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853B1 - A booster with bed and toilet - Google Patents

A booster with bed and toil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853B1
KR101618853B1 KR1020130055307A KR20130055307A KR101618853B1 KR 101618853 B1 KR101618853 B1 KR 101618853B1 KR 1020130055307 A KR1020130055307 A KR 1020130055307A KR 20130055307 A KR20130055307 A KR 20130055307A KR 101618853 B1 KR101618853 B1 KR 101618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matrix
booster
bed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53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35047A (en
Inventor
임종현
Original Assignee
임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현 filed Critical 임종현
Priority to KR1020130055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853B1/en
Publication of KR20140135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50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8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4/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which may be converted into other articles or into objects for other use;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and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or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45F4/02Sacks or packs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or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45F4/06Sacks or packs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or into objects for other use into beds or 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7/00Children's beds
    • A47D7/002Children's beds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4Room close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e.g. night chairs ; Close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부스터에 관한 것으로써, 유아용 부스터에 침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매트릭스를 마련하고, 유아들의 배변활동을 도와줄 수 있는 변기를 마련하여 유아들이 간소하게 휴식 및 배변활동을 할 수 있는 침대 및 변기겸용 유아용 부스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oster for a baby, wherein a matrix is provided so that it can be used as a bed in a baby booster, and a toilet capable of assisting infants in their bowel movement can be provid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oster for a toilet.

Description

침대 및 변기겸용 유아용 부스터{A booster with bed and toilet}A booster with bed and toilet < RTI ID = 0.0 >

본 발명은 유아용 부스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아가 식사를 할 수 있는 부스터에 침대 및 변기를 형성시켜 아이가 편리하게 배변훈련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침대 및 변기겸용 유아용 부스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oster for a child,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oster for a bed and a toilet combined with a toilet, which helps a child to conveniently perform a bowel movement training by forming a bed and a toilet on a booster .

일반적으로 유아용 부스터는 유아들의 식습관을 길러주기 위한 장치로써, 테이블(식판)을 마련하여 아이들이 보다 간소하게 음식을 섭취하는 것을 도와주는 장치이다.In general, the baby booster is a device for raising infant's eating habits, and it is a device that helps children to eat food more easily by providing a table (plate).

이러한 종래의 부스터는 아이들에게 음식을 섭취하는 보조 장치로서만 이용되어 왔기 때문에 영유아들에게 휴식도 취할 수 있고, 보다 친근하게 배변활동도 도와줄 수 있는 부스터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필요했다.Such a conventional booster has been used only as an auxiliary device for feeding food to children, so it was necessary to research and develop a booster that can take rest for infants and help them to have more friendly bowel activities.

종래의 부스터는 음식을 섭취할 수 있는 테이블이 구비됐기 때문에 단순히 음식만을 섭취하고 배변활동은 다른 곳에서 해결해야 한다는 점이 있었다.The conventional booster was equipped with a table for food intake, so that only the food was consumed and the bowel movement had to be solved elsewhere.

최근 캠핑문화가 확산되고 있으나, 유아의 경우 부스터, 유아용 변기 및 유아용 침대를 모두 가지고 가기 어렵고, 가지고 간다 하더라도 각 제품이 차지하는 부피가 커서 팩킹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Recently camping culture is spreading, but it is difficult to take booster, baby toilet, and baby bed in the case of infant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packaging is difficult because each product takes up a large volume even if taken.

또한, 종래의 부스터는 아이들이 휴식을 취하기 위해서 별도로 마련된 침대에서 휴식을 취해야 했기 때문에 별도의 휴식 공간 설치를 위한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booster has to take a rest in a separate bed for the children to take a break,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cost for installing a separate rest space is generat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6868호에 개시되어 있는 휴대용 유아침대는 유아들에게 휴식 및 잠자리를 제공할 수 있으나, 배변활동이나 음식을 섭취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 portable infant bed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196868 can provide rest and sleeping to infants,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no separate device for eating or consuming foo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아용 부스터에 유아들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접이식 매트릭스를 마련함으로써, 필요시 유아들이 침대를 이용하여 휴식을 취할 수 있고, 변기를 마련함으로써, 유아들의 배변활동을 보다 친숙하게 도와줄 수 있는 침대 및 변기겸용 유아용 부스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lding matrix in which a baby can relax,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by booster for a bed and a toilet that can help the user to more familiarize the activity of the toilet.

