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7763B1 - 동시제어형 피치각 조절장치를 갖는 수직형 풍력터빈 - Google Patents

동시제어형 피치각 조절장치를 갖는 수직형 풍력터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7763B1
KR101617763B1 KR1020140141956A KR20140141956A KR101617763B1 KR 101617763 B1 KR101617763 B1 KR 101617763B1 KR 1020140141956 A KR1020140141956 A KR 1020140141956A KR 20140141956 A KR20140141956 A KR 20140141956A KR 101617763 B1 KR101617763 B1 KR 101617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tch angle
blade
angle adjusting
gea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1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6200A (ko
Inventor
노성철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41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7763B1/ko
Publication of KR20160046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7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7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 블레이드들의 피치각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모터-기어 어셈블리를 갖는 동시제어형 피치각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직형 풍력터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개별 블레이드들을 갖는 블레이드유닛; 상기 개별 블레이드들과 일정 거리 떨어져 있으며 상기 개별 블레이드들의 중심에 배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상기 개별 블레이드들을 각각 연결하는 개별 연결암들을 갖는 연결암유닛; 그리고, 상기 개별 블레이드들의 피치각을 동시에 가변시키기 위한 동시제어형 피치각 조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유닛은 제1 블레이드 및 제2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암유닛은 제1 연결암 및 제2 연결암을 포함하며, 상기 동시제어형 피치각 조절장치는 모터-기어 어셈블리와, 상기 모터-기어 어셈블리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블레이드의 피치각을 조절하기 위한 제1 피치각 조절유닛과, 상기 모터-기어 어셈블리와 결합되어 상기 제2 블레이드의 피치각을 조절하기 위한 제2 피치각 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제어형 피치각 조절장치를 갖는 수직형 풍력터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동시제어형 피치각 조절장치를 갖는 수직형 풍력터빈{Verticle axis wind turbine includ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pitch angle of turbine blades simulataneously}
본 발명은 수직형 풍력터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개의 블레이드들의 피치각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동시제어형 피치각 조절장치를 갖는 수직형 풍력터빈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풍력발전 장치는 풍차(windmill)라고 불리며, 이는 회전축을 통한 기계적인 힘을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풍력발전 장치는 수평축 풍력발전장치(horizontal axis wind turbine)와 수직축 풍력발전장치(vertical axis wind turbine)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수평축 풍력발전장치는 프로펠러 방식으로서 공기 역학적으로 바람의 양력(lift force)을 이용한 블레이드로 구성된 로터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수평축 풍력발전장치는 발전 효율은 비교적 높고, 바람이 부는 방향에 따라 로터의 방향을 바꾸어 주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으나, 바람의 세기에 따라 블레이드의 각도를 바꾸어 주어야 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한편, 수직축 풍력발전장치는 바람의 양력을 이용하는 방식인 다리우스식(Darrius Rotor)과 바람의 항력을 이용하는 사보니우스식(Savonius Rotor)이 있다.
상기 다리우스식의 경우는 발전기의 출력이 약하고 초기에 스스로 기동하지 못하여 보조적인 동력장치가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고, 상기 사보니우스식의 경우는 바람의 항력을 이용하므로 회전속도가 바람의 속도보다는 높을 수 없으므로 회전축의 회전수에 제한을 받으므로 회전수가 낮은 풍력동력기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직형 풍력터빈의 약점인 낮은 효율 등을 극복하기 위하여 블레이드의 피치각을 조절할 수 있는 피치 제어시스템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 피치 제어시스템은 유압식 또는 전기식으로 구동되며, 유압식의 경우에는 너셀 내의 유압공급장치로부터 유압관로를 통해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블레이드의 피치가 제어되고, 전기식은 모터를 사용하여 블레이드의 피치를 제어하게 된다.
