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225B1 - 악기 및 이에 부착 사용하는 음색조절용 판체 - Google Patents

악기 및 이에 부착 사용하는 음색조절용 판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4225B1
KR101624225B1 KR1020140080851A KR20140080851A KR101624225B1 KR 101624225 B1 KR101624225 B1 KR 101624225B1 KR 1020140080851 A KR1020140080851 A KR 1020140080851A KR 20140080851 A KR20140080851 A KR 20140080851A KR 101624225 B1 KR101624225 B1 KR 101624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plate
mixed
fiber
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0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2079A (ko
Inventor
홍진실
Original Assignee
홍진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진실 filed Critical 홍진실
Priority to KR1020140080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225B1/ko
Publication of KR20160002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7/00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량제인 금속, 섬유, 흑연, 및
상기 증량제에 폴리에스터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아크릴수지, 및 ABS수지 중 적어도 1종의 액상수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들고,
만든 혼합물을 악기의 음향판에 도포하고 경화하여 기음에 섞이는 5배음을 감소시켜 음색을 조절하는 악기이며,
또한 증량제인 금속, 섬유, 흑연, 및
상기 증량제에 폴리에스터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아크릴수지, 및 ABS수지 중 적어도 1종의 액상수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들고,
만든 혼합물을 판상으로 경화시켜 악기의 음향판에 부착하여 기음에 섞이는 5배음을 감소시켜 음색을 조절하는 악기에 부착사용하는 음색조절용 판체 이다.

Description

악기 및 이에 부착 사용하는 음색조절용 판체{Musical instruments for reducing quintuple note added at ground note and tone controlling plate for the musical instruments}
본 발명은 악기 및 이에 부착 사용하는 음색조절용 판체에 관한 것이다.
기타나 바이올린 등의 현악기 제조에 있어서 좋은 소리를 만드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음향목의 선택에 전적으로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상판의 두께 조절이나 사운드 포스트의 위치, 공명통 내의 브레이싱의 설계 등의 방법이 제조법상 중요하게 여겨지기는 하지만, 이는 궁극적으로는 목재가 갖고 있는 잠재력을 잃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선택된 재료에서의 음질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소극적인 노력에 불과하다.
목재가 음질에 영향을 미치는 원리는 건조된 목재 내부에 남아있는 천연수지의 분포 형태와 건조시 수액이 빠져나간 공간(pore)의 비율과 분포에 달려있다고 알려져 있다.
현악기 등의 목재를 이용한 악기를 제조하는 장인은 목재를 선택할 때 손으로 직접 두드려보고(Tapping test) 고른다. 그러나 목재의 나무결이나 잔류수지 등의 구성은 불규칙하므로 절단, 연마 등 작업을 진행함에 따라 그 음향은 계속 변화하게 된다.
그리하여 고가의 수제악기의 경우는 작업 과정 과정마다 두드림(Tapping test)을 하면서 계속적인 튜닝을 하지만, 대량생산되는 일반 악기의 경우는 그 선택된 목재만으로 음질을 보장하기 어렵다.
또한, 악기의 형태가 다 갖춰지면, 내마모성이나 내습성, 내식성 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 도장 작업이 필수적으로 수반되는데, 목재표면에 형성된 도막이 목재의 공명을 방해하게 되므로, 고가의 악기는 쉘락, 니트로셀룰로오스, 래커 등의 도장재를 아주 얇게 적용하여 목재의 공명을 되도록 잃지 않게 노력을 하는 게 일반적이다. 소리만을 말하자면 도장하지 않은 악기의 소리가 제일 좋다고 말하기도 한다.
