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1696B1 - Filler metal shape for TIG welding - Google Patents

Filler metal shape for TIG wel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1696B1
KR101621696B1 KR1020150139903A KR20150139903A KR101621696B1 KR 101621696 B1 KR101621696 B1 KR 101621696B1 KR 1020150139903 A KR1020150139903 A KR 1020150139903A KR 20150139903 A KR20150139903 A KR 20150139903A KR 101621696 B1 KR101621696 B1 KR 101621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section
arc
welding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9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20907A (en
Inventor
조상명
오동수
함효식
하현주
신희섭
전재호
변재규
박정현
권혁용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39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1696B1/en
Publication of KR20150120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09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6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23K35/02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for use in soldering, brazing
    • B23K35/0233Sheets, f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23K35/0255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for use in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5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6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 B23K9/167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and of a non-consumable electr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인 와이어 용가재보다 열유속 투입면적이 넓고, 단위 길이당 입열량이 증가되어 안정적인 용접이 가능한 티그 용접용 용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그 용접용 용가재는, 모재 상단에 전극이 위치하고, 상기 전극과 모재 사이에 아크가 형성되며, 상기 아크 주변에 실드 가스가 공급되고, 상기 모재 상단에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상기 아크에 의하여 용융되는 티그 용접용 용가재에 있어서, 상기 용가재의 단면은 상기 전극 방향의 면이 상기 전극 방향으로 오목하게 휘어진 형상을 갖는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ller material for welding a tig weld which has a larger heat flux input area and increased heat input per unit length than a general wire filler material, thereby achieving stable welding.
The filler for tig we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electrode is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base material, an arc is formed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base material, a shield gas is supplied around the arc, In the case of the filler for tig welding which is melted by the arc, the cross section of the filler has a shape in which the surface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ode is concavely curved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ode.

Description

티그 용접용 용가재{Filler metal shape for TIG welding}[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ler metal for TIG welding,

본 발명은 TIG 용접용 용가재에 관한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은 용접 생산성을 갖는 TIG 용접용 용가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ler for TIG weld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ller for TIG welding having high welding productivity.

일반적으로 발전설비, 해양플랜트 또는 석유화학 플랜트의 배관설비 등에는 저급재료인 탄소강이 주로 사용되고 그 내면에 스테인리스강이나 니켈합금 등의 고강도의 내열성, 내구성, 내부식성 등을 가진 이종금속으로 일정두께 덧살용접을 실시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덧살용접을 보통 육성용접이라 하는데 매우 취약한 환경에서 물리적 성질이 약한 금속이 사용될 때 금속 표면을 용접으로 코팅하여 내부식성, 내구성, 내마모성, 강도 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비교적 낮은 단가로 높은 기계적 및 화학적 특성을 맞출 수 있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carbon steel, which is a low-grade material, is mainly used in piping systems fo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offshore plants or petrochemical plants. It is a heterogeneous metal with high heat resistance, durability and corrosion resistance such as stainless steel or nickel alloy on its inner surface. It is used by welding. This method is a method of improving the corrosion resistance, durability, abrasion resistance and strength by coating the metal surface when the metal having weak physical properties is used in a very weak environment, It is widely used because it can match characteristics.

상기와 같은 육성 용접은 많은 자동화 장치들이 개발되고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등록특허 제909596호는 파이프 내면 자동육성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 파이프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파이프를 회전시키는 회전척부; 상기 회전척부에 고정된 파이프 관통하여 수평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가이드 와이어; 상기 가이드 와이어를 인장시키는 인장부; 상기 가이드 와이어에 의해 지지되어 파이프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며 파이프 내면에 육성용접을 수행하는 용접부; 상기 회전척부에 의해 파이프가 회전하는 동시에 상기 용접부가 일측으로 이동하여 파이프 내면에 용접비드가 나선을 형성하면서 연속적으로 육성용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Many kinds of automation device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for the above-mentioned upwelling welding. For example, Patent No. 909596 relates to an automatic pipe-growing welding apparatus for a pipe, comprising: a rotating chuck for inserting and fixing a pipe and rotating the pipe; A pair of guide wires arranged horizontally and parallel to each other through a pipe fixed to the rotary chuck; A pulling portion for pulling the guide wire; A welded portion supported by the guide wire and movable along the inside of the pipe, for performing upset weldi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pipe by the rotary chuck to move the welding part to one side so that the welding bead is continuously formed while forming the spiral of the welding bea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또한, 등록특허 제383014호는 핫와이어 티그 용접용 토치에 관한 것으로, 직경이 작고 길이가 긴 파이프 내면의 육성 용접을 원할하게 수행할 수 있는 핫와이어 티그 용접용 토치에 관한 것으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적절한 길이를 가지며 양 끝부분에 절연체로 연결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각지게 연결되는 전극부로 구성되어, 파이프 내부 직경이 적어도 150mm의 제품까지도 육성 용접이 가능하고, 1.5M 정도의 길이를 갖는 파이프까지도 내부 육성 용접이 가능하므로 직경이 작고 길이가 긴 파이프 내부 육성 용접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Japanese Patent No. 383014 relates to a hot wire tig welding torch, and is directed to a hot wire tig welding torch capable of smoothly performing the upside welding of the inner diameter of a pipe having a small diameter and a long length, A body portion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and having an appropriate length and connected to both ends by an insulator and an electrode portion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so that a product having a pipe inner diameter of at least 150 mm can be welded , And 1.5M can be welded to the inside of the pipe,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internal pipe-growing welding with a small diameter and a long length.

