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9833B1 -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시스템 및 확인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시스템 및 확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9833B1
KR101619833B1 KR1020140092124A KR20140092124A KR101619833B1 KR 101619833 B1 KR101619833 B1 KR 101619833B1 KR 1020140092124 A KR1020140092124 A KR 1020140092124A KR 20140092124 A KR20140092124 A KR 20140092124A KR 101619833 B1 KR101619833 B1 KR 101619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operation data
wireless communication
ballast water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2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1319A (ko
Inventor
이수태
표태성
천상규
유형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나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나시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나시아
Priority to KR1020140092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9833B1/ko
Publication of KR20160011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9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9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2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ballast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으로 유입되는 평형수를 처리하는 평형수처리부와, 상기 평형수처리부의 동작 데이터를 수집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저장부가 수집한 동작 데이터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선박으로부터 원격지에 있어도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저장부에 접근하여 언제든지 상기 평형수처리부의 동작 데이터를 다운로드 할 수 있어, 상기 평형수처리부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시스템 및 확인방법{A CONFIRMING SYSTEM AND A CONFIRMING METHOD FOR OPERATION STATUS OF BALLAST WATER MANAGEMENT SYSTEM IN REAL-TIM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S}
본 발명은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으로 유입되는 평형수를 처리하는 평형수처리부와, 상기 평형수처리부의 동작 데이터를 수집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저장부가 수집한 동작 데이터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선박으로부터 원격지에 있어도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저장부에 접근하여 언제든지 상기 평형수처리부의 동작 데이터를 다운로드 할 수 있어, 상기 평형수처리부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평형수(Ballast Water)는 선박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선박 내의 탱크에 채우는 해수를 의미하는데, 평형수에 포함되어 있는 외래 해양생물종들로 인한 토착 해양생태계의 피해 발생 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평형수를 여과, 열처리, 화학약품처리, 전기분해, 오존 또는 자외선 조사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평형수처리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다만, 평형수처리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여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역시 평형수처리시스템 자체의 개발만큼 중요한 기술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소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특허 제10-0568621호(2006.04.07.공고)"선박 항해기록 자동보고시스템 및 그 방법"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평형수처리부의 동작상태 확인시스템은 작업자가 단말장치(3)를 가지고 선박(7)에 탑승하여 그래픽패널(93)에 직접적으로 다운로드 케이블(95)을 사용하여 연결한 후 평형수처리부(91)의 동작 데이터를 다운로드해야만 했으므로, 선박(7)에 승선하지 않으면 동작 데이터를 다운로드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선박(7) 내에서도 그래픽패널(93)이 설치된 장소가 아니면 동작 데이터를 다운로드 할 수 없어 상기 평형수처리부(91)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신속하게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평형수처리부의 동작 데이터를 수집하는 저장부와 단말장치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장소·시간의 제약없이 동작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어 상기 평형수처리부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시스템및 확인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평형수처리부의 동작 데이터를 수집하는 저장부와 단말장치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작업자가 선박에 탑승하지 않아도 동작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어 상기 평형수처리부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고, 작업의 편리성이 강화된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시스템 및 확인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평형수처리부의 동작 데이터를 수집하는 저장부와 단말장치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선박 내의 제어패널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장소에서도 작업자가 