반면 양산형 악기의 경우는 작업 편의성과 내구성 등의 이유로 두터운 우레탄 마감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이탈리아의 바이올린 명장 스트라디바리는 자신이 만든 악기에 자신만의 독특한 유약을 사용한 사람으로 유명하며, 이 악기의 소리의 상당한 비중이 이 유약에 기인한다고 알려져 있다. 당시의 유약은 동, 식물의 추출물이 주종인데, 곤충의 날개에서 추출한 키틴질이나 여러 종류의 나무 수액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고 한다. 이를 한마디로 요약하면 잘 선택된 천연수지의 혼합물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목재가 사용된 악기는 에이징(Aging;길들이기)에 의해서 소리가 변화하게 되는데, 시간의 경과에 따라 목재 내외부의 수지가 결정화(Crystalize)되는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 길들이기 기간 동안 방치된 악기보다는 명연주자의 손에서 계속 연주 되어진 악기가 좋은 소리를 내게 되는데, 이는 수지의 결정이 좋은 진동에 적합한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현악기와 피아노의 공명을 수행하는 바디 내벽에 통전매체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도포하여 음 지속시간을 향상하는 기술이 국내특허등록 제 10-1005849호로 개발되었으나, 이는 음색조절의 효과가 미흡하고, 기음에 홀수배음 특히 5배음을 감소시켜 음질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기능은 구현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목관악기 공명부에 캡홀더를 두고 캡홀더에 음 지속시간을 향상시키는 혼합물층을 두고 혼합물층은 통전매체와 알코올을 고체실리콘과 혼합하여 구현하는 기술이 국내특허등록 제 10-1005847호로 알려졌으나, 이 역시 음색조절의 효과가 미흡하고, 기음에 홀수배음 특히 5배음을 감소시켜 음질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기능은 구현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 악기의 음향판에 금속, 섬유, 흑연의 증량제와 폴리에스터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아크릴수지, 및 ABS수지 중 적어도 1종의 액상수지를 혼합 도포하여 경화함으로써, 기음에 섞이는 5배음을 감소시켜 음색을 조절하는 악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증량제인 금속, 섬유, 흑연, 및
상기 증량제에 폴리에스터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아크릴수지, 및 ABS수지 중 적어도 1종의 액상수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들고,
만든 혼합물을 판상으로 경화시켜, 악기나 스피커의 음향판에 부착 사용하여 기음에 섞이는 5배음을 감소시켜 음색을 조절하는 악기에 부착사용하는 판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증량제인 금속판, 섬유판 중의 적어도 1종의 증량판층; 및
폴리에스터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아크릴수지, 및 ABS수지 중 적어도 1종에 흑연분말을 혼합 경화한 레진층을; 수직이나 수평으로 결합하여, 악기나 스피커의 음향판에 부착 사용하는 기음에 섞이는 5배음을 감소시키는 음색조절용 판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폴리에스터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아크릴수지, 및 ABS수지 중 적어도 1종에 흑연분말을 혼합 경화한 레진층으로, 악기나 스피커의 음향판에 부착 사용하는 기음에 섞이는 5배음을 감소시키는 음색조절용 판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폴리에스터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아크릴수지, 및 ABS수지 중 적어도 1종을 경화한 레진층으로, 악기나 스피커의 음향판에 부착 사용하는 기음에 섞이는 5배음을 감소시키는 음색조절용 판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증량제에는 도포되는 도막 또는 부착되는 판체의 비중을 증가시키기 위한 철, 아연, 알루미늄 중 적어도 1종의 금속 및
도포되는 도막 또는 부착되는 판체의 다공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목재섬유(Wood Fiber), 유리섬유(Glass Fiber), 탄소섬유(Carbon Fiber) 중 적어도 1종의 섬유가 있고,
도포되는 도막 또는 부착되는 판체의 특성을 미세 조절하기 위한 흑연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액상수지에는 폴리에스터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아크릴수지, 및 ABS수지 등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증량제인 금속, 섬유, 흑연, 및
상기 증량제에 폴리에스터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아크릴수지, 및 ABS수지 중 적어도 1종의 액상수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들고,
만든 혼합물을 악기의 음향판에 도포하여 경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음에 섞이는 5배음을 감소시켜 음색을 조절하는 악기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또한 증량제인 금속, 섬유, 흑연, 및
상기 증량제에 폴리에스터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아크릴수지, 및 ABS수지 중 적어도 1종의 액상수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들고,