상기에 개시된 육성 용접 장치는 그 용접 방식을 TIG 용접으로 제안하고 있다.The above-described upsized welding apparatus proposes the welding method by TIG welding.

상기 TIG 용접은 용접부의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고, 내부식성이 우수하며 작업환경이 청결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생산성이 낮다는 큰 문제점이 있다.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류를 높이고 용접속도를 증가 시켜야 하지만 대전류를 사용하게 되면 아크 압력에 의한 강한 아크력에 의해 용융지 표면에 심한 압입현상이 생기며, 언더컷, 험핑비드, 그리고 분리비드와 같은 용접결함이 발생하게 된다. The TIG welding has an advantage that the welded portion has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clean work environment, but has a problem of low productivity. In order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current and increase the welding speed. However, when the high current is used, the strong arc force due to the arc pressure causes a severe indentation phenomenon on the surface of the melting paper, and welding defects such as undercut, humpping bead, .

또한, 용착속도를 높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와이어 송급속도를 높여야 하지만 이는 1.0 또는 1.2 mm의 가는 와이어를 사용할 경우 높은 와이어 송급속도로 인해 아크열을 흡수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부족하고 아크중심에서 조금만 어긋나게 송급되어도 와이어가 용융되지 못하고 용융풀 밖으로 빠져나와 미용융 와이어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미용융와이어가 생길 경우 용접이 중단되어 생산성이 낮아지므로 현장에서는 충분히 높은 전류로 용접하게 된다. 따라서 송급속도를 높일 경우 기본적으로 전류를 높여야 하는데, 이 경우 역시 큰 아크력으로 인해 언더컷 등 용접결함이 발생하고 모재 용입이 커지므로 적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In order to increase the welding speed and increase the productivit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peed of the wire transfer. However, when a thin wire of 1.0 or 1.2 mm is used, there is not enough time to absorb the arc heat due to high wire transfer speed. Even if the wire is misaligned, the wire can not be melted and escapes out of the molten pool to form an annealed wire. If such untreated wire is formed, the welding is stopped and the productivity is lowered, so that welding is performed at a sufficiently high current in the field. Therefore, in case of increasing the welding spee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current basically. In this case, too,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because the welding is defective such as undercut due to large arc force and the penetration of the base material becomes large.

상기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구성으로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된 특허출원 제2012-0096720호를 들 수 있다.In order to overcome such disadvantages, Patent Application No. 2012-0096720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has been cited.

상기 특허는 티그용접에 평판 형태의 단면을 갖는 용가재의 적용을 제안하는 것으로, 종래 와이어 형태에 비하여 높은 용접 속도를 나타내는 장점이 있다.This patent proposes application of a filler having a flat plate-shaped cross-section to the tig welding,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it exhibits a higher welding speed than the conventional wire type.

그러나 상기 특허에서는 사각형 평판 단면으로 국한되어 있어므로, 일부 단면 형태를 변경하여 더 높은 생산 속도를 나타내는 새로운 형태의 용가재 단면으로 개량의 여지가 있다.
However, in the above patent, since it is confined to a rectangular flat plate section,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in a new type of combustible material section which shows a higher production speed by changing some cross-sectional shapes.

본 발명은, 일반적인 와이어 용가재보다 열유속 투입면적이 넓고, 단위 길이당 입열량이 증가되어 안정적인 용접이 가능한 TIG 용접용 용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ller material for TIG welding which has a larger heat flux input area and an increased heat input per unit length than a general wire filler material, thereby enabling stable weld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그 용접용 용가재는, 모재 상단에 전극이 위치하고, 상기 전극으로부터 상기 모재의 상단으로 에너지가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상기 전극과 상기 모재의 사이에 아크가 형성되며, 상기 아크에 의하여 용융되는 것으로, 그 단면이 폭과 두께로 표현되는 평판이, 상기 단면의 중심점에서 상기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을 포함하는 중앙부; 및 상기 단면의 양 끝단에 위치되는 끝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끝단부가 상기 전극을 향하여 휘어진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단면이 상기 모재로부터의 수직선에 대하여 서로 대칭이 될 수 있다.
상기 단면에서 상기 평판의 중앙부의 두께가 상기 평판의 끝단부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상기 단면에서 상기 평판의 중앙부의 두께가 상기 평판의 끝단부의 두께의 1.1 내지 2배가 될 수 있다.
상기 단면에서 상기 폭이 3mm 내지 10mm이며, 상기 두께가 0.3 내지 1mm가 될 수 있다.
상기 용가재의 재질은 sus300계열, 알로이 625, 듀플렉스 sts2209 및 슈퍼 듀플렉스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The filler for tig we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electrode is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base material and energy is continuously supplied from the electrode to the upper end of the base material to form an arc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base material, A center portion including a center line extend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from a center point of the cross section, the flat plate being a portion of which the cross section is expressed by a width and a thickness; And an end portion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cross section, and the end portion may have a concave shape bent toward the electrode.
The cross section may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vertical line from the base material.
The thickness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flat plate in the cross section may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end portion of the flat plate.
The thickness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flat plate at the cross section may be 1.1 to 2 times the thickness of the end portion of the flat plate.
The width may be 3 mm to 10 mm in the cross section, and the thickness may be 0.3 to 1 mm.
The material of the above-mentioned excipien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us300 series, alloys 625, duplex sts2209 and super duplex.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른 티그 용접용 용가재는 종래 원형의 용가재와 달리 전극 방향으로 오목하게 휘어진 비교적 큰 단면 형태로 구성한 것에 의하여, 전극을 통하여 전달되는 열유속을 폭넓게 흡수하여 입열량이 증가되므로, 결국 상대적으로 낮은 용접 전류와 낮은 용가재 송급속도에서도 높은 생산성과 안정적인 용접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Since the filler for tig we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latively large sectional shape curved concavely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ode unlike the conventional circular filler, the heat input amount absorbed widely by absorbing the heat flux transmitted through the electrode, It is effective to provide high productivity and stable welding even at a welding current and a low filler flux rate.

