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1321B1 - 충전기능이 있는 멀티미디어 단말 및 이의 제어방법, 멀티미디어 단말을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 및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충전기능이 있는 멀티미디어 단말 및 이의 제어방법, 멀티미디어 단말을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 및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1321B1
KR101621321B1 KR1020150136043A KR20150136043A KR101621321B1 KR 101621321 B1 KR101621321 B1 KR 101621321B1 KR 1020150136043 A KR1020150136043 A KR 1020150136043A KR 20150136043 A KR20150136043 A KR 20150136043A KR 101621321 B1 KR101621321 B1 KR 101621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ultimedia terminal
unit
multimedia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훈
Original Assignee
윤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상훈 filed Critical 윤상훈
Priority to KR1020150136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13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321B1/ko
Priority to PCT/KR2016/010793 priority patent/WO201705234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H04M1/7252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의 일 측면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하여 휴대되는 휴대용 단말로서, 휴대용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외부의 멀티미디어 단말과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무선 통신부, 멀티미디어 단말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아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 외부의 멀티미디어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용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용 화면을 통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부를 통해서 멀티미디어 단말로 충전개시 요청을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을 제공하여, 멀티미디어 단말을 통한 사용자에 대한 광고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충전기능이 있는 멀티미디어 단말 및 이의 제어방법, 멀티미디어 단말을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 및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Multimedia device with charging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portable device for controlling the multimedia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and application performing thereof}
본 발명은 충전기능이 있는 멀티미디어 단말 및 이의 제어방법, 멀티미디어 단말을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 및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용 단말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휴대용 단말의 배터리 용량을 늘리는 것은 휴대용 단말의 연구 개발에 있어서 가장 큰 해결과제이다. 그러나 배터리 용량을 늘리는 것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결국 장시간 휴대용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을 충전을 수시로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휴대용 단말을 충전하기 위해서는 전용 케이블 등을 항상 지니고 있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최근 휴대용 단말의 보급에 따라서 레스토랑이나 커피숍 등에서 충전용 케이블을 대여해 주거나, 카운터에서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편리하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레스토랑이나 커피숍 등의 업주 측에서 볼 때는 충전 서비스 제공을 위해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휴대용 단말이 고장나거나 분실되는 등의 사고 발생 가능성이 있어 고객과의 마찰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편, 커피숍 등에는 주문 대기시에 음식이나 음료가 나온 것을 고객에게 알리기 위한 소형 단말을 고객에게 제공하는데, 이러한 소형 단말을 통하여 광고를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을 통한 광고의 경우 고객이 제공받은 소형 단말을 단지 소지하기만 하고 그 내용을 확인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라서 광고 효과가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충전기능이 있는 광고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충전 기능이 있는 멀티미디어 단말 및 이와 연동하여 구동되는 휴대용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의 일 측면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하여 휴대되는 휴대용 단말로서, 휴대용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외부의 멀티미디어 단말과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무선 통신부, 멀티미디어 단말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아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 외부의 멀티미디어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용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용 화면을 통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부를 통해서 멀티미디어 단말로 충전개시 요청을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무선 통신부는 멀티미디어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단말에서 재생되는 콘텐츠에 관련된 페이지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수신한 페이지 정보에 관한 상품정보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무선 통신부는 멀티미디어 단말에서 재생되는 콘텐츠가 갱신될 때마다 페이지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부는, 페이지 정보의 수신에 연동하여 상품정보 화면을 새로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품정보 화면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해당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결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무선 통신부는 멀티미디어 단말과 NFC 또는 iBeacon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하여 휴대되는 휴대용 단말의 제어방법으로서, 외부의 멀티미디어 단말과 무선으로 연결되는 단계, 멀티미디어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용 화면을 휴대용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제어용 화면을 통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단말로 충전개시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무선으로 연결된 멀티미디어 단말로부터 휴대용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단말에서 재생되는 콘텐츠에 관련된 페이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페이지 정보에 관한 상품정보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페이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멀티미디어 단말에서 재생되는 콘텐츠가 갱신될 때마다 페이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품정보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는 페이지 정보의 수신에 연동하여 상품정보 화면을 새로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품정보 화면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해당 상품의 구매에 대한 결제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단말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그룹을 선택하기 위한 채널 선택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채널 선택 화면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채널로의 변경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멀티미디어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하여 휴대되는 휴대용 단말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외부의 멀티미디어 단말과 무선으로 연결되는 단계, 멀티미디어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용 