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3156B1 - Stylus pen - Google Patents

Stylus p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3156B1
KR101623156B1 KR1020140099986A KR20140099986A KR101623156B1 KR 101623156 B1 KR101623156 B1 KR 101623156B1 KR 1020140099986 A KR1020140099986 A KR 1020140099986A KR 20140099986 A KR20140099986 A KR 20140099986A KR 101623156 B1 KR101623156 B1 KR 101623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housing
touch
touch tip
stylus 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99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16260A (en
Inventor
김태원
김종광
오준혁
박두영
강민우
김규섭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140099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156B1/en
Publication of KR20160016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62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1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Abstract

스타일러스 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스타일러스 펜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단에 위치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터치 팁,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터치 팁의 후단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마그네트,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제1 마그네트의 후단 방향에 위치하는 제2 마그네트 및 외력에 의해서 상기 제1 마그네트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트는 서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척력을 발생시키도록 배치된다.A stylus pen is disclosed. The stylus pe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orming an internal space, a touch tip located at a front end of the housing and at least a part of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 second magnet located in the rear end direction of the first magnet in the housing and a moving member capable of moving the first magn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n external force,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are arranged to generate a repulsive for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each other.

Description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Stylus pen {Stylus pen}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패널 등에 접촉하거나 근접하여 상기 패널 상의 위치를 지시할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ylus pen capable of indicating the position on the panel in contact with or close to a panel of an electronic device.

최근의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 수단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최근의 스마트폰 및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전자 장치는 손가락 등 신체의 일부를 터치 패널에 접촉시켜 터치 패널 상의 위치를 지시할 수 있는 입력 수단이 보편적으로 제공된다.Modern electronic devices provide various types of input means. For examp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computers in recent years are universally provided with input means capable of indicating a position on the touch panel by contacting a part of the body such as a finger with the touch panel.

경우에 따라서는 입력의 정교함이나 필기에 있어서의 편의성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스타일러스 펜이 제공되기도 한다. 종래에는 정전 방식의 스타일러스 펜이 널리 사용되었는데 이는 스타일러스 펜의 닙(nib) 부분이 손가락을 대체할 수 있도록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방식의 스타일러스 펜은 손가락의 감지를 위한 터치 패널을 공용으로 이용할 수 있고 구조가 단순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터치 패널 상의 위치를 지시하는 것 이외에 별도의 부가적인 신호의 입력은 불가하다는 단점이 있었다.In some cases, various types of stylus pens may be provided to achieve ease of input and handwriting. Conventionally, an electrostatic stylus pen is widely used because the nib portion of the stylus pen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so as to replace a finger. The stylus pen of this type has an advantage that a touch panel for detecting a finger can be commonly used and the structure is simple. However, i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impossible to input additional signals other than the indication on the touch panel.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식으로서, 전자기 유도 방식의 스타일러스 펜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는 전자기 유도가 가능한 회로를 구비하고 있으면서, 스타일러스 펜의 닙 부근에 위치한 코일에 의해 생성된 무선 신호를 터치 패널에 전달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무선 신호의 주파수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부가적인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별도의 전용 패널을 구비해야 하고, 전자기 유도 회로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스타일러스 펜의 구조가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As a way to compensate for this,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stylus pen may be used. This is a method of transmitting a radio signal generated by a coil located near the nip of the stylus pen to the touch panel while having a circuit capable of electromagnetic induction. This scheme can input additional signals in a way that changes the frequency of the radio signal. However, this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tructure of the stylus pen is complicated because a separate dedicated panel must be provided and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circuit must be provided.

