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0057B1 - 실사광고 회전형 양방향 광고장치 - Google Patents

실사광고 회전형 양방향 광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0057B1
KR101620057B1 KR1020140021304A KR20140021304A KR101620057B1 KR 101620057 B1 KR101620057 B1 KR 101620057B1 KR 1020140021304 A KR1020140021304 A KR 1020140021304A KR 20140021304 A KR20140021304 A KR 20140021304A KR 101620057 B1 KR101620057 B1 KR 101620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advertisement
conveyor
roll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1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0024A (ko
Inventor
이우열
Original Assignee
글로벌하이텍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벌하이텍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글로벌하이텍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1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057B1/ko
Publication of KR20150100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0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3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moving light sources, e.g. rotating luminous tub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사광고 회전형 양방향 광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면과 후면 각각에 실사광고판을 부착한 상태에서 실사광고를 회전시킴으로써, 전면과 후면을 통해 광고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실사광고 회전형 양방향 광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에 따른 본 발명의 실사광고 회전형 양방향 광고장치는 제1실사이미지를 포함하는 전면실사광고부; 제2실사이미지를 포함하는 후면실사광고부; 컨베이어벨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측면의 일부영역에 상기 전면실사광고부가 결합되고, 상기 전면 실사광고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외측면의 일부영역에 상기 후면실사광고부가 결합되는 컨베이어부; 상기 컨베이어부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회전시에 상기 컨베이어부와 밀착된 부위를 회전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롤러부; 상기 컨베이어부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회전시에 상기 컨베이어부와 밀착된 부위를 회전방향으로 이송시키며, 상기 제1롤러부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롤러부; 및, 상기 제1롤러부의 축단 및 상기 제2롤러부 축단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축단에 결합되어 회전구동시에 상기 제1롤러부 및 상기 제2롤러부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사광고 회전형 양방향 광고장치{TWO WAY ADVERTISEMENT DEVICE BY ROTATION TYPE FILM ADVERTISEMENT}
본 발명은 실사광고 회전형 양방향 광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면과 후면 각각에 실사광고판을 부착한 상태에서 실사광고를 회전시킴으로써, 전면과 후면을 통해 광고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실사광고 회전형 양방향 광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종래 실사광고물 광치는 실사이미지에 LED의 광을 조사하여 실사이미지를 부각시키는 스크린 광고장치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실사이미지를 부각시키는 스크린 광고장치에 관한 종래 선행기술의 예로써,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04-0049697호인 와이드 실사 LED전광판을 이용한 광고 대행 기법은 기존의 LED전광판에 와이드 실사 광고 아크릴판을 전광판의 상부와 하부에 부착하여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LED전광판의 장점과 생생한 실사 화면의 표현이 가능한 와이드 실사 광고 아크릴판을 통합하여 어느 장소 에서나 광고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상기한 종래 스크린 광고장치이외에 발광다이오드(LED)를 도트메트릭스 형태로 제작하고 도트메트릭스 LED 광고판에 문자나 그림을 출력하여 광고하는 LED 전광판 광고장치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LED 전광판 광고장치에 관한 종래 선행기술을 예시하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3511호인 양방향 전광판은 전,후방에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주표시기와, 상기 주표시기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부표시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표시기는 전방을 향하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제 1 표시부와 후방을 향하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제 2 표시부로 이루어짐으로써, 광고 지주의 상단이나 건물의 외벽등에 장착되어 마주 오는 차량이나 사람들에게 양방향으로 정보를 표시함과 더불어 주표시기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을 구비하고 있다.
다른 한편, 상기한 종래 스크린 광고장치 및 LED 전광판 광고장치이외에 LCD모니터에 광고를 출력하는 모니터 출력형 광고장치도 있다.
이 가운데, 상기 종래 LED 전광판 및 모니터 출력형 광고장치를 이용한 광고장치들은 부품의 가격이 고가이기 때문에 광고장치의 크기에 비례하여 많은 제조단가가 소요되며 설치 및 유지비용도 스크린 광고장치에 비해 많은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광고투자비용 대비 광고효율에 대한 측면을 고려하여 볼 때 광고주들의 부담을 가중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소형 점포와 같은 영세 자영업자들은 광고투자비용이 적기 때문에 종래 LED 전광판 및 모니터 출력형 광고장치를 이용하기 매우 어려운 실정에 있다.
따라서, 보통 소형 점포와 같은 영세 자영업자들이 많이 선택하는 광고장치로써, 전술한 실사이미지를 이용한 스크린 광고장치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스크린 광고장치를 이루는 구조를 살펴보면, 보통, 종래 스크린 광고장치는 사각 프레임 내부에 형광등과 같은 조명을 설치하여 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 각각에 실사이미지를 장착시키는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단면 광고 또는 양면 광고를 시행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발휘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스크린 광고장치를 통해 전면과 후면 각각의 실사이미지를 모두 보기 위해서는 실사이미지를 쳐다보는 예상고객층이 스크린 광고장치의 전면방향과 후면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서만 전면과 후면 각각의 실사이미지를 볼 수 있다. 즉, 종래 스크린 광고장치는 양방향으로 광고를 실행하는 기술적 수단을 채택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발휘되는 효과는 단방향 광고에 해당한다.
