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2049B1 - Auto - change unit of direction facing to trasfer flate for rasing seed - Google Patents

Auto - change unit of direction facing to trasfer flate for rasing se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2049B1
KR101622049B1 KR1020140173574A KR20140173574A KR101622049B1 KR 101622049 B1 KR101622049 B1 KR 101622049B1 KR 1020140173574 A KR1020140173574 A KR 1020140173574A KR 20140173574 A KR20140173574 A KR 20140173574A KR 101622049 B1 KR101622049 B1 KR 101622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conveyor
rolls
directions
switch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5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용일
Original Assignee
임용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용일 filed Critical 임용일
Priority to KR1020140173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204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0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3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8Crossing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21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by modifying the orientation or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26Orientation of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direction switching unit for transferring one seedbed in three directions. The automatic direction switching unit is a part of a transferring apparatus which can freely transfer seedbeds in a seedling field. The automatic direction switching unit can switch the direction of the seedbeds, which are transferred at a uniform speed, and enable the seedbeds to be transferred while maintaining the uniform speed at the same ti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gas frame to have a flat surface in a T-shape and accordingly have three direction paths including a first direction path, a second direction path, and a third direction path. The automatic direction switching unit can naturally switch the direction of a seedbed input in one of the three directions to another direction and move the seedbed at the same speed, thereby enabling a stable transfer operation by entirel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traffic jam while switching directions.

Description

모판을 3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자동 방향전환유닛{Auto - change unit of direction facing to trasfer flate for rasing seed}[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direction changing unit for moving a base plate in three directions,

본 발명은 육묘장에서 육묘판을 자유롭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송장치의 일부로서, 일정한 속도로 이송되던 육묘판이 방향이 전환되면서도 일정한 속도로 유지되며 이송될 수 있도록 한, 모판을 3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자동 방향전환유닛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er device for transferring an ornamental plate in a nursery, in which a seedling plate transferred at a constant speed is maintained at a constant speed while being switched in direction, And an automatic direction switching unit.

특히, 본 발명은 기체프레임을 형성함에 있어서, 평면이 "T"자 형상이 되도록 실시하고, 이에 따라 3 방향 즉, 제1, 2, 3 방향로를 갖도록 하며, 상기 방향 중 일방향으로 진입된 육묘판이 자연스럽게 타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동일한 속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방향이 전환되면서도 전혀 트래픽 잼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안정적인 운송작업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 모판을 3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자동 방향전환유닛에 관한 것이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forming a gas-filled frame in which a plane is formed in a "T" shape and has three directions, i.e., first, second and third directions, The plate can naturally mov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move at the same speed so that the traffic jam phenomenon does not occur at all while the direction is switched so that the stable transportation operation can be realized. Unit.

일반적으로 모판은 육묘를 위한 배지를 말하는 것으로, 모의 이앙작업시 반드시 필요한 모종을 기르는 배지이다.Generally, the base plate is a badge for seedlings, and it is a badge to grow seedlings that are necessary for the simulation work.

모내기 작업은 수작업이 많은 작업의 일종인데, 논에 모를 심는 봄철에는 모종을 논에 심는 파종의 작업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즉, 일정한 크기로 모종을 자라게 하고, 어느 정도 육성되어 자생능력을 기른 상태의 모종만을 논에 이앙하는 방식으로 농사는 시작된다. The planting work is a kind of manual work, but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plant the seedlings in the rice field in spring when planting the rice plant. In other words, the seedlings are grown to a certain size, and the seedlings are cultivated in such a way that only seedlings that have been nurtured to some extent and raised their own abilities are moved to the rice field.

즉, 논에 모를 이앙하기 위해서는, 육묘장이라는 모종을 일정한 기간동안 키우는 곳에서 정해진 방식에 따라 키워진다. 이 건 발명은 바로 이 모종을 자생력을 키우는 기간동안 키우는 육묘장에 설치된 모판의 이송장치, 모판의 이송 전환시스템 중 일부인 방향전환유닛에 관한 것이다.
In other words, in order to reach the rice paddy, the nursery is raised according to the method set in the place where the seedling is raised for a certain perio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er device of a base plate installed in a nursery, which is raised during self-sustaining period, and a direction switching unit which is a part of a transfer system of transferring the base plate.

간단하게 육묘장의 작업방식을 살펴보면, 도시된 도 1에서처럼(국내특허 제10-2000-0040895호; 벼의 상토절약형 상자육묘방법과 육묘상자) 모판에 모종을 심고나서, 이를 온실에 넣어 불빛이 차단된 환경으로 약 8일을 키우게 된다. 온도 조건은 약 36-40℃이다. 이 기간이 지나면, 모종은 노란색으로 색깔이 변화되고, 이 상태에서 차폐된 공간인 차광방으로 빼내어 상온으로 물만을 투입하며 3-6일을 키우게 된다. 이후에는 다소 녹색 빛이 도는 새싹으로 모종이 변화되고, 이후 육묘장으로 빼내어 태양광 속에서 약 4-8일간의 자생 기간을 지내면서 모는 보다 건강하게 자라게 된다. 태양광을 받은 모는 도시된 도 1의 모판 내측에 안착된 상태로 육묘장에 깔리게 되는데, 육묘장은 사실상 논 바닥과 동일하다. 차곡차곡 일렬로 깔린 모판 위에 모종은 태양광을 통해서 보다 건강하게 자라고, 이 후 각각의 농가는 이를 구매하여 자신의 논에 이앙하여, 한해를 키우며 벼로 성장시키고, 이후 쌀을 생산한다. As shown in FIG. 1 (domestic patent No. 10-2000-0040895; rice seedling-saving box method and seedling box), seedlings are planted in a seedling plate, The environment will raise about 8 days. The temperature condition is about 36-40 ° C. After this period, the seedlings change color in yellow, and in this state, they are taken out to the shaded room, which is the shielded space, and only water is added to the room temperature for 3-6 days. After that, seedlings are changed into greenish sprouted seedlings. After that, they are taken out to the nursery and grown for 4-8 days in the sunlight. The sun that received the sunlight is placed in the nursery in the state of being seated inside the basin of Fig. 1, which is actually the same as the rice field. The seedlings grow more healthily through the sunlight on a row of piles. Each farmer then buys them and grows up his own rice field, grows rice, grows rice, and then produces rice.

종래의 대다수의 육묘장은 온실에서, 육묘를 하는 작업을 위해서 물을 공급하는 작업과 빛을 차단하는 작업이 주요하게 이루어지며, 태양광을 쏘이기 위해서는 온실 내측의 육묘판을 외부 육묘장으로 빼내는 작업이 주요하게 이루어진다. 이 작업은 상당히 고되다. 일일이 육묘판을 빼내어 하나씩 펼쳐 육묘장에 깔아야 한다. 사실 겹쳐서 이동시키기엔 모종이 죽고, 겹쳐서 깔 수 없기에 모든 육묘판을 나르는데에는 사람의 수작업만이 사용된다. 기존의 자동화된 시설이 있기는 하지만 이송되는 과정에서 많은 문제가 발생된다. 이송 중에 하나만 자신의 속도를 잃게 되면, 연속되어 부딪치고, 다른 육묘판의 이송을 방해하여 마치 도미노처럼 적체되고 파손된다. In the past, most of the nurseries are mainly in the greenhouse, supplying water for cutting seedlings and cutting off the light. In order to shoot the sunlight, it is necessary to take out the seedling plate inside the greenhouse to the outside nursery . This work is quite difficult. Every one should take out the nursery plates and spread them one by one to lay them on the nursery. In fact, only the manual work of man is used to carry all the nursery plates because the seedlings die and can not overlap because they are rolled up. Although there are existing automated facilities, many problems arise in the process of being transported. If only one of them lose their velocity during transport, they hit each other in succession, interfere with the transport of the other seedling plates, and become like a domino and become broken and destroyed.

따라서 종래 대다수의 컨베이어 벨트 이송수단의 경우,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유닛의 정밀하고 안정적인 개발이 필요하였는데, 육묘장과 같이 약 50-100m 또는 그 이상의 장거리 컨베이어 벨트의 이송작업에 사용되는 방향전환유닛은 그 개발이 더 어려웠다. 그러나 이 건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완벽하게 해결하였다. Therefore, in the case of most conventional conveyor belt conveying mean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ecise and stable development of a direction switching unit for changing the direction. A direction switching unit used for conveying a long conveying belt of about 50-100 m or longer, The development was more difficul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ly solved the problem.

국내특허 제10-2000-0040895호Korean Patent No. 10-2000-0040895

본 발명은 육묘장에서 육묘판을 자유롭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송장치의 일부로서, 일정한 속도로 이송되던 육묘판이 방향이 전환되면서도 일정한 속도로 유지되며 이송될 수 있도록 한 모판을 3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자동 방향전환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er device for transferring a seedling plate freely in a nursery, in which a seedling plate transferred at a constant speed is maintained at a constant speed while being switched in direction, To provide a direction switching unit.