화면을 휴대용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제어용 화면을 통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단말로 충전개시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무선으로 연결된 멀티미디어 단말로부터 휴대용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하는 단계를 실행시키는 저장매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충전기능이 있는 멀티미디어 단말로서, 외부 단말로 제공할 전력을 저장하고, 멀티미디어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외부 단말과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무선 통신부, 외부 단말로의 충전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전력 전송부, 외부로부터 수신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외부 단말로부터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전력 전송부가 외부 단말로 전력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단말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제어부는 콘텐츠 재생과 관련하여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전력 전송부가 외부 단말로 전력을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수신된 콘텐츠마다 연관된 페이지 정보를 함께 수신하고,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에서 재생되는 콘텐츠에 연관된 페이지 정보를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외부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무선 통신부는 외부 단말과 NFC 또는 iBeacon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전력 전송부는 외부 단말과 무선으로 결합되어 무선 충전 기능을 제공하거나 또는 유선으로 결합되어 유선 충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저장부는 콘텐츠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제어부는 외부 단말로부터의 그룹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된 그룹의 콘텐츠를 재생시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충전기능이 있는 멀티미디어 단말의 제어방법으로서, 외부 단말과 무선으로 연결되는 단계, 외부로부터 수신된 콘텐츠를 재생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외부 단말로부터 충전개시의 요청에 관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콘텐츠 재생과 관련하여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외부 단말로 전력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단말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재생되는 콘텐츠에 연관된 페이지 정보를 외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미리 저장된 콘텐츠는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되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외부 단말로부터의 그룹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된 그룹의 콘텐츠를 재생시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멀티미디어 단말 및 이와 연동하여 구동되는 휴대용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멀티미디어 단말을 통한 사용자에 대한 광고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단말을 이용한 전체 서비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단말과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능이 있는 멀티미디어 단말 및 크래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능이 있는 멀티미디어 단말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단말과 휴대용 단말이 연동되어 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화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단말 및 휴대용 단말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단말을 이용한 전체 서비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충전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단말을 이용한 광고 시스템(1)(이하, '시스템'이라고 함)은 멀티미디어 단말(100), 휴대용 단말(200), 서버(300)를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 웹 서버(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광고 등의 콘텐츠를 재생하고, 재생한 콘텐츠를 카운트하여 그 결과를 서버(300)로 전송한다.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유/무선 네트워크와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서버(300)로부터 콘텐츠 및 콘텐츠에 관련된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서버(300)로부터 콘텐츠 및/또는 콘텐츠에 관련된 정보들을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할 수도 있으며, 스트리밍 방식으로 콘텐츠 및/또는 콘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충전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휴대용 단말(200)과 접속되면 소정의 조건에 따라서 멀티미디어 단말(100)에 저장되어 있던 전력을 휴대용 단말(200)에 제공함으로써 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콘텐츠의 재생과 연동하여 관련된 페이지 정보를 휴대용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200)은 사용자에 의하여 휴대되는 단말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전자기기일 수 있다. 휴대용 단말(200)은 유/무선으로 멀티미디어 단말(100) 및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200)은 멀티미디어 단말(100)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및 멀티미디어 단말(100)과의 통신 연결을 통하여 멀티미디어 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멀티미디어 단말(100) 및 휴대용 단말(200)의 동작을 위하여 양 구성은 충전 케이블을 통한 유선(물리적) 연결이나 NFC(Near Field Connection) 또는 iBeacon과 같은 무선 연결 등의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서버(300)는 광고주로부터 수주한 광고 및 해당 광고에 대한 관련 정보, PPL이 삽입된 미니 드라마 및 해당 드라마의 관련 정보 등, 콘텐츠와 해당 콘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멀티미디어 단말(100)로 전송한다. 서버(300)는 멀티미디어 단말(100)이 배치된 가맹점마다 전송할 콘텐츠 및 콘텐츠의 스케줄을 상이하게 설정하고, 설정 내용에 따라서 콘텐츠, 스케줄 및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콘텐츠 및/또는 콘텐츠에 관련된 정보들을 멀티미디어 단말(100)로 전송하는 방식은 스트리밍 방식일 수도 있을 것이다.
서버(300)는 멀티미디어 단말(100)로부터 콘텐츠를 재생한 결과에 대해서 수신하고, 그 결과에 따라서 광고주 등의 콘텐츠 제공자에 대해서 광고료를 부과하거나 혹은 이미 책정된 광고료를 관련 파트너들(예를 들어, 가맹점, 컨텐츠 제공자 등)과 적절히 배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서버(300)의 운용 주체는 콘텐츠를 광고주로부터 직접 받을 수도 있을 것이며, 광고 대행사 등을 통하여 콘텐츠를 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웹 서버(400)는 광고주 등의 콘텐츠 제공자가 운영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 혹은 광고와 관련된 상품을 판매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 등일 수 있다. 웹 서버(40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한 휴대용 단말(400)에 상품 구매를 위한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상품 구매가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서버(300)와 웹 서버(400)가 별도로 마련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서버(300)의 운영 주체가 서버(300)를 통해서 상품 구매를 위한 웹 페이지를 직접 휴대용 단말(200)에 제공하고, 이를 통하여 상품 구매가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단말(100)과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200)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능이 있는 멀티미디어 단말(100) 및 크래들(19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전력 전송부(122), 충전 연결부(124), 디스플레이부(130) 등이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전력 전송부(122)는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충전 케이블(123)이 접속되는 부분이다. 전력 전송부(122)는 충전 케이블(123)을 통하여 전력을 휴대용 단말(200)에 공급함으로써 휴대용 단말(200)을 충전할 수 있다. 충전 케이블(123)은 가맹점, 예를 들어 식당이나 커피숍 등의 매장에서 충전을 원하는 고객에게 대여될 수 있다.
