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661B1 - 기준 신호를 위한 적응적 자원 할당 방법 - Google Patents

기준 신호를 위한 적응적 자원 할당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661B1
KR101618661B1 KR1020090080639A KR20090080639A KR101618661B1 KR 101618661 B1 KR101618661 B1 KR 101618661B1 KR 1020090080639 A KR1020090080639 A KR 1020090080639A KR 20090080639 A KR20090080639 A KR 20090080639A KR 101618661 B1 KR101618661 B1 KR 101618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 allocation
reference signal
resource
signal
me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0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3051A (ko
Inventor
김성태
김윤선
한진규
조준영
샨청
이인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0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661B1/ko
Publication of KR20110023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30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2TPC of broadcast or control channels
    • H04W52/325Power control of control or pilot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반송파를 이용하는 다중 접속 방식을 적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 할당 결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송신단으로부터 수신한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 할당을 결정하기 위한 메트릭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메트릭에 따라 상기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 할당을 결정하여 상기 송신단에 통보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자원 할당에 따라 자원이 할당된 신호를 상기 송신단으로부터 수신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 할당 결정 방법에 따르면 기준 신호에 대한 고정적인 자원 할당으로 인해 낭비되거나 모자라는 자원을 적절히 재분배하여 전체 시스템 용량을 개선할 수 있다.
기준 신호, 자원 할당, 자원 요소, 전송 전력

Description

기준 신호를 위한 적응적 자원 할당 방법{METHOD OF ADAPTIVE RESOURCE ALLOCATION FOR REFERENCE SYMBOL}
본 발명은 일반적인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중 반송파(multi-carrier)를 이용하는 다중 접속 방식(multiple access scheme)을 적용한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SINR: 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채널 품질channel quality) , 채널의 랭크(rank), 데이터 전송률(data rate), 빔포밍 또는 송수신 다이버시티 등과 같은 전송 기법 및 송/수신 안테나의 수, 단말의 이동 속도, 채널의 시간 및 주파수 선택도(time selectivity and frequency selectivity), 상위 시그널링에 의한 제어정보(control information), 변조기법(modulation scheme) 및 부호화 율(code rate) 등에 따라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pilot symbol)에 적절한 양의 시간, 주파수 및 전력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pilot symbol)는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의 세기나 왜곡, 간섭의 세기, 가우시안 잡음(Gaussian noise)과 같은 기지국 과 사용자들 간의 채널의 상태를 측정하여 수신한 데이터 심볼(data symbol)의 복조(demodulation) 및 복호화(decoding)를 돕기 위해 이용되는 신호다. 3GPP LTE(-A) 또는 IEEE 802.16m 등과 같은 최근의 3세대 진화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 표준에서는 다중 접속 기법으로 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multiple access) )와 같은 다중 반송파를 이용한 다중 접속 기법을 주로 채택하고 있다. 상기 다중 반송파를 이용한 다중 접속기법을 적용한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의 경우, 참조 심볼을 시간 및 주파수상에서 몇 개의 시간 심볼 및 부반송파(subcarrier)에 위치하게 할 것인가에 따라 채널 추정 성능에서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채널 추정 성능은 참조 심볼에 얼마만큼의 전력이 할당되었는가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더 많은 자원을 참조 심볼에 할당하게 되면 채널 추정 성능이 향상되어 수신 데이터 심볼의 복조 및 복호화 성능도 향상된다. 그러나, 시간, 주파수 및 전력 자원은 한정되어 있으므로 전체 시스템 용량(system throughput) 성능 측면에서는 채널의 랭크(rank), 데이터 전송률(data rate), 빔포밍 또는 송수신 다이버시티 등과 같은 전송 기법 및 송/수신 안테나의 수, 단말의 이동 속도, 채널의 시간 및 주파수 선택도(time selectivity and frequency selectivity), 상위 시그널링에 의한 제어정보(control information), 변조기법(modulation scheme) 및 부호화 율(code rate) 등에 따라 자원을 적절하게 할당해야만 최적의 시스템 용량(system throughput) 성능을 얻을 수 있다. 그렇지만, 현재 LTE(-A) 등의 표준에서는 상기 열거한 채널 상태나 데이터 전송률 등과 무관하게 참조 심볼에 고정된 자원을 할당하고 있으므로 자원 할당이 효율적으로 이루 어지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기준 신호에 대한 고정적인 자원 할당으로 인해 낭비되거나 모자라는 자원을 채널 환경 및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다른 요소들을 바탕으로 적절히 배분하여 전체 시스템 용량 성능을 개선할 수 있도록 기준 신호에 대한 시간, 주파수 및 전력 자원을 동적으로 배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수신단의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 할당 결정 방법은 송신단으로부터 수신한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 할당을 결정하기 위한 메트릭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메트릭에 따라 상기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 할당을 결정하여 상기 송신단에 통보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자원 할당에 따라 자원이 할당된 신호를 상기 송신단으로부터 수신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송신단의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 할당 결정 방법은 상기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 할당을 결정하기 위해 수신단으로부터 측정되어 전송되는 메트릭을 수신하고, 상기 측정된 메트릭에 따라 상기 기준 신호에 대해 할당되는 자원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자원 