특히, 본 발명은 기체프레임을 형성함에 있어서, 평면이 "T"자 형상이 되도록 실시하고, 이에 따라 3 방향 즉, 제1, 2, 3 방향로를 갖도록 하며, 상기 방향 중 일방향으로 진입된 육묘판이 자연스럽게 타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동일한 속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방향이 전환되면서도 전혀 트래픽 잼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안정적인 운송작업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 모판을 3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자동 방향전환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forming a gas-filled frame in which a plane is formed in a "T" shape and has three directions, i.e., first, second and third directions, The plate can naturally mov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move at the same speed so that the traffic jam phenomenon does not occur at all while the direction is switched so that the stable transportation operation can be realized. Unit. ≪ / RTI >

본 발명에 따른 모판을 3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자동 방향전환유닛은, 컨베이어를 타고 이동하는 모판(7)이나 다양한 상자를 일방향으로 받아, 수평 방향으로 90°와 180° 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전환유닛으로서, 평면의 형상이 "T"자형을 형성하여, 각각 90° 각도로 벌어진 제1 방향로(Ⅰ), 제2 방향로(Ⅱ) 및 제3 방향로(Ⅲ)로 형성되는 기체프레임(50); 상기 기체프레임(50)의 상부로 롤 외곽이 돌출되도록, 기체프레임(50)의 중심부측에서 각각의 제1, 2 및 3 방향로(Ⅰ,Ⅱ,Ⅲ)를 향해 구르는 위치로 축(52, 54) 결합되는 제1 롤(51, 53); 각 제1 롤(51, 53)에 대응되도록 각 제1, 2 및 3 방향로(Ⅰ,Ⅱ,Ⅲ)의 끝단 프레임에 축결합하되, 좁은 간격을 형성하는 연동바(57) 사이에 고정되는 대응롤(58); 상기 3개의 제1 롤(51, 53)과 대응하는 각각의 대응롤(58)의 외주면을 감고 결합한 3개의 전환벨트(61); 및, 상기 기체프레임(50)의 중심부에 체결되는 제1 롤(51, 53)들의 축(52, 54)에 체결되는 별도의 스프로켓에 대응되는 별도의 체인과 스프로켓으로 연결되어, 모터(M1, M2, M3)의 동력을 받도록 하는 동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컨베이어 벨트(12)를 타고 이동하던, 모판(7)이나 상자가 방향전환유닛(K)의 일측 방향로(Ⅰ,Ⅱ,Ⅲ)로 접근한 후, 다른 방향으로 전환되어 타측 컨베이어 벨트(12)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automatic direction switching unit for moving the bas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ree directions includes a base plate 7 that moves along a conveyor or various boxes in one direction and a direction for transmitting the base plates 90 and 18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 a second direction (II), and a third direction (III), each of which forms a " T " (50); 2 and 3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rections (I, II, III) from the central portion side of the base frame 50 so th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lls protrudes above the base frame 50, 54) a first roll (51, 53) engaged; Is fixed between the interlocking bars 57 which are axially coupled to the end frame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rections I, II, and III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rolls 51 and 53, A counter roll 58; Three change-over belts 61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respective corresponding rolls 58 corresponding to the three first rolls 51, 53; And sprockets corresponding to separate sprockets fastened to the shafts 52 and 54 of the first rolls 51 and 53 fastened to the center of the base frame 50, M2 and M3 in the direction of the direction changing unit K so that the base plate 7 or the box moving along the conveyor belt 12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one side of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K, The conveyor belt 12 can be changed to another direction and can be transmitted to the other conveyor belt 12. [

또한 본 발명 모판을 3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자동 방향전환유닛에 따른, 각각의 제1, 2 및 3 방향로(Ⅰ,Ⅱ,Ⅲ)의 끝단 프레임에 좁은 폭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체결되는 연동바(57)의 사이에 기체프레임(50)과 축(56) 결합되는 대응롤(58)에는, 그 축(56)에서 연장되어, 연동바(57)의 외측으로 수평하게 체결되는 별도의 대응롤(58)을 갖추고; 상기 대응롤(58)의 하단으로 일정 간격을 벌려, 연동바(57) 중단에 축에 체결되는 밀착롤(59)을 연동바(57) 사이와 좌우 외측에 각각 체결하며; 연동바(57)의 끝단, 연동바(57) 사이만 별도의 연결롤(60)을 형성한 후, 상기 전환벨트(61)를 제1 롤(51, 53)의 외주면에서 연결롤(60)의 외주면까지 연장하고;In addition, in the automatic direction switching unit for feeding the bas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ree directions, an interlocking bar (not shown) is fastened to the end frame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rections I, II, Which is extended from the shaft 56 and is horizontally fastened to the outer side of the interlocking bar 57, is attached to the corresponding roll 58, which is coupled with the frame 56 and the shaft 56, (58); Tightening rolls 59 are fixed to the lower ends of the corresponding rolls 58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as to be fastened between the interlocking bars 57 an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A separate connecting roll 60 is formed only between the end of the interlocking bar 57 and the interlocking bar 57 and then the switching belt 61 is wound around the connecting roll 60 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rolls 51, Exte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ame;

간격이 좁은 연결롤(60)을 가진 연동바(57)가 이송을 위한 제1, 2 및 3 컨베이어 이송로(10, 20, 30)에 형성된 컨베이어 벨트(12) 사이에 끼워져, 방향전환유닛(K)의 기체프레임(50)에서 컨베이어 이송로(10, 20, 30)로 내려가는 이동이나, 컨베이어 이송로(10, 20, 30)에서 방향전환유닛(K)의 기체프레임(50) 내측으로 올라오는 이송에 무리가 없도록 하고 : 방향전환유닛(K)의 기체프레임(50) 상부에, 전환벨트(61)를 타고 이동하는 모판(7)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하는 부드럽게 라운드진 가이드판(63)을 착탈가능하게 체결하여, 방향전환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 각각의 제1, 2 및 3 방향로(Ⅰ,Ⅱ,Ⅲ)의 연장된 끝단을 형성하는 연동바(57)는 수동으로 그 축(56)을 힌지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방향로는 상부로 접어 회동을 중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An interlocking bar 57 having a narrow connecting roll 60 is sandwiched between the conveyor belts 12 formed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veyor conveying paths 10, 20 and 30 for conveying, 20 or 30 from the base frame 50 of the direction changing unit K to the conveyor conveying path 10 or 20 or 30 or from the conveyor conveying path 10 to the inside of the base frame 50 of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K A smoothly rounded guide plate (5) is provided on the base frame (50) of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K) so as to guid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ase plate (7) (63) are detachably coupled so that the directional change can be made smooth: the interlocking bar (57) forming the extended end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rections (I, II, III) The shaft 56 can be rotated by the hinge so that it can be folded upward to stop the rotation in an unnecessary direction The lock.

또한 본 발명 모판을 3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자동 방향전환유닛에 따른, 각각의 전환벨트(61)의 내측이나 외측에는, 전환벨트(61)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력조절롤(70)을 형성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 상기 제1, 2 및 3 컨베이어 이송로(10, 20, 30)은, 연동바(57)에 의해서 내려서는 연결롤(60)이 사이에 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연동바(57)의 간격을 수용할 수 있는 거리를 벌린 형태로 좌우 양쪽에 컨베이어 벨트(12)를 형성하고; 연동바(57)의 연결롤(60)이 이송로(10, 20, 30)의 하단으로 끼워지면, 연동바(57) 중단의 외측 밀착롤(59)이 컨베이어 벨트(12)에 밀착되어 밀착롤(59)이 이동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컨베이어 이송로(10, 20, 30)와 방향전환유닛(K)으로 이동하는 모판(7)과 상자가 항상 안정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A tension adjusting roll 70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change-over belt 61 is provided on the inside or outside of each of the change-over belts 61 according to the automatic direction changing unit for feeding the bas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ree directions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veyor conveying paths 10, 20 and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connecting roll 60 descending by the interlocking bar 57 can be interposed therebetween. Forming a conveyor belt (12) on both sides of the bar (57) in such a manner as to be able to receive a gap therebetween; When the connecting roll 60 of the interlocking bar 57 is fitted to the lower ends of the conveying passages 10,20 and 30, the outer contact roll 59 of the interlocking bar 57 interrupts closely to the conveyor belt 12, So that the roll 59 can be rotated in the moving direction; So that the box 7 moving to the conveyor conveying paths 10, 20, 30 and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K and the box can always be stably moved.

본 발명에 따라, 모종을 육묘하기 위한 모든 작업이 전자동화되어, 사실상 수작업을 없앤 혁신적인 전자동 육묘장 이송장치로서, "T"자형의 기체프레임을 통해서 3 방향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고, 진입된 이외의 다른 2 방향으로 다시 나갈 수 있도록 하여 사실상 이송장치에서 방향을 전환할 때, 모든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novative automatic nursery conveying device, in which all the work for cultivating seedlings is automated, virtually eliminating the manual operation, allows the user to enter in three directions through a "T" shaped gas frame, There is a great advantage in that it allows you to switch back and forth in two different directions so that you can switch all directions when you actually switch directions in the feeder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가 이리 저리 연결되어 방향이 전환되는 운동이 발생되어도, 바른 이동과 작용을 통해서 이송을 위한 묘판이나 상자가 항상 적체되거나 밀리는 현상이 없어 이송이 안정적이라는 장점이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veyance is stable because there is no phenomenon that the tray or box for conveying is always accumulated or pushed through the correct movement and action even when the conveyer belt is connected to the conveyor belt and the direction is changed.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트랜스 구조체의 내측에 별도로 깔린 제3 컨베이어 이송로를 포함하는 육묘장 이송장치에 적용되어, 가장 안정적인 이송의 전달을 달성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great advantage in that it is applied to a nursery conveying device including a third conveyor conveying route separately disposed inside the trans structure, thereby achieving the most stable transfer of conveyance.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판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트랜스 구조체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트랜스 구조체를 정면에서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트랜스 구조체에 장착되는 방향전환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트랜스 구조체에 장착을 완료한 방향전환유닛을 상세히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방향전환유닛을 다른 각도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방향전환유닛이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방향전환유닛이 작동하여, 묘판을 이송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방향전환유닛이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view of a generally used base plate,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entir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view of a trans-structure portion which is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trans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whole in a front view,
5 is a view showing a direction switching unit mounted on the transforme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in detail a direction switching unit having been mounted on the transforme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different angles,
8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rection chang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o transfer a trestle plate,
10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육묘장에 설치되는 이송장치의 일부구성인 방향전환유닛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rection changing unit which is a part of a feeding apparatus installed in a nursery.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과 그 작동의 설명을 도시된 도 2 내지 도 10을 통해서 상세히 살펴본다.
Therefore,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era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through FIG.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은 컨베이어를 타고 이동하는 모판(7)이나 다양한 상자를 일방향으로 받아, 수평 방향으로 90°와 180° 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전환유닛에 있어서, 평면의 형상이 "T"자형을 형성하여, 각각 90° 각도로 벌어진 제1 방향로(Ⅰ), 제2 방향로(Ⅱ) 및 제3 방향로(Ⅲ)로 형성되는 기체프레임(50); 상기 기체프레임(50)의 상부로 롤 외곽이 돌출되도록, 기체프레임(50)의 중심부측에서 각각의 제1, 2 및 3 방향로(Ⅰ,Ⅱ,Ⅲ)를 향해 구르는 위치로 축(52, 54) 결합되는 제1 롤(51, 53); 각 제1 롤(51, 53)에 대응되도록 각 제1, 2 및 3 방향로(Ⅰ,Ⅱ,Ⅲ)의 끝단 프레임에 축결합하되, 좁은 간격을 형성하는 연동바(57) 사이에 고정되는 대응롤(58); 상기 3개의 제1 롤(51, 53)과 대응하는 각각의 대응롤(58)의 외주면을 감고 결합한 3개의 전환벨트(61); 및, 상기 기체프레임(50)의 중심부에 체결되는 제1 롤(51, 53)들의 축(52, 54)에 체결되는 별도의 스프로켓에 대응되는 별도의 체인과 스프로켓으로 연결되어, 모터(M1, M2, M3)의 동력을 받도록 하는 동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컨베이어 벨트(12)를 타고 이동하던, 모판(7)이나 상자가 방향전환유닛(K)의 일측 방향로(Ⅰ,Ⅱ,Ⅲ)로 접근한 후, 다른 방향으로 전환되어 타측 컨베이어 벨트(12)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direction switching unit that allows a base plate 7 or various boxes to be moved on a conveyor in one direction to be conveyed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90 ° and 180 °, A gas frame 50 formed in a first direction (I), a second direction (II), and a third direction (III), each extending at an angle of 90 degrees; 2 and 3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rections (I, II, III) from the central portion side of the base frame 50 so th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lls protrudes above the base frame 50, 54) a first roll (51, 53) engaged; Is fixed between the interlocking bars 57 which are axially coupled to the end frame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rections I, II, and III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rolls 51 and 53, A counter roll 58; Three change-over belts 61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respective corresponding rolls 58 corresponding to the three first rolls 51, 53; And sprockets corresponding to separate sprockets fastened to the shafts 52 and 54 of the first rolls 51 and 53 fastened to the center of the base frame 50, M2 and M3 in the direction of the direction changing unit K so that the base plate 7 or the box moving along the conveyor belt 12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one side of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K, And then to be transferred to the other conveyor belt 12 in the other direction.