만든 혼합물을 판상으로 경화시켜, 악기의 음향판에 부착 사용하여 기음에 섞이는 5배음을 감소시켜 음색을 조절하는 악기에 부착사용하는 음색조절용 판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증량제인 금속판, 섬유판 중 적어도 1종의 증량판층; 및
폴리에스터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아크릴수지, 및 ABS수지 중 적어도 1종에 흑연분말을 혼합 경화한 레진층을; 수직이나 수평으로 결합하여, 악기나 스피커의 음향판에 부착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음에 섞이는 5배음을 감소시키는 음색조절용 판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폴리에스터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아크릴수지, 및 ABS수지 중 적어도 1종에 흑연분말을 혼합 경화한 레진층으로, 악기나 스피커의 음향판에 부착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음에 섞이는 5배음을 감소시키는 음색조절용 판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폴리에스터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아크릴수지, 및 ABS수지 중 적어도 1종을 경화한 레진층으로, 악기나 스피커의 음향판에 부착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음에 섞이는 5배음을 감소시키는 음색조절용 판체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일반 악기의 음향판에 금속, 섬유, 흑연의 증량제와, 폴리에스터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아크릴수지, 및 ABS수지 중 적어도 1종의 액상수지를, 혼합 도포하여 경화함으로써, 기음에 홀수배음 특히 5배음을 감소시켜 음색을 조절하는 악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증량제인 금속, 섬유, 흑연, 및
상기 증량제에 폴리에스터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아크릴수지, 및 ABS수지 중 적어도 1종의 액상수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들고,
만든 혼합물을 판상으로 경화시켜, 악기나 스피커의 음향판에 부착 사용하여 기음에 섞이는 5배음을 감소시켜 음색을 조절하는 음색조절용 판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증량제인 금속판, 섬유판 중 적어도 1종의 증량판층; 및
폴리에스터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아크릴수지, 및 ABS수지 중 적어도 1종에 흑연분말을 혼합 경화한 레진층을;
수직이나 수평으로 결합하여, 악기나 스피커의 음향판에 부착 사용하는 기음에 섞이는 5배음을 감소시키는 음색조절용 판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터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아크릴수지, 및 ABS수지 중 적어도 1종에 흑연분말을 혼합 경화한 레진층으로, 악기나 스피커의 음향판에 부착 사용하는 기음에 섞이는 5배음을 감소시키는 음색조절용 판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터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아크릴수지, 및 ABS수지 중 적어도 1종을 경화한 레진층으로, 악기나 스피커의 음향판에 부착 사용하는 기음에 섞이는 5배음을 감소시키는 음색조절용 판체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악기나 스피커의 음색조절용 판체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는 증량제인 금속, 섬유, 흑연, 및
상기 증량제에 폴리에스터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아크릴수지, 및 ABS수지 중 적어도 1종의 액상수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들고,
만든 혼합물을 악기의 음향판에 도포하고 경화하여 기음에 섞이는 5배음을 감소시켜 움색을 조절하는 악기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예로는, 증량제인 금속, 섬유, 흑연, 및
상기 증량제에 폴리에스터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아크릴수지, 및 ABS수지 중 적어도 1종의 액상수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들고,
만든 혼합물을 판상으로 경화시켜 악기나 스피커의 음향판에 부착 사용하여 기음에 섞이는 5배음을 감소시켜 음색을 조절하는 악기에 부착 사용하는 음색조절용 판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로는 증량제인 금속판, 섬유판 중 적어도 1종의 증량판층; 및
폴리에스터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아크릴수지, 및 ABS수지 중 적어도 1종에 흑연분말을 혼합 경화한 레진층을; 수직이나 수평으로 결합하여 악기나 스피커의 음향판에 부착 사용하는 기음에 섞이는 5배음을 감소시키는 음색조절용 판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로는 폴리에스터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아크릴수지, 및 ABS수지 중 적어도 1종에 흑연분말을 혼합 경화한 레진층으로, 악기나 스피커의 음향판에 부착 사용하는 기음에 섞이는 5배음을 감소시키는 음색조절용 판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로는 폴리에스터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아크릴수지, 및 ABS수지 중 적어도 1종을 경화한 레진층으로, 악기나 스피커의 음향판에 부착 사용하는 기음에 섞이는 5배음을 감소시키는 음색조절용 판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악기에 도포하는 예의 경우, 도포 중량은 음향판 100중량부 대비 2.5중량부 이상의 중량을 이루도록 도포한 것이 좋다.
