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1429B1 - life jacket - Google Patents

life jack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1429B1
KR101621429B1 KR1020140042273A KR20140042273A KR101621429B1 KR 101621429 B1 KR101621429 B1 KR 101621429B1 KR 1020140042273 A KR1020140042273 A KR 1020140042273A KR 20140042273 A KR20140042273 A KR 20140042273A KR 101621429 B1 KR101621429 B1 KR 101621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auxiliary
auxiliary support
auxiliary supporting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2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17044A (en
Inventor
김수정
이승준
Original Assignee
김수정
이승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정, 이승준 filed Critical 김수정
Priority to KR1020140042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1429B1/en
Publication of KR20150117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70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4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1/00Swimming a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구명조끼는, 내부에 부력재가 삽입되고, 착용자의 상체를 감쌀 수 있는 조끼 형태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후면에 각각 구비되어 수면 상과 수평한 상태가 되도록 선택적으로 펼칠 수 있는 보조지지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착용자의 체형에 맞게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일단이 상기 보조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에 상기 보조지지부를 일체로 견고히 고정하거나, 상기 보조지지부를 수면 상에 펼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fe v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in the form of a vest, into which a buoyancy material is inserted and which can wrap the upper body of the wearer, and a front portion and a rea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 length adjust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dy and adapted to adjust the size of the body according to the body shape of the wearer and a second adjuster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auxiliary support, And a fastening part for firmly fixing the supporting part integrally or controlling the auxiliary supporting part to spread on the water surface.

Description

구명조끼{life jacket}Life jacket {life jacket}

본 발명은 구명조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명조끼의 전후면에 날개형의 보조 부력재가 구비되어, 착용자가 수면 상에서 물의 유동에 따른 흔들림 없이 수평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구명조끼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e vest,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fe vest having a wing-like auxiliary buoyancy member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life vest, wherein the wearer can be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without shaking due to the flow of water .

일반적으로, 수상 레포츠를 즐길 때에는 만일의 사고 발생시 익사 등의 인명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상 레포츠를 즐기는 모든 이는 각자 구명조끼를 착용하도록 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해변, 강변, 호소 및 계곡 등에서의 물놀이 시에도 남여노소를 할 것 없이 안전을 위해 구명조끼를 착용하여야 한다는 인식이 보편화됨으로서 구명조끼의 소비가 지속적으로 증대하고 있다.In general, when enjoying water sports, every person who enjoys water sports is required to wear a life jacket to prevent accidents such as drowning in the event of an accident. In recent years, water sports such as beaches, riversides, Consumption of life jackets is steadily increasing as the perception that life jackets should be worn for safety, regardless of sex.

이러한 종래의 구명조끼는 부력재를 사용하여 조끼 형태로 제작된 것으로서, 양측 옆구리부와 앞쪽 중간부가 수직으로 절개형성되고, 이러한 절개부는 간격조절이 가능한 다수개의 연결부재와 연결띠로 연결되어 앞쪽 절개부는 착탈이 용이하면서도 간격조절이 가능한 연결부재로 연결되고, 양측 옆구리부의 절개부는 간격조절이 가능한 연결부재로 연결되어 있다. Such a conventional life vest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vest using a buoyancy material. The two side portions and the front middle portion are vertically cut. The cutout portion is connected by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and a connecting strap, And the cutout portions of both side portio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member capable of adjusting the distanc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구명조끼는 상체에 착용 후 앞쪽 연결부재를 결합시켜 상체에 착용하거나 또는 연결부재의 결합을 해제시킨 후 상체로 부터 탈거하며, 착용 후에는 옆쪽 연결띠의 길이를 연장하거나 줄여 구명조끼가 체형을 맞도록 한다.The conventional life vest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formed by attaching a front connecting member to an upper body after being worn on an upper body so as to be worn on an upper body or disengaged from a connecting member, then removed from an upper body, Or reduce it to fit the life jacket.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명조끼는 크기에 따라 정해진 부력을 갖도록 제작되고, 사용자의 신장에 비례하여 구명조끼를 착용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 적합한 부력을 갖도록 하는 맞춤형구명조끼의 착용이 불가능하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life vest is designed to have a predetermined buoyancy according to its size and wears a life vest in proportion to the height of the user, it is not possible to wear a customized life vest having a proper buoyancy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user Do.

