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1074B1 - 유체 혼합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혼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1074B1
KR101621074B1 KR1020140105479A KR20140105479A KR101621074B1 KR 101621074 B1 KR101621074 B1 KR 101621074B1 KR 1020140105479 A KR1020140105479 A KR 1020140105479A KR 20140105479 A KR20140105479 A KR 20140105479A KR 101621074 B1 KR101621074 B1 KR 101621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suction pipe
float
swirl flow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5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0308A (ko
Inventor
차상화
Original Assignee
차상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상화 filed Critical 차상화
Priority to KR1020140105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1074B1/ko
Publication of KR20160020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70Spray-mixers, e.g. for mixing intersecting sheets of material
    • B01F25/72Spray-mixers, e.g. for mixing intersecting sheets of material with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1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using floccul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rope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혼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가 저장된 탱크 내부에서 부유하면서 2 이상의 유체를 혼합하여 수중으로 분사시킴으로써 탱크 내부에 저장된 유체를 효과적으로 교반할 수 있는 유체 혼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체 혼합장치는 액체상태의 제 1유체가 저장된 탱크의 내부에 설치되며 수면에 부유 가능한 부유체와, 부유체에 결합되어 수중에 잠기도록 설치되며, 적어도 2종류의 유체를 혼합하여 사선방향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 1유체를 상기 탱크 내에서 선회시키는 선회류형성부와, 수위에 따라 상기 선회류형성부의 상하 이동은 허용하되 상기 선회류형성부의 회전은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부유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유체 혼합장치{fluid mixer}
본 발명은 유체 혼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가 저장된 탱크 내부에서 부유하면서 2 이상의 유체를 혼합하여 수중으로 분사시킴으로써 탱크 내부에 저장된 유체를 효과적으로 교반할 수 있는 유체 혼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체 혼합기는 기체와 액체(기-액)를 혼합하거나 액체와 액체(액-액)를 혼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로 수처리 분야에 사용되고 있으나 이 외에도 식품 및 의약품, 수산업, 농업 분야 등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수처리분야로 하폐수의 정화처리, 양식장이나 양어장의 수질정화, 액비 발효 등에 유체 혼합기가 사용되고 있다.
유체 혼합기는 처리 방식에 따라 모터를 이용한 스크루 또는 임펠러 회전 방식과 컴프레서를 이용한 맥동형 기포 발생식으로 대별될 수 있다. 또한, 유체 혼합기는 처리 유형에 따라 회분식(batch type)과 연속식(continuous type)으로 대별할 수 있으며, 회분식에는 식품 및 의약품 발효에 사용되는 호기 발효조, 폐수 처리에 사용되는 폭기조, 양어장 또는 양식장에서 사용되는 수차형 에어레이터 등을 들 수 있으며, 연속식에는 에어 믹싱 펌프 등을 들 수 있다.
