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751B1 - 멀티 테이블 - Google Patents

멀티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751B1
KR101618751B1 KR1020140062047A KR20140062047A KR101618751B1 KR 101618751 B1 KR101618751 B1 KR 101618751B1 KR 1020140062047 A KR1020140062047 A KR 1020140062047A KR 20140062047 A KR20140062047 A KR 20140062047A KR 101618751 B1 KR101618751 B1 KR 101618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panel
frame
slide
pane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2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4791A (ko
Inventor
이상규
Original Assignee
이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규 filed Critical 이상규
Priority to KR1020140062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751B1/ko
Publication of KR20150134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3/08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foldable top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04Extensible tables with supplementary leaves or drop leaves arranged at the periphery
    • A47B1/05Extensible tables with supplementary leaves or drop leaves arranged at the periphery the leaves being extensible by drawing-ou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08Extensible tables with extensible frames or with additional leg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패널 프레임(10); 상기 패널 프레임(10)에 구비된 레그(20); 상기 패널 프레임(10)을 기준으로 내측단이 인접 배치되어 수납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패널 프레임(10)을 기준으로 서로 벌어지도록 펼쳐진 인출 상태에서는 상기 내측단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적어도 한 쌍의 슬라이드 패널(30); 상기 슬라이드 패널(30)이 상기 패널 프레임(10)에서 벌어진 인출 상태에서 상기 패널 프레임(10)에 상기 슬라이드 패널(30)을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는 픽싱수단(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 테이블{Multi table}
본 발명은 멀티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요부인 슬라이드 패널과 다리 및 슬라이드 패널을 콤팩트한 사이즈로 접을 수 있고, 슬라이드 패널을 넓혀서 거치 공간을 만들어서 필요한 기구를 거치 공간에 걸쳐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슬라이드 패널도 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같이 여러 가지 면에서 다양하고 유익한 기능을 복합적으로 겸비한 새로운 구조의 멀티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야외 레저활동시에는 깔개를 사용하거나 간편한 간이 테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인데, 깔개를 야외에서 사용할 때에는 여러 불편이 따르게 되며, 간이 테이블은 휴대하기 용이하지 않다는 점이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간편한 작은 부피로서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야외 레저용 테이블(캠핑 테이블)이 다양한 구조로서 기존에 많이 나와 있다. 기존의 절첩 테이블(예를 들면, 한국실용신안공고 제95-10048호)은 접은 테이블의 안쪽에 다리가 수납되도록 되어 있으며, 테이블을 펼친 후 다리를 다시 펼쳐 테이블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게 되어 있다.
여가 활동으로서 캠핑과 같은 야외 활동을 하는 인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맞추어 그릴 테이블(grill table)의 사용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그릴 테이블(IGT: Iron Grill Table)은 캠핑 테이블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캠핑 테이블의 일례로는 그릴 프레임과, 상기 그릴 프레임에 나란히 결합된 확장 테이블과, 상기 그릴 프레임의 양측부에 각각 결합된 보조 테이블 및 테이블 다리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캠핑 테이블은 그릴 프레임의 내측 슬라이드 홈에 끼워진 지지판(11a)을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그릴을 끼워넣어 음식 조리용 등으로 사용함과 동시에 확장 테이블 및 보조 테이블은 식탁 등 테이블로 사용한다.
그런데, 기존의 캠핑 테이블은 슬라이드 패널의 공간을 늘려주기 위한 슬라이드 패널 사이즈 확장 구조로서, 조그만 면적의 슬라이드 패널 위에 식기도구와 버너 등을 올려놓을 경우 면적이 좁아 취사도중 식기도구나 버너 등을 떨어뜨리거나 음식물을 쏟아 버리는 등의 일이 많은 경우를 해소한 효과는 있으나, 상기 슬라이드 패널 사이즈 확장 구조가 복잡하다는 데에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캠핑 테이블은 취사용 그릴을 걸쳐놓기 위한 그릴 거치용 공간부(그릴 거치용 홀)을 슬라이드 패널에 미리 형성해 놓아야 하기 때문에, 그릴 거치 공간부만큼 슬라이드 패널 자체의 사이즈가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고, 슬라이드 패널의 사이즈 확장 구조를 위한 확장 테이블을 슬라이드 패널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접었을 때의 두께가 커지는 문제가 있으며, 접을 때에 두께가 커지는 만큼 휴대성 등에서 불리하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기존에는 확장 테이블을 슬라이드 패널으로부터 인출하여 펼친 상태를 유지하는 지지수단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단점도 있다.
그리고, 기존에는 다리를 조절하여 사용하기는 하지만 다리를 적어도 한 쌍으로 연결하여 한 쌍의 다리를 동시에 높낮이 조절을 하는 구조라서 다리 높낮이 조절이 용이치 않다는 문제가 있으며, 다리를 세웠을 때에 지지 구조가 취약하다는 데에도 문제가 있다. 그리고, 다리를 슬라이드 패널 밑으로 접어서 휴대하게 되는데, 기존에는 다리를 접을 때에 안정적으로 다리를 수납하도록 하고 다리를 접은 상태에서는 안정적으로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가 미비한 실정이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1-0124496호(2011.11.17 공개) 국내등록특허 제10-1378387호(2014.03.17 등록) 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5535호(2013.09.25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요부인 슬라이드 패널과 다리 및 슬라이드 패널을 콤팩트한 사이즈로 접을 수 있고, 슬라이드 패널을 넓혀서 거치 공간을 만들어서 필요한 기구를 거치 공간에 걸쳐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슬라이드 패널도 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같이 여러 가지 면에서 다양하고 유익한 기능을 복합적으로 겸비한 새로운 구조의 멀티 테이블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취사용 그릴 등을 거치시켜 사용할 때에는 슬라이드 패널을 슬라이드 패널에서 인출하여 거치 공간을 확보하고 사용 완료 후에는 슬라이드 패널을 슬라이드 패널에 원래 사이즈로 콤팩트하게 접을 수 있으므로 사용시에는 만족스럽게 필요한 기구를 거치시킬 수 있는 거치 공간을 만들고 사용 이후에는 최대한 콤팩트한 사이즈로 접을 수 있어서 휴대성에서도 바람직한 등의 여러 가지 바람직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새로운 멀티 테이블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패널 프레임; 상기 패널 프레임에 구비된 레그; 상기 패널 프레임을 기준으로 내측단이 인접 배치되어 수납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패널 프레임을 기준으로 서로 벌어지도록 펼쳐진 인출 상태에서는 상기 내측단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적어도 한 쌍의 슬라이드 패널; 상기 슬라이드 패널이 상기 패널 프레임에서 벌어진 인출 상태에서 상기 패널 프레임에 상기 슬라이드 패널을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는 픽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테이블이 제공된다.