상기, 금속, 섬유, 흑연 및 액상수지의 첨가량은 금속 45~55중량%, 섬유 7~12중량%, 흑연 0.5 내지 2중량%, 액상수지 35~45중량% 를 이룬 것이 좋다. 상기, 금속의 더욱 바람직한 첨가량은 50중량%, 섬유의 더욱 바람직한 첨가량은 9중량%, 액상수지의 더욱 바람직한 첨가량은 40중량%, 흑연의 더욱 바람직한 첨가량은 1중량%이다. 바람직한 코팅 중량은 악기 본체의 음향판 100중량부 대비 2.6중량부를 이루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여기서의 중량의 한정은 5배음을 감소시키는 기능 외에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명하고 강렬한 소리(금속), 바삭하고 생동적인 소리(섬유), 안정되고 포근한 소리(흑연)로 기능하므로 이들을 조합하여 필요에 따라 첨가하는 것이다. 액상수지는 시원하고 경쾌한 소리를 구현하도록 기능한다.
상기, 악기는 현악기, 타악기, 건반악기 또는 음을 출력하는 스피커인 것을 예시할 수 있고, 현악기는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더블베이스, 기타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건반악기는 피아노를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금속의 비중이 큰 경우 소리가 선명하고 강렬한 소리가 나며, 수지의 비중이 높은 경우 악기 소리가 시원하고 경쾌하며, 섬유의 비중이 큰 경우 바삭하고(crispy) 생동적인 소리가 나며, 흑연의 비중이 큰 경우 안정되고 포근한 소리가 난다. 이는 각각 다양한 소리의 연출을 가능토록 하여 독창적이고 개성적인 소리 연출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는 전문적인 음감과 음색 식별력이 있는 사람과 파형 형상을 기초로 판단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도 1과 같이
중량, 강도, 다공성의 다양한 특성을 가지는 증량용 증량판층(10a1);
증량용 섬유판층(10a2); 및
폴리에스터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아크릴수지, 및 ABS수지 중의 적어도 1종에 흑연분말을 혼합 경화한 레진층(10a3)으로 결합되어 악기나 스피커의 음향판에 부착 사용하는 기음에 섞이는 5배음을 감소시키는 악기 또는 스피커용 판체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판체를 악기 또는 스피커의 음향판에 부착하는 부착수단은 피스, 못, 테이프, 벨크로, 클램프, 흡착판, 자석, 접착제를 예시할 수 있으며, 부착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균등수단으로도 대체 사용 가능하다.
아울러 본발명의 음색 특성을 데이타로 확인하였는바 일반적인 어쿠스틱 기타(Acoustic Guitar)의 D 음을 녹음하여 어택했을 때 500ms 후에 음이 안정된 상태를 실험예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는 D 음의 주파수 147Hz에서 기음(1배음)을 볼 수 있는데 그보다 높은 주파수에서 차례로 2,3,4,5,6,7, ....배음이 형성된 형태를 이룬다.