그러나, 유압식은 유압손실이 발생한 가능성이 있어 전기식에 비해 신뢰성이 낮고, 유압유를 사용하기 때문에 오염이나 열화 등의 위험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으며, 유압유의 누설, 필터 및 오일의 주기적 교환 등으로 인하여 유지 및 보수가 매우 까다롭기 때문에 최근에는 전기식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28314호(발명의 명칭: 수직축 풍력발전장치, 공개일: 2004년 04월 03일)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 개 블레이드들의 피치각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모터-기어 어셈블리를 갖는 동시제어형 피치각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직형 풍력터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 개의 개별 블레이드들을 갖는 블레이드유닛; 상기 개별 블레이드들과 일정 거리 떨어져 있으며 상기 개별 블레이드들의 중심에 배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상기 개별 블레이드들을 각각 연결하는 개별 연결암들을 갖는 연결암유닛; 그리고, 상기 개별 블레이드들의 피치각을 동시에 가변시키기 위한 동시제어형 피치각 조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유닛은 제1 블레이드 및 제2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암유닛은 제1 연결암 및 제2 연결암을 포함하며, 상기 동시제어형 피치각 조절장치는 모터-기어 어셈블리와, 상기 모터-기어 어셈블리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블레이드의 피치각을 조절하기 위한 제1 피치각 조절유닛과, 상기 모터-기어 어셈블리와 결합되어 상기 제2 블레이드의 피치각을 조절하기 위한 제2 피치각 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제어형 피치각 조절장치를 갖는 수직형 풍력터빈을 제공한다.
상기 모터-기어 어셈블리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메인기어축과, 상기 메인기어축의 일단에 구비되는 메인기어와, 일측은 상기 메인기어와 기어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1 피치각 조절유닛과 결합되는 제1 기어와, 일측은 상기 메인기어와 기어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2 피치각 조절유닛과 결합되는 제2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피치각 조절유닛은 상기 제1 연결암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스크류와, 상기 제1 스크류상에서 직선이동하는 제1 이동슬라이더와, 상기 제1 이동슬라이더와 상기 제1 블레이드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1 피치각 조절막대와, 상기 제1 연결암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1 스크류의 타단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스크류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1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암에는 상기 제1 연결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피치각 조절막대의 이동을 위한 제1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피치각 조절유닛은 상기 제1 연결암과 상기 제1 블레이드의 선두영역을 결합시키되 상기 제1 연결암에 대하여 상기 제1 블레이드의 선두영역이 피벗되도록 하기 위한 제1 힌지축과, 상기 제1 피치각 조절막대와 상기 제1 블레이드의 선미영역을 결합시키기 위한 제1 조절막대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풍력터빈은 모터-기어 어셈블리를 갖는 동시제어형 피치각 조절장치를 사용하여 복수 개의 블레이드들에 대한 피치각을 동시에 제어함으로써 피치각 조절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구현하면서도 블레이드들의 피치각을 균일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동시제어형 피치각 조절장치를 통하여 블레이드의 피치각을 바람의 방향 및 속도 등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시제어형 피치각 조절장치를 갖는 수직형 풍력터빈의 요부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동시제어형 피치각 조절장치가 설치된 풍력터빈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수직형 풍력터빈의 제1 블레이드가 설치된 영역과 회전축의 하부영역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동시제어형 피치각 조절장치에 의하여 블레이드들의 피치각이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시제어형 피치각 조절장치를 갖는 수직형 풍력터빈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수직형 풍력터빈은 회전축(90), 블레이드유닛, 연결암유닛, 동시제어형 피치각 조절장치 및 슬립링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유닛은 복수 개의 개별 블레이드들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90)은 상기 개별 블레이드들과 일정 거리 떨어져 있으며 상기 개별 블레이드들의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암유닛은 상기 회전축(90)과 상기 개별 블레이드들을 각각 연결하는 개별 연결암들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레이드유닛은 상기 회전축(90)과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제1 블레이드(10), 상기 제1 블레이드(10)의 회전반경을 따라 상기 제1 블레이드(10)와 일정간격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제2 블레이드(20) 및 제3 블레이드(3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블레이드유닛에 구비된 블레이드는 2개 이상으로 구비되면 어떠한 개수를 가져도 무방하다.
상기 연결암유닛은 상기 회전축(90)과 상기 제1 블레이드(10)를 연결하는 제1 연결암(50), 상기 회전축(90)과 상기 제2 블레이드(20)를 연결하는 제2 연결암(60) 및 상기 회전축(90)과 상기 제3 블레이드(30)를 연결하는 제3 연결암(70)을 포함한다.
상기 동시제어형 피치각 조절장치는 상기 개별 블레이드들의 피치각을 동시에 가변시키게 된다.