또한, 다른 방식으로서 블루투스 등 별도의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위치를 지시하는 것 이외의 별도의 부가적인 신호는 무선통신을 통해 송신하는 방식이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는 스타일러스 펜에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며, 무선통신 모듈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As another method, a method of transmitting an additional signal other than the one indicating a position by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Bluetooth or another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ay be used. However, this is disadvantageous in that the stylus pen must be supplied with power, and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becaus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ust be provided.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위치를 지시하는 것과 별도로 부가적인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ylus pen capable of inputting an additional signal separately from a pointing position.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상기의 스타일러스 펜에 있어서 그 구조가 간소하고 조작이 간편한 스타일러스 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ylus pen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simple operation.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상기의 스타일러스 펜에 있어서 별도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동작이 가능한 수동 방식의 스타일러스 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nual stylus pen in which the above-described stylus pen can be operated even when no separate power source is supplied.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타일러스 펜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단에 위치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터치 팁,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터치 팁의 후단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마그네트,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제1 마그네트의 후단 방향에 위치하는 제2 마그네트 및 외력에 의해서 상기 제1 마그네트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트는 서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척력을 발생시키도록 배치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stylus pe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forming an internal space, a touch tip located at a front end of the housing, at least a part of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 first magnet located in a rear end direction of the touch tip and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magnet located in a rear end direction of the first magnet in the housing, and an external force,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are arranged to generate a repulsive for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그네트는 전단 방향으로는 상기 터치 팁의 후단 또는 그 부근까지, 후단 방향으로는 상기 제2 마그네트의 전단 또는 그 부근까지 이동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agnet may move to the rear end or the vicinity of the touch tip in the front end direction, or to the front end or the vicinity of the second magnet in the rear end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그네트가 전단 방향으로 치우쳐서 위치하는 경우 상기 터치 팁은 상기 제1 마그네트에 의해 자성이 유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magnet is bias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touch tip may be magnetized by the first magne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그네트가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터치 팁에 유도된 자성이 약화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magnet moves in the rearward direction, the magnetism induced in the touch tip may be weaken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팁은 상자성체 또는 반자성체로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tip may be a paramagnetic body or a semi-magnetic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마그네트는 전단 방향으로 치우쳐서 위치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moving member, the first magnet may be biased in the front end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에 후단 방향의 외력이 가해진 경우 상기 제1 마그네트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external force in the rear end direction is applied to the moving member, the first magnet may move in the rear end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1 마그네트는 상기 제2 마그네트와의 척력에 의해 전단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pplied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first magnet may move in the forward direction by a repulsive force with the second magne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일단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제1 마그네트와 연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moving member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magne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부재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 부재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includes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moving member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ne end of the moving member may be located inside the guide me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그네트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파지하는 신체와 접촉되는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agne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a part of the housing that contacts the body holding the stylus pe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팁은 상기 제1 마그네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 마그네트를 통해 상기 신체와 접촉되는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마그네트와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경우 상기 신체와 접촉되는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와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tip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a part of the housing,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body through the first magnet whe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magnet, It may be electrically separated from at least a part of the housing in contact with the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팁은 가요성 재질로 형성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전도성 박막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tip may include a body portion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a conductive thin film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박막은 탄소 나노 튜브(CNT; Carbon Nano Tube)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ive thin film may include a carbon nanotube (CNT) materi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은 위치를 지시하는 것과 별도로 부가적인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The stylus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put additional signals separately from those indicating the posi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은 구조가 간소하고 조작이 간편하며, 전원의 공급 없이도 동작이 가능한 수동 방식이라는 장점이 있다.Further, the stylus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stylus pen is simple in structure, simple in operation, and can be operated without power supp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과 연동하여 작동하는 터치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교차점의 사용상태에 따른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ylus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use state of the stylus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 touch panel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a stylus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intersection of FIG. 3 according to the state of u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judged that it is possible to mak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obscure by adding a detailed description of a technique or configuration already known in the field, it is omitt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terms used to appropriately expres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person or custom in the field.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첨부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stylus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attached heret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과 연동하여 작동하는 터치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교차점(230)의 사용상태에 따른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ylus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use state of the stylus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 touch panel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a stylus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intersection 230 of FIG. 3 according to the state of use.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스타일러스 펜은 하우징(110), 터치 팁(120), 제1 마그네트(130), 제2 마그네트(140) 및 이동 부재(135)를 포함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 the stylus pe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10, a touch tip 120, a first magnet 130, a second magnet 140, and a moving member 135.

하우징(11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막대와 같은 형상의 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데, 일단을 전단(111)이라 하고 일단의 반대단을 후단(112)이라 칭하도록 한다. 하우징(110)의 전단(111)에는 터치 팁(120)이 배치되는데 상기 터치 팁(120)이 지시하려는 패널의 위치를 가리키도록 사용된다.The housing 11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en having the same shape as a ro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he housing 110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e end of the housing 110 is referred to as a front end 111,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referred to as a rear end 112. A touch tip 120 is disposed at a front end 111 of the housing 110 so that the touch tip 120 is used to indicate the position of the panel to be instructed.

하우징(110)은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내부 공간에는 제1 마그네트(130) 및 제2 마그네트(140) 등의 부재들이 수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하우징(110)의 전단에는 외부와 상기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개구를 통해서 터치 팁(120)이 내부와 외부에 걸쳐 위치할 수 있다.The housing 110 is formed in a hollow shape to form an inner space. Members such as the first magnet 130 and the second magnet 140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In some cases,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110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communicating the outside and the inner space. The touch tip 120 may be positioned across the inside and outside through the opening.

하우징(110)은 스타일러스 펜이 사용되어 경우 파지되는 부분이다. 파지되는 경우 하우징(115)은 파지하는 신체와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파지하는 신체는 통상의 경우 인체의 손이 될 수 있다. 이때, 신체와 접촉하는 하우징(115)은 도전성의 재질로 형성되어 파지하는 신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경우에 따라서 하우징(115)은 파지하는 신체와의 사이에는 일정한 크기의 커패시턴스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신체와 접촉하는 하우징(115)과 신체의 전기적인 연결 또는 커패시턴스는 스타일러스 펜이 정전식 방식으로 작동하는데 필요할 수 있다.
The housing 110 is a portion gripped when a stylus pen is used. The housing 115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ody to be gripped. Here, the body to be gripped can be a human body's hand in normal cases. At this time, the housing 115,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body,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ody to be gripped. Alternatively, the housing 115 may form a capacitance of a certain size between itself and the holding body. The electrical connection or capacitance of the body with the housing 115 in contact with such a body may be necessary for the stylus pen to operate in an electrostatic manner.

터치 팁(120)은 하우징(110)에 전단(111)에 위치한다. 터치 팁(120)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팁(120)은 하우징(110)의 전단 부분에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상술한 것과 같이 하우징(110)의 전단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일부는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나머지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touch tip 120 is located at the front end 111 of the housing 110. At least a portion of the touch tip 12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Specifically, the touch tip 120 may be coupled to a front end portion of the housing 110, and a portion of the touch tip 120 may be connected to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110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a front end of the housing 110, May be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터치 팁(120)은 스타일러스 펜이 지시하려는 위치에 접촉되거나 근접하도록 위치되어 사용된다. 터치 팁(120)이 위치를 지시하는 방식은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The touch tip 120 is used so as to be placed in contact with or close to the position to which the stylus pen is to be pointed. The manner in which the touch tip 120 indicates the position may be variously used.