할당을 상기 수신단에 통보할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자원 할당 통보 결정 시, 상기 결정된 자원 할당을 상기 수신단에 통보하고 상기 결정된 자원 할당에 따라 자원이 할당된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자원 할당 미통보 결정 시, 상기 결정된 자원 할당에 따라 자원이 할당된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메트릭은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 채널 품질, 채널의 랭크, 데이터 전송률, 빔포밍 또는 송수신 다이버시티 등과 같은 전송 기법 및 송/수신 안테나의 수, 단말의 이동 속도, 채널의 시간 및 주파수 선택도, 상위 시그널링에 의한 제어정보, 변조 기법 및 부호화 율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생성된 값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자원 할당 결정 방법은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의 개수 또는 전송 전력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을 변경하여 상기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 할당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자원할당 결정 방법은, 더 적은 수의 자원 요소를 할당하는 경우가 더 많은 수의 자원 요소를 할당하는 경우에 구조적으로 포함되는 형태로 자원 요소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자원할당 결정 방법은, 더 적은 수의 자원 요소를 할당하는 경우가 더 많은 수의 자원 요소를 할당하는 경우가 서로 특정한 구조적인 포함 관계를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자원 할당 결정 방법은, 개별 수신 단말 별로 자원 할당 방법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자원할당 결정 방법은, 기지국 별로 자원 할당 방법을 변경하여 특정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를 받는 모든 수신 단말에 대해서 동일한 자원할당 방 법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자원할당 결정 방법은, 전체 시스템 별로 자원 할당 방법을 변경하여 시스템에 속한 모든 수신 단말에 대해서 동일한 자원할당 방법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준 신호에 대한 고정적인 자원 할당으로 인해 낭비되거나 모자라는 자원을 채널 환경 및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다른 요소들을 바탕으로 기준 신호에 대한 시간, 주파수 및 전력 자원을 동적으로 분배한다. 따라서, 전체 시스템 용량을 개선할 수 있다는 효과가 창출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3세대 진화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 표준에서 기준 신호는 특정 단말을 위한 전용 신호 여부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공통 기준 신호 (Common Reference Signal, Common Pilot Symbol)와 전용 기준 신호 (Dedicated Reference Signal, Dedicated Pilot Symbol)로 나누어 진다. 이하에서는 상기 공통 기준 신호와 전용 기준 신호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공통 기준 신호는 3GPP LTE 시스템에서는 Cell-specific RS라고 일컬 어지며, 해당 기지국이 속한 셀(cell)의 모든 단말들에게 전송되는 기준 신호이다. 다중 안테나를 이용한 전송이 이루어 지는 경우에 대해서 채널 추정이 가능하도록 안테나 포트(antenna port) 별로 구분이 가능한 기준 신호 패턴이 정의 되어 있다. LTE 시스템에서는 최대 4개의 안테나 포트까지 지원한다.
한편, 전용 기준 신호는 공통 기준 신호와 별도로 추가적으로 전송되는 기준 신호이며, 기지국이 지정한 특정 단말에게만 전송된다. 3GPP LTE 시스템에서는 UE-specific RS라고 일컬어지기도 하며, 일반적으로 특정한 데이터 전송 기법을 사용할 때 이를 지원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미 기술했듯이 3세대 진화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 표준에서는 다중 안테나를 이용한 신호 전송을 지원하므로 다중 안테나 전송 기법을 지원하기 위해 각 안테나 포트 별 채널 추정이 가능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안테나 포트 별로 구별이 가능한 기준 신호가 전송되어야 하며, 수신하는 측에서는 이를 수신하여 각 안테나 별로 전송되는 신호들이 겪는 채널을 추정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서로 다른 안테나 포트를 위한 기준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면서 수신단에서 각각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여러 가지 다중화(multiplexing)방법이 사용된다. 이 경우 대표적인 다중화 방법은 주파수/시간 분할 다중화 기준 신호 (FDM/TDM-based orthogonal RS)를 이용한 다중화 방법, 코드 분할 다중화 기준 신호를 이용한 방법, 주파수/코드 분할 다중화 기준 신호를 이용한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다중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도록 한다.
도 1은 주파수/시간 분할 다중화 기준 신호 (FDM/TDM-based orthogonal RS)를 이용한 다중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주파수/시간 분할 다중화 기준 신호 배치 방법에서는 도 1과 같이 서로 다른 안테나 포트를 위한 기준 신호를 시간과 주파수 상에서 서로 다른 시간 심볼, 부반송파에 겹치지 않도록 배치하고 하나의 안테나 포트에 전송되는 데이터 트래픽 채널(data traffic channel)에서 다른 안테나 포트의 기준 신호를 위한 부반송파 위치에는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비워두게 된다. 예를 들어 안테나 포트 #0의 경우를 도 1에서 살펴보면 안테나 포트 #0을 위한 기준 신호는
Figure 112009053098064-pat00001
위치에 전송되며 이때 안테나 포트 #0에 전송되는 데이터 심볼은 다른 안테나 포트를 위한 기준 신호 위치인
Figure 112009053098064-pat00002
,
Figure 112009053098064-pat00003
,
Figure 112009053098064-pat00004
는 비워두고 전송된다. 따라서, 수신단에서는 각각의 안테나 포트 별 기준 신호 위치를 알고 있다면 각 안테나 포트 별로 데이터 트래픽이 겪게 되는 채널을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 신호 배치 방법은 LTE 시스템의 cell-specific RS의 배치에 사용되고 있다.
도 2는 코드 분할 다중화 기준 신호를 이용한 다중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코드 분할 다중화 기준 신호(CDM-based orthogonal RS) 배치 방법에서는 도 2와 같이 서로 다른 안테나를 위한 기준 신호들(
Figure 112009053098064-pat00005
,
Figure 112009053098064-pat00006
,
Figure 112009053098064-pat00007
,
Figure 112009053098064-pat00008
)을 주파수 상에서 동일한 부반송파에 겹쳐서 배치하고 Walsh 코드와 같은 직교 코드(orthogonal code) 또는 부 직교 코드(semi-orthogonal code) 등을 이용하여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코드 분할 다중화 기준 신호 배치 방법은 기준 신호 배치 밀도가 높아질 수 있으므로 채널 추정에서 유리한 면이 있지만, 코드 분할을 통해 서로 다른 기준 신호를 구분하기 때문에 채널의 영향으로 코드간의 직교성이 손상되면 간섭이 발생하여 채널 추정 성능을 저하시킬 수도 있다.
