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1326B1 -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1326B1
KR101621326B1 KR1020090097996A KR20090097996A KR101621326B1 KR 101621326 B1 KR101621326 B1 KR 101621326B1 KR 1020090097996 A KR1020090097996 A KR 1020090097996A KR 20090097996 A KR20090097996 A KR 20090097996A KR 101621326 B1 KR101621326 B1 KR 101621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hedron
polyhedron object
mapped
information
obje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1013A (ko
Inventor
박환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to KR1020090097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1326B1/ko
Publication of KR20110041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1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장치에 구비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면에 정보가 매핑된 다면체 객체를 표시하는 과정과, 다면체 객체의 결합이 요청되면, 상기 표시된 다면체 객체를 구성하는 다수의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 면과 상기 결합할 다면체 객체를 구성하는 다수의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 면을 부착하여 다면체 객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다면체 객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GUI, 위젯, 메뉴, 아이콘, 큐브

Description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본 발명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 GUI)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3차원 GUI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 전화와 같은 디지털 장치에는 디지털 장치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빠르고 직관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GUI가 사용된다. 사용자는 키패드, 키보드, 마우스 또는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수단을 통해 포인터를 움직이고, 포인터가 가리키는 객체(object)를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동작을 디지털 장치에 명령할 수 있다.
GUI는 크게 2차원 GUI와 3차원 GUI로 분류된다. 2차원 GUI는 평면적이고 정적인데 비해 3차원 GUI는 2차원 GUI에 비해 입체적이고 동적이기 때문에 정보의 전달에 있어서 보다 시각적이고 직관적임으로 사용자 감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로 인해 현재 많은 디지털 장치에서 GUI 환경이 2차원 GUI에서 3차원 GUI로 점차 대체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3차원 GUI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디지털 장치에서 다면체 객체를 사용하는 3차원 GUI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장치에서 다면체 객체를 사용하는 3차원 GUI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재배열할 수 있는 GUI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둘 이상의 다면체 객체들을 통해 3차원 GUI를 제공하는 디지털 장치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다면체 객체들을 재구성할 수 있는 GUI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면에 정보가 매핑된 다면체 객체를 표시하는 과정과, 다면체 객체의 결합이 요청되면, 상기 표시된 다면체 객체를 구성하는 다수의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 면과 상기 결합할 다면체 객체를 구성하는 다수의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 면을 부착하여 다면체 객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다면체 객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결합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 면에 정보가 매핑되어 있으면, 상기 매핑된 정보를 상기 표시된 다면체 객체를 구성하는 면들과 상기 결합할 다면체 객체를 구성하는 면들 중 정보가 매핑되지 않은 유효한 면에 이동하여 매핑하며, 상기 유효한 면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결합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에 해당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면에 정보가 매핑된 다면체 객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다면체 객체의 결합이 요청되면 상기 표시된 다면체 객체를 구성하는 다수의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 면과 상기 결합할 다면체 객체를 구성하는 다수의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 면을 부착하여 다면체 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다면체 객체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GUI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GUI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결합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 면에 정보가 매핑되어 있으면, 상기 매핑된 정보를 상기 표시된 다면체 객체를 구성하는 면들과 상기 결합할 다면체 객체를 구성하는 면들 중 정보가 매핑되지 않은 유효한 면에 이동하여 매핑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며,
여기서, 상기 유효한 면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결합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에 해당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메뉴, 위젯, 아이콘 등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재배열하여 3차원으로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메뉴 선택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메뉴, 위젯, 아이콘 등에 해당하는 객체들의 배치를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변화시킴으로써, 사용자의 감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장치는 구비된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 CPU)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된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표시 장치를 통해 GUI를 제공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디지털 장치는 이동 전화, PDA, 랩-탑, 데스크-탑, 스마트 폰, 디지털 TV, 디지털 복사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디지털 프로젝트,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 셋 탑 박스 등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3차원 다면체 객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참조번호 100은 3차원 다면체 객체(102)를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내며, 참조번호 104와 106은 상기 다면체 객체(102)의 면에 정보가 매핑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서는 다면체 객체(102)를 정육면체로 가정하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삼각 기둥, 육각 기둥, 직육면체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다면체 객체(102)를 구성하는 면은 사용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 면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보 면이란 사용자가 제어 가능한 메뉴 항목 또는 각 하위 메뉴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는 면을 의미한다. 정보 면에는 상기 도 1에서와 같이 2차원 위젯, 이미지, 동영상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다면체 객체는 상기 정보 면을 통해 텍스트, 메뉴, 아이콘, 버튼, 파일, 입체형 아이콘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정보 면에 매핑 가능한 텍스트, 파일, 이미지, 동영상, 아이콘, 버튼, 메뉴, 입체형 아이콘 등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소정 동작에 대한 기능 또는 용도를 알려줌으로써 사용자 선택에 의해 소정 동작이 수행될 수 있는 픽토그램(pictogram)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하는 것들을 정보라고 통칭하기로 한다. 또한, 이러한 다면체 객체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다면체 객체의 크기, 모양, 위치, 각도 등이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200)는 디지털 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202)는 사용자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제어 신호를 GUI 제어부(204)로 출력한다.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어 신호를 제공받는 방식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종류가 적외선 통신을 지원하는 방식인 경우, 상기 사용자는 리모컨 등의 외부 제어 수단을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입력할 것이다. 하지만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종류가 직접 입력하는 방식인 경우, 상기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 또는 상기 디지털 장치에 구비된 키를 직접 조작함으로써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는 다면체 객체 선택 신호, 다면체 객체의 움직임 및 크기 제어 신호, 다면체 객체들에 대한 결합 요청 신호, 결합된 다면체 객체들 중 소정 다면체 객체에 대한 제거 요청 신호, 다면체 객체의 각 면에 매핑된 정보를 선택하는 선택 신호, 선택된 정보에 대한 실행 요청 신호 등 다면체 객체에 관련된 모든 신호가 될 수 있다.
