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1279B1 -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자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21279B1 KR101621279B1 KR1020140063450A KR20140063450A KR101621279B1 KR 101621279 B1 KR101621279 B1 KR 101621279B1 KR 1020140063450 A KR1020140063450 A KR 1020140063450A KR 20140063450 A KR20140063450 A KR 20140063450A KR 101621279 B1 KR101621279 B1 KR 1016212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stening plate
- display unit
- touch screen
- engaging
- screen pan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넓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고,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자기기는 터치스크린 패널, 디스플레이 유닛, 체결 플레이트 그리고 하우징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터치스크린 패널의 하부에 마련된다. 체결 플레이트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하부에 마련된다. 그리고, 하우징은 터치스크린 패널 및 디스플레이 유닛의 외측면을 밀착 고정하는 제1결합부와, 제1결합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체결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가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다 넓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고,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 패널은 디스플레이 유닛의 화면에 표시된 문자나 도형을 사람의 손가락이나 다른 접촉수단으로 접촉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장치로서, 디스플레이 유닛 위에 부착되어 사용된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사람의 손가락 등으로 접촉된 접촉 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전기적 신호는 입력 신호로서 이용된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센서 패드 및 상기 센서 패드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신호 배선을 포함한다. 센서 패드로 입력된 터치 신호는 복수의 신호 배선을 통하여 터치스크린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로 전달되어 입력 신호로 이용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모바일 전자기기의 일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모바일 전자기기의 구성부품의 결합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종래의 모바일 전자기기에 탑재된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 패널의 일 예를 나타낸 분해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모바일 전자기기(10)는 메인 보드(20)와, 메인 보드(20) 상부에 차례로 적층되는 디스플레이 유닛(30), 터치스크린 패널(40) 및 커버유리(50), 그리고 하우징(60)을 포함한다.
여기서, 메인 보드(20)에는 모바일 전자기기(10)의 구동을 위해 필요한 전자 부품이 탑재되며, 하우징(60)에는 메인 보드(20), 디스플레이 유닛(30), 터치스크린 패널(40) 및 커버유리(50)가 결합 고정된다.
한편, 터치스크린 패널(40)은 투명 기판(41)과 투명 기판(41) 위에 차례로 형성된 제1센서 패턴층(42), 제1절연막층(43), 제2센서 패턴층(44) 및 제2절연막층(45)과 금속 배선(46)으로 이루어진다.
제1센서 패턴층(42)은 투명 기판(41) 위에 횡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행 단위로 금속 배선(46)과 연결된다.
제2센서 패턴층(44)은 제1절연막층(43) 위에 종방향을 따라 연결될 수 있으며, 제1센서 패턴층(42)과 중첩되지 않도록 제1센서 패턴층(42)과 교호로 배치된다. 또한, 제2센서 패턴층(44)은 열 단위로 금속 배선(46)과 연결된다.
금속 배선(46)은 터치스크린 패널(40)의 외곽에 형성되며, 터치 접촉 위치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즉, 터치스크린 패널(40)에 사람의 손가락이나 접촉 수단이 접촉되면 제1센서 패턴층(42)과 제2센서 패턴층(44), 및 금속 배선(46)을 통하여 구동 회로(미도시) 측으로 접촉 위치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가 전달된다. 그리고 이렇게 전달된 정전용량의 변화가 전기적 신호로 변환됨에 따라 접촉 위치가 파악된다.
한편, 이러한 금속 배선(46)은 디스플레이 유닛(30)의 영상을 가리기 때문에, 터치스크린 패널(40)을 디스플레이 유닛(30)보다 크게 함으로써, 금속 배선(46)이 디스플레이 유닛(3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금속 배선(46)은 외부에 노출 시에 심미감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터치스크린 패널(40)을 모바일 전자기기에 실장 시 해당 금속 배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기 위한 베젤(Bezel)을 'A' 영역에 추가로 형성해주어야만 한다. 베젤은 배선을 가리기 위하여 유색 잉크, 일례로 흑색 잉크를 도포하여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종래의 모바일 전자기기에서는, 외부로 노출되는 베젤이 없거나 좁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현하기 어렵다. 디스플레이 유닛(30)의 금속 배선까지 고려하는 경우, 베젤 영역(A)은 더 커질 수 밖에 없었다. 그런데, 이러한 베젤은 동일한 사이즈의 모바일 전자기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표시 영역의 사이즈가 작아지도록 하는 문제점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모바일 전자기기(10)의 디스플레이 부분에 대한 심미감도 떨어뜨릴 수 있다.