종래의 스크루나 임펠러 회전 방식은 비교적 소음이 적고 에너지 비용이 적게 든다는 장점은 있으나 스크루나 임펠러 또는 수차(水車)의 형상이 통상의 형태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관계로 액체에 대한 기체의 용해 효율성이 낮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으므로 거의 사용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한편, 컴프레서를 이용한 종래의 맥동형 기포 발생식은 기체 용해 효율성이 스크루나 임펠러 회전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는 장점이 있어 종래 가장 널리 사용되고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맥동 소음이 상대적으로 크고 에너지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148080호에는 유체혼합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기술은 적어도 하나의 단위 유체 혼합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이 단위 유체 혼합기는, 유체 유입부와 상기 유체 유입부와 연결되며 유체 혼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체 유입부에서는 주변부 벽체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유입구는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일 편으로 경사지게 유체가 유입되어 내부 공간에서 와류를 형성하도록 유체 입력 방향을 유도하는 유도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혼합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종래의 기술은 별도의 동력을 필요로 하는 혼합장치 없이도 혼합과정을 행할 수 있고, 연속적인 유체의 흐름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혼합이 이루어져 혼합된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기술은 흐르는 유체의 혼합만 가능할 뿐 탱크 내에 저장된 유체를 혼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148080호: 유체혼합장치
본 발명은 유체 혼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가 저장된 탱크 내부에서 부유하면서 2 이상의 유체를 혼합하여 수중으로 분사시킴으로써 탱크 내부에 저장된 유체를 효과적으로 교반할 수 있는 유체 혼합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체 혼합장치는 액체상태의 제 1유체가 저장된 탱크의 내부에 설치되며 수면에 부유 가능한 부유체와; 상기 부유체에 결합되어 수중에 잠기도록 설치되며, 적어도 2종류의 유체를 혼합하여 사선방향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 1유체를 상기 탱크 내에서 선회시키는 선회류형성부와; 수위에 따라 상기 선회류형성부의 상하 이동은 허용하되 상기 선회류형성부의 회전은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부유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회류형성부는 상기 부유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유체가 순환할 수 있는 메인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메인관부와, 상기 메인관부에 형성된 유입관과 연결되어 상기 메인유로로 상기 제 1유체를 유입시키는 펌프와, 상기 메인관부의 전후 또는 좌우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메인유로를 흐르는 상기 제 1유체를 다수의 방향으로 분기시키는 분기관들과, 상기 각 분기관들과 경사지게 결합되어 수중에 잠기며 상기 분기관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제 1유체를 사선방향으로 분사하는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와 연결되어 상기 노즐부로 제 2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유체주입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체주입수단은 상기 제 2유체가 흡입되는 제 1흡입관과, 상기 제 1흡입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 2유체의 흡입량을 조절하는 조절부재와, 상기 제 1흡입관과 연결되는 제 2흡입관과, 상기 제 2흡입관과 연결되어 상기 노즐부로 연장되는 제 3흡입관과, 상기 제 2흡입관을 상기 부유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즐부는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가 돔형상의 캡에 의해 밀폐되며 상기 캡의 중심에 상기 제 3흡입관이 연결되는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분기관과 나사결합하는 연결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부유체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며 상하로 삽입홀이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삽입홀에 각각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하단은 상기 탱크의 바닥에 접촉되고 상단은 수면 밖으로 노출되는 한쌍의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는 간주와, 상기 탱크의 상판에 고정된 고리부와, 상기 지주의 상부와 상기 고리부를 연결하여 상기 지주를 지지하는 지지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유체가 저장된 탱크 내부에서 부유하면서 2 이상의 유체를 혼합하여 수중으로 분사시킴으로써 탱크 내부에 저장된 유체를 효과적으로 교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체 혼합장치는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둘 이상의 유체(기-액 또는 액-액)를 혼합하는 혼합장치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혼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적용된 노즐부를 발췌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체혼합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체혼합장치는 크게 부유체(10)와, 선회류형성부(20)와, 고정수단을 구비한다.
부유체(10)는 액체상태의 제 1유체가 저장된 탱크(1)의 내부에 설치되며 수면에 부유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부유체(10)는 수면에 부유할 수 있는 부력을 갖는다. 부유체(10)는 다양한 형상과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부유체(10)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부유체(10)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스테인리스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부유체(10)의 상부에는 주입구가 형성되고, 주입구는 마개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주입구를 통해 물을 부유체 내부로 주입하여 부유체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달리 부유체는 탱크(1)에 저장된 제 1유체보다 비중이 더 작은 소재로 형성되어 수면에 부유시킬 수 있다.
선회류형성부(20)는 부유체(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수중에 잠기도록 위치한다.
선회류형성부(20)는 2 이상의 유체를 혼합함과 동시에 혼합된 유체를 수중으로 분사한다. 분사시 혼합된 유체를 사선방향으로 분사시켜 탱크(1) 내부에 저장된 제 1유체를 어느 한 방향으로 선회시키는 역할을 한다.