GUI 제어부(20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정보들이 매핑된 다수의 면들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다면체 객체를 생성하여 표시부(206)로 출력한다. GUI 제어부(204)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다면체 객체의 면에 매핑된 특정 정보에 대한 실행 요청이 수신될 경우 해당 정보를 표시부(206)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리고, GUI 제어부(20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202)를 통해 다면체 객체 에 대한 선택이 이루어질 경우, 해당 다면체 객체를 활성화시키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다면체 객체를 구성하여 표시부(206)를 통해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GUI 제어부(204)는 사용자로부터 결합 요청된 다면체 객체들을 결합하고, 결합된 다면체 객체를 표시부(206)를 통해 출력한다. 본 발명의 GUI 제어부(204)는 제어 신호, 선택 신호, 결합 요청 신호, 제거 요청 신호 등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2)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예컨대, 사용자로부터 결합 요청 신호가 입력될 경우, GUI 제어부(204)는 선택된 다면체 객체들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결합시키거나 새로운 다면체 객체를 생성하고, 제거 요청 신호가 입력될 경우, 선택된 다면체 객체를 제거하고, 회전 또는 크기 변경에 대한 요청이 입력될 경우 표시부(206)에 표시된 다면체 객체를 회전 시키거나 크기를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GUI 제어부(20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202)를 통해 다면체 객체의 결합이 요청되면 상기 표시부(206)에 표시된 다면체 객체를 구성하는 다수의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 면과 상기 결합할 다면체 객체를 구성하는 다수의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 면을 부착하여 다면체 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다면체 객체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206)를 제어한다.
다면체 객체들을 결합하는 것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GUI 제어부(20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202)를 통해 다면체 객체 결합 요청이 입력되면, 결합 요청된 다면체 객체들을 활성화시키고, 결합시킬 다면체 객체 각각의 결합 면에 정보가 매핑되어 있는지 검사한다. 검사결과, 결합시킬 다면체 객체의 결합 면 에 정보가 매핑되어 있지 않다면, GUI 제어부(204)는 정보가 매핑되어 있지 않은 결합 면끼리 결합되도록 다면체 객체들을 결합하여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 결합 면이란 각각의 다면체 객체들이 서로 결합될 때 서로 결합되는 면들을 의미하며, 이는 결합될 다면체 객체에서 고정되는 면은 아니며 상황에 따라 가변 될 수 있다.
반면, 결합시킬 다면체 객체의 결합 면에 정보가 매핑되어 있다면, GUI 제어부(204)는 상기 매핑되어 있는 정보를 다면체 객체의 면들 중 결합 면에 해당되지 않으며 정보가 매핑되어 있지 않는 유효 면에 매핑시킨 후 다면체 객체들의 결합 면들끼리 결합하여 출력한다. 즉, GUI 제어부(204)는 두 다면체 객체 각각의 결합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 면에 정보가 매핑되어 있으면, 상기 표시부(206)에 표시된 다면체 객체를 구성하는 면들과 상기 결합할 다면체 객체를 구성하는 면들 중 정보가 매핑되지 않은 유효한 면에 상기 결합 면에 매핑된 정보를 이동하여 매핑한 후 상기 두 개의 결합 면들을 부착하여 다면체를 생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GUI 제어부(204)는 결합 요청된 다면체 객체들의 유효한 면의 수가 정보가 매핑된 결합 면의 수보다 작으면 새로운 다면체 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새로운 다면체 객체를 구성하는 면과 상기 유효한 면에 상기 결합 면에 매핑된 정보를 이동하여 매핑한다. 그리고, GUI 제어부(204)는 상기 표시된 다면체 객체를 구성하는 결합 면과 상기 결합할 다면체 객체를 구성하는 결합 면을 결합하고, 상기 결합할 다면체 객체를 구성하는 면들 중 정보가 매핑되지 않은 면과 상기 생성된 새로운 다면체 객체를 구성하는 면들 중 정보가 매핑되지 않은 면을 추가로 결합하여 다면체 객체를 생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GUI 제어부(204)는 사용자로부터 결합 요구된 다면체 객체들을 결합할 시, 결합 요구된 다면체 객체 각각의 면들의 개수를 계수하고, 계수된 면에 해당하는 다면체 객체를 새로 생성한다. 그리고, GUI 제어부(204)는 새로 생성된 다면체 객체의 면에 상기 결합 요구된 다면체 객체의 면에 매핑되어 있던 정보들을 다시 매핑시켜 표시부(206)로 출력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GUI 제어부(204)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다면체 객체들을 결합할 때, 상기 결합할 다면체 객체들에서 유효한 면의 수가 정보가 매핑된 결합 면의 수보다 작으면, 표시부(206)에 표시된 다면체 객체를 구성하는 면들의 개수와 상기 결합할 다면체 객체를 구성하는 면들 중 정보가 매핑된 면의 개수의 합보다 같거나 많은 면의 개수를 가지는 새로운 다면체 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표시된 다면체 객체를 구성하는 면들과 상기 결합할 다면체 객체를 구성하는 면들에 매핑된 정보들을 상기 생성된 새로운 다면체 객체를 구성하는 면들로 이동하여 매핑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GUI 제어부(204)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다면체 객체들을 결합할 때, 상기 다면체 객체들이 결합된 후에, 정보가 매핑된 면이 사용자에게 표현되지 않거나, 정보가 매핑된 면들이 서로 결합될 경우, 결합할 다면체 객체들을 구성하는 면들 중 정보가 매핑되지 않은 유효한 면에 상기 결합 면에 매핑된 정보를 이동하여 매핑한다. 