Figure 112014061371131-pat00001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 금속 50중량%, 섬유 9중량%, 흑연 1중량%, 및 액상수지 40중량%를 혼합하여 경화시킨 도포층을 어쿠스틱 기타에 결합한 상태에서 D 음을 녹음하여 어택했을 때 500ms 후에 음이 안정된 상태를 측정한 파형은 상부 그래프이다. 상하부의 스펙트럼 그래프를 비교해보면, 하부는 일반적인 기타의 그래프 특성으로, 하부의 그래프 특성보다 상부의 그래프는 3,5,7 배음이 감소한 것을 볼 수 있고, 2,4,6배음은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그 외 고주파 영역은 거의 달라진 게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는 음의 밝기(Brightness)는 변하지 않으면서 인간의 귀에 거슬리는 3,5,7배음이 의미 있게 감소한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판체를 베이스 기타에 부착하여 측정한 스펙트럼그래프를 아래에 나타내었다. 이중 하부는 판체를 부착하지 않은 베이스기타의 그래프 특성이다. 그래프 특성을 보면 상부의 판체를 부착하였을 때 5배음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Figure 112014061371131-pat00002
이러한 5배음 감소의 의미는 자연에 존재하는 물체가 타격, 탄현 등의 방법으로 음을 발생시킬 때 물체의 질량, 부피, 밀도에 따른 차이는 있지만, 필연적으로 Overtone 들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발생된 음이 공기를 통해 귀에 전달되는 것만이 아니라, 현, 관 등의 물체 내부에서도 전달되므로 악기의 말단에서 반사가 반복되면서 다양한 간섭현상이 발생한다. 그 중 정수배에 해당하는 주파수만 간섭에 의한 상쇄를 피해 잔존하게 되는데 특히, 악기로 제작된 발음체는 더욱 정수배 Overtone 들만이 잘 정돈된 상태로 잔존하게 된다. 악기가 아닌 물체나, 악기 중에서도 타악기 등은 정수배음이 아닌 배음도 다량 섞여 잔존하게 되는데 이런 것들은 음의 음고(Pitch)가 정해지지 않는 특성이 있다. 이럴 때 기음(1배음)에 섞여 존재하는 Overtone 은 음의 밝기 또는 음색을 결정하는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즉, 기음(1배음)은 음의 음고(Pitch), 음량(Level)을 결정하고, Overtone 들의 배열과 밀도, 또는 그것들의 시간에 따른 변화는 악기의 음색을 결정하게 된다.
쉽게 말해 "도" 음을 예로 들어본다.
"도" 음에 있어서 1배음은 "도"이다. 2배음은 한 옥타브 위의 "도" 인데 이는 "악전" 등의 서적에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4,8배음도 옥타브만 다른 "도" 음이다. 3배음은 한 옥타브 위의 "솔" 음인데 이를 "도"와 완전 5도의 음정관계라 말한다. 따라서 6, 12배음도 옥타브만 다른 "솔" 음이다.
5배음은 두 옥타브 위의 "미" 음인데 이를 "도" 와 장3도의 음정관계라 말한다. 따라서 10, 20배음도 옥타브만 다른 "미" 음이다.
한편 7배음은 우리 인간에게 익숙하지 못한 음에 해당하는데, 이런 배음이 기음에 섞여 현저하게 들리면 특정 음고가 결정되지 않을 정도로 깨끗하지 못한 소리가 되므로 악기의 경우는 7배음 이상의 레벨이 낮게끔 제작하려고 노력한다. 다시 말하면 악기들의 음에는 7배음 이상의 고배음은 기음에 섞여 음의 밝기에만 관계할 정도로 충분히 낮은 레벨로 존재한다는 뜻이다. 악기를 연주하여 한 음("도")을 발생시키면 귀에 얼른 들리지는 않아도 그 속에 2(도), 3(솔), 4(도), 5(미), 6(솔) 배음이 섞여 있는 것이다.