동작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어 상기 평형수처리부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고, 작업의 편리성이 강화된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시스템 및 확인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통신망을 통해 선박으로부터 평형수처리부의 동작 데이터를 다운받을 수 있어, 선박에 탑승하여 다운로드 케이블을 연결할 필요가 없어 원격지에 있는 사무실 등에서도 언제든지 동작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확인할 수 있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시스템 및 확인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의 고유 식별신호를 발신하는 식별부와, 상기 식별부에서 발신하는 선박의 고유 식별신호를 탐지하고 선택하는 신호선택부를 포함하여, 해상에서 운항 중인 다수의 선박 중에서 작업자가 동작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고자 하는 선박을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시스템 및 확인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단말장치가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어패널에 연결될 때, 상기 제어패널이 선박 내부의 허가 없이는 연결을 허용하지 않도록 하는 인증부를 포함하여 보안성이 강화된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시스템 및 확인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시스템 및 확인방법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시스템은 선박으로 유입되는 평형수를 처리하는 평형수처리부와, 상기 평형수처리부의 동작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고 단말장치의 요청에 따라 저장한 동작 데이터를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제어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패널은 상기 평형수처리부의 동작 데이터를 수집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저장부가 수집한 동작 데이터를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패널은 상기 단말장치의 상기 제어패널에 대한 동작 데이터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확인부와, 상기 요청확인부가 동작 데이터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던 동작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무선통신부로 전송하는 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시스템은 상기 무선통신부와 단말장치를 무선통신망으로 연결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운항 중인 선박에 설치된 상기 제어패널로부터 원격지에 있더라도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어패널에 접근하여 언제든지 상기 평형수처리부의 동작 데이터를 다운로드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패널은 상기 무선통신부와 연결되어 선박의 고유 식별신호를 발신하는 식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식별부에서 발신하는 선박의 고유 식별신호를 탐지하고 선택하는 신호선택부를 포함하여, 동작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고자 하는 선박을 특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패널은 상기 단말장치가 무선통신망을 통해 동작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였을 때, 선박 내부의 허가 없이는 동작 데이터의 전송을 허용하지 않도록 하는 인증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는 상기 요청확인부가 상기 단말장치의 동작 데이터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단말장치가 인증된 단말장치인지 판단하는 판단모듈과, 상기 판단모듈의 판단 결과에 따라 동작 데이터의 전송을 허가 또는 불허가하는 허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방법은 저장부가 평형수처리부의 동작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저장단계와, 단말장치가 제어패널에 대해 동작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고 요청확인부가 상기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확인단계와, 추출부가 상기 요청확인단계에서 요청확인부가 수신한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동작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단계와, 상기 추출부가 동작 데이터를 무선통신부로 전송하면 상기 무선통신부가 무선통신망을 통해 동작 데이터를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방법은 상기 요청확인단계에서 요청확인부가 단말장치의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단말장치가 인증된 단말장치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와, 상기 판단단계에서 인증된 단말장치인지의 판단 결과에 따라 동작 데이터의 전송을 허가 또는 불허가하는 허가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방법은 상기 요청확인단계에 앞서 상기 단말장치의 신호선택부가 선박이 발신하는 선박의 고유 식별신호를 탐지하여 선택함으로써 동작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고자 하는 선박을 특정하는 신호선택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평형수처리부의 동작 데이터를 수집하는 저장부와 단말장치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장소·시간의 제약없이 동작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어 상기 평형수처리부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시스템 및 확인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평형수처리부의 동작 데이터를 수집하는 저장부와 단말장치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작업자가 선박에 탑승하지 않아도 동작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어 상기 평형수처리부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고, 작업의 편리성이 