또는 상기 다면체들의 결합 후 정보가 매핑된 면이 사용자에게 표현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현될 수 있는 유효 면으로 이동하여 매핑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GUI 제 어부(20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202)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다면체 객체의 제거 요청이 입력될 경우, 상기 선택된 다면체 객체를 제거하고, 제거한 이후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거되지 않은 나머지 다면체 객체들에 대해 재결합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재결합에 대한 요청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202)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특정 다면체 객체가 제거된 이후, 나머지 다면체 객체들에 대해 재결합이 요구되는 경우는 다면체 객체로부터 제거 요청된 다면체 객체를 제거할 경우, 결합되어 있던 다면체 객체가 적어도 둘 이상의 다면체 객체들로 분리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206)에 표시된 다면체 객체가 복수의 다면체 객체들의 결합에 의해 구성된 경우 상기 복수의 다면체 객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다면체 객체의 제거가 요구되면, GUI 제어부(204)는 상기 표시된 다면체 객체로부터 상기 제거가 요구된 적어도 하나의 다면체 객체를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면체 객체가 제거된 후에 나머지 다면체 객체들이 복수이면, 상기 SUI 제어부(204)는 상기 나머지 다면체 객체들을 재결합하여 새로운 다면체 객체를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GUI 제어부(20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202)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표시된 다면체 객체가 회전되도록 상기 표시부(206)를 제어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GUI 제어부(20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202)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도록 상기 표시부(206)에 표시된 다면체 객체의 모양, 크기, 위치, 각도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도록 상기 표시부(206)를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UI 제어부(204)는 상기 표시부(206)에 표시된 다면체 객체를 구성하는 면들 중 하나의 면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면에 매핑된 정보가 활성화되도록 상기 표시부(206)를 제어할 수 도 있고, 사용자가 상기 다면체 객체의 면에 매핑된 정보를 선택할 경우, 상기 선택된 정보가 매핑된 면이 상기 표시부(206)가 향하는 방향으로 향하게 상기 다면체 객체를 회전시키게 상기 표시부(206)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GUI 제어부(204)는 적어도 둘 이상의 다면체 객체들을 서로 결합할 때 정보가 매핑된 면들이 사용자에게 표시되지 않을 경우(사용자를 향하여 표시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면으로 이동하여 매핑시킨 후 결합된 다면체 객체를 표시부(206)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표시부(206)는 GUI 제어부(204)에서 생성된 다면체 객체들을 가시적으로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부(206)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202)와 하드웨어적으로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종류가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과 같이 사용자로부터 터치 이벤트를 입력 받는 경우에는 표시부(206)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202)와 복합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장치에 구비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GUI 제공 장치는 300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면체 객체를 표시하고, 302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GUI 제공 장치는 상기 302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304단계에서 상기 제어 신호가 다면체 객체의 결합을 요구하는 제어 신호인지를 검사한다. 만약, 상기 304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302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신호가 다면체 객체 결합 요구에 관한 신호가 아니라면, GUI 제공 장치는 306단계에서 상기 302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306단계에서 수행되는 동작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반면, 상기 304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302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가 다면체 객체들에 대한 결합 요구라면, GUI 제공 장치는 308단계에서 표시된 다면체 객체의 결합 면과 결합할 다면체 객체의 결합 면에 정보가 매핑되어 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304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결합할 다면체 객체들이 선택되면, GUI 제공 장치는 선택된 다면체 객체들을 활성화 시킨다. 상기 308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결합 면에 정보가 매핑되어 있다면, GUI 제공 장치는 310단계로 이동하여, 정보가 매핑된 결합 면의 개수보다 유효 면의 개수가 작은지를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유효 면이란 다면체 객체를 구성하는 면들 중 상기 결합 면을 제외한 그 나머지 면들 중 정보가 매핑되지 않은 빈 면을 나타낸다. 상기 310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유효 면의 수가 정보가 매핑된 결합 면의 수보다 크거나 같다면, GUI 제공 장치는 312단계에서 상기 결합 면에 매핑된 정보를 다면체 객체의 다른 면으로 이동시키고, 정보가 매핑되지 않은 결합 면들끼리 결합한 후(314단계), 결합된 다면체 객체를 표시한다(316단계).