상기 패널 프레임은 상면에서 저면으로 연통된 공간부를 구비한 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패널은 저면에 구비된 채널부가 상기 패널 프레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패널 프레임에서 서로 벌어지도록 인출되며, 상기 픽싱수단은 상기 채널부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패널이 그립되도록 하여 상기 슬라이드 패널의 인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 패널은 상기 패널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인출 작동되며, 상기 픽싱수단은, 상기 패널 프레임의 길이 방향 경로 상에 배치된 픽싱볼트; 상기 픽싱볼트가 끼워지도록 상기 슬라이드 패널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픽싱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픽싱슬롯은 양쪽 끝단에 상기 슬라이드 패널이 인출될 때에 상기 픽싱볼트와 가까워지는 오픈 지지단부와 상기 슬라이드 패널이 수납될 때에 상기 픽싱볼트와 가까워지는 클로즈 지지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픽싱슬롯의 경로 상에는 상기 오픈 지지단부와 상기 클로즈 지지단부 사이의 중심선에서 적어도 상기 오픈 지지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줄어드는 픽싱 작용 슬롯섹터가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 패널이 상기 패널 프레임에서 인출될 때에 상기 픽싱볼트의 외주면을 상기 오픈 지지단부 쪽의 상기 픽싱 작용 슬롯섹터의 양쪽 내주면이 접촉되어 지나가면서 상기 픽싱볼트의 외주면에 가압 밀착되고 상기 슬라이드 패널을 상기 패널 프레임 방향으로 당겨서 가압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픽싱슬롯의 경로 상에는 상기 오픈 지지단부와 상기 클로즈 지지단부 사이의 중심선에서 상기 클로즈 지지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줄어드는 픽싱 작용 슬롯섹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채널부는 상기 슬라이드 패널의 하측으로 연장된 세로 채널편과, 상기 세로 채널편에서 교차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패널 프레임의 저면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가로 채널편을 포함하고, 상기 가로 채널편에 상기 픽싱슬롯이 구비되어 상기 패널 프레임의 저면에 구비된 상기 픽싱볼트에 상기 픽싱슬롯이 결합되며, 상기 픽싱볼트는 상기 가로 채널편의 상면에 저면이 접촉되는 픽싱 작용 헤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픽싱 작용 헤드부의 저면은 상기 가로 채널편의 상면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줄어드는 테이퍼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픽싱볼트는 상기 픽싱 작용 헤드부에 이어져서 상기 가로 채널편의 저면 아래에 배치되는 헤드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 패널 프레임은, 서로 나란한 한 쌍의 프레임판에 각각 레그 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레그 하우징에는 연결바아의 양단부가 연결된 틀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프레임판과 상기 레그 하우징의 내측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패널 프레임 모듈(10M); 한 쌍의 회동바아가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회동바아가 각각 상기 한 쌍의 패널 프레임 모듈(10M)의 상기 레그 하우징 내측단에 각각 결합된 힌지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레그 하우징에 상기 레그의 상단부가 힌지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레그는 상기 레그 하우징에서 펼쳐지고 상기 레그 하우징에 수납된 상태에서 록킹핀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그는 상기 힌지부의 주위에 원주 방향의 궤적상에 기립 지지홀과 폴딩 지지홀이 구비되고, 상기 레그 하우징은 상기 레그의 상기 기립 지지홀과 상기 폴딩 지지홀의 회전 궤적상에 배치되도록 핀홀이 구비되고, 상기 핀홀에 상기 록킹핀이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록킹핀은 탄성체에 의해 탄지되어 상기 레그 하우징의 내부 공간부로 선단부가 돌출되어 상기 레그의 상기 기립 지지홀 또는 상기 폴딩 지지홀에 삽입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패널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판에는 탄성체에 의해 외부로 탄성적으로 출몰하는 스톱핑볼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 패널에는 상기 프레임판의 상기 스톱핑볼이 결합되는 스톱핑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그는, 상기 패널 프레임에 힌지부를 통해 상단부가 연결된 연결 레그; 상기 연결 레그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조절 레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 레그는 레그 연결바아에 의해 적어도 한 쌍으로 연결된 연결 레그 셋트를 구성하고, 상기 패널 프레임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상기 힌지부를 매개로 한 쌍의 연결 레그 셋트가 연결되고, 상기 연결 레그 셋트의 각각의 상기 연결 레그에 상기 조절 레그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조절 레그의 내부에는 탄성체에 의해 외부로 탄성적으로 출몰하는 레그 조절 스톱핑볼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 레그에는 상기 레그 조절 스톱핑볼이 결합되는 레그 조절 스톱핑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패널 프레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슬라이드 패널을 닫아 놓은 상태에서 슬라이드 패널의 상면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다. 슬라이드 패널의 상면에 캠핑시 사용하는 식기, 음식물 등을 올려놓고 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패널 프레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각각의 슬라이드 패널을 벌어지도록 인출시킨 상태에서는 슬라이드 패널 사이에 조리용 그릴 등을 거치시켜 사용할 수 있는 거치 공간부가 형성되므로, 이러한 거치 공간부를 활용하여 필요한 물품을 편리하게 쓸 수 있으면서도 인출된 각 슬라이드 패널 상면 공간에는 상기 캠핑용 식기나 음식물을 등을 올려놓고 캠핑 등의 다양한 용도로 유용하게 쓸 수 있다.
또한, 주요부인 한 쌍의 슬라이드 패널을 닫아놓은 상태에서는 최대한 사이즈가 콤팩트해지면서도 각 슬라이드 패널을 열어 놓은 상태에서는 활용 공간이 넓어지게 되므로 사이즈의 최소화와 사용 공간 활용도의 극대화라는 다중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그릴과 같이 캠핑에 필요한 물품을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 공간부를 슬라이드 패널에 미리 확보하여야만 하는 기존과 달리 패널 프레임에서 슬라이드 패널을 닫아놓았다가 필요시 슬라이드 패널을 열어서 거치 공간부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기존에 비하여 사이즈가 상당히 줄어드는 효과가 있으며, 주요부인 패널 프레임과 슬라이드 패널 및 레그를 접은 상태에서는 접은 두께가 최대한 슬림해지므로 취급, 휴대시 등에 편리한 효과도 있다.
주요부인 패널 프레임에서 슬라이드 패널을 열어놓은 상태에서 패널 프레임에 슬라이드 패널을 강하게 가압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슬라이드 패널의 개방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패널 프레임에서 슬라이드 패널을 닫아놓은 상태에서도 패널 프레임에 슬라이드 패널이 강하게 가압 밀착될 수 있어서 슬라이드 패널의 닫아놓은 상태 역시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패널을 열어놓은 상태나 닫아 놓은 상태에서 패널 프레임에 강하게 가압 밀착시키는 기능은 픽싱볼트와 픽싱슬롯이라는 심플한 구조에 의해 구현할 수 있다. 패널 프레임에서 슬라이드 패널을 열어 놓은 상태나 닫아 놓은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에서는 더욱 신뢰성이 높으면서도 그 구조는 비교적 심플하게 달성한 점에서 중요한 특징이 있다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 테이블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주요부인 패널 프레임에서 슬라이드 패널이 인출되어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도 3의 평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드 패널의 개방되는 과정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평면도
도 7의 (a)는 도 6의 A-A선 종단면도
도 7의 (b)는 도 6의 B-B선 종단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드 패널의 개방된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평면도
도 9의 (a)는 도 8의 A-A선 종단면도
도 9의 (b)는 도 8의 B-B선 종단면도
도 10은 도 8의 일측면도
도 11은 도 8의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캠핑 테이블을 절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3은 도 12의 일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멀티 테이블은 패널 프레임(10)의 저면에 레그(20)가 구비되고, 패널 프레임(10)의 길이 방향으로 한 쌍의 슬라이드 패널(30)이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며, 슬라이드 패널(30)의 인출 상태를 픽싱수단(40)에 의해 유지하는 것에 주요 구성의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슬라이드 패널(30)이 내측단끼리 접촉되어 있는 수납 상태에서는 일반 테이블로 사용하다가 각 슬라이드 패널(30)이 패널 프레임(10)을 기준으로 서로 벌어진 인출 상태에서는 한 쌍의 슬라이드 패널(30) 내측단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이러한 공간부에 조리용 그릴 등을 거치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시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는 것이 주요 효과이다.
본 발명에서 패널 프레임(10)은 한 쌍의 패널 프레임 모듈(10M)이 중간의 힌지기구(18)에 연결되어, 상기 힌지기구(18)를 한 쌍의 패널 프레임 모듈(10M)이 서로 접혀지고 펼쳐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패널 프레임 모듈(10M)은 서로 나란한 한 쌍의 프레임판(12)에 각각 레그 하우징(14)이 구비되고, 상기 레그 하우징(14)에는 연결바아(16)의 양단부가 연결된 틀 구조로 이루어진다. 패널 프레임 모듈(10M)이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패널 프레임 모듈(10M)을 구성하는 각각의 프레임판(12)과 레그 하우징(14)의 내측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힌지기구(18)에 의해 한 쌍의 패널 프레임 모듈(10M)이 연결된다.