충전 연결부(124)는 후술하는 크래들(190)에 장착될 때, 크래들(190)의 전원 공급부(192)에 접속되어 크래들(19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디스플레이부(130)는 멀티미디어 단말(100)의 일 면에 형성되며, 저장되어 있는 광고 등의 콘텐츠를 재생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멀티미디어 단말(100)이 휴대용 단말(200)을 충전 케이블(123)을 통하여 유선으로 충전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부분을 구비하고, 휴대용 단말(200)을 무선 충전 방식으로 충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휴대용 단말(200)은 식당이나 커피숍 등, 멀티미디어 단말(100)이 배치되는 가맹점에 방문한 고객에 의하여 휴대되는 단말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전자기기일 수 있다. 휴대용 단말(200)은 무선으로 멀티미디어 단말(10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충전 케이블(123)이 충전 연결부(222)에 접속되어 멀티미디어 단말(100)과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휴대용 단말(200)이 연결되고 그 사용자로부터 충전개시 요청의 신호가 접수되면, 멀티미디어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부(130)에 콘텐츠가 재생되어 고객에게 노출된 후에 휴대용 단말(200)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광고에 대한 집중도를 높일 수 있다.
멀티미디어 단말(100)로부터 휴대용 단말(200)로 전력이 공급되는 과정은 도 4 내지 도 6 등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하나의 가맹점에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크래들(190)을 통하여 일체로 관리될 수 있다.
크래들(190)에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단말(100)이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슬롯이 형성되어 있다. 크래들(190)의 각 슬롯에는 멀티미디어 단말(100)의 충전 연결부(12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크래들(190)로부터 멀티미디어 단말(10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공급부(192)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190)은 각 슬롯의 바닥에 전원 공급부(192)가 형성되어, 멀티미디어 단말(100)의 일 측면에 형성된 충전 연결부(124)가 접속되도록 멀티미디어 단말(100)을 크래들(190)의 슬롯에 삽입하여 충전을 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크래들(190)은 멀티미디어 단말(100)에 공급할 전력을 미리 저장해두는 배터리가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크래들(190)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멀티미디어 단말(10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선 연결부(141)가 형성되어 전원선이 삽입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크래들(190)은 로컬 서버 또는 중계기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크래들(190)은 서버(300)와 통신을 하여 광고 등의 콘텐츠 및 그와 연관된 정보를 수신하여 멀티미디어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서버(300)와 멀티미디어 단말(100)이 광고/콘텐츠 및 그와 연관된 정보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송수신한다면, 크래들(190)은 그에 맞추어 스트리밍 전송을 위한 중계기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크래들(190)은 멀티미디어 단말(100)에서 재생된 콘텐츠의 횟수, 시간을 카운트 하거나, 휴대용 단말(200)과의 접속이나 콘텐츠 재생과 관련된 로그 데이터 등을 기록하여 그 결과를 전송하면 이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들을 서버(300)로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멀티미디어 단말(100)과 휴대용 단말(200)의 구성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능이 있는 멀티미디어 단말(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제어부(110), 배터리(120), 충방전 회로(121), 전력 전송부(122), 충전 연결부(123), 디스플레이부(130), 메모리(140), 통신부(150), 연결 인식부(160), 입력부(170), 센서부(1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멀티미디어 단말(10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연산을 수행하기 위한 ALU(Arithmetic Logic Unit), 데이터 및 명령어의 일시적인 저장을 위한 레지스터 및 충전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디지털(Digital) 사의 알파(Alpha), M1PS 테크놀로지, NEC, IDT, 지멘스(Siemens) 등의 MIPS, 인텔(Intel)과 사이릭스(Cyrix),AMD 및 넥스젠 (Nexgen)을 포함하는 외사의 x86 및, IBM과 모토롤라(Motorola)의 파워 PC(powerPC)와 같이 다양한 아키텍처(Architecture)를 갖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충전 제어부(111), 디스플레이 제어부(112), 통신 제어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제어부(111)는 충방전 회로(121)를 제어하여, 멀티미디어 단말(100)의 동작 상황에 따라서 배터리(120)를 외부 전력으로 충전시키거나, 배터리(120)에 저장된 전력을 멀티미디어 단말(100)의 각 구성요소에 공급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충전 제어부(111)는 휴대용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충전개시 요청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충방전 회로(121)를 제어하여 배터리(120)로부터 전력 전송부(122)를 통해 휴대용 단말(2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충전 제어부(111), 충방전 회로(121) 및 전력 전송부(122)는 충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충전 수단으로서의 동작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 제어부(112)는 디스플레이부(130)로의 영상 출력을 제어하여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는 광고 등의 콘텐츠가 재생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광고 등의 콘텐츠를 재생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광고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 화면)나 OLED 등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제어부(112)는 그에 해당하는 드라이버일 수 있다.