반면, 상기 308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결합 면에 정보가 매핑되어 있지 않다면, GUI 제공 장치는 314단계에서 정보가 매핑되지 않은 결합 면들끼리 결합시킨 후, 결합된 다면체 객체를 표시한다(316단계). 이때 314단계, 316단계에서 GUI 제공 장치는 정보가 매핑된 면들이 사용자에게 표시되도록 다면체 객체를 결합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314단계에서 GUI 제공 장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다면체 객체들을 서로 결합할 때 다수개의 결합 면들을 갖도록 하여 다면체 객체들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는 첨부된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312단계에서 GUI 제공 장치는 복수 개의 다면체 객체들을 결합할 때, 다면체 객체들 각각의 결합 면들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다면, 서로 다른 크기의 결합 면들끼리 결합되게 다면체 객체들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는 첨부된 도 12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예컨대 제1 다면체 객체의 제1 결합 면과 제2 다면체 객체의 제2 결합 면의 크기가 서로 상이할 경우, 상기 제1 결합 면과 상기 제2 결합 면을 결합 할 때, 상기 제1 결합 면과 상기 제2 결합 면의 결합 후에 상기 제1 결합 면과 상기 제2 결합 면의 크기가 서로 상이함으로 인하여 상기 제1 결합 면과 상기 제2 결합 면 중 어느 한 결합 면에 잉여 면적이 존재한다면, 상기 잉여 면적에도 상기 다면체 객체들을 구성하는 면들에 매핑되엉 있던 정보를 이동시켜 매핑할 수도 있다. 물론 결합 면에 있던 정보도 상기 잉여 면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때 잉여 면적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정보의 크기를 축소 또는 확대하여 상기 잉여 면적에 상기 정보를 매핑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GUI 제공 장치는 310단계의 검사결과 유효 면의 수가 정보 매핑된 결 합 면의 수보다 작다면, 318단계에서 새로운 다면체 객체를 생성하고, 320단계에서 새로 생성된 다면체 객체의 면으로 상기 결합 면에 매핑된 정보를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320단계에서 GUI 제공 장치는 상기 결합 면에 매핑된 정보를 상기 새로 생성된 다면체 객체의 면으로만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상기 유효 면과 상기 새로 생성된 다면체 객체의 면으로 나누어 이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 320단계에서 새로 생성된 다면체 객체의 면으로 정보를 이동시킨 GUI 제공 장치는 314단계에서 정보가 매핑되지 않은 결합 면들끼리 결합시키고, 316단계에서 결합된 다면체 객체를 표시한다.
이때 GUI 제공 장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다면체 객체들을 서로 결합할 때에 정보가 매핑된 면들이 사용자에게 표시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면으로 매핑시켜 다면체 객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장치에 구비된 GUI 제공 장치가 GUI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흐름도이다.
도 4의 400단계 내지 416단계는 도 3의 300단계 내지 316단계의 설명과 동일함으로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418단계 내지 424단계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410단계에서 GUI 제공 장치는 표시된 다면체 객체와 결합할 다면체 객체의 유효 면 개수가 정보가 매핑된 결합 면의 개수보다 작을 경우, 418단계로 진행하여 정보가 매핑된 다면체 객체 면의 개수를 계수(count)한다. 그리고, 420단계에서 GUI 제공 장치는 상기 418단계에서 계수된 개수 이상의 면으로 구성되는 다면체 객 체를 새로 생성한다. 그 이후 422단계에서 GUI 제공 장치는 상기 420단계에서 새로 생성된 다면체 객체의 면에 정보를 매핑하고, 상기 새로 생성된 다면체 객체를 표시한다(424단계). 424단계에서 GUI 제공 장치는 정보가 매핑된 면들이 사용자에게 표시되도록 다면체 객체를 결합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럼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다면체 객체들이 결합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는 2개의 서로 다른 다면체 객체들인 다면체 객체(500)와 다면체 객체(502)가 결합되는 과정을 보이고 있다. 도 5a에서 다면체 객체(500)의 "A"면과 다면체 객체(502)의 "B"면은 특정 정보가 매핑되어 있는 면임을 나타낸다. 즉, 이하 설명에서 다면체 객체의 일면에 기재된 알파벳 문자들 "A, B, C, D, E, F, G…"는 해당 면에 매핑된 특정 정보를 나타낸다.
이하 도 5a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참조번호 500인 다면체 객체를 다면체 객체 1이라고 칭하고, 참조번호 502인 다면체 객체를 다면체 객체 2라고 칭하기로 한다. 다면체 객체 1(500)과 다면체 객체 2(502)에 대해 결합 요청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될 경우, GUI 제공 장치는 다면체 객체 1(500)에서 정보가 매핑되어 있지 않은 면들 중 하나의 면(500a)을 다면체 객체 2(502a)와 결합될 결합 면으로 결정하고, 다면체 객체 2(502)에서 정보가 매핑되어 있지 않은 면들 중 하나의 면(502a)을 다면체 객체 1(500)의 결합 면(500a)와 결합될 결합 면으로 결정한 후, 상기 결합 면들(500a, 502a)을 결합하여 새로운 다면체 객체인 다면체 객체 3(510)을 생성하게 된다. 도 5a에서는 결합될 면으로서 참조번호 500a, 502a가 부여된 면을 결합 면으로 결정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다면체 객체 1(500), 2(502)의 면들 중 정보가 매핑되지 않은 어떠한 면이라도 결합 면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도 5a에서 결합된 다면체 객체 3(510)에 다른 다면체 객체인 다면체 객체 4(512)를 결합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GUI 제공 장치가 도 5a에서 결합된 다면체 객체 3(510)에 새로운 다면체 객체 4(512)를 결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5b에서는 다면체 객체 3(510)에서 정보가 매핑되지 않은 면(510a)을 결합 면으로 결정하고, 다면체 객체 4(512)에서 정보가 매핑되지 않은 면(512a)을 결합 면으로 각각 결정한 후, 상기 다면체 객체 3(510)의 결합 면(510a)과 상기 다면체 객체 4(512)의 결합 면을 결합하여 새로운 결합된 다면체 객체인 다면체 객체 5(520)를 생성한다.
