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330B1 - 초경량 재질로 만든 허니컴구조의 받침부재가 내장된 필기용 보드 - Google Patents

초경량 재질로 만든 허니컴구조의 받침부재가 내장된 필기용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4330B1
KR101624330B1 KR1020140068767A KR20140068767A KR101624330B1 KR 101624330 B1 KR101624330 B1 KR 101624330B1 KR 1020140068767 A KR1020140068767 A KR 1020140068767A KR 20140068767 A KR20140068767 A KR 20140068767A KR 101624330 B1 KR101624330 B1 KR 101624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board panel
writing
panel
honeycomb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8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0521A (ko
Inventor
김옥순
Original Assignee
김옥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옥순 filed Critical 김옥순
Priority to KR1020140068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330B1/ko
Publication of KR20150140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0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layer of regularly- arranged cells, e.g. a honeycomb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12Fastening strips or bars to sheets or plates, e.g. rubber strips, decorative strips for motor vehicles, by means of clips
    • F16B5/121Fastening strips or bars to sheets or plates, e.g. rubber strips, decorative strips for motor vehicles, by means of clips fastened over the edge(s) of the sheet(s) or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드판넬이 있고 상기 보드판넬이 받침부재에 의해서 지지가 되며 상기 보드판넬과 상기 받침부재의 테두리를 감싸는 프레임이 있는 교실이나 회의실에서 판서할 수 있는 필기용 보드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허니컴구조의 형상을 가지며 종이나 합성수지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부재와 상기 보드판넬 사이에서 이들을 접착시켜주는 양면에 접착도료가 도포된 접착용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각각 위아래로 수평 길이방향의 어느 한 부분에서 분리와 연결이 이루어지고, 상기 보드판넬은 상기 받침부재를 사이에 두고 전면 보드판넬과 후면 보드판넬을 양쪽에 덧 대어서 양면이 모두 필기용 보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드판넬은 금속재질 소재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과 또는 상기 보드판넬 아래에 필름을 깔고 상기 필름 위에 놓이며 투명한 재질 소재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무게를 줄여서 필기용 보드 자체를 초경량화하여 운반 및 이용이 수월하며 양면 사용이 가능하므로 필기용 보드의 수명을 연장해 주는 효과가 있고, 투명 보드판넬을 사용하여 다양한 환경에 처해 있는 사용자의 요구나 여러 종류의 필기구에도 대응 가능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초경량 재질로 만든 허니컴구조의 받침부재가 내장된 필기용 보드{Writing Board Having Resting Member Of Honeycomb Structure Made By Ultra Lightweight Material}
본 발명은 초경량 재질의 받침부재를 사용한 필기용 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허니컴구조로 제작된 초경량 재질로 만든 받침부재가 내장된 필기용 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실이나 회의실 등에는 판서할 수 있는 칠판이 설치된다. 이러한 칠판은 나무테에 판자를 붙여 도료를 칠한 형태이거나 칠판 위에 도표를 펼쳐놓거나 전표를 분류할 수 있도록 마그넷을 사용한 것 또는 금속강으로 만들기도 한다.
이와 같이 교실이나 회의실 등에서 판서할 수 있는 칠판에 관한 예로 종래기술 출원번호 20-2009-0001746호 `틸팅기능이 구비된 화이트보드 칠판`에서 개시되었다.
종래기술은 화이트보드 칠판에 관한 것으로, 종래기술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프레임과 이 베이스프레임의 양단부에 형성되며 일측에 확장부를 갖는 후크지지부가 형성된 보드 수용부가 구비된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의 보드 수용부에 설치되는 화이트 보드와, 지지프레임과 이 지지프레임의 일단에 형성되어 후크 지지부에 끼워 맞춤 결합되는 후크가 구비된 회동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기능이 구비된 화이트 보드 칠판이 제공된다.
또한, 종래기술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측벽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과 이 베이스프레임에서 연장 형성되며 단부에 확장부를 갖는 후크 지지부가 구비된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프레임의 측벽 사이에 수용되는 화이트 보드와, 일측이 화이트 보드를 지지하는 절곡몸체와 이 절곡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후크 지지부의 확장부에 끼워 맞춤 결합되는 후크가 구비된 회동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기능이 구비된 화이트 보드 칠판이 제공된다. 따라서, 화이트 보드를 칠판으로 부터 쉽고 편리하게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다.