통신 제어부(113)는 디스플레이부(130)에서 재생되는 콘텐츠에 연동되어 해당 콘텐츠와 연관된 페이지 정보를 휴대용 단말(200)에 전송하도록 통신부(150)를 제어한다. 연관된 페이지 정보란 재생되는 콘텐츠에 관련된 상품을 설명하는 페이지 주소 혹은 그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페이지 주소 등일 수 있다.
배터리(120)는 휴대용 단말(200)에 제공할 전력을 저장하고, 멀티미디어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충방전 회로(121)는 충전 제어부(111)의 제어에 기초하여 충전 및 방전 동작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단말(100)이 크래들(190)에 연결되면 배터리(120)를 충전 연결부(124)로부터 공급된 전력으로 충전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멀티미디어 단말(100)에 휴대용 단말(200)이 연결되면 배터리(120)로부터 전력 전송부(122)를 통하여 휴대용 단말(20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전력 전송부(122)는 휴대용 단말(200)과 무선으로 결합되어 무선 충전 기능을 제공하거나 또는 유선으로 결합되어 유선 충전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30)는 디스플레이 제어부(112)의 제어에 따라서 광고 등의 콘텐츠를 재생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재생되는 콘텐츠는 서버(300)에 의하여 설정된 스케쥴에 따라서 정해질 수도 있으며, 휴대용 단말(2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선택된 채널에 따른 콘텐츠일 수도 있을 것이다.
메모리(140)는 서버(300)로부터 디스플레이부(130)에 디스플레이할 콘텐츠 및 콘텐츠 재생을 위한 스케줄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140)는 저장된 콘텐츠와 연관된 페이지 정보를 각 콘텐츠마다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즉, 메모리(140)는 저장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메모리(140)는 저장된 콘텐츠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복수의 그룹은 예를 들어, 채널일 수 있으며, 각 채널에는 해당 채널과 관련된 복수의 콘텐츠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채널에는 도서와 관련된 광고 등의 콘텐츠가 저장될 수 있으며, 제2 채널에는 영화와 관련된 광고 등의 콘텐츠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채널의 분류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분류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휴대용 단말(200)로부터 그룹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메모리(140)로부터 선택된 그룹의 콘텐츠를 추출하여 재생시켜 디스플레이부(130)에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메모리(140)는 멀티미디어 단말(100)의 동작 동안에 발생하는 신호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RAM, 멀티미디어 단말(100)을 제어하기 위한 실행 프로그램이나 각종 관리 정보 등을 저장하는 EEPRO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휴대용 단말(200)과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무선 통신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부(150)는 통신 제어부(113)의 제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30)에서 재생되는 콘텐츠와 연관된 페이지 정보를 메모리(140)로부터 추출하여 휴대용 단말(200)로 전송한다.
통신부(150)는 휴대용 단말(200)과 NFC 또는 iBeacon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는 서버(3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 즉, 서버(300)로부터 콘텐츠 및/또는 콘텐츠에 관련된 정보들을 수신하며, 재생 결과 등을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150)는 서버(300)로부터 콘텐츠 및/또는 콘텐츠에 관련된 정보들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하여 재생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는 콘텐츠 및/또는 콘텐츠에 관련된 정보는 메모리(140)에 저장되지 않거나 일시적으로 저장되었다가 삭제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제어부(110)는 콘텐츠 재생과 관련하여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전력 전송부(122)가 휴대용 단말(200)로 전력을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멀티미디어 단말(100)에서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하여 콘텐츠를 재생하고, 재생한 시간 혹은 횟수 또는 재생된 콘텐츠의 개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한 값이 미리 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전력 전송부(122)가 휴대용 단말(200)로 전력을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연결 인식부(160)는 멀티미디어 단말(100)과 휴대용 단말(200)의 연결 여부를 인식한다. 연결 인식부(160)의 연결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부(110)는 콘텐츠의 재생, 전력 공급 등의 동작 여부를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단말(100)과 휴대용 단말(200)이 연결되면 연결 인식부(160)는 연결이 성립된 것을 인식하고, 그 후 휴대용 단말(200)에 표시된 제어화면으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부(110)는 충전 제어부(111)를 제어하여 충전동작을 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연결 인식부(160)는 NFC 칩을 포함하여 휴대용 단말(200)과 NFC 연결이 완료되었는 지를 인식하거나 iBeacon 연결 혹은 블루투스 연결이 완료되었는 지를 인식할 수 있다.
