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0560B1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lush froth of beer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lush froth of be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0560B1
KR101620560B1 KR1020140070807A KR20140070807A KR101620560B1 KR 101620560 B1 KR101620560 B1 KR 101620560B1 KR 1020140070807 A KR1020140070807 A KR 1020140070807A KR 20140070807 A KR20140070807 A KR 20140070807A KR 101620560 B1 KR101620560 B1 KR 101620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r
foam
container
slush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8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42288A (en
Inventor
고선욱
Original Assignee
고선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선욱 filed Critical 고선욱
Priority to KR1020140070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560B1/en
Publication of KR20150142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2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5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3/00Treatment of hops
    • C12C3/04Conserving; Storing; Packing
    • C12C3/08Solvent extracts from hops
    • C12C3/10Solvent extracts from hops using carbon dioxid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32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9/4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dairy products us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32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9/42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otan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슬러시 형태의 거품 입자를 보다 작고 부드러우며, 탄산가스가 충분히 녹아있고, 맥주 거품의 맛을 보다 높이고 다양화할 수 있도록, 내부에 맥주 또는 거품이 수용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 내에 배치되어 용기 내부에 수용된 맥주 또는 거품을 슬러시 상태의 거품으로 냉각시키는 냉각부, 상기 용기의 출구에 설치되어 용기 내부에서 슬러시 거품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 상기 용기 내부로 연결되어 슬러시 상태의 거품에 탄산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탄산공급부를 포함하는 슬러시 맥주 거품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한다.A container in which beer or foam is contained in the container so that the slurry-shaped foam particles are smaller and softer, the carbonic acid gas is sufficiently melted and the taste of the beer foam is further enhanced and diversified; A cooling unit installed at an outlet of the container for discharging the slush foam inside the container, and a discharge unit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to inject carbon dioxide gas into the slush foam, A slush beer bubbl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a carbonic acid supply unit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escription

슬러시 맥주 거품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LUSH FROTH OF BEER}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ush beer foam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슬러시 상태의 거품을 제조하기 위한 슬러시 맥주 거품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lush beer bubble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생맥주는 발효시킨 맥주를 숙성시킨 후 살균하기 위해 열처리를 하지 않고, 필터를 사용하여 효모를 걸러낸 맥주를 일컫는다. 생맥주는 온도를 항상 차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영업점 등에서는 맥주탱크에 저장된 맥주를 탄산가스로 이송하여 최종적으로 맥주코크를 통해 배출시키기 전에 냉각기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차가운 상태의 맥주를 제공하게 된다. Generally, a draft beer refers to a beer that has been filtered out of yeast using a filter, without fermenting the fermented beer after aging and then sterilization. It is important to keep the temperature of the draft beer cold at all times. Accordingly, at a business office or the like, beer stored in a beer tank is transported by carbonic acid gas, and the beer is passed through a cooler before being finally discharged through a beer cock, thereby providing a cold beer.

맥주코크를 통해 생맥주를 인출할 때 맥주와 함께 거품이 맥주 위에 얹어지게 된다. 상기 거품은 맥주와 대기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하고 맥주에 녹아있는 탄산가스가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막아 맥주의 청량감과 풍미를 오래동안 유지시켜 준다.When the draft beer is taken out of the beer coke, the beer and the froth are placed on the beer. The bubbles block direct contact between the beer and the atmosphere and prevent the release of carbon dioxide from the beer into the atmosphere, thus maintaining the cooling sensation and flavor of the beer for a long time.

최근들어, 상기 생맥주와 거품을 슬러시 형태로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techniques for providing the draft beer and foam in the form of a slush have been developed.

그러나, 종래의 경우 제조된 슬러시 형태의 거품의 입자가 너무 크고 거칠어 마시기 불편한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articles of the slush-form foam produced are too large and coarse and inconvenient to drink.

또한, 슬러시 형태로 맥주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거품의 탄산이 날아간 상태라 거품의 맛이 싱겁고, 녹으면서 맥주와 섞이게 되면 맥주가 싱거워지는 문제가 있다.Also,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beer in the form of a slush, the carbonic acid of the foam is blown, so that the taste of the foam is softer, and when the beer is melted, the beer is sour.

또한, 슬러시 형태로 제조된 거품이 너무 단단(hard)하여, 맥주와 슬러시 거품이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되며, 사용자가 맥주를 마시는 데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In addition, the bubbles produced in the form of slush are too hard to separate the beer from the slush foam, which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drink beer.

슬러시 형태의 거품 입자를 보다 작고 부드럽게 제조할 수 있도록 된 슬러시 맥주 거품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한다.Provided is a slush beer bubbl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manufacturing method for manufacturing slushy foam particles smaller and softer.

또한, 슬러시 형태의 거품의 점성을 강화하여 맥주 위에서 그 형태를 오래 유지할 수 있도록 된 슬러시 맥주 거품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lush beer bubbl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hich can maintain the shape of the slush beer bubble for a long time on a beer.

또한, 슬러시 형태의 거품에 탄산가스를 충분히 주입할 수 있도록 된 슬러시 맥주 거품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lush beer foam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manufacturing method, which can sufficiently inject carbon dioxide into a slushy foam.

또한, 맥주 거품의 맛을 보다 높이고 다양화할 수 있도록 된 슬러시 맥주 거품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lushy beer foam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hich can enhance and diversify the taste of beer foam.

본 실시예의 제조장치는 내부에 맥주 또는 거품이 수용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 내에 배치되어 용기 내부에 수용된 맥주 또는 거품을 슬러시 상태의 거품으로 냉각시키는 냉각부, 상기 용기의 출구에 설치되어 용기 내부에서 슬러시 거품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 상기 용기 내부로 연결되어 슬러시 상태의 거품에 탄산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탄산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comprises a container in which a beer or foam is received, a cooling section which is disposed in the container and cools the beer or foam contained in the container with a foam in a slush state, A discharge portion for discharging the slush foam, and a carbonic acid supply portion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to inject carbon dioxide into the slushy foam.

상기 제조장치는 용기 내부에 첨가물을 더 공급하는 구조일 수 있다.The manufacturing apparatus may be a structure for further supplying the additive into the container.

