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933B1 - Fire sensing equipment having a self- diagnosis system - Google Patents

Fire sensing equipment having a self- diagnosis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933B1
KR101615933B1 KR1020160018759A KR20160018759A KR101615933B1 KR 101615933 B1 KR101615933 B1 KR 101615933B1 KR 1020160018759 A KR1020160018759 A KR 1020160018759A KR 20160018759 A KR20160018759 A KR 20160018759A KR 101615933 B1 KR101615933 B1 KR 101615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flame detection
case
space
sens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87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용철
Original Assignee
(주)세정이에프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정이에프씨 filed Critical (주)세정이에프씨
Priority to KR1020160018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93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9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02Monitoring continuous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08B29/04Monitoring of the detection circuits
    • G08B29/043Monitoring of the detection circuits of fire detection circui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ame sensing facility having an autonomous diagnosing system. The flame sensing facility having an autonomous diagnosing system comprises: a plurality of cylinders having ascendable elevation axes at intervals on ceiling part in a building; a flame sensing unit having both ends rotated and supported on ends of the elevation axes, and including a first case for constituting a divided first space and a second case for constituting a second space; a plurality of flame sensors formed in the first space, and sensing flame occurring in an indoor place; a flame imitating unit formed in the second space, and imitating a flame occurrence situation to measure normality of sensing operation of the flame sensors; and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flame imitating unit when a predetermined autonomous diagnosing mode is selected, and making the flame sensing unit rotate to the indoor place to dispose the flame sensors, when sensing operation of any one of the flame sensors is normal. A flame sensing function is periodically monitored, and multiple flame sensors are disposed, so the occurrence of malfunction in any one of the flame sensors can be immediately treated.

Description

자가 진단 시스템을 갖는 화염 감지 설비{FIRE SENSING EQUIPMENT HAVING A SELF- DIAGNOSIS SYSTEM}FIRE SENSING EQUIPMENT HAVING A SELF-DIAGNOSIS SYSTEM FIEL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자가 진단 시스템을 갖는 화염 감지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기적으로 화염 감지 기능을 모니터링 함과 아울러, 화염 감지 센서를 다수를 두어 어느 하나가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이를 즉시 대처하도록 할 수 있는 자가 진단 시스템을 갖는 화염 감지 설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me detection system having a self-diagnosis system.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me detection system having a flame detection function that periodically monitors a flame detection function, To a flame detection system having a self-diagnostic system.

통상, 소방설비는 건축물의 화재시에 작동하는 소화설비, 경보설비, 피난설비, 소방용수설비, 소화활동설비를 말한다.Generally, fire-fighting equipment refers to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larm equipment, evacuation equipment, fire-fighting water equipment, fire-extinguishing equipment that operate in case of fire in buildings.

건축물이 초고층화하고 각 동의 경비실이 통합 경비실로 운영됨에 스프링클러 설비 추가 등 새로운 설비가 설치되고 있고, 소방공사 감리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므로 설계기준, 방재시스템에 대한 엄격한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Since the buildings are made up of super high-rise buildings and each consulate's guard room is operated as an integrated guard room, new facilities such as additional sprinkler facilities are installed and strict management of design standards and disaster prevention systems is being carried out.

한편, 현재 시판 또는 특허 등록된 화재 관련 감지기 중, R형 수신기에서 채택하고 있는 감지기는 중계기와 연동하여 자기인식(Address) 기능을 갖고 있으나, 4 포트형(Port Type)으로 4 코어 실드 케이블(Core Shield Cable)을 써야하기 때문에 고비용이 요구된다.Meanwhile, among the currently marketed or patent registered fire detectors, the detector adopted in the R type receiver has a function of addressing in cooperation with the repeater, but the 4-port shield type (core Shield cable), which is expensive.

또한, P형 수신기에 쓰이고 있는 감지기는 어드레스(Addressable) 기능을 갖고 있지 않다.Also, the detector used in the P-type receiver does not have an addressable function.

따라서 P형 감지기는 고장파악을 위하여 매개체마다 일일이 확인을 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고, 정확한 화재발생위치를 파악할 수 없다.Therefore, it is troublesome for the P-type detector to check every vehicle individually in order to identify the fault, and it is not possible to grasp the exact location of the fire.

종래에는 감지기들 자체에서 자가 진단을 하지 못하여, 해당 감지기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지의 여부를 실제 시험을 통해 확인 또는 모니터링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confirm or monitor whether or not the detector is normally operated due to a failure in the self-diagnosis by the detectors themselves.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410033호(2014.06.13.)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자가 진단 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 장치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다.
A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Korean Registered Patent Registration No. 10-1410033 (Apr. 23, 2014), and the prior art discloses a technique for a fire detection device having a self-diagnosis func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주기적으로 화염 감지 기능을 모니터링 함과 아울러, 화염 감지 센서를 다수를 두어 어느 하나가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이를 즉시 대처하도록 할 수 있는 자가 진단 시스템을 갖는 화염 감지 설비를 제공함에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ame detection system having a self-diagnosis system capable of monitoring a flame detection function periodically and coping with a failure when any one of the flame detection sensors is provided have.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자가 진단 시스템을 갖는 화염 감지 설비를 제공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ame detection facility with a self-diagnostic system.