도 3은 주파수/코드 분할 다중화 기준 신호를 이용한 다중화 방법을 도시한다.
주파수/코드 분할 다중화 기준 신호 신호 (FDM/CDM orthogonal RS) 방법에서는 도 3과 같이 서로 다른 안테나를 위한 기준 신호들을 여러 개의 셋(set)으로 나누어 같은 셋의 기준 신호는 같은 부반송파에 겹치도록 배치하고 다른 셋의 기준 신호끼리는 서로 다른 부반송파에 배치한다. 여기서 같은 부반송파에 위치하는 같은 셋에 속한 기준 신호 사이의 구분은 코드 분할 다중화 방법을 적용한다. 도 3의 예시에서 살펴보면
Figure 112009053098064-pat00009
,
Figure 112009053098064-pat00010
을 하나의 셋으로 구성하고
Figure 112009053098064-pat00011
,
Figure 112009053098064-pat00012
를 하나의 셋으로 구성하여 각각의 셋 안에서는 직교 코드를 이용하여 기준 신호를 구분하고 서로 다른 셋끼리는 주파수 상에서 서로 다른 부반송파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구분한다.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상기와 같은 방법을 바탕으로 전송된 기준 신호들을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하게 되고 채널 추정 결과값은 시스템의 전송 효율 개선을 위한 기법들에 이용되고 있다.
앞에서 설명했듯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시간, 주파수, 그리고 전력 자원은 한정되어 있으므로 전체 시스템 용량 측면에서 최적의 성능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기준 신호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신호 사이에 적절한 자원 배분이 필요하다. 게다가 자원 배분의 최적값은 평균적인 채널의 상태, 채널의 랭크, 데이터 전송률, 변조 기법 및 부호화 율 등의 다양한 요소들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그러나, 앞에서 설명한 종래의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 할당 방법은 채널 환경 및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다른 요소 등과 무관하게 시간, 주파수 및 전력 자원이 고정적으로 할당되므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우선, 첫번째로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각각의 셀은 지형과 산란체(scatterer)분포 등의 차이로 인해 셀에 속한 단말들의 장구간 평균 신호 대 간섭 및 잡음비가 각 셀마다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에도 종래의 기준 신호에 대한 시간, 주파수 및 전력 자원 할당 방법은 이에 대응하여 최적의 자원 할당을 할 수 없다.
두 번째로,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셀에 속한 서로 다른 단말은 각각 이동 속도나 주변의 산란체 분포, 지형 등에 의해서 평균 채널 상태(average channel quality)가 서로 다르지만, 종래의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 할당 방법은 이와 같은 요소를 고려하지 않은 고정적인 할당 방식이므로 시스템 용량 성능을 개선할 수 없다.
세 번째로,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단말은 순시적으로 서로 다른 채널 상황을 겪게 되므로 서로 다른 변조방식과 부호화 방식이 적용되고,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채널 추정 정확도가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고정적인 기준 신호 자원 할당 방식은 이에 대응하지 못하므로 자원이 주변 채널 상황 등에 따라 적절히 분배되지 못하여 전체 시스템 용량 향상을 위한 최적 자원 배분에 비해 자원이 낭비되거나 모자라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이 기준 신호에 대한 고정적인 자원 할당으로 인해 낭비되거나 모자라는 자원을 채널 환경 및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다른 요소들을 바탕으로 적절히 배분하여 전체 시스템 용량 성능을 개선할 수 있도록 기준 신호에 대한 시간, 주파수 및 전력 자원을 동적으로 배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1) 기준 신호 전송을 위한 자원의 종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할당되는 자원은 다음의 2가지가 있다.
우선,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할당되는 첫 번째 자원은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이다. 3GPP LTE에서 하나의 변조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시간 및 주파수 자원으로서 OFDM(A) 심볼의 각각의 부반송파를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라 일컫는다. 기준 신호 역시 시간 및 주파수 자원인 자원 요소를 할당 받아 전송되게 된다.
그리고 기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할당되는 두 번째 자원은 전송 전력이다.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전송하는데 쓰이는 송신 전력은 제한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OFDM(A) 심볼을 전송할 때 각각의 부반송파에 사용 가능한 최대 전송 전력을 적절하게 할당하여 송신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2) 기준 신호에 대한 적응적 자원할당
본 발명은 앞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기준 신호에 대한 고정적인 자원 할당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열거한 기준 신호 전송을 위한 자원들(즉, 자원 요소와 전송 전력)을 다음과 같은 기준 신호 할당 요소에 따라 적응적으로 기준 신호에 대해 할당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 신호 할당 요소는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 채널 품질, 채널의 랭크, 데이터 전송률, 빔포밍 또는 송수신 다이버시티 등과 같은 전송 기법 및 송/수신 안테나의 수, 단말의 이동 속도, 채널의 시간 및 주파수 선택도, 상위 시그널링에 의한 제어정보, 변조 기법 및 부호화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을 적응적으로 할당하기 위한 방법을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는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을 시간/주파수 자원에 대해 적응적으로 할당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는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을 전력 자원에 대해 적응적으로 할당하는 방법이다. 세 번째는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을 시간/주파수 자원 및 전력 자원에 대해 적응적으로 할당하는 방법이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세 가지 방법에 따른 기준 신호에 대한 적응적 자원 할당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도록 한다.