선회류형성부(20)는 부유체(10)의 하부에 결합되는 메인관부(21)와, 메인관부(21)에 형성된 유입관(25)과 연결되는 펌프(80)와, 메인관부(80)의 전후 또는 좌우에 각각 설치되는 분기관들(27)과, 분기관들(27)과 경사지게 결합되어 제 1유체를 사선방향으로 분사하는 노즐부(30)와, 노즐부(30)로 제 2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유체주입수단을 구비한다.
메인관부(21)는 다수의 직선관과 다수의 엘보우관을 결합하여 전체적으로 ㅁ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달리 환형 또는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관부(21)의 내부에는 유체가 흐를 수 있는 메인유로가 형성된다. 메인유로는 폐회로를 이루기 때문에 메인유로를 흐르는 유체는 메인유로를 따라 순환하는 구조를 갖는다.
메인관부(21)는 결합부재에 의해 부유체(10)와 이격되어 하방에 설치된다. 결합부재의 일 예로 메인관부(21)의 상부에 고정된 제 1브라켓트(17)와, 부유체(10)의 하부에 고정된 제 2브라켓트(18)와, 제 1 및 제 2브라켓트(17)(18)를 상호 결합시키는 볼트(19)와 너트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결합부재는 부유체(10)의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메인관부(21)의 일측에는 유입관(25)이 형성된다. 유입관(25)은 메인관부(21)의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펌프(80)는 유입관(25)의 하부에 연결된다. 펌프(80)는 통상적인 수중펌프를 이용한다. 펌프(80)는 탱크(1)에 저장된 제 1유체를 펌핑하여 유입관(25)을 통해 메인유로로 유입시킨다.
분기관들(27)은 메인관부(21)에 설치된다. 분기관들(27)은 적어도 둘 이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기관들(27)은 메인관부(21)의 전후 또는 좌우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분기관들(27)은 메인관부(21)의 전후와 좌우 사방에 모두 설치되어 있다.
메인유로를 흐르는 제 1유체는 분기관(27)을 통해 다수의 방향으로 분기되어 노즐부(30)로 유입된다.
노즐부(40)는 각 분기관들(27)에 하나씩 연결되어 설치된다.
노즐부(30)는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가 돔형상의 캡(35)에 의해 밀폐되는 원통형의 몸체(31)와, 몸체(31)의 일측에 형성되어 분기관(27)과 결합하는 연결관(33)을 구비한다.
연결관(33)의 일측은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분기관(27)과 나사결합한다. 그리고 연결관(33)의 타측은 몸체(31)의 측면에 연결된다. 연결관(33)을 통해 제 1유체가 몸체(3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몸체(31)의 측면에는 유입홀(32)이 형성된다. 몸체(31)의 측면에 형성된 유입홀(32)의 모습이 도 4에 잘 나타나 있다. 연결관(33)에서 바라볼 때 유입홀(32)은 연결관(33)의 중심에서 벗어나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된다. 이는 연결관(33)을 통과하여 몸체(31) 내부로 유입된 제 1유체가 몸체(31)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 1유체는 소용돌이 형상으로 회전하면서 몸체(31) 외부로 분출된다.
몸체(31)는 메인관부(21)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된다. 가령, 몸체(31)는 메인관부(21)에 대하여 10 내지 50도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캡(35)의 중심에 후술할 제 3흡입관(50)이 연결된다. 몸체 내부로 유입된 제 1유체가 몸체 내에서 빠른 속도로 회전하므로 몸체의 중심에는 압력이 낮은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 3흡입관(50)에 부압이 작용하여 제 2유체는 제 3흡입관(50)을 통해 몸체(31)의 내부로 강하게 흡입되면서 제 1유체와 혼합된다.