상기 자가 진단 시스템을 갖는 화염 감지 설비는 건축물 실내의 천정부에 간격을 이루어 승강 가능한 승강축을 갖는 다수의 실린더와; 상기 승강축의 단부에 양측부가 회전 지지되며, 서로 구획되는 제 1공간을 이루는 제 1케이스와, 제 2공간을 이루는 제 2케이스를 갖는 화염 감지부와; 상기 제 1공간에 설치되어, 실내에 발생되는 화염을 감지하는 화염 감지 센서들과; 상기 제 2공간에 설치되어, 화염 발생 상황을 모사하여 상기 화염 감지 센서들의 센싱 동작의 정상 유무를 측정하는 화염 모사부; 및 기설정되는 자기 진단 모드로 선택되는 경우, 상기 화염 모사부를 구동시켜, 상기 화염 감지 센서들 중 어느 하나의 센싱 동작이 정상인 경우, 상기 실내로 상기 화염 감지부를 회전시켜 상기 화염 감지 센서들을 배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flame detection system having the self-diagnosis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cylinders having a lifting shaft that can be lifted and lowered at intervals in a ceiling portion of a building; A flame sensing unit having a first case and a second case, both sides of which are rotatably supported at the ends of the lifting shaft, the first case having a first space and the second case having a second space; A flame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the first space for sensing a flame generated in a room; A flame simulator installed in the second space for simulating the flame generation status and measuring whether the sensing operation of the flame detection sensors is normal or not; And when the self-diagnosis mode is selected, the flame simulation unit is driven to rotate the flame detection unit to the inside of the room when the sensing operation of any one of the flame detection sensors is normal, And a control unit.

상기 제 1케이스와 상기 제 2케이스는 회전축을 경계로 서로 구획되도록 일체의 케이스를 이룬다.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are integrally formed so as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boundary of a rotation axis.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케이스를 축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와 연결된다.The rotary shaft is connected to a rotary motor for axially rotating the case integrally formed by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상기 화염 모사부는, 상기 제 2케이스의 내벽에 설치되며, 상기 제 2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다수의 온도 센서와, 상기 제 2케이스의 내벽에 설치되며, 상기 화염 감지 센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화염이 감지되는 신호를 상기 화염 감지 센서들로 전송하는 화염 센서와, 상기 화염 센서와, 상기 화염 감지 센서들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신호선들과, 상기 신호선들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스위칭 신호를 받아 신호 전달을 개폐하는 스위치들과, 상기 제 2케이스의 저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시험 온도 및 연기를 생성하는 연기 생성부를 구비한다.The flame simulating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installed on an inner wall of the second case and measuring a temperature of the second space, and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installed on an inner wall of the second cas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lame detecting sensors A flame sensor for transmitting a signal indicative of flame to the flame detection sensors, signal line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lame sensor to each of the flame detection sensors, Switche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ignal transmission by receiving a signal and a smoke generator detachab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econd case and generating a test temperature and smoke by receiving a signal from the controller.

상기 제 2공간에는, 생성되는 상기 시험 온도 및 연기에 따르는 환경이 형성된다.In the second space, an environment conforming to the test temperature and smoke generated is formed.

상기 연기 생성부는, 상기 제 2케이스의 하단에 슬라이딩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2공간으로 노출되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불화성 재질로 형성되는 블록과, 상기 블록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전원기로부터 전원을 제공 받아 발열되는 발열 코일과, 상기 발열 코일을 에워싸도록 배치되며, 설정된 온도에 이르는 열에 노출되며, 발화되어 연기를 생성하는 발화물질을 구비한다.The smoke generating unit may include a block formed of an incombustible material that is slidably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second cas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exposed in the second space, A heating coil which generates heat by receiving power from a power supp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a sparking material disposed to surround the heating coil, the sparking material being expos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being ignited to generate smoke.

상기 발화 물질의 발화에 따라, 상기 시험 온도 및 상기 연기가 상기 다수의 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 2공간에 형성된다.And the test temperature and the smoke are formed in the second space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ccording to the ignition of the ignited material.

상기 천정부의 다수 위치에는, 다수의 설치홈이 형성된다.A plurality of installation grooves are form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of the ceiling portion.

상기 다수의 실린더 각각은, 상기 다수의 설치홈 각각에 배치된다.Each of the plurality of cylinders is dispos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installation grooves.