상기 첨가물은 레몬이나 자몽을 포함하는 과일, 커피 또는 설탕 중 적어도 하나의 원액 또는 시럽일 수 있다. The additive may be at least one stock solution or syrup of fruit, coffee or sugar including lemon or grapefruit.

상기 용기는 상단이 개방되어 맥주 또는 거품을 투입하는 입구를 형성하고, 개방된 상단에는 덮개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덮개 상단에는 용기 내부 가스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밸브가 설치된 구조일 수 있다.The container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n upper end thereof is opened to form an inlet for introducing beer or foam, a lid is provided to be openable at an open top, and a valve for selectively discharging the gas inside the container is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lid.

상기 덮개와 용기 상단 사이에는 기밀 유지를 위한 실링패드가 설치되어, 용기 내부를 밀폐하는 구조일 수 있다.Between the cover and the top of the container, there is a sealing pad for sealing the inside of the container to seal the inside of the container.

상기 제조장치는 용기 내부로 맥주와 거품을 분리하여 공급하는 구조일 수 있다.The manufacturing apparatus may be a structure for separating and supplying beer and foam into the container.

상기 냉각부는 용기 내부에 설치되어 맥주 또는 거품을 냉각시키는 냉각실린더와, 상기 냉각실린더 내부에 설치되어 냉각실린더와 열교환되는 냉각자켓, 상기 냉각자켓으로 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한 열교환부, 상기 냉각실린더 외주면에 나선형태로 설치되어 냉각실린더 외주면을 긁어내는 스크류날, 냉각실린더에 대해 상기 스크류날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oling unit includes a cooling cylinder installed inside the container to cool the beer or foam, a cooling jacket installed inside the cooling cylinder for heat exchange with the cooling cylinder, a heat exchange unit for circulating the coolant through the cooling jacket, A screw blade installed in a spiral shape to scrap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oling cylinder, and a rotating part for rotating the screw blade with respect to the cooling cylinder.

상기 탄산공급부는 탄산가스를 공급하는 저장탱크와, 저장탱크에 연결되어 탄산가스가 이송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에 연결되고 상기 용기 내부로 설치되어 탄산가스를 분출하는 노즐, 상기 이송관에 설치되어 이송관을 개폐하는 개폐밸브, 상기 개폐밸브를 제어하여 슬리시 상태의 맥주 또는 거품에 탄산가스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carbonic acid supply unit comprises a storage tank for supplying carbon dioxide gas, a transfer pipe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for transferring carbon dioxide gas, a nozzle connected to the transfer pipe and installed in the container for spraying carbonic acid gas,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n-off valve to selectively supply carbon dioxide gas to the beer or foam in the slush state.

상기 노즐은 용기의 출구쪽 전면 또는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At least one or more nozzles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ide or the side surface of the outlet side of the container.

본 실시예의 제조 방법은 맥주 또는 거품을 용기에 투입하는 단계, 용기 내에서 맥주 또는 거품을 교반하면서 슬러시 상태로 냉각하는 단계, 슬러시 상태의 거품에 탄산가스를 주입하는 단계, 용기에서 슬러시 거품을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injecting beer or foam into a container, cooling the beer or foam into a slush state while stirring the beer or foam, injecting carbon dioxide gas into the slushy foam, .

상기 투입하는 단계는 맥주코크에서 거품과 맥주를 각각 추출하여 용기 내에 거품을 투입하는 단계와, 용기 내에 투입된 거품을 냉각하는 상태에서 맥주코크에서 추출된 맥주를 용기 내에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jecting step may include extracting bubbles and beer from the beer coke and injecting the bubbles into the container, and injecting the beer extracted from the beer coke into the container while cooling the bubbles injected into the container .

상기 투입 단계에서 거품 투입 후 맥주 투입시까지의 시차는 15 ~ 30분일 수 있다.The time lag between the bubbling input and the beer injection in the above-mentioned input step may be 15 to 30 minutes.

상기 맥주 투입시 맥주와 함께 맛과 향을 더하는 첨가물을 투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dding the additive to add flavor and fragrance together with the beer when the beer is introduced.

상기 첨가물은 레몬이나 자몽을 포함하는 과일, 커피 또는 설탕 중 적어도 하나의 원액 또는 시럽일 수 있다. The additive may be at least one stock solution or syrup of fruit, coffee or sugar including lemon or grapefruit.

상기 투입 단계 이후 슬러시 거품을 배출하는 과정은 밀폐되어 외기와 차단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slush foam after the injecting step may be performed in a state of being hermetically closed from the outside air.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크림과 같이 부드러운 슬러시 형태의 거품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duce a smooth slush-like foam like a cream.

또한, 슬러시 거품을 맥주 위에 토핑하였을 때, 맥주와 분리되지 않고 서로 잘 어울리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slush foam is topped on the beer, it does not separate from the beer and becomes well matched.

또한, 슬러시 거품의 점성을 강화하여 맥주 위에 거품의 형태를 보다 오래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viscosity of the slush foam can be enhanced to maintain the foam shape longer on the beer.

또한, 슬러시 거품 자체에 탄산이 충분히 녹아 있어 맥주의 청량감을 높이며, 슬러시 거품이 맥주와 섞이더라도 맥주가 싱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lush foam itself has sufficient carbonic acid to enhance the refreshing feeling of the beer, and even if the slush foam mixes with the beer, the be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wollen.