상기 동시제어형 피치각 조절장치는 모터-기어 어셈블리와, 상기 모터-기어 어셈블리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블레이드(10)의 피치각을 조절하기 위한 제1 피치각 조절유닛(100)과, 상기 모터-기어 어셈블리와 결합되어 상기 제2 블레이드(20)의 피치각을 조절하기 위한 제2 피치각 조절유닛(200)과, 상기 모터-기어 어셈블리와 결합되어 상기 제3 블레이드(30)의 피치각을 조절하기 위한 제3 피치각 조절유닛(30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터-기어 어셈블리는 모터(410)와, 상기 모터(41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메인기어축(420)과, 상기 메인기어축(420)의 일단에 구비되는 메인기어(430)와, 일측은 상기 메인기어(430)와 기어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1 피치각 조절유닛(100)과 결합되는 제1 기어(440)와, 일측은 상기 메인기어(430)와 기어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2 피치각 조절유닛(200)과 결합되는 제2 기어(450)와, 일측은 상기 메인기어(430)와 기어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3 피치각 조절유닛(300)과 결합되는 제3 기어(460)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410)는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회전축(90)의 내부공간 상에 배치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모터는 상기 회전축(90)의 내부공간에서 모터설치부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메인기어축(420)은 상기 모터(410)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41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회전축(90)의 내부공간상에 배치된다.
상기 메인기어(430), 상기 제1 기어(440), 상기 제2 기어(450) 및 상기 제3 기어(460)는 모두 베벨기어로 구비되며, 상기 메인기어(430) 상에 상기 제1 기어(440), 상기 제2 기어(450) 및 상기 제3 기어(460)가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메인기어(430)에는 상기 제1 기어(440), 상기 제2 기어(450) 및 상기 제3 기어(460)가 동시에 기어결합되어 상기 메인기어(430)의 회전력은 상기 제1 기어(440), 상기 제2 기어(450) 및 상기 제3 기어(460)에 동시에 전달된다.
상기 제1 피치각 조절유닛(100), 상기 제2 피치각 조절유닛(200) 및 상기 제3 피치각 조절유닛(300)은 상기 메인기어(430)의 회전과 함께 상기 제1 기어(440), 상기 제2 기어(450) 및 상기 제3 기어(460)로부터 동시에 회전력을 전달받으면서 상기 제1 블레이드(10)의 피치각, 상기 제2 블레이드(20)의 피치각 및 상기 제3 블레이드(30)의 피치각을 동시에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피치각 조절유닛(100), 상기 제2 피치각 조절유닛(200) 및 상기 제3 피치각 조절유닛(300)의 구조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제1 연결암(50), 상기 제2 연결암(60) 및 상기 제3 연결암(70)의 구조도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상기 제1 블레이드(10), 상기 제2 블레이드(20) 및 상기 제3 블레이드(30)의 구조도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제1 피치각 조절유닛(100), 상기 제1 연결암(50) 및 상기 제1 블레이드(10)의 구조와 이들의 결합구조에 한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피치각 조절유닛(100)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연결암(50)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블레이드(10)의 피치각을 조절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피치각 조절유닛(100)은 제1 스크류(110), 제1 이동슬라이더(120), 제1 피치각 조절막대(130), 제1 힌지축(150), 제1 조절막대 연결부(170), 제1 베어링(180) 및 제2 베어링(19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스크류(110)는 상기 제1 연결암(5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스크류(110)의 일단은 상기 제1 기어(140)와 결합되며, 상기 제1 스크류(110)는 상기 제1 베어링(180) 및 상기 제2 베어링(190)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제1 베어링(180)은 상기 제1 연결암(5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스크류(110)의 일측을 지지하고, 상기 제2 베어링(190)은 상기 제1 기어(440)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스크류(110)의 타측을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이동슬라이더(120)는 상기 제1 스크류(110)상에서 직선이동하면서 상기 제1 피치각 조절막대(130)를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제1 이동슬라이더(120)의 하부는 상기 제1 스크류(110)와 나사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 이동슬라이더(120)의 상부는 상기 제1 피치각 조절막대(130)와 힌지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 피치각 조절막대(130)는 상기 제1 이동슬라이더(120)와 상기 제1 블레이드(10)의 선미영역을 연결하되, 상기 제1 이동슬라이더(120)와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제1 블레이드(10)의 선미영역을 밀거나 당기면서 상기 제1 블레이드(10)의 피치각을 조절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피치각 조절막대(130)의 일단은 상기 제1 조절막대 연결부(170)에 의하여 상기 제1 블레이드(10)의 선미영역과 결합되고, 상기 제1 피치각 조절막대(130)의 타단은 제2 조절막대 연결부(160)에 의하여 상기 제1 이동슬라이더(120)와 피벗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1 블레이드(10)의 선두영역은 상기 제1 힌지축(150)에 의하여 상기 제1 연결암(50)과 피벗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제1 힌지축(150)은 상기 제1 연결암(50)과 상기 제1 블레이드(10)의 선두영역을 결합시키되, 상기 제1 연결암(50)에 대하여 상기 제1 블레이드(10)의 선두영역이 피벗가능하게 연결시킨다.