일례로, 터치 팁(120)이 정전식 방식으로 위치를 지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터치 팁(120)은 도전성의 재질로 형성된다. 터치 팁(120)은 가요성 재질로 형성되는 바디부와 전도성 박막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는 외력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었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요성 재질의 바디부는 터치 팁(120)이 터치 패널에 접촉되는 경우 필기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부는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는 터치 팁(120)의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전도성 박막은 바디부 중 적어도 일부의 표면에 형성된다. 특히, 전도성 박막은 바디부 중 터치 패널과 접하게 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도성 박막은 탄소 나노 튜브(CNT; Carbon Nano Tube)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탄소 나노 튜브를 포함하는 전도성 박막은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등의 직물에 탄소 나노 튜브의 고분자가 포함된 수용성 물질을 함침시킨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touch tip 120 may point in an electrostatic manner. In this case, the touch tip 120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The touch tip 120 may include a body portion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a conductive thin film. It is preferable that the body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is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and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when an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body portion of the flexible material can increase the writing feeling when the touch tip 120 is in contact with the touch panel. For example, the body portion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The body part can determine the shape of the touch tip 120. The conductive thin film is formed on the surface of at least a part of the body part. In particular, the conductive thin film may be formed around a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hat is in contact with the touch panel. The conductive thin film may include a carbon nanotube (CNT) material. More specifically, the conductive thin film including the carbon nanotubes may be formed by impregnating a fabric of nylon, polyester or the like with a water-soluble substance containing a polymer of carbon nanotubes.

터치 팁(120)은 터치 패널에 접촉되는 인체의 손가락을 대체한다. 따라서 터치 팁(120)은 도전성의 재질로 형성되고, 터치 패널과 소정의 면적에 대해서 접하게 된다. 터치 팁(120)과 터치 패널이 접하는 면적인 터치 패널의 민감도 등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터치 패널에 따라서 터치 팁(120)이 터치 패널에 직접 접하지 않고 근접하게 접근한 상태로도 스타일러스 펜이 위치를 지시할 수 있는 것도 가능하다.The touch tip 120 replaces the finger of the human body in contact with the touch panel. Accordingly, the touch tip 120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contacts the touch panel with a predetermined area. The sensitivity of the touch panel, which is an area where the touch tip 120 is in contact with the touch panel, and the lik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stylus pen can indicate the position even when the touch tip 120 approaches the touch panel in a close proximity with the touch panel.

정전식 방식의 터치 팁(120)의 구현 방식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예시적인 정전식 터치 패널이다. 터치 패널은 복수의 행 및 열의 전극 라인(210, 220)을 포함하고, 행 및 열의 전극 라인(210, 220)이 교차하는 교차점(230)이 복수 개가 형성된다.Hereinafter, a method of implementing the electrostatic touch tip 120 will be described. 3 is an exemplary capacitive touch panel. The touch panel includes a plurality of row and column electrode lines 210 and 220 and a plurality of intersections 230 where the row and column electrode lines 210 and 220 intersect.

도 4는 터치가 되지 않은 상태의 교차점(230)에서의 터치 패널의 측단면도이다. 교차점(230)에서는 행 또는 열의 전극 라인 중 하나가 상부 전극(231)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가 하부 전극(232)을 형성한다. 상하부 전극(231, 232)은 유전체에 의해 분리되어 있고, 상하부 전극(231, 232) 사이에는 소정의 커패시턴스(C1)가 형성되어 있다. 상하부 전극(231, 232) 사이에서 형성된 전기장 라인이 도시되어 있다.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uch panel at an intersection point 230 in a non-touch state. In the intersection point 230, one of the electrode lines of the row or column forms the upper electrode 231 and the other of the electrode lines forms the lower electrode 232.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231 and 232 are separated by a dielectric, and a predetermined capacitance C1 is form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231 and 232. An electric field line form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231 and 232 is shown.

도 5는 터치가 된 상태의 교차점(230)에서의 터치 패널의 측단면도이다. 터치 부재(120)가 상부 전극(231) 부근에 위치한다. 여기서, 터치 부재(120)는 손가락 또는 본 발명에서의 터치 팁(120)이 될 수 있다. 터치 부재(120)와 상부 전극(231) 사이에서는 커패시턴스(C2)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터치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상하부 전극(231, 232) 사이의 커패시턴스는 감소(C1-C2)하게 된다. 터치 패널의 센싱부는 상하부 전극(231, 232) 사이의 커패시턴스의 감소를 감지하여 터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상하부 전극(231, 232) 사이에서 형성된 전기장 라인 중 일부가 하부 전극(232)과 터치 부재(120)로 이동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uch panel at an intersection point 230 in a touched state. The touch member 120 is positioned in the vicinity of the upper electrode 231. Here, the touch member 120 may be a finger or a touch tip 120 in the present invention. A capacitance C2 is formed between the touch member 120 and the upper electrode 231. [ As a result, the capacita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231 and 232 in the non-touch state is reduced (C1-C2). The sensing part of the touch panel senses a decrease in capacita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231 and 232 to determine whether the touch is on or off. A portion of the electric field lines form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231 and 232 is shown as being moved to the lower electrode 232 and the touch member 120.