입력부(170)는 멀티미디어 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로부터의 각종 명령이나 신호의 입력을 제어부(110)로 전달하는 부분이다. 입력부(170)는 멀티미디어 단말(100)의 외부에 마련된 물리적인 스위치나 버튼일 수 있다. 혹은 입력부(170)는 멀티미디어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부(130) 위에 배치된 터치 패널일 수도 있을 것이다.
센서부(180)는 멀티미디어 단말(100), 특히 디스플레이부(130)의 근처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부(130)가 가려지는 지를 감지한다. 디스플레이부(130)가 가려지는 것은 광고 등의 콘텐츠를 시청하지 않는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는 간접적인 지표이다. 따라서 센서부(180)는 근접 센서, 광 감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80)는 다른 예로서, 중력 센서나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센서부(180)는 디스플레이부(130)가 마련된 면이 위를 향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단말(100)을 뒤집어 놓아 콘텐츠를 시청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센서부(180)의 감지정보는 제어부(110)에 제공되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30)가 가려지면 전력의 제공 및/또는 광고 등의 컨텐츠 재생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콘텐츠가 재생되는 횟수나 시간의 카운트 동작을 중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 제어부(111)는 디스플레이부(130)에서 콘텐츠가 재생되는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충전 개시 요청이 수신된 이후에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충전 제어신호를 활성화하여 충전을 개시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콘텐츠 재생에 관한 카운트가 정지되고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부(130)가 가려지거나 디스플레이부(130)가 바닥을 향한 상태가 된다면, 사용자에게 콘텐츠가 적절히 노출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충전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초기에 충전을 개시할 때 뿐만 아니라, 휴대용 단말(200)에 전력이 공급되어 충전이 진행중인 경우에도 센서부(180)의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활성화된 충전 동작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디스플레이부(130)를 가리게 되면 충전 서비스를 원활히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30)가 항상 노출되도록 둠으로써 컨텐츠의 노출 효과가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센서부(180)는 근접 센서, 광 감지 센서, 중력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의 센서 외에 사용자의 시선을 검출하는 센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80)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이 카메라 모듈로 사용자를 촬영하여 사용자의 시선이 디스플레이부(130)를 향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컨텐츠의 노출 효과를 더욱 확실히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2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200)은 제어부(210), 배터리(220), 충방전 회로(221), 충전 연결부(222), 디스플레이부(230), 메모리(240), 통신부(250), 입력부(2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휴대용 단말(20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210)는 연산을 수행하기 위한 ALU(Arithmetic Logic Unit), 데이터 및 명령어의 일시적인 저장을 위한 레지스터 및 휴대용 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후술한 메모리(240)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단말(100)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에 따라서 각 부분을 제어할 수 있다.
배터리(220)는 휴대용 단말(200)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저장하고, 저장한 전력을 각 구성요소에 공급한다. 충전 연결부(222)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단말(10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수신하면, 제어부(210)는 충방전 회로(211)를 제어하여 수신된 전력을 배터리(220)에 충전한다. 즉, 제어부(210) 및 충방전 회로(211)는 충전부로서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충전 연결부(222)는 멀티미디어 단말(100)과 무선으로 결합되어 무선 충전 기능을 제공하거나 또는 유선으로 결합되어 유선 충전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부(23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210)는 휴대용 단말(200)과 멀티미디어 단말(100)의 초기 연결 성립시에, 디스플레이부(230)에 충전 개시 요청의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용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멀티미디어 단말(100)로부터 멀티미디어 단말(100)에서 재생되는 콘텐츠와 관련된 페이지 정보를 접수하면, 해당 페이지 정보에 기초한 상품정보 화면을 디스플레이부(23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페이지 정보에 기초한 상품정보 화면은,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200)을 조작하여 다른 화면이 처리되고 있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우선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품정보 화면은 멀티미디어 단말(100)에서 재생되는 콘텐츠가 변경될 때마다, 변경된 콘텐츠에 연관된 상품정보 화면으로 갱신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부(210)는 페이지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된 페이지에 대하여 사용자가 상품을 구매하려는 신호를 입력하면, 해당 입력에 기초하여 상품 결제를 위한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 결제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제어부(210)는 상품 구매를 위한 결제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부(2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 화면)나 OLED 등일 수 있다.