참고로 본 발명의 도시된 도면에서 상기 제1, 2 방향로(Ⅰ, Ⅱ)를 형성하는 제1 롤(51)은 도면의 부호를 51로 하고, 제3 방향로(53)를 형성하는 제1 롤(53)은 도면의 부호를 53으로 하고 있다. 이는 특별한 이유는 없고 단지 도면의 설명을 보다 구별되게 하여, 방향의 구분이 명확하게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For reference, in the dra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oll 51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I and II is denoted by 51 in the drawing, and the first roll 51 forming the third direction 53 1 roll 53 is denoted by 53 in the figure. This is for no particular reason, but merely to make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more distinguishable so that the division of direction is made clear.

즉, 이 건 발명은 모판(7)이나 각종의 상자를 컨베이어 벨트(12)를 통해서 이송시킬 때, 방향을 전환하여 다른 각도로 이송을 연속하고자 할 경우에 사용된다. 이동하던 물체의 이송은 스스로의 관성이 있어서 방향을 전환하는 과정에서 무리가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방향을 전환한 후에도 이송 중인 그 속도를 유지해야 하고, 이송 과정에 투입된 모든 모판(7)이나 상자가 항상 정확하게 이송의 목적지를 향해야 하며, 간혹 이송이 어려워지는 현상이 발생되어도 컨베이어 벨트(12)의 내측에서 적체가 되지 않아야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조건을 달성하기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특히 이 건 발명과 같이 모종(6)이 심겨진 모판(7)을 이송시키고, 이를 다시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조심스럽고 정확한 작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건 발명의 방향전환유닛(K)은 이러한 모든 고려사항이 포함된 획기적인 발명이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when the base plate 7 and various boxes are to be conveyed through the conveyor belt 12 and the conveyance is to be continued at a different angle by switching the direction. The transfer of the moving object has its own inertia, so that it often happens that there is a flock in the process of switching the dire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conveying speed even after the direction is changed, and all of the bases 7 or boxes inserted in the conveying process must always face the destination of the conveyance accurately, It should not be rolled inside. But achieving these conditions is not easy. In particular, as in the present invention, careful and accurate operation must be performed in order to transfer the base plate 7 planted with the seedling 6 and to change the direction again.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reakthrough invention including all of these considerations.

그럼 이 건 발명의 방향전환유닛(K)이 작동되는 과정을 살피기 전에 이 방향전환유닛(K)의 사용방식을 설명하고자 육묘장(8)과 그에 관련된 전반적인 기술적이 사항을 설명한다.
Before explaining the process of the operation of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rsery 8 and related overall technical matters will be described to explain how to use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K.

본 발명이 포함된 육묘장(8) 육묘판(5) 이송장치의 이송방식은 간단하다. 도시된 도 2와 도 3에서처럼, 장형의 논으로 형성되는 육묘장(8)의 논두렁 좌우 양쪽에 도시된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와 제2 컨베이어 이송로(20)를 설치한다. 도시된 도 2에서는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 측에 온실(H)이 설치된 도면이 도시되어 있지만, 실질적으로 역방향 즉 제2 컨베이어 이송로(20)쪽에 온실(H)이 설치되도 무방하다. 온실(H)에서는 모종이 약 8일 정도 약 34-40℃의 온도로 길러지게 되는데, 이 후에 바로 상차의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육묘장(8)에서 길러지는 일수에 따라 그 종자(=육묘)의 가치는 높아진다. 실질적으로 농부가 이앙을 위해서 구입하는 육묘는 온실(H)의 1차 성장 후에, 차광방에서의 6일간의 2차 성장이 이루어진다. 사실상 2차 성장 이후부터 육묘는 농부에게 판매가 가능하다. 물론 차광방 이후 즉, 보다 고가이지만 더 자생력이 높은 육묘를 소망하는 농부는 이 온실(H)과 차광방에서 기른 후, 육묘장(8)에서 태양광으로 더 기른 묘종을 이앙한다. (8) Nursery plate (5) The feeding system of the feeding device is simple.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first conveyor conveying path 10 and the second conveyor conveying path 20 shown i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ice paddy of the nursery field 8 formed by the elongated rice paddies are installed. 2, a greenhouse H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first conveyor transfer path 10, but it is also possible that a greenhouse H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econd conveyor transfer path 20 in a substantially opposite direction. In the greenhouse (H), seedlings are grown at a temperature of about 34-40 ° C for about 8 days. In other words, the value of the seed (= seedling) increas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days cultivated in the nursery (8). The seedlings purchased by the farmers for the transplant actually grow after the first growth of the greenhouse (H), and the second growth of six days in the shade. In fact, seedlings can be sold to farmers since the second growth. Of course, after the shading room, a farmer who wishes for more expensive but more self-sustaining seedlings grows in this greenhouse (H) and shading room, and grows more seedlings in the nursery (8) with sunlight.

따라서 육묘장(8) 시스템은 온실(H)은 물론 상품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육묘장(8)도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이 건 발명의 육묘장(8) 이송장치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1, 2, 3 컨베이어 이송로(10, 20, 30)를 이용하게 된다.
Therefore, the nursery (8) system requires the nursery (8)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goods as well as the greenhouse (H). For this reason, the nursery conveyor 8 of this invention uses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veyor conveyors 10, 20, 30 in various manners.

만일 농부가 육묘장(8)에 이앙을 위한 모종을 주문할 때, 온실에서 키워진 육묘를 선택하게 되면, 이 건 발명을 포함하는 이송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을 한다. 구동모터(M)가 회전하게 되면, 구동모터(M)는 연결로(80)를 작동시키게 된다. 연결로(80)는 도시된 도 2에서처럼, 온실(H)에서 외부로 뻗쳐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로 연결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온실(H)에서 연결로(80)의 상부로 모판(7)을 안착시키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작업은 컨베이어 벨트(12)를 타고 연결로(80) 외부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로 이동을 한다. 도시된 도면에서 중요 요부인 A부분은 수직으로 컨베이어 벨트(12)가 연결된 부분이다. 이 부분에서는 직각 방향으로 운동이 전환되기에 상당히 주의를 요한다. 단지 이렇게 방향전환이 이루어지고,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의 끝단에 차량(=화물차; 9)이 정차하고 있다면, 이 부분을 향하여 모판(7)은 이동한다. 그리고 간단한 작업을 통해서 상차를 완성하게 된다. If a farmer chooses a seedling raised in a greenhouse when ordering seedlings for transplantation in the nursery (8), the transfer device containing the invention operates as follows. When the driving motor M is rotated, the driving motor M drives the connecting path 80. The connecting path 80 extends outward from the greenhouse H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veyor conveying path 10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operator performs an operation of placing the plate 7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ath 80 from the greenhouse H. This operation is carried out on the conveyor belt 12 to the outside of the connecting path 80 and moves to the first conveyor conveying path 10. In the drawing, part A, which is the important part, is the part to which the conveyor belt 12 is vertically connected. In this part, it is necessary to pay considerable attention to the movement in the perpendicular direction. Only when the direction is changed and the vehicle (= cargo truck) 9 stops at the end of the first conveyor conveyance route 10, the bed plate 7 moves toward this portion. Then, through the simple work, the car is completed.

이에 반하여 온실에서 일정한 기간동안 육묘가 이루어지고 나서, 이를 태양광에 노출한 상태로 더 육묘를 실시하고자 한다면, 온실의 내측에 안착된 다수의 육묘판(5)은 연결로(80)에서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를 타고 이동한다. 이후 제3 컨베이어 이송로(30) 즉, 트랜스 구조체(T)의 내측에 장착된 제3 컨베이어 이송로(30)를 타고 이동을 한다. 작업자는 육묘장(8)의 내부에서 자신의 위치로 이동하여 온 육묘판(5)을 육묘장(8)의 내측에 내려놓는다. 이후 일정한 기간동안 육묘되고 나면, 태양광에서 육묘된 모종(6)을 구매한 농부에게 이송하게 된다. 이때에도 이 건 발명은 방향만 전환시켜 모판(7)을 이송시킨다. On the other hand, if the seedlings are to be plan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the greenhouse, and then the seedlings are exposed to the sunlight, a plurality of seedlings (5) And travels on the conveyor conveying path (10). The third conveyor conveying path 30, which is mounted on the inner side of the transformer structure T, is moved. The worker moves from the inside of the nursery school 8 to his position and places the nursery plate 5 on the inside of the nursery school 8. Then, after being cultiva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seedlings (6) cultivated in the sunlight are transferred to the farmer who has purchased them. Even in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transfers the base plate 7 only by changing the direction.