따라서, 종래 스크린 광고장치와 같이, 양방향 광고를 시행함에 있어, 실사이미지를 쳐다보는 예상고객층이 전면과 후면 각각의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도, 전면과 후면에 위치한 광고물 모두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수단의 안출이 필요한 실정에 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04-0049697호(2004. 06. 12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3511호(2008. 06. 27 등록)
본 발명은 양방향으로 구성된 실사이미지에 대한 광고를 예상고객층이 보는 경우에 예상고객층이 전면 방향과 후면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도 양방향에 있는 실사이미지 전체를 볼 수 있도록 하는 실사광고 회전형 양방향 광고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사광고 회전형 양방향 광고장치는 제1실사이미지를 포함하는 전면실사광고부; 제2실사이미지를 포함하는 후면실사광고부; 컨베이어벨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측면의 일부영역에 상기 전면실사광고부가 결합되고, 상기 전면 실사광고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외측면의 일부영역에 상기 후면실사광고부가 결합되는 컨베이어부; 상기 컨베이어부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회전시에 상기 컨베이어부와 밀착된 부위를 회전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롤러부; 상기 컨베이어부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회전시에 상기 컨베이어부와 밀착된 부위를 회전방향으로 이송시키며, 상기 제1롤러부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롤러부; 및, 상기 제1롤러부의 축단 및 상기 제2롤러부 축단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축단에 결합되어 회전구동시에 상기 제1롤러부 및 상기 제2롤러부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실사광고 회전형 양방향 광고장치는 도광판 및 발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광판은 상기 컨베이어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전면실사광고부와 상기 후면실사광고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도광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도광판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사광고 회전형 양방향 광고장치는 전면가이드부 및 후면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면가이드부는 상기 컨베이어부와 결합되며, 상기 전면실사광고부의 좌측면과 상기 전면실사광고부의 좌측면과 연결되는 전면의 일부를 감싸는 전면좌측가이드; 상기 컨베이어부와 결합되며, 상기 전면실사광고부의 우측면과 상기 전면실사광고부의 우측면과 연결되는 전면의 일부를 감싸는 전면우측가이드; 및, 상기 컨베이어부와 결합되며, 상기 전면실사광고부의 하부면과 상기 전면실사광고부의 하부면과 연결되는 전면의 일부를 감싸는 전면하부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후면가이드부는 상기 컨베이어부와 결합되며, 상기 후면실사광고부의 좌측면과 상기 후면실사광고부의 좌측면과 연결되는 전면의 일부를 감싸는 후면좌측가이드; 상기 컨베이어부와 결합되며, 상기 후면실사광고부의 우측면과 상기 후면실사광고부의 우측면과 연결되는 전면의 일부를 감싸는 후면우측가이드; 및, 상기 컨베이어부와 결합되며, 상기 후면실사광고부의 하부면과 상기 후면실사광고부의 하부면과 연결되는 전면의 일부를 감싸는 후면하부가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사광고 회전형 양방향 광고장치는 상기 제1롤러부의 상부 축단이 삽입되는 제1지지홀이 형성되는 제1상부축지지부; 인장된 상태로 상기 제1상부축지지부와 결합되는 제1상부탄성부재; 상기 제1롤러부의 하부 축단이 삽입되는 제2지지홀이 형성되는 제1하부축지지부; 및, 인장된 상태로 상기 제1하부축지지부와 결합되는 제1하부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사광고 회전형 양방향 광고장치는 모터의 축단에 설치되며 모터가 1회전하는 경우에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엔코더; 상기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구동신호의 입력시에 상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며, 정지신호의 입력시에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상기 모터를 정지시키는 모터전력공급부; 및, 상기 모터전력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전력공급부에 구동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모터가 구동되도록 하고, 상기 엔코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엔코더가 검출한 모터의 펄스신호를 입력받아 카운팅하는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수를 카운팅하며, 상기 모터전력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수가 기설정된 값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모터에 정지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모터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모터제어부는 상기 정지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킨 이후, 기설정된 타이머 셋팅 시간이 지난 이후에 상기 모터에 상기 구동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며, 다시 기설정된 타이머 셋팅 시간이 지난 이후에 상기 모터에 상기 정지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다시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타이머 셋팅 시간동안 상기 모터의 구동 및 정지를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사광고 회전형 양방향 광고장치는 상기 전면실사광고부와 상기 후면실사광고부와 상기 컨베이어부와 상기 제1롤러부와 상기 제2롤러부 및 상기 모터를 감싸며, 전면에 상기 전면실사광고부가 노출되도록 제1노출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후면에 상기 후면실사광고부가 노출되도록 제2노출영역이 형성되며, 상방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케이스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상방 개구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면실사광고부와 후면실사광고부가 회전하여 위치가 뒤바뀐 상태로 보여지며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전면실사광고부와 후면실사광고부의 위치가 다시 