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0065B1 - 케이블 단락 방지가 가능한 내진 배전함 - Google Patents

케이블 단락 방지가 가능한 내진 배전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0065B1
KR101620065B1 KR1020150135431A KR20150135431A KR101620065B1 KR 101620065 B1 KR101620065 B1 KR 101620065B1 KR 1020150135431 A KR1020150135431 A KR 1020150135431A KR 20150135431 A KR20150135431 A KR 20150135431A KR 101620065 B1 KR101620065 B1 KR 101620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ase
rim
binding
distribution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5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이트 제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이트 제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이트 제림
Priority to KR1020150135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0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3/00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 F16F3/02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with springs made of steel or of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 F16F3/04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with springs made of steel or of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composed only of wound sp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단락 방지가 가능한 내진 배전함(100)은,
배전반이 수용되는 박스형의 바디(110)와, 상기 바디(110)에 케이블(C)이 통과하도록 형성된 투입구(113)를 포함하는 배전함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113)의 내측 모서리(115)를 따라 형성되고 외측방으로 돌출된 림(120, rim)과, 상기 림(120)을 외측방에서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케이블(C)이 외측방에서 통과하도록 관통구(133)가 형성된 케이스(130)와, 상기 케이스(130)에 구성되어 케이블(C)을 잡아주는 클램핑부(15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바디(110) 내부로 투입된 다수의 케이블(C)을 상호 이격된 상태로 상기 클램핑부(150)에 의해서 상기 케이스(130)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지진이 발생했을 때, 케이블(C)이 상기 투입구(113)의 내측 모서리(115)에 부딪혀서 피복이 박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박리된 상태에서 서로 부딪히거나 상기 내측 모서리(115)에 부딪혀서 단락 사고가 발생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단락 방지가 가능한 내진 배전함 {Distribution box which is possible short-circuit resistant of the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 단락 방지가 가능한 내진 배전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지진이 발생했을 때 배전함으로 유입된 케이블이 상기 배전함의 투입구의 내측 모서리에 부딪혀서 피복이 박리되거나 박리된 상태에서 케이블끼리 부딪쳐서 단락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단락 방지가 가능한 내진 배전함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배전함에 케이블이 유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배경기술에 의한 배전함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이란 수전반이나 분전반 및 제어반이라고도 일컫는데, 빌딩이나 아파트, 주택, 공장에서는 송전선으로부터 고압의 전력을 받아 변압기로 강압하여 각종 전기 설비 계통으로 배전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배전반을 수용하는 박스 형의 것을 배전함(10)이라고 한다.
상기 배전함(10)의 상면에는 케이블(C)이 투입되는 투입구(15)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15)를 통과하여 상기 배전반에 접속된 케이블(C)이 구성된다. 상기 케이블(C)은 배전반이 3상 전력을 공급받을 경우 3선으로 구성된다.
상기 배경기술에 의한 배전함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배전함(10)이 실내에 설치된 경우, 케이블(C)은 천정에 장착된 트레이(T)를 통해서 하방으로 인출되어 접속된다. 그런데, 지진이 발생할 경우, 상기 트레이(T) 및 케이블(C)이 요동하면서 상기 케이블(C)이 투입구(15)의 내측 모서리(17)에 반복적으로 부딪히면서 피복이 박리되어 구리선이 노출되므로, 케이블(C)끼리 부딪히거나 투입구(15)의 내측 모서리(17)에 부딪히면서 단락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케이블(C)이 평상시에 외력에 의해 박리된 상태라면 지진이 발생했을 때 케이블(C)이 서로 부딪히면서 쉽게 단락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배전함(10)은 일반적으로 100kg 이상의 고중량이므로 요동이 심하게 발생하는 편은 아니지만, 상기 트레이(T)에 지지된 케이블(C)은 미미한 지진에도 심하게 요동하므로 상기 단락사고는 해결해야 할 과제로 제시되고 있다.