상술한 노즐부(30)는 수중에 잠긴 상태로 분기관(27)을 통해 유입되는 제 1유체와 제 3흡입관(50)을 통해 유입되는 제 2유체를 혼합하여 탱크 내부로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제 1유체와 제 2유체의 혼합물, 즉 혼합유체가 노즐부(30)에서 사선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분사되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유체가 소용돌이 모양으로 회전하면서 분사되므로 탱크의 바닥까지 혼합유체의 운동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교반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탱크에 저장된 제 1유체의 비중이 높은 경우 더욱 효과적이다.
혼합유체가 빠른 속도로 노즐부(30)에서 분출되면 혼합유체의 운동에너지에 의해 탱크(1)에 저장된 제 1유체가 선회한다. 선회류는 메인관부(21)를 중심으로 하여 어느 한 방향으로 흐름을 형성한다. 선회류의 회전방향은 노즐부(30)의 경사방향과 일치한다. 선회류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노즐부(30)는 메인관부(21)의 전후좌우 사방에 설치된다. 4개의 노즐부(30)는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혼합유체가 메인관부(21)의 전후좌우 사방에서 사선방향으로 동시에 분사되므로 선회류의 회전속도를 높일 수 있어 교반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유체주입수단은 노즐부(30)와 연결되어 노즐부(30)로 제 2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것이다. 제 2유체는 공기나 산소와 같은 기체, 또는 물이나 약품 등과 같은 액체일 수 있다.
유체주입수단은 제 2유체가 흡입되는 제 1흡입관(40)과, 제 1흡입관(40)에 설치되어 제 2유체의 흡입량을 조절하는 조절부재(43)와, 제 1흡입관(40)과 연결되는 제 2흡입관(40)과, 제 2흡입관(40)과 연결되어 노즐부(30)로 연장되는 제 3흡입관(50)과, 제 2흡입관(40)을 부유체(1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75)를 구비한다.
제 1흡입관(40)은 수직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 1흡입관(40)은 노즐부(30)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다. 따라서 4개의 제 1흡입관(40)이 나란하게 설치된다. 제 1흡입관(40)의 상부에 U형으로 굽어진 곡관(41)이 설치된다. 도시된 예에서 제 1흡입관(40)을 통해 제 2유체로서 공기가 유입된다. 따라서 제 1흡입관(40)은 수면 밖으로 노출되어 있으면 충분하다. 도시된 바와 달리 제 2유체가 산소붐베에 저장된 산소일 경우 제 1흡입관(40)은 산소탱크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 2유체가 별도의 저장조에 저장된 액체 형태의 유체일 경유 제 1흡입관(40)은 저장조와 연결된다.
조절부재(43)는 제 1흡입관(40)에 설치되어 제 2유체의 흡입량을 조절한다. 도시된 조절부재(43)의 일 예로 볼 밸브를 이용한다. 이외에도 다양한 조절부재(43)를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1흡입관(40)으로 공기가 유입될 경우 조절부재(43)는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함으로써 제 1유체의 산소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조절부재(43)의 공기 유입량에 따라 노즐부(30)에서 형성되는 기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 2흡입관(47)은 통상적인 커넥터(45)에 의해 제 1흡입관(40)과 연결된다. 제 2흡입관(47)은 부유체(10)의 형상에 따라 적절하게 굴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제 3흡입관(50)은 통상적인 커넥터(49)에 의해 제 2흡입관(47)과 연결된다. 4개의 노즐부(30)가 각기 다른 위치에 설치되기 때문에 제 3흡입관(50) 각각은 적절한 길이와 굴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제 3흡입관(50)의 단부는 연결소켓(51)에 의해 노즐부(30)의 캡(35)과 연결된다.