즉, 작업자는 트랜스 구조체(T)를 가장 빨리 판매를 해야만 하는 위치로 이송시킨다. 도시된 도면에서 x축 좌표와 y축 좌표로 방향을 표시하고 있는데, x축 좌표의 이동을 진행한다. X1 방향에서 X2 방향으로 이동하여 정확한 위치를 잡으면, 작업자는 육묘장(8) 내측에 육묘하고 있던 모판(7)을 잡고, 자신의 위치에서 상부의 제3 컨베이어 이송로(30)에 안착시킨다. 트랜스 구조체(T) 내측에 깔린 제3 컨베이어 이송로(30)에 안착시키는 것이다. 이 작업이 완성되면, 제3 컨베이어 이송로(30)는 차량(9)이 정차된 위치 즉,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나 제2 컨베이어 이송로(20)의 끝단으로 이송시키기 위해서 양측단 선택된 곳으로 이동이 이루어진다. 제3 컨베이어 이송로(30)의 양단에는 도시된 방향전환유닛(K)이 형성된 상태이기에 이 유닛을 타면 제3 컨베이어 이송로(30)에서 제1, 2 컨베이어 이송로(10, 20)의 전달이 유연하다. 이러한 전달이 이루어지면, 차량(9)으로의 육묘판(5) 전송이 용이하다. That is, the operator transfers the trans structure T to the position where the fastest sales should be made. In the drawing, the direction is indicated by the x-axis coordinate and the y-axis coordinate, and the movement of the x-axis coordinate proceeds. When the operator moves in the X1 direction and the X2 direction and takes an accurate position, the worker grasps the base plate 7 which has been nurtured inside the nursery 8 and places it on the third conveyor conveying path 30 at the upper position. To the third conveyor conveying path (30) placed inside the trans structure (T). When this operation is completed, the third conveyor conveying path 30 is moved to a position where the vehicle 9 is stopped, that is, to the end of the first conveyor conveying path 10 or the second conveyor conveying path 20, Move to the selected location. The direction changing unit K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third conveyor conveying path 30 so that the conveying of the first and second conveyor conveying paths 10 and 20 is performed in the third conveyor conveying path 30, This is flexible. When this transfer is made, transfer of the seedlings plate 5 to the vehicle 9 is easy.

그럼 이러한 본 발명의 보다 정확한 구성과 그 작동의 설명을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12)를 통해서 육묘판(5)을 이송시키기 위한 제1, 2, 3 컨베이어 이송로(10, 20, 30)와 연결로(80)는 사실상 거의 동일한 구성요소들의 조합이다. 즉, 좌우 양단에 길게 연장되어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한 라인 형상으로 설치되는 레일프레임(15)이 있고, 상기 레일프레임(15) 내측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 설치되는 벨트롤(11)이 있다. 또한 상기 벨트롤(11)의 외주면을 돌아 레일프레임(15)과 같은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벨트롤(11)을 감싸고 도는 다수의 컨베이어 벨트(12)가 있고, 레일프레임(15)의 길이에 따라 일정한 조합을 통해서 컨베이어 벨트(12)가 회동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구동모터(M), 체인 및 스프로켓(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M)가 일측의 벨트롤(11)을 회전시키면, 일측의 벨트롤(11)은 회전하며, 외주면에 감긴 컨베이어 벨트(12)를 연동하여 상단에 안착되는 육묘판(5)을 소망하는 장소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veyor conveying paths 10, 20, 30 and the connecting path 80 for conveying the seedling plate 5 through the conveyor belt 12 are substantially the same combination of components to be. That is, there are a rail frame 15 which is extended in both left and right ends and which is installed in a parallel line shape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rail frame 15, a plurality of belt rolls 11 ). There are also a number of conveyor belts 12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belt roll 11 and surrounding a plurality of belt rolls 11 in the same longitudinal direction as the rail frame 15, And a plurality of drive motors M, chains and sprockets (not shown) installed to rotate the conveyor belt 12 through a certain combination. Therefore, when the driving motor M rotates the belt roll 11 on one side, the belt roll 11 on one side rotates and the incubation plate 5, which is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conveyor belt 12 interlocked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a desired place.

또한 상기 육묘판(5)을 육묘장(8)에 태양광을 이용한 성장과정을 거치기 위해서는 트랜스 구조체(T)의 이동이 중요하다. 즉, 이 건 발명의 작동을 돕고, 이 건 발명의 방향전환유닛이 장착되는 트랜스 구조체는 그 나름의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도시된 도 3 내지 6에 도시된 것처럼, 내측에 제3 컨베이어 이송로(30)가 안착되는 트랜스 구조체(T)는, 다수의 수직프레임(22)과 수평프레임(21)으로 연결되어 제1, 2 컨베이어 이송로(10, 20)를 연결하는 다리로 설치하되, 좌우 양단의 하단 다리프레임(25)에 일체화된 대차(26) 이송롤(38)이 레일(19)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하여; 동력발생부(KT)가 회동모터(31)를 작동시키면, 이송롤(38)이 회전하여 레일(19)을 타고 트랜스 구조체(T)가 육묘장 내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movement of the transformer structure T is important for the seedlings 5 to undergo a growth process using sunlight in the nursery 8. That is, the trans structure, which assists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n which the orientation chang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its own. As shown in Figs. 3 to 6, the trans-structure T on which the third conveyor conveying path 30 is seated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22 and the horizontal frame 21, The conveyor rolls 38 integrated with the lower leg frames 25 at both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conveyor rollers 10 and 20 are seated on the rails 19; When the power generating unit KT operates the rotating motor 31, the feed roll 38 rotates to ride on the rail 19 so that the trans structure T can move in the nurser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전술한 것처럼, 트랜스 구조체(T)는 육묘장(8) 좌우 양단을 연결시키는 다리의 역할을 하는데, 트랜스 구조체(T)의 좌우 양단은 후술될 별도의 방향전환유닛(K)이 장착된 상태로 도시된 도 2에서 보이는 X축 이동을 달성할 수 있다. 육묘장(8) 내측을 모두 다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수의 수평프레임(21)과 수직프레임(22)이 트랜스 구조로 용접 체결되는 구조물인 이것은, 내측에 제3 컨베이어 이송로(30)를 장착할 수 있는 레일프레임(15)을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trans structure T serves as a leg connecting the right and left ends of the nursery 8, and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transformer structure 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eparate direction switching unit K, The X axis movement shown in Fig. 2 can be achieved. So that the inside of the nursery (8) can be fully utilized. This i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21 and vertical frames 22 are welded to a transformer structure. This has a rail frame 15 on which a third conveyor conveying path 30 can be mounted.

즉, 이 건 발명의 트랜스 구조체(T)는 제3 컨베이어 이송로(30)를 장착한 상태에서 X축 이동을 할 수 있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구성은 트랜스 구조체(T)의 좌우 양단에는 형성한 다리프레임(25)과 대차(26) 때문이다. 다리프레임(25)은 트랜스 구조체(T)의 좌우 양단에서 하단으로 내려서는 실질적인 수직프레임(22)이다. 이 다리프레임(25)의 하단에는 도시된 대차(26)가 형성되는데, 이 대차(26)는 도시된 이송롤(38)이 체결된 상태로 레일(19)의 상단에 안착된다. That is, the trans structure 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ve in the X-axis while the third conveyor conveying path 30 is mounted. This is because of the leg frame 25 and the carriage 26 formed at the right and left ends of the trans structure T. The leg frame 25 is a substantially vertical frame 22 descending from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trans structure T to the lower ends thereof. At the lower end of the leg frame 25 is formed a bogie 26 which is seated on the top of the rail 19 with the illustrated bogie roll 38 fastened.

레일(19)은 제1, 2, 3 컨베이어 이송로(10, 20, 30)의 수준과 다르다. 도시된 도 4에서처럼, 제1, 2 컨베이어 이송로(10, 20)는 평지(t)의 수준을 유지하고 있거나 다소 높은 논 두덩의 상단에 장착된다. 이에 반하여 레일(19)은 육묘장(8) 즉, 논바닥면 지면(7-1)에 장착된다. 레일(19)은 기차의 레일(19)과 동일 내지 유사한 구조로서, 트랜스 구조체(T)가 이 레일(19)을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레일(19)의 상부에는 상기 대차(26)에 형성된 이송롤(38)이 안착되어 이송롤(38)이 회전하면 레일(19)을 타고 트랜스 구조체(T)가 이동한 방식이다. 참고로 이 건 발명을 포함하는 이송장치에 관한 상세한 사항은 동일자, 동일인의 발명으로 출원되는 "모판에 육묘를 위한 모판 자동 이송장치"를 살펴보면 된다. The rails 19 are different from the level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veyor conveyors 10, 20 and 30. As shown in Fig. 4, the first and second conveyor conveying paths 10 and 20 are mounted at the tops of the paddles maintaining the level of the flatness t or somewhat higher. On the other hand, the rail 19 is mounted on the nursery field 8, that is, on the ground surface 7-1 of the rice field. The rail 19 is of the same or similar construction as the rail 19 of the train and guides the trans-structure T so that it can move along this rail 19. [ A transfer roll 38 formed on the carriage 26 is seated on the rail 19 and the transfer structure T is moved on the rail 19 when the transfer roll 38 is rotated. For reference, details of the transfer apparatus includ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und in the "automatic transfer apparatus for seedlings for seedlings on the base plate", which is filed by the same inventor and the same inventor.

그렇다면 이 건 발명에서 이송장치의 일부로 포함되어 가장 중요한 작동을 하는 방향전환유닛(K)의 작동형태를 살펴본다. 이 건 발명의 방향전환유닛(K)은 도시된 도 2의 원형으로 블럭친 B부분에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트랜스 구조체(T)의 좌, 우 양단에 각각 설치된다. 도시된 도 2 내지 도 8에서 처럼, 상기 트랜스 구조체(T)에는, 그 좌우 양단 즉, 제1, 2 컨베이어 이송로(10, 20)의 상부로 안착되어 제3 컨베이어 이송로 도입부 상단에 미치는 범위까지(=B지점)에 모판(7) 운동 변환을 위한 방향전환유닛(K)을 설치하고; 상기 방향전환유닛(K)는, 실질적으로 트랜스 구조체(T)와 일체화되며; "T"자 코스의 이동로를 가져, 방향전환유닛(K)을 타고 이동하는 모판(7)은 3 방향의 운동전환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operation mode of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K, which is included as part of the conveying device and performs the most important operation, will be described. The redirection unit 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rounded block B portion shown in Fig. More precisely,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rans structure T, respectively. As shown in FIGS. 2 to 8, the transformer structure T has a transverse structure T which is seated on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transverse structure T, that is,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nveyor conveying passages 10 and 20, A direction switching unit K for converting the motion of the base plate 7 to a position (= B point)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K) is substantially integrated with the transformer structure (T); The base plate 7, which has the movement path of the "T" course and moves on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K, is capable of switching motion in three directions freely.