뿐만 아니라 구명조끼의 부력재의 성질상 유연성이 없기 때문에 구명조끼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체의 동작이 크게 제약을 받기 때문에 착용자의 거동이 매우 불편함은 물론 구명조끼를 착용한 상태로 입수하였을 때 가슴 아래와 허리 사이의 몸통에도 부력이 작용하여 수면상에서 수직상태로 부상되지 않고 항상 비스듬한 상태로 부상된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flexibility in the nature of the buoyancy material of the life vest, the behavior of the upper body is greatly restricted in the state of wearing the life vest. Therefore, the wearer's behavior is very inconvenient. Buoyancy is applied to the body between the waist so that it does not float vertically on the water surface but floats always in an oblique state.

그리고, 허리 이하에는 부력이 전혀 없어 착용자가 수면 상에 수평하게 부상될 수 없어 장시간 수면상에 표류하게 될 때에는 착용자의 체력소모가 많아 긴급 상황에 대하여 신속히 대처하기 어렵고, 물의 유동에 따라 부력에 의해 앞뒤좌우로 흔들림이 많아 불안감을 증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When the wearer is unable to float horizontally on the surface of the water because there is no buoyancy under the waist, when the wearer drifts on the water surface for a long time, the wearing power of the wearer is large and it is difficult to quickly cope with the emergency situation. There was a problem of increasing anxiety because there were many shakes in the front and back sides.

한국공개특허 10-2010-001863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18633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구명조끼의 몸체 전후면부에 보조지지부가 구비되어 착용자가 선택적으로 상기 보조지지부를 수면 상에 펼쳐서 물의 유동에 따른 흔들림 없이 수면 상에서 수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명조끼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fe vest having an auxiliary support portion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a body of a lifejacket so that the wearer can selectively spread the auxiliary support on the surface of the water,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ustainable life jacke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mentioned here, can be understood by referring to the following descrip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understood clearly.

본 발명에 따른 구명조끼는 내부에 부력재가 삽입되고, 착용자의 상체를 감쌀 수 있는 조끼 형태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후면에 각각 구비되어 수면 상과 수평한 상태가 되도록 선택적으로 펼칠 수 있는 보조지지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착용자의 체형에 맞게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일단이 상기 보조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에 상기 보조지지부를 일체로 견고히 고정하거나, 상기 보조지지부를 수면 상에 펼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fe v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part in the form of a vest, into which a buoyancy material is inserted and which can wrap the upper body of the wearer, and a body part which is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ody part, An auxiliary support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having a length adjusting portion capable of adjusting the size of the body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body shape of the wearer and a second adjusting portion provided on a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And a fastening part for fastening the auxiliary supporting part to the surface of the auxiliary supporting part so that the auxiliary supporting part can be sprea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본 발명에 따른 구명조끼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부는 몸체 중간부가 수직으로 절개된 날개 형상의 전면 보조지지부와 일자 형상의 후면 보조지지부로 구성되고, 상기 보조지지부의 이면에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는 보조체결부가 다수개 구비되어, 수면상에서 상기 보조지지부가 상기 몸체부에 견고히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life v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may include a front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in the form of a wing cut vertically cut in the middle of the body and a rear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A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are provided so that the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can be firmly supported on the body portion on the water surface.

본 발명에 따른 구명조끼에 있어서, 상기 전면 보조지지부는 수직으로 절개된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더 형성되어, 상기 착용자가 선택적으로 일체로 형성하거나 상기 연결부재를 해체하여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life v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vertically cut body, and the wearer may be integrally formed integrally or the connecting member may be disassembled and separated .

본 발명에 따른 구명조끼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부는 상기 착용자가 물의 유동에 따른 흔들림 없이 수면상에서 수평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life v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can keep the wearer in a horizontal state on the water surface without shaking due to the flow of water.