또한, 배변활동시 발생되는 변을 보다 간소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비닐을 구비함으로써, 보다 청결하고 간소하게 유아들의 배변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침대 및 변기겸용 유아용 부스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by and a booster for a bed and a toilet, which is provided with a vinyl so as to more easily handle the sides generated during a bowel movement, thereby contributing to the cleanliness and simplicity of the baby's bowel movemen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objects and other technical object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침대 및 변기겸용 유아용 부스터는, 매트릭스; 상기 매트릭스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상부와 탈장착이 가능한 테이블; 상기 몸체부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테이블을 수납할 수 있는 테이블수납부 및 상기 몸체부 하부에 마련되는 변기를 포함하되, 상기 매트릭스는 접이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및 변기겸용 유아용 부스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fant booster for a bed and a toile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trix; A body having a space in which the matrix can be disposed; A table capable of being fitted and dismount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oster for a bed and a toilet for a child and a toilet, comprising: a table accommodating portion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o accommodate the table; and a toile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he above-described problems can be solved.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아용 부스터에 침대 및 변기가 마련되기 때문에 유아들이 보다 간소하게 휴식 및 배변활동을 할 수 있고, 침대, 변기 및 부스터가 마련되기 때문에 별도의 장치를 구입하지 않아도 되어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baby booster is provided with a bed and a toilet, babies can rest and defecate more easily, and since a bed, a toilet, and a booster are provided, there is no need to purchase a separate device, It is effective.

그리고, 좁은 장소에도 보관이 가능하도록 확장부재를 마련함으로써, 좁은 장소에 쉽게 보관이 가능하고, 필요시 확장부재를 확장하여 침대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가 보다 효과적으로 유아용 부스터를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the extension member so that it can be stored even in a narrow place, the user can easily store the user in a narrow place, and if necessary, the extension member can be used as a bed to expand the child booster more effectively.

또한, 교체가 가능한 비닐을 변기에 마련함으로써, 유아들이 배변활동을 할 때 간소하게 변을 처리할 수 있어 보다 청결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replaceable vinyl on the toilet, infants can easily handle the stool when performing the bowel movement, thereby providing a cleaner environment.

한편, 매트릭스의 각도를 조절이 가능하도록 벨트를 구비함으로써, 매트릭스를 부스터의 등받이로 사용할 때 매트릭스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어, 유아의 체격에 맞춰서 부스터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by providing a belt so that the angle of the matrix can be adjusted, the angle of the matrix can be controlled when the matrix is used as the backrest of the booster, so that the booster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physique of the infant.