기타와 같은 악기는 단음만을 연주하는 악기가 아니므로 화음(도, 미, 솔)을 연주할 경우도 생각해보자. "도"에는 "미"와 " 솔"이 섞여 있고, "솔" 에는 "시"와 "레", "미"에는 "솔#", "시"가 존재하는데, "도, 미, 솔, 시, 레" 는 Major 9 화음으로서 매우 아름다운 화음이다. 그런데 "솔#" 이 섞이게 되면 아주 듣기 싫은 불협화음을 형성하게 된다(맥놀이-Resonance). 복잡한 화성학 음정이론을 동원할 필요없이 피아노에서 "도,미,솔,시,레"만 함께 연주해보고, 여기에 "솔#" 을 더해 연주해보면 쉽게 확인할 수 있음을 다양한 시험을 통하여 본 발명자는 확인하였다.
그런데 본 발명자는 우연히 5배음("미")이 없어진 경우를 시험하게 되었다. "도"에는 "솔"이 섞여있고, "솔"에는 "레", "미" 에는 "시" 가 섞여 있다. 이를 다 합쳐 보면 "도", "미", "솔", "시", "레" 만 섞여 존재하게 된다. 즉, 5배음의 감소는 불협화음의 원인이었던 "솔#" 음의 감소를 의미한다.
위의 예는 음악에서 가장 자주 사용하는 "Major" 화음의 경우이고 "Minor" 화음의 경우는 "라, 도, 도#, 미, 솔, 솔#, 시"의 배열로 Major의 경우보다 그 차이가 심하다.
위의 피아노 실험에서는 기음 사이의 불협화음의 존재에 의해 듣기 싫은 결과를 확인하였지만(맥놀이-Resonance), Overtone 내에서의 관계는 화음 연주 시에 음이 탁해지는 결과로 나타나게 된다("Flutter").
보통의 경우 Overtone의 레벨은 기음에 비해 매우 낮으므로 쉽게 확인하기 어렵지만 기타에 쓰이는 "Overdrive" 등의 이펙터로 Overtone을 증가시키면 이 차이가 확연하게 드러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Overtone은 기음의 에너지가 나뉘어서 발생된 것이므로 5배음이 감소했다면 그 에너지는 나머지 배음들에 남아 있다는 뜻이 된다. 따라서 음에 파워가 증가하고 "Sustain" 이 늘어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5배음을 현저하게 감소시키고 음의 파워와 "Sustain"을 증가시키며, 배음에 존재하는 "Flutter" 현상을 억제하여 음을 밝게 해주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화음 연주시 더욱 맑은 화음을 낼 수 있고, 특히 일렉트릭 기타의 "Overdrive"시 탁월한 효과를 제공한다.
참고로 오디오 마니아들은 "마크 레빈슨" 등의 고급 진공관 앰프가 트랜지스터 앰프에 비하여 따뜻하고 아름다운 소리를 들려준다고 한다. 그 이유는 진공관의 특성에 의해 짝수배 Overtone을 홀수배 Overtone 보다 더 증폭해 주는데 기인한다. 폭포소리나 바람소리 등 자연음을 듣는 경우는 모르겠으나, 음악을 듣는 경우를 생각해보면, 홀수 배음 중에도 7배음 아래의 배음들, 즉 3,5배음에 관한 것이라고 볼 수 있는데, 특히 5배음의 상대적 감소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10a1;증량판층 10a2;섬유판층 10a3;레진층

Claims (9)

  1. 증량제인 철, 아연, 알루미늄 중 적어도 1종의 금속,
    목재섬유(Wood Fiber), 유리섬유(Glass Fiber), 탄소섬유(Carbon Fiber) 중 적어도 1종의 섬유,
    흑연, 및
    상기 증량제에 폴리에스터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아크릴수지, ABS수지 중 적어도 1종의 액상수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들고,
    만든 혼합물을 악기의 음향판에 도포하고 경화하여 기음에 섞이는 5배음을 감소시켜 음색을 조절하고;
    상기, 금속, 섬유, 흑연 및 액상수지의 첨가량은 금속 45~55중량%, 섬유 7~12중량%, 흑연 0.5 내지 2중량%, 액상수지 35~45중량% 를 이룬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증량제인 철, 아연, 알루미늄 중 적어도 1종의 금속,
    목재섬유(Wood Fiber), 유리섬유(Glass Fiber), 탄소섬유(Carbon Fiber) 중 적어도 1종의 섬유,
    흑연, 및
    상기 증량제에 폴리에스터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아크릴수지, ABS수지 중 적어도 1종의 액상수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들고,
    만든 혼합물을 판상으로 경화시켜, 악기의 음향판에 부착하여 기음에 섞이는 5배음을 감소시켜 음색을 조절하고;
    상기, 금속, 섬유, 흑연 및 액상수지의 첨가량은 금속 45~55중량%, 섬유 7~12중량%, 흑연 0.5 내지 2중량%, 액상수지 35~45중량%, 를 이룬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에 부착사용하는 음색조절용 판체.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40080851A 2014-06-30 2014-06-30 악기 및 이에 부착 사용하는 음색조절용 판체 KR101624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851A KR101624225B1 (ko) 2014-06-30 2014-06-30 악기 및 이에 부착 사용하는 음색조절용 판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851A KR101624225B1 (ko) 2014-06-30 2014-06-30 악기 및 이에 부착 사용하는 음색조절용 판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079A KR20160002079A (ko) 2016-01-07