메모리(240)는 휴대용 단말(200)에서 실행되어 멀티미디어 단말(100)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즉, 메모리(140)는 저장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메모리(240)는 휴대용 단말(200)의 동작 동안에 발생하는 신호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RAM, 휴대용 단말(200)을 제어하기 위한 실행 프로그램이나 각종 관리 정보 등을 저장하는 EEPRO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50)는 멀티미디어 단말(100)과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무선 통신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부(25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기초하여 각종 요청 신호나 제어신호를 멀티미디어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250)는 멀티미디어 단말(100)과 NFC 또는 iBeacon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용 화면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로부터의 충전 개시 요청의 제어신호를 멀티미디어 단말(100)로 전송하여 충전 동작이 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50)는 채널 선택 화면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로부터의 채널의 변경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멀티미디어 단말(100)로 전송하여 멀티미디어 단말(100)에서 재생되는 콘텐츠의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50)는 멀티미디어 단말(100)의 재생에 연동되어 디스플레이부(230)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품정보 화면에 대하여 사용자가 상품의 구매를 위한 입력을 수행하면, 해당 입력에 의한 결제 정보 등을 멀티미디어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입력부(260)는 휴대용 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로부터의 각종 명령이나 신호의 입력을 제어부(210)로 전달하는 부분이다. 입력부(260)는 휴대용 단말(200)의 외부에 마련된 물리적인 스위치나 버튼일 수 있다. 혹은 입력부(260)는 휴대용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230) 위에 배치된 터치 패널일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입력부(260)는 디스플레이부(230) 위에 배치된 터치 패널에 대하여 터치 조작을 수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제어용 화면, 상품정보 화면, 결제 화면 등에 대하여 원하는 조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단말(100)과 휴대용 단말(200)이 연동되어 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휴대용 단말(200)에서 멀티미디어 단말(100)의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멀티미디어 단말(100)의 조작을 위한 제어용 화면(231)이 디스플레이부(230)에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단말(100)과 휴대용 단말(200) 사이에 통신 연결이 확립되면 사용자는 제어용 화면(231)에 대하여 터치 조작 등을 수행함으로써 멀티미디어 단말(100)에 충전 개시 요청의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경우 제어용 화면(231)의 중앙에 배치된 전원 아이콘을 터치함으로써 충전 개시 요청의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휴대용 단말(200)로부터 충전 개시 요청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멀티미디어 단말(100)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하여 콘텐츠를 재생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콘텐츠가 소정 조건을 만족하도록 디스플레이되면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휴대용 단말(200)로 전력을 공급하여 휴대용 단말(200)에 충전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전력 공급에 더하여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페이지 정보를 휴대용 단말(200)로 전송하고, 전송된 페이지 정보에 관련된 상품정보 화면(233)을 휴대용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230)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때,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복수의 콘텐츠를 복수의 그룹, 즉 복수의 채널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그 중 특정 채널에 포함된 콘텐츠들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의 재생이 종료되어 새로운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될 때마다, 혹은 채널이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가 변경될 때마다, 휴대용 단말(200)로 페이지 정보를 새로 전송하고, 휴대용 단말(200)은 새로 전송된 페이지 정보에 따라서 상품정보 화면(233)을 갱신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200)의 화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200)은 디스플레이부(230)에 채널 선택 화면(232)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채널 선택 화면(232)는 멀티미디어 단말(100)로부터 전력의 공급이 개시된 후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을 것이다. 혹은 채널 선택 화면(232)는 멀티미디어 단말(100)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개시되기 전이라도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을 것이다.
채널 선택 화면(232)은 멀티미디어 단말(100)이 복수의 콘텐츠를 복수의 채널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있는 경우, 멀티미디어 단말(100)에서 재생될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이다.
채널 선택 화면(232)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채널 선택의 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된 채널로의 변경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멀티미디어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선택된 채널의 콘텐츠를 재생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단말(100)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콘텐츠를 채널1(CH1) 내지 채널3(CH3)으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채널의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으며, 그에 연동하여 휴대용 단말(200)에서도 재생되는 콘텐츠에 관련된 페이지 정보를 수신하여 상품정보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단말(100) 및 휴대용 단말(200)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200)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S10). 그리고 휴대용 단말(200)과 멀티미디어 단말(100)이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통신이 확립된다. 이때, 휴대용 단말(200)과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데이터의 통신을 위해서 무선 통신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200)과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NFC나 iBeacon 등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200)과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전력 공급을 위하여 충전 케이블을 통하여 유선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휴대용 단말(200)과 멀티미디어 단말(100) 사이의 연결 방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하게 조합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단말(100)이 휴대용 단말(200)을 무선으로 충전하는 경우에는 충전 케이블에 의한 유선 연결 없이 무선으로만 서로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200)은 제어용 화면을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한다(S11). 제어용 화면에는 멀티미디어 단말(100)로 충전 개시 요청의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아이콘 등이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가 터치 패널 등의 입력부(260)를 통하여 충전 개시 요청의 제어신호를 입력하면, 그 제어신호를 멀티미디어 단말(100)로 전송한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충전 개시 요청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광고 등의 콘텐츠를 재생하여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게 되면 전력의 전송을 개시하여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S20).