상기 제1 연결암(50)의 내부에는 상기 제1 스크류(110), 상기 제1 베어링(180) 및 상기 제2 베어링(190)이 설치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연결암(50)의 일단은 상기 회전축(90)과 결합되고, 상기 제1 연결암(50)의 타단은 상기 제1 힌지축(150)에 의하여 상기 제1 블레이드(10)의 선두영역과 피벗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암(50)에는 상기 제1 연결암(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피치각 조절막대(130)의 이동을 위한 제1 슬롯(5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피치각 조절막대(130)는 상기 제1 슬롯(51)을 관통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 이동슬라이더(120)가 상기 제1 슬롯(51)의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이동슬라이더(120)의 상부에 상기 제1 피치각 조절막대(130)가 결합되어 이동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동시제어형 피치각 조절장치에 의하여 상기 제1 블레이드(10), 상기 제2 블레이드(20) 및 상기 제3 블레이드(30)의 피치각이 동시에 제어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터(410)가 정회전하게 되면, 상기 메인기어축(420)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메인기어축(420)이 회전하면 상기 메인기어(430)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메인기어(43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메인기어(430)와 기어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1 기어(440), 상기 제2 기어(450) 및 상기 제3 기어(460)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 기어(440), 제2 기어(450) 및 상기 제3 기어(460)가 동시에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 피치각 조절유닛(100), 상기 제2 피치각 조절유닛(200) 및 상기 제3 피치각 조절유닛(300)은 동일한 메카니즘을 통하여 상기 제1 블레이드(10), 상기 제2 블레이드(20) 및 상기 제3 블레이드(30)의 피치각을 동시에 가변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피치각 조절유닛(100)에 의하여 상기 제1 블레이드(10)의 피치각이 조절되는 경우에 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 기어(44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 스크류(11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 스크류(11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 이동슬라이더(120)가 상기 제1 스크류(110) 상에서 상기 회전축(90)의 방향으로 직선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1 이동슬라이더(120)에 결합된 상기 제1 피치각 조절막대(130)가 이동하면서 상기 제1 블레이드(10)의 선미영역을 잡아당기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제1 블레이드(10)의 선두영역은 상기 제1 연결암(50)에 대하여 피벗되면서 상기 제1 블레이드의 피치각(α)이 변하게 된다.
상기 제1 블레이드의 피치각(α)이 변하게됨과 동시에 상기 제2 블레이드의 피치각(α) 및 상기 제3 블레이드의 피치각(α)도 동일한 각도만큼 변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동시제어형 피치각 조절장치를 사용하여 복수 개의 블레이드들에 대한 피치각을 동시에 제어함으로써 피치각 조절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구현하면서도 블레이드들의 피치각을 균일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동시제어형 피치각 조절장치를 통하여 블레이드의 피치각을 바람의 방향 및 속도 등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축(90)은 설치구조물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기 슬립링유닛을 통하여 외부의 고정구조물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슬립링유닛은 상기 풍력터빈의 고정구조물과 결합되어 고정되는 외부하우징(600), 상기 회전축(90)의 하부와 결합되어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외부하우징(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내부하우징(500), 상기 내부하우징(500)과 상기 외부하우징(600)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 베어링(70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하우징(500)은 상기 회전축(90)과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몸체(510)와, 상기 회전몸체(51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있는 절연링(530) 및 전극링(5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모터(41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1 전선(1)은 상기 회전몸체(510)를 관통하면서 상기 전극링(520)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부하우징(600)은 상기 풍력터빈의 고정구조물과 고정되게 결합되는 고정몸체(610)와, 상기 전극링(520)의 외주면과 접촉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브러쉬(620)를 포함한다.