여기서, 터치 부재(120)는 상부 전극(231)과의 사이에 형성된 커패시턴스(C2)보다 훨씬 더 큰 접지에 대한 커패시턴스(Chousing)를 가진다. 이 접지에 대한 커패시턴스(Chousing)가 충분히 크지 않다면, 터치 부재(120)와 상부 전극(231) 사이에는 의미 있는 커패시턴스가 형성되지 않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하부 전극(231, 232) 사이의 커패시턴스의 감소량도 의미 있는 수준으로 나타나지 않게 된다. 터치 부재(120)의 접지는 터치 부재(120)의 주변 상황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의 하우징(110) 또는 하우징(110)의 파지하는 신체의 일부 등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접지는 터치 부재(120)와의 사이에서 터치 부재(120)와 상부 전극(231) 사이의 커패시턴스보다 훨씬 큰 커패시턴스를 형성하기만 하면 문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터치 팁(120)은 직접적으로 혹은 간접적으로 접지와 커패시턴스를 형성한다.Here, the touch member 120 has a capacitance (Chousing) with respect to the ground much larger than the capacitance C2 formed between the upper electrode 231 and the upper electrode 231. A meaningful capacitance is not formed between the touch member 120 and the upper electrode 231. As a result, a reduction amount of the capacita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231 and 232 It does not appear at a meaningful level. The grounding of the touch member 120 may vary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 of the touch member 120. For example, the housing 110 of the stylus pen or a portion of the body to be gripped by the housing 110, or the like. However, it does not matter if the grounding forms a much larger capacitance between the touch member 120 and the upper electrode 231 than the capacitance between the touch member 120 and the upper electrode 231. In this embodiment, the touch tip 120 directly or indirectly forms a ground and a capacitance.

제1 마그네트(13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위치한다. 제1 마그네트(130)는 터치 팁(120)의 후단 방향에 위치한다. 제1 마그네트(130)는 터치 팁(120)과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magnet 130 is located inside the housing 110. The first magnet 130 is positioned in the rear end direction of the touch tip 120. The first magnet 130 may be disposed in alignment with the touch tip 1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1 마그네트(130)는 하우징(110) 내부에서 길이 방향(L)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2는 제1 마그네트(130)가 후단(112) 방향으로 이동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The first magnet 130 is formed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within the housing 110.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first magnet 130 moves in the rear end 112 direction.

구체적으로, 제1 마그네트(130)는 전단(111) 방향으로는 터치 팁(120)의 후단 또는 그 부근까지 이동할 수 있고, 후단(112) 방향으로는 제2 마그네트(140)의 전단 또는 그 부근까지 이동할 있다. 따라서 전단 방향으로 치우쳐서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터치 팁(120)과 가깝게 되고, 후단 방향으로 치우쳐서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제2 마그네트(140)와 가깝게 된다.Specifically, the first magnet 130 can move to the rear end or the vicinity of the touch tip 120 in the front end 111 direction and the front end or the vicinity of the second magnet 140 in the rear end direction 112 You can move up to. Therefore, when the touch tip 120 is biased in the front end direction, the touch tip 120 is relatively closer to the touch tip 120. When the touch tip 120 is biased in the rear end direction, the touch tip 120 is relatively closer to the second magnet 140.

하우징(110) 내부에는 이와 같이 제1 마그네트(13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 경로에 해당하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공간은 제1 마그네트(130)가 길이 방향만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단면의 형상 및 크기가 제1 마그네트(130)의 단면의 형상 및 크기와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housing 110,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path is provided so that the first magnet 130 can m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and size of the cross section correspond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magnet 130 so that the first magnet 130 can move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1 마그네트(130)는 이동 부재(135)에 의해 움직일 수 있다. 이동 부재(135)는 스타일러스 펜의 사용자에 의해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제1 마그네트(130)를 움직인다.The first magnet 130 can be moved by the moving member 135. The moving member 135 moves the first magnet 130 by an external force exerted by the user of the stylus pen.

이동 부재(135)의 일단은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외력을 가해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타단은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제1 마그네트(130)와 연결되어 있다. 이동 부재(135)의 일단에는 길이 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반복되어 배열되는 돌기와 홈이 주름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주름에 의해 사용자는 길이 방향으로 외력을 가할 때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110)에는 이동 부재(135)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136)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36)의 내부에는 이동 부재(135)의 일단이 위치한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136)는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이동 부재(135)가 길이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제한한다. 이동 부재(135)의 타단은 제1 마그네트(130)와 연결되어 외력을 제1 마그네트(130)에 전달한다.One end of the movable member 135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so that the user can manipulate the external forc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magnet 130 inside the housing 110. At one end of the shifting member 135, the projections and grooves form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repeatedly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m wrinkles. The wrinkle prevents the user's finger from slipping when applying an external for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housing 110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member 136 for guiding the moving member 135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guide member 136, one end of the moving member 135 is positioned. Therefore, the guide member 136 restricts the moving member 135 to move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other end of the movable member 135 is connected to the first magnet 130 to transmit an external force to the first magnet 130.

제1 마그네트(130)는 전단과 후단이 서로 반대의 극성을 가지도록 착자된다. 구체적으로 극성의 방향이 어떻게 되든 문제 없지만, 상기 극성의 방향에 따라 연동되는 터치 패널의 설정 및 제2 마그네트(140)의 극성의 방향이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The first magnet 130 is magnetized so th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have opposite polarities. The direction of the polarity of the second magnet 140 and the setting of the touch panel linked with the direction of the polarity may be determined differently.

제2 마그네트(14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제1 마그네트(130)의 후단 방향에 위치한다. 제2 마그네트(140)는 터치 팁(120)과 제1 마그네트(130)와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magnet 140 is positioned in the rear end direction of the first magnet 130 in the housing 110. The second magnet 140 may be disposed in alignment with the touch tip 120 and the first magnet 1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2 마그네트(140) 역시 제1 마그네트(130)와 같이 전단과 후단이 서로 반대의 극성을 가지도록 착자되어 있다. 이 때, 제1 마그네트(130)의 후단과 제2 마그네트(140)의 전단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도록 배치된다. 이로 인해 제1 마그네트(130)와 제2 마그네트(140)는 서로 길이 방향으로 밀어내는 척력을 발생시킨다. 이 척력은 제1 마그네트(130)와 제2 마그네트(140)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증가한다.Like the first magnet 130, the second magnet 140 is magnetized so th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thereof have opposite polarities. In this case, the rear end of the first magnet 130 and the front end of the second magnet 140 are arranged to have different polarities. As a result, the first magnet 130 and the second magnet 140 generate a repulsive force that pushes the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is repulsive force increases a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magnet 130 and the second magnet 140 becomes closer.