이 건 발명에서 방향전환유닛(K)이 필수적으로 필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상기 트랜스 구조체(T)는 도시된 도 2의 X방향으로 연동해야만 하고, 이 트랜스 구조체(T)에 장착된 제3 컨베이어 이송로(30)와 제1, 2 컨베이어 이송로(10, 20)는 항상 소통이 가능해야 한다. 실례로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를 타고 이동하던 육묘판(5)은 트랜스 구조체(T)의 일측단 방향전환유닛(K)에 올라서고 나서는 제3 컨베이어 이송로(30)로 진입하거나 방향전환유닛(K)의 기체프레임(50)을 넘어서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를 다시 올라타 진행되야만 하는 경우도 발생된다. 트랜스 구조체(T)는 상기 제1, 2 컨베이어 이송로(10, 20)를 연결시키는 다리의 역할을 하기에 실질적으로 수준이 높다. 이러한 어려운 방향의 전환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육묘판(5)이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를 타고 방향전환유닛(K)의 일측{도 9에서는 제2 방향로(Ⅱ)}으로 진입을 한다(도 9a에 도시). 이때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까지 테이퍼지게 하향하는 제2 방향로(Ⅱ)의 전환벨트(61)가 이 육묘판(5)을 받는다. The reason why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K is essential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2, the third conveyor conveying path 30 and the first and second conveyor conveying paths 10, 20, which are mounted on the trans-structure T, Always be able to communicate. For example, the ornamental plate 5, which has been moved on the first conveyor conveying path 10, is moved to the third conveyor conveying path 30 after climbing on one side direction switching unit K of the transformer structure T, There is a case in which the first conveyor conveying path 10 must be moved up again beyond the base frame 50 of the unit K. [ The trans structure T has a substantially high level because it serves as a bridge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conveyor conveying paths 10 and 20. In order to achieve such a difficult directional change, as shown in Fig. 9, the ornamental plate 5 rides on the first conveyor conveying route 10 to one side of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K (in Fig. 9, II)} (see Fig. 9A). At this time, the changeover belt 61 in the second direction II, which is tapered downward to the first conveyor conveying path 10, receives the ornamental plate 5.

이 건 발명에서 3개로 구비된 상기 제1, 2, 3 방향로(Ⅰ,Ⅱ,Ⅲ)의 전환벨트(61)는 도시된 것처럼, 방향전환유닛(K)의 기체프레임(50) 중앙 각각의 제1 롤(51, 53)을 감싸면서 타측으로는 각각의 제1, 2, 3 방향로(Ⅰ,Ⅱ,Ⅲ) 대응롤(58)을 돌아, 연속적으로 각각의 밀착롤(59)과 연결롤(60)의 외주면을 돌아 결합된다. 따라서 각각의 제1, 2, 3 방향로(Ⅰ,Ⅱ,Ⅲ)는 별도의 동력이 되는 각각의 모터(M1, M2, M3)를 통해서 상기 제1 롤(51, 53)이나 대응롤(58), 연결롤(60), 밀착롤(59) 중 어느 하나만 회전하게 되면, 전환벨트(61)는 회전하여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에서 육묘판(5)을 전달받아, 기체프레임(50)의 중심부로 상승시킨다. The switching belts 61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rections I, II, and III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arranged in the center of the base frame 50 of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K, The rolls 58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rections are rotated around the first rolls 51 and 53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respective rolls 59 Rolls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ll 60. Accordingly, the first rolls 51 and 53 and the corresponding rolls 58 and 53 are driven through the respective motors M1, M2 and M3, which are separate motors,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rections I, The switching belt 61 is rotated to receive the seedling plate 5 from the first conveyor conveying path 10 and the gasket frame 50 As shown in Fig.

도시된 도 9에는 방향 전환의 가이드를 위해서 별도로 체결되는 가이드판(63)이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가이드판(63)은 부드럽게 라운드진 형태이기에 진입된 육묘판(5)의 모서리를 가이드하여 타방향으로 인도한다. 이러한 가이드에 도움이 되도록 이 건 발명의 방향전환유닛(K)은 도시된 것처럼, 별도의 모터(M1, M2, M3)가 상기 제1 롤(51, 53)의 축에 동력을 전달한다. 따라서 도 9에서는 제3 방향로(Ⅲ)를 타고 나가게 된다(도 9c에 도시). 이는 곧 제3 방향로(Ⅲ)의 끝단부분으로 진입하여 제3 컨베이어 이송로(30)를 탈 수 있도록 한다. 9 shows a guide plate 63 which is separately fastened for guiding the direction change. The guide plate 63 is formed in a smoothly rounded shape, and guides the edge of the introduced seedlings plate 5 And to the other direction. To assist in this guide,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K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fers power to the shafts of the first rolls 51 and 53 by separate motors M1, M2 and M3 as shown. Therefore, in Fig. 9, the user exits in the third direction (III) (as shown in Fig. 9C). This allows the third conveyor conveying path 30 to enter the end portion in the third direction III.

이때, 도시된 제1 방향로(Ⅰ)를 형성하는 상기 제1 롤(51)과 대응롤(58), 연결롤(60), 밀착롤(59)이 있는데 이들은 모두 그 동력원인 모터(M1)에 전력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전력낭비를 막으며, 이송을 중지시킨다.
At this time, there are the first roll 51 and the corresponding roll 58, the connecting roll 60 and the contact roll 59 forming the first direction I shown in the figure, Thereby preventing power waste and stopping the transfer operation.

한편 이러한 작동의 방식은 "T"자 형의 방향전환유닛(K)에서, 제1 방향로(Ⅰ)를 타고 진입하던 육묘판(5)을 제2 방향로(Ⅱ)를 타고 나가도록 유도할 수도 있으며, 시작점을 제3 방향로(Ⅲ)를 타고 진입하도록 하고, 제1, 2 방향로(Ⅰ, Ⅱ)로 나갈 수 있도록 방향전환이 용이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is type of operation, in the direction changing unit K of the "T" shape, the seedlings 5 entering in the first direction I are guided to go out in the second direction II And it is easy to change the direction so that the starting point can be entered in the third direction (III) and exit in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I, II).

그럼 이 건 발명의 방향전환유닛의 보다 상세한 구성과 그 작동의 설명을 한다.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이 건 발명은 상기 각각의 제1, 2 및 3 방향로(Ⅰ,Ⅱ,Ⅲ)의 끝단 프레임에 좁은 폭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체결되는 연동바(57)의 사이에 기체프레임(50)과 축(56) 결합되는 대응롤(58)에는, 그 축(56)에서 연장되어, 연동바(57)의 외측으로 수평하게 체결되는 별도의 대응롤(58)을 갖추고; 상기 대응롤(58)의 하단으로 일정 간격을 벌려, 연동바(57) 중단에 축에 체결되는 밀착롤(59)을 연동바(57) 사이와 좌우 외측에 각각 체결하며; 연동바(57)의 끝단, 연동바(57) 사이만 별도의 연결롤(60)을 형성한 후, 상기 전환벨트(61)를 제1 롤(51, 53)의 외주면에서 연결롤(60)의 외주면까지 연장하여; 간격이 좁은 연결롤(60)을 가진 연동바(57)가 이송을 위한 제1, 2 및 3 컨베이어 이송로(10, 20, 30)에 형성된 컨베이어 벨트(12) 사이에 끼워져, 방향전환유닛(K)의 기체프레임(50)에서 컨베이어 이송로(10, 20, 30)로 내려가는 이동이나, 컨베이어 이송로(10, 20, 30)에서 방향전환유닛(K)의 기체프레임(50) 내측으로 올라오는 이송에 무리가 없도록 한다. 참고로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이 건 발명의 모든 도시된 도면에서 상기 제1, 2 방향로(Ⅰ, Ⅱ)를 형성하는 제1 롤(51)은 도면의 부호를 51로 하고, 제3 방향로(53)를 형성하는 제1 롤(53)은 도면의 부호를 53으로 하고 있다. 이는 특별한 이유는 없고 단지 도면의 설명을 보다 구별되게 하여, 방향의 구분이 명확하게 되도록 하기 위함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한다.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redirec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As shown in the drawing,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locking bar 57 is interposed between the end frame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rections (I, II, III) And a corresponding roll 58 extending from the shaft 56 and horizontally fastened to the outer side of the interlocking bar 57 is provided at the corresponding roll 58 coupled to the shaft 50 and the shaft 56, Tightening rolls 59 are fixed to the lower ends of the corresponding rolls 58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as to be fastened between the interlocking bars 57 an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A separate connecting roll 60 is formed only between the end of the interlocking bar 57 and the interlocking bar 57 and then the switching belt 61 is wound around the connecting roll 60 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rolls 51,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An interlocking bar 57 having a narrow connecting roll 60 is sandwiched between the conveyor belts 12 formed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veyor conveying paths 10, 20 and 30 for conveying, 20 or 30 from the base frame 50 of the direction changing unit K to the conveyor conveying path 10 or 20 or 30 or from the conveyor conveying path 10 to the inside of the base frame 50 of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K Make sure that there is no problem with the transportation. For referenc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roll 51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I and II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reference numeral 51 in the drawing, and the first roll 51 in the third direction 53 are denoted by reference numerals 53 in the drawing. This confirms that there is no particular reason but that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s made more distinct so that the division of directions is made clear.