게다가, 유아용 부스터만 사용 시 사용 기간이 짧아 제품을 버리거나, 기증을 해야 하지만, 본 발명의 침대 및 변기겸용 유아용 부스터는 아이가 성장한 후에도 침대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품의 수명을 늘려주어 침대 구매에 드는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baby booster is used only for a short period of time, the product should be discarded or donated. However, since the baby boo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bed even after the child grows, This has the effect of reducing cos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 및 변기겸용 유아용 부스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 및 변기겸용 유아용 부스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 및 변기겸용 유아용 부스터를 다른 각도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 및 변기겸용 유아용 부스터의 테이블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 및 변기겸용 유아용 부스터의 테이블 실시예를 다른 각도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 및 변기겸용 유아용 부스터의 변기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 및 변기겸용 유아용 부스터의 변기 및 비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 및 변기겸용 유아용 부스터의 침대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 및 변기겸용 유아용 부스터의 이동수단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에 비닐을 부착한 그림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 및 변기겸용 유아용 부스터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 및 변기겸용 유아용 부스터 및 시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 및 변기겸용 유아용 부스터의 테이블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oster for a child and a toilet combined with a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oster for a child and a toilet combined with a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by booster combined with the bed and th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different angles.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table of a baby booster combined with a bed and a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table of a baby booster combined with a bed and a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toilet of a baby booster combined with a bed and a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ilet and a vinyl of a booster for a baby and a baby combined with a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bed of a baby booster combined with a bed and a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moving means of a booster for a child and a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of a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vinyl attached thereto.
11 is a photograph showing a booster for a child and a toilet combined with a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oster and a seat for a child and a toilet combined with a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able fixing device of a booster for a baby and a toilet for a chi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 of this specifica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Of cour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 및 변기겸용 유아용 부스터(100)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도 1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구성은 별도로 참조도면을 표시하였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oster 100 for a child and a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nd the components not shown in FIG. 1 are referred to as separate reference drawings.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따른 침대 및 변기겸용 유아용 부스터(100)는 매트릭스(10), 몸체부(20), 테이블(30), 테이블수납부(40) 및 변기(50)로 구성된다.A booster 100 for a child and a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trix 10, a body 20, a table 30, a table storage 40, and a toilet 50.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매트릭스(10)는 후술할 몸체부(20) 내측에 마련된다. 매트릭스(10)는 접이식으로 형성된다. 매트릭스(10)는 유아들이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만들기 때문에 유아용 부스터의 사용 시기가 지난 유아들이 지속적으로 침대를 이용할 수 있게 만들어 제품의 이용기간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또한 매트릭스(10)는 후술할 확장부재(60)와 결합하여 침대로 이용될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rix 10 is provided inside the body portion 20 to be described later. The matrix 10 is formed by folding. Since the matrix 10 allows the infant to take a break, the infant booster can be used continuously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reby extending the service life of the infant. Referring to FIG. 8, the matrix 10 may also be used as a bed in combination with an expansion member 60 to be described later.

몸체부(20)는 내부에 매트릭스(1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몸체부(20)는 서로 마주보는 형성되는 2개의 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2개의 측면 사이 공간에 매트릭스(10)가 배치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매트릭스(10)를 지지할 수 있는 매트릭스지지부재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매트릭스지지부재는 매트릭스(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몸체부(20)의 내측면에 연결이 된다. 몸체부(20)는 후술할 테이블(30), 변기(50) 및 확장부재(60)가 마련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몸체부(20)는 유아용 부스터 사용 시 유아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탄성을 구비한 재질로 형성된다.The body 20 has a space in which the matrix 10 can be disposed. More specifically, the body portion 20 is formed as two side surfaces facing each other, and the matrix 10 is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two side surfaces. But is not limited to, a matrix supporting member capable of supporting the matrix 10. The matrix support member is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0 so as to support the matrix 10. The body portion 20 may have a space in which the table 30, the toilet bowl 50, and the extending member 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provided. The body portion 2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o as to protect the infant when the baby booster is used.

도 4를 참고하면, 테이블(30)은 몸체부(10) 상부와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테이블(30)은 유아가 음식을 섭취할 때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기 위하여 구비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테이블(30)은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테이블(30) 양 끝단(양 측면)에 돌기를 마련하고, 몸체부(20) 상부의 양 측면에 테이블홈(210)을 마련하여 상기 테이블홈(210)을 통하여 상기 몸체부(20)와 체결하게 된다. 테이블홈(210)은 “ㄴ” 자형태로 형성되어 상부부분의 홈을 통하여 테이블(30)을 탈장착시킬 수 있고, 하부부분의 홈을 통하여 테이블(3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테이블(30)이 유아의 신체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테이블(30)을 이용할 수 있게 만든다.Referring to FIG. 4, the table 30 is formed to be capable of being detach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0. The table 30 is provided to make it more convenient for the infant to eat when he / she eats the food. The table 3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More specifically, protrusions are provided at both ends (both sides) of the table 30, and table grooves 21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0, and the body portion 20 ). The table grooves 210 are formed in an " C " shape so that the table 30 can be detached and attached through the grooves in the upper portion, and the table 30 can be moved through the grooves in the lower portion. This makes table 30 more usable because the table 30 is freely adjustable according to the infant's physical condition.