상기 프레임판(12)은 일정한 길이의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면에서는 한 쌍의 좌우 프레임판(12)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때, 프레임판(12)은 저면에 레그 하우징(14)이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다. 프레임판(12)은 바깥쪽에서 안쪽 방향으로 아웃터 패널부와 연결 패널부 및 이너 패널부가 일체형으로 연결된 구조이다. 아웃터 패널부는 내측 패널편과 외측 패널편과 상부 패널편 및 하부 패널편이 구비된 단면 사각형 바아 구조이다. 연결 패널부는 외측단이 아웃터 패널부의 내측 패널편에 연결된 상부 연결 패널편과 하부 연결 패널편으로 구성된다. 이너 패널부는 아웃터 패널부와 마찬가지로 내측 패널편과 외측 패널편과 상부 패널편 및 하부 패널편이 구비된 단면 사각형 바아 구조이다. 이너 패널부의 외측 패널편은 연결 패널부의 내측단에 연결되어 있다. 즉, 연결 패널부의 상부 연결 패널편과 하부 연결 패널편의 내측단에 이너 패널부의 외측 연결편이 일체형으로 연결된 구조이다. 따라서, 프레임판(12)은 전체적으로 단면 사각형 패널 구조를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레그 하우징(14)은 상단부가 프레임판(12)의 저면에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다. 두 개의 레그 하우징편의 상단부가 프레임판(12)의 저면에 연결되어 서로 나란하게 마주보도록 배치된 구조이다. 레그 하우징편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이다. 따라서, 레그 하우징(14)의 내부에 레그(20)가 수용되기 위한 레그 수납 공간부가 확보되어 있다. 레그 하우징(14)의 하부는 레그(20)가 회동되어 들어올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즉, 레그 하우징(14) 내부의 레그 수납 공간부 하측이 개방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판(12)의 외측면에는 스톱핑볼 결합홀(12BH)이 구비된다. 프레임판(12)의 최외곽 아웃터 패널부의 외측 패널편과 가장 안쪽의 이너 패널부의 내측 패널편이 각각 프레임판(12)의 외측면과 내측면을 형성하는데, 이러한 프레임판(12) 외측면에 스톱핑볼 결합홀(12BH)이 구비된 것이다. 스톱핑볼 결합홀(12BH)은 프레임판(12)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각각 하나씩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판(12)의 내부 공간부에는 패널 스톱핑볼(12SB)을 프레임판(12)의 스톱핑볼 결합홀(12BH) 외부로 탄성적으로 돌출시키기 위한 탄성체(12E)(스프링)이 내장된다. 프레임판(12)을 구성하는 아웃터 패널부의 내부 공간부에 스프링이 내장된다. 이때, 스프링은 프레임판(12)의 상면에서 볼 때에 브이자 형상으로 배치된 한 쌍의 내측 스프링편과 외측 스프링편을 구비하며, 외측 스프링편에 상기 패널 스톱핑볼(12SB)이 구비된다. 상기 외측 스프링편을 안쪽면에서부터 바깥면으로 눌러서 대략 돔 형태의 패널 스톱핑볼(12SB)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스프링에 구비된 패널 스톱핑볼(12SB)이 상기 프레임판(12) 외측면의 스톱핑볼 결합홀(12BH)에 끼워진 상태에서 프레임판(12) 외측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스프링의 내측 스프링편은 외측 스프링편에 연결 스프링편을 통해서 연결되어 있는데, 내측 스프링편의 자유단은 프레임판(12)을 구성하는 아웃터 패널부의 내측 패널편 안쪽면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이때, 스프링은 탄성이 있는 스프링강으로 구성되어, 상기 패널 스톱핑볼(12SB)이 프레임판(12)의 내부 공간부로 눌려질 때에 상기 스프링의 연결 스프링편이 벤딩되면서 동시에 내측 스프링편과 외측 스프링편 사이가 가까워지게 되어서 스프링의 내측 스프링편에서 외측 스프링편이 원위치로 복귀하려는 탄성 복원력을 보유하게 된다. 상기 패널 스톱핑볼(12SB)을 프레임판(12)의 외측면에서 누르는 힘이 해제되면, 상기 스프링의 벤딩된 연결 스프링편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외측 스프링편과 이에 구비된 패널 스톱핑볼(12SB)이 원위치로 복귀되어 패널 스톱핑볼(12SB)이 다시 프레임판(12) 외측면의 스톱핑볼 결합홀(12BH) 바깥으로 돌출된 상태로 전환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프링이 프레임판(12) 내부 공간부에 전후 한 개씩 배치된다. 두 개의 스프링이 프레임판(12)의 내부에 구비되고, 프레임판(12)의 전후 두 개의 스톱핑볼 결합홀(12BH)에 각 스프링에 구비된 패널 스톱핑볼(12SB)이 돌출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판(12)의 내측면에는 보조 지지편이 구비된다. 보조 지지편의 일단부가 프레임판(12)의 내측면에 연결된다. 보조 지지편은 프레임판(12)의 내측면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좌우 프레임판(12)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각 좌우 프레임판(12) 내측면의 수평 방향 보조 지지편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레그 하우징(14)에는 연결바아(16)의 양단부가 연결된다. 연결바아(16)는 단면 사각형 바아 구조를 이룰 수 있는데, 이러한 연결바아(16)의 양단부가 한 쌍의 서로 마주하는 레그 하우징(14)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패널 프레임 모듈(10M)에 연결바아(16)가 각각 두 개씩 연결된 구조이다. 연결바아(16)는 프레임판(12)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연결바아(16)와 프레임판(12) 및 레그 하우징(14)에 의해 패널 프레임 모듈(10M)이 사각틀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상기 패널 프레임 모듈(10M)은 중간의 힌지기구(18)에 의해 연결되어 힌지기구(18)를 기준으로 절첩(폴딩)되거나 힌지기구(18)를 기준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힌지기구(18)는 중간의 힌지부(H)를 기준으로 두 개의 회동바아(18a)가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힌지기구(18)의 두 개의 다리가 패널 프레임 모듈(10M)을 구성하는 레그 하우징(14)의 내측단에서 레그 하우징(14) 내부로 삽입되어 볼트 등의 체결구로 고정되거나 용접 등으로 고정된다. 즉, 힌지기구(18)의 한 쌍의 회동바아(18a)가 힌지부(H)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동바아(18a)가 각각 상기 한 쌍의 패널 프레임 모듈(10M)의 내측단에 각각 결합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힌지기구(18)에 의해 두 개의 패널 프레임 모듈(10M)이 내측단끼리 연결되어 힌지기구(18)를 기준으로 저면끼리 마주하도록 접혀지거나 힌지기구(18)를 기준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힌지기구(18)는 특허등록 제10-1312535호에 기재된 힌지기구(18) 또는 특허등록 제10-0964864호에 기재된 절첩 힌지편을 채용한 것이므로 상기 힌지기구(18)에 대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레그(20)는 상단부가 힌지부(H)에 의해 패널 프레임(10)의 레그 하우징(14)에 연결된다. 레그(20)는 연결 레그(21)와 조절 레그(23)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레그(21)는 내부에 중공부가 있는 관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연결 레그(21)가 단면 사각형 관형상이다. 이러한 연결 레그(21)의 상단부측 일부가 레그 하우징(14)의 내부로 들어간 상태에서 힌지부(H)에 의해 레그 하우징(14)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 레그(21)의 내부에는 조절 레그(23)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연결 레그(21)의 하단부로 조절 레그(23)가 인출되어 나오고 연결 레그(21)의 하단부에서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따라서, 레그(20)의 상단부가 힌지부(H)에 의해 패널 프레임(10)의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구조가 된다.
이때, 연결 레그(21)는 힌지부(H)를 기준으로 주위에 기립 지지홀(22)과 폴딩 지지홀(24)이 구비된다. 기립 지지홀(22)은 레그(20)가 패널 프레임(10)의 저면에서 펼쳐져 세워진 상태에서 지지하는 기능을 하는 구멍이고 폴딩 지지홀(24)은 레그(20)가 패널 프레임(10)의 저면으로 접혀져 들어와서 레그 하우징(14) 내부의 레그 수납 공간부로 들어온 상태에서 이를 유지하는 기능을 하는 구멍이다.
한편, 상기 레그(20)가 내부의 레그 수납 공간부로 들어오는 레그 하우징(14)은 레그(20)의 기립 지지홀(22)과 폴딩 지지홀(24)의 회전 궤적상에 배치되도록 핀홀(14H)이 구비된다.
상기 레그(20)가 힌지부(H)를 기준으로 패널 프레임(10) 저면에서 펼쳐져 세워진 상태에서는 레그 하우징(14)의 핀홀(14H)이 레그(20)의 기립 지지홀(22)과 만나도록 정렬되고, 레그(20)가 힌지부(H)를 기준으로 패널 프레임(10) 저면의 레그 하우징(14) 내부로 접혀져 들어온 상태에서는 레그 하우징(14)의 핀홀(14H)이 레그(20)의 폴딩 지지홀(24)과 만나도록 정렬된다.
상기 레그 하우징(14)에는 핀하우징(14PH)이 구비된다. 핀하우징(14PH)은 내측단은 개방되고 외측단에는 핀결합홀이 구비된 관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핀하우징(14PH)의 내측단이 레그 하우징(14)의 외표면에 용접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핀하우징(14PH)의 핀결합홀은 레그 하우징(14)의 핀홀(14H)과 만나도록 정렬된다. 본 발명에서는 레그 하우징(14)의 내측 레그 하우징편과 외측 레그 하우징편 중에서 외측 레그 하우징편의 외표면에 핀하우징(14PH)의 내측단이 고정된 구조이다.
상기 레그 하우징(14)의 핀결합홀에는 록킹핀(14LP)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록킹핀(14LP)의 외주면에는 플랜지부 형태의 확장부가 구비된다.
상기 록킹핀(14LP)의 외주면에는 탄성체(14EL)가 결합된다. 탄성체(14EL)는 코일 스프링으로서, 이러한 코일 스프링 구조의 탄성체(14EL)가 록킹핀(14LP)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록킹핀(14LP)의 외주면에 구비된 확장부와 레그 하우징(14)의 외측단 내벽면에 각각 탄성체(14EL)의 양단부가 접촉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상기 록킹핀(14LP)을 당길 때에는 록킹핀(14LP) 외주면의 확장부와 핀하우징(14PH) 내부 사이에 개재된 탄성체(14EL)가 압축되어 탄성 복원력을 보유하고, 록킹핀(14LP)의 당기는 힘을 해제하면 탄성체(14EL)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록킹핀(14LP)이 원위치로 전진한다.