또한, 다양한 맛과 향을 더하여 거품 자체의 맛은 물론 맥주의 맛을 다양화하고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a variety of flavors and aromas can be added to enhance the flavor of the bubbles themselves, as well as to enhance and enhance the taste of the beer.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슬러시 거품 맥주 제조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슬러시 거품 맥주 제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슬러시 거품 맥주 제조장치에서 탄산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노즐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슬러시 거품 맥주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lush foam beer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lush foam beer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nozzle for injecting carbonic acid gas in the slush foam beer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4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slush foam be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forms as used herein include plural forms as long as the phrases do not expressly express the opposite meaning thereto. Means that a particular feature,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 / or component is specified, and that other specific features, region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and / And the lik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 1과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슬러시 거품 맥주 제조장치를 도시하고 있다.1 and 2 show a slush foam beer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면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제조장치(100)는 내부에 맥주 또는 거품이 수용되는 용기(10)와, 상기 용기(10) 내에 배치되어 용기(10) 내부에 수용된 맥주 또는 거품을 슬러시 상태의 거품으로 냉각시키는 냉각부, 상기 용기(10)의 출구(16)에 설치되어 용기(10) 내부에서 슬러시 거품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50), 상기 용기(10) 내부로 연결되어 슬러시 상태의 거품에 탄산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탄산공급부(70)를 포함한다.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ntainer 10 in which beer or foam is received and a beer or foam disposed in the container 10 and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10 in a slush state A discharge part 50 installed at the outlet 16 of the container 10 for discharging the slush foam inside the container 10 and a discharge part 50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10 to discharge the slush foam, And a carbonic acid supply unit 70 for injecting carbon dioxide gas into the foam.

상기한 구조를 통해, 본 장치는 탄산가스가 주입된 부드러운 슬러시 상태의 맥주 거품을 제조하여, 맥주 위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apparatus can produce a soft slush state beer foam into which carbon dioxide gas is injected, and provide it on the beer.

상기 용기(10)는 내부에 저장공간을 형성하며, 상단은 개방되어 맥주 또는 거품을 투입하는 입구(14)를 형성한다. 상기 용기(10)의 개방된 상단을 통해 맥주나, 거품을 용기(10) 내부로 공급한다. 여기서 맥주라 함은 거품을 제외한 맥주 용액만을 의미하며, 거품이라 함은 맥주 용액이 기체를 머금어 속이 빈 방울 형태로 부푼 것을 의미하고, 슬러시(slush)는 고체인 얼음알갱이와 액체인 용액인 섞인 죽 상태를 의미한다. 슬러시 거품은 슬러시 상태의 거품을 의미한다.The container 10 forms a storage space therein, and the upper end thereof is opened to form an inlet 14 into which beer or foam is introduced. The beer or foam is fed into the container 10 through the open top of the container 10. Here, beer refers to beer solution excluding bubbles, bubbles means that beer solution swells the gas into hollow droplets, and slush refers to a mixture of solid ice particles and a liquid solution State. A slush bubble means a bubble in a slush state.

상기 용기(10)의 개방된 상단에는 덮개(12)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덮개(12)는 예를 들어, 용기(10) 상단 일측에 힌지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덮개(12)와 용기(10) 사이에는 용기(10)에 덮개(12)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구(18)가 더 설치될 수 있다. A lid (12) is provided on the opened upper end of the container (10)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The lid 12 can be installed, for example, on a hinge shaft on one side of the top of the container 10 so as to be rotatable. Between the lid 12 and the container 10, a coupling hole 18 for fixing the lid 12 to the container 10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덮개(12)는 용기(10)를 외부와 차단시켜 이물질이 용기(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용기(10) 내부는 실질적으로 슬러시 형태의 거품이 제조되는 영역으로, 외부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지 않아도 슬러시 거품의 제조는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덮개(12)는 용기(10)의 개방된 상단을 개폐하는 역할만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ver 12 blocks the container 10 from the outside and prevents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container 10. The inside of the container 10 is a region in which a substantially slush-like foam is produced, and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slush foam even without maintaining the sealed state with the outside. In this case, the lid 12 can only serve to open and close the opened upper end of the container 10.

상기 용기(10)를 밀폐하여 외부와 차단하는 경우, 제조되는 슬러시 거품의 품질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장치는 상기 용기(10) 상단과 덮개(12) 사이에 기밀 유지를 위한 실링패드(2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실링패드(20)에 의해 용기(10)와 덮개(12) 사이의 틈새가 실링되면서, 용기(10)가 밀폐된다. 이에, 용기(10) 내부의 압력이 높아져 슬러시 거품에 녹아드는 탄산가스 함량을 높일 수 있게 된다. When the container 10 is hermetically sealed off from the outside, the quality of the slush foam to be manufactured can be further improved. To this end,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pad 20 between the top of the container 10 and the lid 12 for sealing. The gap between the container 10 and the lid 12 is sealed by the sealing pad 20, and the container 10 is sealed. Accordingly, the pressure inside the vessel 10 is increased, and the carbonic acid gas content dissolved in the slush foam can be increased.

또한, 상기 덮개(12) 상단에는 용기(10) 내부 가스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밸브(22)가 설치되어, 필요시 내부 가스를 배출시킴으로써 용기(10) 내부 압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A valve 22 for selectively discharging the gas inside the container 10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lid 12 so that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10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by discharging the internal gas when necessary.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조장치는 용기(10) 내부로 맥주와 거품을 분리하여 공급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맥주와 거품은 예를 들어 생맥주를 배출시키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맥주코크에서 손쉽게 얻을 수 있다. 생맥주원액이 담긴 맥주탱크로부터 최종적으로 맥주를 배출하는 데 사용되는 맥주코크는 맥주와 더불어 거품을 분리 배출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맥주코크의 구조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기술이 알려져 있고,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어 있으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상기 맥주코크를 통해 맥주와 거품을 분리하여 얻을 수 있고, 상기 용기(10) 내에 거품과 맥주를 분리하여 공급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nufacturing apparatus is structured such that beer and foam are separately supplied into the container 10 and supplied. Beer and bubbles can be easily obtained, for example, from beer coke, which is commonly used to extract draft beer. The beer coke used to finally discharge the beer from the beer tank containing the raw draft beer is capable of separating and releasing the bubble together with the beer. A lot of techniques are already known about the structure of beer coke, and various products are available, so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here. Accordingly, beer and bubbles can be obtained by separating the beer and foam through the beer coke, and the foam and the beer can be separately supplied to the container 10.

이와 같이, 본 장치는 맥주와 거품을 분리하여 용기(10)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슬러시 거품의 입자를 보다 작고 부드러우면서 적정한 점성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Thus, the apparatus can separate the beer and the foam and feed them into the container 10, so that the particles of the slush foam can be formed to have a smaller, smooth and appropriate viscosity. This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또한, 본 장치는 용기(10) 내부로 맥주를 투입할 때 맥주와 함께 맛과 향을 더하는 첨가물을 더 투입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예를 들어, 레몬이나 자몽과 같이 당분을 포함하는 과일의 원액이나 시럽, 커피 원액, 설탕 시럽, 아스파탐액 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apparatus can further add additives that add flavor and aroma with the beer when the beer is poured into the container 10. The additive may be, for example, a lot of fruit juice including sugar such as lemon or grapefruit, syrup, coffee stock solution, sugar syrup, aspartame solution and the like.