도 2를 참고하면, 테이블수납부(40)는 몸체부(20) 하부에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매트릭스(10) 보다 하부에 형성된다. 테이블수납부(40)는 테이블(30)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테이블수납부(40)는 테이블 돌기와 체결되어 테이블(30)을 고정시킨다. 몸체부(20)는 테이블(10)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고, 테이블수납부(40)는 테이블(30)의 돌기가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는 테이블(30)을 이용하지 않을 때 테이블(30)을 간소하게 보관할 수 있어 침대 및 변기겸용 유아용 부스터(100)의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테이블(30)을 별도로 수납하지 않아도 되므로 테이블(30)의 분실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table accommodating portion 40 is provided under the body portion 20. More specifically, below the matrix 10. The table accommodating portion 40 is formed so as to accommodate the table 30 therein. More specifically, the table storage portion 40 is fastened to the table projection to fix the table 30. The body portion 20 ha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table 10 and the table storage portion 40 is formed so that the projection of the table 30 can be fastened. This makes it possible to simply store the table 30 when the table 30 is not used, thereby increasing the utilization efficiency of the baby booster 100 combined with the bed and the toilet. In addition, since the table 30 is not required to be stored separately, the problem of losing the table 30 can be solved.

변기(50)는 몸체부(20) 하부에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변기(50)는 매트릭스(10)와 테이블수납부(40) 사이 공간에 마련된다. 변기(50)는 유아가 보다 친숙하게 배변활동 및 배변훈련을 할 수 있어 유아의 심리적 안정을 돕고 사용자는 유아들이 간소하게 변기(50)를 이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만든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고하면, 변기(50)는 변기안장부(5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변기안장부(510)는 유아들이 앉아서 배변활동을 할 수 있도록 유아들의 둔부크기에 맞도록 형성된다. 또한 변기(50)는 매트릭스(10)를 지지하여 매트릭스(10)를 몸체부(2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toilet 50 is provided under the body 20. More specifically, the toilet bowl 50 is provided in the space between the matrix 10 and the table accommodating portion 40. The toilet (50) allows the infant to more easily exercise the bowel movement and bowel movement, thereby assisting the infant in the psychological stability, and allowing the user to easily use the toilet (50). Referring specifically to Figure 6, the toilet 50 may comprise a toilet seat retainer 510. The toilet seat cover 510 is formed to fit the baby's buttocks size so that the baby can sit and perform a bowel movement. In addition, the toilet bowl 50 is formed to support the matrix 10 and to fix the matrix 10 inside the body 20.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도 2를 참고하면, 몸체부(20)는 2개의 측면으로 형성되고, 몸체부(20)의 측면 사이 공간에는 상부에서부터 매트릭스(10), 변기(50), 테이블수납부(40) 순서대로 형성된다. 매트릭스(10)는 접이식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확장부재(60)와 연결되어 침대로 형성된다. 도 6을 참고하면, 변기(50)는 테이블(30)을 새워서 형성하면 변기(50)가 나타나게 만들어 변기(50) 이용이 가능하게 만든다. 도 2 및 도 5를 참고하면, 테이블(30)은 테이블수납부(40)와 체결될 수 있고 사용자가 필요시 몸체부(20) 상부로 배치시켜 테이블(30)을 이용할 수 있게 만든다. 이때 매트릭스(10)는 일면이 접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유아들이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든다.2, the body portion 20 is formed with two side surfaces, and the space between the side surfaces of the body portion 20 includes a matrix 10, a toilet bowl 50, (40). The matrix 10 is formed in a folded form and connected to an expanding member 60 to be described later to form a bed. Referring to FIG. 6, when the toilet bowl 50 is formed by standing on the table 30, the toilet bowl 50 is made visible, thereby enabling the toilet bowl 50 to be used. 2 and 5, the table 30 can be fastened to the table storage portion 40, and the user can use the table 30 by placing it on the body portion 20 when necessary. At this time, the matrix 10 is formed in a folded shape so that the infant can comfortably use it.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침대 및 변기겸용 유아용 부스터(100)는 확장부재(60) 및 지지부재(61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by booster 100 for a bed and a toilet may be formed including an expansion member 60 and a support member 610. [