휴대용 단말(200)은 멀티미디어 단말(100)로부터의 전력에 의하여 충전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S12). 또한 휴대용 단말(200)은 디스플레이부(230)에 채널 선택 화면(S13)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단말(100)에서 디스플레이될 콘텐츠의 채널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즉,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용 단말(200)을 충전하기 위하여 콘텐츠를 강제로 시청하여야 하지만, 가능한 자신이 관심이 있는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채널 선택 화면을 통하여 채널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채널 선택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1), 수신했을 경우 선택된 채널로 변경한다(S22). 그리고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선택된 채널에 포함된 콘텐츠가 재생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해당 콘텐츠와 관련딘 페이지 정보를 휴대용 단말(200)로 전송한다(SS3).
휴대용 단말(200)은 전송된 페이지 정보를 수신하여 페이지 정보에 기초한 상품 정보 화면을 표시한다(S15). 그리고 사용자는 상품 정보 화면에 제시되는 다양한 정보에 대하여 원하는 조작을 수행하며, 상품의 구매를 원하는 경우 상품 정보 화면을 통하여 혹은 상품 정보 화면으로부터 전환된 화면을 통하여 상품 구매를 위한 결제를 수행한다(S16).
휴대용 단말(200)을 통하여 상품 구매를 위한 결제가 수행되면, 관련 결제 정보가 멀티미디어 단말(100)로 전송한다. 멀티미디어 단말(100)은 수신한 결제 정보를 서버(300)에 전송함으로써 광고 효과등을 분석하고, 광고료 정산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품 정보 화면 및 이에 연동된 결제 화면 등은 서버(300)가 제공하는 것일 수도 있으며, 서버(300)가 아닌 별도의 웹 서버(400)에 의하여 제공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 제어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하여 일반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용 단말(200)을 무료로 충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단말(100)을 자신의 휴대용 단말(200)에 인스톨된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제어함으로써 충전 및 상품 구매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광고주는 멀티미디어 단말(10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의 사용자에 대한 노출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와 관련된 상품정보 화면을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200)에 디스플레이시키고 상품의 결제까지 쉽게 유도하여 광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멀티미디어 단말 200: 휴대용 단말
300: 서버 400: 웹서버

Claims (20)

  1. 사용자에 의하여 휴대되는 휴대용 단말로서,
    상기 휴대용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외부의 멀티미디어 단말과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에서 재생되는 콘텐츠에 관련된 페이지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아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
    상기 외부의 멀티미디어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용 화면 및 상기 수신한 페이지 정보에 관한 상품정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어용 화면을 통한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로 충전개시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상품정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에서 재생되는 콘텐츠가 갱신될 때마다 상기 페이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페이지 정보의 수신에 연동하여 상기 상품정보 화면을 새로 디스플레이시키는, 휴대용 단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 화면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해당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결제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과 NFC 또는 iBeacon 방식으로 통신하는, 휴대용 단말.
  6. 사용자에 의하여 휴대되는 휴대용 단말의 제어방법으로서,
    외부의 멀티미디어 단말과 무선으로 연결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용 화면을 상기 휴대용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어용 화면을 통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로 충전개시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선으로 연결된 멀티미디어 단말로부터 상기 휴대용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에서 재생되는 콘텐츠에 관련된 페이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페이지 정보에 관한 상품정보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의 제어방법.
  7. 삭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에서 재생되는 콘텐츠가 갱신될 때마다 상기 페이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품정보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는 상기 페이지 정보의 수신에 연동하여 상기 상품정보 화면을 새로 디스플레이시키는, 휴대용 단말의 제어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 화면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해당 상품의 구매에 대한 결제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의 제어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에서 재생될 콘텐츠의 그룹을 선택하기 위한 채널 선택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채널 선택 화면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채널로의 변경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의 제어방법.