본 발명에 따른 구명조끼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착용자의 신체 전면을 지지을 지지하는 전면부재와 상기 착용자의 신체 후면을 지지하는 후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후면부재는 상기 착용자의 어깨부를 밀착 고정하는 제 1 지지부재와, 상기 착용자의 몸통부를 밀착 고정하는 제 2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life v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may include a front member for supporting the front of the wearer's body and a rear member for supporting the back of the wearer's body, and the rear member may include a shoulder portion And a second support member for tightly fixing the body portion of the wearer.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구명조끼는 구명조끼의 몸체 전후면부에 보조지지부가 구비되어 착용자가 선택적으로 상기 보조지지부를 수면 상에 펼쳐서 물의 유동에 따른 흔들림 없이 수면 상에서 수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olution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life ve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uxiliary supporting portions on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body of the life jacket, so that the wearer selectively spreads the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on the water surface to be horizontal on the water surface without shaking due to the flow of water There is a sustainable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의 구성을 도시한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의 구성을 도시한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 보조지지부를 펼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 보조지지부를 펼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 보조지지부를 펼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life v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life v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life v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life v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e vest auxiliary suppo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6 is a rear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e vest auxiliary suppo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7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e vest auxiliary suppo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의 구성을 도시한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의 구성을 도시한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 보조지지부 펼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 보조지지부를 펼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 보조지지부를 펼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life j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life j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life v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view of the life vest auxiliary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rear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e support auxiliary suppo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e support auxiliary suppo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FIG.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명조끼(100)는, 착용자의 상체를 감싸는 몸체부(10), 상기 몸체부(10) 전후면에 구비되는 보조지지부(20), 상기 착용자의 체형에 맞게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30), 상기 보조지지부(20)를 제어하는 체결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the life ves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10 surrounding an upper body of a wearer, an auxiliary support portion 20 provided on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ody portion 10, A length adjuster 30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wearer's body according to the body shape of the wearer, and a fastening part 40 for controlling the auxiliary support 20.

몸체부(10)는 상기 착용자의 가슴과 배를 감싸는 전면부재(11)와 상기 착용자의 등과 허리를 감싸는 후면부재(12)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부재(11)와 상기 후면부재(12)는 아래에서 설명될 길이조절부(30)로 연결되어, 상기 길이조절부(30)가 상기 전면부재(11)와 상기 후면부재(12)의 상단 및 양측단에 구비되어, 상기 착용자의 사이즈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The body 10 comprises a front member 11 surrounding the wearer's chest and belly, and a rear member 12 surrounding the wearer's back and waist. The front member 11 and the rear member 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length adjusting unit 3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length adjusting unit 30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front member 11 and the rear member 12 And can be selectiv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wearer.

상기 몸체부(10)는 수직으로 절개된 상기 전면부재(11)에 체결밸트(13)가 구비되어, 상기 체결밸트(13)가 서로 결합되어, 상기 착용자의 상체를 고정시킬 수 있다. The body portion 10 is provided with a clamping belt 13 on the vertically cut front member 11 so that the clamping belt 13 can be engaged with each other to fix the upper body of the wearer.

상기 후면부재(12)는 상기 착용자의 어깨부를 감싸도록 연장 형성된 제 1 지지부재(12a)와 상기 착용자의 몸통부를 감싸도록 연장 형성된 제 2 지지부재(1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rear member 12 includes a first support member 12a extending to cover the shoulder portion of the wearer and a second support member 12b extending to surround the wearer's body portion.

상기 제 1 지지부재(12a)는 상기 전면부재(11)의 상단부와 중첩되고, 상기 제 2 지지부재(12b)는 상기 전면부재(11)의 양측단부와 중첩되어 상기 착용자가 상기 길이조절부(30)를 통해 상기 착용자의 신체에 완전 밀착 고정시킬 수 있다.The first supporting member 12a overlaps with the upper end of the front member 11 and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12b overlaps with both ends of the front member 11 so that the wearer can adjust the length 30 to the wearer's body.

상기 몸체부(10)는 통상 내, 외피의 이중구조를 가지고, 상기 내, 외피 사이에 부력재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재봉 처리하여 구성된다. The body portion 10 has a dual structure of an inner and an outer shell, and is formed by performing a sewing process while inserting a buoyancy material between the inner and outer sheaths.