뒤바뀌게 되므로, 예상고객층들이 광고를 보기 위하여 전면 방향과 후면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도 양방향에 있는 실사이미지 전체를 볼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종래 양방향 실사 광고 방식보다 광고효율을 배가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사광고 회전형 양방향 광고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사광고 회전형 양방향 광고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사광고 회전형 양방향 광고장치를 수직으로 절개하여 본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사광고 회전형 양방향 광고장치를 수평으로 절개하여 본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사광고 회전형 양방향 광고장치의 모터, 엔코더, 모터전력공급부 및, 모터제어부에 관한 블록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회전형 양방향 광고장치의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에서 모터가 구동하여 전면실사광고부 및 후면실사광고부의 위치가 뒤바뀌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사광고 회전형 양방향 광고장치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사광고 회전형 양방향 광고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사광고 회전형 양방향 광고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사광고 회전형 양방향 광고장치를 수직으로 절개하여 본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사광고 회전형 양방향 광고장치를 수평으로 절개하여 본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사광고 회전형 양방향 광고장치의 모터, 엔코더, 모터전력공급부 및, 모터제어부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사광고 회전형 양방향 광고장치의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에서 모터가 구동하여 전면실사광고부 및 후면실사광고부의 위치가 뒤바뀌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사광고 회전형 양방향 광고장치를 이루는 각각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사광고 회전형 양방향 광고장치는 전면실사광고부(1), 후면실사광고부(2), 컨베이어부(3), 제1롤러부(4), 제2롤러부(5), 모터(6), 도광판(7), 발광부(8), 전면가이드부(9), 후면가이드부(10), 제1상부축지지부(11), 제1상부탄성부재(12), 제1하부축지지부(13), 제1하부탄성부재(14), 제2상부축지지부(15), 제2상부탄성부재(16), 제2하부축지지부(17), 제2하부탄성부재(18), 엔코더(19), 모터전력공급부(20), 모터제어부(21), 케이스부(22) 및 덮개부(23)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실사광고부(1)는 직물이나 종이와 같이 유연하게 구부러질 수 있는 스크린에 제1실사이미지가 인쇄된 형태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실사이미지는 광고를 시행하고자 하는 상품이나 업체등에 관한 광고내용의 이미지이다.
상기 후면실사광고부(2)는 직물이나 종이와 같이 유연하게 구부러질 수 있는 스크린에 제2실사이미지가 인쇄된 형태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2실사이미지는 광고를 시행하고자 하는 상품이나 업체등에 관한 광고내용의 이미지이며, 제1실사이미지와는 다른 광고내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부(3)는 실리콘과 같은 연성재질로 구성되며 컨베이어벨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컨베이어부(3)는 외측면의 일부영역에 전면실사광고부(1)가 결합된다. 여기서, 전면실사광고부(1)와 컨베이어부(3)의 결합은 후술한 전면가이드부(9)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부(3)는 전면 실사광고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외측면의 일부영역에 후면실사광고부(2)가 결합된다. 여기서, 후면실사광고부(2)와 컨베이어부(3)의 결합은 후술한 전면가이드부(9)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컨베이어부(3)는 전면실사광고부(1)와 후면실사광고부(2)가 부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제1롤러부(4)와 제2롤러부(5)의 회전시에 제1롤러부(4)와 제2롤러부(5)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전면실사광고부(1)와 후면실사광고부(2)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구현하게 된다. 또한, 컨베이어부(3)는 실리콘과 같은 연성재질로 구성되되, 투명실리콘과 같이 광을 용이하게 투과시킬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롤러부(4)는 양단에 축이 구비된 원통형 형상의 롤러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주연이 컨베이어부(3)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회전시에 컨베이어부(3)와 밀착된 부위를 회전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 경우, 제1롤러부(4)에는 일단의 축에 후술되는 모터(6)의 축이 장착되며, 모터(6)의 회전구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제1롤러부(4)는 모터(6)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며, 컨베이어부(3)의 내측면과의 밀착력에 의해 컨베이어부(3)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제2롤러부(5)는 양단에 축이 구비된 원통형 형상의 롤러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주연이 컨베이어부(3)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회전시에 컨베이어부(3)와 밀착된 부위를 회전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 경우, 제2롤러부(5)는 제1롤러부(4)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제2롤러부(5)는 제1롤러부(4)의 회전시에 제1롤러부(4)와 함께 회전하여 컨베이어부(3)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모터(6)는 제1롤러부(4)의 축단 및 제2롤러부(5) 축단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축단에 결합되어 회전구동시에 제1롤러부(4) 및 제2롤러부(5)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 경우, 모터(6)는 후술하는 모터전력공급부(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는 경우에 구동하며, 모터전력공급부(20)를 제어하는 모터제어부(21)에 의해 회전의 구동이 제어된다.