용기(10) 내부로 첨가물을 투입함으로써, 슬러시 거품에 원하는 맛을 낼 수 있으며, 슬러시 거품의 농도와 점성을 강화할 수 있다. By introducing the additive into the container 10, the desired flavor can be imparted to the slush foam, and the concentration and viscosity of the slush foam can be enhanced.

상기 냉각부는 용기(10) 내부에 설치되어 맥주 또는 거품을 냉각시키는 냉각실린더(30)와, 상기 냉각실린더(30) 내부에 설치되어 냉각실린더(30)와 열교환되는 냉각자켓(32), 상기 냉각자켓(32)으로 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한 열교환부(40), 상기 냉각실린더(30) 외주면에 나선형태로 설치되어 냉각실린더(30) 외주면을 긁어내는 스크류날(34), 냉각실린더(30)에 대해 상기 스크류날(34)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를 포함한다.The cooling unit includes a cooling cylinder 30 installed inside the vessel 10 to cool beer or foam, a cooling jacket 32 installed inside the cooling cylinder 30 to exchange heat with the cooling cylinder 30, A screw blade 34 provided in a spiral shap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oling cylinder 30 to scrap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oling cylinder 30 and a heat exchanging part 40 for circulating the refrigerant to the cooling cylinder 30 And a rotating part for rotating the screw blade 34 with respect to the screw shaft 34.

상기 냉각실린더(30)는 원통형태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맥주와 거품이 접촉하여 냉각이 이루어진다. 상기 냉각실린더(30)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oling cylinder 3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beer and foam come into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oling cylinder 30 to be cooled. The cooling cylinder 30 may be made of stainless steel.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10)의 하단에는 하우징(36)이 설치되어 용기(10)를 받쳐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36) 내분에 냉각부를 구동하는 열교환부(40) 및 회전부가 배치된다.2, a housing 36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container 10 to support the container 10, a heat exchange unit 40 for driving the cooling unit in the inner portion of the housing 36, Respectively.

상기 열교환부(40)는 예를 들어, 프레온과 같은 냉매의 기화열을 이용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40)는 압축기(42)와 응축기(44), 팽창밸브(46), 및 냉각자켓(32)과 연결되어 냉매가 유통되는 순환라인(4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42)는 냉매를 일정 압력으로 압축시킨 후 순환시키며, 응축기(44)는 압축기(42)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고 송풍팬을 통해 외부로 열을 방출시킨다. 팽창밸브(46)는 응축기(44)로부터 전달된 냉매를 팽창시켜 증발기 역할을 수행하는 냉각자켓(32)으로 공급한다. The heat exchanging unit 40 may be a structure using, for example, the heat of vaporization of a refrigerant such as Freon. The heat exchange unit 40 may include a circulation line 48 connected to the compressor 42 and the condenser 44, the expansion valve 46 and the cooling jacket 32 to circulate the refrigerant. The compressor 42 compresses the refrigerant to a predetermined pressure and then circulates the refrigerant. The condenser 44 condenses the refrigerant compressed by the compressor 42 and discharges heat to the outside through the blowing fan. The expansion valve 46 expands the refrigerant delivered from the condenser 44 and supplies it to a cooling jacket 32 serving as an evaporator.

냉각자켓(32)은 냉각실린더(30)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팽창밸브(46)를 통과한 냉매를 증발 순환시켜 냉각실린더(30)를 냉각시킨다. 상기 냉각자켓(32)은 냉각실린더(3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축방향을 따라 나선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자켓(32) 및 열교환부(40)는 냉매를 이용한 많은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하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cooling jacket 32 is install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oling cylinder 30 and evaporates and circulates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expansion valve 46 to cool the cooling cylinder 30. The cooling jacket 32 may be closely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oling cylinder 30 and may be provided in a spiral shape along the axial direction. Since the cooling jacket 32 and the heat exchanging unit 40 are disclosed in many techniques using refrigera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냉각실린더(30)가 냉각되면서 외주면에는 슬러시 입자가 응결된다. 냉각실린더(30)에 응결된 슬러시 입자는 스크류날(34)에 의해 냉각실린더(30)로부터 분리된다.As the cooling cylinder 30 is cooled, the slush particles condens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slush particles that have settled in the cooling cylinder (30) are separated from the cooling cylinder (30) by the screw blade (34).

상기 스크류날(34)은 냉각실린더(30)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된 나선형태를 이루며, 폭방향을 따라 내측 선단은 냉각실린더(30)의 외주면에 접한 구조로 되어 있다.The screw blade 34 has a spiral shape extend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oling cylinder 30 and has an inner front end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oling cylinder 30 along the width direction.

상기 스크류날(34)의 회전축(35)은 상기 냉각실린더(30)의 중심축선과 일치한다. 상기 스크류날(34)의 회전축(35)은 냉각실린더(30)의 중심을 따라 배치되고 냉각실린더(30)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스크류날(34)의 일측 선단은 스크류날(34)의 회전중심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전축(35)에 연결된다.The rotation axis 35 of the screw blade 34 coincides with the center axis of the cooling cylinder 30. [ The rotary shaft 35 of the screw blade 34 is disposed along the center of the cooling cylinder 30 and extends outwardly through the cooling cylinder 30. [ One end of the screw blade 34 extends toward the rotation center of the screw blade 34 and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35.

상기 스크류날(34)을 회전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부는 하우징(36)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7)와, 상기 스크류날(34)의 회전축(35)과 구동모터(37) 사이에 연결되는 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예를 들어, 감속기어군이나 감속풀리와 벨트 등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The rotary unit includes a driving motor 37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36 and a driving motor 37 connected between the rotary shaft 35 of the screw blade 34 and the driving motor 37 to rotate the screw blade 34. [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may include a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As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for example,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reduction gear group, a reduction pulley and a belt may be applied.