보조지지부(20)는 상기 전면부재(11)와 상기 후면부재(12)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보조지지부(20)는 상기 몸체부(10)와 동일하게 내, 외피의 이중구조를 가지고, 상기 내, 외피 사이에 부력재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재봉 처리하여 구성된다.The auxiliary support 20 is provided on the front member 11 and the rear member 12, respectively. The auxiliary support portion 20 has a dual structure of an inner and an outer shell as in the case of the body portion 10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buoyant material is insert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sheaths.

상기 보조지지부(20)는 선택적으로 접어서 상기 몸체부(10)에 일체형으로 구성하거나 전후방향으로 회전시켜 펼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수면 상에 펼친 상태의 상기 보조지지부(20)는 상기 몸체부(10)의 전후방에 부력을 발생시켜 상기 몸체부(10)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몸체부(10)가 수평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The auxiliary support portion 20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body portion 10 by selectively folding it, or may be rota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auxiliary support portion 20 in a state of being spread on the water surface generates buoyancy in front and rear of the body portion 10 to support the body portion 10 so that the body portion 10 can be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

상기 보조지지부(20)는 몸체 중간부가 수직으로 절개된 날개 형상의 전면 보조지지부(21)와 일자 형상의 후면 보조지지부(22)로 구성된다.The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20 is composed of a front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21 in the form of a wing and a straight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22 in the form of a vertically incised body.

상기 전면 보조지지부(21)는 상기 몸체부(10)의 전면부재(11)에 구비되어, 절개된 한 쌍의 전면 보조지지부(21) 사이에 연결부재(24)가 구비된다. The front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21 is provided on the front member 11 of the body portion 10 and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member 24 between a pair of front auxiliary supporting portions 21 cut out.

상기 연결부재(24)를 체결하면 각각의 상기 전면 보조지지부(21)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연결부재(24)를 해체하면, 상기 전면 보조지지부(21) 사이 간격이 벌어지면서 상기 착용자의 양팔에 각 상기 전면 보조지지부(21)를 지지하여 수영보조도구로 활용하거나, 스노쿨링과 같은 물놀이 등 다양하게 설계변경이 가능하다.When the connecting member 24 is fastened, the respective front auxiliary supporting portions 21 can be integrally formed. When the connecting member 24 is dismantled, the gap between the front auxiliary supporting portions 21 is widened,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front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21 as a swimming aid or to change various designs such as snorkeling.

상기 후면 보조지지부(22)는 상기 몸체부(10)의 후면부재(12)에 구비되어,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후면 보조지지부(22)는 수면 상에서 상기 착용자가 힘을 빼고 뒤로 누웠을 때 상기 착용자의 머리를 지지해주어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rear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22 is provided on the rear member 12 of the body portion 10 and is formed in a plate shape. The rear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22 supports the head of the wearer when the wearer is depressed on the water surface and laid back, so that a comfortable posture can be maintained.

상기 보조지지부(20)의 이면에 보조체결부(23)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체결부(23)는 상기 전면부재(11)에 연결되는 제 1 보조체결부(23a)와, 상기 후면부재(12)에 연결되는 제 2 보조체결부(23b)로 구성된다.An auxiliary fastening part (23) is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auxiliary supporting part (20). The auxiliary coupling part 23 includes a first auxiliary coupling part 23a connected to the front member 11 and a second auxiliary coupling part 23b connected to the rear member 12.

도 5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 1 보조체결부(23a)는 한 쌍으로 일단이 상기 전면 보조지지부(21)의 이면에 각각 연결되고, 타탄은 상기 전면부재(11)에 연결되어 상기 전면 보조지지부(21)가 수면 상에서 수평하게 펼쳐질 때, 일정 범위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몸체부(10)에 견고히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5 to 6, the first auxiliary fastening portions 23a are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auxiliary support portion 21 at one end thereof, and the tread is connected to the front surface member 11, When the front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21 is horizontally spread on the water surface, the front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21 can be prevented from rotating over a certain range and can be firmly supported on the body portion 10.