상기 도광판(7)은 컨베이어부(3)의 내측에 배치되며, 전면실사광고부(1)와 후면실사광고부(2)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도광판(7)은 하부면으로부터 후술하는 발광부(8)의 광이 조사되는 경우에 전면과 후면 방향으로 광을 확산시킴으로써 전면실사광고부(1)와 후면실사광고부(2)의 광고내용에 광을 조시하여 광고내용을 부각시키는 역할을 구현하게 된다.
상기 발광부(8)는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가 인쇄회로기판에 배열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광판(7)의 하부에 배치되고, 전력(전원 공급장치 미도시)을 공급받는 경우에 도광판(7)의 하부면으로 광을 조사하여 도광판(7)에 광을 제공하는 역할을 구현하게 된다.
상기 전면가이드부(9)는 전면좌측가이드(9a), 전면우측가이드(9b) 및 전면하부가이드(9c)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좌측가이드(9a)는 실리콘과 같은 연성재질로 구성되며 컨베이어부(3)와 결합된다. 이러한 전면좌측가이드(9a)는 단턱을 구비하는'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면실사광부의 좌측면이 단턱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즉, 전면좌측가이드(9a)는 전면실사광고부(1)의 좌측면을 감싸며, 전면실사광고부(1)의 좌측면과 연결되는 전면의 일부를 감싸게 된다. 이러한 전면좌측가이드(9a)는 전면실사광고부(1)가 좌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전면우측가이드(9b)는 실리콘과 같은 연성재질로 구성되며 컨베이어부(3)와 결합된다. 이러한 전면우측가이드(9b)는 단턱을 구비하는'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면실사광부의 우측면이 단턱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즉, 전면우측가이드(9b)는 전면실사광고부(1)의 우측면을 감싸며, 전면실사광고부(1)의 우측면과 연결되는 전면의 일부를 감싸게 된다. 이러한 전면우측가이드(9b)는 전면실사광고부(1)가 우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전면하부가이드(9c)는 실리콘과 같은 연성재질로 구성되며 컨베이어부(3)와 결합된다. 이러한 전면하부가이드(9c)는 단턱을 구비하는'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면실사광부의 하부면이 단턱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즉, 전면하부가이드(9c)는 전면실사광고부(1)의 하부면을 감싸며, 전면실사광고부(1)의 하부면과 연결되는 전면의 일부를 감싸게 된다. 이러한 전면하부가이드(9c)는 전면실사광고부(1)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후면가이드부(10)는 후면좌측가이드(10a), 후면우측가이드(10b) 및 후면하부가이드(10c)를 포함한다.
상기 후면좌측가이드(10a)는 실리콘과 같은 연성재질로 구성되며 컨베이어부(3)와 결합된다. 이러한 후면좌측가이드(10a)는 단턱을 구비하는'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면실사광부의 좌측면이 단턱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즉, 후면좌측가이드(10a)는 후면실사광고부(2)의 좌측면을 감싸며, 후면실사광고부(2)의 좌측면과 연결되는 후면의 일부를 감싸게 된다. 이러한 후면좌측가이드(10a)는 후면실사광고부(2)가 좌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후면우측가이드(10b)는 실리콘과 같은 연성재질로 구성되며 컨베이어부(3)와 결합된다. 이러한 후면우측가이드(10b)는 단턱을 구비하는'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면실사광고부(2)의 우측면이 단턱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즉, 후면우측가이드(10b)는 후면실사광고부(2)의 우측면을 감싸며, 후면실사광고부(2)의 우측면과 연결되는 후면의 일부를 감싸게 된다. 이러한 후면우측가이드(10b)는 후면실사광고부(2)가 우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후면하부가이드(10c)는 실리콘과 같은 연성재질로 구성되며 컨베이어부(3)와 결합된다. 이러한 후면하부가이드(10c)는 단턱을 구비하는'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면실사광부의 하부면이 단턱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즉, 후면하부가이드(10c)는 후면실사광고부(2)의 하부면을 감싸며, 후면실사광고부(2)의 하부면과 연결되는 후면의 일부를 감싸게 된다. 이러한 후면하부가이드(10c)는 후면실사광고부(2)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1상부축지지부(11)는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제1롤러부(4)의 상부 축단이 삽입되는 제1지지홀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상부축지지부(11)는 제1롤러부(4)의 상부 축단이 삽입된 상태로 구성되어 제1롤러부(4)의 상부가 지지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는 영역을 마련하며, 이 경우, 제1지지홀에는 베어링과 같은 마찰감소부재가 더 형성되어 제1롤러부(4)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상부탄성부재(12)는 인장된 상태로 일단이 제1상부축지지부(11)와 결합되며, 타단이 후술하는 케이스부(22)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1상부탄성부재(12)는 인장된 상태로 제1상부축지지부(11)와 결합됨으로써, 제1상부축지지부(11)를 케이스부(22)의 내측면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제1롤러부(4)를 컨베이어부(3)의 내측면에 강하게 밀착시킨다. 