이렇듯,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정보가 매핑된 면이 사용자를 향하여 표시되게 다면체 객체들을 결합할 수 있다.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도 5b에서 결합된 다면체 객체에 결합되어 있는 또 다른 다면체 객체를 결합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c는 GUI 제공 장치가 도 5b에서 결합된 다면체 객체인 다면체 객체 5(520)에 다면체 객체 6(422)를 결합하여 새로운 다면체 객체인 다면체 객체 6(530)를 생성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5c에서 GUI 제공 장치는 다면체 객체 1(500), 2(502), 4(512)가 서로 결합된 다면체 객체 5(520)와 다면체 객체 6(522)에 대해 결합을 요청하는 제어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경우, 결합 요청된 다면체 객체들 각각에서 정보가 매핑되지 않은 면들 중 일면(420a, 522a)을 결합 면으로 결정하고, 결합 면으로 결정된 면이 서로 결합되도록 두 개의 다면체 객체들(520, 522)를 서로 결합하여 다면체 객체 7(530)을 생성한다. 도 5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다면체 객체들을 결합할 때, 특정 정보가 매핑된 면을 결합 면으로 결정하지 않고, 결합된 이후에는 정보가 매핑된 면이 사용자에게 향하도록 다면체 객체를 구현한다. 그리고, 결합된 다면체 객체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회전, 이동과 같은 움직임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GUI 제공 장치는 해당 제어 신호에 따라 결합된 다면체 객체를 회전 또는 움직임으로써 사용자에게 정보가 매핑된 면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럼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다면체 객체들을 결합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예컨대 사용자로부터 정 육면체 형상을 가진 2개의 다면체 객체들에 대해 결합 요청이 입력될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다면체 객체들의 면의 개수인 12개의 면을 갖는 1개의 다면체 객체를 생성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장치에 구비된 GUI 제공 장치가 GUI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GUI 제공 장치는 600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면체 객체를 표시하고, 602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GUI 제공 장치는 상기 602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604단계에서 상기 제어 신호가 다면체 객체의 결합을 요구하는 제어 신호인지를 검사한다. 만약, 상기 604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602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신호가 다면체 객체 결합 요구에 관한 신호가 아니라면, GUI 제공 장치는 606단계에서 상기 602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606단계에서 수행되는 동작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반면, 상기 604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602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가 다면체 객체들에 대한 결합 요구라면, GUI 제공 장치는 608단계에서 결합 요구된 다면체 객체의 면의 개수를 계수하고, 610단계에서 상기 계수된 면의 개수를 갖는 다면체 객체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604단계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결합될 다면체 객체들이 선택되면, GUI 제공 장치는 선택된 다면체 객체들을 활성화시킨다. 612단계에서 GUI 제공 장치는 상기 610단계에서 생성된 다면체 객체의 면에 상기 604단계에서 결합 요구된 다면체 객체의 면에 매핑되어 있던 정보를 매핑시키고, 614단계에서 상기 생성된 다면체 객체를 표시한다. 이때 614단계에서 GUI 제공 장치는 정보가 매핑된 면들이 사용자에게 표시되도록 다면체 객체를 결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두 개의 다면체 객체들이 하나의 다면체 객체로 결합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서는 2개의 정육면체 객체들(700, 710)이 하나의 다면체 객체로 결합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7에 따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앞서 설명했던 실시 예에서와는 달리 결합 요구된 다면체 객체들(700, 710)의 모양을 유지하면서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각 다면체 객체 면의 개수를 계수한 후, 계수된 면의 개수 이상의 면을 구비하는 다면체 객체를 새롭게 생성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7에서는 결합될 다면체 객체의 구성 면들에 대해 계수된 면의 개수와 동일한 면의 개수를 갖는 다면체 객체를 생성함을 보여준다.