확장부재(60)는 몸체부(20)의 일단에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몸체부(20) 양 측면의 일 끝단에 형성되는 2개의 확장부재(60)로 형성된다. 몸체부(20)는 확장부재(60)가 수납될 수 있도록 확장부재홈을 구비하여 변기(50) 또는 유아용 부스터로 이용 시에 확장부재(60)를 확장부재홈에 수납하여 정리할 수 있다. 확장부재(60)는 몸체부(20) 외측면으로 확장되고, 매트릭스(10)와 체결되어 침대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확장부재(60)는 2단으로 형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된다.The extension member (6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part (20). More specifically, two extension members 60 formed at one end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body portion 20. The body portion 20 is provided with an extension member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extension member 60 so that the extension member 60 can be housed in the extension member groove when used as the toilet 50 or the child booster. The expansion member 60 extend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0 and is coupled with the matrix 10 to form a bed. Specifically, the expanding member 60 is formed in two stages so as to be adjustable in length.

지지부재(610)는 확장부재(60)와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부재(610)는 2개의 확장부재(60)의 내측면과 연결되어 매트릭스(10)가 확장부재(60)와 연결될 때 매트릭스(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support member 610 is connected to the expansion member 60. The support member 610 is formed to be able to support the matrix 10 when the matrix 10 is connected to the extension member 60 by being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s of the two extension members 60. [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손잡이(70)는 확장부재(60) 일 끝단에 형성된다. 손잡이(70)는 확장부재(60)를 간소하게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손잡이(70)는 “]” 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고하면, 손잡이(70)와 후술할 이동수단(220)을 이용하여 침대 및 변기겸용 유아용 부스터(100)를 간소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7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extending member 60. [ The handle 70 is formed so that the expanding member 60 can be simply unfolded or folded. The handle 70 may be formed in a "] " shape 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9, it is possible to simply move the bed and the toilet seat booster 100 together with the handle 70 and the moving means 220 to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안전바(80)는 확장부재(60) 상부에 형성된다. 안전바(80)는 침대 및 변기겸용 유아용 부스터(100)의 침대 이용 시 유아들이 침대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바(80)는 안전바(80)의 높낮이를 제어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높낮이 제어장치는 안전바(80) 일면에 홈을 구비하고 돌기를 갖는 체결장치를 이용하여 높낮이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안전바(80)의 높이를 조절한 다음에 안전바(80) 일면에 형성되는 홈과 체결장치를 체결하여 안전바(80)의 높이를 조절한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ty bar 8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xpansion member 60. [ The safety bar 80 can prevent the infant from falling down under the bed when using the bed of the baby booster 100 combined with the bed and the toilet, thereby reducing a safety accident. Specifically, the safety bar 80 may include a height adjustment device that can control the height of the safety bar 80. However, the elevation control device may have a groove on one side of the safety bar 80 and control the elevation using a fastening device having projections. That is, after the height of the safety bar 80 is adjusted, the height of the safety bar 80 is adjusted by fastening the groov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afety bar 80 and the fastening device.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도 3 및 도 5를 참고하면, 벨트(90)는 몸체부(20) 일단에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확장부재(60)가 형성되는 일단과 같은 몸체부(20) 면에 형성된다. 벨트(90)는 유아용 부스터 또는 변기(50) 이용시 매트릭스(10)를 지지하여 유아들이 매트릭스(10)에 기댈 수 있도록 만든다. 또한 벨트(9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는 벨트(90)의 길이를 조절하여 매트릭스(1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벨트(90)의 길이를 느슨하게 만들면 그에 따라 매트릭스(10)의 각도가 커져서 보다 편안하게 기댈 수 있고, 벨트(90)를 타이트하게 조이면 매트릭스(10)의 각도를 직각에 가깝게 만들어 음식 섭취시 보다 편안하게 음식을 섭취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s 3 and 5, a belt 9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20. More specifically, on th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0 such as one end where the extending member 60 is formed. The belt 90 supports the matrix 10 when using the infant booster or toilet bowl 50 so that the infant can lean on the matrix 10. Further, the belt 90 is form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This is because the length of the belt 90 can be adjusted to adjust the angle of the matrix 10. In other words, if the belt 90 is loosened, the angle of the matrix 10 becomes larger and can lean more comfortably. If the belt 90 tightly tightens, the angle of the matrix 10 becomes closer to a right angle, You can eat food comfortably.