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789B1 - 지평선 추출 장치 및 지평선 추출 방법 - Google Patents
지평선 추출 장치 및 지평선 추출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16789B1 KR101616789B1 KR1020140128526A KR20140128526A KR101616789B1 KR 101616789 B1 KR101616789 B1 KR 101616789B1 KR 1020140128526 A KR1020140128526 A KR 1020140128526A KR 20140128526 A KR20140128526 A KR 20140128526A KR 101616789 B1 KR101616789 B1 KR 1016167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dex
- horizon
- noise
- line
- calcula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9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3331 infrared ima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IWEDIXLBFLAXBO-UHFFFAOYSA-N dicamba Chemical compound COC1=C(Cl)C=CC(Cl)=C1C(O)=O IWEDIXLBFLAX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06T7/73—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using feature-based methods
- G06T7/75—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using feature-based methods involving mode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80—Analysis of captured images to determine intrinsic or extrinsic camera parameters, i.e. camera calib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지평선 추출 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후보 라인의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지평선 추출 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잡음 지수의 특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지평선 추출 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지평선 지수의 특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지평선 추출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도 6a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지평선 추출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1.
도 6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지평선 추출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2.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지평선 추출 장치 및 지평선 추출 방법의 추출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
도 8a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지평선 추출 장치 및 지평선 추출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추출 결과를 나타낸 예시도 1.
도 8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지평선 추출 장치 및 지평선 추출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추출 결과를 나타낸 예시도 2.
도 8c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지평선 추출 장치 및 지평선 추출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추출 결과를 나타낸 예시도 3.
도 8d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지평선 추출 장치 및 지평선 추출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추출 결과를 나타낸 예시도 4.
100: 지평선 추출 장치
Claims (23)
- 적외선 카메라; 및
상기 적외선 카메라로 촬영한 적외선 영상에서 지평선에 가까운 적어도 하나의 후보 라인을 추출하고, 상기 후보 라인 각각에 대해 지평선 판단의 근거가 되는 잡음 지수 및 지평선 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잡음 지수 및 상기 지평선 지수를 근거로 종합 지수를 산출하여, 상기 종합 지수가 가장 높은 후보 라인을 지평선으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종합 지수는,
상기 잡음 지수 및 상기 지평선 지수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평선 추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라인은,
상기 적외선 영상에 대하여 에지를 추출한 에지 영상으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평선 추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지수는,
자세 오차가 보정되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평선 추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지수는,
상기 후보 라인의 잡음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이되,
높을수록 잡음에 가깝고, 낮을수록 지평선에 가까움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평선 추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평선 지수는,
상기 후보 라인의 지평선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이되,
높을수록 지평선에 가깝고, 낮을수록 잡음에 가까움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평선 추출 장치. - 지평선 추출 대상 조경을 적외선 촬영한 적외선 영상에서 지평선에 가까운 적어도 하나의 후보 라인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후보 라인 각각에 대해 지평선 판단의 근거가 되는 잡음 지수 및 지평선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잡음 지수 및 상기 지평선 지수를 근거로 종합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종합 지수가 가장 높은 후보 라인을 지평선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종합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잡음 지수 및 상기 지평선 지수의 비율로 상기 종합 지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평선 추출 방법. -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지수 및 지평선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잡음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지평선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평선 추출 방법. -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편평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대칭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높이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중 적어도 한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한 단계에서 산출된 결과들을 곱하여 상기 잡음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평선 추출 방법. -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평선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수평 길이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대조비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균질성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중 적어도 한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한 단계에서 산출된 결과들을 곱하여 상기 지평선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평선 추출 방법. - 적외선 카메라; 및
상기 적외선 카메라로 촬영한 적외선 영상에서 지평선에 가까운 적어도 하나의 후보 라인을 추출하고, 상기 후보 라인 각각에 대해 잡음 정도를 나타내는 잡음 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잡음 지수를 근거로 상기 후보 라인의 지평선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지평선을 추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잡음 정도로부터 지평선을 추출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보 라인의 지평선 정도를 나타내는 지평선 지수를 더 산출하되,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지평선 지수를 반영하고, 상기 후보 라인 각각에 대한 상기 잡음 지수 및 상기 지평선 지수의 비율을 산출하여 상기 후보 라인의 지평선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후보 라인 중 산출된 비율이 가장 높은 후보 라인을 지평선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평선 추출 장치. -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보 라인의 상기 잡음 지수가 낮을수록 지평선에 가깝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평선 추출 장치. - 삭제
-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보 라인의 상기 지평선 지수가 높을수록 지평선에 가깝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평선 추출 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28526A KR101616789B1 (ko) | 2014-09-25 | 2014-09-25 | 지평선 추출 장치 및 지평선 추출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28526A KR101616789B1 (ko) | 2014-09-25 | 2014-09-25 | 지평선 추출 장치 및 지평선 추출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36370A KR20160036370A (ko) | 2016-04-04 |
KR101616789B1 true KR101616789B1 (ko) | 2016-04-29 |
Family
ID=55799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28526A KR101616789B1 (ko) | 2014-09-25 | 2014-09-25 | 지평선 추출 장치 및 지평선 추출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16789B1 (ko) |
-
2014
- 2014-09-25 KR KR1020140128526A patent/KR101616789B1/ko active IP Right Grant
Non-Patent Citations (3)
Title |
---|
논문1 |
논문2 |
논문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36370A (ko) | 2016-04-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581890B1 (en) | Method and device for positioning | |
US8872925B2 (en) | Method and device for camera calibration | |
CN112001958B (zh) | 基于有监督单目深度估计的虚拟点云三维目标检测方法 | |
CN107063228B (zh) | 基于双目视觉的目标姿态解算方法 | |
CN107451982B (zh) | 一种基于无人机影像的高郁闭度林分树冠面积获取方法 | |
US8503730B2 (en) | System and method of extracting plane features | |
EP3132231B1 (en) | A 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ng information related to a vehicle pitch and/or roll angle | |
JP6397379B2 (ja) | 変化領域検出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CN105513119B (zh) | 一种基于无人机的路桥三维重建方法及装置 | |
WO2022067647A1 (zh) | 一种路面要素确定方法及装置 | |
WO2021017211A1 (zh) | 一种基于视觉的车辆定位方法、装置及车载终端 | |
CN114419165B (zh) | 相机外参校正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 |
CN106504192A (zh) | 一种输电线路走廊地质灾害勘探影像处理方法及系统 | |
KR101941878B1 (ko) | 무인항공기 영상 자동 기하보정을 위한 처리시스템 | |
CN116778262B (zh) | 一种基于虚拟点云的三维目标检测方法和系统 | |
KR20210034253A (ko) | 위치 추정 장치 및 방법 | |
CN116844124A (zh) | 三维目标检测框标注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 |
JP2011209896A (ja) | 障害物検知装置、障害物検知方法及び障害物検知プログラム | |
US10205911B2 (en) |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running | |
JP5928010B2 (ja) | 道路標示検出装置及びプログラム | |
CN110660113A (zh) | 特征地图的建立方法、装置、采集设备和存储介质 | |
CN102184536A (zh) | 一种提取图像中直线和/或线段端点的方法及系统 | |
CN113436313B (zh) | 一种基于无人机的三维重建误差主动修正方法 | |
CN112837404B (zh) | 一种平面对象的三维信息的构建方法及装置 | |
KR101616789B1 (ko) | 지평선 추출 장치 및 지평선 추출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4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