도 1은 티그 용접 장치의 일반적인 구성이며,
도 2는 도 1에서 발생하는 아크 형상 그래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아크를 기초로 한 플라즈만 스트림 곡선 그래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트림 곡선의 일부 구성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스트림에서 일정한 길이에 도시된 법선이며,
도 6은 도 5의 법선을 연결한 단면곡선이며,
도 7은 도 5의 완성형 단면곡선이며,
도 8은 도 6의 다른 실시예이며,
도 9은 도 6의 또 다른 실시예이며,
도 10은 도 6의 또 다른 실시예들이며,
도 11은 실시예에 적용된 용가재 단면의 길이이며,
도 12는 비교예의 비드 사진이며,
도 13은 실시예의 비드 사진이며,
도 14는 실시예의 다른 비드 사진이며,
도 15는 단면 분석을 위한 설명도이며,
도 16은 비교예의 비드 단면 사진이며,
도 17은 실시예의 비드 단면 사진이며,
도 18은 실시예의 다른 비드 단면 사진이며,
도 19은 실시예의 다른 비드 단면 사진이며,
도 20은 시험예 4에 따른 비드 형상이며,
도 21은 도 20에서 형성된 비드의 단면 형상과 해당 단면에 따른 비드 높이와 용입 깊이 데이터이다.
1 is a general configuration of a tig welding apparatus,
Fig. 2 is an arc shape graph generated in Fig. 1,
FIG. 3 is a plot-only stream curve graph based on the arc shown in FIG. 2,
Fig. 4 is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stream curve shown in Fig. 3,
FIG. 5 is a normal drawn at a constant length in the stream shown in FIG. 3,
FIG. 6 is a cross-sectional curve connecting normal lines in FIG. 5,
Fig. 7 is a finished sectional curve of Fig. 5,
Figure 8 is another embodiment of Figure 6,
Figure 9 is another embodiment of Figure 6,
Figure 10 is another embodiment of Figure 6,
11 is the leng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filler applied to the embodiment,
12 is a photograph of a bead of a comparative example,
13 is a photograph of a bead of the embodiment,
14 is another bead photograph of the embodiment,
15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cross-sectional analysis,
16 is a cross-sectional photograph of a bead of a comparative example,
17 is a cross-sectional photograph of the bead of the embodiment,
18 is another bead cross-sectional photograph of the embodiment,
19 is another bead cross-sectional photograph of the embodiment,
20 is a bead shape according to Test Example 4,
FIG. 2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ead formed in FIG. 20, and bead height and penetration depth data according to the cross sec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티그 용접용 용가재(10)는 단면의 형상을 티그 아크 플라즈마 내에서 용가재(10)에 투입되는 열량이 가장 많이 나올 수 있는 형태로 정의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The shape of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ller material 10 for welding a t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of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tig arc plasma is such that the amount of heat applied to the filler material 10 is the largest.

먼저, 티그 용접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1), 모재(2), 전극(1)과 모재(2) 사이에 형성되는 아크(3), 상기 아크(3) 주변에 공급되는 실드 가스(4)로 모델링된다.First, as shown in Fig. 1, the tig welding is carried out by using an electrode 1, a base material 2, an arc 3 formed between the electrode 1 and the base material 2, Is modeled as a shield gas (4).

상기 아크(3)는 전극(1)에서 하나의 점으로 출발하여 모재(2)에서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나, 내부 역시 에너지를 전달하므로 아크(3) 내부의 표현도 중요하다. The arc 3 starts at a point on the electrode 1 and is formed to have a constant width in the base material 2. Since the interior also transmits energy, the representation of the inside of the arc 3 is also important.