A. 시간/주파수 자원의 적응적 할당
우선,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을 시간/주파수 자원에 대해 적응적으로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도록 한다. 이 경우, 시간/주파수 자원의 적응적 할당이란 아래의 [표 1]과 같은 방식으로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 채널 품질, 채널의 랭크, 데이터 전송률, 빔포밍 또는 송수신 다이버시티 등과 같은 전송 기법 및 송/수신 안테나의 수, 단말의 이동 속도, 채널의 시간 및 주파수 선택도, 상위 시그널링에 의한 제어정보, 변조 기법 및 부호화율 등의 요소의 값에 따라 기준신호에 할당되는 자원 요소의 개수를 바꾸는 방법이다.
[표 1] 기준 신호를 위한 적응적 자원 요소 할당
Number of
allocated RE
SINR Data rate MCS level
24 20dB 3 Mbps 64QAM, 2/3
20 18dB 2 Mbps 64QAM, 1/2
10 6dB 0.5 Mbps QPSK, 2/3
8 4dB 0.3 Mbps QPSK, 1/2
상기 표 1에서, 기준 신호가 할당되는 자원 요소의 양(Number of allocated RE)은 기준 신호 할당 요소의 값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을 시간/주파수 자원에 대해 적응적으로 할당하는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서 도시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높은 채널 추정 성능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상기 도 4의 (a)와 같이 적은 수의 자원 요소가 기준 신호에 할당된다. 반면, 높은 채널 추정 성능이 필요한 경우 도 4의 (b)와 같이 더 많은 수의 자원 요소가 기준 신호에 할당된다.
이 경우, 높은 채널 추정 성능이 필요한 경우는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 채널 품질, 채널의 랭크, 데이터 전송률, 빔포밍 또는 송수신 다이버시티 등과 같은 전송 기법 및 송/수신 안테나의 수, 단말의 이동 속도, 채널의 시간 및 주파수 선택도, 상위 시그널링에 의한 제어정보, 변조기법및부호화율이낮은경우등을예시할수있다. 또한, 낮은 채널 추정 성능이 필요한 경우는 앞에서 열거한 요소들의 값이 높거나 높은 레벨의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을 적용한 경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 4의 (a), (b)와 같이 더 적은 수의 자원 요소를 할당하는 (a)의 경우(하위 레벨)가 더 많은 수의 자원 요소를 할당하는 (b)의 경우(상위 레벨)에 구조적으로 포함되는 형태(상위 레벨의 자원 할당 패턴에서 일부를 천공하면 하위 레벨의 자원 할당 패턴이 만들어지는 구조)로 자원 요소를 할당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자원 할당 방법이 자원 요소의 할당이 하위 레벨이 상위 레벨에 포함되지 않는 구조의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할당하는 자원 요소의 개수나 패턴, 자원 할당 단계는 [표 1]의 경우나 도 4에 도시한 경우에 제한되지 않으며, 보다 더 다양하고 일반적인 방법을 적용하여, 더 많은 단계를 둘 수 있다. 한 예로, [표 1]이나 도 4에 도시한 경우와 반대로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 채널 품질, 채널의 랭크, 데이터 전송률, 빔포밍 또는 송수신 다이버시티 등과 같은 전 송 기법 및 송/수신 안테나의 수, 단말의 이동 속도, 채널의 시간 및 주파수 선택도, 상위 시그널링에 의한 제어정보, 변조 기법 및 부호화 율 등이 높은 경우에 더 적은 수의 자원을 할당하고, 반대의 경우에 더 많은 수의 자원을 할당할 수 도 있다.
B. 전력 자원의 적응적 할당
다음으로,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을 전력 자원에 대해 적응적으로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도록 한다. 이는 시간/주파수 자원과 마찬가지로 [표 2]와 같은 방식으로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 채널 품질, 채널의 랭크, 데이터 전송률, 빔포밍 또는 송수신 다이버시티 등과 같은 전송 기법 및 송/수신 안테나의 수, 단말의 이동 속도, 채널의 시간 및 주파수 선택도, 상위 시그널링에 의한 제어정보, 변조 기법 및 부호화율 등에 따라 요구되는 채널 추정 성능에 맞추어 할당되는 전력량을 조절하는 방법이다.
[표 2] 기준 신호를 위한 적응적 전력 자원 할당
Power gain
Figure 112009053098064-pat00013
SINR Data rate MCS level
2.1 20dB 3 Mbps 64QAM, 2/3
2 18dB 2 Mbps 64QAM, 1/2
1.2 6dB 0.5 Mbps QPSK, 2/3
1.1 4dB 0.3 Mbps QPSK, 1/2
상기 표 2에서, 기준 신호가 할당되는 전력 자원(Power Gain)은 기준 신호 할당 요소의 값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을 전력 자원에 대해 적응적으로 할당하는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에서는 [표 2]의 전력 자원의 적응적 할당의 하나의 예시를 보이고 있다. 도 5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각각의 자원 요소에 할당되는 전력량을
Figure 112009053098064-pat00014
(i 는 시간축 심볼 인덱스, j 는 주파수축 부반송파 인덱스), 전송할 때 할당할 수 있는 전체 최대 전력량을
Figure 112009053098064-pat00015
라 하면 각각의 자원 요소에 할당되는 전력량은 [수학식 1 ]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09053098064-pat00016
여기서 모든 데이터 심볼에 할당되는 전력량이
Figure 112009053098064-pat00017
로 동일하고, 기준 신호에 할당되는 전력량도
Figure 112009053098064-pat00018
로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a), (b)의 경우에서 자원 요소에 할당되는 전력량에 대한 식은 각각 [수학식 2], [수학식 3]과 같다.