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도 7 및 도 10을 참고하면, 비닐(520)은 변기(50)에 탈/장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비닐(520)은 변기(50)의 하부면에 형성된다. 비닐(520)은 유아가 배변활동을 할 때 간소하게 변을 처리할 수 있어 위생적이고 간편하게 침대 및 변기겸용 유아용 부스터(100)를 이용할 수 있게 만든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7 and 10, the vinyl 520 is formed to be removably attachable to the toilet bowl 50. Fig. More specifically, the vinyl 52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oilet 50. The plastic (520) can handle the stool easily when the infant is defecat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use the hygienic and simple baby and bed coaster (100).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도 12를 참고하면, 시트(110)는 매트릭스(10) 일면과 체결된다. 시트(110)는 유아들이 보다 위생적으로 침대를 이용할 수 있게 만든다. 시트(110)는 각 모서리 끝단에 체결수단을 구비하여 매트릭스(10)와 체결된다. 체결수단은 벨크로, 클립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12, the sheet 110 is fastened to one side of the matrix 10. The seat 110 makes the bed more hygienic for the infant. The sheet 110 is fastened to the matrix 10 by fastening means at each edge. The fastening means may be formed of a velcro, clip, or the like.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이동수단(220)은 몸체부(20) 일단에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확장부재(60)가 형성되는 방향과 대향하는 몸체부(20) 면에 형성된다. 이동수단(220)은 침대 및 변기겸용 유아용 부스터(100)를 간소하게 이동할 수 있게 만들어 휴대성을 좋게 만든다. 이동수단(220)은 바퀴, 휠 및 롤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로 형성된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8 and 9, the moving means 22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20. Fig. More specifically, on th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0 fac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expanding member 60 is formed. The moving means 220 makes it possible to move the baby booster 100 combined with the bed and the toilet simply to improve portability. The moving means 220 is formed of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heels, wheels and rollers.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도 13을 참고하면, 테이블고정장치(310)는 테이블(30) 양 끝단(양 측면)과 체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테이블(30)의 양 끝단은 테이블홈(210)을 통과하게 형성되고, 테이블고정장치(310)는 테이블홈(210)을 통과하게 형성된 테이블(30)의 양 끝단과 체결된다. 테이블고정장치(310)는 테이블(30)과 몸체부(20)를 고정하여 테이블(30)을 고정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준다. 이는 유아들이 테이블(30) 사용시 테이블(30)을 몸체부(20)에 고정하기 때문에 보다 간소하고 안정적으로 테이블(30)을 사용할 수 있게 만든다. 구체적으로 테이블고정장치(310)는 테이블고정돌기(320) 및 테이블고정부재(330)로 형성된다. 테이블고정돌기(320)는 테이블(30) 양 끝단에 나선 모양으로 형성되고, 테이블고정부재(330)는 내부에 나선모양의 홈을 구비하여 테이블고정돌기(320)와 체결된다. 즉 테이블고정돌기(320)는 테이블홈(210)을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테이블고정부재(330)는 테이블고정돌기(320)의 돌출된 부분과 체결된다. 이는 사용자가 간소하게 돌리는 동작만으로도 테이블(30)을 몸체부(20)에 고정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테이블(30)을 몸체부(20)에 체결시킬 수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3, the table fixing device 310 is fastened to both ends (both sides) of the table 30. More specifically, both ends of the table 30 are formed to pass through the table grooves 210 and the table fixing device 310 is fastened to both ends of the table 30 formed to pass through the table grooves 210. The table fixing device 310 fixes the table 30 and the body 20 so that the table 30 can be fixed. This makes it possible to use the table 30 more simply and stably because the child 30 fixes the table 30 to the body 20 when the table 30 is used. Specifically, the table fixing device 310 is formed of the table fixing protrusion 320 and the table fixing member 330. The table fixing protrusion 320 is formed in a spiral shape at both ends of the table 30 and the table fixing member 330 has a spiral groove therein and is fastened to the table fixing protrusion 320. That is, the table fixing protrusion 320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through the table groove 210, and the table fixing member 330 is fastened to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table fixing protrusion 320. This allows the table 30 to be fixed to the body portion 20 by a simple operation of turning the user simply, thereby more effectively fastening the table 30 to the body portion 20.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요지와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10 : 매트릭스, 20 : 몸체부,
30 : 테이블, 40 : 테이블수납부,
50 : 변기, 60 : 확장부재,
70 : 손잡이, 80 : 안전바,
90 : 벨트,
100 : 침대 및 변기겸용 유아용 부스터,
110 : 시트,
210 : 테이블홈, 220 : 이동수단,
310 : 테이블고정장치, 320 : 테이블고정돌기,
330 : 테이블고정부재,
510 : 변기안장부, 520 : 비닐,
610 : 지지부재.
10: matrix, 20: body part,
30: table, 40: table,
50: toilet bowl, 60: extension member,
70: handle, 80: safety bar,
90: Belt,
100: Baby booster combined with bed and toilet,
110: sheet,
210: table groove, 220: moving means,
310: table fixing device, 320: table fixing protrusion,
330: table fixing member,
510: toilet seat, 520: vinyl,
610: Support member.