이에, 상기 구동모터(37)가 작동되면, 동력전달기구를 통해 회전축(35)으로 동력이 전달되어 회전축(35)이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35)에 설치된 스크류날(34)이 정지되어 있는 냉각실린더(30)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크류날(34)이 냉각실린더(30) 외주면을 지나면서 냉각실린더(30) 표면에 응결된 슬러시 입자를 긁어내게 된다. 또한, 스크류날(34)은 나선 형태로 이루어져, 스크류날(34)이 회전함에 따라 슬러시 거품은 용기(10)의 출구(16)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drive motor 37 is operated, power is transmitted to the rotation shaft 35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and the rotation shaft 35 is rotated. Therefore, the screw blade 34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35 rotates with respect to the stopped cooling cylinder 30. As described above, the screw blade 34 passe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oling cylinder 30, and scatters the agglomerated slush particles on the surface of the cooling cylinder 30. The screw blade 34 has a spiral shape so that as the screw blade 34 rotates, the slush foam moves toward the outlet 16 of the vessel 10.

용기(10) 내에 공급된 거품과 맥주는 냉각실린더(30)와 접하면서 슬러시 거품으로 제조된다. 제조된 슬러시 거품은 스크류날(34)의 회전에 따라 용기(10)의 출구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탄산공급부(70)로부터 분출된 탄산가스가 주입되어 배출부(50)를 통해 배출된다.The bubbles and beer fed into the vessel 10 are made of slush foam while contacting the cooling cylinder 30. The produced slush foam moves toward the outlet of the vessel 10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crew blade 34 and finally the carbon dioxide gas ejected from the carbonic acid supply part 70 is inject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art 50.

상기 탄산공급부(70)는 탄산가스를 공급하는 저장탱크(72)와, 저장탱크(72)에 연결되어 탄산가스가 이송되는 이송관(74), 상기 이송관(74)에 연결되고 상기 용기(10) 내부로 설치되어 탄산가스를 분출하는 노즐(76), 상기 이송관(74)에 설치되어 이송관(74)을 개폐하는 개폐밸브(78), 상기 개폐밸브(78)를 제어하여 슬리시 상태의 맥주 또는 거품에 탄산가스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한다.The carbonic acid supply unit 70 includes a storage tank 72 for supplying carbonic acid gas, a transfer pipe 74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72 for transferring carbonic acid gas, a transfer pipe 74 connected to the transfer pipe 74, Closing valve 78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ransfer pipe 74 provided in the transfer pipe 74 and a control valve 78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78, And a control unit (80) for selectively supplying carbon dioxide gas to the beer or foam in the state.

상기 제어부(80)는 기설정된 시간에 따라 또는 슬러시 맥주 배출시에 맞춰 개폐밸브(78)를 제어작동하여 탄산가스를 용기(10) 내로 공급한다.The control unit 80 controls the on / off valve 78 to supply carbon dioxide gas into the container 1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ime or at the time of discharging the slush beer.

또한, 상기 제어부(80)는 슬러시 거품 제조를 위해 상기 열교환부(40)를 제어작동하여 냉각실린더(30)에 의한 용기(10) 내부 냉각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제어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냉각실린더(30) 내부에는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계(82)가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80)와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80)는 온도계의 검출값에 따라 열교환부(40)를 제어작동하여 용기(10) 내부 온도를 셋팅된 온도로 조절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80 controls the heat exchanger 40 to produce a slush foam, thereby controlling the cooling temperature of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10 by the cooling cylinder 30 to an appropriate level. To this end, a thermometer 82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is installed in the cooling cylinder 30 and connected to the controller 80. The controller 80 controls the heat exchanger 40 to adjus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10 to the set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detected value of the thermometer.

탄산가스는 이송관(74)에 설치된 노즐(76)을 통해 용기(10) 내부 출구(16)쪽에 위치한 슬러시 거품에 분출된다. 슬러시 거품으로 분출된 탄산가스는 슬러시 거품에 주입되어 거품에 녹아들게 된다. 또한, 탄산가스는 슬러시 거품에 분무되면서 거품에 충격을 가하여 거품의 입자를 작고 부드러운 크림 형태로 형성시키게 된다.The carbonic acid gas is sprayed on the slush foam located on the side of the inner outlet 16 of the vessel 10 through the nozzle 76 provided on the transfer pipe 74. The carbon dioxide gas ejected by the slush foam is injected into the slush foam and melts into the foam. In addition, the carbon dioxide gas is sprayed on the slushing foam, which impacts the foam to form a small, soft creamy foam.

이에, 슬러시 거품은 탄산가스가 녹아들어 있는 부드러운 상태로 배출부(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탄산가스를 충분히 머금은 슬러시 거품은 맥주 위에 토핑되었을 때 맥주의 맛과 풍미를 저해하지 않으며, 맥주에 섞였을 때 맥주의 맛이 싱거워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us, the slush foam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ion 50 in a soft state in which carbon dioxide is dissolved. A slushy foam with enough carbon dioxide does not disturb the taste and flavor of beer when topped on beer, and prevents the beer from becoming softer when mixed with beer.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산가스의 분무 위치 즉, 노즐(76)의 설치 위치는 대략 용기(10)의 출구(16)쪽 측면 또는 출구(16)쪽 전면일 수 있다. 용기(10) 내부에 투입된 거품과 맥주는 슬러시 거품으로 제조되면서 스크류날(34)을 따라 출구(16)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출구(16)쪽에서 탄산가스를 분무함으로써, 바로 용기(10)에서 배출되기 전에 슬러시 거품에 탄산가스를 주입하여 슬러시 거품이 탄산가스를 충분히 머금을 수 있게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spray position of the carbonic acid gas, that is,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nozzle 76 may be approximately the front face of the outlet 16 side or the outlet 16 side of the container 10. The bubbles and beer injected into the container 10 are made of slush foam and move along the screw blade 34 toward the outlet 16. By spraying the carbonic acid gas from the outlet 16, the carbonic acid gas is injected into the slush foam immediately before being discharged from the vessel 10, so that the slush foam can sufficiently absorb the carbonic acid gas.