한국 특허등록 제10-1139226호 (2012년 04월 10일)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단락 방지가 가능한 내진 배전함은, 배전함으로 투입된 케이블이 배전함에 형성된 투입구의 내측 모서리에 부딪혀서 피복이 박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박리된 상태에서 서로 부딪히거나 투입구의 내측 모서리에 부딪혀서 단락사고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단락 방지가 가능한 내진 배전함은, 배전반이 수용되는 박스형의 바디와, 상기 바디에 케이블이 통과하도록 형성된 투입구를 포함하는 배전함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의 내측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고 외측방으로 돌출된 림(rim)과,상기 림을 외측방에서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케이블이 외측방에서 통과하도록 관통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구성되어 상기 케이블을 잡아주는 클램핑부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관통구가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외측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고 하방으로 연장된 외측커버와, 상기 관통구의 내측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고 내측방으로 연장된 내측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커버와 내측커버 사이에 상기 림이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림의 외측면, 상기 외측커버의 내측면 중 어느 일측에 연결되는 완충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완충수단은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완충 기능을 구비한 합성수지재의 블록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결속홀과, 상기 결속홀을 관통하여 케이블을 결속하는 띠 모양의 결속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단락 방지가 가능한 내진 배전함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케이스가 측방과 상하방으로 진동하더라도 충분히 완충 기능을 구비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케이블은 케이스의 내측커버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배경기술처럼 케이블이 투입구의 내측 모서리에 반복적으로 부딪혀서 피복이 박리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은 피복된 상태에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단락 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케이블이 박리되었다고 하더라도 상호 이격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상호 접촉하거나 바디에 접촉하여 단락 사고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진으로 인해서 측방으로 진동이 발생할 경우, 상기 외측커버와 림 사이에 개재된 완충수단에 의해서 완충되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케이스를 절연을 목적으로 세라믹이나 사기로 성형한 경우, 진동에 의해서 케이스가 림에 부딪혀서 균열이 발생하거나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배전함에 케이블이 유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단락 방지가 가능한 내진 배전함으로서 케이블이 상부에서 유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단락 방지가 가능한 내진 배전함으로서 케이블이 하부에서 유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단락 방지가 가능한 내진 배전함의 클램핑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의 F-F'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단락 방지가 가능한 내진 배전함에 구성된 케이스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단락 방지가 가능한 내진 배전함의 케이스에, 케이블이 브래킷을 통해서 결속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도시한 브래킷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구성과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단락 방지가 가능한 내진 배전함으로서 케이블이 상부에서 유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단락 방지가 가능한 내진 배전함으로서 케이블이 하부에서 유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단락 방지가 가능한 내진 배전함의 클램핑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의 F-F'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단락 방지가 가능한 내진 배전함에 구성된 케이스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단락 방지가 가능한 내진 배전함의 케이스에, 케이블이 브래킷을 통해서 결속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도시한 브래킷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수전반이나 분전반 및 제어반이라고 지칭되는 배전반은 박스 형의 배전함에 수용되어 구성된다.
상기 배전함은 배전반이 수용되는 박스형의 바디(110)가 구성되고, 상기 바디(110)의 외측면에 케이블(C)이 통과하도록 형성된 투입구(113)가 구성된다. 상기 투입구(113)는 도 2에서처럼 바디(110)의 상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도 3에서처럼 바디(110)의 하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투입구(113)에는 다수 개의 케이블(C)이 투입되어 상기 배전반에 접속되어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3상 전력을 공급받기 때문에 3선의 케이블(C)이 투입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지진이 발생했을 때, 투입된 케이블(C)이 상기 투입구(113)의 내측 모서리(115)에 부딪혀서 박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호 부딪히거나 바디(110)에 부딪혀서 단락되는 사고를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상기 투입구(113)의 내측 모서리(115)를 따라 형성되고 외측방으로 돌출된 림(120, rim)이 구성되는데 투입구(113)가 도 2에서처럼 상방으로 형성된 것이면 상방으로 돌출되고 도 3에서처럼 하방으로 형성된 것이면 하방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림(120)을 외측방(도 2의 경우에는 상부, 도 3의 경우에는 하부)에서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케이블(C)이 외측방에서 통과하도록 관통구(133)가 형성된 케이스(130)가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130)에 구성되어 케이블(C)을 잡아주는 클램핑부(150)가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30)는, 도 3 내지 도 5에서처럼, 상기 관통구(133)가 형성된 상판(131)이 구성되고, 상기 상판(131)의 외측 모서리(132)를 따라 형성되고 내측방(도 2의 경우에는 상부, 도 3의 경우에는 하부)으로 연장된 외측커버(135)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관통구(133)의 내측 모서리(134)를 따라 형성되고 내측방으로 연장된 내측커버(137)가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30)는 금속재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절연을 목적으로 세라믹이나 애자처럼 사기로 성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커버(135)와 내측커버(137) 사이에 상기 림(120)이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림(120)의 외측면, 상기 외측커버(135)의 내측면 중 어느 일측에 연결되는 완충수단(140)이 구성되는데, 압축스프링 내지는 완충 기능을 구비한 합성수지재의 블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블록은 일례로서 PE(polyethylene), 우레탄, 합성고무, 스티로폼 등의 재질로서 완충이 가능한 것으로 구성한다.