Claims (13)

매트릭스(10);
상기 매트릭스(1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는 몸체부(20);
상기 몸체부(20) 상부와 탈장착이 가능한 테이블(30);
상기 몸체부(20)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테이블(30)을 수납할 수 있는 테이블수납부(40);
상기 몸체부(20) 하부에 마련되는 변기(50) 및
상기 몸체부(20) 상부에 마련되는 테이블홈(210)을 포함하되,
상기 매트릭스(10)는 접이식으로 형성되며,
상기 테이블홈(210)은 상기 테이블(30)의 양 끝단과 체결되어 상기 테이블(30)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및 변기겸용 유아용 부스터.
A matrix 10;
A body portion 20 having a space in which the matrix 10 can be disposed;
A table 30 capable of being mounted on and dismount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20;
A table accommodating portion 40 provided under the body portion 20 and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table 30;
A toilet seat 50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20,
And a table groove 210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0,
The matrix 10 is formed in a folded manner,
Wherein the table groove (210) is formed so as to b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table (30) to move the table (3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0) 일단에 형성되는 확장부재(60) 및
상기 확장부재(60)와 연결되는 지지부재(610)를 포함하되,
상기 확장부재(60)는 상기 몸체부(20) 외측으로 확장되고,
상기 지지부재(610)는 상기 매트릭스(10)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및 변기겸용 유아용 부스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extension member 60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20,
And a support member (610) connected to the extension member (60)
The extension member 60 extends outwardly from the body portion 20,
Wherein the support member (610) supports the matrix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재(60) 일 끝단에 형성되는 손잡이(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및 변기겸용 유아용 부스터.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handle (70) formed at one end of the extension member (6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재(60) 상부에 형성되는 안전바(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및 변기겸용 유아용 부스터.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safety bar (80) formed on the extension member (6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바(80)의 높낮이를 제어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및 변기겸용 유아용 부스터.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height adjust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height of the safety bar (8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재(60)는 2단으로 형성되어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및 변기겸용 유아용 부스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xtension member (60) is formed in two stages and is extend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0) 일단에 형성되는 벨트(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및 변기겸용 유아용 부스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belt (90)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part (20).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30) 양 끝단과 체결되는 테이블고정장치(310)를 포함하되,
상기 테이블고정장치(310)는 상기 테이블(30)을 상기 몸체부(20)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및 변기겸용 유아용 부스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table fixing device 310 fastened to both ends of the table 30,
Wherein the table fixing device (310) fixes the table (30) to the body part (2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고정장치(310)는 테이블고정돌기(320) 및 테이블고정부재(330)로 형성되되,
상기 테이블고정돌기(320)는 상기 테이블(30) 양 끝단에 나선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테이블고정부재(330)는 상기 테이블고정돌기(320)와 체결될 수 있도록 내부에 나선모양의 홈을 구비하며,
상기 테이블고정돌기(320)와 상기 테이블고정부재(330)가 서로 체결하여 상기 몸체부(20)와 상기 테이블(30)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및 변기겸용 유아용 부스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table fixing device 310 is formed of a table fixing protrusion 320 and a table fixing member 330,
The table fixing protrusion 320 is formed in a spiral shape at both ends of the table 30,
The table fixing member 330 has a spiral groove therein so as to be fastened to the table fixing protrusion 320,
Wherein the table fixing protrusion (320) and the table fixing member (33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o fix the body (20) and the table (3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50)에 탈장착 가능한 비닐(520)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및 변기겸용 유아용 부스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vinyl (520) removably attachable to the toilet bowl (50) is provid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10) 일면과 체결되는 시트(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및 변기겸용 유아용 부스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at (110) fastened to one surface of the matrix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0) 일단에 형성되는 이동수단(220)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수단(220)은 바퀴, 휠 및 롤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및 변기겸용 유아용 부스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moving means 220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20,
Characterized in that said moving means (220) is formed of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heels, wheels and rollers.
KR1020130055307A 2013-05-15 2013-05-15 A booster with bed and toilet KR1016188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307A KR101618853B1 (en) 2013-05-15 2013-05-15 A booster with bed and toil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307A KR101618853B1 (en) 2013-05-15 2013-05-15 A booster with bed and toil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5047A KR20140135047A (en) 2014-11-25
KR101618853B1 true KR101618853B1 (en) 2016-05-10