상기 화염 센서는, 상기 시험 온도 및 상기 연기에 따르는 화염을 감지하고, 감지되는 신호를 상기 화염 감지 센서들로 전송한다.The flame sensor senses the flame according to the test temperature and the smoke, and transmits a sensed signal to the flame detection sensors.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시험 온도에 따르는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한다.The temperature sensor measures a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test temperature and transmits the measured temperature to the control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염 감지 센서들로부터 상기 화염 감지에 대한 신호를 전송 받고, 상기 화염 감지 센서들로부터 상기 화염 감지에 대한 신호가 전송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flame detection signal from the flame detection sensors and determines whether the flame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flame detection sensors.

상기 화염 감지 센서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화염 감지에 대한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정상으로 판단한다.When the flame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one of the flame detection sensors, it is determined to be normal.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회전 모터를 사용하여, 상기 제 1케이스가 하방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케이스를 회전시키고, 상기 실린더를 사용하여, 상기 축을 승강시켜, 상기 제 1케이스를 기 실내에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제 2케이스를 상기 설치홈에 내장되도록 한다.Wherein the control unit rotates the case so that the first case is positioned downward by using the rotation motor when the determination is normal and lifts the shaft by using the cylinder, So that the second case is hous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염 감지 센서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화염 감지에 대한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비정상으로 판단하고, 이웃하는 다른 화염 감지부에 설치되는 다른 상기 화염 감지 센서들로부터 측정되는 화염 감지 신호를 연동시킬 수 있다.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flame detection signal is not transmitted from any one of the flame detection sensors, and determines that the flame is detected from other flame detection sensors installed in the adjacent flame detection unit Signals can be interlocked.

본 발명은, 주기적으로 화염 감지 기능을 모니터링 함과 아울러, 화염 감지 센서를 다수를 두어 어느 하나가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이를 즉시 대처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onitoring the flame detection function periodically and also having a plurality of flame detection sensors so that any one of the flame detection sensors can cope with a failure immediately.

도 1은 본 발명의 자가 진단 시스템을 갖는 화염 감지 설비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자가 진단 시스템을 갖는 화염 감지 설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제 1케이스가 실내에 노출되도록 회전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a flame detection apparatus having a self-diagnosi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lame detection apparatus having a self-diagnosi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case is rotated so as to be exposed to a room.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자가 진단 시스템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self-diagnosi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자가 진단 시스템을 갖는 화염 감지 설비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자가 진단 시스템을 갖는 화염 감지 설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제 1케이스가 실내에 노출되도록 회전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a flame detection apparatus having a self-diagnosi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lame detection apparatus having a self-diagnosi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rotated so as to be exposed to a room.

도 1 내지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자가 진단 시스템을 갖는 화염 감지 설비는 건축물 실내의 천정부(10)에 간격을 이루어 승강 가능한 승강축(720)을 갖는 다수의 실린더(710)를 포함하는 승강부(700)와, 상기 승강축(720)의 단부에 양측부가 회전 지지되며, 서로 구획되는 제 1공간을 이루는 제 1케이스(110)와, 제 2공간을 이루는 제 2케이스(120)를 갖는 화염 감지부(100)와, 상기 제 1공간에 설치되어, 실내에 발생되는 화염을 감지하는 화염 감지 센서들(200)과, 상기 제 2공간에 설치되어, 화염 발생 상황을 모사하여 상기 화염 감지 센서들(200)의 센싱 동작의 정상 유무를 측정하는 화염 모사부와, 기설정된 주기에 이르고, 기설정되는 자기 진단 모드로 선택되는 경우, 상기 화염 모사부를 구동시켜, 상기 화염 감지 센서들(200) 중 어느 하나의 센싱 동작이 정상인 경우, 상기 실내로 상기 화염 감지부(100)를 회전시켜 상기 화염 감지 센서들(200)을 배치시키는 제어부(500)로 구성된다.1 to 3, the flame detection apparatus having the self-diagnosi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ylinders 710 having a lifting shaft 720 that can be lifted and lowered at intervals in a ceiling portion 10 of a building interior A first case 110 which is rotatably supported on both ends of the elevation shaft 720 and which is divided into a first space 110 and a second space 120 which forms a second space, And a flame detection sensor (200) installed in the first space and sensing a flame generated in a room. The flame detection sensor (200) installed in the second space, A flame simulation unit for measuring whether or not the sensing operation of the detection sensors 200 is normal; and a control unit for driving the flame detection unit when the predetermined period is selected and a predetermined self-diagnosis mode is selected, 200) is normal If, it consists of the room to the controller 500 to place the flame detection sensors 200 to the rotation of the flame detection unit 100.

상기 제 1케이스(110)와 상기 제 2케이스(120)는 회전축(150)을 경계로 서로 구획되도록 일체의 케이스를 이룬다.The first case 110 and the second case 120 are integrally formed so as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with the rotation axis 150 as a boundary.