이 건 발명의 구조적인 회동의 방식은 독립된 3개의 제1 롤(51, 53)이 각각 회전을 하고, 이 회전은 각각의 전환벨트(61)를 회전시키며, 이 전환벨트(61)에 외주면을 감긴 다른 롤도 회전시켜 사실상 하나의 동력을 통해서 다수의 롤을 회전시키도록 했다. 여기서 주의할 사항이 상기 대응롤(58)의 하단부분에 연속적으로 체결되는 밀착롤(59)과 연결롤(60)이다. 대응롤(58)의 경우 전환벨트(61)가 감기는 중심부분의 대응롤(58)이 있고, 그 축이 연장되어 좌우 쌍으로 체결되는 대응롤(58)이 있다. 중심부에 형성되는 대응롤(58)의 경우 전환벨트(61)를 통해서 동력이 전달되기에 육묘판(5)이나 상자가 그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방향을 이동하는 동력을 제공하지만 좌우 양단의 대응롤(58)은 사실상 회전시키는 동력이 없다. 이는 육묘판(5)과 상자가 가지런하게 이동될 수 있는 가이드롤의 역할을 한다. 동력을 제공하는 중심부 대응롤(58)이 상자나 육묘판(5)을 끌어 당길 때, 그 방향이나 틀어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동일한 회전을 유지하도록 하며, 안정적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역할을 한다.
In the structural pivo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ee independent first rolls 51 and 53 rotate respectively, and this rotation rotates the respective change-over belts 61, The other rolled rolls were also rotated to actually rotate a number of rolls through a single power. It should be noted here that the contact rolls 59 and the connecting rolls 60 are continuously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corresponding rolls 58. In the case of the counter roll 58, there is a corresponding roll 58 of the center portion around which the change-over belt 61 rolls, and a corresponding roll 58 whose axes extend to engage in a left-right pair. In the case of the corresponding roll 58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the power is transmitted through the changeover belt 61 to provide the power to move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edlings 5 and the box are seated on the upper portion thereof, The roll 58 has virtually no turning power. This serves as a guide roll that the box 6 can be evenly moved. When the center supporting roll 58 providing the power is pulled out of the box or the seedling plate 5, the same rotation is maintained in order to prevent the direction or the turning of the box, and serves as a guide for stable movement.

실질적으로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중심부의 대응롤(58)의 좌우 양단에 도시된 연동바(57)를 형성한다. 이 연동바(57)에 대응롤(58)의 축(=샤프트; 56)이 끼워지는데, 상기 중심부, 좌우 양단의 대응롤(58)은 상기 축을 같이 한다. 결국 같은 수준에서 같은 속도로 회전을 하는 것이다.
In order to achieve this substanti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rlocking bar 57 is formed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corresponding roll 58 of the central portion. The shaft (= shaft) 56 of the corresponding roll 58 is fitted to the interlocking bar 57. The corresponding roll 58 at the center and both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corresponding roll 58 has the same axis. Eventually, they will rotate at the same speed at the same speed.

이러한 대응롤(58) 상기 연동바(57)에 체결된 다른 밀착롤(59)과 연결롤(60)과도 동일한 지름이다. 연동바(57)의 상단에 상기 대응롤(58)이 체결된다면, 밀착롤(59)은 그 중단에 체결된다. 사실상 연동바(57)에 모두 체결되지만 수준이 다르다. 이들의 작동 방식을 세밀히 살펴보면, 연동바(57)의 경우, 그 축 즉, 최상단의 대응롤(58)에 끼워진 축(56)은 실질적으로 힌지의 역할을 한다. 그 힌지를 축으로 연동바(57)는 회전이 가능하다. 만일 작업자가 도시된 도 9에서처럼, 육묘판(5)을 제2 방향로(Ⅱ)에서 제3 방향로(Ⅲ)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사실상 제1 방향로(Ⅰ)의 작동은 중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가동되는 방향로는 제2, 3 방향로(Ⅱ, Ⅲ)이다. 제2, 3 방향로(Ⅱ, Ⅲ)에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M2, M3)는 전원이 켜지고, 제1 방향로(Ⅰ)의 동력인 모터(M1)는 전류가 차단된다. The corresponding roll 58 has the same diameter as the other adjacent roll 59 and the connecting roll 60 fastened to the link bar 57. If the corresponding roll 58 is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interlocking bar 57, the tightening roll 59 is fastened to its stop. It is actually concluded in the interlocking bar 57, but the level is different. In detail, in the case of the interlocking bar 57, the shaft 56, which is sandwiched by the corresponding roll 58 at its uppermost end, acts substantially as a hinge. And the interlocking bar 57 is rotatable about the hinge. 9, when the operator intends to move the seedlings 5 from the second direction II to the third direction III, the operation in the first direction I is substantially stopped . Therefore, the direction of operation is (II, III) in the second and third directions. The motors M2 and M3 which provide power in the second and third directions II and III are turned on and the motor M1 which is the power of the first direction I is cut off.

또 다른 방식의 동력의 제어 방식은 도시된 도 10에서처럼, 연동바(57)를 상승시켜 컨베이어 벨트(12)의 상부로 들어올리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즉, 작업의 과정에서 혹시 모터(M1, M2, M3)의 회전을 중지시키는 작업시간에 비하여 보다 빠르게 방향을 전환이 필요한 경우에는, 필요한 연동바(57)를 하향시켜 컨베이어 벨트(12)의 하부로 깊숙히 집어 넣고, 필요없는 방향로의 연동바(57)는 상승시켜 육묘판(5)의 이동을 차단하는 것이다.
It is further preferable that the power control method of another type is such that the interlocking bar 57 is lifted up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veyor belt 12 as shown in Fig. That is, when it is necessary to switch the direction more quickly than the operation time for stopping the rotation of the motors M1, M2 and M3 in the course of the operation, the necessary interlocking bar 57 is lowered, And the interlocking bar 57 in an unnecessary direction is raised so as to block the movement of the ornamental plate 5.

보다 상세히 이 건 발명의 작동의 방식을 설명한다. 도시된 도 5에는 이 건 발명의 방향전환유닛(K)이 트랜스 구조체(T)의 좌우 양단에 설치되는데, 그 중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에 설치된 유닛을 도시한 것이다. 제1, 2 방향로(Ⅰ, Ⅱ)의 경우 점선으로 블럭친 상태로 도시한 이유는 이 건 발명의 방향전환유닛(K)은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에 결합된 형태가 아니고, 트랜스 구조체(T)에 체결된 상태이기에 이를 표현하기 위해서 블럭 처리를 했다. 물론 이러한 점을 설시하고, 다음의 도면인 도 7에서는 타 방향 즉, 제1 방향로(Ⅰ)를 바라보며 도시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도면은 제3 방향로(Ⅲ)과 제1 방향로(Ⅰ) 간의 육묘판(5)이나 상자의 이송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이 건 발명의 도시된 도 8에서는 상기 방향전환유닛(K)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 도면에서처럼, 이 건 발명의 방향전환유닛(K)은 그 보디가 "T"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기에 3 방향으로 방향전환이 가능하다. 도시된 도 8에서는 제1, 3 방향로(Ⅰ, Ⅲ)간의 이송형태를 도시하였고, 도 9는 제2, 3 방향로(Ⅱ, Ⅲ)간의 이송형태를 도시하였다. 이처럼 이 건 발명은 다양한 방향으로의 이동 전환이 유리하다. The manner of operation of this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5,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the right and left ends of the transformer structure T, of which units installed on the first conveyor conveying path 10 are shown. In the case of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I, II),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 a form coupled to the first conveyor conveying path 10, Since it is fastened to the structure (T), a block process is performed to express this. Of course, this point will be described, and in the next figure, FIG. 7, the figure is shown in the other direction, i.e., in the first direction (I) (I) between the seedling plate 5 and the box. 8 shows a plan view of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K. As shown in this drawing,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K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ody formed in a "T" shape The direction can be switched in three directions. FIG. 8 shows a transfer mode between the first and third directions I and III, and FIG. 9 shows a transfer mode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directions II and III.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movement is changed in various directions.

만일 작업자가 도 9에서처럼, 제2 방향로(Ⅱ)로 육묘판(5)을 진입시키고, 제3 방향로(Ⅲ)의 방향으로 육묘판(5)을 배출시키고자 한다면, 작업자는 제3 방향로(Ⅲ)와 제2 방향로(Ⅱ)에 설치된 연동바(57)를 하향시켜 연동바(57) 끝단의 연결롤(60)이 컨베이어 벨트(12)의 하단으로 깔리도록 설치한다. 도시된 도 8의 연결롤(60)은 도시된 도면에서 컨베이어 벨트(12)의 하단으로 깊숙히 삽입되지 않은 형태로 도시하였지만, 사용시에는 도 10에서처럼, 컨베이어 벨트(12)의 하단으로 밀려 들어가 연동바(57)가 사선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If the operator intends to enter the seedling plate 5 in the second direction II as shown in Fig. 9 and to discharge the seedling plate 5 in the third direction III as shown in Fig. 9, The connecting rolls 60 at the ends of the interlocking bars 57 are installed so as to be laid on the lower end of the conveyor belt 12 by lowering the interlocking bars 57 provided in the second and third directions II and III. 8 is not inserted deeply into the lower end of the conveyor belt 12, but in use, it is pushed by the lower end of the conveyor belt 12, as shown in FIG. 10, (57) to maintain the oblique angle.