Family

ID=52455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5307A KR101618853B1 (en) 2013-05-15 2013-05-15 A booster with bed and toil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85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2117A (en) 2017-11-28 2019-06-05 임종현 Multifunctional chair for infants and childr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173Y1 (en) * 1999-09-28 2000-03-15 김재호 A portable seat
JP3073177B2 (en) * 1997-04-18 2000-08-07 東京計装株式会社 Flow control valve and valve 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3177B2 (en) * 1997-04-18 2000-08-07 東京計装株式会社 Flow control valve and valve stem
KR200172173Y1 (en) * 1999-09-28 2000-03-15 김재호 A portable sea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2117A (en) 2017-11-28 2019-06-05 임종현 Multifunctional chair for infants and childr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5047A (en) 2014-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2333B1 (en) Combination child walker and high chair
US9585494B2 (en) Infant lounger
US8938830B2 (en) Neck, spine, and spinal cord support device for newborn baby and infant, and blanket assembly for same
US20050172411A1 (en) Infant changing pad system
US9895005B2 (en) Convertible child seat
US10149551B2 (en) Flexible wall safety bassinet
JP2008523928A6 (en) Toilet training and toilet equipment
JP2008523928A (en) Toilet training, bathing and toilet equipment for infants, toddlers and preschoolers
JP2009006146A (en) Dual purpose child's chair
US8028361B2 (en) Infant support device
US6922861B1 (en) Child lounge
WO2012088599A1 (en) Portable and adjustable child potty
JP3197900U (en) child seat
KR101221882B1 (en) child chairs for table use
KR101618853B1 (en) A booster with bed and toilet
US20150137565A1 (en) Highchair
MX2014003011A (en) Foldable infant positioner with a softgoods seat.
US7146661B1 (en) Knockdown, portable, non-intimidating, and stable pen for comfortably, conformingly, supportingly, and entertainingly accommodating an infant therein
KR101318405B1 (en) safety seat combined with diaper bag
KR101606378B1 (en) Pillow for baby
USD637272S1 (en) Combination portable toilet and baby diaper changing table
KR20170000480A (en) Which is equipped with support and stand Carrier
KR20200071546A (en) chair for camping
US20110000023A1 (en) Diaper changing apparatus
KR200201300Y1 (en) A chair of dining table for chi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