따라서, 컨베이어부(3)는 제1롤러부(4)의 내측면에 강하게 밀착되기 때문에, 컨베이어부(3)가 제1롤러부(4)간에 밀착력이 적어짐으로 인해 컨베이어부(3)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1하부축지지부(13)는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제1롤러부(4)의 하부 축단이 삽입되는 제2지지홀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하부축지지부(13)는 제1롤러부(4)의 하부 축단이 삽입된 상태로 구성되어 제1롤러부(4)의 하부가 지지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는 영역을 마련하며, 이 경우, 제2지지홀에는 베어링과 같은 마찰감소부재가 더 형성되는 제1롤러부(4)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하부탄성부재(14)는 인장된 상태로 일단이 제1하부축지지부(13)와 결합되며, 타단이 후술하는 케이스부(22)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1하부탄성부재(14)는 인장된 상태로 제1하부축지지부(13)와 결합됨으로써, 제1하부축지지부(13)를 케이스부(22)의 내측면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제1롤러부(4)를 컨베이어부(3)의 내측면에 강하게 밀착시킨다. 따라서, 컨베이어부(3)는 제1롤러부(4)의 내측면에 강하게 밀착되기 때문에, 컨베이어부(3)가 제1롤러부(4)간에 밀착력이 적어짐으로 인해 컨베이어부(3)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2상부축지지부(15)는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제2롤러부(5)의 상부 축단이 삽입되는 제3지지홀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2상부축지지부(15)는 제2롤러부(5)의 상부 축단이 삽입된 상태로 구성되어 제2롤러부(5)의 상부가 지지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는 영역을 마련하며, 이 경우, 제3지지홀에는 베어링과 같은 마찰감소부재가 형성되어 제2롤러부(5)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상부탄성부재(16)는 인장된 상태로 일단이 제2상부축지지부(15)와 결합되며, 타단이 후술하는 케이스부(22)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2상부탄성부재(16)는 인장된 상태로 제2상부축지지부(15)와 결합됨으로써, 제2상부축지지부(15)를 케이스부(22)의 내측면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제2롤러부(5)를 컨베이어부(3)의 내측면에 강하게 밀착시킨다. 따라서, 컨베이어부(3)는 제2롤러부(5)의 내측면에 강하게 밀착되기 때문에, 컨베이어부(3)가 제2롤러부(5)간에 밀착력이 적어져 컨베이어부(3)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2하부축지지부(17)는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제2롤러부(5)의 하부 축단이 삽입되는 제4지지홀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2하부축지지부(17)는 제2롤러부(5)의 하부 축단이 삽입된 상태로 구성되어 제2롤러부(5)의 하부가 지지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는 영역을 마련하며, 이 경우, 제4지지홀에는 베어링과 같은 마찰감소부재가 형성되어 제2롤러부(5)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하부탄성부재(18)는 인장된 상태로 일단이 제2하부축지지부(17)와 결합되며, 타단이 후술하는 케이스부(22)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2하부탄성부재(18)는 인장된 상태로 제2하부축지지부(17)와 결합됨으로써, 제2하부축지지부(17)를 케이스부(22)의 내측면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제2롤러부(5)를 컨베이어부(3)의 내측면에 강하게 밀착시킨다. 따라서, 컨베이어부(3)는 제2롤러부(5)의 내측면에 강하게 밀착되기 때문에, 컨베이어부(3)가 제2롤러부(5)간에 밀착력이 적어짐으로 인해 컨베이어부(3)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2상부축지지부(15), 상기 제2상부탄성부재(16), 제2하부축지지부(17) 및, 상기 제2하부탄성부재(18)는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엔코더(19)는 모터(6)의 축단에 설치되며, 모터(6)가 1회전하는 경우에 펄스신호를 생성한다. 이 경우, 엔코더(19)는 홀센서, 타코미터 및, 포토리플렉터 가운데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전력공급부(20)는 전원인가시 모터(6)의 구동 전력에 맞는 전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써, 모터(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구동신호의 입력시에 모터(6)에 전력을 공급하여 모터(6)를 구동시키며, 정지신호의 입력시에 모터(6)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모터(6)를 정지시키게 된다.