도 3은 상기 노즐(76)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76)은 선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확장된 깔때기 형태의 분출구(83)와, 분출구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분출구를 개폐하는 콘 형태의 차단부재(85)를 구비하며, 차단부재는 내부의 탄성스프링(87)에 의해 탄성력을 받아 분출구(83)에 밀착되거나 탄산가스압에 의해 분출구에서 이격되어 분출구를 개폐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Fig. 3 shows a cross section of the nozzle 76. Fig. 3, the nozzle 76 includes a funnel-shaped air outlet 83 having an inner diameter expanded toward the front end thereof, and a cone-shaped blocking member 85 movably fitted in the air outlet opening and closing the air outlet, And the blocking member is urged by an elastic spring 87 inside and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jet port 83 or is separated from the jet port by a carbonic acid gas pressure to open and close the jet port.

이에, 탄산가스는 분출구(83)와 차단부재(85) 사이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넓게 퍼지면서 360도로 분출된다. 따라서 보다 넓은 면적에 걸쳐 탄산가스가 분출되어 슬러시 거품에 고르게 탄산가스가 주입될 수 있다.Thus, the carbonic acid gas is spray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gap between the jetting port 83 and the blocking member 85 while spreading to the outside. Therefore, carbon dioxide gas is injected over a wider area, and carbon dioxide gas can be evenly injected into the slush foam.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제조장치로부터 슬러시 맥주 거품을 제조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slush beer foam from the present manufactur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실시예의 제조 방법은 맥주 또는 거품을 용기에 투입하는 단계, 용기 내에서 맥주 또는 거품을 교반하면서 슬러시 상태로 냉각하는 단계, 슬러시 상태의 거품에 탄산가스를 주입하는 단계, 용기에서 거품을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injecting beer or foam into a container, cooling the beer or foam into a slush state while stirring the beer or foam, injecting carbon dioxide gas into the slushy foam, .

여기서, 상기 거품 투입 이후 슬러시 거품을 배출하기까지 각 과정은 밀폐되어 외기와 차단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밀폐 상태에서는 용기 내부 탄산가스가 빠져나가지 못해 압력이 높아지므로 탄산가스가 슬러시 거품에 보다 잘 녹아들어 탄산가스 함량을 높일 수 있게 된다. Here, each process from discharging the foamed foam to discharging the foamed foam may be performed while the foamed foam is hermetically sealed with the outside air. In the closed state, the carbon dioxide gas in the container can not escape and the pressure is increased, so that the carbon dioxide gas can be better melted in the slush foam and the carbon dioxide gas content can be increased.

상기한 과정을 거쳐 맥주 위에 토핑될 슬러시 거품을 제조할 수 있다.The slush foam to be topped on the beer can be manufactured through the above process.

상기 투입하는 단계는 맥주코크에서 거품과 맥주를 각각 추출하여 용기 내에 거품을 투입하는 단계와, 용기 내에 투입된 거품을 교반 냉각하는 상태에서 맥주코크에서 추출된 맥주를 용기 내에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step of injecting includes extracting bubbles and beer from the beer coke and injecting the bubbles into the container, and injecting the beer extracted from the beer coke into the container while stirring and cooling the bubbles injected into the container.

이와 같이, 거품만을 먼저 용기 내에 투입하여 교반 냉각하고, 시차를 두고 나중에 액상의 맥주를 투입하여 교반 냉각함으로써, 맥주를 교반 냉각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슬러시 거품 입자를 보다 부드럽게 형성할 수 있고, 슬러시 거품의 점성을 적정 수준으로 형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only the bubbles are first introduced into the vessel, and the bubbles are stirred and cooled. Afterwards, the liquid beer is poured into the beaker at a later time and stirred and cooled to make the slush foam particles smoother than when the beer is stirred and cooled. It is possible to form the viscosity at an appropriate level.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거품을 용기에 투입한 후 맥주를 투입하기 까지의 시차는 15 ~ 30분일 수 있다. 거품과 맥주의 투입 시차가 15분보다 작은 경우에는, 거품이 미처 얼지 않은 상태로 맥주와 혼합되어 슬러시 거품 입자가 굵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 시차가 30분을 넘는 경우에는, 거품이 너무 얼게 되면서 맥주와 거품의 혼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슬러시 거품의 입자가 거칠어지고 무거워지는 문제가 발생된다.In this embodiment, the time lag between the introduction of the bubbles into the container and the introduction of the beer may be 15 to 30 minutes. When the dispensing time difference of the bubbles and the beer is less than 15 minutes, the bubbles are mixed with the beer without being frozen and the slush foam particles become thick. If the parallax is longer than 30 minutes, the froth becomes too frozen and the beer and the foam are not properly mixed and the particles of the slush foam become rough and heavy.

본 제조 공정은, 상기 맥주 투입시 맥주와 함께 맛과 향을 더하는 첨가물을 투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The present manufacturing process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adding an additive that adds flavor and aroma together with the beer when the beer is introduced.

상기 첨가물은 레몬이나 자몽과 같이 당분을 포함하는 과일의 원액이나 시럽, 커피 원액, 설탕 시럽, 아스파탐액 등일 수 있다.The additive may be an undiluted solution of fruit containing sugar such as lemon or grapefruit, a syrup, a coffee stock solution, a sugar syrup, an aspartame liquid and the like.

첨가물의 당분은 슬러시 거품 입자를 곱고 부드럽게 만들며 점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에, 제조된 슬러시 거품을 맥주 위에 토핑하였을 때, 마치 아이스크림과 같이 얹어진 슬러시 거품의 형태가 쉽게 무너지지 않으며, 입자가 부드러워 맥주와의 사이에서는 맥주에 부드럽게 섞이면서 마시기 용이한 상태가 된다. 또한, 슬러시 거품에 첨가물의 맛과 향이 더해져 슬러시 거품의 맛과 풍미를 높일 수 있고, 거품이 맥주에 녹으면서 맥주의 맛과 풍미 역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 sugar of the additive makes slushy foam particles smooth and smooth and can increase the viscosity. When the slush foam thus produced is topped on the beer, the form of the slush foam placed like ice cream does not easily collapse, and the particles are soft and smoothly mixed with beer while being easily mixed with the beer. In addition, the taste and flavor of the additive can be added to the slush foam to enhance the taste and flavor of the slush foam, and the flavor and flavor of the beer can be improved while the foam is dissolved in the beer.