이때, 상기 록킹핀(14LP)의 선단부측은 레그 하우징(14)에 구비된 핀홀(14H)을 통과하여 레그 하우징(14) 내부의 레그 수납 공간부까지 돌출되는데, 레그(20)의 기립 지지홀(22)이 레그 하우징(14)의 핀홀(14H)과 정렬되도록 만난 상태에서는 록킹핀(14LP)이 레그 하우징(14)의 핀홀(14H)과 레그(20)의 기립 지지홀(22)에 동시에 결합되므로, 레그(20)가 패널 프레임(10)의 저면에서 펼쳐져 세워진 상태(기립 상태)를 유지하고, 레그(20)의 폴딩 지지홀(24)이 레그 하우징(14)의 핀홀(14H)과 정렬되도록 만난 상태에서는 록킹핀(14LP)이 레그 하우징(14)의 핀홀(14H)과 레그(20)의 폴딩 지지홀(24)에 동시에 결합되므로, 레그(20)가 패널 프레임(10)의 저면에 구비된 레그 하우징(14) 내부로 들어온 상태(레그(20) 수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록킹핀(14LP)의 기단부측에는 구형볼 형태의 노브(14N)가 구비된다. 노브(14N)를 잡고 록킹핀(14LP)을 보다 편리하게 당길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패널 프레임 모듈(10M)이 중간의 힌지기구(18)에 의해 연결되어 패널 프레임(10)을 형성하는데, 각 패널 프레임(10)의 외측단측의 저면에 한 쌍으로 나란한 레그(20)의 상단부가 힌지부(H)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네 개의 레그(20)가 패널 프레임(10)의 네 코너부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이때, 상기 패널 프레임 모듈(10M)의 두 개의 레그(20)는 레그 연결바아(21a)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각 패널 프레임 모듈(10M)의 두 개의 레그(20)가 동시에 힌지부(H)를 기준으로 패널 프레임 모듈(10M)의 저면에서 펼쳐져서 세워지고 패널 프레임 모듈(10M)의 저면으로 접혀질 수 있다.
상기 레그(20)를 구성하는 연결 레그(21)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스톱핑볼 결합홀(12BH)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조절 레그(23)는 각각의 연결 레그(21)마다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조절 레그(23)는 단면 사각 바아 구조로서, 조절 레그(23)는 각 연결 레그(21)에서 개별적으로 슬라이드되도록 결합된 것이다.
상기 조절 레그(23)의 상단부측과 인접한 내부 공간부에는 패널 프레임(10)의 프레임판(12) 내부에 구비된 탄성체(12EL)(스프링)과 동일한 구조의 탄성체(12EL)(스프링)이 내장된다. 즉, 인출레그(20)의 내부 공간부에는 레그 스톱핑볼(23SB)을 조절 레그(23)의 스톱핑볼 결합홀(12BH) 외부로 탄성적으로 돌출시키기 위한 스프링이 내장된다.
상기 조절 레그(23)는 상단부와 인접한 둘레부에 내외부로 관통된 스톱핑볼 결합홀(12BH)이 구비된다.
상기 조절 레그(23) 내부의 스프링은 조절 레그(23)의 측면에서 볼 때에 브이자 형상으로 배치된 한 쌍의 내측 스프링편과 외측 스프링편을 구비하며, 외측 스프링편에 상기 레그 스톱핑볼(23SB)이 구비된다. 상기 외측 스프링편을 안쪽면에서부터 바깥면으로 눌러서 대략 돔 형태의 레그 스톱핑볼(23SB)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스프링에 구비된 레그 스톱핑볼(23SB)이 상기 조절 레그(23)의 스톱핑볼 결합홀(12BH)에 끼워진 상태에서 조절 레그(23) 외측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스프링의 내측 스프링편은 외측 스프링편에 연결 스프링편을 통해서 연결되어 있는데, 내측 스프링편의 자유단은 조절 레그(23) 안쪽면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이때, 스프링은 탄성이 있는 스프링강으로 구성되어, 상기 레그 스톱핑볼(23SB)이 조절 레그(23)의 내부 공간부로 눌려질 때에 상기 스프링의 연결 스프링편이 벤딩되면서 동시에 내측 스프링편과 외측 스프링편 사이가 가까워지게 되어서 스프링의 내측 스프링편에서 외측 스프링편이 원위치로 복귀하려는 탄성 복원력을 보유하게 된다. 상기 레그 스톱핑볼(23SB)을 조절 레그(23)의 외측면에서 누르는 힘이 해제되면, 상기 스프링의 벤딩된 연결 스프링편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외측 스프링편과 이에 구비된 레그 스톱핑볼(23SB)이 원위치로 복귀되어 레그 스톱핑볼(23SB)이 다시 인출레그(20)의 스톱핑볼 결합홀(12BH) 바깥으로 돌출된 상태로 전환된다. 조절 레그(23)의 상단부측 인접된 위치의 스톱핑볼 결합홀(12BH)에 각 스프링에 구비된 레그 스톱핑볼(23SB)이 돌출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 조절 레그(23)측의 레그 스톱핑볼(23SB)은 연결 레그(21)에 구비된 레그 스톱핑홀(23SH)에 끼워짐으로써 조절 레그(23)가 연결 레그(21)의 하단부로부터 인출되는 길이의 조절 상태가 유지된다. 즉, 상기 조절 레그(23)측의 레그 스톱핑볼(23SB)이 연결 레그(21)의 레그 스톱핑홀(23SH)에 끼워져서 조절 레그(23)가 연결 레그(21)에서 인출되거나 연결 레그(21)에 수납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상기 패널 프레임(10)에는 슬라이드 패널(30)이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된다. 패널 프레임(10)의 각 패널 프레임 모듈(10M)에 각각 하나씩 슬라이드 패널(30)이 결합된다. 패널 프레임(1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패널(30)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면에서 Y 방향을 너비 방향, X 방향을 길이 방향이라 하면 슬라이드 패널(30)이 X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패널 프레임(10)의 각 패널 프레임 모듈(10M)에 결합된다.
상기 패널 프레임(10)이 사각 틀 구조라서 슬라이드 패널(30)도 사각판 형태를 이룬다. 슬라이드 패널(30)은 양쪽 측방 둘레부에 채널부(32)를 구비하여, 채널부(32)가 패널 프레임(10)을 구성하는 좌우 양쪽 두 개의 프레임판(1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채널부(32)는 슬라이드 패널(30)의 하측으로 연장된 세로 채널편(32a)(수직 채널편)과, 상기 세로 채널편(32a)에서 교차하도록 연장되어 슬라이드 패널(30)의 저면과 마주하는 방향(패널 프레임(10)의 저면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가로 채널편(32b)(수평 채널편)을 포함한다. 따라서, 슬라이드 패널(30)의 저면과 가로 채널편(32b) 사이에 패널 프레임(10)의 프레임판(12)이 끼어들어 올 수 있는 슬라이드 공간부가 확보된다. 또한, 상기 채널부(32)를 구성하는 가로 채널편(32b)은 패널 프레임(10)의 저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패널(30)의 저면은 패널 프레임(10)의 상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패널 프레임(10)을 구성하는 프레임판(12)의 저면 아래에 슬라이드 패널(30)의 가로 채널편(32b)이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슬라이드 패널(30)의 저면은 상기 프레임판(12) 상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슬라이드 패널(30)을 패널 프레임(10)에서 인출하거나 닫도록 슬라이드시키면 상기 슬라이드 패널(30) 저면과 채널부(32)의 가로 채널편(32b)이 위쪽과 아래쪽에서 슬라이드 패널(30)을 패널 프레임(10)에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패널(30)은 채널부(32)를 구성하는 세로 채널편(32a)이 패널 프레임(10)의 외측면과 마주하는데, 상기 채널부(32)의 세로 채널편(32a)에는 패널 프레임(10)의 스톱핑볼 결합홀(12BH)에서 돌출된 패널 스톱핑볼(12SB)이 결합되는 스톱핑홀(30SH)이 구비된다. 상기 세로 채널편(32a)의 전단부와 후단부 인접 위치에 각각 하나씩 스톱핑홀(30SH)이 구비되어 있다. 즉, 슬라이드 패널(30)의 내측단과 외측단 인접 위치에 하나씩의 스톱핑홀(30SH)이 구비된 구조이다.
상기 한 쌍의 패널 프레임 모듈(10M)에 각각 슬라이드 패널(30)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드 패널(30)의 내측단끼기 맞닿아 있을 때에 슬라이드 패널(30)의 접은 상태가 되고 각 슬라이드 패널(30)이 내측단이 서로 벌어져 있을 때에 슬라이드 패널(30)의 펼친 상태(인출 상태)가 된다. 두 개의 슬라이드 패널(30)의 내측단끼리 벌어진 인출 상태에서는 각 슬라이드 패널(30)의 내측단 사이에 조리용 그릴 등을 수용하기 위한 거치 공간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픽싱수단(40)은 슬라이드 패널(30)이 패널 프레임(10)에서 벌어진 인출 상태에서 패널 프레임(10)에 슬라이드 패널(30)을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물론, 픽싱수단(40)은 슬라이드 패널(30)이 패널 프레임(10)에서 닫혀진 상태(즉, 두 개의 슬라이드 패널(30)이 내측단끼리 맞닿도록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도 가진다.
본 발명에서 픽싱수단(40)은 패널 프레임(10)의 길이 방향 경로 상에 배치된 픽싱볼트(42)와, 이러한 픽싱볼트(42)가 끼워지도록 슬라이드 패널(3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픽싱슬롯(44)을 포함한다.