강화된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시스템 및 확인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평형수처리부의 동작 데이터를 수집하는 저장부와 단말장치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선박 내의 제어패널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장소에서도 작업자가 동작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어 상기 평형수처리부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고, 작업의 편리성이 강화된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시스템 및 확인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망을 통해 선박으로부터 평형수처리부의 동작 데이터를 다운받을 수 있어, 선박에 탑승하여 다운로드 케이블을 연결할 필요가 없어 원격지에 있는 사무실 등에서도 언제든지 동작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확인할 수 있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시스템 및 확인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선박의 고유 식별신호를 발신하는 식별부와, 상기 식별부에서 발신하는 선박의 고유 식별신호를 탐지하고 선택하는 신호선택부를 포함하여, 해상에서 운항 중인 다수의 선박 중에서 작업자가 동작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고자 하는 선박을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시스템 및 확인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단말장치가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어패널에 연결될 때, 상기 제어패널이 선박 내부의 허가 없이는 연결을 허용하지 않도록 하는 인증부를 포함하여 보안성이 강화된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시스템 및 확인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평형수처리부의 동작상태 확인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식별부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4는 도 2의 단말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시스템의 구성도
도 6는 본 발명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방법의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과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시스템(1)은 선박(7)으로 유입되는 평형수를 처리하는 평형수처리부(11)와, 상기 평형수처리부(11)의 동작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고 단말장치(3)의 요청에 따라 저장한 동작 데이터를 단말장치(3)로 전송하는 제어패널(13)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장치(3)를 무선통신망으로 연결하여 상기 단말장치(3)가 상기 제어패널(13)로부터 원격지에 있어도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어패널(13)에 접근하여 언제든지 상기 평형수처리부(11)의 동작 데이터(이하, '동작 데이터'라고 함)를 다운로드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평형수처리부(11)는 선박(7)으로 유입되는 평형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또는 외래생물종을 여과, 열처리, 화학약품처리, 전기분해, 오존 또는 자외선 조사 등의 방식으로 처리하여 제거하는 구성으로, 필터, UV램프, 전기분해장치 또는 상기 장치들의 결합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평형수처리부(11)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동작 데이터를 수집하게 되는데, 수집되는 데이터는 필터의 가동여부, UV램프의 ON/OFF 상태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어패널(13)은 동작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고 수집한 동작 데이터를 단말장치(3)로 전송하는 구성이며, 저장부(131), 제어부(133), 요청확인부(134), 추출부(135), 허브(136), 무선통신부(137) 및 식별부(138)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131)는 상기 평형수처리부(11)와 연결되어 동작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구성으로, 작업자는 상기 단말장치(3)를 조작하여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어패널(13)로 동작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여 상기 저장부(131)에 저장되는 동작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게 된다. 상기 저장부(131)가 멈추지 않고 실시간으로 계속 동작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상기 단말장치(3)에서 일정 시간 간격마다 상기 동작 데이터를 요청하여 다운로드 받는다고 하더라도 상기 평형수처리부(11)의 모든 작동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133)는 상기 저장부(131)에 상기 허브(136)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저장부(131)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일예로 상기 저장부(131)가 수집한 데이터를 날짜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도록 신호를 입력하는 등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요청확인부(134)는 무선통신부(137)에 상기 허브(136)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단말장치(3)의 상기 제어패널(13)에 대한 동작 데이터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구성이고, 상기 추출부(135)는 상기 요청확인부(134)가 동작 데이터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저장부(131)에 저장되어 있던 동작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무선통신부(137)로 전송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단말장치(3)에서 일정 시간 간격마다 동작 데이터를 요청하면 상기 요청확인부(134)가 이를 수신하고, 상기 추출부(135)가 상기 저장부(131)에 저장되어 있는 동작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이다.