상기 클램핑부(150)는, 상기 케이스(130)에 형성된 결속홀(151)과, 상기 결속홀(151)을 관통하여 케이블(C)을 결속하는 띠 모양의 결속수단(153)이 구성된다. 상기 결속수단(153)은 와이어, 끈, 타이밴드 등으로서 결속이 가능한 것이면 가능하다.
상기 결속홀(151)은 일례로서 도 4 및 도 5에서처럼, 결속홀(151)을 케이스(130)의 내측커버(137)에 형성한다. 즉, 각 케이블(C)의 양쪽에 결속홀(151)이 배치되고, 양쪽의 상기 결속홀(151)을 동시에 통과한 결속수단(153)이 케이블(C)을 수용한 상태에서 결속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클램핑부(150)의 다른 실시예를 도 7과 함께 살펴보면, 상기 케이스(130)에 부착된 브래킷(155)이 구성되고, 상기 브래킷(155)에 걸려서 케이블(C)을 결속하는 띠 모양의 결속수단(153)이 구성된다.
상기 브래킷(155)은 일례로서, 상기 결속수단(153)이 걸리는 고리(156)가 구성되고, 상기 고리(156)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130)에 부착된 몸체(157)가 구성된다. 상기 결속수단(153)은 와이어, 끈, 타이밴드 등으로서 결속이 가능한 것이면 가능하다. 상기 몸체(157)는 L형으로 형성된 판상 내지는 와이어 등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잇다.
따라서, 결속수단(153)을 고리(156)에 통과시킨 후에 케이블(C)을 수용한 상태에서 결속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클램핑부(150)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 8과 함께 살펴보면, 상기 케이블(C)을 집는 C형의 클립(158)이 구성되고, 상기 클립(158)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130)에 부착되는 몸체(159)가 구성된다. 상기 몸체(159)는 L형으로 형성된 판상 내지는 와이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클립(158)의 내측방으로 케이블(C)이 수용된 상태에서 클립(158)에 힘을 가하여 오므리면 케이블(C)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단락 방지가 가능한 내진 배전함(100)에 케이블(C)을 투입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의 경우에는 상부에서 케이블(C)을 인출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30)를 통해서 상기 림(120)의 내측방으로 투입되도록 한다. 도 3의 경우에는 지중에 가설된 케이블(C)을 하부에서 인출하여 케이스(130)의 하방으로 투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C)을 상기 배전반에 접속한다. 이때 케이블(C)은 지진 시 상하방으로 발생하는 진동에 대비할 수 있도록 여유 길이를 갖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클램핑부(150)에 의해서 케이블(C)이 상기 케이스(130)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케이스(130)는 상기 외측커버(135)와 내측 커버(137)의 하단이 상기 바디(110)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고, 상기 상판(131)의 하면은 상기 림(120)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따라서, 케이스(130)가 상하방으로도 진동이 가능하도록 하므로 케이블(130)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해서 완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케이블(130)이 여유 길이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케이스(130)의 상하 왕복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케이블(C)이 케이스(130)에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호 접촉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지진으로 인해서 측방으로 진동이 발생할 경우, 상기 외측커버(135)와 림(120) 사이에 개재된 완충수단(140)에 의해서 완충되는 이점이 있다.