상기 픽싱볼트(42)는 나사부의 하측에 픽싱 작용 헤드부(42a)를 구비하고, 픽싱 작용 헤드부(42a)에는 직경이 더 큰 헤드부(42c)가 이어진 구조이다. 픽싱볼트(42)는 일단부에서 타단부를 따라 나사부, 픽싱 작용 헤드부(42a) 및 헤드부(42c)가 순차적으로 구비된 구조이다. 픽싱볼트(42)의 나사부가 패널 프레임(10)에 형성된 볼트홀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 패널 프레임(10)을 형성하는 각각의 패널 프레임 모듈(10M) 저면에 볼트홀이 형성되고, 픽싱볼트(42)는 나사부가 상기 패널 프레임 모듈(10M) 저면의 볼트홀에 조여짐으로써 픽싱볼트(42)가 패널 프레임(10) 저면으로 돌출되어 있게 된다. 픽싱볼트(42)의 픽싱 작용 헤드부(42a)는 헤드부(42c)의 위쪽에 배치된다. 이때, 픽싱볼트(42)의 픽싱 작용 헤드부(42a)는 저면이 슬라이드 패널(30)의 채널부(32)를 구성하는 가로 채널편(32b)의 상면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줄어드는 테이퍼면(42b)으로 구성된다. 픽싱볼트(42)의 픽싱 작용 헤드부(42a)가 상기 슬라이드 패널(30)의 채널부(32)의 가로 채널편(32b) 상부에 위치되는데, 이러한 픽싱볼트(42)의 픽싱 작용 헤드부(42a)가 가로 채널편(32b)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줄어들어서 픽싱 작용 헤드부(42a)를 종단면으로 볼 때에 점점 아래가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채널부(32)의 가로 패널편 상면을 기준으로 할 때에 픽싱볼트(42)의 픽싱 작용 헤드부(42a) 저면은 패널 프레임(10)의 저면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커지는 테이퍼면(42b)으로 구성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 픽싱슬롯(44)은 슬라이드 패널(3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홀 형태이다. 슬라이드 패널(30)의 채널부(32)를 구성하는 가로 채널편(32b)의 상면에서 저면으로 픽싱슬롯(44)이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픽싱슬롯(44)이 슬라이드 패널(30)의 가로 채널편(32b)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홀 형태를 가지고 있다.
상기 슬라이드 패널(30)의 양쪽 측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채널부(32)가 패널 프레임(10)을 구성하는 좌우 한 쌍의 프레임판(12) 외측면에서 결합되는데, 상기 채널부(32)의 세로 채널편(32a)은 프레임판(12)의 외측면과 마주하고 가로 채널편(32b)은 프레임판(12)의 저면과 마주함과 동시에 상기 픽싱슬롯(44)에는 프레임 패널의 저면(즉, 프레임판(12)의 저면)에 결합되어 있는 픽싱볼트(42)가 관통하여 결합된다. 상기 픽싱볼트(42)의 픽싱 작용 헤드부(42a)는 상기 채널부(32)의 가로 채널편(32b) 상면과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픽싱볼트(42)의 헤드부(42c)는 상기 가로 채널편(32b)의 저면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슬라이드 패널(30) 양쪽 측단부의 한 쌍의 채널부(32)에 픽싱볼트(42)와 픽싱슬롯(44)이 각각 구비되어, 좌우 양쪽 두 군데의 픽싱볼트(42)와 픽싱슬롯(44)에 의해 슬라이드 패널(30)이 패널 프레임(10)의 양쪽 측단부 위치에서 고정 지지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픽싱볼트(42)의 헤드부(42c)가 슬라이드 패널(30)의 주요 구성인 채널부(32)의 가로 채널편(32b) 저면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헤드부(42c)의 외경은 슬라이드 패널(30)의 픽싱슬롯(44)의 내경보다 더 크게 되므로, 픽싱볼트(42)가 픽싱슬롯(44)에서 빠지는 경우가 방지될 수 있다. 특히, 헤드부(42c)가 슬라이드 패널(30)의 채널부(32)의 가로 채널편(32b) 저면에서 슬라이드 패널(30) 자체를 지지하게 되므로, 픽싱볼트(42)의 위쪽에 있는 픽싱 작용 헤드부(42a)가 픽싱슬롯(44) 영역에서 빠지는 경우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픽싱슬롯(44)은 양쪽 끝단에 슬라이드 패널(30)이 인출될 때에 픽싱볼트(42)와 가까워지는 오픈 지지단부(46)와 슬라이드 패널(30)이 수납될 때(패널 프레임(10)에서 닫혀질 때)에 픽싱볼트(42)와 가까워지는 클로즈 지지단부(48)를 구비한다. 슬라이드 패널(30)의 상면에서 볼 때에 픽싱슬롯(44)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홀로서 픽싱슬롯(44)의 한쪽 단부와 다른 쪽 단부 사이의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할 때에 한쪽 단부는 클로즈 지지단부(48)가 되고 다른 쪽 단부는 오픈 지지단부(46)가 된다. 상기 픽싱슬롯(44)의 한쪽 단부는 슬라이드 패널(30)이 완전히 닫혀서 두 개의 슬라이드 패널(30)이 내측단끼리 접촉된 상태에서 픽싱볼트(42)에 접촉되거나 픽싱볼트(42)에 가장 근접하는 단부이므로 클로즈 지지단부(48)가 되며, 상기 픽싱슬롯(44)의 다른 쪽 단부는 슬라이드 패널(30)이 완전히 열려서 두 개의 슬라이드 패널(30)이 내측단이 완전히 벌어진 상태에서 픽싱볼트(42)에 접촉되거나 픽싱볼트(42)에 가장 근접하는 단부이므로 오픈 지지단부(46)가 된다.
본 발명에서 특히 중요한 것은 픽싱슬롯(44)의 경로 상에는 오픈 지지단부(46)와 클로즈 지지단부(48) 사이의 중심선(CL)에서 적어도 오픈 지지단부(46)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줄어드는 픽싱 작용 슬롯섹터(47)가 구비된다는 것이다. 슬라이드 패널(30)의 상면 또는 저면에서 볼 때에 픽싱 작용 슬롯섹터(47)는 픽싱슬롯(44)의 오픈 지지단부(46)와 클로즈 지지단부(48) 사이의 중심선(CL)에서 각각 오픈 지지단부(46) 방향으로 갈수록 양쪽 안쪽면 사이의 거리가 점점 좁아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픽싱슬롯(44)의 경로 상에는 오픈 지지단부(46)와 클로즈 지지단부(48) 사이의 중심선(CL)에서 클로즈 지지단부(48)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줄어드는 픽싱 작용 슬롯섹터(47)가 더 구비된다. 슬라이드 패널(30)의 상면 또는 저면에서 볼 때에 픽싱 작용 슬롯섹터(47)는 픽싱슬롯(44)의 오픈 지지단부(46)와 클로즈 지지단부(48) 사이의 중심선(CL)에서 각각 클로즈 지지단부(48) 방향으로 갈수록 양쪽 안쪽면 사이의 거리가 점점 좁아지게 된다. 슬라이드 패널(30)의 상면에서 볼 때에 픽싱슬롯(44)의 상기 중심선(CL)을 기준으로 두 개의 픽싱 작용 슬롯섹터(47)가 대칭되게 배치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 패널(30)은 내측단과 외측단(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직교하는 하측 방향으로 연장된 세로 비드편(수직 비드편)과, 이 세로 비드편에 직교하는 방향(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슬라이드 패널(30)의 저면과 마주하는 가로 비드편(수평 비드편)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캠핑 테이블은 절첩 모드, 펼침 모드, 높이 조절 모드 및 슬라이드 패널 인출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절첩 모드>
패널 프레임(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두 개의 슬라이드 패널(30)은 내측단끼리 접촉되어 닫힌 상태이고 레그(20)는 슬라이드 패널(30)의 저면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두 개의 슬라이드 패널(30)이 서로 중간의 힌지기구(18)를 기준으로 저면끼리 접혀진 상태이다. 각각의 슬라이드 패널(30)은 외측단 인접 측면부에 구비(즉, 채널부(32)의 세로 채널편(32a)의 외측단 인접 부분에 구비)된 스톱핑홀(30SH)이 패널 프레임(10)에 구비된 패널 스톱핑볼(12SB)에 탄성적으로 끼워지므로 두 개의 슬라이드 패널(30)이 닫힌 상태로 지지된다. 한편, 레그(20)를 구성하는 조절 레그(23)는 연결 레그(21) 내부로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외표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레그 스톱핑볼(23SB)이 연결 레그(21)의 스톱핑볼 결합홀(12BH)에 탄성적으로 끼워지므로 조절 레그(23)도 연결 레그(21) 내부로 들어가 있는 상태로 지지된다. 또한, 상기 록킹핀(14LP)은 레그 하우징(14)의 핀홀(14H)과 레그(20)의 폴딩 지지홀(24)에 동시에 결합되어 있어서 레그(20) 자체가 각 패널 프레임(10) 저면의 레그 하우징(14)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지지된다.