용기 내에 투입된 거품과 맥주는 용기 내에서 적정 온도로 냉각되면서 슬러시 상태로 응결되어 슬러시 거품으로 제조된다. The bubbles and beer injected into the container are cooled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in the container and solidified into a slush state to produce a slush foam.

슬러시 거품은 용기 내에서 회전하는 스크류날에 의해 출구쪽으로 모아지게 되고, 최종적으로 탄산가스 주입 과정을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The slushing foam is collected toward the outlet by the screw blade rotating in the container, and finally discharged through the carbon dioxide gas injection process.

탄산가스 주입은 맥주가 출구쪽으로 이동되면서 냉각되어 슬러시 상태로 충분히 부풀었을 때 주입될 수 있다. 슬러시 내부로 주입된 탄산가스는 슬러시 거품 입자를 잘게 쪼게는 작용을 하게 된다. 더불어 슬러시에 탄산가스가 녹아 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이, 탄산가스를 별도로 주입함으로써, 슬러시 거품 입자를 부드럽고 가볍게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슬러시 거품을 맥주 위에 배출하기 전에 탄산가스를 슬러시 거품에 주입함으로써, 대기압 하에서 거품의 탄산 함량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에, 거품의 청량감을 높이고, 거품이 맥주에 녹아 섞여도 맥주의 청량감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Carbon dioxide gas injection can be injected when the beer is cooled to the point of exit and is fully inflated to the slush state. The carbon dioxide gas injected into the slush serves to slush the slush foam particles. In addition, the carbon dioxide will melt into the slush. As described above, by injecting carbonic acid gas separately, the slush foam particles can be softly and lightly formed. In addition, by injecting carbon dioxide gas into the slush foam before discharging the slush foam over the beer, the carbonic acid content of the foam can be increased under atmospheric pressure. Therefore, the refreshing feeling of the bubbles can be enhanced, and even if the bubbles are mixed in the beer, the refreshing feeling of the beer can be maintained.

이와 같이, 탄산가스가 주입되면 용기의 출구를 통해 슬러시 거품을 배출한다. 배출된 슬러시 거품은 잔에 담겨진 맥주 위에 토핑되어, 고객들에게 제공된다. Thus, when the carbon dioxide gas is injected, the slush foam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of the vessel. The discharged slush foam is topped on the beer in the cup and served to the customers.

본 실시예를 통해 부드러운 크림 상태이며 적당한 점성으로 아이스크림과 같이 형태를 유지하는 슬러시 거품을 제조하여 맥주 위에 토핑할 수 있게 된다.In this embodiment, a slush foam which is in the form of a creamy cream and has an appropriate viscosity can be manufactured and topped on the beer.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While the illustr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embodiment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variations and other embodiments will be considered and included in the appended claim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tru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 : 용기 12 : 덮개
16 : 출구 20 : 실링패드
30 : 냉각실린더 32 : 냉각자켓
34 : 스크류날 35 : 회전축
36 : 하우징 37 : 구동모터
40 : 열교환부 42 : 압축기
44 : 응축기 46 : 팽창밸브
48 : 순환라인 50 : 배출부
70 : 탄산공급부 72 : 저장탱크
74 : 이송관 76 : 노즐
78 : 개폐밸브 80 : 제어부
82 : 온도계 83 : 분출구
85 : 차단부재 87 : 탄성스프링
10: container 12: cover
16: outlet 20: sealing pad
30: cooling cylinder 32: cooling jacket
34: screw blade 35: rotating shaft
36: housing 37: drive motor
40: heat exchanger 42: compressor
44: condenser 46: expansion valve
48: circulation line 50:
70: Carbonic acid supply part 72: Storage tank
74: feed pipe 76: nozzle
78: opening / closing valve 80:
82: thermometer 83: air outlet
85: blocking member 87: elastic spring

Claims (15)