아크(3) 내부는 위치의 함수인 플라즈마 스트림(5)으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플라즈마 스트림(5)의 외곽선이 아크(3) 형상에 해당한다.The interior of the arc 3 can be represented by a plasma stream 5, which is a function of position. Where the outline of the plasma stream 5 corresponds to the arc 3 shape.

상기 아크(3)의 평면은 원형으로 정의한다. 즉, 상기 도 1의 아크(3)는 축대칭 형태로 정의한다.The plane of the arc (3) is defined as a circle. That is, the arc (3) in FIG. 1 is defined as an axisymmetric shape.

한편, 상기와 같은 아크(3)에서는 플라즈마 스트림(5)에 법선 방향으로 용가재(10)가 위치하는 경우 아크(3)에 의한 플라즈마가 용가재(10)에 투입하는 열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정의하며, 본 발명은 상기 플라즈마 스트림(5)의 법선면을 산정하여 용가재(10) 단면의 형상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arc 3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ller 10 is positioned in the normal direction to the plasma stream 5, the plasma generated by the arc 3 defines the highest amount of heat applied to the filler 10,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filler (10) is determined by calculating the normal surface of the plasma stream (5).

다음으로 상기 아크(3)의 형상은 그 내부의 플라즈만 스트림(5)에 의해서 모재(2)쪽 평면에 형성되는 압력분포 또는 열유속분포가 가우시안 분포 형태를 가진다고 가정하며, 통상의 자연 현상의 확률은 가우시안 분포의 형태를 가진는 경우 많으며, 티그(30) 용접 상의 아크(3)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극(1)을 기점으로 모재(2)로 확산되는 분포 특성 등을 고려하는 경우 타당한 가정에 해당한다.Next, it is assumed that the shape of the arc (3) has a Gaussian distribution in a pressure distribution or a heat flux distribution formed on the plane of the base material (2) by the plasma only stream (5) therein, And the arc 3 on the welding of the tig 30 is form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arc is distributed to the base material 2 starting from the electrode 1 an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 etc. diffused into the base material 2 .

따라서, 아크(3)의 형상 f(r)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Therefore, the shape f (r) of the arc 3 is defined as follows.

Figure 112015096342431-pat00001
수학식 [1]
Figure 112015096342431-pat00001
Equation [1]

여기서, r은 전극(1)을 원점으로 하는 반경방향 거리을 의미하고, f(0)는 전극(1)에서 모재(2) 사이의 수직 거리, 즉, 아크(3)의 길이를 나타내고, σ는 분산을 의미하며, 상기 σ값을 아크(3)의 반경방향 거리에 따라 선택된다.Here, r denotes a radial distance with the electrode 1 as the origin, f (0) denotes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 1 and the base material 2, that is, the length of the arc 3, , Which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radial distance of the arc (3).

도 2는 σ=1, f(0)=5인 경우 아크(3)의 형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2 is a graph showing the shape of the arc (3) when? = 1 and f (0) = 5.

한편, 플라즈마 스트림(5)은 f(0)의 값은 선택한 후, σ을 조절하여 상기 플라즈마 스트림(5)이 모재(2) 접속하는 점을 기준으로 r값을 선정할 수 있으나, 가우시안 분포의 특성 상 모재(2)에 정확히 접속하지 않고 수렴하므로, r값을 선정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lasma stream 5 can select the r value based on the point at which the plasma stream 5 is connected to the parent material 2 by adjusting the value of f (0) after selecting the value of f (0) It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r value can not be selected because it converges without being properly connected to the base material 2 in terms of characteristics.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실제 아크(3) 길이를 +10% 추가하여 플라즈마 스트림(5)을 형성하고, 실제 아크(3) 길이에 만나는 점을 기준으로 r을 선정하여 상기의 단점을 극복하였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sma stream 5 is formed by adding +10% of the actual arc length 3, and r is selected based on the point where the actual arc length 3 meets the length.

상기 아크(3) 길이 변경은 ±10% 이내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arc (3)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within ± 10%.

도 3은 아크(3) 길이 5를 5.5로 플라즈마 스트림(5)을 구성하고, 0지점에서 플라즈마 스트림(5)이 교차하는 값을 r로 산정하였으며, 이때 r값이 초기 0.25이후 0.5 단위로 증가하는 10개의 플라즈마 스트림(5)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3 compares the arc (3) length 5 to the plasma stream 5 at 5.5 and the value at which the plasma stream 5 intersects at point 0 is r, where the r value increases by 0.5 units after the initial 0.25 Lt; RTI ID = 0.0 > 5 < / RTI >

그리고 도 4는 아크(3) 길이의 하부 0.5를 제거한 플라즈마 스트림(5)을 도시한 도면이다.And FIG. 4 is a view showing the plasma stream 5 from which the bottom 0.5 of the arc 3 length is removed.