<펼침 모드>
상기 절첩 모드에서 두 개의 패널 프레임 모듈(10M)을 가운데의 힌지기구(18)를 기준으로 펼쳐준다. 두 개의 패널 프레임 모듈(10M)을 사각 판형 프레임 형태로 펼쳐준다. 그러면, 각 패널 프레임 모듈(10M)이 펼쳐진 패널 프레임(10)이 형성되고, 패널 프레임 모듈(10M)에 각각 결합된 슬라이드 패널(30)도 사각판 형태로 동시에 펼쳐진다. 펼침 모드에서는 두 개의 슬라이드 패널(30)이 내측단끼리 접촉되어 있는 상태이다.
다음, 레그(20)를 상단부의 힌지부(H)를 기준으로 펼쳐서 세워준다. 이때, 절첩 모드에서는 패널 프레임(10)의 레그 하우징(14)에 형성된 핀홀(14H)과 레그(20)에 형성된 수납 지지홀에 동시에 록킹핀(14LP)이 결합된 상태인데, 상기 록킹핀(14LP)을 당겨서 레그(20)의 수납 지지홀에서 이탈시킨 다음 레그(20)를 상기 힌지부(H)를 기준으로 패널 프레임(10)의 저면(즉, 슬라이드 패널(30)의 저면)에서 아래로 회동시켜 세워준다. 이때, 록킹핀(14LP)을 당긴 상태에서는 레그 하우징(14)에 구비된 핀하우징(14PH)과 록킹핀(14LP) 외주면의 확장부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탄성체(14EL)가 압축되어 탄성 복원력을 보유하고 있다.
상기 레그(20)가 세워진 상태에서는 레그(20)에 구비된 기립 지지홀(22)이 패널 프레임(10) 저면의 레그 하우징(14)에 형성된 핀홀(14H)과 만나도록 정렬되므로, 상기 록킹핀(14LP)을 당긴 상태를 해제하면 압축되어 있던 탄성체(14EL))에 의해 록킹핀(14LP)이 당겨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들어가면서 상기 레그 하우징(14)의 핀홀(14H)과 레그(20)의 기립 지지홀(22)에 동시에 결합되므로, 상기 레그(20)가 슬라이드 패널(30) 저면에서 회동되어 세워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상기 레그(20)는 패널 프레임(10)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가정할 때에 수직 방향보다 더 큰 각도(즉, 패널 프레임(10)에 대해 90°보다 더 큰 둔각)으로 세워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레그(20)에 형성된 기립 지지홀(22)이 레그(20)를 레그 하우징(14)에 연결하는 힌지부(H)를 기준으로 원주형 궤적을 따라 이동하는데, 상기 기립 지지홀(22)이 레그 하우징(14)의 핀홀(14H)과 만나도록 정렬되는 각도가 패널 프레임(10)에 대해 90°보다 더 큰 둔각이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레그(20)가 패널 프레임(10)의 저면에서 둔각 범위로 이동하여 세워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 슬라이드 패널(30) 위에서 하중이 작용할 때에 레그(20)가 다시 슬라이드 패널(30) 저면으로 접혀지는 경우가 방지된다.
<높이 조절모드>
슬라이드 패널(30)이 장착된 패널 프레임(10)의 코너부에 레그(20)가 구비되는데, 레그(20)는 연결 레그(21)의 하단부로 조절 레그(23)가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조절 레그(23)를 연결 레그(21)의 하단부로부터 인출시키면 레그(20)의 길이가 조절되므로 패널 프레임(10)과 슬라이드 패널(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조절 레그(23)의 외표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레그 스톱핑볼(23SB)이 연결 레그(21)의 스톱핑볼 결합홀(12BH)에 탄성적으로 끼워지므로 조절 레그(23)가 연결 레그(21) 하단부에서 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레그 스톱핑볼(23SB)을 의도적으로 누르지 않는 이상 조절 레그(23)가 연결 레그(21)의 하단부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다리 연결 레그(21) 안으로 들어가는 일은 없게 된다. 패널 프레임(10)과 슬라이드 패널(30)의 설치 장소 지면에 높이차이가 있을 경우 한쪽의 레그(20)에서 조절 레그(23)를 더 길게 인출하고 다른 쪽의 레그(20)에서 조절 레그(23)는 더 짧게 인출하면 된다. 이때, 상기 패널 프레임 모듈(10M)에 두 개의 연결 레그(21)가 레그 연결바아(21a)에 의해 서로 연결된 반면 각 조절 레그(23)는 하나씩의 연결 레그(21)마다 독립적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각 레그(20) 하나마다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슬라이드 패널 인출 모드>
상기 패널 프레임(10)에 장착되어 내측단끼리 접촉된 두 개의 슬라이드 패널(30)을 패널 프레임(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시켜서 각 슬라이드 패널(30)의 내측단 사이에 거치 공간부를 형성한다. 두 개의 슬라이드 패널(30)이 패널 프레임(10)의 외측단에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각 슬라이드 패널(30) 사이에 거치 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각 슬라이드 패널(30)을 패널 프레임 모듈(10M)에서 길이 방향으로 인출되도록 슬라이드시키는 과정에서는 슬라이드 패널(30)의 채널부(32)를 구성하는 가로 채널편(32b)의 픽싱슬롯(44)이 패널 프레임(10) 저면에 구비된 픽싱볼트(42)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픽싱슬롯(44)의 내측단에 인접한 오픈 지지단부(46)가 패널 프레임(10) 저면의 픽싱볼트(42)와 가까워지도록 이동한다.
이처럼 패널 프레임(10)에서 인출되어 나온 슬라이드 패널(30) 사이의 거치 공간부에 조리용 그릴 등의 필요한 물품을 거치시켜 사용한다. 이때, 상기 패널 프레임(10)의 내측면에는 보조 지지편이 더 구비되어 있어서, 그릴 등이 각 슬라이드 패널(30)의 상면에 얹혀져서 지지됨과 동시에 보조 지지편에 의해서도 지지된 상태로 거치 공간부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레그(20)가 펼쳐져 세워지고 슬라이드 패널(30)이 인출된 상태에서 다시 절첩 상태로 전환하려면 상기한 과정의 역순으로 절첩 과정을 수행하면 된다.
상기 조절 레그(23)에서 연결 레그(21)의 스톱핑볼 결합홀(12BH)에 끼워져 있는 레그 스톱핑볼(23SB)을 눌러준 상태에서 조절 레그(23)를 연결 레그(21)의 안으로 밀어넣은 다음 레그(20)를 힌지부(H)를 기준으로 슬라이드 패널(30)의 저면 방향으로 접어서 레그 하우징(14)에 수납되도록 한다.
다음, 상기 한 쌍의 패널 프레임 모듈(10M)에서 인출되어 있는 각 슬라이드 패널(30)을 내측단끼리 접촉되도록 닫아준다. 각 슬라이드 패널(30)을 패널 프레임 모듈(10M)에서 길이 방향으로 닫아주도록 슬라이드시키는 과정에서는 슬라이드 패널(30)의 채널부(32)를 구성하는 가로 채널편(32b)의 픽싱슬롯(44)이 패널 프레임(10) 저면에 구비된 픽싱볼트(42)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픽싱슬롯(44)의 외측단에 인접한 클로즈 지지단부(48)가 패널 프레임(10) 저면의 픽싱볼트(42)와 가까워지도록 이동한다.
이어서, 한 쌍의 패널 프레임 모듈(10M)을 중간의 힌지기구(18)를 기준으로 저면끼리 마주하도록 절첩시킨다. 각 패널 프레임 모듈(10M)이 펼쳐졌을 때의 대략 반 사이즈로 절첩시킨다.
상기와 같은 절첩 상태에서는 두 개의 패널 프레임 모듈(10M)이 중간의 힌지기구(18)를 기준으로 저면끼리 마주하도록 절첩되고 각 레그 하우징(14)과 레그(20)를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절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과 기능을 가진 본 발명에 의한 멀티 테이블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패널 프레임(10)의 각 패널 프레임 모듈(10M)에 구비된 한 쌍의 슬라이드 패널(30)을 내측단끼리 접촉되도록 닫아 놓은 상태에서 슬라이드 패널(30)의 상면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다. 두 개의 슬라이드 패널(30) 상면에 캠핑시 사용하는 식기, 음식물 등을 올려놓고 쓸 수 있다.
2. 각각의 슬라이드 패널(30)을 벌어지도록 인출시킨 상태(슬라이드 패널(30) 오픈 상태)에서는 슬라이드 패널(30) 사이에 조리용 그릴 등을 거치시켜 사용할 수 있는 거치 공간부가 형성되므로, 이러한 거치 공간부를 활용하여 필요한 물품을 편리하게 쓸 수 있으면서도 인출된 각 슬라이드 패널(30) 상면 공간에는 상기 캠핑용 식기나 음식물을 등을 올려놓고 캠핑 등의 다양한 용도로 유용하게 쓸 수 있다. 거치 공간부는 그릴 등의 물품 거치 공간으로 활용하면서도 동시에 두 개의 인출된 슬라이드 패널(30)의 상면 공간은 충분히 면적이 넓어서 만족스럽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중요하다.