상기 허브(136)는 상기 제어패널(13)의 각 구성요소를 상호 연결 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면 어떠한 장치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137)는 상기 저장부(131)에 상기 허브(136)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저장부(131)가 저장하고 있는 동작 데이터를 상기 추출부(135)로부터 전송받아 상기 단말장치(3)로 무선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제어패널(13)과 상기 단말장치(3) 간의 신호 또는 요청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무선통신부(137)를 통해 상기 제어패널(13)과 단말장치(3)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므로 종래와 같이 단말장치(3)를 그래픽패널(93)에 직접적으로 다운로드 케이블(95)을 사용하여 연결할 필요가 없어 장소·시간의 제약없이 동작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상기 평형수처리부(11)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으므로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망은 상기 무선통신부(137)와 상기 단말장치(3)가 무선으로 통신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Wi-Fi, 3G 무선망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식별부(138)는 상기 무선통신부(137)와 연결되어 해당 선박(7)을 다른 선박들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선박(7)의 고유한 식별신호를 출력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장치(3)에서 선박(7)의 고유 식별신호를 탐지하고 선택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양에서 운항 중인 다수의 선박(31, 32, 33) 중에서 작업자가 동작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고자 하는 특정한 선박(33)에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단말장치(3)는 작업자가 동작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기 위해 조작하는 장치로, 상기 무선통신부(137)와 무선통신을 할 수 있는 구성이며, 스마트폰, 노트북, 데스크톱, 프린터, 태블릿PC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통신부(31), 신호선택부(33), 요청부(35) 및 입력부(37)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통신부(31)는 상기 제어패널(13)로부터 무선통신망을 통해 동작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패널(13)과 상기 단말장치(3) 간의 신호 또는 요청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상기 선박선택부(33)는 상기 식별부(138)에 의해 다른 선박들과 구별되는 특정 선박(7)을 탐지하여 선택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별부(138)에서 출력되는 선박의 고유 식별신호를 수신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요청부(35)는 상기 제어패널(13)로 동작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구성으로, 요청방식은 바람직하게는 일정 시간 간격마다 상기 제어패널(13)에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입력부(37)는 작업자가 상기 단말장치(3)를 조작할 수 있도록 유저인터페이스 등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터치패널, 키보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시스템(1)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제어패널(13)이 인증부(139)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인증부(139) 이외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중복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인증부(139)는 상기 무선통신부(137)에 상기 허브(136)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단말장치(3)가 무선통신망을 통해 동작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했을 때, 상기 단말장치(3)가 인증받은 단말장치(3)인지를 판단하여, 인증받지 않았다면 선박(7) 내부의 허가 없이는 동작 데이터의 전송을 허용하지 않는 구성으로, 상기 제어패널(13)과 단말장치(3)가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므로 외부의 침입에 취약해 질 수도 있기 때문에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고, 판단모듈(1391) 및 허가모듈(1393)을 포함한다.
상기 판단모듈(1391)은 상기 요청확인부(134)가 상기 단말장치(3)의 동작 데이터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였을 때, 상기 단말장치(3)가 인증된 단말장치(3)인지 판단하는 구성으로, 판단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일반적인 방법으로써 상기 단말장치(3)에 로그인 ID/패스워드를 요구하여 그 ID/패스워드가 등록된 단말장치(3)의 ID/패스워드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허가모듈(1393)은 상기 판단모듈(1391)의 판단결과에 따라 동작 데이터의 전송을 허가 또는 불허가하는 구성으로, 인증된 단말장치(3)라면 동작 데이터의 전송을 허가하고, 인증되지 않은 단말장치(3)라면 동작 데이터의 전송을 불허가한다.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시스템(1)의 전체적인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평형수처리부(11)는 선박(7) 내로 유입된 평형수를 필터링, 자외선 조사 등의 방법으로 처리하게 되고, 상기 저장부(131)가 상기 제어부(133)의 제어에 따라 상기 평형수처리부(11)의 동작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한다. 상기 제어패널(13)로부터 원격지에 있는 상기 단말장치(3)는 상기 선박선택부(33)를 통해 상기 제어패널(13)의 식별부(138)에 의해 다른 선박과 식별되는 상기 선박(7)을 선택하고, 상기 무선통신부(31)를 통해 상기 선박(7)에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된다. 상기 요청부(35)에서 상기 제어패널(13)로 무선통신망을 통해 동작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한다. 