한편, 터치스크린 패널(40)의 금속 배선의 배치를 무시하더라도, 터치스크린 패널(40)과 하우징(60)의 접합 부위에 의해 베젤이 넓게 형성될 수 밖에 없었다. 즉, 터치스크린 패널(40)은 터치스크린 패널(40)의 테두리 하단부가 하우징(60)의 하부에 형성된 단차부(61)의 상면에 테이프 방식 또는 에폭시를 이용한 열융착에 의해 결합된다. 이러한 테이프 방식 또는 열융착 방식은 접합 부위의 면적에 따라 접합력이 결정된다. 터치스크린 패널(40)과 하우징(60)이 통상적으로 요구되는 수준의 접합력을 가지려면, 베젤 영역과 유사하거나 이보다 큰 면적의 접합 면적이 필요했다. 또한, 테이프 방식 또는 열융착 방식에 의해 결합된 터치스크린 패널(40)과 하우징(60)은 접합 후 분리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조립 공정에서 불량이 발생하거나 사용자(소비자)의 요구에 의한 교체 및 수리 시에 해당 부품을 교체 및 수리하기가 쉽지가 않아 교체비 및 공임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형합성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유닛 및 터치스크린 패널을 하우징에 기구적으로 끼워 넣은 방식도 등장하고 있으나, 이 역시 터치스크린 패널 또는 디스플레이 유닛에 존재하는 금속 배선 영역을 가리기 위한 베젤 영역이 구비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다 넓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고,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터치스크린 패널;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하부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하부에 마련되는 체결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외측면을 밀착 고정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 플레이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테두리부를 가지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에 단차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 및 외측면을 밀착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에는 상기 테두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테두리부의 두께 방향으로 복수의 제1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의 하측면에는 상기 제1관통공에 대응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공으로는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도록 결합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볼트이고, 상기 체결홈에는 상기 볼트가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메인 기판이 더 마련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메인 기판의 외측면까지 밀착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체결 플레이트의 사이에는 메인 기판이 더 마련되고, 상기 메인 기판에는 상기 제1관통공에 대응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1관통공 및 상기 제2관통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체결홈에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테두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수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 플레이트의 하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체결 플레이트의 사이에는 메인 기판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 플레이트의 외측면에는 상기 체결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수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 플레이트의 하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체결 플레이트의 사이에는 메인 기판이 더 마련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메인 기판의 외측면까지 밀착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 플레이트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보다 작은 면적의 홀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상부에는 커버유리가 마련되고, 상기 커버유리는 상기 제1결합부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하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 유닛을 탑재한 전자기기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종래의 전자기기에서 베젤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디스플레이 유닛을 확장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전자기기와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전자기기에서 보다 넓은 디스플레이 영역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부재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가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어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모바일 전자기기의 일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모바일 전자기기의 구성부품의 결합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모바일 전자기기에 탑재된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 패널의 일 예를 나타낸 분해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터치스크린 패널을 나타낸 분해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터치스크린 패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성부품의 결합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체결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성부품의 결합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성부품의 결합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체결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성부품의 결합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모바일 전자기기의 구성부품의 결합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모바일 전자기기에 탑재된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 패널의 일 예를 나타낸 분해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터치스크린 패널을 나타낸 분해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터치스크린 패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성부품의 결합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체결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성부품의 결합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성부품의 결합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체결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성부품의 결합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터치스크린 패널을 나타낸 분해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터치스크린 패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성부품의 결합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4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자기기(100)는 터치스크린 패널(200), 디스플레이 유닛(300), 체결 플레이트(400) 그리고 하우징(50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터치스크린 패널(200)은 기판(210), 기판(210) 위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센서 패드(220), 센서 패드(220)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신호 배선(230), 구동장치(240) 및 신호 배선(230)과 구동장치(240)를 연결하는 회로 기판(25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210)은 투명한 소재의 유리 또는 플라스틱 필름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각 신호 배선(230)은 한 쪽 끝이 센서 패드(220)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쪽 끝은 기판(210)의 아래 가장자리까지 뻗어 있을 수 있다.