내부에 맥주 또는 거품이 수용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 내에 배치되어 용기 내부에 수용된 맥주 또는 거품을 슬러시 상태의 거품으로 냉각시키는 냉각부, 상기 용기의 출구에 설치되어 용기 내부에서 슬러시 거품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 상기 용기 내부로 연결되어 슬러시 상태의 거품에 탄산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탄산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내부로 맥주와 거품을 분리하여 공급하며,
상기 탄산공급부는 탄산가스를 공급하는 저장탱크와, 저장탱크에 연결되어 탄산가스가 이송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에 연결되고 상기 용기 내부로 설치되어 탄산가스를 분출하는 노즐, 상기 이송관에 설치되어 이송관을 개폐하는 개폐밸브, 상기 개폐밸브를 제어하여 슬리시 상태의 맥주 또는 거품에 탄산가스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용기의 출구쪽 전면 또는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슬러시 상태로 제조 완료된 거품에 탄산가스를 주입하여, 탄산가스가 주입된 거품이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구조의 슬러시 맥주 거품 제조장치.
A cooling unit disposed in the container and cooling the beer or foam contained in the container with a foam in a slush state; a cooling unit installed at an outlet of the container to discharge the slush foam inside the container; And a carbonic acid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vessel to inject carbonic acid gas into the slushy foam,
The beer and foam are separated and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Wherein the carbonic acid supply unit comprises a storage tank for supplying carbon dioxide gas, a transfer pipe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for transferring carbon dioxide gas, a nozzle connected to the transfer pipe and installed in the container for spraying carbonic acid ga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ning / closing valve to selectively supply carbon dioxide gas to the beer or foam in the slurry state,
Wherein at least one or more nozzles are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r a side surface of the outlet side of the container to inject carbon dioxide gas into the manufactured foam in a slush state to discharge the foamed carbon dioxide gas through the outle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장치는 용기 내부에 첨가물을 더 공급하는 구조의 슬러시 맥주 거품 제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nufacturing apparatus further supplies the additive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물은 레몬이나 자몽을 포함하는 과일, 커피 또는 설탕 중 적어도 하나의 원액 또는 시럽인 슬러시 맥주 거품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dditive is a stock solution or syrup of at least one of fruit, coffee or sugar including lemon or grapefru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단이 개방되어 맥주 또는 거품을 투입하는 입구를 형성하고, 개방된 상단에는 덮개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덮개 상단에는 용기 내부 가스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밸브가 설치된 구조의 슬러시 맥주 거품 제조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ainer has an upper opening to form an inlet for introducing beer or foam, a cover to be opened and closed at an open top, and a slush beer foam Manufacturing apparatu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와 용기 상단 사이에는 기밀 유지를 위한 실링패드가 설치되어, 용기 내부를 밀폐하는 구조의 슬러시 맥주 거품 제조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seal pad for sealing the airtight seal is provided between the lid and the top of the container to seal the inside of the contain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용기 내부에 설치되어 맥주 또는 거품을 냉각시키는 냉각실린더와, 상기 냉각실린더 내부에 설치되어 냉각실린더와 열교환되는 냉각자켓, 상기 냉각자켓으로 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한 열교환부, 상기 냉각실린더 외주면에 나선형태로 설치되어 냉각실린더 외주면을 긁어내는 스크류날, 냉각실린더에 대해 상기 스크류날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를 포함하는 슬러시 맥주 거품 제조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oling unit includes a cooling cylinder installed inside the container to cool the beer or foam, a cooling jacket installed inside the cooling cylinder for heat exchange with the cooling cylinder, a heat exchange unit for circulating the coolant through the cooling jacket, A screw blade installed in a spiral shape to scrap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oling cylinder; and a rotating part for rotating the screw blade with respect to the cooling cylinder.
맥주 또는 거품을 용기에 투입하는 단계,
용기 내에서 맥주 또는 거품을 교반하면서 슬러시 상태로 냉각하는 단계,
슬러시 상태로 제조 완료된 슬러시 거품에 탄산가스를 주입하는 단계,
용기에서 슬러시 거품을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하는 단계는 맥주코크에서 거품과 맥주를 각각 추출하여 용기 내에 거품을 투입하는 단계와, 용기 내에 투입된 거품을 냉각하는 상태에서 맥주코크에서 추출된 맥주를 용기 내에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슬러시 맥주 거품 제조방법.
Introducing a beer or foam into the container,
Cooling the beer or foam in a container to a slush state while stirring,
Injecting carbon dioxide gas into the slush foam produced in a slush state,
And discharging the slush foam from the container,
Wherein the step of injecting comprises the steps of extracting foam and beer from the beer coke and injecting foam into the container and injecting the beer extracted from the beer coke into the container while cooling the foam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Foam manufacturing method.
삭제delet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 단계에서 거품 투입 후 맥주 투입시까지의 시차는 15 ~ 30분인 슬러시 맥주 거품 제조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time lag from the introduction of the bubbles to the introduction of the beer is 15 to 30 minutes.
제 10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맥주 투입시 맥주와 함께 맛과 향을 더하는 첨가물을 투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슬러시 맥주 거품 제조방법.
1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2,
And adding an additive to add flavor and fragrance together with the beer when the beer is put into the beer.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물은 레몬이나 자몽을 포함하는 과일, 커피 또는 설탕 중 적어도 하나의 원액 또는 시럽인 슬러시 맥주 거품 제조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additive is at least one stock solution or syrup of fruit, coffee or sugar comprising lemon or grapefruit.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 단계 이후 슬러시 거품을 배출하는 과정은 밀폐되어 외기와 차단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슬러시 맥주 거품 제조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slush foam after the charging step is performed in a state of being hermetically closed from the outside air.
KR1020140070807A 2014-06-11 2014-06-11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lush froth of beer KR1016205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807A KR101620560B1 (en) 2014-06-11 2014-06-11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lush froth of be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807A KR101620560B1 (en) 2014-06-11 2014-06-11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lush froth of be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288A KR20150142288A (en) 2015-12-22
KR101620560B1 true KR101620560B1 (en) 2016-05-12

Family

ID=55081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807A KR101620560B1 (en) 2014-06-11 2014-06-11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lush froth of be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056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3608A (en) * 2018-06-21 2019-12-31 서창범 Craft beer manufacturing apparatus for user's taste by remote contro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1221A1 (en) * 2019-03-21 2020-09-24 Taylor Commercial Foodservice, Llc Frozen beverage machine
KR102087581B1 (en) * 2019-10-22 2020-03-11 김진희 Ice processing equipment for ice beer and methods of making ice beer
KR20220010148A (en) 2020-07-17 2022-01-25 심연승 Slush to prevent carbon dioxide emission of beer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CN113214926B (en) * 2021-05-19 2023-10-24 鲁尔精酿(迁安)酒业有限公司 Gelatinization pot for beer production and beer production proces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547B1 (en) 2013-06-10 2014-04-29 서영이앤티 주식회사 Slush foam generator for draft be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547B1 (en) 2013-06-10 2014-04-29 서영이앤티 주식회사 Slush foam generator for draft be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3608A (en) * 2018-06-21 2019-12-31 서창범 Craft beer manufacturing apparatus for user's taste by remote control
KR102086603B1 (en) * 2018-06-21 2020-03-09 주식회사 트렌드하이테크 Craft beer manufacturing apparatus for user's taste by remote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288A (en) 201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056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lush froth of beer
KR10167157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ffee
US11498751B2 (en) System for providing a single serving of a frozen confection
US10973240B1 (en) System for providing a single serving of a frozen confection
JP5955637B2 (en) Foam of a sparkling beverage containing a cereal decomposition product
US4068010A (en) Liquid carbon dioxide carbonation method
US20190053514A1 (en) System for providing a single serving of a frozen confection
CA3046593C (en) Method for preparing an iced tea or coffee beverage
EP2285729A1 (en) Beverage dispenser
KR101389547B1 (en) Slush foam generator for draft beer
JP2007097483A (en) Production method of soft ice cream material, and soft ice cream
NZ754655B2 (en) Method for preparing an iced tea or coffee beverage
CA3127046A1 (en) An apparatus for making texture controlled edible ice products instantly
GB2568836A (en) Method for preparing an iced tea or coffee bever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