4개의 제 2흡입관(47)을 나란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부재(75)가 부유체(10)의 상부에 설치된다. 고정부재(75)는 금속소재의 플레이트 바로 이루어진다. 플레이트 바에는 4개의 관통홀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레이트바의 관통홀에 제 2흡입관(47)이 하나씩 삽입된다. 한편, 제 1흡입관(40)의 길이가 길 경우 제 1흡입관들(40)을 나란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부재(71)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고정수단은 부유체(1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고정수단은 선회류형성부(20)의 상하 이동은 허용하되 선회류형성부(20)의 회전은 차단할 수 있도록 부유체(1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고정수단의 일 예로 부유체(10)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며 상하로 삽입홀(63)이 형성된 고정부(63)와, 고정부(63)의 삽입홀에 각각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하단은 탱크(1)의 바닥에 접촉되고 상단은 수면 밖으로 노출되는 한쌍의 지주(91)와, 지주(91)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는 간주(93)와, 탱크(1)의 상판(5)에 고정된 고리부(95)와, 지주(91)의 상부와 고리부(95)를 연결하여 지주(91)를 지지하는 지지줄(97)을 구비한다.
고정부(63)는 돌출부(61)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고정부(63)의 삽입홀(63)은 지주(91)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지주(91)의 하부를 탱크(1)의 바닥에 고정시키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즉, 탱크(1)의 바닥에 접촉시킨 상태로도 지주(91)가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탱크(1) 내부를 비우지 않고 제 1유체가 채워져 있는 상태에서도 지주(91)의 설치가 가능하다.
상술한 고정수단에 의해 노즐부(30)를 통해 혼합유체가 분사되더라도 본 발명의 유체 혼합장치가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함께 탱크(1) 내부에 저장된 제 1유체의 수위에 따라 부유체(10)가 부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므로 높이 조절을 위한 별도의 동력장치가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유체 혼합장치는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둘 이상의 유체(기-액 또는 액-액)를 혼합하는 혼합장치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탱크 내부의 유체의 산소 용해도를 높이기 위한 폭기장치나 교반장치로도 활용할 수 있다.
10:부유체 20: 선회류형성수단
21: 메인관부 30: 노즐부
40: 제 1흡입관 47: 제 2흡입관
50: 제 3흡입관 80: 펌프
91: 지주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액체상태의 제 1유체가 저장된 탱크의 내부에 설치되며 수면에 부유 가능한 부유체와;
    상기 부유체에 결합되어 수중에 잠기도록 설치되며, 적어도 2종류의 유체를 혼합하여 사선방향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 1유체를 상기 탱크 내에서 선회시키는 선회류형성부와;
    수위에 따라 상기 선회류형성부의 상하 이동은 허용하되 상기 선회류형성부의 회전은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부유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선회류형성부는 상기 부유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유체가 순환할 수 있는 메인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메인관부와, 상기 메인관부에 형성된 유입관과 연결되어 상기 메인유로로 상기 제 1유체를 유입시키는 펌프와, 상기 메인관부의 전후 또는 좌우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메인유로를 흐르는 상기 제 1유체를 다수의 방향으로 분기시키는 분기관들과, 상기 각 분기관들과 경사지게 결합되어 수중에 잠기며 상기 분기관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제 1유체를 사선방향으로 분사하는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와 연결되어 상기 노즐부로 제 2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유체주입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유체주입수단은 상기 제 2유체가 흡입되는 제 1흡입관과, 상기 제 1흡입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 2유체의 흡입량을 조절하는 조절부재와, 상기 제 1흡입관과 연결되는 제 2흡입관과, 상기 제 2흡입관과 연결되어 상기 노즐부로 연장되는 제 3흡입관과, 상기 제 2흡입관을 상기 부유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혼합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가 돔형상의 캡에 의해 밀폐되며 상기 캡의 중심에 상기 제 3흡입관이 연결되는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분기관과 나사결합하는 연결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혼합장치.