센서 패드(220)는 인접한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으며, 신호 배선(230)의 선폭은 수~수십 마이크로 미터 수준으로 상당히 좁게 이루어져 센서 패드(220)의 열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센서 패드(220)와 신호 배선(230)은 ITO(indium-tin-oxide), ATO(Antimony Tin Oxide), IZO(indium-zinc-oxide), CNT(carbon nanotube), 그래핀(graphene) 등의 투명한 도전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유닛(300)의 영상은 터치스크린 패널(200)을 통해 왜곡 또는 가려짐이 없이 표시될 수 있다.
센서 패드(220)와 신호 배선(230)은 투명한 절연판(260)으로 덮일 수 있으며, 투명한 절연판(260)은 유리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센서 패드(220)와 신호 배선(230)은 투명한 절연판(260)에 직접 패터닝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투명한 절연판(260), 센서 패드(220) 및 신호 배선(230)이 일체형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기판(210)은 생략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20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240)는 인쇄 회로 기판이나 가요성 회로 필름과 같은 회로 기판(250) 위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판(210) 또는 투명한 절연판(260)의 일부에 직접 실장될 수도 있다. 구동장치(240)는 터치 검출부(241), 터치 정보 처리부(242), 메모리(243) 및 제어부(244)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직접회로(IC)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검출부(241), 터치 정보 처리부(242), 메모리(243), 제어부(244)는 각각 분리되거나, 둘 이상의 구성 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터치 검출부(241)는 센서 패드(220) 및 신호 배선(230)과 연결된 복수의 스위치와 복수의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244)로부터 신호를 받아 터치 검출을 위한 회로들을 구동하고, 터치 검출 결과에 대응하는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터치 검출부(241)는 증폭기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 패드(220)의 전압 변화의 차이를 변환, 증폭 또는 디지털화하여 메모리(243)에 기억시킬 수 있다.
또한, 터치 정보 처리부(242)는 메모리(243)에 기억된 디지털 전압을 처리하여 터치 여부, 터치 면적 및 터치 좌표 등의 필요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44)는 터치 검출부(241) 및 터치 정보 처리부(242)를 제어하고,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icro control unit, MCU)을 포함할 수 있으며, 펌 웨어를 통해 정해진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 패널(200)은 신호 배선(230)이 투명하기 때문에, 신호 배선(230)의 위치와 상관없이 신호 배선을 가리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지 않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패널(200)은 신호 배선(230)이 디스플레이 유닛(300)의 영상을 가리지 않고, 육안으로 거의 식별이 되지 않아 베젤이 없는, 즉, 베젤리스(Bezeless) 터치스크린 패널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100)는 기본적으로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패널이 탑재된다. 본 발명에서,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패널은 전술한 형태의 터치스크린 패널(200)뿐만 아니라, 공지된 기술을 통해 구현될 수 있는 모든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패널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기기(100)에 탑재된 구성부품의 결합 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100)의 터치스크린 패널(200)의 하부에는 디스플레이 유닛(300)이 마련되며, 디스플레이 유닛(300)의 하부에는 체결 플레이트(400)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터치스크린 패널(200), 디스플레이 유닛(300) 및 체결 플레이트(400)는 하우징(500)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500)은 제1결합부(510) 및 제2결합부(520)를 가질 수 있다. 제1결합부(510)는 하우징(500)의 상부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터치스크린 패널(200) 및 디스플레이 유닛(300)의 외측면을 밀착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2결합부(520)는 하우징(500)의 하부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제1결합부(5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체결 플레이트(400)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결합부(520)는 제1결합부(510)에 단차 형성될 수 있다. 체결 플레이트(400)는 터치스크린 패널(200)과 디스플레이 유닛(300)을 안정적으로 수용하며 하우징(500)과 결합된다. 체결 플레이트(400)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에서는 편의상 체결 플레이트(400)와 터치스크린 패널(200) 및 디스플레이 유닛(300)의 두께가 거의 동일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체결 플레이트는 터치 스프린 패널(200) 및 디스플레이 유닛(300)에 비해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체결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인데, 도 10을 참조하면, 체결 플레이트(400)는 디스플레이 유닛(300)의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테두리부(410)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테두리부(410)에는, 테두리부(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관통공(420)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관통공(420)은 테두리부(41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다.