따라서 이동 부재(135)에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제1 마그네트(130)는 제2 마그네트(140)의 척력에 의해 전단 방향에 치우쳐서 위치한 상태를 유지한다. 특히, 스타일러스 펜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전단이 아래를 향하도록 배향되므로 제1 마그네트(130)가 전단 방향에 치우치는 것은 중력의 영향도 더해지게 된다.Therefore, if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moving member 135, the first magnet 130 is biased in the forward direction by the repulsive force of the second magnet 140. [ In particular, when the stylus pen is used, since the front end is usually oriented downward, the effect of gravity is added to the fact that the first magnet 130 is offset in the front end direction.

이동 부재(135)에 후단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제1 마그네트(130)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제1 마그네트(130)는 후단 방향으로 치우쳐서 위치하여 터치 팁(120)과는 멀어지고, 제2 마그네트(140)와는 가까워지도록 이동한다. 이러한 경우 제1 및 제2 마그네트(140) 사이의 척력은 증가하게 된다.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moving member 135 in the rear end direction, the first magnet 130 moves in the rear end direction. Accordingly, the first magnet 130 is biased in the rear end direction, moves away from the touch tip 120, and moves toward the second magnet 140. In this case, the repulsive for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140 is increased.

이동 부재(135)에 가해지는 후단 방향의 힘이 제거되거나 충분히 약해지면 제1 마그네트(130)는 다시 전단 방향으로 이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When the force in the rearward direction applied to the moving member 135 is removed or sufficiently weakened, the first magnet 130 moves again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본 실시예에서, 스타일러스 펜은 상술한 것과 같이 터치 팁(120)이 터치 패널에 접촉하거나 근접하는 것에 의해 터치 패널 상의 위치를 지시한다. 이와 더불어 터치 팁(120)이 제1 마그네트(130)로부터 유도되는 자성에 의해 위치 이외의 부가적인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부가적인 신호란 스타일러스 펜이 위치를 지시하는 것과 관련된 다른 입력 신호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이 터치 패널에 글자 또는 선을 입력하는 과정에서 상기 글자 또는 선의 색상 및 두께 등을 변화시키는 입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글자 또는 선을 지우는 기능으로 변화시키는 입력일 수 있다. 상기 부가적인 신호는 다양하게 적용되고 변화될 수 있으며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embodiment, the stylus pen indicates the position on the touch panel by touching or approaching the touch panel 120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touch tip 120 can input additional signals other than the position by the magnetism induced from the first magnet 130. Where the additional signal may be another input signal associated with the stylus pen indicating the position. For example, the stylus pen may be an input for changing the color and thickness of the character or line in the process of inputting characters or lines on the touch panel. It may also be an input to change the character or line to a function to erase. The additional signals may be variously applied and varied and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본 실시예에서, 터치 팁(120)은 근접하는 제1 마그네트(130)에 의해 자성이 유도되는 재질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터치 팁(120)은 상자성체 또는 반자성체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자성체는 마그네트가 근접하게 위치하면 근접한 마그네트와 인력을 형성하도록 자성이 유도되는 성질을 가지는 물질이다. 반자성체는 마그네트가 근접하게 위치하면 근접한 마그네트와 척력을 형성하도록 자성이 유도되는 성질을 가지는 물질이다.In this embodiment, the touch tip 120 is formed of a material which is magnetically induced by the first magnet 130 in the vicinity. Specifically, the touch tip 120 may be formed of one of a paramagnetic material and a semi-magnetic material. The paramagnetic material is a material having a property of inducing magnetism to form attracting magnet and attracting force when the magnet is located close to the magnet. A semi-magnet is a magnetically attracted material that is magnetized to form a repulsive force with a nearby magnet when the magnet is placed close to the magnet.

제1 마그네트(130)가 전단 방향으로 치우쳐서 위치하는 것은 제1 마그네트(130)가 터치 팁(120)과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경우에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 제1 마그네트(130)와 터치 팁(120)은 직접 접촉되어 있을 수도 있고, 약간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있을 수도 있다.The position of the first magnet 130 biased in the front end direction means that the first magnet 130 is located relatively close to the touch tip 120. In some cases, the first magnet 130 and the touch tip 120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or may be spaced apart by a small distance.

이러한 상태에서 상자성체 또는 반자성체의 터치 팁(120)은 제1 마그네트(130)에 의해 자성이 유도된다. 이와 같이 유도된 자성은 본 실시예의 스타일러스 펜과 연동되는 터치 패널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인식될 수 있다.In this state, magnetization is induced by the first magnet 130 of the touch tip 120 of the paramagnetic body or the semi-magnetic body. The magnetism induced in this manner can be recognized in various ways by the touch panel interlocked with the stylus pen of this embodiment.

이동 부재(135)에 후단 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면 제1 마그네트(130)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터치 팁(120)과 제1 마그네트(130)의 거리는 멀어지게 되고, 터치 팁(120)에 유도된 자성은 감소하거나 제거되게 된다. 이러한 터치 팁(120)의 자성의 변화는 터치 패널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인식될 수 있다.When an external force in the rear end direction is applied to the moving member 135, the first magnet 130 moves in the rear end direction. As a result, the distance between the touch tip 120 and the first magnet 130 is increased, and the magnetism induced in the touch tip 120 is reduced or eliminated. The change in magnetism of the touch tip 120 can be recognized by the touch panel in various ways.