  5. 액체상태의 제 1유체가 저장된 탱크의 내부에 설치되며 수면에 부유 가능한 부유체와;
    상기 부유체에 결합되어 수중에 잠기도록 설치되며, 적어도 2종류의 유체를 혼합하여 사선방향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 1유체를 상기 탱크 내에서 선회시키는 선회류형성부와;
    수위에 따라 상기 선회류형성부의 상하 이동은 허용하되 상기 선회류형성부의 회전은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부유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부유체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며 상하로 삽입홀이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삽입홀에 각각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하단은 상기 탱크의 바닥에 접촉되고 상단은 수면 밖으로 노출되는 한쌍의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는 간주와, 상기 탱크의 상판에 고정된 고리부와, 상기 지주의 상부와 상기 고리부를 연결하여 상기 지주를 지지하는 지지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혼합장치.
KR1020140105479A 2014-08-13 2014-08-13 유체 혼합장치 KR101621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479A KR101621074B1 (ko) 2014-08-13 2014-08-13 유체 혼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479A KR101621074B1 (ko) 2014-08-13 2014-08-13 유체 혼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308A KR20160020308A (ko) 2016-02-23
KR101621074B1 true KR101621074B1 (ko) 2016-05-13

Family

ID=55449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5479A KR101621074B1 (ko) 2014-08-13 2014-08-13 유체 혼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10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412Y1 (ko) 2003-03-26 2003-07-22 주식회사 포스코 교반능력이 향상된 교반기
JP2006320788A (ja) * 2005-05-17 2006-11-30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攪拌機
KR200438125Y1 (ko) 2007-02-12 2008-01-24 전호진 액상 혼합장치
KR101187824B1 (ko) * 2011-05-26 2012-10-08 주식회사 호국이엔지 분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080B1 (ko) 2009-12-07 2012-06-13 (주)인사이드밸류 유체 혼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412Y1 (ko) 2003-03-26 2003-07-22 주식회사 포스코 교반능력이 향상된 교반기
JP2006320788A (ja) * 2005-05-17 2006-11-30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攪拌機
KR200438125Y1 (ko) 2007-02-12 2008-01-24 전호진 액상 혼합장치
KR101187824B1 (ko) * 2011-05-26 2012-10-08 주식회사 호국이엔지 분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308A (ko) 201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4210B1 (en) Fluid dissolution apparatus
GR3035066T3 (en)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mixing or dissolving a particulate solid in a liquid
US8298418B2 (en) Method and installation for bringing ozone into contact with a flow of liquid, in particular a flow of drinking water or wastewater
WO2009116711A2 (en) Apparatus of generating microbubbles
KR200455119Y1 (ko) 탱크내 저장유체의 교반장치
KR20120028065A (ko) 오폐수 처리용 마이크로 제트폭기장치
MX2014006545A (es) Metodo y aparato de inyeccion de gas.
FI96388C (fi) Menetelmä ja laitteisto kaasun liuottamiseksi
JP2011218343A (ja) 気液混合用のノズル、気液混合機構およびその用途
CN107207287B (zh) 用于注入含有溶解气体的加压水的优化喷嘴
JP2007313465A (ja) 気体溶解装置
KR101621074B1 (ko) 유체 혼합장치
ES2220502T3 (es) Equipo para la lixivviacion de materia solida a partir de lodo.
CN102300630B (zh) 具有气体注入装置和/或导流板的降流式混合器
KR100679876B1 (ko) 기체용해반응장치
CN202880986U (zh) 一种辐流曝气头
KR100968752B1 (ko) 멀티폭기교반기기
JP2005087985A (ja) 泡沫水発生器
KR200292647Y1 (ko) 수중폭기장치
RU2736474C2 (ru) Способ деаэрации пен и вспененных сред
KR101185890B1 (ko) 대용량 미세기포 발생 시스템
HRP20220213A1 (hr) Sustav za zasićenje tekućina plinom i postupak za zasićenje tekućina plinom pomoću ovog sustava
WO2017124128A1 (en) Jet aeration and mixing nozzle
CN206529306U (zh) 一种用于处理畜禽养殖废水的消泡装置
JP2008178806A (ja) 微細気泡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