도 10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체결 플레이트(400)는 디스플레이 유닛(300)이 얹혀지는 부분이 채워진 형태일 수 있다. 또는, 도 10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체결 플레이트(400)에는 디스플레이 유닛(300)보다 작은 면적의 홀(43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홀(430)은 체결 플레이트(40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홀(430)은 디스플레이 유닛(300)과 후술할 메인 기판(90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도 있으며, 체결 플레이트(400)의 무게를 줄임으로써 전자기기(100)의 무게를 줄이는 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스크린 패널(200)의 상부에는 커버유리(60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커버유리(600), 터치스크린 패널(200) 및 디스플레이 유닛(300)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커버유리(600), 터치스크린 패널(200), 디스플레이 유닛(300) 및 체결 플레이트(400)를 통칭하여 ‘디스플레이 장치(800)’라 칭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800)는 하우징(50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800)는 체결 플레이트(400)의 테두리부(410)가 제1결합부(510)에 걸리게 되면서 하우징(5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에 의해 체결 플레이트(400)의 테두리부(410)의 상면 및 외측면은 제2결합부(520)에 밀착 고정될 수 있으며, 커버유리(600), 터치스크린 패널(200) 및 디스플레이 유닛(300)은 제1결합부(510)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1결합부(510)의 상측에는 터치스크린 패널(200) 및 디스플레이 유닛(300)이 그 상측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가 추가될 수 있다. 일례로, 제1결합부는 터치스크린 패널(200) 또는 커버유리(600)의 상측면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제1결합부(510)의 하측면에는 테두리부(410)에 형성된 제1관통공(420)에 대응되는 체결홈(5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관통공(420)으로는 체결홈(511)에 체결되도록 결합부재(700)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재(700)는 볼트일 수 있으며, 체결홈(511)에는 볼트가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재(700)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800)는 하우징(50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이러한 기구적인 결합 형태는 디스플레이 장치(800)와 하우징(500)의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하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체결 플레이트(400)의 하부에는 메인 기판(900)이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우징(500)의 제2결합부(520)는 메인 기판(900)의 외측면까지 밀착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300)의 하부에 체결 플레이트(400)가 마련되는 경우, 체결 플레이트(400)는 디스플레이 유닛(300)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체결 플레이트(400)는 디스플레이 유닛(300)에 포함된 브래킷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표시영역에 대한 간섭이 없이 제한된 모바일 전자기기에서 표시영역을 최대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종래의 전자기기에서 베젤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디스플레이 유닛을 확장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전자기기와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전자기기에서 보다 넓은 표시영역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500)은, 하우징(5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하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도 8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500a)의 외측면(501a)은 굴곡지도록 형성되거나, 도 8의 (b) 및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500b,500c)의 외측면(501b,501c)이 경사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의 외측면의 경사도를 조절하거나 굴곡을 줄 경우, 사용자가 표시영역을 바라보았을 때, 전자기기의 외곽라인에 의해 하우징이 차지하는 폭 면적이 시각적으로 작아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전자기기에서 표시영역을 더 넓게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300a)은 터치스크린 패널(200)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300a)은 가장자리에 베젤영역(B)을 갖는 것일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 패널(200)은 디스플레이 유닛(300a)의 표시영역(C)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300a)의 베젤영역(B)은 하우징(500)의 제1결합부(510)에 형성되는 단차(512)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는 디스플레이 유닛(300a)의 베젤영역(B)을 가리기 위하여 유색 잉크를 도포하는 등의 공정이 생략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는 공정이 간소화되고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성부품의 결합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100)에서는 메인 기판(1900)이 디스플레이 유닛(1300) 및 체결 플레이트(1400)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 플레이트(1400)는 디스플레이 유닛(1300)과 별도로 제작되는 별도품일 수 있다.