예컨대 도 7을 참조하면, 결합 요구된 2개의 다면체 객체들(700, 710)이 모두 각각 6개의 면을 갖는 정육면체 형상의 다면체 객체들이므로, 두 개의 다면체 객체들을 결합할 경우, 12개의 면을 갖는 12면체 다면체 객체(720)가 생성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7에서 각 다면체 객체의 면에 매핑된 각 숫자는 해당 면에 메뉴와 같은 특정 정보가 매핑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2개의 정육면체 형상을 갖는 다면체 객체만을 예로 들었으나, 4면체, 8면체, 12면체, 20면체 등 다양한 다면체들에 대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에서는 다면체 객체들(700, 710)에 매핑된 정보들인 "1", "2", "3", "4", "5", "6"이 새로운 다면체 객체(720)에 매핑되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도 6 내지 도 7만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앞서 설명한 도 3의 310단계에서와 같이 유효 면의 개수가 정보가 매핑된 결합 면의 개수보다 작을 경우, 도 6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결합 요구된 다면체 객체들에 해당하는 면의 개수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면의 개수를 갖는 다면체 객체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도 7에서는 6개의 면을 갖는 2개의 정육면체를 결합할 시, 12개의 면을 갖는 12면체를 생성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12면체 뿐만 아니라 14면체 또는 그 이상의 면을 갖는 다면체 객체를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7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다면체 객체들을 결합할 때, 결합할 다면체 객체의 면의 개수를 갖는 다면체 객체를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정보가 매핑되지 않은 유효 면의 개수가 정보가 매핑된 결합 면의 개수보다 작을 경우에도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다면체 객체들을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효 면의 개수가 정보가 매핑된 결합 면의 개수보다 작을 경우 새로운 다면체 객체를 추가로 생성하고, 결합할 다면체 객체의 면들에 매핑된 정보들을 상기 추가로 생성한 다면체 객체의 면으로 이동하여 매핑시킬 수 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에에서는 다면체 객체들을 서로 결합할 시, 결합될 각각의 다면체 객체에서 결합 면을 결정하고, 결정된 각 결합 면끼리 결합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서는 다면체 객체의 모든 면에 정보가 매핑되어 있을 경우에는 결합이 요청된 다면체 객체들의 모든 면의 개수를 계수하고, 상기 계수된 면의 개수에 해당하는 면을 갖는 다면체 객체를 새로이 생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GUI 제공 장치가 사용자의 제거 요청에 의해 결합된 다면체 객체를 제거하는 방법 흐름도이다.
800단계에서 GUI 제공 장치는 결합된 다면체 객체를 표시하고, 802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다면체 객체 제거 요구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802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특정 다면체 객체에 대한 제거 요청이 입력되는 방식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라 다를 것이다. 예컨대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로서 적외선 방식의 리모컨을 사용한다면, GUI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리모컨에 구비된 방향 키와 같은 특정 키를 조작하여 제거할 다면체 객체를 선택하고, 삭제 동작에 해당하는 키를 선택함으로써, GUI 제공 장치에게 특정 다면체 객체에 대한 삭제를 요청할 것이다. 그리고 만약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로서 터치 스크린을 사용한다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에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과 같은 터치를 위한 펜을 사용하여 직접 화면상의 특정 다면체 객체를 선택하고, 화면 상의 삭제 메뉴 또는 삭제 동작에 해당하는 키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다면체 객체에 대한 삭제 동작을 수행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802단계의 검사결과, 사용자로부터 다면체 객체 제거 요구가 입력되었다면, GUI 제공 장치는 804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다면체 객체를 제거한다. 그리고, GUI 제공 장치는 806단계에서 제거된 다면체 객체를 제외한 나머지 다면체 객체들에 대해 재결합이 요구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806단계에서 나머지 다면체 객체들에 대해 재결합이 요구되는 경우는 다면체 객체로부터 제거 요청된 다면체 객체를 제거할 경우, 다면체 객체가 적어도 둘 이상의 다면체 객체들 로 분리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예컨대 적어도 3개 이상의 다면체 객체들이 결합된 다면체 객체에서 어느 다면체 객체를 제거할 시, 그 제거된 다면체 객체로 인하여 2개 이상의 다면체 객체로 분리되는 경우를 들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 분리된 다면체 객체들에 대한 결합 요구 수신에 따라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806단계의 검사결과, 사용자로부터 재결합이 요구될 경우, GUI 제공 장치는 808단계에서 나머지 다면체 객체들을 재결합한다. 그럼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정 다면체 객체를 제거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 9를 통해 설명하고, 재결합이 요구될 경우 나머지 다면체 객체들을 재결합하는 과정은 도 10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GUI 제공 장치가 특정 다면체 객체를 제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참조번호 900과 같은 적어도 둘 이상의 다면체들이 결합된 다면체 객체에서 사용자가 참조번호 910인 다면체 객체에 대해 삭제 요청을 할 경우, GUI 제공 장치는 참조번호 920, 910과 같이 다면체 객체들을 분리하고, 제거 요청된 다면체 객체(910)를 제거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특정 다면체 객체가 제거될 경우, 남은 다면체 객체들에 대해 재결합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0에서 참조번호 900과 같이 복수 개의 다면체 객체들이 결합된 다면체 객체에서 특정 다면체 객체(1000)에 대해 제거가 요청될 경우를 가정하기로 한다. 상기 특정 다면체 객체(1000)에 대해 제거가 요청될 경우, 상기 특정 다면체 객체(1000)가 제거되고, 그에 따라 나머지 다면체 객체들(1002, 1004, 1006)이 분리되어 존재하게 된다. 이렇게 나머지 객체들이 서로 떨어져서 존재하는 이유는 다수의 다면체 객체들(1002, 1004, 1006)이 모두 상기 제거 요청된 다면체 객체(1000)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거 요청된 다면체 객체(1000)가 제거된 이후 서로 분리되었던 다면체 객체들(1002, 1004, 1006)에 대해 재결합 요청이 수신될 경우 GUI 제공 장치는 참조번호 1010과 같이 상기 다면체 객체들(1002, 1004, 1006)을 서로 결합하여 표시하게 된다.