또한, 모터제어부(21)는 모터전력공급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전력공급부(20)에 구동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모터(6)가 구동되도록 하고, 엔코더(19)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엔코더(19)가 검출한 모터(6)의 펄스신호를 입력받아 카운팅하는 연산을 수행하여 모터(6)의 회전수를 카운팅한다. 이 경우, 모터제어부(21)는 모터(6)의 회전수가 기설정된 값에 해당하는 경우 모터(6)에 정지신호를 전송하여 모터(6)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구동을 하게 된다. 또한, 모터제어부(21)는 정지신호를 전송하여 모터(6)의 구동을 정지시킨 이후, 기설정된 타이머 셋팅 시간이 지난 이후에 모터(6)에 구동신호를 전송하여 모터(6)를 구동시키며, 다시 기설정된 타이머 셋팅 시간이 지난 이후에 모터(6)에 정지신호를 전송하여 모터(6)의 구동을 다시 정지시킴으로써, 타이머 셋팅 시간동안 모터(6)의 구동 및 정지를 반복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부(22)는 철재와 같은 강성재질로 형성되며, 전면실사광고부(1), 후면실사광고부(2), 컨베이어부(3), 제1롤러부(4), 제2롤러부(5), 모터(6), 도광판(7), 발광부(8), 전면가이드부(9), 후면가이드부(10), 제1상부축지지부(11), 제1상부탄성부재(12), 제1하부축지지부(13), 제1하부탄성부재(14), 제2상부축지지부(15), 제2상부탄성부재(16), 제2하부축지지부(17), 제2하부탄성부재(18), 엔코더(19), 모터전력공급부(20) 및, 모터제어부(21)를 감쌈으로써, 이들 구성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구현하게 된다. 이 경우, 케이스부(22)는 전면에 전면실사광고부(1)가 노출되도록 제1노출영역이 형성되고, 후면에 후면실사광고부(2)가 노출되도록 제2노출영역이 형성됨으로써, 전면실사광고부(1)의 광고내용과 후면실사광고부(2)의 광고내용을 예상고객층이 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제1노출영역과 제2노출영역에는 유리창이나 투명창과 같은 구성이 결합되어, 이물질등으로부터 전면실사광고부(1) 및 후면실사광고부(2)를 보호할 수도 있다. 또한, 케이스부(22)는 상방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이 경우, 덮개부(23)는 케이스부(22)의 상방 개구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데, 덮개부(23)를 케이스부(22)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케이스부(22)의 상부 개구부를 통해 전면실사광고부(1)와 후면실사광고부(2)를 용이하게 교체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실사광고 회전형 양방향 광고장치의 구동방법과 함께 그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양방향 광고장치는 광고하고자 할 내용이 각각 다른 전면실사광고부(1)와 후면실사광고부(2)를 전면가이드부(9) 및 후면가이드부(10)에 결합시켜 전면과 후면에 각기 다른 광고 내용이 보여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발광부(8)에 전력을 공급하게 되면, 발광부(8)의 광은 도광판(7)을 통해 확산되어 광에 의해 전면실사광고부(1)와 후면실사광고부(2)의 광고내용이 부각된다.
이때, 모터(6)와 모터전력공급부(20) 및 모터제어부(21)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모터제어부(21)는 구동신호를 모터전력공급부(20)에 전송하게 되고, 모터전력공급부(20)는 모터(6)에 전력을 공급하여 모터(6)를 회전시키게 되며, 이 경우, 모터(6)는 제1롤러부(4)는 회전시키게 되고, 제1롤러부(4)는 컨베이어부(3)를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컨베이어부(3)에 결합된 전면실사광고부(1)와 후면실사광고부(2)는 컨베이어부(3)와 함께 이동하게 되는데, 이 경우, 전면실사광고부(1)와 후면실사광고부(2)의 광고순서는 서로 간에 뒤바뀌게 된다.
이때, 모터제어부(21)는 엔코더(19)를 통해 입력받은 펄스신호를 토대로 모터(6)의 회전수를 카운팅하고, 기설정된 카운팅 횟수가 지난 이후, 예를 들어, 컨베이어의 회전시에 전면실사광고부(1)와 후면실사광부의 위치가 서로간에 완전히 뒤바뀌는 위치에 대한 지점의 모터(6) 회전수와 대응하는 기설정된 카운팅 횟수와 일치하는 경우를 연산하여 기설정된 카운팅 횟수만큼 모터(6)가 회전하게 되면, 모터전력공급부(20)로 정지신호를 전송하여 모터(6)를 정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전면실사광고부(1)의 위치와 후면실사광고부(2)의 위치는 서로 간에 뒤바뀌게 된 상태로 광고 내용을 홍보하기 때문에 예상고객층은 한 위치에서 전면실사광고부(1)와 후면실사광고부(2)의 모든 내용을 볼 수 있게 된다.