[수학식 2]
Figure 112009053098064-pat00019
[수학식 3]
Figure 112009053098064-pat00020
여기서
Figure 112009053098064-pat00021
는 각각 기준 신호의 개수와 데이터 심볼의 개수이고
Figure 112009053098064-pat00022
,
Figure 112009053098064-pat00023
는 각각 (a), (b)의 경우에서 데이터 심볼 전력량
Figure 112009053098064-pat00024
에 대한 기준 신호 전력량
Figure 112009053098064-pat00025
의 이득으로 다음의 [수학식 4]와 같이 표현된다.
[수학식 4]
Figure 112009053098064-pat00026
이 때
Figure 112009053098064-pat00027
,
Figure 112009053098064-pat00028
의 값은 1보다 크며, (a)와 (b)의 경우 에서는 (a)보다 (b)가 더 높은 채널 추정 성능을 요구하는 경우이므로
Figure 112009053098064-pat00029
<
Figure 112009053098064-pat00030
와 같이 전력량을 할당한다. 보다 일반적인 경우에는 각각의 자원 요소에 할당되는 전력량이 데이터 심볼과 기준 신호 별로 동일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런 경우에도 (b)의 경우가 (a)의 경우보다 기준 신호에 더 많은 전력 자원을 할당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전력 자원 할당 방식은 도 5에 도시한 경우에 제한되지 않으며, 보다 더 다양하고 일반적인 형태의 자원 할당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더 많은 단계를 둘 수 있다. 한 예로, [표 2]나 도 5에 도시한 경우와 반대로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 채널 품질, 채널의 랭 크, 데이터 전송률, 빔포밍 또는 송수신 다이버시티 등과 같은 전송 기법 및 송/수신 안테나의 수, 단말의 이동 속도, 채널의 시간 및 주파수 선택도, 상위 시그널링에 의한 제어정보, 변조 기법 및 부호화 율 등이 높은 경우에 더 적은 양의 전력자원을 할당하고, 반대의 경우에 더 많은 양의 전력 자원을 할당할 수 도 있다.
C. 시간/주파수 및 전력 자원의 적응적 할당
다음으로,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을 시간/주파수 및 전력 자원에 대해 적응적으로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도록 한다.
상기 열거한 시간/주파수 자원과 전력 자원의 적응적 할당을 기준 신호 할당에 동시에 적용하여 더 일반적인 형태의 적응적 자원 할당을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을 시간/주파수 및 전력 자원에 대해 적응적으로 할당하는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우선, [표 3]과 도 6에 보여진 예시의 경우와 같이]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 채널 품질, 채널의 랭크, 데이터 전송률, 빔포밍 또는 송수신 다이버시티 등과 같은 전송 기법 및 송/수신 안테나의 수, 단말의 이동 속도, 채널의 시간 및 주파수 선택도, 상위 시그널링에 의한 제어정보, 변조기법및부호화율등에따라요구되는채널추정성능에맞추어할당하는자원의양을조절한다. 이 때 자원 할당의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것에 제한 되지 않으며, 보다 더 다양하고 일반적인 방법들을 적용할 수 있고, 더 많은 단계를 나누어 적용할 수 있다. 한 예로, [표 3]나 도 6에 도시한 경우와 반대로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 채널 품질, 채널의 랭크, 데이터 전송률, 빔포밍 또는 송수신 다이버시티 등과 같은 전송 기법 및 송/수신 안테나의 수, 단말의 이동 속도, 채널의 시간 및 주파수 선택도, 상위 시그널링에 의한 제어정보, 변조 기법 및 부호화 율 등이 높은 경우에 더 적은 수의 자원 요소와 더 적은 양의 전력자원을 할당하고, 반대의 경우에 더 많은 수의 자원 요소와 더 많은 양의 전력 자원을 할당할 수 도 있다.
[표 3] 기준 신호를 위한 적응적 자원 할당
Number of
allocated RE
Power gain
Figure 112009053098064-pat00031
SINR Data rate MCS level
24 2.1 20dB 3 Mbps 64QAM, 2/3
20 2 18dB 2 Mbps 64QAM, 1/2
10 1.2 6dB 0.5 Mbps QPSK, 2/3
8 1.1 4dB 0.3 Mbps QPSK, 1/2
3) 기준 신호에 대한 적응적 자원 할당 과정
상기 설명된 기준 신호의 적응적 자원 할당을 위해서는 송신단과 수신단이 할당되는 자원의 양과 패턴 등을 동시에,알고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정보를 송신단과 수신단이 공유하는 방법은 송신단과 수신단 중에서 어느 쪽이 할당되는 자원의 양과 패턴을 결정하는가와 어떻게 정보를 공유하는 가에 따라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다.
A. 수신단이 자원 할당량을 결정하는 경우
도 7은 수신단이 기준 신호 자원 할당량을 결정하는 경우의 송, 수신기 동작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다.
먼저 수신단은 S710 단계에서, 수신한 기준 신호를 바탕으로 기준 신호 자원 할당량을 결정하기 위한 메트릭(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 채널 품질, 채널의 랭크, 데이터 전송률, 빔포밍 또는 송수신 다이버시티 등과 같은 전송 기법 및 송/수신 안테나의 수, 단말의 이동 속도, 채널의 시간 및 주파수 선택도, 상위 시그널링에 의한 제어정보, 변조 기법 및 부호화율 등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기반으로 생성함)을 측정한다.