상기 제 2 보조체결부(23b)는 일단이 상기 후면 보조지지부(22)의 이면에 연결되고, 타탄은 상기 후면부재(12)에 연결되어 상기 후면 보조지지부(22)가 수면 상에서 수평하게 펼쳐질 때, 일정 범위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몸체부(10)에 견고히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One end of the second auxiliary fastening portion 23b is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22 and the other is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member 12 so that when the rear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22 is horizontally spread on the water surface So as not to rotate over a predetermined range, and can be firmly supported on the body 10.

또한, 상기 제 1,2 보조체결부(23a,23b)는 수면 상에서 다수의 상기 착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fastening portions 23a and 23b may function as a handle so that a plurality of the wearers can grasp on the water surface.

도 4를 참고하면, 길이조절부(30)는 상기 몸체부(10)의 상단과 양측단에 다수개 구비된다. 다수개의 상기 길이조절부(30) 중 어느 하나인 제 1 길이조절부(31)는 상기 착용자의 상체를 고정할 수 있는 상기 체결밸트(13)와 연통되며, 상기 제 1 길이조절부(31)의 길이를 임의로 조절하여 상기 착용자의 체형에 맞게 상기 몸체부(10)의 둘레를 조절하여 상기 체결밸트(13)로 고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plurality of length adjusting portions 30 are provided at the upper and both ends of the body 10. The first length adjuster 31, which is one of the plurality of length adjusters 30, communicates with the fastening belt 13 that can fix the wearer's upper body. The first length adjuster 31, The length of the body portion 10 can be adjusted to adjust the circumference of the body portion 10 in accordance with the body shape of the wearer so as to fix the body portion 10 with the fastening belt 13.

또한, 다수개의 상기 길이조절부(30) 중 다른 하나인 제 2 길이조절부(32)는 한 쌍으로 상기 전면부재(11)와 상기 후면부재(12)의 상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 2 길이조절부(32)의 길이를 임의로 조절하여 상기 착용자의 체형에 맞게 상기 몸체부(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The second length adjusting portions 32 which are the 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length adjusting portions 30 are connected to the upper ends of the front member 11 and the rear member 12 as a pair, The length of the body portion 1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body shape of the wearer by arbitraril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32.

도 3을 참고하면, 체결부(40)는 상기 전면부재(11)와 상기 후면부재(12)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 1 체결부(41)는 한 쌍으로 일단이 상기 전면부재(11)의 하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전면 보조지지부(21)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착용자가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체결부(41)를 체결하여 상기 전면 보조지지부(21)를 상기 전면부재(11)와 일체로 형성하거나, 체결을 해체하여 수면 상에 수평하게 펼칠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3, the fastening part 40 is provided on the front member 11 and the rear member 12, respectively. One end of the first fastening portions 41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ront member 11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fastening portions 41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ront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21, And the front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21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ront member 11 or the coupling is disassembled so as to be horizontally spread on the water surface.

그리고, 상기 제 2 체결부(42)는 일단이 상기 후면부재(12)의 하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후면 보조지지부(22)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착용자가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체결부(42)를 체결하여 상기 후면 보조지지부(22)를 상기 후면부재(12)와 일체로 형성하거나, 체결을 해체하여 수면 상에 수평하게 펼칠 수 있도록 한다.One end of the second fastening part 42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rear member 12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astening part 42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rear auxiliary supporting part 22, The rear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22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rear member 12 by fastening the rear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42 or the rear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22 is disassembled to be horizontally spread on the water surfac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구명조끼(100)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life vest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착용자는 자신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상기 몸체부(10)에 구비된 길이조절부(30)를 통해 상기 몸체부(10)의 둘레 및 길이를 조정한다. First, the wearer adjusts the circumference and length of the body 10 through the length adjuster 30 provided on the body 10 according to his / her body size.

상기 몸체부(10)는 전면부재(11)와 후면부재(12)로 구성된다. 상기 후면부재는(12)는 상기 착용자의 어깨부위를 밀착고정할 수 있는 제 1 지지부재(12a)와 상기 착용자의 몸통부위를 밀착고정할 수 있는 제 2 지지부재(12b)가 더 연장형성되어, 상기 전면부재(11)와 중첩되면서 상기 착용자의 상체에 보다 밀착고정될 수 있다.The body 10 comprises a front member 11 and a rear member 12. The rear member 12 further includes a first support member 12a capable of closely fixing the shoulder portion of the wearer and a second support member 12b capable of closely fixing the body portion of the wearer, And can be more tightly fixed to the upper body of the wearer while being overlapped with the front face member (11).