KR101624225B1 true KR101624225B1 (ko) 2016-05-25

Family

ID=55168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0851A KR101624225B1 (ko) 2014-06-30 2014-06-30 악기 및 이에 부착 사용하는 음색조절용 판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42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18727A (zh) * 2017-08-31 2017-12-29 昆山朗博信息科技有限公司 音乐水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7241B2 (ja) * 1998-01-30 2001-02-19 オンキヨー株式会社 スピーカー振動板
JP2010187365A (ja) * 2009-01-16 2010-08-26 Minebea Co Ltd スピーカ用振動板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ピーカ
JP4952416B2 (ja) * 2006-07-20 2012-06-13 ヤマハ株式会社 木質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木質構造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7241B2 (ja) * 1998-01-30 2001-02-19 オンキヨー株式会社 スピーカー振動板
JP4952416B2 (ja) * 2006-07-20 2012-06-13 ヤマハ株式会社 木質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木質構造材
JP2010187365A (ja) * 2009-01-16 2010-08-26 Minebea Co Ltd スピーカ用振動板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ピー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079A (ko) 2016-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towell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cello
KR101624225B1 (ko) 악기 및 이에 부착 사용하는 음색조절용 판체
Pedersen et al. The Recording, Mixing, and Mastering Reference Handbook
Weisser et al. Shaping the resonance. sympathetic strings in hindustani classical instruments
US20120174728A1 (en) Method for increasing resonance of instrument and the instrument
KR101057277B1 (ko) 악기의 공명강화방법
JP2023529111A (ja) 複数の音響板を有する楽器
WO2020161681A1 (en) A chordophone instrument
CN100461259C (zh) 系列秦胡
Campbell Musical acoustics for musicians
Hopkin Daniel Schmidt's American Gamelan Instruments
Curtin et al. Violin
Jaffe Orchestrating the Chimera: Musical Hybrids, Technology and the Development of a" Maximalist" Musical Style
Dean ThatHowling'Music. Japanese Hōgaku in Contrast to Western Art Music
Wu et al. Examination for Teaching the Create and Acoustic Characteristics of Guhu of the Zhuang Ethnic Group in Guangxi, China.
Rooksby Arranging songs: how to put the parts together
Hsieh Cremona revisited: The science of violin making
CN210896567U (zh) 一种弦琴
Stefanov General acoustic features of string instruments
CN208903649U (zh) 一种可变音色、声音清亮、无杂音的蒙古四胡
CN107527605A (zh) 低音胡琴
TWM614052U (zh) 美音裝置
Lv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iano Playing Skills and Piano Sound
JP4010979B2 (ja) 管楽器および笛
Dowdall The Impact of Technology on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Bass in Jazz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