그리고 수신단은 S720 단계에서, 측정된 내용을 바탕으로 기준 신호 자원 할당량을 결정한다. 그리고 수신단은 S730 단계에서 결정된 기준 신호 자원 할당량을 송신단에 통보 한다.
이 때 기준 신호 자원 할당량은 [표 1, 2, 3]과 같은 형태로 기 공유된 테이블이 존재할 수도 있고, 할당될 자원 요소의 개수나 전력량의 범위만이 정해져 있어 그 값을 직접 통보해줄 수도 있다.
그러면 송신단은 S740 단계에서, 수신단이 통보해준 기준 신호 자원 할당량을 바탕으로 기준 신호와 데이터 심볼의 자원 할당을 한다. 그리고 송신단은 S750 단계에서 송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한다.
그러면 수신단은 S760 단계에서, 상기 송신단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B. 송신단이 결정하는 경우
도 8은 송신단이 기준 신호 자원 할당량을 결정하는 경우의 송, 수신기 동작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송신단에서 기준 신호 자원 할당량을 결정하는 경우는 결정된 기준 신호 자원 할당량이 함축적으로 통보 되는가에 따라 두 가지 방법으로 나뉜다. 먼저 기준 신호 자원 할당량을 결정하기 위해, 수신단은 S805 단계에서 수신한 기준 신호를 바탕으로 기준 신호 자원 할당량을 결정하기 위한 메트릭(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 채널 품질, 채널의 랭크, 데이터 전송률, 빔포밍 또는 송수신 다이버시티 등과 같은 전송 기법 및 송/수신 안테나의 수, 단말의 이동 속도, 채널의 시간 및 주파수 선택도, 상위 시그널링에 의한 제어정보, 변조 기법 및 부호화 율 등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기반으로 생성함)을 측정하여 송신단에 보고한다.
이 경우, 결정된 기준 신호 자원 할당량이 어떤 형태로 통보 되는가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가지 방법으로 나뉜다.
B-1) 함축적인 자원 할당량 통보 방법
함축적인 통보 방법의 경우, 수신단에서 측정한 메트릭에 따라서 결정될 기준 신호 자원 할당량이 [표 1], [표 2], [표 3]과 같은 형태로 미리 정해져 있는 경우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미리 정해진 기준 신호 자원 할당량에 대한 정보는 송, 수신단이 미리 공유하고 있다.
따라서, 수신단은 메트릭을 측정하여 송신단에 보고한 직 후, 기준 신호 자원 할당량을 바로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신단은 측정된 메트릭을 바탕으로 기 공유된 기준 신호 자원 할당량 결정 테이블에 따라 자원 할당량이 결정될 것을 가정하고 송신단으로부터 보내지는 신호를 수신한다. 따라서 송신단은 수신단으로부터 보고받은 측정 메트릭을 바탕으로 결정된 기준 신호 자원 할당량을 수신단에게 추가적으로 통보해줄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송신단은 결정된 기준 신호 자원 할당량을 바탕으로 기준 신호와 데이터 심볼에 대한 자원 할당을 수행하여 신호를 송신한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대한 수신단과 송신단의 동작 절차를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수신단이 S805 단계에서 기준 신호 자원 할당량을 위한 메트릭을 측정하고 보고한다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다. 그리고 수신단은 S810 단계로 진행하여 함축적인 기준 신호 자원 결정량을 통보할 것인지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신단은 함축적인 기준 신호 자원 결정량을 통보하므로, S815 단계로 진행하여 기 공유된 기준 신호 자원 할당량에 따라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 할당량이 결정될 것을 가정한다. 그리고 수신단은 S820 단계에서 송신단이 전송하는 송신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이에 대해, 송신단은 S825 단계에서, 수신단으로부터 전송되는 메트릭을 수신하고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 할당량을 결정한다. 그리고 송신단은 S830 단계에서, 함축적인 자원 결정량 통보라 판단한 경우에는 S840 단계로 진행하여, 결정된 기준 신호 자원 할당량을 바탕으로 기준 신호와 데이터 심볼에 대한 자원 할당을 수행한다. 그리고 송신단은 S845 단계에서, 상기 송신 신호를 변조한 후 수신단으 로 전송한다.
B-2) 명시적인 자원 할당량 통보 방법
명시적인 통보 방법의 경우, 수신단에서 측정한 메트릭에 따라서 결정될 자원 할당량이 [표 1, 2, 3]과 같은 형태로 기 공유된 테이블이 존재할 수도 있고, 할당될 자원 요소의 개수나 전력량의 범위만이 정해져 있어 측정된 메트릭을 바탕으로 범위 내에서 값이 정해질 수도 있다. 그러므로 수신단에서 측정된 메트릭이 송신단에 보고되면 송신단은 수신한 메트릭을 바탕으로 기준 신호 자원 할당량을 결정하여 수신단에 통보한다. 그리고 수신단은 상기 결정된 기준 신호 자원 할당량을 바탕으로 전송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한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대한 수신단과 송신단의 동작 절차를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수신단이 S805 단계에서 기준 신호 자원 할당량을 위한 메트릭을 측정하고 보고한다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다. 그리고 수신단은 S810 단계로 진행하여 함축적인 기준 신호 자원 결정량을 통보할 것인지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신단은 명시적인 기준 신호 자원 결정량을 통보하므로, S850 단계로 진행하여 송신단에서 전송되는 기준 신호 자원 할당량 수신 시까지 대기한다. 그리고 수신단은 송신단으로부터 기준 신호 자원 할당량 수신 시, S820 단계로 진행하여 송신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송신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이에 대해, 송신단은 S825 단계에서 수신단으로부터 전송되는 기준 신호 자원 할당 결정을 위해 측정된 메트릭을 수신한다. 그리고 송신단은 S830 단계로 진 행하여 함축적인 자원 결정량을 통보할 것인지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명시적인 자원 결정량을 통보할 것이므로, 송신단은 S835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메트릭을 기준으로 기준 신호 자원 할당량을 결정하고 이를 수신단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송신단은 S840 단계에서, 결정된 기준 신호 자원 할당량을 바탕으로 기준 신호와 데이터 심볼에 대한 자원 할당을 수행한다. 그리고 송신단은 S845 단계에서, 상기 송신 신호를 변조한 후 수신단으로 전송한다.