상기의 외력이 제거되거나 충분히 약해지면 제1 마그네트(130)가 다시 전단 방향으로 이동하고, 터치 팁(120)과 제1 마그네트(130)의 거리는 다시 가까워 진다. 이에 따라 터치 팁(120)에는 다시 자성이 유도된다. 이러한 터치 팁(120)의 자성의 변화 역시 터치 패널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인식될 수 있다.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or sufficiently weakened, the first magnet 130 moves again in the front end directio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ouch tip 120 and the first magnet 130 approaches again. As a result, magnetism is induced again in the touch tip 120. The change in magnetism of the touch tip 120 can also be recognized by the touch panel in various ways.

상술한 것과 같이, 터치 패널에서는 상기의 과정에서 터치 팁(120)의 자성의 변화를 인식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의 신호 처리부 또는 터치 패널이 장착된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 등에서는 이러한 자성의 변화를 상기 부가적인 신호의 입력으로 인식하여 처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touch panel, a change in magnetism of the touch tip 120 can be recognized in the above process. A signal processor of the touch panel or a processor of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touch panel can recognize such magnetic change as the input of the additional signal and process it.

따라서 본 실시예의 스타일러스 펜이 터치 패널의 위치를 지시하기 위해서, 터치 팁(120)이 터치 패널에 접촉되거나 근접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사용되는 상태에서 위치를 지시하는 것 이외의 부가적인 신호를 입력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이동 부재(135)에 후단 방향으로 일시적인 외력을 가해 제1 마그네트(130)를 후단 방향으로 일시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조작에 의해 터치 팁(120)에 유도된 자성이 변화하게 된다. 터치 패널은 이러한 자성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부가적인 신호의 입력을 감지한다. 부가적인 신호의 입력은 스타일러스 펜이 위치를 지시하는 것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Therefore, in order for the stylus pen of this embodiment to indicate the position of the touch panel, the touch tip 120 may be used in contact with or close to the touch panel. In order to input an additional signal other than the one indicating the position in this state, the user may temporarily move the first magnet 130 in the rearward direction by applying a temporary external force to the moving member 135 in the rearward direction have. The magnetism induced in the touch tip 120 is changed by this operation. The touch panel senses the change of magnetism and senses the input of the additional signal. The input of an additional signal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that the stylus pen indicates the position.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scribing another embodiment, the description will be focused on the differences from the above embodiment.

본 실시예에서, 스타일러스 펜의 터치 팁(120)이 터치 패널에 접촉하거나 근접하는 것에 의해 터치 패널 상의 위치를 지시하는 것은 동일하다. 반면에 위치 이외의 부가적인 신호는 제1 마그네트(130)의 자성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상기 부가적인 신호의 입력이 제1 마그네트(130)에 의해 유도된 터치 팁(120)의 자성에 의한 것인 반면, 이하 설명하는 본 실시예는 제1 마그네트(130)의 자성에 의한 것이 주된 차이점이다.In this embodiment, it is the same that the touch tip 120 of the stylus pen indicates the position on the touch panel by contacting or approaching the touch panel. On the other hand, additional signals other than the position can be input by the magnetism of the first magnet 130.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input of the additional signal is caused by the magnetism of the touch tip 120 induced by the first magnet 130, whereas the present embodiment,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s the main difference.

본 실시예에서, 본 실시예의 스타일러스 펜과 연동되는 터치 패널은 제1 마그네트(13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크기를 인식할 수 있다. 제1 마그네트(130)와 터치 패널의 거리가 증가하면 터치 패널에서의 제1 마그네트(130)의 자기장이 감소한다.In this embodiment, the touch panel interlocked with the stylus pen of this embodiment can recognize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first magnet 130. A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magnet 130 and the touch panel increases, the magnetic field of the first magnet 130 in the touch panel decreases.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마그네트(130)가 외력에 의해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터치 패널은 상기 자기장의 크기 감소를 인식할 수 있다. 외력이 제거되거나 충분히 약해지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마그네트(130)는 다시 전단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터치 패널은 상기 자기장의 크기 증가를 인식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when the first magnet 130 moves in the rearward direction by an external force, the touch panel can recognize the decrease in the size of the magnetic fiel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or sufficiently weakened, the first magnet 130 moves again in the forward direction as shown in FIG. 1, and the touch panel can recognize the increase in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ield.

터치 패널은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마그네트(130)의 근접 여부에 따른 자기장 크기 변화를 인식하여 위치 이외의 부가적인 신호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ouch panel recognizes the change in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ield due to the proximity of the first magnet 130, and can sense the input of additional signals other than the position.

본 실시예에서 터치 팁(120)에는 별도의 자성이 유도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터치 팁(120)은 상자성체 또는 반자성체를 포함하는 자성체가 아닌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embodiment, no separate magnetism needs to be induced in the touch tip 120.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touch tip 120 is formed of a non-magnetic material including a paramagnetic material or a semi-magnetic material.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scribing another embodiment, differences from the above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본 실시예에서, 스타일러스 펜의 터치 팁(120)이 터치 패널에 접촉하거나 근접하는 것에 의해 터치 패널 상의 위치를 지시하는 것은 동일하다. 반면에 터치 팁(120)이 제1 마그네트(130)와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것에 의해 위치 이외의 부가적인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부가적인 신호의 입력이 터치 팁(120) 또는 제1 마그네트(130)의 자성의 변화에 의한 것인 반면, 이하 설명하는 본 실시예는 터치 팁(120)의 전기적인 연결에 의한 것이 주된 차이점이다.In this embodiment, it is the same that the touch tip 120 of the stylus pen indicates the position on the touch panel by contacting or approaching the touch panel. On the other hand, additional signals other than the position can be input by electrically separating the touch tip 120 from the first magnet 130. Whil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based on the fact that the input of additional signals is caused by a change in the magnetism of the touch tip 120 or the first magnet 130, Is the main difference.