이처럼, 완충 기능이 필요한 이유는 상기 케이스(130)를 절연을 목적으로 세라믹이나 사기로 성형된 경우 균열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주철처럼 취성이 큰 재료로 성형되었을 때 균열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진에 의해서, 상기 케이스(130)가 측방과 상하방으로 진동하더라도 충분히 완충 기능을 구비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케이블(C)은 케이스(130)의 내측커버(137)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배경기술처럼 케이블(C)이 투입구(113)의 내측 모서리(115)에 반복적으로 부딪혀서 피복이 박리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C)이 박리되었다고 하더라도 상호 이격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상호 접촉하거나 바디(110)에 접촉하여 단락 사고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례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케이블 단락 방지가 가능한 내진 배전함 110: 바디
113: 투입구 115: 내측 모서리
120: 림 130: 케이스
131: 상판 132: 외측 모서리
133: 관통구 134: 내측 모서리
137: 내측 커버 140: 완충수단
150: 클램핑부 151: 결속홀
153: 결속수단 155: 브래킷
156: 고리 157: 몸체
158: 클립 159: 몸체

Claims (9)

  1. 삭제
  2. 배전반이 수용되는 박스형의 바디(110)와,
    상기 바디(110)에 케이블(C)이 통과하도록 형성된 투입구(113)를 포함하는 배전함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113)의 내측 모서리(115)를 따라 형성되고 외측방으로 돌출된 림(120, rim)과,
    상기 림(120)을 외측방에서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케이블(C)이 외측방에서 통과하도록 관통구(133)가 형성된 케이스(130)와,
    상기 케이스(130)에 구성되어 케이블(C)을 잡아주는 클램핑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130)는,
    상기 관통구(133)가 형성된 상판(131)과,
    상기 상판(131)의 외측 모서리(132)를 따라 형성되고 내측방으로 연장된 외측커버(135)와,
    상기 관통구(133)의 내측 모서리(134)를 따라 형성되고 내측방으로 연장된 내측커버(137)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커버(135)와 내측커버(137) 사이에 상기 림(120)이 수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단락 방지가 가능한 내진 배전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림(120)의 외측면, 상기 외측커버(135)의 내측면 중 어느 일측에 연결되는 완충수단(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단락 방지가 가능한 내진 배전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140)은,
    압축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단락 방지가 가능한 내진 배전함.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140)은,
    완충 기능을 구비한 합성수지재의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단락 방지가 가능한 내진 배전함.
  6. 제2항에서 제5항까지의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150)는,
    상기 케이스(130)에 형성된 결속홀(151)과,
    상기 결속홀(151)을 관통하여 케이블(C)을 결속하는 띠 모양의 결속수단(1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단락 방지가 가능한 내진 배전함.
  7. 제2항에서 제5항까지의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150)는,
    상기 케이스(130)에 부착된 브래킷(155)과,
    상기 브래킷(155)에 걸려서 케이블(C)을 결속하는 띠 모양의 결속수단(1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단락 방지가 가능한 내진 배전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155)은,
    상기 결속수단(153)이 걸리는 고리(156)와,
    상기 고리(156)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130)에 부착된 몸체(15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단락 방지가 가능한 내진 배전함.
  9. 제2항에서 제5항까지의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150)는,
    상기 케이블(C)을 집는 C형의 클립(158)과,
    상기 클립(158)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130)에 부착되는 몸체(15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단락 방지가 가능한 내진 배전함.