4) 기준 신호에 대한 적응적 자원 할당량 변화의 범위
상기에서는 기준 신호에 대해 적응적으로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그리고 한편으로는 상기한 적응적 자원 할당 방법을 어느 범위까지 적용시킬 것인가를 정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기준 신호에 대한 적응적 자원 할당량 변화의 범위의 예시에 대해 기술하도록 한다.
A. 특정 셀의 기준 신호에 대한 정적 자원 할당 (Cell-specific Static Resource Allocation for R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응적 자원 할당은 셀 단위로 결정될 수도 있다. 시스템을 설치하는 단계 또는 운용하는 도중에 사업자가 특정 셀이나 셀의 집단의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 채널 품질, 채널의 랭크, 데이터 전송률, 빔포밍 또는 송수신 다이버시티 등과 같은 전송 기법 및 송/수신 안테나의 수, 단말의 이동 속 도, 채널의 시간 및 주파수 선택도, 상위 시그널링에 의한 제어정보, 변조 기법 및 부호화 율등의측정값을바탕으로기준신호에대한자원할당량을결정하여변경할수있다. 이러한 방법은 특정 시간 주기당 동작하는 동적인 자원 할당 방식은 아니지만, 종래의 기술처럼 모든 셀의 기준 신호에 동일한 양의 자원을 할당하는 경우보다 전체 시스템 용량 측면에서 이득을 얻을 수 있다.
B. 특정 사용자의 기준 신호에 대한 할당 (UE-specific Resource Allocation for R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응적 자원 할당은 사용자(단말) 단위로 결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위로 결정되는 적응적 자원 할당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다.
B-1) 부-정적 자원 할당(Semi-static resource allocation)
부-정적 자원 할당의 경우, 송신기 또는 수신기는 장구간 평균 신호 대 잡음 및 간섭 비나 평균 채널 품질(average channel quality)과 같은 장구간(long term) 채널 정보를 바탕으로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을 할당한다. 장구간 채널 정보를 바탕으로 자원을 할당하므로 한번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 할당이 결정되면, 하나의 사용자가 기지국과 통신을 시작하여 해당 셀에서 다른 셀로 핸드 오버하거나, 통신을 종료할 때까지 등의 긴 시간 동안 유지된다. 단, 셀 단위 자원 할당의 경우와는 다르게 장구간 채널 정보가 변화하게 되면 그에 맞추어 자원 할당을 변경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자원 할당의 변화가 주기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장구간 채널 정보가 변화할 정도로 매우 긴 주기로 변화하게 된다.
B-2) 동적 자원 할당 (Dynamic resource allocation)
동적 자원 할당의 경우 송신기 또는 수신기는 채널의 랭크, 데이터 전송률이나 변조 및 부호화 레벨 등과 같은 단구간(short term) 채널 정보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정보를 기준으로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을 할당한다. 단구간 채널 정보를 바탕으로 자원이 할당되므로 앞의 두 가지 방법에 비해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 할당량이 매우 자주 그리고 주기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자원 할당의 주기는 프레임이나 서브 프레임과 같이 매우 짧을 수도 있고, 수 프레임이나 수십 프레임 단위로 길게 설정할 수도 있다. 기준 신호에 대한 동적 자원 할당의 경우 단구간 채널의 변화에 따라 동적으로 자원 할당이 변화하므로 앞의 두 가지 방법과 비교하여 종래 기술 대비 가장 큰 시스템 용량 성능 개선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적용 가능한 자원 할당의 변화 주기나 범위 등은 앞에서 언급한 기준 신호에 대한 적응적 자원 할당량 변화의 범위의 내용에만 제한되지 않고, 장구간 메트릭을 이용한 동적 할당이나 단구간 메트릭을 이용한 부-정적 할당과 같이 보다 더 다양하고 일반적인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주로 3GPP LTE 시스템에 기반하여 기술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내용은 3GPP LTE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고, 다중 반송파를 이용한 다중 접속방식을 적용한 일반적인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모두 통용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주파수/시간 분할 다중화 기준 신호 (FDM/TDM-based orthogonal RS)를 이용한 다중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코드 분할 다중화 기준 신호를 이용한 다중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주파수/코드 분할 다중화 기준 신호를 이용한 다중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을 시간/주파수 자원에 대해 적응적으로 할당하는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을 전력 자원에 대해 적응적으로 할당하는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을 시간/주파수 및 전력 자원에 대해 적응적으로 할당하는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수신단이 기준 신호 자원 할당량을 결정하는 경우의 송, 수신기 동작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8은 송신단이 기준 신호 자원 할당량을 결정하는 경우의 송, 수신기 동작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

Claims (16)

  1. 다중 반송파를 이용하는 다중 접속 방식을 적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수신단의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 할당 결정 방법에 있어서,
    송신단으로부터 수신한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 할당을 결정하기 위한 메트릭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메트릭에 기반하여 상기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 할당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자원 할당을 상기 송신단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자원 할당에 따라 자원이 할당된 신호를 상기 송신단으로부터 수신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 할당 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결정 단계는,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의 개수 또는 전송 전력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을 변경하여 상기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 할당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 할당 결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릭 측정 단계는,
    측정된 메트릭이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 채널 품질, 채널의 랭크, 데이터 전송률, 빔포밍 또는 송수신 다이버시티 등과 같은 전송 기법 및 송/수신 안테나의 수, 단말의 이동 속도, 채널의 시간 및 주파수 선택도, 상위 시그널링에 의한 제어 정보, 변조 기법 및 부호화 율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생성된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 할당 결정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결정 단계는,
    더 적은 수의 자원 요소를 할당하는 경우가 더 많은 수의 자원 요소를 할당하는 경우에 구조적으로 포함되는 형태로 자원 요소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 할당 결정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할당 결정 단계는,
    더 적은 수의 자원 요소를 할당하는 경우와 더 많은 수의 자원 요소를 할당하는 경우가 서로 특정한 구조적인 포함 관계를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 할당 결정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결정 단계는,
    개별 수신 단말 별로 자원 할당 방법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 할당 결정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할당 결정 단계는,
    기지국 별로 자원 할당 방법을 변경하여 특정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를 받는 모든 수신 단말에 대해서 동일한 자원할당 방법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 할당 결정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할당 결정 단계는,
    전체 시스템 별로 자원 할당 방법을 변경하여 시스템에 속한 모든 수신 단말에 대해서 동일한 자원할당 방법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 할당 결정 방법.