한편, 각 프라즈마 스트림(5)의 경로 중 원점에 근접한 플라즈마 스트림(5)과 x축과의 교점, 즉, y값이 영인 지점(또는 일정한 값)에서 법선을 계산하고, 상기 법선과의 인접하는 플라즈마 스트림(5)의 교점을 구하고, 상기 교점에서 다시 해당 플라즈마 스트림(5)의 법선을 구하면서 계속하여 각 플라즈마 스트림(5)의 접선을 구하는 경우 플라즈마 스트림(5)의 법선 연결 곡선을 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normal is calculated at a point where the y-value is zero (or a constant value) at the intersection of the x-axis and the plasma stream 5 close to the origin among the paths of the respective plasma streams 5, The normal connection curve of the plasma stream 5 can be obtained when the intersection of the plasma stream 5 is obtained and the tangent of each plasma stream 5 is obtained while the normal of the plasma stream 5 is obtained again at the intersection point have.

도 5는 플라즈마 스트림(5)은 전체 10개로 한정하고, 5개의 지점에서 각 법선을 이용하여 교점을 구하고, 해당 법선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showing the normal line of the plasma stream 5, which is limited to a total of 10, and intersections are obtained by using the respective normal lines at five points.

상기 도 5 중 각 플라즈마 스트림(5)의 법선 지점을 연속하여 연결하는 경우 도 6과 같은 곡선(6)을 얻을 수 있다.When the normal points of each plasma stream 5 in FIG. 5 are continuously connected, a curve 6 shown in FIG. 6 can be obtained.

상기 곡선(6)은 플라즈마가 90도로 용가재에 충돌할 때 가장 높은 에너지 흡수률을 나타내는 것에 근거하면, 상기 곡선(6)이 가장 높은 에너지 흡수율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곡선(6)은 대칭형이므로, 실제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곡선(7)이 아크(3)에 대하여 가장 높은 입열량을 나타낸다.The curve 6 shows the highest energy absorption rate based on the fact that the plasma exhibits the highest energy absorption rate when the plasma impinges on the sparking material at 90 degrees. In addition, since the curve 6 is symmetrical, the cross-sectional curve 7 as shown in Fig. 7 actually shows the highest amount of heat input to the arc 3.

즉, 전극(1)을 통하여 순간적으로 생성되는 모든 아크(3)가 동일하게 상기 단면곡선(7)에 수직으로 흡수되므로, 이론적으로는 가장 높은 입열량을 나타내는 것이다.That is, all the arcs 3 momentarily generated through the electrode 1 are absorbed perpendicularly to the cross-sectional curve 7 in the same manner, and thus theoretically shows the highest amount of heat input.

상기 단면곡선(7) 동일한 형태의 용가재(10) 단면을 형성하는 것이 가장 높은 입열량을 나타내나, 상기 곡선은 복잡한 수식에 의하여 표현되어 실제 제작이 어려우므로 간력화 하여 입열량을 증가시키는 형태를 구성할 수 있다.The cross-sectional curve 7 shows the highest amount of heat of the filler 10 having the same shape. However, since the curves are expressed by complicated formulas and are difficult to produce in practice, Can be configured.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가재(10) 단면은 사각형의 평판을 기초로 하여 단면 하단 중심이 아크(3) 원점에 위치하고, 또한 단면 하단 중심의 기울기가 0이며, 끝단이 일정 높이를 갖는 3차 스플라인 커브로 정의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8, the cross section of the filler material 10 is formed on the basis of a rectangular flat plate, and the lower end of the cross section is located at the origin of the arc 3 and the inclination of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cross section is 0, And can be defined as a cubic spline curve.

여기서 사각형 평판의 폭은 3mm 내지 10mm이고, 두께는 0.3 내지 1mm가 바람직하다. Here, the width of the rectangular flat plate is 3 mm to 10 mm, and the thickness is preferably 0.3 to 1 mm.

이때 평판의 폭이 3mm 미만인 경우에는 생산성이 문제가 있으며, 10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융에 문제가 있으며, 또한 용가재(10)가 전극(1)에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일부 미용융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If the width of the flat plate is less than 3 mm, there is a problem in productivity. If it exceeds 10 mm, there is a problem in melting, and if the filler 10 does not exactly coincide with the electrode 1, have.

또한 평판의 두께가 0.3mm 미만인 경우에는 역시 생산성에 문제가 있고, 1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융에 문제가 있다.When the thickness of the flat plate is less than 0.3 mm, there is also a problem in productivity. When the thickness exceeds 1 mm, there is a problem in melting.

또한 상기 용가재(10)는 통상의 티그 용접에 사용되는 모든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스틸, sus300계열, 알로이 625, 듀플렉스 sts2209, 슈펴듀플렉스 등이 적용될 수 있다.Further, the above-mentioned filler 10 may be made of any material used for ordinary tig welding. For example, stainless steel, sus300 series, alloy 625, duplex sts2209, shoe duplex and the like can be applied.

한펴, 상기와 같이 3차 스플라인 커브로 정의하는 경우 상기의 단면곡선(7)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e case of defining a cubic spline curve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haracteristic of the sectional curve 7 can be sufficiently reflected.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 형태로 구성하는 용가재(10) 단면을 구성할 수 있다.Further, as shown in Fig. 9, it is possible to constitute a cross section of the spark plug 10 constituted in an arc shape.