이처럼 종래기술은 상기와 같은 장점이 있는 반면에 필기용 보드의 각 구성부분의 재료로 금속이나 나무 등을 사용하므로 재료 자체의 무게로 인해서 무겁다. 따라서, 필기용 보드를 설치하거나 분리후 이동시켜서 재설치하여 사용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필기용 보드의 한쪽 면만을 사용하므로 수명이 짧아져서 교체주기가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정한 종류의 재료만 필기용 보드로 사용할 경우 다양한 환경에 처해 있는 사용자의 요구나 여러 종류의 필기구들에 대응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필기용 보드를 사용할 경우에 각 구성부분의 재료가 금속이나 나무 등의 무거운 소재이므로 설치나 사용시 불편하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필기용 보드의 받침부재를 초경량 재질의 허니컴구조로 제작하여 경량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필기용 보드의 양면을 모두 사용 가능하게 제작하여 수명을 연장해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필기용 보드의 소재를 탄력적으로 선택하고 교체 가능하게 제작하여 다양한 환경에 처해 있는 사용자의 요구나 여러 종류의 필기구에도 대응 가능하게 제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드판넬이 있고 상기 보드판넬이 받침부재에 의해서 지지가 되며 상기 보드판넬과 상기 받침부재의 테두리를 감싸는 프레임이 있는 교실이나 회의실에서 판서할 수 있는 필기용 보드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허니컴구조의 형상을 갖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는 종이나 합성수지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와 상기 보드판넬 사이에서 상기 받침부재와 상기 보드판넬을 접착시켜주는 양면에 접착도료가 도포된 접착용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각각 위아래로 수평 길이방향의 어느 한 부분에서 분리와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드판넬은 상기 받침부재를 사이에 두고 전면 보드판넬과 후면 보드판넬을 양쪽에 덧 대어서 양면이 모두 필기용 보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드판넬은 금속재질 소재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드판넬은 상기 보드판넬 아래에 필름을 깔고 상기 필름 위에 놓이며 투명한 재질 소재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통해 필기용 보드의 받침부재를 초경량 재질의 허니컴구조로 제작하여 필기용 보드 자체를 경량화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기용 보드의 양면을 모두 사용가능 하도록 제작하여 수명을 연장해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기용 보드의 재료 소재를 탄력적으로 선택하고 교체 가능하게 제작하여 다양한 환경에 처해 있는 사용자의 요구나 여러 종류의 필기구에도 대응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필기용 보드의 예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 초경량 재질로 만든 허니컴구조의 받침부재가 내장된 필기용 보드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초경량 재질로 만든 허니컴구조의 받침부재가 내장된 필기용 보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초경량 재질로 만든 허니컴구조의 받침부재가 내장된 필기용 보드의 정면, 평면, 입면도,
도 5는 본 발명 초경량 재질로 만든 허니컴구조의 받침부재가 내장된 필기용 보드의 투명 보드판넬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초경량 재질로 만든 허니컴구조의 받침부재가 내장된 필기용 보드의 투명 보드판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초경량 재질로 만든 허니컴구조의 받침부재가 내장된 필기용 보드의 투명 보드판넬의 정면, 평면, 입면도,
도 8은 본 발명 초경량 재질로 만든 허니컴구조의 받침부재가 내장된 필기용 보드의 받침부재의 부분확대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본 발명 초경량 재질로 만든 허니컴구조의 받침부재가 내장된 필기용 보드의 분해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레임(11)과 보드판넬(12)과 받침부재(15)와 접착용 시트(17)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1)은 금속재질의 소재를 사용하며 상기 보드판넬(12)과 상기 받침부재(15)의 테두리를 감싸며 잡아주어 마감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11)은 본 발명 초경량 재질로 만든 허니컴구조의 받침부재가 내장된 필기용 보드의 모양을 형성해 준다.
또한, 상기 프레임(11)은 각각 위아래로 수평 길이방향의 어느 한 부분에서 분리와 연결이 되도록 제작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11)을 분리되는 부분에서 양쪽으로 분리시켜서 상기 받침부재(15)나 상기 보드판넬(12)을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고 다시 각각 분리된 상기 프레임(11)을 연결시켜서 사용한다.