다시 돌아와 도 9의 이송 과정을 설명한다. 만일 제3 컨베이어 이송로(30)의 컨베이어 벨트(12)를 타고 이동하던 육묘판(5)은 방향전환유닛(K)의 제2 방향로(Ⅱ) 연결롤(60) 상부로 진입한다. 그리고 테이퍼지게 올라서는 전환벨트(61)를 타고 사선의 각도로 올라오며, 연동바(57)의 중단 밀착롤(59)을 타고 최상단인 대응롤(58)까지 올라와 수평의 상태를 유지한다. 즉, 테이퍼지게 방향전환유닛(K)의 기체프레임(50) 상부로 올라와서 평평한 기체프레임(50)의 상단에 위치하는 것이다. 물론 도시된 도 9에서처럼, 이 건 발명에서는 그 기체프레임(50)의 상면에 3개의 방향로(Ⅰ,Ⅱ,Ⅲ)를 결정하는 제1 롤(51, 53)이 설치되어 있는데, 전술한 것처럼 제1 방향로(Ⅰ)의 제1 롤(51)은 그 작동이 중지된 상태이다. 회전이 없어 밀려 올라오는 육묘판(5)의 하단에 아무런 힘의 작용을 주지 못한다. 이에 반하여 상기 제2 방향로(Ⅱ)의 제1 롤(51)은 지금까지의 힘을 계속해서 부여하며 육묘판(5)을 밀어올리고 있고, 측방에 설치된 제3 방향로(Ⅲ)의 제1 롤(53)은 타측의 제3 컨베이어 이송로(10)를 향하여 제1 롤(53), 대응롤(58), 밀착롤(59) 및 연결롤(60)이 회전하고 있다. 육묘판(5)의 운동에 방향전환을 위한 편심된 힘이 작용되는 것이다. 또한 이 건 발명은 이러한 육묘판(5)의 방향전환을 돕기 위해서 도시된 가이드판(63)을 더 설치하고 있다. 착탈가능한 형태로 작업자가 소망하는 방향간의 연결이 가능하다. 만일 도 8처럼 제1, 3 방향로(Ⅰ, Ⅲ)의 소통을 유지하던 방향전환유닛(K)을 도 9처럼 제2, 3 방향로(Ⅱ, Ⅲ)의 소통으로 변환하고자 한다면, 작업자는 제1 방향로(Ⅰ)를 작동시키는 모터(M)의 가동을 중지시키고, 제1 방향로(Ⅰ)의 연동바(57)를 상승시켜 컨베이어 벨트(12)와의 연계를 차단한다. 다음으로 제2 방향로(Ⅱ)의 제1 롤(51)을 회전시키는 모터(M)를 가동시키면서, 제2 방향로(Ⅱ)의 연동바(57)을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 하단으로 회동하여 밀어 넣는다. 연결롤(60)이 컨베이어 벨트(12)의 하단으로 깊숙히 내려갈 수 있도록 한 후, 도 8의 가이드판(63)을 해체하고 도 9의 형태처럼 가이드판(63)의 방향을 바꾸어 설치한다. 아주 간단한 작업만으로 방향로의 전환이 가능하다. Returning again, the transfer process of FIG. 9 will be described. The seedling platter 5 which has traveled on the conveyor belt 12 of the third conveyor transport path 30 enters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ng roll 60 in the second direction II of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K. The tie-up rollers 61 are lifted up at an oblique angle and are lifted up to the corresponding rolls 58 at the uppermost end by the stopper rollers 59 of the interlocking bars 57 to maintain the horizontal state. That is, the tapered direction changing unit K is located above the base frame 50 of the tapering direction switching unit K and is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flat base frame 50. 9, the first rolls 51 and 53 for determining the three directions I, II, and III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50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roll 51 in the first direction I is in a stopped state. It does not give any force to the bottom of the seedling plate 5 which is pushed up without rotation. On the other hand, the first roll 51 in the second direction II continues to apply the force until now and pushes up the ornament plate 5, and the first roll 51 in the second direction The roll 53 is rotated by the first roll 53, the corresponding roll 58, the close-contact roll 59 and the connecting roll 60 toward the third conveyor transfer path 10 on the other side. The eccentric force for changing direction is applied to the movement of the ornamental plate 5.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guide plate 63 shown in order to facilitate the direction change of the ornamental plate 5.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operator in a desired direction in a detachable form. If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K maintaining the communication in the first and third directions I and III as shown in FIG. 8 is to be converted into communication in the second and third directions (II, III) as shown in FIG. 9, The operation of the motor M for actuating the first direction I is stopped and the interlocking bar 57 is elevated in the first direction I to interrupt the connection with the conveyor belt 12. [ Next, the motor M for rotating the first roll 51 in the second direction II is operated while the interlocking bar 57 in the second direction II is mov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veyor conveying path 10, To push it in. After the connecting roll 60 is allowed to descend downwardly to the lower end of the conveyor belt 12, the guide plate 63 of FIG. 8 is disassembled and the direction of the guide plate 63 is changed as shown in FIG. It is possible to switch directions with very simple operation.

전술된 가이드판(63)은 방향전환유닛(K)의 기체프레임(50) 상부에, 전환벨트(61)를 타고 이동하는 모판(7)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하는 부드럽게 라운드진 가이드판(63)을 착탈가능하게 체결하여, 방향전환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더 확실한 육묘판(5)의 가이드를 위해서 상기 방향로에서 각각의 제1, 3 컨베이어 이송로(10, 30)로 나아가는 부위에 좌우 양쪽에서 육묘판(5)을 가이드하는 탄성을 가진 가이드측판(미도시)을 더 형성하여 보다 안전한 육묘판(5) 이송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guide plate 63 described above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50 of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K so as to guide a moving direction of the base plate 7, The first and third conveyor conveying paths 10, 30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s in the figure) for guiding the more reliable seedling plate 5, (Not shown) having elasticity for guiding the seedlings plate 5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can be further provided to carry out the safer seedling plate 5 feeding operation.

다음으로 이 건 발명은 상기 각각의 제1, 2 및 3 방향로(Ⅰ,Ⅱ,Ⅲ)의 연장된 끝단을 형성하는 연동바(57)는 수동으로 그 축(56)을 힌지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방향로는 상부로 접어 회동을 중지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각각의 전환벨트(61)의 내측이나 외측에는, 전환벨트(61)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력조절롤(70)을 형성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다.Nex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locking bar 57, which forms the extended ends of ea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rections I, II, III, can manually rotate the shaft 56 with a hinge A tension adjusting roll 70 is provided on the inside or outside of each of the change-over belts 61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change-over belt 61,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도 10에는 이 건 발명의 방향전환유닛(K)의 측면을 도시한 것으로, 각각의 방향로를 형성하는 전환벨트(61)의 조합구성 즉, 제1 롤(51, 53), 대응롤(58), 연결롤(60), 밀착롤(59)에 더하여 또 하나의 장력조절롤(70)을 설치한다. 전환벨트(61)의 경우 오랜 사용으로 인하여 늘어날 소지가 높기에 장력조절을 위한 장력조절롤(70)을 형성하여, 항상 균일한 장력을 갖도록 한다.
10 shows a side view of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bination of the switching belts 61 forming the respective directions, that is, the first rolls 51, 53, the corresponding rolls 58 ), The connecting roll 60, and the close-contact roll 59, another tension adjusting roll 70 is provided. In the case of the changeover belt 61, a tension adjusting roll 70 for adjusting the tension is formed to have a high tensile strength due to long use, so that the tensioning roll 70 always has a uniform tension.

마지막으로 이 건 발명의 경우, 상기 제1, 2 및 3 컨베이어 이송로(10, 20, 30)은, 연동바(57)에 의해서 내려서는 연결롤(60)이 사이에 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연동바(57)의 간격을 수용할 수 있는 거리를 벌린 형태로 좌우 양쪽에 컨베이어 벨트(12)를 형성하고; 연동바(57)의 연결롤(60)이 이송로(10, 20, 30)의 하단으로 끼워지면, 연동바(57) 중단의 외측 밀착롤(59)이 컨베이어 벨트(12)에 밀착되어 밀착롤(59)이 이동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컨베이어 이송로(10, 20, 30)와 방향전환유닛(K)으로 이동하는 모판(7)과 상자가 항상 안정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Finally,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veyor conveying passages 10, 20 and 30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in order to allow the connecting roll 60, which is descended by the interlocking bar 57, Forming a conveyor belt (12) on both sides of the bar (57) in such a manner as to be able to receive a gap therebetween; When the connecting roll 60 of the interlocking bar 57 is fitted to the lower ends of the conveying passages 10,20 and 30, the outer contact roll 59 of the interlocking bar 57 interrupts closely to the conveyor belt 12, So that the roll 59 can be rotated in the moving direction; So that the box 7 moving to the conveyor conveying paths 10, 20, 30 and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K and the box can always be stably moved.

즉, 이 건 발명의 방향전환유닛(K)은 트랜스 구조체(T)에 일체로 체결된 상태로 이리저리 이동하면서 방향을 전환시키도록 한 방향전환유닛(K)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이 건 발명은 방향전환유닛(K)만의 작동방식을 별도로 마련하기 힘들다. 같이 사용되고 일정한 거리를 이동해도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키도록 해야 하는 제1, 2, 3 컨베이어 이송로(10, 20, 30)와 구성간의 상관관계를 맞추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이 건 발명은 상기 연동바(57)을 형성하는 구성을 채택함으로 제1, 2, 3 컨베이어 이송로(10, 20, 30)에 형성되는 컨베이어 벨트(12)를 2개로 체택했다. 제1, 2, 3 방향로(Ⅰ,Ⅱ,Ⅲ)에 형성되는 연동바(57) 최하단 사이에 하나의 연결롤(60)을 형성하여, 회동하여 제1, 2, 3 방향로(Ⅰ,Ⅱ,Ⅲ)에 꺽어 넣을 때, 깊숙히 박힐 수 있도록 컨베이어 벨트(12)를 좌우 양단의 레일프레임(15)에 근접하도록 형성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쌍으로 형성되는 연동바(57)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12)의 사이로 다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깊숙히 박힌 연결롤(60)의 외주면에 감긴 전환벨트(61)는 컨베이어 벨트(12)를 타고 이동하던 육묘판(5)의 저면을 잡아 상승시키며 견인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K)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rection switching unit (K) for switching the direction while moving back and forth while being integrally fastened to the transformer structure (T).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the present invention to separately provide the operation mode of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K alone.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veyor conveyors (10, 20, 30), which are used together and must produce the same effect even if they are moved a certain distance, must be correlated with each other.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configuration for forming the interlocking bar 57, so that two conveyor belts 12 formed 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veyor conveying paths 10, 20 and 30 are provided. One connecting roll 60 is formed between the lowermost ends of the interlocking bars 57 formed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rections I, II, and III so as to rotate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rections I, The conveyor belt 12 is formed so as to be close to the rail frame 15 at both the left and right ends so that the interlocking bar 57 formed in a pair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nveyor belt 15, (12). The switching belt 61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roll 60 which is embedded deeply catches and lifts the bottom surface of the seedlings plate 5 which is moved on the conveyor belt 12 so that it can be towed.

또한 이 건 발명에서 중요한 사항은 이렇게 연동바(57)를 하향시켜 연결롤(60)이 제1, 2, 3 컨베이어 이송로(10, 20, 30)의 하단으로 깊숙히 박힐 때, 연동바(57)의 중단에 형성된 밀착롤(59)은 상기 제1, 2, 3 컨베이어 이송로(10, 20, 30)에 깔린 컨베이어 벨트(12)의 상부에 밀착, 또는 안착되도록 한다. 이는 중요한 사항이다. 밀착롤(59)은 제1, 2, 3 컨베이어 이송로(10, 20, 30)의 컨베이어 벨트(12)의 연동작용의 도움으로 회전을 하여 육묘판(5)에 힘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 밀착롤(59)에 의해서 작업자는 무리하게 연결롤(60)을 컨베이어 벨트(12)의 하단으로 밀어넣지 않도록 하는 마지노선, 스톱퍼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The important 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when the interlocking bar 57 is downwardly moved so that the connecting roll 60 is deeply inserted into the lower end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veyor conveying paths 10, 20 and 3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or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veyor belt 12 placed 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veyor conveying paths 10, 20 and 30. This is important. The adhering roll 59 rotates with the aid of the interlocking action of the conveyor belt 12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veyor conveying paths 10, 20 and 30 so as to apply force to the ornamental plate 5 . Further, the operator can perform the function of the stopper and the stopper to prevent the connection roll 60 from being push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veyor belt 12 by the tightening roll 59.