상기 단면은 상기 단면곡선(7)과 매우 유사하고, 또한 평판에서 일부 절곡하여 구성할 수 있으므로, 원형 또는 평판 형태의 용가재(10)에 비하여 높은 입열량을 나타낸다.The cross section is very similar to the cross-section curve 7, and can be formed by bending partly on the flat plate, thereby exhibiting a higher heat input quantity than the circular or flat plate-like filler 10.

또한, 중심이 원점에 위치하는 2차 포물선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construct a secondary parabola whose center is located at the origin.

그리고, 도 10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꺽인 평판 형태로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단면은 단면곡선(7)과 일부 차이가 있으나, 용가재(10) 끝단에서 높은 입열량을 나타내어 적절한 입열량을 기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a), it can also be formed in the form of a bent plate. The cross section has a part different from the cross-sectional curve 7, but shows a high heat input at the end of the filler 10, so that an appropriate amount of heat input can be expected.

또한, 도 10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는 평판 형태이며, 상기 평판 양끝단에 경사진 평판이 구성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b), the center plate may be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nd a slant plate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lat plate.

상기 구성은 입열량에서는 다소 불리하나, 용가재(10)의 공급과 전극(1) 하부에 위치 등에서 유리한 장점이 있다.This structure is advantageous in terms of the supply of the filler 10 and the position under the electrode 1, although it is somewhat disadvantageous in terms of heat input.

상기 도 10 (b)의 단면은 중앙 평판과 경사진 평판은 두께를 달리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중앙 평판 부분의 입열량이 높으므로, 두께를 경사진 평판에 비하여 두텁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중앙 평판의 두께를 상기 경사진 평판에 비하여 1.1 내지 2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10 (b), the center plate and the inclined flat plate can be formed with different thicknesses. In this case, since the heat input amount of the central flat plate portion is high,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is formed thicker than the inclined flat plate, The thickness of the central flat plate is preferably 1.1 to 2 times the thickness of the inclined flat plate.

1.1배 미만인 경우에는 별다른 효과가 없으며, 2배를 넘어가는 경우에는 중앙 평판 부분에 미용융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If it is less than 1.1 times, there is no effect. If it is more than 2 time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entral plate portion is unfused.

또한, 도 10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평판에 굴곡부(9)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굴곡부(9)는 용가재(10)의 송급과 가이드 등을 위한 구성으로 활용될 수 있다.Further, as shown in Fig. 10 (c), the central flat plate can be formed by forming the bent portion 9 thereon. The bent portion 9 may be utilized for feeding and guiding the spark plug 10.

즉, 용가재(10)의 단면 형상을 평판을 기초로 전극(1)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하는 것이 종래 원형 단면 형태의 용가재(10)에 비하여 높은 입열량을 나타내고, 평판 형태에 비해서도 높은 입열량을 나타낸다.That is, whe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ller material 10 is formed concave toward the electrode 1 on the basis of the flat plate, the amount of heat input is higher than the filler 10 of the conventional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

또한, 상기 용가재(10) 단면은 평편을 기초로 하지 않으면서, 전극(1)을 기초로 오목하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때는 비대칭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filler 10 may be formed concavely on the basis of the electrode 1 without being based on the plane, in which case it may be asymmetric.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실시예Example

단면의 폭이 5mm 두께가 0.6mm의 sus304 재질의 평판 용가재(10)를 절곡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 4.6mm 높이 1.7mm의 대칭 3차곡선으로 형성하여 티그 용접을 수행하였다.A flat sheet member 10 of a sus304 material having a width of 5 mm and a thickness of 0.6 mm was bent and formed into a symmetric cubic curve having a width of 4.6 mm and a height of 1.7 mm as shown in Fig.

이때 베이스 재질은 SS400이며, 용접 속도 38cpm(cm/min), 전류 360A, 아크 길이 7mm로 설정하였다.The base material was SS400, the welding speed was 38 cpm (cm / min), the current was 360 A, and the arc length was 7 mm.

용가재(10)의 송급 속도는 250cpm부터 10cpm단위로 증가시켜 400cpm까지 변화하여 용접하였으며, 상기 피드 속도에 따라 단위시간당 용착속도(deposition rate)가 결정되며, 250cpm인 경우 3.51 kg/hr이고 400cpm인 경우 5.62 kg/hr이며, 중간 송급 속도는 보간하여 계산된다.
The feed rate of the fugitive material 10 was increased from 250 cpm to 10 cpm to 400 cpm and the deposition rate per unit time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eed rate. In the case of 250 cpm, 3.51 kg / hr and 400 cpm 5.62 kg / hr, and the intermediate feed rate is calculated by interpolation.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단면의 폭이 5mm 두께가 0.6mm의 sus304 재질의 평판 용가재(10)를 실시예와 동일한 조건으로 티그 용접을 수행하였다.TIG welding was perform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those of the embodiment in the case of the flat plate fusing material 10 of sus304 having a width of 5 mm and a thickness of 0.6 mm.

이때 용가재(10) 송급 속도는 250cpm부터 10cpm단위로 증가시켜 300cpm까지만 변화시켜 용접하였다.
At this time, the feeding speed of the fugitive material (10) was increased from 250 cpm to 10 cpm and changed to 300 cpm only.