  11. 사용자에 의하여 휴대되는 휴대용 단말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외부의 멀티미디어 단말과 무선으로 연결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용 화면을 상기 휴대용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어용 화면을 통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로 충전개시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선으로 연결된 멀티미디어 단말로부터 상기 휴대용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에서 재생되는 콘텐츠에 관련된 페이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페이지 정보에 관한 상품정보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를 실행시키는 저장매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12. 충전기능이 있는 멀티미디어 단말로서,
    외부 단말로 제공할 전력을 저장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외부 단말과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무선 통신부;
    상기 외부 단말로의 충전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전력 전송부;
    외부로부터 수신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전송부가 상기 외부 단말로 전력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의 그룹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된 그룹의 콘텐츠를 재생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멀티미디어 단말.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 재생과 관련하여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전력 전송부가 상기 외부 단말로 전력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멀티미디어 단말.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콘텐츠마다 연관된 페이지 정보를 함께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재생되는 콘텐츠에 연관된 페이지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단말로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단말.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외부 단말과 NFC 또는 iBeacon 방식으로 통신하는, 멀티미디어 단말.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송부는 상기 외부 단말과 무선으로 결합되어 무선 충전 기능을 제공하거나 또는 유선으로 결합되어 유선 충전 기능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단말.
  17. 삭제
  18. 충전기능이 있는 멀티미디어 단말의 제어방법으로서,
    외부 단말과 무선으로 연결되는 단계;
    외부로부터 수신된 콘텐츠를 재생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충전개시의 요청에 관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재생과 관련하여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외부 단말로 전력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재생되는 콘텐츠에 연관된 페이지 정보를 상기 외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단말의 제어방법.
  19. 삭제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저장된 콘텐츠는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의 그룹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된 그룹의 콘텐츠를 재생시켜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인, 멀티미디어 단말의 제어방법.
KR1020150136043A 2015-09-25 2015-09-25 충전기능이 있는 멀티미디어 단말 및 이의 제어방법, 멀티미디어 단말을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 및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KR101621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043A KR101621321B1 (ko) 2015-09-25 2015-09-25 충전기능이 있는 멀티미디어 단말 및 이의 제어방법, 멀티미디어 단말을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 및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PCT/KR2016/010793 WO2017052348A1 (ko) 2015-09-25 2016-09-26 충전기능이 있는 멀티미디어 단말 및 이의 제어방법, 멀티미디어 단말을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 및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043A KR101621321B1 (ko) 2015-09-25 2015-09-25 충전기능이 있는 멀티미디어 단말 및 이의 제어방법, 멀티미디어 단말을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 및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1321B1 true KR101621321B1 (ko) 2016-05-16

Family

ID=56109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043A KR101621321B1 (ko) 2015-09-25 2015-09-25 충전기능이 있는 멀티미디어 단말 및 이의 제어방법, 멀티미디어 단말을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 및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21321B1 (ko)
WO (1) WO2017052348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0180B2 (en) * 2009-04-07 2015-03-03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cheduling
JP5177187B2 (ja) * 2010-08-10 2013-04-0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力伝送システム
KR20120120084A (ko) * 2011-04-22 2012-11-01 아이볼타(주)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상기 방법 및 시스템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1870181B1 (ko) * 2012-05-14 2018-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140726B1 (ko) * 2013-03-07 2020-08-04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광고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52348A4 (ko) 2017-05-11
WO2017052348A1 (ko) 2017-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9230B2 (en) Mobile terminal and coupon managing method thereof
US2020003481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 on demand kiosk
US10055775B2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mobile terminal and display device for the same
CN105825354A (zh) 仓储调度方法和装置
US20180020252A1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channel management platform, and terminal
CN104113785A (zh) 信息获取方法及装置
CN105512909A (zh) 商品推荐方法及装置
JP2012039588A (ja) テレビショッピング装置及び方法
CN109271239A (zh) 数据处理的方法、装置、系统、设备及介质
CN103890794A (zh) 用于使用近场通信(nfc)与显示器进行交互的方法、装置和系统
CN106097040A (zh) 信息推送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05488715A (zh) 目标物信息查询方法及装置
CN105701197A (zh) 页面预览方法和装置
CN104536659A (zh) 目标物信息处理方法及装置
CN114926242A (zh) 直播商品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5245691A (zh) 业务处理方法和装置、智能终端和便携可穿戴设备
CN104463640A (zh) 智能硬件商品的推荐显示方法及装置
WO2023131102A1 (zh) 程序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KR101621321B1 (ko) 충전기능이 있는 멀티미디어 단말 및 이의 제어방법, 멀티미디어 단말을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 및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KR101661609B1 (ko) 충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충전시스템
CN106775662A (zh) 推送消息的显示方法及装置
CN105096182A (zh) 信息处理方法及装置
CN107590717A (zh) 基于互联网的购物方法、装置和存储介质
KR20170027888A (ko) 메신저 기반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08009642A (ja) 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