본 실시예에서, 터치 팁(120)은 오직 제1 마그네트(130)만을 통해서 스타일러스 펜을 파지하는 신체와 접촉되는 하우징(1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만약에 하우징(110)이 신체와 접촉되는 부분(115)과 그렇지 않은 부분이 나누어져 있다면 그렇지 않은 부분과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제1 마그네트(130)가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여 터치 팁(120)과 이격되는 경우에는 터치 팁(120)과 신체와 접촉되는 하우징(115)은 전기적으로 분리된다.In this embodiment, the touch tip 1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ousing 115,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body holding the stylus pen only through the first magnet 130. If the portion of the housing 110 where the body 110 is in contact with the body is not divided, the portion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rtion where the body 110 is not. When the first magnet 130 moves in the rearward direction and is separated from the touch tip 120, the touch tip 120 and the housing 115,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body, are electrically separated.

이를 위해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마그네트(130)는 적어도 전단 방향에 치우쳐서 위치하는 때에는 신체와 접촉되는 하우징(1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1 마그네트(130)는 전단 방향에 치우쳐서 위치하는 때에는 터치 팁(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For this purpos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first magnet 1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ousing 115,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body at least when the first magnet 130 is biased in the front end direction. In addition, when the first magnet 130 is shifted in the front end direction, the first magnet 130 remain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ouch tip 120.

정전식 방식으로 터치 패널에 접촉되는 터치 팁(120)에 있어서, 신체와 접촉되는 하우징(115)은 터치 팁(120)의 접지 역할을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하우징(115)과 접촉되어 있는 신체가 접지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5과 같이, 터치 팁(120)이 제1 마그네트(130)를 통해서 접지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터치 팁(120)과 접지 사이에 상당히 큰 커패시턴스(Chousing)가 형성된다. 따라서 터치 팁(120)이 터치 패널에 접촉되거나 근접하게 접근하면 도 5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터치 팁(120)과 상부 전극(231) 사이에 의미 있는 크기의 커패시턴스(C2)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상부 전극(231)과 하부 전극(232) 사이에 커패시턴스의 변화가 발생한다.In the touch tip 120 contacting the touch panel in an electrostatic manner, the housing 115,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body, may serve as a ground for the touch tip 120. In some cases, the body in contact with the housing 115 may serve as a ground. As shown in FIG. 5, when the touch tip 120 is connected to the ground through the first magnet 130, a considerably large capacitance is formed between the touch tip 120 and the ground. Therefore, when the touch tip 120 is in contact with or near to the touch panel, a capacitance C2 having a meaningful size is formed between the touch tip 120 and the upper electrode 231 as illustrated in FIG. As a result, a change in capacitance occurs between the upper electrode 231 and the lower electrode 232.

이러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마그네트(130)가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 터치 팁(120)과 접지의 전기적인 연결이 분리되고 형성된 커패시턴스(Chousing)도 제거된다. 이로 인해, 터치 팁(120)과 상부 전극(231) 사이의 커패시턴스(C2)는 감소하거나 제거된다. 결과적으로, 상부 전극(231)과 하부 전극(232) 사이의 커패시턴스의 변화는 감소되거나 제거되어 원 상태로 복귀한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2, when the first magnet 130 moves in the rear end direction,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touch tip 120 and the ground is separated and the formed chousing is also removed. As a result, the capacitance C2 between the touch tip 120 and the upper electrode 231 is reduced or eliminated. As a result, the change in capacitance between the upper electrode 231 and the lower electrode 232 is reduced or eliminated and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이러한 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마그네트(130)가 다시 전단 방향으로 이동하여 터치 팁(120)과 접촉되면, 터치 팁(120)과 접지의 전기적인 연결이 복원되고 커패시턴스도 다시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상부 전극(231)과 하부 전극(232) 사이의 커패시턴스의 변화도 다시 복원된다.1, when the first magnet 130 moves in the forward direction again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ouch tip 120,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touch tip 120 and the ground is restored and the capacitance is also restored . As a result, the change in the capacitance between the upper electrode 231 and the lower electrode 232 is also restored.

터치 패널의 센서는 제1 마그네트(130)의 이동에 따른 터치 패널의 상부 전극(231)과 하부 전극(232) 사이의 커패시턴스 변화를 감지한다. 이러한 감지에 의해 위치 이외의 부가적인 신호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The sensor of the touch panel senses a capacitance change between the upper electrode 231 and the lower electrode 232 of the touch panel as the first magnet 130 moves. By this detec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input of additional signals other than the position.

본 실시예와 같은 구성에서 제1 마그네트(130)이 이동 부재(135)에 가해진 외력에 의해 후단 방향으로 이동한 후 다시 전단 방향으로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체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마그네트(130)는 자석이 아닌 통상의 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마그네트(140)는 생략될 수 있다.
An elastic body or the like may be provided so that the first magnet 130 moves in the rearward direction by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moving member 135 and is then restored in the forward direction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present embodiment. In this case, the first magnet 130 may be formed of a normal conductive material rather than a magnet, and the second magnet 140 may be omitted.

이상, 본 발명의 스타일러스 펜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stylus pe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nd the claims.