그리고, 메인 기판(1900)에는 체결 플레이트(1400)에 형성된 제1관통공(1420)에 대응되는 제2관통공(181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부재(1700)가 제1관통공(1420) 및 제2관통공(1810)으로 삽입되어 제1결합부(1510)의 체결홈(1511)에 체결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성부품의 결합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체결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도 12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2100)에서는, 체결 플레이트(2400)의 테두리부(2410)의 외측면에 테두리부(2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수용홈(242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2500)의 제2결합부(2520)의 내측면에는 수용홈(2420)에 결합되는 결합돌기(2521)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2521) 및 수용홈(2420)의 개수는 하우징(2500)과 체결 플레이트(2400)의 체결 강도를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결합돌기(2521)는, 하우징(250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체결 플레이트(2400)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면이 굴곡지거나 경사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 플레이트(2400)에는 디스플레이 유닛(2300)보다 작은 면적으로 홀(243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체결 플레이트(2400)는 디스플레이 유닛(23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체결 플레이트(2400)는 디스플레이 유닛(2300)에 포함되는 브래킷일 수 있다.
그리고, 메인 기판(2900)은 체결 플레이트(240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우징(2500)의 제2결합부(2520)는 메인 기판(2900)의 외측면까지 밀착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인 기판(2900)은 디스플레이 유닛(2300) 및 체결 플레이트(2400)의 사이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체결 플레이트(2400)는 디스플레이 유닛(2300)과 별도로 제작되는 별도품일 수 있다.
그리고, 체결 플레이트(2400)의 수용홈(24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2521)는 제2결합부(2520)의 내측면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 유닛은 터치스크린 패널(2200)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은 가장자리에 베젤영역을 갖는 것일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 패널(2200)은 디스플레이 유닛의 표시영역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성부품의 결합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3100)의 하우징(3500)의 제1결합부(3510) 및 제2결합부(3520)는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3800)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3800)는 도 7을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유리(3600), 터치스크린 패널(3200), 디스플레이 유닛(3300) 및 체결 플레이트(3400)를 통칭하는 것으로, 경우에 따라서 체결 플레이트(3400)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체결 플레이트(3400)의 외측면에는 체결 플레이트(3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수용홈(3420)이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결합부(3520)의 내측면에는 수용홈(3420)에 결합되는 결합돌기(35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체결 플레이트(3400)는 디스플레이 유닛(33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체결 플레이트(3400)는 디스플레이 유닛(3300)에 포함되는 브래킷일 수도 있다.
그리고, 체결 플레이트(3400)의 하부에는 메인 기판(3900)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우징(3500)의 제2결합부(3520)는 메인 기판(3900)의 외측면까지 밀착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인 기판(3900)은 디스플레이 유닛(3300) 및 체결 플레이트(3400)의 사이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체결 플레이트(3400)는 디스플레이 유닛(300)과 별도로 제작되는 별도품일 수 있다. 그리고, 체결 플레이트(3400)의 수용홈(34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3521)는 제2결합부(3520)의 내측면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에서 제2결합부의 결합돌기는 체결 플레이트의 하측면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 플레이트는 수용홈이 그 하측면에 형성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 플레이트의 구조 변경 없이 하우징의 결합돌기만으로 체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1100,2100,3100: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자기기
200,2200,3200: 터치스크린 패널
300,300a,1300,2300,3300: 디스플레이 유닛
400,1400,2400,340: 체결 플레이트
410,2410: 테두리부
420,1420: 제1관통공
430,2430: 홀
500,2500,3500: 하우징
511,1511: 체결홈
510,1510,3510: 제1결합부
520,1520,2520,3520: 제2결합부
600,3600: 커버유리
700,1700: 결합부재
800,3800: 디스플레이 장치
900,1900,2900,3900: 메인 기판
1810: 제2관통공
2420,3420: 수용홈
2521,3521: 결합돌기
200,2200,3200: 터치스크린 패널
300,300a,1300,2300,3300: 디스플레이 유닛
400,1400,2400,340: 체결 플레이트
410,2410: 테두리부
420,1420: 제1관통공
430,2430: 홀
500,2500,3500: 하우징
511,1511: 체결홈
510,1510,3510: 제1결합부
520,1520,2520,3520: 제2결합부
600,3600: 커버유리
700,1700: 결합부재
800,3800: 디스플레이 장치
900,1900,2900,3900: 메인 기판
1810: 제2관통공
2420,3420: 수용홈
2521,3521: 결합돌기
Claims (13)
- 터치스크린 패널;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하부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부에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얹혀지도록 지지하는 체결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외측면을 밀착 고정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플레이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테두리부를 가지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보다 좁은 폭을 가지도록 상기 제1결합부에 단차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 및 외측면을 밀착 고정하여 상기 체결 플레이트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인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자기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에는 상기 테두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테두리부의 두께 방향으로 복수의 제1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의 하측면에는 상기 제1관통공에 