상기 보드판넬(12)은 금속재질의 일반적인 필기용 보드로서 직접 필기구를 사용하여 판서가 가능한 곳으로 가능한 여러 유형의 필기구가 판서될 수 있도록 최선의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한다. 또한, 상기 보드판넬(12)은 금속재질의 재료 위에 사용자의 기호나 실내 인테리어상의 요구에 따라서 다양한 색상의 도료를 도포하여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도 8 본 발명 초경량 재질로 만든 허니컴구조의 받침부재가 내장된 필기용 보드의 받침부재의 부분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재(15)는 허니컴구조의 형상으로 제작되는데 이는 동일한 소재의 재료라도 경량화를 극대화 해주고 내구성을 향상시켜 주기 때문이다.
상기 허니컴구조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중 셀(Cell) 구조물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허니컴(Honeycomb)이라는 것이 있는데, 허니컴의 경우 육각 중공 기중의 유한 반복구조체로서 마치 벌집 모양과 흡사하여 허니컴이라는 명칭이 붙어지게 되었다. 샌드위치 구조의 Core로써 개발되었으며 재료로는 종이(크래프/Al), 스테인레스, GFRP등을 사용한다.
허니컴의 대표적인 특성으로는 초경량성, 초내하중성, 내열, 내화, 내마모성으로 초고층 내,외장재 판넬로써 많이 사용되며 내진성, 흡음성이 요구되는 판넬에서도 많이 사용된다.
특히 알루미늄 스테인레스판 등을 표면에 접착시키는 허니콤 판넬의 경우 복합형 판넬의 한 종류로서 기존의 판넬과는 다르게 알루미늄 허니컴을 완벽하게 각종 판재에 접합하여 판넬 자체가 구조체의 역할이 가능하며 생산, 시공도 할 수 있다.
가장 완벽한 평탄도를 자랑하는 허니컴 판넬은 건축재, 외장재로서 완벽한 평활성과 초경량성, 뛰어난 내구성, 고강성 그리고 탁월한 색상 무늬의 완벽한 평면과 부드러운 곡면의 아름다운 건축외장재로써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경량성, 단열성면에서 우수한 구조로서 97% 이상의 공기 기체로 판넬의 무게가 가벼우며 허니컴의 Air Pocket 형성으로 Sheet와 Sheet 사이의 열전도를 거의 차단하며 타 외장재에 비해 월등한 단열성을 가진 판넬이다.
허니컴의 다른 용도로는 주방기구의 상판 및 실내 벽판을 이루며, 스키, 탁구대, 라켓류, 보드, 체조기구용 운동 기구 등 강도를 요구하는 부분에서 많이 사용이 되고 있다.
공업적으로는 풍압발전용 주회전익(main rotor), 항공기 동체 및 날개, 접시 안테나,고성능 음향기기, 콘트롤 박스 등 다양한 범위에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특성을 갖는 허니컴구조를 상기 받침부재(15)에 적용하여 재료자체를 경량화 하면서도 내구성이나 강도 등이 개선되는 등 기타 여러면에서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15)는 초경량 재질의 합성수지나 종이 등을 사용하여 제작한다. 따라서, 구조에서 뿐만 아니라 소재면에서도 경량화를 이룰수 있으며 재료를 금속이나 목재가 아닌 초경량의 합성수지나 종이로도 제작이 가능하게 하는 것은 상기 허니컴구조의 또 다른 위력이며 매력이다.
즉, 상기와 같은 허니컴구조가 적용되면 동일한 소재의 재료라도 단위면적당 받을 수 있는 하중의 크기가 커진다. 따라서, 압축강도 등을 높이기 위해서 무거운 소재의 재료를 사용할 필요성이 줄어들어 재료선택의 문제에서도 상당히 자유로워 종이나 합성수지로도 원하는 압축강도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접착용 시트(17)의 재료는 종이나 합성수지를 주로 사용하며 상기 접착용 시트(17)의 양면에는 접착도료로 도포한다. 상기 접착용 시트는 상기 받침부재(15)와 상기 보드판넬(12)의 사이에 끼워서 상기의 두 부재를 접착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접착용 시트(17)가 필요한 이유는 상기 받침부재(15)가 허니컴구조로 되어 있어서 빈 공간이 많아지는데, 이는 접착력은 접착면의 면적에 비례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허니컴구조의 받침부재(15)는 접착력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로 접착성능을 높여주는 상기 접착용 시트(17)가 필요한 것이다.