지금까지는 다면체 객체의 결합 면이 1면만이 존재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하에서는 다면체 객체의 결합 면이 복수가 되는 경우(적어도 둘 이상)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3개의 결합 면들을 갖는 다면체 객체들을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서 다면체 객체(1100)의 "A", "B", "F", "G"와 다면체 객체(1102)의 "C"는 정보가 매핑된 면임을 나타낸다. 도 11에서 참조번호 1100인 다면체 객체와 참조번호 1102인 다면체 객체를 결합할 때 서로 복수 개의 결합 면(해칭으로 표시된 면)들을 갖도록 하여 결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참조번호 1100의 다면체 객체에서 유효한 3개의 면들을 결합 면들로 결정할 경우, 참조번호 1102의 다면체 객체도 참조번호 1100의 다면체 객체와 동일한 개수의 결합 면들을 갖게 될 것이다. 따라서, 도 11에서는 두 다면체 객체들(1100, 1102)이 1개의 결합 면이 아닌 복수 개의 결합 면들을 갖도록 하여 참조번호 1104인 다면체 객체로 결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결합 면의 크기가 서로 다른 다면체 객채들을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3의 312단계~314단계, 도 4의 412단계~414단계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1200인 다면체 객체와 참조번호 1202인 다면체 객체들을 서로 결합하는 것을 보여준다. 이때 참조번호 1200인 다면체 객체에는 정보 "A"가 매핑되어 있고, 참조번호 1202에는 정보 "B"와 "C"가 매핑되어 있다. 도 12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참조번호 1200인 다면체 객체와 참조번호 1202인 다면체 객체를 결합시킬 때, 참조번호 1200인 다면체 객체의 뒷 면과, 참조번호 1202인 다면체 객체에서 정보 "C"가 매핑된 면(1206)을 각각 결합 면을 결정하고, 각각의 결합 면을 결합함으로써 참조번호 1204인 다면체 객체를 생성한 것을 보여준다. 도 12에서는 앞서의 실시 예와는 달리 다면체 객체(1202)가 다른 다면체 객체(1200)의 뒷 면에 결합되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도 12에서 GUI 제공 장치는 두 다면체 객체(1200, 1202)들을 결합할 때 다면체 객체(1200)의 결합 면과 다면체 객체(1202)의 결합 면(1206)을 각각 결 정하고, 상기 참조번호 1202의 다면체 객체의 결합 면(1206)과 동일한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일부 영역(1208)을 상기 다면체 객체(1202)와 결합할 다면체 객체(1200)의 결합 면에서 할당한다. 그리고, 도 12에서 GUI 제공 장치는 상기 참조번호 1200의 다면체 객체의 결합 면에서 할당된 일부 영역(1208)과 상기 참조번호 1202의 다면체 객체의 결합 면(1206)을 결합하여 참조번호 1204의 다면체 객체를 생성하여 표시한다. 이때, 상기 다면체 객체(1202)의 결합 면(1206)에 매핑된 정보 "C"는 상기 다면체 객체(1200)의 결합 면 중 상기 일부 영역(1208)을 제외한 잉여 면적(1210)에 매핑될 수 있다. 이때, GUI 제공 장치는 두 다면체 객체들(1200, 1202)을 결합할 때에 상기 두 다면체 객체들(1200, 1202) 각각에 존재하는 결합 면의 크기가 상이한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이하다면,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두 다면체 객체들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결합 면에 잉여 면적이 존재하는지를 검사한다. 만약 상기 잉여 면적이 존재한다면, GUI 제공 장치는 상기 결합 면에 매핑되어있던 정보를 상기 잉여 면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상기 GUI 제공 장치는 상기 잉여 면적의 크기와 상기 결합 면과의 크기를 비교하여, 그 크기가 동일하다면, 상기 잉여 면적에 상기 결합 면에 매핑되어 있던 정보를 원래 크기대로 이동시키며, 동일하지 않다면, 상기 결합 면에 매핑되어 있던 정보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키켜 상기 잉여 면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도 12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GUI 제공 장치는 복수 개의 다면체 객체들을 결합할 때 각 다면체 객체의 결합 면의 크기가 다르더라도 각각의 다면체 객체들을 결합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3차원 다면체 객체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장치에 구비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장치에 구비된 GUI 제공 장치가 GUI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흐름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다면체 객체들이 결합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장치에 구비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두 개의 다면체 객체들이 하나의 다면체 객체로 결합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GUI 제공 장치가 사용자의 제거 요청에 의해 결합된 다면체 객체를 제거하는 방법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GUI 제공 장치가 특정 다면체 객체를 제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특정 다면체 객체가 제거될 경우, 남은 다면체 객체들에 대해 재결합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3개의 결합 면들을 갖는 다면체 객체들을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결합 면의 크기가 서로 다른 다면체 객체들을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Claims (24)

  1.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면에 정보가 매핑된 다면체 객체를 표시하는 과정;
    다면체 객체의 결합이 요청되면, 상기 표시된 다면체 객체를 구성하는 다수의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 면과 상기 결합할 다면체 객체를 구성하는 다수의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 면을 부착하여 다면체 객체를 생성하는 과정;및
    상기 생성된 다면체 객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결합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 면에 정보가 매핑되어 있으면, 상기 매핑된 정보를 상기 표시된 다면체 객체를 구성하는 면들과 상기 결합할 다면체 객체를 구성하는 면들 중 정보가 매핑되지 않은 유효한 면에 이동하여 매핑하며, 상기 유효한 면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결합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에 해당함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다면체 객체를 구성하는 면들 중 정보가 매핑된 면이 사용자에게 표현되지 않을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표현되지 않는 면에 매핑된 정보를 상기 생성된 다면체 객체를 구성하는 면들 중 정보가 매핑되지 않은 유효한 면에 이동하여 매핑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면체 객체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유효한 면의 수가 사이 정보가 매핑된 결합 면의 수보다 작으면, 새로운 다면체 객체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새로운 다면체 객체는 상기 정보가 매핑된 결합 면의 수보다 같거나 많은 면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면체 객체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결합 면들을 부착한 후에 상기 부착한 적어도 두 개의 결합 면들 중 어느 한 면에 잉여 면적이 존재한다면, 상기 잉여 면적에 상기 정보를 이동시켜 매핑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다면체 객체가 복수의 다면체 객체들의 결합에 의해 구성된 경우 상기 복수의 다면체 객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다면체 객체의 제거가 요구되면, 상기 표시된 다면체 객체로부터 상기 제거가 요구된 적어도 하나의 다면체 객체를 제거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면체 객체가 제거된 후 남은 다면체 객체의 개수가 복수 개이면, 상기 남은 다면체 객체들을 재결합하여 새로운 다면체 객체를 생성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다면체 객체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회전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다면체 객체의 모양, 크기, 위치, 각도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변경됨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다면체 객체를 구성하는 면들 중 하나의 면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면에 매핑된 정보를 활성화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2. 삭제