KR1020150135431A 2015-09-24 2015-09-24 케이블 단락 방지가 가능한 내진 배전함 KR101620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431A KR101620065B1 (ko) 2015-09-24 2015-09-24 케이블 단락 방지가 가능한 내진 배전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431A KR101620065B1 (ko) 2015-09-24 2015-09-24 케이블 단락 방지가 가능한 내진 배전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0065B1 true KR101620065B1 (ko) 2016-05-11

Family

ID=56026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431A KR101620065B1 (ko) 2015-09-24 2015-09-24 케이블 단락 방지가 가능한 내진 배전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006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9101B1 (ko) * 2016-11-16 2017-05-24 주식회사 동지하이텍 내진 기능의 케이블 지지 장치를 갖춘 배전반
KR101757831B1 (ko) * 2017-04-05 2017-07-14 주식회사 동지하이텍 비선형 내진 스프링과 진동 흡수용 케이블 지지 장치를 적용한 내진 배전반
EP3396799A1 (de) * 2017-04-27 2018-10-31 Siemens Aktiengesellschaft Durchführungseinrichtung
CN109066533A (zh) * 2018-08-09 2018-12-21 中国电力工程顾问集团西南电力设计院有限公司 阀厅±800kV套管结构
KR20200029285A (ko) * 2018-09-10 2020-03-18 김기식 지진발생시 케이블 인입 및 인출구에 적용한 케이블 보호를 위한 수배전반 외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135B1 (ko) * 2006-07-20 2006-12-08 주식회사 진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전기배전반의 시공방법
KR100765455B1 (ko) * 2007-08-02 2007-10-12 (주)럭키기술단 누전 방지용 분전반
KR101262797B1 (ko) * 2013-02-12 2013-05-09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KR101329799B1 (ko) * 2013-08-14 2013-11-15 주식회사 세명전기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135B1 (ko) * 2006-07-20 2006-12-08 주식회사 진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전기배전반의 시공방법
KR100765455B1 (ko) * 2007-08-02 2007-10-12 (주)럭키기술단 누전 방지용 분전반
KR101262797B1 (ko) * 2013-02-12 2013-05-09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KR101329799B1 (ko) * 2013-08-14 2013-11-15 주식회사 세명전기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9101B1 (ko) * 2016-11-16 2017-05-24 주식회사 동지하이텍 내진 기능의 케이블 지지 장치를 갖춘 배전반
KR101757831B1 (ko) * 2017-04-05 2017-07-14 주식회사 동지하이텍 비선형 내진 스프링과 진동 흡수용 케이블 지지 장치를 적용한 내진 배전반
EP3396799A1 (de) * 2017-04-27 2018-10-31 Siemens Aktiengesellschaft Durchführungseinrichtung
US10277020B2 (en) 2017-04-27 2019-04-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Leadthrough device and building with a leadthrough device
CN109066533A (zh) * 2018-08-09 2018-12-21 中国电力工程顾问集团西南电力设计院有限公司 阀厅±800kV套管结构
KR20200029285A (ko) * 2018-09-10 2020-03-18 김기식 지진발생시 케이블 인입 및 인출구에 적용한 케이블 보호를 위한 수배전반 외함
KR102132277B1 (ko) * 2018-09-10 2020-07-14 김기식 지진발생시 케이블 인입 및 인출구에 적용한 케이블 보호를 위한 수배전반 외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0065B1 (ko) 케이블 단락 방지가 가능한 내진 배전함
US20130065087A1 (en) Energy storage system
KR101219137B1 (ko) 지중 매설용 절연형 배전반
KR101196398B1 (ko) 내진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
CN210468526U (zh) 一种具有防震功能的悬挂式配电箱
KR101625628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누전 방지용 접속구조
KR100909098B1 (ko) 합선방지를 위한 지중배전선 접속체
KR101488422B1 (ko) 내진수단이 구비된 분전반
KR101873720B1 (ko) 내진 수배전반
CN208078560U (zh) 一种电缆沟高压电缆密封装置
CN207382170U (zh) 一种线性马达和电子设备
KR100967198B1 (ko) 배전용 전선라인의 위치고정식 접속플레이트
JP2016101020A (ja) 配電盤用免震装置及び配電盤の施工方法
KR101448171B1 (ko) 지중 배전선로 지상 설치용 보호함체
KR101690087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20130137276A (ko) 투명 배전함
KR101164497B1 (ko) 전기설비용 애자의 지진격리장치
KR101229964B1 (ko) 결로방지부재가 결합된 배선박스
CN216121770U (zh) 一种具有缓震结构的电缆分线箱
KR102017852B1 (ko) 내진기능 및 낙뢰방지기능을 갖춘 수배전반
KR101571557B1 (ko) 방진장치 하우징이 구비된 내진 배전반
KR102561162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배전반
CN204126895U (zh) 压缩机及空调器
CN211240486U (zh) 一种通讯箱
KR102668560B1 (ko) 공동주택의 전기배선 트렌치 장치 및 그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