 손상될 경우에 정상적으로 이동식 저장장치(110)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드 또는 라이트를 할 수 없어 이동식 저장장치(110)의 손상된 영역인 시스템 영역(110a)이 복구프로그램을 통해 원래대로 용이하게 복구시킬 수 있다.
복구상태 확인단계(S170)는 확인부(170)에서 복구부(150)를 통해 복구된 이동식 저장장치(110)의 복구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확인부(170)는 복구부(150)를 통해 복구된 이동식 저장장치(110)가 전자제품인 피씨(PC), 핸드폰,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되기 전에 이동식 저장장치(110)의 손상유무를 최종적으로 확인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 방법(S100)을 살펴보면, 우선 이동식 저장장치(110)를 차량용 영상기록장치에 삽입하고(S5), 차량용 영상기록장치에 장착된 센서를 이용하여 삽입된 이동식 저장장치(110)를 감지한다(S10). 그런 다음 감지한 이동식 저장장치(110)의 손상유무를 판별부(130)로 인해 판별하되(S15), 손상이 없이 정상적인 이동식 저장장치인 경우 응답부(140)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린다(S20). 만약에 이동식 저장장치가 손상되어 정상적이지 않을 경우에 역시 응답부(140)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린다(S20). 손상되어 정상적이지 않은 이동식 저장장치는 다시 복구부(150)의 복구프로그램을 통해 복구된다(S25). 정상적이거나 복구된 이동식 저장장치(110)는 전자제품인 피씨(PC), 핸드폰,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되어 재사용이 가능하다(S30).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랑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 시스템
110 : 이동식 저장장치 110a : 시스템 영역
110b : 사용자 영역 110c : 커넥터
110d : 쓰기방지홈 111 : 본체
120 : 감지부 130 : 판별부
140 : 응답부 150 : 복구부
160 : 제어부 170 : 확인부
S100 :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 방법
S110 : 데이터 저장단계 S120 : 감지신호 송신단계
S130 : 손상유무 판별단계 S140 : 손상유무 응답단계
S150 : 복구프로그램 복구단계 S160 : 복구력 전달단계
S170 : 복구상태 확인단계

Claims (14)

  1. 사용자 영역과 시스템 영역으로 나뉘어져 데이터가 저장되는 이동식 저장장치;
    블랙박스로 이루어진 차량용 영상기록장치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용 영상기록장치에 삽입되는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송신한 감지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감지신호에 대한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의 손상유무를 판별하는 판별부;
    상기 판별부에서 판별한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의 손상유무에 대해 영상이나 음성으로 응답하는 응답부;
    상기 차량용 영상기록장치에 복구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상기 응답부에서 손상유무에 대해 응답한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의 손상된 영역을 상기 차량용 영상기록장치의 복구프로그램을 통해 복구시키는 복구부; 및
    상기 응답부로부터 손상유무에 대해 응답한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의 손상된 영역의 복구력을 제어하고, 상기 복구부에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차량용 영상기록장치에 구비되어 상기 복구부를 통해 복구된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상태를 상기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로 확인하는 확인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영역은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고, 상기 시스템 영역은 손상되는 영역으로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의 물리적인 정보에 관한 동작 전압, 전체 사용 가능한 메모리 공간, 한번에 읽고 쓸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기록된 영역이고,
    복구된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는 전자제품인 피씨(PC), 핸드폰,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되어 재사용이 가능하며,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는 에스디(SD) 카드, 스마트미디어(SmartMedia) 카드, 엠엠씨(MMC) 카드, 씨에프(CF) 카드, 메모리스틱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사용자 영역과 시스템 영역으로 나뉘어진 이동식 저장장치에서 데이터가 저장되는 단계;
    감지부는 블랙박스로 이루어진 차량용 영상기록장치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용 영상기록장치에 삽입되는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한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판별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송신한 감지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감지신호에 대한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의 손상유무를 판별하는 단계;
    응답부는 상기 판별부에서 판별한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의 손상유무에 대해 영상이나 음성으로 응답하는 단계;
    상기 차량용 영상기록장치에 복구프로그램이 설치되고, 복구부는 상기 응답부에서 손상유무에 대해 응답한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의 손상된 영역을 상기 차량용 영상기록장치의 복구프로그램을 통해 복구시키는 단계; 및
    제어부는 상기 응답부로부터 손상유무에 대해 응답한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의 손상된 영역의 복구력을 제어하고, 상기 복구부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확인부는 상기 차량용 영상기록장치에 구비되어 상기 복구부를 통해 복구된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상태를 상기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로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영역은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고, 상기 시스템 영역은 손상되는 영역으로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의 물리적인 정보에 관한 동작 전압, 전체 사용 가능한 메모리 공간, 한번에 읽고 쓸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기록된 영역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40151989A 2014-11-04 2014-11-04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 시스템 및 방법 KR101624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1989A KR101624918B1 (ko) 2014-11-04 2014-11-04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1989A KR101624918B1 (ko) 2014-11-04 2014-11-04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139A KR20160052139A (ko) 2016-05-12
KR101624918B1 true KR101624918B1 (ko) 2016-05-27

Family

ID=56024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1989A KR101624918B1 (ko) 2014-11-04 2014-11-04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491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139A (ko) 201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5291B2 (en) Detection method used in adaptor capable of inserting various kinds of memory cards
CN112596672B (zh) 主控芯片的存储处理方法及装置、处理器和电子设备
KR101350981B1 (ko) 복합 광 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 구동 방법 및 이를 적용하는 전자 시스템
US20040225836A1 (en) Portable USB storage device capable of being set to device mode or host mode
CN104765631B (zh) 一种移动终端的应用程序恢复方法及装置
US7970972B2 (en) Insertion/removal detector
US20090198747A1 (en) Memory Card Reader Device for Recovering Memory Card
KR101624918B1 (ko)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 시스템 및 방법
US8667321B2 (en) Controlling method and controller for memory
US20220011949A1 (en) Safekeeping device, safekeeping system,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8041916B2 (en) Data storage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0820691B1 (ko) 데이터 복구기능을 가지는 메모리 카드 리더기
US20120120586A1 (en) Device, and device mounting apparatus
CN109074141B (zh) 具有热插拔预测电路的计算设备
KR101432398B1 (ko) 메모리 구성을 알리는 방법
JP4470048B2 (ja) 情報記録再生機器、電子機器
KR100820690B1 (ko) 메모리카드를 복구하는 메모리카드 리더기
US20110246841A1 (en) Storing apparatus
US20100037004A1 (en) Storage system for backup data of flash memory and method for the same
CN112905112B (zh) 一种嵌入式设备的数据处理方法及系统
JP2007249783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020101768A1 (en) Enhanced compact memory card with write protaction
JP2005284805A (ja) 小型メモリーカードアダプタ及び情報機器
KR20230106020A (ko)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JP4438692B2 (ja) メモリカード、制御装置及びデータ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