상기 착용자가 상기 몸체부(10)의 하단에 구비된 체결부(40)를 체결하였을 경우에는 통상적인 구명조끼와 동일하지만 상기 체결부(40)를 해체하게 되면 상기 몸체부(10)의 전면부재(11)와 후면부재(12)에 각각 구비된 보조지지부(20)가 전후방향으로 회전하여 수면 상에 수평하게 펼쳐지게 된다.When the wearer tightens the fastening part 40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part 10, it is the same as the normal life vest. However, if the fastening part 40 is dismantled, The auxiliary supporting portions 20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member 11 and the rear surface member 12 are rota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horizontally spread on the water surface.

상기 보조지지부(20)는 상기 전면부재(11)의 일측에 구비된 전면 보조지지부(21)와 상기 후면부재(12)의 일측에 구비된 후면 보조지지부(22)로 구성된다.The auxiliary support part 20 includes a front auxiliary supporting part 21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ront member 11 and a rear auxiliary supporting part 22 provided at one side of the rear member 12.

상기 전면 보조지지부(21)는 상기 전면부재(11)로부터 전방향으로 펼쳐져서 수면 상에 놓여지고, 상기 후면 보조지지부(22)는 상기 후면부재(12)로부터 후방향으로 펼쳐져서 수명 상에 놓여지게 된다.The front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21 is spread out in the forward direction from the front member 11 to be placed on the water surface and the rear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22 is extended in the backward direction from the rear member 12, .

상기 보조지지부(20)가 상기 몸체부(10)의 전후방에서 부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오뚜기와 같은 효과로 인해 물의 유동에 따른 흔들림 없이 수면 상에서 수평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By generating the buoyant force in front of and behind the body 10, the auxiliary support 20 can be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on the water surface without shaking due to the flow of water due to the same effect as a grasshopper.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ing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equivalent concept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몸체부 11. 전면부재
12. 후면부재 12a. 제 1 지지부재
12b. 제 2 지지부재 13. 체결밸트
20. 보조지지부 21. 전면 보조지지부
22. 후면 보조지지부 23. 보조체결부
23a. 제 1 보조체결부 23b. 제 2 보조체결부
24. 연결부재 30. 길이조절부
31. 제 1 길이조절부 32. 제 2 길이조절부
40. 체결부 41. 제 1 체결부
42. 제 2 체결부
10. Body part 11. Front member
12. Rear member 12a. The first support member
12b. Second supporting member 13. fastening belt
20. Auxiliary support 21. Front auxiliary support
22. Rear auxiliary support 23. Auxiliary fastening
23a. First auxiliary fastening portion 23b. The second sub-
24. The connecting member 30. The length-
31. A first length adjuster 32. A second length adjuster
40. Fastening part 41. First fastening part
42. Second coupling part

Claims (5)