110: 하우징 120: 터치 팁
130: 제1 마그네트 135: 이동 부재
140: 제2 마그네트
110: housing 120: touch tip
130: first magnet 135: moving member
140: second magnet

Claims (14)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단에 위치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터치 팁;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터치 팁의 후단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마그네트;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제1 마그네트의 후단 방향에 위치하는 제2 마그네트; 및
외력에 의해서 상기 제1 마그네트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트는 서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척력을 발생시키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마그네트는 스타일러스 펜을 파지하는 신체와 접촉되는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타일러스 펜.
A housing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defining an inner space;
A touch tip located at a front end of the housing and at least a part of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 first magnet positioned in a rear end direction of the touch tip in the housing and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magnet located in a rear end direction of the first magnet inside the housing; And
And a moving member capable of moving the first magn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n external force,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are arranged to generate a repulsive for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each other,
Wherein the first magne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a part of the housing which contacts the body holding the stylus pe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그네트는 전단 방향으로는 상기 터치 팁의 후단 또는 그 부근까지, 후단 방향으로는 상기 제2 마그네트의 전단 또는 그 부근까지 이동할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magnet can move to the rear end or the vicinity of the touch tip in the front end direction, and to the front end or the vicinity of the second magnet in the rear end direc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그네트가 전단 방향으로 치우쳐서 위치하는 경우 상기 터치 팁은 상기 제1 마그네트에 의해 자성이 유도되는 스타일러스 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uch tip is magnetized by the first magnet when the first magnet is biased to the front end direction.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그네트가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터치 팁에 유도된 자성이 약화되는 스타일러스 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agnetic force induced in the touch tip is weakened when the first magnet moves in a rearward direc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팁은 상자성체 또는 반자성체로 형성되는 스타일러스 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uch tip is formed of a paramagnetic material or a semi-magnetic materi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마그네트는 전단 방향으로 치우쳐서 위치하는 스타일러스 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magnet is biased toward the front end direction 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moving memb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에 후단 방향의 외력이 가해진 경우 상기 제1 마그네트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타일러스 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irst magnet moves in a rearward direction when an external force in a rear end direction is applied to the moving member.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1 마그네트는 상기 제2 마그네트와의 척력에 의해 전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타일러스 펜.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when the applied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first magnet moves in a forward direction by a repulsive force with the second magne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일단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제1 마그네트와 연결되어 있는 스타일러스 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vable member has one e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irst magnet.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부재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 부재 내부에 위치하는 스타일러스 펜.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housing includes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moving member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ne end of the moving member is located inside the guide member.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팁은 상기 제1 마그네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 마그네트를 통해 상기 신체와 접촉되는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마그네트와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경우 상기 신체와 접촉되는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와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스타일러스 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uch tip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a part of the housing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body through the first magnet whe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magnet and contacts the body when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first magnet, A stylus pen electrically separated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housing.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팁은 가요성 재질로 형성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전도성 박막을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uch tip includes a body portion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a conductive thin film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박막은 탄소 나노 튜브(CNT; Carbon Nano Tube) 소재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onductive thin film includes a carbon nanotube (CNT) material.
KR1020140099986A 2014-08-04 2014-08-04 Stylus pen KR1016231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986A KR101623156B1 (en) 2014-08-04 2014-08-04 Stylus p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986A KR101623156B1 (en) 2014-08-04 2014-08-04 Stylus p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260A KR20160016260A (en) 2016-02-15
KR101623156B1 true KR101623156B1 (en) 2016-05-31

Family

ID=55357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9986A KR101623156B1 (en) 2014-08-04 2014-08-04 Stylus p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315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0713B1 (en) 2016-03-31 2022-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pen including waterproof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262510B1 (en) 2018-07-18 2021-06-08 주식회사 하이딥 Stylus pen
KR102129213B1 (en) * 2019-12-17 2020-07-0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Haptic stylus pen using smart materia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3054A (en) * 2001-06-18 2002-12-26 Sony Corp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input device,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3054A (en) * 2001-06-18 2002-12-26 Sony Corp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input device,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260A (en) 201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7359B1 (en) Stylus with external magnetic influence
US9158394B2 (en) Stylus for use with capacitive touch panel
KR102460220B1 (en) Handwritt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9195351B1 (en) Capacitive stylus
KR101846256B1 (en) Tactile feedback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actile feeling
KR102440965B1 (en) Sylus pen, electriconic apparatus for receiving signal from the stylus pe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8477120B2 (en) Touch screen system
US9152254B2 (en) Electrical connection for active-stylus electrode
KR101623156B1 (en) Stylus pen
JP5903131B2 (en) Touch pen and its nib
US20150138165A1 (en) Replaceable Tip for Active Stylus
CN104461078A (en) Magnetic capacity type pointer device
CN203552196U (en) Touch input device
EP3614240A1 (en) Capacitive stylus, touch device, and electronic system thereof
US9965053B2 (en) Touchpen for capacitive touch panel and method of detecting a position of a touchpen
KR101632388B1 (en) Stylus
KR20160031295A (en) Touch Device, Touch Pen and Touch Panel
WO2010007731A1 (en) Indicator and position detection device
CN106527831A (en) Mutual hover protection for touchscreens
KR101573521B1 (en) Touch pen detecting pressure
CN104915027A (en) Capacitive touch control pen
US20170060277A1 (en) Magnetic switch assembly and stylus having the same
CN204087172U (en) A kind of key type capacitance touch screen of multi-point touch
KR101446244B1 (en) Hybrid electronic pen both ultrasonic waves and capacitive type
CN107305819A (en) Electronic switch with force feedback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