3. 한 쌍의 슬라이드 패널(30)을 닫아놓은 상태에서는 최대한 사이즈가 콤팩트해지면서도 각 슬라이드 패널(30)을 열어 놓은 상태에서는 활용 공간이 넓어지게 되므로 사이즈의 최소화와 사용 공간 활용도의 극대화라는 시너지 효과를 가지게 된다.
4. 그릴과 같이 캠핑에 필요한 물품을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 공간부를 슬라이드 패널(30)에 미리 확보하여야만 하는 기존과 달리 패널 프레임(10)에서 슬라이드 패널(30)을 닫아놓았다가 필요시 슬라이드 패널(30)을 열어서 거치 공간부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기존에 비하여 사이즈가 상당히 줄어드는 효과가 있으며, 주요부인 패널 프레임(10)과 슬라이드 패널(30) 및 레그(20)를 접은 상태(대략 반으로 접은 상태)에서는 접은 두께가 최대한 슬림해지므로 취급, 휴대시 등에 편리한 효과도 있다.
5. 패널 프레임(10) 저면에 구비된 픽싱볼트(42)의 픽싱 작용 헤드부(42a)가 슬라이드 패널(30)의 채널부(32)를 구성하는 가로 채널편(32b)의 상부 위치에 배치되고, 픽싱볼트(42)는 슬라이드 패널(30)의 상기 가로 채널편(32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픽싱슬롯(44)에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서, 패널 프레임(10)에서 슬라이드 패널(30)을 인출시킬 때에 픽싱슬롯(44)이 픽싱볼트(42)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픽싱슬롯(44)에는 내측면 사이의 거리(즉, 내부의 양쪽면 사이의 거리)가 점점 줄어드는 테이퍼홀 형태의 픽싱 작용 슬롯섹터(47)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픽싱볼트(42)의 픽싱 작용 헤드부(42a)의 저면은 아래로 갈수록 점점 단면적이 줄어드는 테이퍼면(42b)으로 구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패널(30)의 픽싱슬롯(44) 경로상에 구비된 픽싱 작용 슬롯섹터(47)가 픽싱볼트(42)의 픽싱 작용 헤드부(42a)의 저면 테이퍼부를 지나가면서 상기 슬라이드 패널(30)의 가로 채널편(32b)이 점점 아래로 내려가고, 상기 가로 채널편(32b)이 점점 내려가면 세로 채널편(32a)을 통해 가로 채널편(32b)에 연결된 슬라이드 패널(30) 전체가 점점 아래로 내려가면서 슬라이드 패널(30) 저면이 패널 프레임(10)의 상면에 가압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 패널(30)이 완전히 패널 프레임(10)에서 열린 상태에서 슬라이드 패널(30)을 패널 프레임(10)에 강하게 가압 밀착되어 슬라이드 패널(30)이 열린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슬라이드 패널(30)의 가로 채널부(32)는 패널 프레임(10)의 저면 아래에 배치되는데, 패널 프레임(10)에서 슬라이드 패널(30)이 인출될 때에 픽싱슬롯(44)에 구비된 픽싱 작용 슬롯섹터(47)와 픽싱볼트(42)의 헤드부(42c) 저면의 테이퍼면(42b)으로 인하여 슬라이드 패널(30)이 패널 프레임(10) 상면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고정되므로 슬라이드 패널(30)을 열어놓은 상태를 확실하게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픽싱 작용 슬롯섹터(47)는 슬라이드 패널(30)의 내측단과 외측단 사이의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한 쌍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어서, 슬라이드 패널(30)이 완전히 패널 프레임(10)에서 닫힌 상태(즉, 두 개의 슬라이드 패널(30)의 내측단끼리 접촉되어 거치 공간부를 닫은 상태)에서도 상기 픽싱 작용 슬롯섹터(47)와 픽싱볼트(42)에 의해 슬라이드 패널(30)을 패널 프레임(10)에 강하게 가압 밀착시켜서 슬라이드 패널(30)이 닫힌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슬라이드 패널(30)을 닫아 놓은 상태에서도 역시 슬라이드 패널(30)을 열어 놓은 상태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패널(30)이 패널 프레임(10)에 가압 밀착된 상태가 된다. 상기 슬라이드 패널(30)의 가로 채널부(32)는 패널 프레임(10)의 저면 아래에 배치되는데, 패널 프레임(10)에서 슬라이드 패널(30)이 닫힐 때에 픽싱슬롯(44)에 구비된 픽싱 작용 슬롯섹터(47)와 픽싱볼트(42)의 헤드부(42c) 저면의 테이퍼면(42b)으로 인하여 슬라이드 패널(30)이 패널 프레임(10) 상면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고정되므로 슬라이드 패널(30)을 닫아놓은 상태를 확실하게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6. 슬라이드 패널(30)의 측면부에는 스톱핑홀(30SH)이 구비되어, 슬라이드 패널(30)을 닫아놓은 상태에서 패널 프레임(10)의 외측면에 돌출된 패널 스톱핑볼(12SB)이 슬라이드 패널(30)의 스톱핑홀(30SH)에 결합되므로 슬라이드 패널(30)의 닫힌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슬라이드 패널(30)을 인출시킨 상태(열어 놓은 상태)에서도 패널 프레임(10)의 외측면에 돌출된 다른 패널 스톱핑볼(12SB)이 슬라이드 패널(30)의 다른 스톱핑홀(30SH)에 결합되므로 슬라이드 패널(30)의 열린 상태도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드 패널(30)의 채널부(32)를 구성하는 세로 채널편(32a)(수직 채널편)은 패널 프레임(10)의 외측면과 마주하는데, 채널편에 스톱핑홀(30SH)이 구비되어, 이러한 채널편의 스톱핑홀(30SH)에 패널 프레임(10) 외측면으로 돌출된 패널 스톱핑볼(12SB)이 결합되므로, 패널 프레임(10)에서 슬라이드 패널(30)이 열린 상태와 패널 프레임(10)에서 슬라이드 패널(30)이 닫힌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물론, 패널 프레임(10)의 패널 스톱핑볼(12SB)을 누른 상태에서 슬라이드 패널(30)을 닫아주거나 열어줄 수 있음은 당연하다.
7. 레그(20)를 펼쳐서 세운 상태에서 록킹핀(14LP)이 레그(20)의 기립 지지홀(22)과 레그 하우징(14)의 핀홀(14H)에 동시에 끼워지므로 레그(20)의 세운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레그(20)를 레그 하우징(14)에 수납한 상태에서는 록킹핀(14LP) 레그(20)의 폴딩 지지홀(24)과 레그 하우징(14)의 핀홀(14H)에 동시에 끼워지므로 레그(20)의 접혀진 상태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사용시의 신뢰성이 한층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8. 레그(20)는 패널 프레임(10)에 힌지부(H)를 통해 연결된 연결 레그(21)와, 이 연결 레그(21)에서 인출되는 조절 레그(23)를 포함하는데, 조절 레그(23)의 외표면으로 탄성 돌출된 레그 스톱핑볼(23SB)이 연결 레그(21)의 스톱핑볼 결합홀(12BH)에 끼워지므로, 조절 레그(23)가 연결 레그(21)에서 인출된 길이 조절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한다. 레그(20)의 길이가 조절될 때에 스톱핑볼 결합홀(12BH)에 레그 스톱핑볼(23SB)이 결합됨으로써 레그(20)의 길이 조절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물론, 레그 스톱핑볼(23SB)을 눌러줌으로써 조절 레그(23)를 연결 레그(21)에 대해 상대 슬라이드시켜서 레그(20)의 길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9. 상기 슬라이드 패널(30)은 채널부(32)가 구비된 둘레부를 제외한 나머지 둘레부에 보강 비드편이 더 구비되어 있어서, 슬라이드 패널(30) 자체가 두께가 얇은 판 구조라 하더라도 슬라이드 패널(30)이 휘어짐에 강한 특성을 지니게 된다. 슬라이드 패널(30)이 외부의 열작용 등에 의해 뒤틀림 변형을 가하려 하더라도 채널부(32)는 물론 보강 비드편이 슬라이드 패널(30)의 뒤틀림 응력에 강한 특성을 가지게 하므로, 슬라이드 패널(30) 자체가 뒤틀림 변형 등이 생기는 경우를 확실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패널 프레임 12. 프레임판
12BH. 스톱핑볼 결합홀 12SB. 스톱핑볼
12E. 탄성체 14. 레그 하우징
14H. 핀홀 14LP. 록킹핀
14PH. 핀하우징 14EL. 탄성체
16. 연결바아 18. 힌지기구
18a. 회동바아 20. 레그
21a. 레그 연결바아 21BH. 스톱핑볼 결합홀
22. 기립 지지홀 23. 조절레그
23SB. 레그 스톱핑볼 23SH. 레그 스톱핑홀
24. 폴딩 지지홀 30. 슬라이드 패널
30SH. 스톱핑홀 32. 채널부
32a. 세로 채널편 32b. 가로 채널편
40. 픽싱수단 42. 픽싱 볼트
42a. 픽싱 작용 헤드부 42b. 테이퍼면
42c. 헤드부 44. 픽싱 슬롯
46. 오픈 지지단부 47. 픽싱 작용 슬롯섹터
48. 클로즈 지지단부

Claims (10)

  1. 패널 프레임(10);
    상기 패널 프레임(10)에 구비된 레그(20);
    상기 패널 프레임(10)을 기준으로 내측단이 인접 배치되어 수납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패널 프레임(10)을 기준으로 서로 벌어지도록 펼쳐진 인출 상태에서는 상기 내측단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적어도 한 쌍의 슬라이드 패널(30);
    상기 슬라이드 패널(30)이 상기 패널 프레임(10)에서 벌어진 인출 상태에서 상기 패널 프레임(10)에 상기 슬라이드 패널(30)을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는 픽싱수단(40);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 프레임(10)은 상면에서 저면으로 연통된 공간부를 구비한 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패널(30)은 저면에 구비된 채널부(32)가 상기 패널 프레임(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패널 프레임(10)에서 서로 벌어지도록 인출되며, 상기 픽싱수단(40)은 상기 채널부(32)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패널(30)이 그립되도록 하여 상기 슬라이드 패널(30)의 인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패널(30)은 상기 패널 프레임(10)의 길이 방향으로 인출 작동되며,
    상기 픽싱수단(40)은,
    상기 패널 프레임(10)의 길이 방향 경로 상에 배치된 픽싱볼트(42);