대응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공으로는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도록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것인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자기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볼트이고, 상기 체결홈에는 상기 볼트가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인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자기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메인 기판이 더 마련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메인 기판의 외측면까지 밀착 고정하는 것인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자기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체결 플레이트의 사이에는 메인 기판이 더 마련되고, 상기 메인 기판에는 상기 제1관통공에 대응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1관통공 및 상기 제2관통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는 것인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자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테두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수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인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자기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플레이트의 하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체결 플레이트의 사이에는 메인 기판이 더 마련되는 것인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자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플레이트의 외측면에는 상기 체결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수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인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자기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플레이트의 하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체결 플레이트의 사이에는 메인 기판이 더 마련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메인 기판의 외측면까지 밀착 고정하는 것인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자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플레이트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보다 작은 면적의 홀이 더 형성되는 것인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자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상부에는 커버유리가 마련되고, 상기 커버유리는 상기 제1결합부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것인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자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하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인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59964 | 2013-05-27 | ||
KR1020130059964 | 2013-05-2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39437A KR20140139437A (ko) | 2014-12-05 |
KR101621279B1 true KR101621279B1 (ko) | 2016-05-17 |
Family
ID=52459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63450A KR101621279B1 (ko) | 2013-05-27 | 2014-05-27 |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자기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2127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155194A (zh) * | 2015-04-21 | 2016-11-23 |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 移动设备 |
CN104835418B (zh) * | 2015-04-24 | 2018-07-06 | 南车株洲电力机车研究所有限公司 | 一种用于列车的显示器及其安装方法 |
WO2017146449A1 (ko) * | 2016-02-22 | 2017-08-31 | 주식회사 파트론 | 지문인식 센서 패키지 |
KR102132344B1 (ko) | 2016-12-28 | 2020-07-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패널 모듈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281380A1 (en) * | 2011-05-04 | 2012-11-08 | Werner Christopher M | Housing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reduced border region |
-
2014
- 2014-05-27 KR KR1020140063450A patent/KR10162127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281380A1 (en) * | 2011-05-04 | 2012-11-08 | Werner Christopher M | Housing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reduced border reg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39437A (ko) | 2014-1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82293B1 (ko) | 터치 스크린 패널 | |
JP6163191B2 (ja) | 圧力検出のための電極シート及びこれを含む圧力検出モジュール | |
KR101905789B1 (ko) |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 |
KR102302811B1 (ko) | 터치 패널 | |
US8593413B2 (en) | Sensory structure of capacitive touch panel and capacitive touch panel having the same | |
JP6622917B2 (ja) | 温度補償が適用された圧力を検出できる電極シート及びタッチ入力装置 | |
TWI559192B (zh) | 觸控顯示裝置及其驅動方法 | |
KR102058699B1 (ko) | 터치 및 휨 감지 기능을 가지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 |
US20120146921A1 (en) | Touch screen panel | |
KR20140064259A (ko) |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 |
KR20100084252A (ko) | 터치 스크린 패널 | |
KR101621279B1 (ko) |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자기기 | |
KR101022143B1 (ko) | 터치 스크린 패널 | |
KR102175699B1 (ko) | 터치패널 | |
US20170242543A1 (en) | Display device | |
KR20160088546A (ko) | 터치 윈도우 및 터치 디바이스 | |
KR100978249B1 (ko) | 복수의 터치영역을 구비한 터치패널 | |
KR102262553B1 (ko) | 터치 패널 | |
KR20140095895A (ko) | 터치 스크린 패널 | |
KR101502910B1 (ko) | 터치 검출 및 시인성 개선을 위한 터치 검출 장치 | |
TWI584166B (zh) | 觸控面板及其製造方法 | |
KR20150057323A (ko) | 좁은 베젤영역을 갖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 |
KR102237964B1 (ko) | 전극부재, 이를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
JP6695505B2 (ja) | 表示操作装置 | |
KR101520724B1 (ko) | 터치 검출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터치 검출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