  13.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GUI: 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면에 정보가 매핑된 다면체 객체를 표시하는 표시부;
    다면체 객체의 결합이 요청되면 상기 표시된 다면체 객체를 구성하는 다수의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 면과 상기 결합할 다면체 객체를 구성하는 다수의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 면을 부착하여 다면체 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다면체 객체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GUI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GUI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결합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 면에 정보가 매핑되어 있으면, 상기 매핑된 정보를 상기 표시된 다면체 객체를 구성하는 면들과 상기 결합할 다면체 객체를 구성하는 면들 중 정보가 매핑되지 않은 유효한 면에 이동하여 매핑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며,
    여기서, 상기 유효한 면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결합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에 해당함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GUI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다면체 객체를 구성하는 면들 중 정보가 매핑된 면이 사용자에게 표현되지 않을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표현되지 않는 면에 매핑된 정보를 상기 생성된 다면체 객체를 구성하는 면들 중 정보가 매핑되지 않은 유효한 면에 이동하여 매핑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15. 삭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GUI 제어부는,
    상기 유효한 면의 수가 상기 정보가 매핑된 결합 면의 수보다 작으면, 새로운 다면체 객체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GUI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새로운 다면체 객체는 상기 정보가 매핑된 결합 면의 수보다 같거나 많은 면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GUI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결합 면들을 부착한 후에 상기 부착한 적어도 두 개의 결합 면들 중 어느 한 면에 잉여 면적이 존재한다면, 상기 잉여 면적에 상기 정보를 이동시켜 매핑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GUI 제어부는,
    상기 표시된 다면체 객체가 복수의 다면체 객체들의 결합에 의해 구성된 경우 상기 복수의 다면체 객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다면체 객체의 제거가 요구되면, 상기 표시된 다면체 객체로부터 상기 제거가 요구된 적어도 하나의 다면체 객체를 제거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GUI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면체 객체가 제거된 후 남은 다면체 객체들이 복수이면, 상기 남은 다면체 객체들을 재결합하여 새로운 다면체 객체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GUI 제어부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표시된 다면체 객체가 회전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GUI 제어부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표시된 다면체 객체의 모양, 크기, 위치, 각도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GUI 제어부는,
    상기 표시된 다면체 객체를 구성하는 면들 중 하나의 면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면에 매핑된 정보가 활성화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24. 삭제
KR1020090097996A 2009-10-15 2009-10-15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621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996A KR101621326B1 (ko) 2009-10-15 2009-10-15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996A KR101621326B1 (ko) 2009-10-15 2009-10-15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013A KR20110041013A (ko) 2011-04-21
KR101621326B1 true KR101621326B1 (ko) 2016-05-31

Family

ID=44047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996A KR101621326B1 (ko) 2009-10-15 2009-10-15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132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813B1 (ko) 2006-02-20 2007-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모션 다이얼을 이용한 메뉴표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813B1 (ko) 2006-02-20 2007-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모션 다이얼을 이용한 메뉴표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013A (ko) 201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2694B2 (en) Disambiguation of multitouch gesture recognition for 3D interaction
US11853523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indicating an active region in a multi-window display
US10754517B2 (en) System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a control environment
US11054986B2 (en) Apparatus including a touch screen under a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852913B2 (en) Remote hover touch system and method
JP4271700B2 (ja) 3次元グラフィック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これを提供する装置及び方法
US20070120846A1 (en) Three-dimensional motion graphic user interfac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hree-dimensional motion graphic user interface
KR102052424B1 (ko)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실행 윈도우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US20040263424A1 (en) Display system and method
US1059931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EP2701152A1 (en) Collaborative 3D video object browsing, editing and augmented reality rendering on a mobile
US20090122022A1 (en)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9157908A (ja) 情報表示端末、情報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914258A (zh) 移动终端及其操作方法
KR102598082B1 (ko) 영상 표시 장치, 모바일 장치 및 그 동작방법
EP2669781B1 (en) A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in a three-dimensional environment
US20220191570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object grouping and manipulation in immersive environments
US20120313968A1 (en) Image display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KR101621326B1 (ko)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897287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displaying control panel image and information image on a display
KR10236024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JP200613980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及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