    상기 픽싱볼트(42)가 끼워지도록 상기 슬라이드 패널(3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픽싱슬롯(44);을 포함하며,
    상기 픽싱슬롯(44)은 양쪽 끝단에 상기 슬라이드 패널(30)이 인출될 때에 상기 픽싱볼트(42)와 가까워지는 오픈 지지단부(46)와 상기 슬라이드 패널(30)이 수납될 때에 상기 픽싱볼트(42)와 가까워지는 클로즈 지지단부(48)를 구비하고, 상기 픽싱슬롯(44)의 경로 상에는 상기 오픈 지지단부(46)와 상기 클로즈 지지단부(48) 사이의 중심선(CL)에서 적어도 상기 오픈 지지단부(46)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줄어드는 픽싱 작용 슬롯섹터(47)가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 패널(30)이 상기 패널 프레임(10)에서 인출될 때에 상기 픽싱볼트(42)의 외주면을 상기 오픈 지지단부(46) 쪽의 상기 픽싱 작용 슬롯섹터(47)의 양쪽 내주면이 접촉되어 지나가면서 상기 픽싱볼트(42)의 외주면에 가압 밀착되고 상기 슬라이드 패널(30)을 상기 패널 프레임(10) 방향으로 당겨서 가압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테이블.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싱슬롯(44)의 경로 상에는 상기 오픈 지지단부(46)와 상기 클로즈 지지단부(48) 사이의 중심선(CL)에서 상기 클로즈 지지단부(48)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줄어드는 픽싱 작용 슬롯섹터(47)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테이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부(32)는 상기 슬라이드 패널(30)의 하측으로 연장된 세로 채널편(32a)과, 상기 세로 채널편(32a)에서 교차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패널 프레임(10)의 저면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가로 채널편(32b)을 포함하고, 상기 가로 채널편(32b)에 상기 픽싱슬롯(44)이 구비되어 상기 패널 프레임(10)의 저면에 구비된 상기 픽싱볼트(42)에 상기 픽싱슬롯(44)이 결합되며, 상기 픽싱볼트(42)는 상기 가로 채널편(32b)의 상면에 저면이 접촉되는 픽싱 작용 헤드부(42a)를 구비하며, 상기 픽싱 작용 헤드부(42a)의 저면은 상기 가로 채널편(32b)의 상면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줄어드는 테이퍼면(42b)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테이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픽싱볼트(42)는 상기 픽싱 작용 헤드부(42a)에 이어져서 상기 가로 채널편(32b)의 저면 아래에 배치되는 헤드부(42c)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테이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프레임(10)은,
    서로 나란한 한 쌍의 프레임판(12)에 각각 레그 하우징(14)이 구비되고, 상기 레그 하우징(14)에는 연결바아(16)의 양단부가 연결된 틀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프레임판(12)과 상기 레그 하우징(14)의 내측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패널 프레임 모듈(10M);
    한 쌍의 회동바아(18a)가 힌지부(H)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회동바아(18a)가 각각 상기 한 쌍의 패널 프레임 모듈(10M)의 상기 레그 하우징(14) 내측단에 각각 결합된 힌지기구(18)를 포함하며,
    상기 레그 하우징(14)에 상기 레그(20)의 상단부가 힌지부(H)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레그(20)는 상기 레그 하우징(14)에서 펼쳐지고 상기 레그 하우징(14)에 수납된 상태에서 록킹핀(14LP)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테이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20)는 상기 힌지부(H)의 주위에 원주 방향의 궤적상에 기립 지지홀(22)과 폴딩 지지홀(24)이 구비되고, 상기 레그 하우징(14)은 상기 레그(20)의 상기 기립 지지홀(22)과 상기 폴딩 지지홀(24)의 회전 궤적상에 배치되도록 핀홀(14H)이 구비되고, 상기 핀홀(14H)에 상기 록킹핀(14LP)이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록킹핀(14LP)은 탄성체에 의해 탄지되어 상기 레그 하우징(14)의 내부 공간부로 선단부가 돌출되어 상기 레그(20)의 상기 기립 지지홀(22) 또는 상기 폴딩 지지홀(24)에 삽입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테이블.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프레임(10)을 구성하는 프레임판(12)에는 탄성체에 의해 외부로 탄성적으로 출몰하는 스톱핑볼(12SB)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 패널(30)에는 상기 프레임판(12)의 상기 스톱핑볼(12SB)이 결합되는 스톱핑홀(30SH)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테이블.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20)는,
    상기 패널 프레임(10)에 힌지부(H)를 통해 상단부가 연결된 연결 레그(21);
    상기 연결 레그(2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조절 레그(2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 레그(21)는 레그 연결바아(21a)에 의해 적어도 한 쌍으로 연결된 연결 레그 셋트를 구성하고, 상기 패널 프레임(1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상기 힌지부(H)를 매개로 한 쌍의 연결 레그 셋트가 연결되고, 상기 연결 레그 셋트의 각각의 상기 연결 레그(21)에 상기 조절 레그(23)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조절 레그(23)의 내부에는 탄성체에 의해 외부로 탄성적으로 출몰하는 레그 조절 스톱핑볼(23SB)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 레그(21)에는 상기 레그 조절 스톱핑볼(23SB)이 결합되는 레그 조절 스톱핑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테이블.
KR1020140062047A 2014-05-23 2014-05-23 멀티 테이블 KR101618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047A KR101618751B1 (ko) 2014-05-23 2014-05-23 멀티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047A KR101618751B1 (ko) 2014-05-23 2014-05-23 멀티 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791A KR20150134791A (ko) 2015-12-02
KR101618751B1 true KR101618751B1 (ko) 2016-05-09

Family

ID=54883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2047A KR101618751B1 (ko) 2014-05-23 2014-05-23 멀티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7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20742A (zh) * 2019-10-29 2020-01-24 嘉兴铭度户外用品有限公司 一种伸缩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884B1 (ko) * 2013-08-07 2014-02-12 주식회사 효인산업 다기능 테이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884B1 (ko) * 2013-08-07 2014-02-12 주식회사 효인산업 다기능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791A (ko)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40100A1 (en) Foldable Banquet Table and Bench Set
US6792880B2 (en) Foldable table
KR200479333Y1 (ko) 학습용 멀티 거치대
US3861325A (en) Convertible folding table-carrel unit
KR101803436B1 (ko) 기능성 확장 테이블
KR101524151B1 (ko) 절첩 가능한 보조상판을 갖는 테이블
US6193308B1 (en) Collapsible chair having a table
KR102295408B1 (ko) 서랍형 받침대 수납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독서대
WO2017028464A1 (zh) 一种带折叠桌的翻转折叠床
US11684151B2 (en) Expandable folding table with removable insert panel assembly
KR101618751B1 (ko) 멀티 테이블
US8397651B2 (en) Configurable table and methods of use
KR102024231B1 (ko) 접이식 다용도 테이블
KR200480902Y1 (ko) 휴대용 테이블
KR20140104705A (ko) 독서대용 벨로우즈형 몸체 및 이를 이용한 접이식 독서대
KR20180025726A (ko) 확장형 테이블이 구비된 가구
KR20180008131A (ko) 슬라이딩식 확장형 테이블이 구비된 수납장 겸용 테이블
US9797545B2 (en) Interretractable folding stand
US9885443B2 (en) Interretractable folding piano stand
US11344112B1 (en) Extendable table assembly
KR20210001472U (ko) 휴대용 독서대
CN211021404U (zh) 一种可折叠的金属桌子
KR102189004B1 (ko) 단순한 구조의 절첩수단을 갖는 접이식 테이블
US20020124519A1 (en) Rod type foldable furniture
KR101084956B1 (ko) 독서대 책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