이후, 모터제어부(21)는 기설정된 타이머 셋팅 시간이 지난 이후에 모터(6)에 구동신호를 전송하여 모터(6)를 다시 구동시키게 되며, 또 다시 기설정된 타이머 셋팅 시간이 지난 이후에 모터(6)에 정지신호를 전송하여 모터(6)의 구동을 다시 정지시킴으로써, 타이머 셋팅 시간동안 모터(6)의 구동 및 정지를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사광고 회전형 양방향 광고장치는 전면실사광고부(1)와 후면실사광고부(2)가 회전하여 위치가 뒤바뀐 상태로 보여지며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전면실사광고부(1)와 후면실사광고부(2)의 위치가 다시 뒤바뀌게 되므로, 예상고객층들이 광고를 보기 위하여 전면 방향과 후면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도 양방향에 있는 실사이미지 전체를 볼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종래 양방향 실사 광고 방식보다 광고효율을 배가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전면실사광고부 2 ; 후면실사광고부
3 ; 컨베이어부 4 ; 제1롤러부
5 ; 제2롤러부 6 ; 모터
7 ; 도광판 8 ; 발광부
9 ; 전면가이드부 10 ; 후면가이드부
11 ; 제1상부축지지부 12 ; 제1상부탄성부재
13 ; 제1하부축지지부 14 ; 제1하부탄성부재
15 ; 제2상부축지지부 16 ; 제2상부탄성부재
17 ; 제2하부축지지부 18 ; 제2하부탄성부재
19 ; 엔코더 20 ; 모터전력공급부
21 ; 모터제어부 22 ; 케이스부
23 ; 덮개부

Claims (7)

  1. 제1실사이미지를 포함하는 전면실사광고부(1);
    제2실사이미지를 포함하는 후면실사광고부(2);
    컨베이어벨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측면의 일부영역에 상기 전면실사광고부(1)가 결합하고, 상기 전면실사광고부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외측면의 일부영역에 상기 후면실사광고부(2)가 결합하는 컨베이어부(3);
    상기 컨베이어부(3)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회전시에 상기 컨베이어부(3)와 밀착된 부위를 회전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롤러부(4);
    상기 컨베이어부(3)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회전시에 상기 컨베이어부(3)와 밀착된 부위를 회전방향으로 이송시키며, 상기 제1롤러부(4)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롤러부(5);
    상기 제1롤러부(4)의 축단 및 상기 제2롤러부(5) 축단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축단에 결합하여 회전구동시에 상기 제1롤러부(4) 및 상기 제2롤러부(5)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모터(6);
    상기 전면실사광고부(1)와 상기 후면실사광고부(2)와 상기 컨베이어부(3)와 상기 제1롤러부(4)와 상기 제2롤러부(5) 및 상기 모터(6)를 감싸는 케이스부(22);
    상기 제1롤러부(4)의 상부 축단이 삽입되는 제1지지홀이 형성되는 제1상부축지지부(11);
    인장된 상태로 일단이 상기 제1상부축지지부(11)와 결합하고, 타단이 케이스부(22)에 결합되어 제1상부축지지부(11)를 케이스부(22)의 내측면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제1롤러부(4)를 컨베이어부(3)의 내측면에 강하게 밀착시키는 제1상부탄성부재(12);
    상기 제1롤러부(4)의 하부 축단이 삽입되는 제2지지홀이 형성되는 제1하부축지지부(13);
    인장된 상태로 일단이 상기 제1하부축지지부(13)와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부(22)에 결합되어 제1하부축지지부(13)를 케이스부(22)의 내측면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제1롤러부(4)를 컨베이어부(3)의 내측면에 강하게 밀착시키는 제1하부탄성부재(14);
    상기 제2롤러부(5)의 상부 축단이 삽입되는 제3지지홀이 형성되는 제2상부축지지부(15);
    인장된 상태로 일단이 상기 제2상부축지지부(15)와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케이스부(22)에 결합되어 제2상부축지지부(15)를 케이스부(22)의 내측면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제2롤러부(5)를 컨베이어부(3)의 내측면에 강하게 밀착시키는 제2상부탄성부재(16);
    상기 제2롤러부(5)의 하부 축단이 삽입되는 제4지지홀이 형성되는 제2하부축지지부(17);
    인장된 상태로 일단이 상기 제2하부축지지부(17)와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케이스부(22)에 결합되어 제2하부축지지부(17)를 케이스부(22)의 내측면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제2롤러부(5)를 컨베이어부(3)의 내측면에 강하게 밀착시키는 제2하부탄성부재(18);
    상기 컨베이어부(3)와 결합되고 단턱을 구비하는'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면실사광고부의 좌측면이 단턱에 삽입되도록 전면실사광고부(1)의 좌측면을 감싸는 동시에 전면실사광고부(1)의 좌측면과 연결되는 전면의 일부를 감싸 전면실사광고부(1)가 좌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면좌측가이드(9a);
    상기 컨베이어부(3)와 결합되고 단턱을 구비하는'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면실사광고부의 우측면이 단턱에 삽입되도록 전면실사광고부(1)의 우측면을 감싸는 동시에 전면실사광고부(1)의 우측면과 연결되는 전면의 일부를 감싸 전면실사광고부(1)가 우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면우측가이드(9b);
    상기 컨베이어부(3)와 결합되고 단턱을 구비하는'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면실사광고부의 하부면이 단턱에 삽입되도록 전면실사광고부(1)의 하부면을 감싸는 동시에 전면실사광고부(1)의 하부면과 연결되는 전면의 일부를 감싸 전면실사광고부(1)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면하부가이드(9c);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사광고 회전형 양방향 광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부(3)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전면실사광고부(1)와 상기 후면실사광고부(2) 사이에 배치되는 도광판(7); 및,
    상기 도광판(7)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도광판(7)으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8);를 더 포함하는 실사광고 회전형 양방향 광고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모터(6)의 축단에 설치되며, 모터(6)가 1회전하는 경우에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엔코더(19);