10, 20, 30 ; 제1, 2, 3 컨베이어 이송로 12; 컨베이어 벨트
51, 53; 제1 롤 50; 기체프레임
K; 방향전환유닛 T; 트랜스 구조체
10, 20, 30; First, second and third conveyor conveying paths 12; Conveyor belt
51, 53; A first roll 50; Gas frame
K; A direction switching unit T; Trans structure

Claims (6)

컨베이어를 타고 이동하는 모판(7)을 일방향으로 받아, 수평 방향으로 90°와 180° 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전환유닛으로서,
평면의 형상이 "T"자형을 형성하여, 각각 90° 각도로 벌어진 제1 방향로(Ⅰ), 제2 방향로(Ⅱ) 및 제3 방향로(Ⅲ)로 형성되는 기체프레임(50);
상기 기체프레임(50)의 상부로 롤 외곽이 돌출되도록, 기체프레임(50)의 중심부측에서 각각의 제1, 2 및 3 방향로(Ⅰ,Ⅱ,Ⅲ)를 향해 구르는 위치로 축(52, 54) 결합되는 제1 롤(51, 53);
각 제1 롤(51, 53)에 대응되도록 각 제1, 2 및 3 방향로(Ⅰ,Ⅱ,Ⅲ)의 끝단 프레임에 축결합하되, 연동바(57) 사이에 고정되는 대응롤(58);
상기 3개의 제1 롤(51, 53)과 대응하는 각각의 대응롤(58)의 외주면을 감고 결합한 3개의 전환벨트(61); 및,
상기 기체프레임(50)의 중심부에 체결되는 제1 롤(51, 53)들의 축(52, 54)에 체결되는 별도의 스프로켓에 대응되는 별도의 체인과 스프로켓으로 연결되어, 모터(M1, M2, M3)의 동력을 받도록 하는 동력부;
를 포함하고,
컨베이어 벨트(12)를 타고 이동하던, 모판(7)이 방향전환유닛(K)의 일측 방향로(Ⅰ,Ⅱ,Ⅲ)로 접근한 후, 다른 방향으로 전환되어 타측 컨베이어 벨트(12)로 전달할 수 있는, 방향전환유닛.
A direction switching unit for receiving a base plate (7) traveling on a conveyor in one direction and transmitting the base plate (90) in directions of 90 and 180 degrees in a horizontal direction,
A gas frame 50 formed in a first direction (I), a second direction (II) and a third direction (III), each of which has a "T"
2 and 3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rections (I, II, III) from the central portion side of the base frame 50 so th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lls protrudes above the base frame 50, 54) a first roll (51, 53) engaged;
A corresponding roll 58 which is axially coupled to the end frame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rections I, II, and III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rolls 51 and 53 and is fixed between the interlocking bars 57, ;
Three change-over belts 61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respective corresponding rolls 58 corresponding to the three first rolls 51, 53; And
M2 and M3 are connected by a separate chain and a sprocket corresponding to a separate sprocket fastened to the shafts 52 and 54 of the first rolls 51 and 53 fastened to the center of the base frame 50, M3, < / RTI >
Lt; / RTI >
The base plate 7 approaching one direction (I, II, III) of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K and then switched to the other direction and transferred to the other conveyor belt 12 Capable, redirec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1, 2 및 3 방향로(Ⅰ,Ⅱ,Ⅲ)의 끝단 프레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체결되는 연동바(57)의 사이에 기체프레임(50)과 축(56) 결합되는 대응롤(58)에는, 그 축(56)에서 연장되어, 연동바(57)의 외측으로 수평하게 체결되는 별도의 대응롤(58)을 갖추고;
상기 대응롤(58)의 하단으로 일정 간격을 벌려, 연동바(57) 중단에 축에 체결되는 밀착롤(59)을 연동바(57) 사이와 좌우 외측에 각각 체결하고;
연동바(57)의 끝단, 연동바(57) 사이만 별도의 연결롤(60)을 형성한 후, 상기 전환벨트(61)를 제1 롤(51, 53)의 외주면에서 연결롤(60)의 외주면까지 연장하고;
연결롤(60)을 가진 연동바(57)가 이송을 위한 제1, 2 및 3 컨베이어 이송로(10, 20, 30)에 형성된 컨베이어 벨트(12) 사이에 끼워져, 방향전환유닛(K)의 기체프레임(50)에서 컨베이어 이송로(10, 20, 30)로 내려가는 이동이나, 컨베이어 이송로(10, 20, 30)에서 방향전환유닛(K)의 기체프레임(50) 내측으로 올라오는 이송을 가능하게 하는, 방향전환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50) and a shaft (56) are interposed between interlocking bars (57) which are fixed to the end frame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rections (I, II, 58 has a corresponding roll 58 extending from its axis 56 and horizontally fastened to the outside of the interlocking bar 57;
Tightening rolls 59 fastened to the shaft at a certain interval to the lower end of the corresponding roll 58 and fastened to the interlocking bars 57 at the left and right outer sides respectively;
A separate connecting roll 60 is formed only between the end of the interlocking bar 57 and the interlocking bar 57 and then the switching belt 61 is wound around the connecting roll 60 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rolls 51, Exte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ame;
An interlocking bar 57 having a connecting roll 60 is sandwiched between the conveyor belts 12 formed 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veyor conveying paths 10, 20 and 30 for conveying, 20 and 30 from the base frame 50 to the conveyor conveyance paths 10 and 20 and conveying from the conveyor conveyance paths 10 and 20 to the inside of the base frame 50 of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K Enabling a direction change unit.
제2항에 있어서,
방향전환유닛(K)의 기체프레임(50) 상부에, 전환벨트(61)를 타고 이동하는 모판(7)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하는 라운딩된 가이드판(63)을 착탈가능하게 체결하여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는, 방향전환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A rounded guide plate 63 is detachably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50 of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K so as to guid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ase plate 7 moving on the changeover belt 61 Wherein the direction switching is performed.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1, 2 및 3 방향로(Ⅰ,Ⅱ,Ⅲ)의 연장된 끝단을 형성하는 연동바(57)는 수동으로 그 축(56)을 힌지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방향로는 상부로 접어 회동을 중지시킬 수 있는, 방향전환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The interlocking bar 57, which forms the extended ends of ea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rections I, II and III, can manually pivot the shaft 56 with the hinge, And can be folded upward to stop the rotation.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전환벨트(61)의 내측이나 외측에는, 전환벨트(61)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력조절롤(70)이 형성되어 있는, 방향전환유닛.
The method of claim 3,
A tension regulating roll (70) is provided on the inside or outside of each of the change-over belts (61) so as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change-over belt (6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및 3 컨베이어 이송로(10, 20, 30)은, 연동바(57)에 의해서 내려서는 연결롤(60)이 사이에 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연동바(57)의 간격을 수용할 수 있는 거리를 벌린 형태로 좌우 양쪽에 컨베이어 벨트(12)를 형성하고;
연동바(57)의 연결롤(60)이 이송로(10, 20, 30)의 하단으로 끼워지면, 연동바(57) 중단의 외측 밀착롤(59)이 컨베이어 벨트(12)에 밀착되어 밀착롤(59)이 이동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전환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veyor conveying passages 10, 20 and 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order to allow the connecting rolls 60, which are lowered by the interlocking bar 57, A conveyor belt 12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veyor belt 12 in such a manner that the conveyor belt 12 is spaced apart from the conveyor belt 12;
When the connecting roll 60 of the interlocking bar 57 is fitted to the lower ends of the conveying passages 10,20 and 30, the outer contact roll 59 of the interlocking bar 57 interrupts closely to the conveyor belt 12, So that the roll (59) can be rotated in the moving direction.
KR1020140173574A 2014-12-05 2014-12-05 Auto - change unit of direction facing to trasfer flate for rasing seed KR1016220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574A KR101622049B1 (en) 2014-12-05 2014-12-05 Auto - change unit of direction facing to trasfer flate for rasing se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574A KR101622049B1 (en) 2014-12-05 2014-12-05 Auto - change unit of direction facing to trasfer flate for rasing see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2049B1 true KR101622049B1 (en) 2016-05-17

Family

ID=56109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574A KR101622049B1 (en) 2014-12-05 2014-12-05 Auto - change unit of direction facing to trasfer flate for rasing se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204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0146B1 (en) 2023-05-12 2023-10-16 한태웅 Seedl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058Y1 (en) 2001-11-30 2002-02-21 이길효 apparatus for rotating a plurality of cut pieces at an angle of 90 degre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058Y1 (en) 2001-11-30 2002-02-21 이길효 apparatus for rotating a plurality of cut pieces at an angle of 90 degre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0146B1 (en) 2023-05-12 2023-10-16 한태웅 Seedl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7379B2 (en) Mobile cultivation equipment
US3771258A (en) Conveyorized farming system
AU2009347037B2 (en) Conveying system, tower structure with conveying system, and method for conveying containers with a conveying system
GB2410882B (en) Plant growing apparatus
CN103371546A (en) Bouquet mak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651750B1 (en) transfer device of flate to rise seed
KR101916640B1 (en) Portable watering device for seedling port
CN202524806U (en) Greenhouse automated planting groove system
KR101622049B1 (en) Auto - change unit of direction facing to trasfer flate for rasing seed
KR20190084374A (en) Seedling culture box stacking device
GB1576010A (en) Apparatus for supporting material or containers which plants can be grown for movement along a greenhous
JP4861728B2 (en) Cultivation bench circulation type cultivation system and cultivation device
JPH03251123A (en) Apparatus for automatic cultivation of crop in greenhouse
CN103392427A (en) Mechanized seedling transplanting technique of potted blanket seedlings
CN208639241U (en) A kind of plant transmission culture systems
JP2004236666A (en) Transplanter
KR100226152B1 (en) Multi-step feed cultiv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1985634B1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seedbed
JP2004236667A (en) Transplanter
JP2002335711A (en) Seedling-guiding body in separating unit for aligned seedling
EP0571627A1 (en) Device for separating seedlings
CN203294356U (en) Box body conveying platform structure of box body laminating and packaging machine
RU2062022C1 (en) Vegetable and mushroom growing hothouse
JP2004201697A (en) Transplanter
JP2009159923A (en) Yam plan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