상기 브러쉬(620)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고정몸체(610)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브러쉬(620)는 제2 전선(2)을 통하여 외부의 고정된 전원과 연결된다.
상기 회전 베어링(700)은 상기 회전몸체(510)의 상단과 상기 고정몸체(610)의 상단 사이에 배치되는 상단 회전베어링과, 상기 회전몸체(510)의 하단과 상기 고정몸체(610)의 하단 사이에 배치되는 하단 회전베어링을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회전축(90)의 내부에 배치되면서 상기 모터(41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상기 제1 전선(1)은 상기 내부하우징(500)을 따라 회전하면서도 상기 제2 전선(2)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 전선(1)의 꼬임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제1 블레이드 20: 제2 블레이드
30: 제3 블레이드 50: 제1 연결암
60: 제2 연결암 70: 제3 연결암
90: 회전축 100: 제1 피치각 조절유닛
110: 제1 스크류 120: 제1 이동슬라이더
130: 제1 피치각 조절막대 150: 제1 힌지축
160: 제2 조절막대 연결부 170: 제1 조절막대 연결부
180: 제1 베어링 190: 제2 베어링
200: 제2 피치각 조절유닛 300: 제3 피치각 조절유닛
410: 모터 420: 메인기어축
430: 메인기어 440: 제1 기어
450: 제2 기어 460: 제3 기어
500: 내부하우징 600: 외부하우징

Claims (5)

  1. 복수 개의 개별 블레이드들을 갖는 블레이드유닛;
    상기 개별 블레이드들과 일정 거리 떨어져 있으며 상기 개별 블레이드들의 중심에 배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상기 개별 블레이드들을 각각 연결하는 개별 연결암들을 갖는 연결암유닛;
    상기 개별 블레이드들의 피치각을 동시에 동일한 가변시키기 위한 동시제어형 피치각 조절장치; 그리고
    상기 동시제어형 피치각 조절장치와 외부의 고정구조물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슬립링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유닛은 제1 블레이드 및 제2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암유닛은 제1 연결암 및 제2 연결암을 포함하며, 상기 동시제어형 피치각 조절장치는 모터-기어 어셈블리와, 상기 모터-기어 어셈블리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블레이드의 피치각을 조절하기 위한 제1 피치각 조절유닛과, 상기 모터-기어 어셈블리와 결합되어 상기 제2 블레이드의 피치각을 조절하기 위한 제2 피치각 조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기어 어셈블리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메인기어축과, 상기 메인기어축의 일단에 구비되는 메인기어와, 일측은 상기 메인기어와 기어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1 피치각 조절유닛과 결합되는 제1 기어와, 일측은 상기 메인기어와 기어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2 피치각 조절유닛과 결합되는 제2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슬립링유닛은 상기 회전축의 내부에 배치되면서 상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1전선과, 외부의 고정된 전원과의 연결을 위한 제2 전선과, 상기 고정구조물과 결합되어 있는 외부하우징과, 상기 회전축의 하부와 결합되어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외부하우징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내부하우징과, 상기 내부하우징과 상기 외부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하우징은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있는 절연링 및 전극링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하우징은 상기 고정구조물과 고정되게 결합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전극링의 외주면과 접촉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브러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베어링은 상기 회전몸체의 상단과 상기 고정몸체의 상단 사이에 배치되는 상단 회전베어링과, 상기 회전몸체의 하단과 상기 고정몸체의 하단 사이에 배치되는 하단 회전베어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선은 상기 전극링과 연결되고, 상기 브러쉬는 상기 제2 전선을 통하여 상기 외부의 고정된 전원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제어형 피치각 조절장치를 갖는 수직형 풍력터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치각 조절유닛은 상기 제1 연결암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스크류와, 상기 제1 스크류상에서 직선이동하는 제1 이동슬라이더와, 상기 제1 이동슬라이더와 상기 제1 블레이드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1 피치각 조절막대와, 상기 제1 연결암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1 스크류의 타단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스크류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1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제어형 피치각 조절장치를 갖는 수직형 풍력터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암에는 상기 제1 연결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피치각 조절막대의 이동을 위한 제1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제어형 피치각 조절장치를 갖는 수직형 풍력터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치각 조절유닛은 상기 제1 연결암과 상기 제1 블레이드의 선두영역을 결합시키되 상기 제1 연결암에 대하여 상기 제1 블레이드의 선두영역이 피벗되도록 하기 위한 제1 힌지축과, 상기 제1 피치각 조절막대와 상기 제1 블레이드의 선미영역을 결합시키기 위한 제1 조절막대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제어형 피치각 조절장치를 갖는 수직형 풍력터빈.