상기 요청확인부(134)가 상기 요청을 확인하여 상기 추출부(135)를 통해 상기 저장부(131)에 저장되어 있던 동작 데이터를 상기 무선통신부(137) 및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3)로 전송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 같이 상기 평형수처리부(11)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상기 단말장치(3)를 가지고 해양에서 운행 중인 선박(7)에 탑승해서 직접 상기 저장부(131)와 상기 단말장치(3)를 다운로드 케이블로 연결하여 동작 데이터를 다운받을 필요없이 원격지에 있는 사무실과 같은 공간에서도 무선통신망을 통해 동작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분석할 수 있으므로 상기 평형수처리부(11)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시스템(1)에 의하면 해당 선박(7)을 담당하고 있는 작업자가 아니라 항만국 통제실(Port State Control Office, 5)과 같은 외부자들이 동작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한 때에는 상기 인증부(139)를 통해 단말장치(3)가 인증받은 단말장치(3)인지를 판단하여, 인증되지 않는다면 동작 데이터의 전송을 허가하지 않으므로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인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방법은 저장부(131)가 평형수처리부(11)의 동작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저장단계(S1)와, 상기 단말장치(3)의 선박선택부(33)가 상기 식별부(138)를 통해 다른 선박들로부터 식별되고 있는 선박(7)을 특정하여 선택함으로써 상기 단말장치(3)와 선박(7)이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선박선택단계(S2)와, 상기 단말장치(3)가 제어패널(13)에 대해 동작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고 요청확인부(134)가 상기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확인단계(S3)와, 상기 요청확인단계(S3)에서 요청확인부(134)가 단말장치(3)의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단말장치(3)가 인증된 단말장치(3)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S4)와, 상기 판단단계(S4)에서 인증된 단말장치(3)인지의 판단 결과에 따라 동작 데이터의 전송을 허가 또는 불허가하는 허가단계(S5)와, 상기 허가단계(S5)에서 허가된 때 상기 추출부(135)가 상기 요청확인부(134)가 수신한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부(131)에 저장되어 있는 동작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단계(S6)와, 상기 추출부(135)가 동작 데이터를 무선통신부(137)로 전송하면 상기 무선통신부(137)가 무선통신망을 통해 동작 데이터를 상기 단말장치(3)로 전송하는 전송단계(S7)를 포함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종래기술의 도면에 포함된 부호의 설명
91:평형수처리부
93:제어패널
*본 발명의 도면에 포함된 부호의 설명
1: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시스템
11:평형수처리부
13:제어패널
131:저장부
133:제어부
134:요청확인부
135:추출부
136:허브
137:무선통신부
138:식별부
139:인증부
1391:판단모듈
1393:허가모듈
3:단말장치
31:무선통신부
33:선박선택부
35:요청부
37:입력부
5:항만국 통제실
7:선박
S1:저장단계
S2:신호선택단계
S3:요청확인단계
S4:판단단계
S5:허가단계
S6:추출단계
S7:전송단계

Claims (10)

  1. 선박으로 유입되는 평형수를 처리하는 평형수처리부;
    상기 평형수처리부의 동작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는 제어패널; 및
    상기 제어패널과 무선통신망으로 연결하여 상기 제어패널에 저장된 동작 데이터를 다운로드 할 수 있는 단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패널은 상기 평형수처리부와 연결되어 동작 데이터를 실시간 수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패널과 단말장치를 무선통신망으로 연결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단말장치의 상기 제어패널에 대한 동작 데이터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확인부; 상기 무선통신부와 연결되어 해당 선박을 다른 선박들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식별부; 상기 요청확인부가 동작 데이터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동작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무선통신부로 전송하는 추출부; 상기 단말장치가 무선통신망을 통해 동작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였을 때 선박 내부의 허가 없이는 동작 데이터의 전송을 허용하지 않도록 하는 인증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식별부에 의해 다른 선박들과 구별되는 특정 선박을 탐지하여 선택하는 선박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부는 상기 요청확인부가 상기 단말장치의 동작 데이터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단말장치가 인증된 단말장치인지 판단하는 판단모듈; 상기 판단모듈의 판단 결과에 따라 동작 데이터의 전송을 허가 또는 불허가하는 허가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추출부로부터 전송받은 동작 데이터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단말장치로 전송하여 단말장치에서 일정 시간 간격마다 동작 데이터를 요청하여 전송받더라도 상기 평형수처리부의 모든 동작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저장부가 평형수처리부와 연결되어 평형수처리부의 동작 데이터를 실시간 수집하여 저장하는 저장단계와,
    단말장치의 선박선택부가 식별부에 의해 다른 선박들로부터 식별되고 있는 특정한 선박을 선택함으로써 단말장치와 동작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고자 하는 선박이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선박선택단계;
    단말장치가 무선통신망을 통해 제어패널에 대해 동작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고 요청확인부가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확인단계;