시험예 1(비드 외형 분석)Test Example 1 (Bead appearance analysis)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를 대상으로 비드의 외형을 분석하였다. 도 12는 비교예에서 각 피드 속도에 대한 비드의 외형 사진으로, 송급 속도가 290cpm 이상인 경우에는 미용융 현상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The outer shapes of the beads were analyzed for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12 is an external view of a bead with respect to each feed rate in the comparative example,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an unmelted phenomenon appears when the feeding speed is 290 cpm or more.

도 13 및 도 14는 실시예에서 각 송급 속도에 따른 비드 외형 사진으로 400cpm까지 미용융 현상이 없는 양호한 비드가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13 and 14, it can be seen that a good bead having no cosolmation phenomenon is formed up to 400 cpm in the bead outer shape photograph according to each feed speed in the embodiment.

시험예 2(비드 단면 분석)Test Example 2 (bead cross section analysis)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형성된 비드의 단면을 분석하였다. 비드 단면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재(2) 표면의 두점 ⓐ-ⓑ사이에 선을 연결하고, 중심에서 용입을 측정한다(①지점). 그리고 중심 양옆으로 2mm 간격으로 2회 추가 측정을 한다(②, ③, ④ 및 ⑤ 지점). 이후 5개의 용입 깊이의 평균을 계산한 후, 최대 최소 용입 깊이를 측정한다(⑥ 및 ⑦ 지점).The sections of the beads formed by the abov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analyzed. As shown in Fig. 15, the bead cross section connects a line between two points a-b on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2, and the penetration is measured from the center (point ①). (2), (3), (4) and (5)). After calculating the average of the five penetration depths, the maximum penetration depth is measured (points ⑥ and ⑦).

도 16은 비교예에 따른 비드 단면의 형상과 해당 비드 단면의 용입 깊이 데이터이고, 도 17, 도 18 및 도 19는 실시예에 따른 비드 단면의 형상과 해당 비드 단면의 용입 깊이 데이터이다. 상기 데이터를 통하여 실시예는 비교예에 근접하는 용접 품질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16 shows the shape of the bead cross section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and the penetration depth data of the bead cross section, and FIGS. 17, 18 and 19 show the shape of the bead cross se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the penetration depth data of the bead cross section. From the above data, it can be seen that the examples show the welding quality close to the comparative example.

시험예 3(최대 용착 속도)Test Example 3 (maximum deposition rate)

시험예 1 및 시험예 2를 통하여 최대 용착 속도를 계산하면, 실시예는 5.6kg/hr, 비교예는 3.9kg/hr의 용착 속도를 나타내어 실시예에 의한 용가재(10)가 비교예에 비하여 월등한 생산성을 나타내고, 또한 시험예 2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유사한 용접 품질을 나타냄이 확인된다.
When the maximum deposition rate was calculated through Test Example 1 and Test Example 2, the deposition rate of the embodiment was 5.6 kg / hr and the comparative example showed a deposition rate of 3.9 kg / hr. Thus, the fille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as superior Indicating one productivity and also showing a similar weld quality as was found in Test Example 2. < tb >< TABLE >

시험예 4(다중 비드 형성 시험)Test Example 4 (Multiple Bead Formation Test)

실시예의 용가재(10) 단면을 이용하여 6개 비드 층을 형성하고, 단면의 특성을 분석하였다.Six bead layers were formed using the cross-section of the filler 10 of the example, and the cross-section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이때, 용접 조건은, 재질은 SS400이며, 용접 속도 38cpm(cm/min), 전류 360A, 아크 길이 7mm로 설정하였으며, 용가재(10)의 재질은 STS304, 송급 속도는 360cpm, 용착 면적 20mm2, 용착 속도5.02 kg/hr, 토치 위빙 주기는 3Hz, 위빙 길이는 5mm로 설정하였다.In this case, the welding conditions, a material of SS400, a welding speed of 38cpm (cm / min), current 360A, was the arc length is set to 7mm, the material of the filler metal 10 is STS304, feeding rate 360cpm, welding area 20mm 2, welding Speed 5.02 kg / hr, torch weaving cycle 3 Hz, and weaving length 5 mm.

도 20이 용접된 비드의 형상이며, 도 21는 용접 비드 단면의 사진과 단면의 15개 위치에서 비드 높이과 용입 깊이에 대한 데이터이다.Fig. 20 shows the shape of the welded bead. Fig. 21 shows photographs of the cross section of the weld bead and data on the bead height and penetration depth at 15 positions on the cross section.