KR1020140141956A 2014-10-20 2014-10-20 동시제어형 피치각 조절장치를 갖는 수직형 풍력터빈 KR101617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956A KR101617763B1 (ko) 2014-10-20 2014-10-20 동시제어형 피치각 조절장치를 갖는 수직형 풍력터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956A KR101617763B1 (ko) 2014-10-20 2014-10-20 동시제어형 피치각 조절장치를 갖는 수직형 풍력터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200A KR20160046200A (ko) 2016-04-28
KR101617763B1 true KR101617763B1 (ko) 2016-05-03

Family

ID=55915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1956A KR101617763B1 (ko) 2014-10-20 2014-10-20 동시제어형 피치각 조절장치를 갖는 수직형 풍력터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77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621B1 (ko) * 2016-11-10 2018-04-1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차 회전 블레이드를 장착한 멀티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60685A (zh) * 2016-05-30 2017-04-12 中国石油大学(华东) 一种针对于垂直轴风力发电机的翼型动态气动特性试验台
EP3645870B1 (de) * 2017-06-30 2023-06-07 Agile Wind Power AG Vertikalwindkraftanlage mit rotorblatttragendem pitchmotor sowie bausatz für selbige und verfahren für ihren betrieb
CN110892153A (zh) * 2017-06-30 2020-03-17 敏捷风力发电有限公司 具有同轴的变桨马达的立式风力发电设备以及其安装套件和其运行方法
CN110107456B (zh) * 2019-06-10 2023-10-27 金陵科技学院 一种被动式可调偏角竖直风能转换装置
KR102507915B1 (ko) 2021-08-12 2023-03-0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틸팅각도 조절용 블레이드를 갖는 수직형 풍력터빈
KR102507916B1 (ko) 2021-08-12 2023-03-0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틸팅각 조절장치를 갖는 수직형 풍력터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4881A (ja) * 2008-07-16 2010-02-04 Seiji Hanada 羽根車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683B1 (ko) 2002-09-30 2005-05-19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수직축 풍력발전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4881A (ja) * 2008-07-16 2010-02-04 Seiji Hanada 羽根車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621B1 (ko) * 2016-11-10 2018-04-1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차 회전 블레이드를 장착한 멀티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200A (ko) 2016-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7763B1 (ko) 동시제어형 피치각 조절장치를 갖는 수직형 풍력터빈
JP2012518742A5 (ko)
RU2006143319A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 регулирования ветроэнергетической установки
US10502196B2 (en) Slip ring system for a wind turbine wind turbine and a method for producing electrical energy
WO2010042069A2 (en) Offshore wind and water turbine generator system for electrical power
EP3180242B1 (en) Method and apparatus in an electric propulsion arrangement of a sailing vessel
CN104153940A (zh) 垂直轴风力发电机叶片变攻角装置
KR101591864B1 (ko)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설비
CN202481310U (zh) 一种航空摆线桨推进器
EP2412973B1 (en) A slip ring unit for direct drive wind turbines
KR101723108B1 (ko) 간극조절장치를 갖는 사보니우스 풍력터빈
KR20150089166A (ko) 수직축 풍력발전 장치
KR101466092B1 (ko) 요잉 장치, 이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
CN209818209U (zh) 一种风力发电机组的变桨系统
CN110469465B (zh) 一种具有清洁和调节角度功能的风力发电设备
WO2011065840A2 (en) Method for turning a wind power plant relative to the wind direction
US10584682B2 (en) Floating-type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facility
KR102145058B1 (ko) 태양 추적 장치
KR101617761B1 (ko) 블레이드 피치각 조절장치를 갖는 수직형 풍력터빈
AU2013403750B2 (en) Method and device for driving rotor
KR101723107B1 (ko) 블레이드 회전반경 조절장치를 갖는 수직형 풍력터빈
EP3561293A1 (en) Wind turbine variable-pitch device and wind turbine
CN114263563A (zh) 一种自动调整迎风角度的风力发电系统
CN102926931A (zh) 用于风力涡轮机的浆距角的调节系统
CN108547733B (zh) 一种自调节式垂直轴风力发电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