  9. 다중 반송파를 이용하는 다중 접속 방식을 적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수신단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송신단으로부터 수신한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 할당을 결정하기 위한 메트릭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메트릭에 기반하여 상기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 할당을 결정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결정된 자원 할당을 상기 송신단에 전송하고,
    상기 결정된 자원 할당에 따라 자원이 할당된 신호를 상기 송신단으로부터 수신하여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수신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의 개수 또는 전송 전력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을 변경하여 상기 기준 신호에 대한 자원 할당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단.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릭은 측정된 메트릭이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 채널 품질, 채널의 랭크, 데이터 전송률, 빔포밍 또는 송수신 다이버시티 등과 같은 전송 기법 및 송/수신 안테나의 수, 단말의 이동 속도, 채널의 시간 및 주파수 선택도, 상위 시그널링에 의한 제어정보, 변조 기법 및 부호화 율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생성된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단.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더 적은 수의 자원 요소를 할당하는 경우가 더 많은 수의 자원 요소를 할당하는 경우에 구조적으로 포함되는 형태로 자원 요소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단.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더 적은 수의 자원 요소를 할당하는 경우와 더 많은 수의 자원 요소를 할당하는 경우가 서로 특정한 구조적인 포함 관계를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단.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개별 수신 단말 별로 자원 할당 방법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단.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지국 별로 자원 할당 방법을 변경하여 특정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를 받는 모든 수신 단말에 대해서 동일한 자원할당 방법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단.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원할당 결정 방법은, 전체 시스템 별로 자원 할당 방법을 변경하여 시스템에 속한 모든 수신 단말에 대해서 동일한 자원할당 방법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단.
KR1020090080639A 2009-08-28 2009-08-28 기준 신호를 위한 적응적 자원 할당 방법 KR101618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639A KR101618661B1 (ko) 2009-08-28 2009-08-28 기준 신호를 위한 적응적 자원 할당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639A KR101618661B1 (ko) 2009-08-28 2009-08-28 기준 신호를 위한 적응적 자원 할당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051A KR20110023051A (ko) 2011-03-08
KR101618661B1 true KR101618661B1 (ko) 2016-05-09

Family

ID=43931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0639A KR101618661B1 (ko) 2009-08-28 2009-08-28 기준 신호를 위한 적응적 자원 할당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6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04780B2 (en) 2013-07-09 2021-01-2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channel st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reconfiguration of usage of radio resource
US11646911B2 (en) 2018-09-28 2023-05-0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radio link monitoring and apparatus theref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6896A (ja) * 2006-09-05 2008-03-21 Sanyo Electric Co Ltd パイロット信号の割り当て方法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無線装置
KR100853901B1 (ko) * 2003-12-05 2008-08-25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전용 기준신호 및 트래픽 신호간에 자원을 적응적으로할당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901B1 (ko) * 2003-12-05 2008-08-25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전용 기준신호 및 트래픽 신호간에 자원을 적응적으로할당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08066896A (ja) * 2006-09-05 2008-03-21 Sanyo Electric Co Ltd パイロット信号の割り当て方法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無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051A (ko) 201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56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eference signal
JP7170636B2 (ja) スケジューリングパラメータに応じたpt-rs設定
EP277564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ter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06170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인지 검출 방법 및 장치
CN108496387B (zh) 基站装置、终端装置以及通信方法
KR100708291B1 (ko)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US9985743B2 (en) Channel quality indicator for time, frequency and spatial channel in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US848848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cell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MIM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787504B2 (en) Channel estim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perative communication in a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239580B1 (ko) 기지국 장치, 이동국 장치, 블록 배치 방법, 데이터 수신 방법 및 집적 회로
US9936505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US856577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plink scheduling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8496388B (zh) 基站装置、终端装置以及通信方法
EP2154792B1 (en) Method for reducing interference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cellular radio communication network and corresponding base station
KR2018007433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1618661B1 (ko) 기준 신호를 위한 적응적 자원 할당 방법
KR101319626B1 (ko) 하향링크 제어정보 전송 방법 및 이동통신 시스템
KR101610769B1 (ko) 기준 신호에 대한 통합 자원 할당 방법
KR20120107167A (ko) 기지국과 패킷 스케줄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