    상기 모터(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구동신호의 입력시에 상기 모터(6)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모터(6)를 구동시키며, 정지신호의 입력시에 상기 모터(6)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상기 모터(6)를 정지시키는 모터전력공급부(20); 및,
    상기 모터전력공급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전력공급부(20)에 구동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모터(6)가 구동되도록 하고, 상기 엔코더(19)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엔코더(19)가 검출한 모터(6)의 펄스신호를 입력받아 카운팅하는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모터(6)의 회전수를 카운팅하며, 상기 모터전력공급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6)의 회전수가 기설정된 값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모터(6)에 정지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모터(6)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모터제어부(21);를 더 포함하는 실사광고 회전형 양방향 광고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제어부(21)는 상기 정지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모터(6)의 구동을 정지시킨 이후, 기설정된 타이머 셋팅 시간이 지난 이후에 상기 모터(6)에 상기 구동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모터(6)를 구동시키며, 다시 기설정된 타이머 셋팅 시간이 지난 이후에 상기 모터(6)에 상기 정지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모터(6)의 구동을 다시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타이머 셋팅 시간동안 상기 모터(6)의 구동 및 정지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사광고 회전형 양방향 광고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22)에는 전면에 상기 전면실사광고부(1)가 노출되도록 제1노출영역이 형성되고, 후면에 상기 후면실사광고부(2)가 노출되도록 제2노출영역이 형성되고, 상방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에는 덮개부(23)가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사광고 회전형 양방향 광고장치.
KR1020140021304A 2014-02-24 2014-02-24 실사광고 회전형 양방향 광고장치 KR101620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304A KR101620057B1 (ko) 2014-02-24 2014-02-24 실사광고 회전형 양방향 광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304A KR101620057B1 (ko) 2014-02-24 2014-02-24 실사광고 회전형 양방향 광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024A KR20150100024A (ko) 2015-09-02
KR101620057B1 true KR101620057B1 (ko) 2016-05-23

Family

ID=54241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304A KR101620057B1 (ko) 2014-02-24 2014-02-24 실사광고 회전형 양방향 광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00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982B1 (ko) * 2020-01-31 2020-03-11 (주)첨단엔지니어링 배전 개폐기 동작 표시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233B1 (ko) 2018-09-06 2019-08-01 오창훈 가변형 현수막 게시대
KR101973341B1 (ko) * 2018-12-06 2019-04-26 주식회사 아주푸드 이동식 광고스크린을 구비하는 광고장치
IL264108A (en) * 2019-01-06 2020-07-30 Shemesh David Alternating-images frame
CN110580865B (zh) * 2019-08-06 2021-03-23 河南职业技术学院 一种可切换广告面板形式的广告灯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4202A (ja) 2009-02-27 2010-09-16 Eventas Inc スクロール看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4202A (ja) 2009-02-27 2010-09-16 Eventas Inc スクロール看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982B1 (ko) * 2020-01-31 2020-03-11 (주)첨단엔지니어링 배전 개폐기 동작 표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024A (ko) 2015-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0057B1 (ko) 실사광고 회전형 양방향 광고장치
KR20170054419A (ko) Led 백라이트 어레이로 조명되는 아트웍을 가지는 빌보드 또는 다른 대형 디스플레이들
US20040025389A1 (en) Continuous advertising medium and medium display device
KR101264669B1 (ko) 인체감지 회전형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EP0746838B1 (en) Display device
US20100107461A1 (en) Scroll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JP2009183492A (ja) 表示装置
KR101005056B1 (ko) 회전식 현수막 게시장치
DE60118736D1 (de) Anzeigevorrichtung mit animiert erscheinenden standbildern für sich bewegende betrachter
KR200286859Y1 (ko) 회전식 입체간판
KR200425794Y1 (ko) 회전식 롤 광고장치
JP2007184772A5 (ko)
KR200230356Y1 (ko) 광고용 스크린 회전장치
KR101167642B1 (ko)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JP2012068360A (ja) 幕式表示装置
WO2019216625A3 (ko) 엘이디 트라이 비전
CN217113747U (zh) 展示系统
US6191700B1 (en) Luminous signs with sequential variation of images
KR101691986B1 (ko) 복합 전시 360도 영상시스템
KR200383044Y1 (ko) 광고장치
KR20180103312A (ko) 무빙 광고 장치
CN101874264A (zh) 照明地铁标牌
KR200331459Y1 (ko) 롤형 간판
KR20210010152A (ko) 레이저 투광기를 이용한 광고장치
RU80612U1 (ru) Рекла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