상기 도 21 및 도 22로부터 균일한 비드가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1 and 22, it was confirmed that uniform beads were produc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And all of the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that can be practic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1: 전극 2: 모재
3: 아크 4: 실드 가스
5: 플라즈마 스트림 6: 곡선
9: 굴곡부 10: 용가재
1: Electrode 2: Base material
3: arc 4: shield gas
5: Plasma stream 6: Curve
9: bent portion 10:

Claims (14)

전극으로부터 모재의 상단으로 에너지가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상기 전극과 상기 모재의 사이에 아크가 형성되며, 상기 아크에 의하여 용융되는 것으로,
그 단면이 폭과 두께로 표현되는 평판이, 상기 단면의 중심점에서 상기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을 포함하는 중앙부; 및 상기 단면의 양 끝단에 위치되는 끝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끝단부가 상기 전극을 향하여 휘어진 오목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단면에서 상기 평판의 중앙부의 두께가 상기 평판의 끝단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티그 용접용 용가재.
Energy is continuously supplied from the electrode to the upper end of the base material so that an arc is formed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base material and is melted by the arc,
A center portion including a center line extend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from a center point of the cross section, the flat plate having a cross section expressed by a width and a thickness; And end portions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cross section,
The end portion having a concave shape bent toward the electrode,
Wherein a thickness of a central portion of the flat plate in the cross section is thicker than a thickness of an end portion of the flat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이 상기 모재로부터의 수직선에 대하여 서로 대칭인 티그 용접용 용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ross section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vertical line from the base materia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에서 상기 평판의 중앙부의 두께가 상기 평판의 끝단부의 두께의 1.1 내지 2배인 티그 용접용 용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flat plate in the cross section is 1.1 to 2 times the thickness of the end portion of the flat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에서 상기 폭이 3mm 내지 10mm이며, 상기 두께가 0.3 내지 1mm인 티그 용접용 용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dth is 3 mm to 10 mm in the cross section, and the thickness is 0.3 to 1 mm.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가재의 재질은 sus300계열, 알로이 625, 듀플렉스 sts2209 및 슈퍼 듀플렉스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티그 용접용 용가재.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4, and 5,
Wherein the material of the above-mentioned excipient is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us300 series, alloys 625, duplex sts2209 and super duplex.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50139903A 2015-10-05 2015-10-05 Filler metal shape for TIG welding KR1016216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903A KR101621696B1 (en) 2015-10-05 2015-10-05 Filler metal shape for TIG wel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903A KR101621696B1 (en) 2015-10-05 2015-10-05 Filler metal shape for TIG welding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8314A Division KR101698802B1 (en) 2013-08-20 2013-08-20 Filler metal shape for TIG weld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907A KR20150120907A (en) 2015-10-28
KR101621696B1 true KR101621696B1 (en) 2016-05-19

Family

ID=54428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903A KR101621696B1 (en) 2015-10-05 2015-10-05 Filler metal shape for TIG wel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169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3357A (en) * 2003-06-30 2005-01-27 Sumitomo Metal Ind Ltd Welded joint obtained by using stainless steel having excellent welding workabilit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3357A (en) * 2003-06-30 2005-01-27 Sumitomo Metal Ind Ltd Welded joint obtained by using stainless steel having excellent welding workability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 M. Tang 외 3 인. Three-dimensional modelling of a dc arc plasma in a twin-torch system. Journal of Physics D: Applied Physics. 43(2010)
M. L. Lin 외 1인. Influence of arc pressure on weld pool geometry. Welding Journal, Vol.64, No.6, pp. S163-S169.(1985)*
전재호 외 5인. TIG Cladding에서 플라즈마 Streamline을 고려한 곡면 Strip 형상에 관한 연구. 2013년 춘계학술대회 발표초록. 대한용접접합학회. 2013.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907A (en) 2015-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21422A1 (en) Welding method for copper and steel and application thereof
CA2973830C (en) Electric-resistance-welded stainless clad steel pip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2962543A (en) Welding process for red copper and stainless steel dissimilar materials
EP3812084A1 (en) Cable-type welding wire
CN102744499B (en) Double-side double-arc welding process for root layer of pipeline
JP5854145B2 (en) Submerged arc welding method, welded joint and steel pipe manufacturing method
CN102319943A (en) Novel narrow-gap gas metal arc welding gun
KR101698802B1 (en) Filler metal shape for TIG welding
WO2009075596A2 (en) Method of manufacture of finned tubes using laser welding process
CN105728911A (en) Process for welding steel pipes of pipelines
WO2014088111A1 (en) Narrow-gap, gas-shielded arc welded joint
KR101621696B1 (en) Filler metal shape for TIG welding
KR101644019B1 (en) Filler metal shape for welding
JP2010172896A (en) Multi-electrode submerged arc welding method of steel material
CN105689916A (en) Welding rod suitable for welding carbon steel and copper materials
CN103386537A (en) Conical tip argon tungsten-arc welding method adopting 4d tungsten electrode
KR20150021240A (en) Forming and feeding device of filler metal shape for TIG welding
KR20150125843A (en) Filler metal shape for welding
CN103170755A (en) Flat round-corner-shaped bead welding rod having coatings with different thicknesses
JPS59101293A (en) Production of welded pipe
KR102046611B1 (en) Filler feeding device for tig welding machine
KR20170051608A (en) Filler metal shape for welding
JPS5915757B2 (en) Flux-cored wire for vertical and horizontal arc welding of stainless steel
CN103862134A (en) Vertical down welding method of J422 plain steel electrode
JP7323781B2 (en) Multi-electrode submerged arc weld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