    상기 요청확인단계에서 요청확인부가 단말장치의 요청을 수신하면 단말장치가 인증된 단말장치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상기 판단단계에서 인증된 단말장치인지의 판단 결과에 따라 동작 데이터의 전송을 허가 또는 불허가하는 허가단계;
    상기 허가단계에서 허가된 때 요청확인부가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추출부가 수신한 요청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동작 데이터를 추출하여 무선통신부로 전송하는 추출단계; 및
    무선통신부가 추출부로부터 전송받은 동작 데이터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하여
    단말장치에서 일정 시간 간격마다 동작 데이터를 요청하여 전송받더라도 평형수처리부의 모든 동작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140092124A 2014-07-21 2014-07-21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시스템 및 확인방법 KR101619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124A KR101619833B1 (ko) 2014-07-21 2014-07-21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시스템 및 확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124A KR101619833B1 (ko) 2014-07-21 2014-07-21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시스템 및 확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319A KR20160011319A (ko) 2016-02-01
KR101619833B1 true KR101619833B1 (ko) 2016-05-13

Family

ID=55353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2124A KR101619833B1 (ko) 2014-07-21 2014-07-21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시스템 및 확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98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5486A (ja) * 1999-03-04 2000-09-19 Japan Radio Co Ltd 自動船舶識別システム及びそれを利用した船舶表示プロッタ
KR101149018B1 (ko) * 2010-10-12 2012-05-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상태 판정 및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5541648B2 (ja) * 2008-06-30 2014-07-09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5486A (ja) * 1999-03-04 2000-09-19 Japan Radio Co Ltd 自動船舶識別システム及びそれを利用した船舶表示プロッタ
JP5541648B2 (ja) * 2008-06-30 2014-07-09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149018B1 (ko) * 2010-10-12 2012-05-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상태 판정 및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319A (ko) 201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5543B2 (en) Remotely controlling aspects of pools and spas
US20200202698A1 (en) Remotely controlling aspects of pools and spas
US20150049750A1 (en) Remotely controlling aspects of pools and spas
EP340753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secured password and authentication mechanism for programming and updating software or firmware
RU2016144294A (ru) Сейф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система аутентификации
WO2014026616A1 (en) Nfc-based information exchange method and device
JP6006968B2 (ja) 設備操作システム及び設備制御方法
EP3264385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commissioning, testing, and maintaining a fire alarm control panel via a mobile device
RU2011126611A (ru) Система отслеживания мобильного тега,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представл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US10257707B2 (en) Method for safe access to a field device
CN108702292A (zh) 基于生物计量信息的认证装置、控制服务器和应用服务器及其操作方法
KR101728158B1 (ko) 소방 안전 관리 및 경비 대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19833B1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평형수처리부의 실시간 동작상태 확인시스템 및 확인방법
AU2015100298A4 (en) Methods for remotely controlling pools and spas and modifying water contained therein
KR10107823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원격소에 위치한 기기를 감시/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US1093879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cyber security incidents with intelligent password management
CN113841185A (zh) 响应于双因素认证而发起访问控制设备和/或控制面板的状态改变的门铃设备的系统和方法
KR101610313B1 (ko) 평형수처리시스템의 데이터 기록시스템
JP7295137B2 (ja) クラウドベースのコントローラを備えた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CN105608305B (zh) 健康管理方法、健康管理装置和终端
KR20150010841A (ko) 상황인지 정보 기반 대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16187075A (ja) 通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13841186A (zh) 用于授权向访问控制设备或控制面板设备传输命令和信号的系统和方法
CN111741461A (zh) 现场设备的权限授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