도 2 본 발명 초경량 재질로 만든 허니컴구조의 받침부재가 내장된 필기용 보드의 분해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필기구 받침대(13)를 포함하며 상기 보드판넬(12)은 상기 받침부재(15)를 사이에 두고 전면 보드판넬(12)과 후면 보드판넬(12)을 양쪽에 덧 대어서 양면을 모두 필기용 보드로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제작하여 양면 모두를 사용 가능하므로 필기용 보드의 수명을 늘려줄 뿐만 아니라 상기 프레임(11)을 양쪽으로 분리하여 수명이 다한 보드판넬(12)은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필기구 받침대(13)는 금속재질로 제작되며 일반적인 필기용 보드의 필기구 받침대의 기능인 필기구류와 지우개를 수납해 주는 곳이다. 또한 상기 필기구 받침대(13)를 상기 프레임(11)에서 착탈 가능하게 제작하여 후면 보드판넬(12)을 사용할 시에는 상기 프레임(11)에서 분리하여 후면 보드판넬(12) 방향으로 상기 필기구 받침대(13)를 부착하여 사용하면 된다.
도 5 본 발명 초경량 재질로 만든 허니컴구조의 받침부재가 내장된 필기용 보드의 투명 보드판넬의 분해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투명 보드판넬(14)과 필름(1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투명 보드판넬(14)의 소재로는 아크릴이나 강화유리 등이 주로 쓰이는데, 하나의 실시예로서 강화유리를 사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보면, 강화유리는 높은 내구성과 강도를 지니며 다양한 종류의 필기구를 사용 하는 것이 가능하며 프로젝터의 영상이 출력되는 스크린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판서 한 것을 지우거나 청소하기에도 수월하여 사용이 편리하다.
강화유리는 판유리를 열처리하여 충격이나 급격한 온도 변화에 견딜 수 있도록 단단하게 만든 유리로서 보통 유리에 비하여 충격에 견디는 힘이 크며 깨져도 둥근 모양의 파편이 되므로 안전하여 선박ㆍ기차ㆍ자동차의 창 등에 쓴다.
상기 받침부재(15)가 허니컴구조로 제작되어서 구조적인 면에서도 받는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켜 주므로 상기 투명 보드판넬(14)을 무게가 나가는 재료인 강화유리로 하여도 무리없이 지지해 준다.
또한, 보통판 유리 대비 내충격 강도가 5배 정도로 높아진다. 상기와 같은 성질을 이용하여 근래에 들어서는 강화유리를 실내 인테리어나 필기용 보드의 소재로도 많이 이용하고 있다.
상기 투명 보드판넬(14)과 함께 상기 투명 보드판넬(14)의 이면에 필림(16)을 덧 대어 준다. 상기 필름(16)은 색상을 화이트,그린 등으로 다양하게 연출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투명 보드판넬(14)을 강화유리로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필름을 파열방지용 필름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강화유리가 파손될 경우에 깨진 조각들이 떨어지지 않게 잡아주어 안전하다.
이와 같은 강화 유리 이면에 파열방지용 필름을 구성 할 시는 그 안전도는 3배 이상 된다. 즉 보통판유리 이면에 파열방지용 필름만 부착하여도 강도가 3배가 되고 강화유리 이면에 파열방지용 필름을 부착하면 약 15배의 내충격 강도가 생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1 : 프레임
12 : 보드판넬
13 : 필기구 받침대
14 : 투명 보드판넬
15 : 받침부재
16 : 필름
17 : 접착용 시트

Claims (7)

  1. 보드판넬이 있고, 상기 보드판넬이 받침부재에 의해서 지지가 되며, 상기 보드판넬과 상기 받침부재의 테두리를 프레임으로 감싸는 구조로 교실이나 회의실에서 판서하는데 사용되는 필기용 보드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허니컴구조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받침부재와 상기 보드판넬 사이에 상기 받침부재와 상기 보드판넬을 접착시켜주는 양면에 접착도료가 도포된 접착용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보드판넬은 상기 받침부재를 사이에 두고 전면 보드판넬과 후면 보드판넬을 양쪽에 덧대어 양면이 모두 필기용 보드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드판넬과 상기 받침부재의 테두리를 감싸는 상기 프레임은 한 쌍으로 분할되되, 수평 길이방향으로 분할되고, 서로 분리와 연결이 가능하고,
    상기 보드판넬은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명 보드판넬과 상기 접착용 시트의 사이에 필름이 덧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경량 재질로 만든 허니컴구조의 받침부재가 내장된 필기용 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종이나 합성수지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경량 재질로 만든 허니컴구조의 받침부재가 내장된 필기용 보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판넬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경량 재질로 만든 허니컴구조의 받침부재가 내장된 필기용 보드.