내부에 부력재가 삽입되고, 착용자의 상체를 감쌀 수 있는 조끼 형태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전후면에 각각 구비되어 수면 상과 수평한 상태가 되도록 선택적으로 펼칠 수 있는 보조지지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착용자의 체형에 맞게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일단이 상기 보조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에 상기 보조지지부를 일체로 견고히 고정하거나, 상기 보조지지부를 수면 상에 펼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조지지부는,
몸체 중간부가 수직으로 절개된 날개 형상의 전면 보조지지부와 일자 형상의 후면 보조지지부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착용자의 신체 전면을 지지을 지지하는 전면부재와 상기 착용자의 신체 후면을 지지하는 후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후면부재는 상기 착용자의 어깨부를 밀착 고정하는 제 1 지지부재와, 상기 착용자의 몸통부를 밀착 고정하는 제 2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조끼.
A body portion in the form of a vest, into which a buoyancy material is inserted and which can wrap the upper body of the wearer;
An auxiliary support unit provided on each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ody part, the auxiliary support unit being selectively movable in a horizontal state with respect to the water surface;
A length adjust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dy to adjust the size of the wearer in accordance with the body shape; And
And a fastening part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body part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auxiliary supporting part to integrally secure the auxiliary supporting part to the body part or to control the auxiliary supporting part to sprea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The auxiliary support portion
A front auxiliary support portion in the form of a blade having a vertically incised blade portion in the middle of the body, and a rear auxiliary support portion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The body portion
A front member for supporting the body front of the wearer and a rear member for supporting the body rear face of the wearer,
Wherein the rear member comprises a first support member for tightly fixing the shoulder portion of the wearer and a second support member for tightly fixing the body portion of the wear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부는,
상기 보조지지부의 이면에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는 보조체결부가 다수개 구비되어, 수면상에서 상기 보조지지부가 상기 몸체부에 견고히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조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uxiliary support portion
Wherein a plurality of auxiliary fastening portions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are provided on a back surface of the auxiliary support portion so that the auxiliary support portion can be firmly supported on the body portion on the water surfac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보조지지부는,
수직으로 절개된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더 형성되어, 상기 착용자가 선택적으로 일체로 형성하거나 상기 연결부재를 해체하여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조끼.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ront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includes:
And a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vertically cut body is further formed so that the wearer can be selectively formed integrally or can be disassembled by disassembling the connecting memb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부는,
상기 착용자가 물의 유동에 따른 흔들림 없이 수면상에서 수평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조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uxiliary support portion
Wherein the wearer is able to maintain a horizontal state on the water surface without shaking due to the flow of water.


삭제delete
KR1020140042273A 2014-04-09 2014-04-09 life jacket KR1016214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273A KR101621429B1 (en) 2014-04-09 2014-04-09 life jack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273A KR101621429B1 (en) 2014-04-09 2014-04-09 life jack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044A KR20150117044A (en) 2015-10-19
KR101621429B1 true KR101621429B1 (en) 2016-05-16

Family

ID=54399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273A KR101621429B1 (en) 2014-04-09 2014-04-09 life jack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142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433B1 (en) * 2017-12-22 2019-04-05 이명자 A Life Jacke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461B1 (en) 2019-02-13 2020-08-13 유원기 A working clothes for lifesav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0349Y2 (en) 1989-10-30 1996-09-11 孝盛 後藤 Work life jacket
KR101182957B1 (en) 2011-03-16 2012-09-13 김재홍 The life jack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0349Y2 (en) 1989-10-30 1996-09-11 孝盛 後藤 Work life jacket
KR101182957B1 (en) 2011-03-16 2012-09-13 김재홍 The life jacke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433B1 (en) * 2017-12-22 2019-04-05 이명자 A Life Jacket
WO2019124745A1 (en) * 2017-12-22 2019-06-27 이명자 Life jack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044A (en) 2015-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26939T3 (en) Set of leg bands and safety harness that includes it
GB2456682B (en) Swim cap
US20090075537A1 (en) Whitewater ankle floatation safety device
US20130217281A1 (en) Buoyancy Vest
KR20140053920A (en) Swimming cap
KR101621429B1 (en) life jacket
TW393417B (en) Torso warmer and buoyancy compensator stabilizer
AU2015216816B2 (en) Buoyancy assistance kit
KR20140120789A (en) Heating device consisting of a wetsuit on
KR101680532B1 (en) Harness assembly for backmount Buoyancy Compensators Device with ease wearing and removing
JP2016210412A (en) Vest with continuous strap
US4123814A (en) Flotation device
KR20150002042U (en) Life jacket for baby
KR20100018633A (en) A life jacket has multi-function
KR20150004405U (en) A Life Jacket
KR101828922B1 (en) Life Jacket with Kick Plate and Elastic Band
JP2019051177A (en) Eye mask
JP2014054861A (en) Life vest
KR20180128298A (en) Graphic transcribed life jacket
JP3208449U (en) Assist band, underwater mask equipped with the assist band, and exercise goggles
KR20160143001A (en) Transparent tube type life vest
CN204540876U (en) A kind of Inflated swimming suit
GB2555539A (en) Harness-based buoyancy control device
KR200489540Y1 (en) Life jackets
KR20240033443A (en) life jacket fix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