  7. 삭제
KR1020140068767A 2014-06-06 2014-06-06 초경량 재질로 만든 허니컴구조의 받침부재가 내장된 필기용 보드 KR101624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767A KR101624330B1 (ko) 2014-06-06 2014-06-06 초경량 재질로 만든 허니컴구조의 받침부재가 내장된 필기용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767A KR101624330B1 (ko) 2014-06-06 2014-06-06 초경량 재질로 만든 허니컴구조의 받침부재가 내장된 필기용 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521A KR20150140521A (ko) 2015-12-16
KR101624330B1 true KR101624330B1 (ko) 2016-05-25

Family

ID=55080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8767A KR101624330B1 (ko) 2014-06-06 2014-06-06 초경량 재질로 만든 허니컴구조의 받침부재가 내장된 필기용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43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7734A (ko) * 2016-10-05 2018-04-13 주식회사 드림보드 전자칠판용 칠판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70572A (zh) * 2022-03-02 2022-06-28 锐捷网络股份有限公司 一种副黑板和智慧黑板
DE102022003063A1 (de) * 2022-08-22 2024-02-22 heinekingmedia GmbH Tafelvorrichtung, Tafelanordnung mit einer einbringbaren Zwischenschicht, Tafelsystem, Verfahren zum Herstellen oder Nachrüsten einer Tafel sowie die Verwendung einer einbringbaren Zwischenschich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151Y1 (ko) * 2005-04-13 2005-07-21 장상준 마커펜용 칠판
KR100578090B1 (ko) * 2004-10-07 2006-05-10 (주)컴버스테크 다기능 구조물을 갖는 칠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090B1 (ko) * 2004-10-07 2006-05-10 (주)컴버스테크 다기능 구조물을 갖는 칠판
KR200390151Y1 (ko) * 2005-04-13 2005-07-21 장상준 마커펜용 칠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7734A (ko) * 2016-10-05 2018-04-13 주식회사 드림보드 전자칠판용 칠판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521A (ko) 201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4330B1 (ko) 초경량 재질로 만든 허니컴구조의 받침부재가 내장된 필기용 보드
WO2011022604A3 (en) Modular portable writing and projection system having variable curvature
CN204808875U (zh) 柔性超微孔微穿孔板吸声体
CN103291035A (zh) 一种蜂窝夹层板
CN209862718U (zh) 一种蜂窝结构的面板
CN105329027A (zh) 一种调节式多功能白板
CN204266845U (zh) 一种新型门扇及其应用的铝合金门
KR101629612B1 (ko) 칠판 시트 구조
CN211369329U (zh) 一种拼装式建筑装饰板
CN213683022U (zh) 一种建筑地板的抗压减振结构
CN209293332U (zh) 一种阻燃防褪色的装饰板材
CN208497858U (zh) 一种带芳香层的高强度镀膜玻璃结构
CN202271422U (zh) 复合阻燃加强板
CN207846971U (zh) 高压铸铝通风地板
CN208263635U (zh) 陶瓷涂层纸蜂窝板
CN112343292A (zh) 泡沫铝金属复合地板
CN205233869U (zh) 环保纸质儿童多功能画架
CN208763225U (zh) 一种双组分吸音棉
CN205081910U (zh) 话筒防风屏
CN205314251U (zh) 一种可拆卸的模块化室内装潢组合式吊顶结构
CN203818844U (zh) 一种无尘书写兰板
CN103397738A (zh) 新型建筑用金属隔热复合板
CN103056953A (zh) 复合阻燃加强板
CN207128355U (zh) 一种高强度建筑墙板
CN212185711U (zh) 一种环保材料课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