상기 회전축(150)은, 상기 제어부(50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화염 감지부(100)를 축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600)와 연결된다.The rotation shaft 150 is connected to a rotation motor 600 that rotates the flame sensing unit 100 integrally formed by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500.

상기 화염 모사부는, 상기 제 2케이스(120)의 내벽에 설치되며, 상기 제 2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다수의 온도 센서(130)와, 상기 제 2케이스(120)의 내벽에 설치되며, 상기 화염 감지 센서들(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화염이 감지되는 신호를 상기 화염 감지 센서들(200)로 전송하는 화염 센서(140)와, 상기 화염 센서(140)와, 상기 화염 감지 센서들(200)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신호선들(220)과, 상기 신호선들(220)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500)로부터 스위칭 신호를 받아 신호 전달을 개폐하는 스위치들(210)과, 상기 제 2케이스(120)의 저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500)로부터 신호를 받아 시험 온도 및 연기를 포함하는 화염을 생성하는 연기 생성부를 구비한다.The flame simulation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130 installed on an inner wall of the second case 120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space 120, A flame sensor 14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lame detection sensors 200 and transmitting a flame detection signal to the flame detection sensors 200, the flame sensor 140, Switches 210 installed on the signal lines 220 for opening and closing signal transmission in response to a switching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500, And a smoke generator detachab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case 120 and receiving a signal from the controller 500 to generate a flame including a test temperature and smoke.

상기 제 2공간에는, 생성되는 상기 시험 온도 및 연기에 따르는 환경이 형성된다.In the second space, an environment conforming to the test temperature and smoke generated is formed.

상기 연기 생성부는, 상기 제 2케이스(120)의 하단에 슬라이딩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2공간으로 노출되는 다수의 관통홀(311)이 형성되는 불화성 재질로 형성되는 블록(310)과, 상기 블록(3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500)와 연결되는 전원기(미도시)로부터 전원을 제공 받아 발열되는 발열 코일(400)과, 상기 발열 코일(400)을 에워싸도록 배치되며, 설정된 온도에 이르는 열에 노출되며, 발화되어 연기를 생성하는 발화물질(410)을 구비한다.The smoke generating unit may include a block 310 formed of an incombustible material that is slidably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second case 120 and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11 exposed in the second space, A heating coil 400 disposed inside the block 310 and receiving power from a power source (not shown) connected to the controller 500 and a heating coil 400 arranged to surround the heating coil 400 And a pyrotechnic material (410) which is exposed to heat reaching a set temperature and is ignited to generate smoke.

상기 발화 물질의 발화에 따라, 상기 시험 온도 및 상기 연기를 포함하는 화염은 상기 다수의 관통홀(311)을 통해 상기 제 2공간에 형성된다.In accordance with the ignition of the ignited material, the flame including the test temperature and the smoke is formed in the second space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311.

상기 천정부(10)의 다수 위치에는, 다수의 설치홈이 형성된다.A plurality of installation grooves are form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of the ceiling portion 10.

상기 다수의 실린더(710) 각각은, 상기 다수의 설치홈(11) 각각에 배치된다.Each of the plurality of cylinders 710 is dispos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installation grooves 11.

상기 화염 센서(140)는, 상기 시험 온도 및 상기 연기에 따르는 화염을 감지하고, 감지되는 신호를 상기 화염 감지 센서들(200)로 전송한다.The flame sensor 140 senses the flame according to the test temperature and the smoke, and transmits a sensed signal to the flame sensors 200.

상기 온도 센서(130)는, 상기 시험 온도에 따르는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500)로 전송한다.The temperature sensor 130 measures a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test temperature and transmits the measured temperature to the controller 500.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화염 감지 센서들(200)로부터 상기 화염 감지에 대한 신호를 전송 받고, 상기 화염 감지 센서들(200)로부터 상기 화염 감지에 대한 신호가 전송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The control unit 500 receives the flame detection signal from the flame detection sensors 200 and determines whether the flame detection signals 200 are transmitted from the flame detection sensors 200.

상기 화염 감지 센서들(2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화염 감지에 대한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정상으로 판단한다.When a signal for detecting the flame is transmitted from any one of the flame sensors 200, it is determined to be normal.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회전 모터(600)를 사용하여, 상기 제 1케이스(110)가 하방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화염 감지부(100)를 회전시키고, 상기 실린더(710)를 사용하여, 상기 축(720)을 승강시켜, 상기 제 1케이스(110)를 기 실내에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제 2케이스(120)를 상기 설치홈(11)에 내장되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500 rotates the flame sensing unit 100 such that the first case 110 is positioned downward by using the rotation motor 600 when the normal state is determined, The shaft 720 is raised and lowered to expose the first case 110 to the inside of the room and the second case 120 to be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11. [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화염 감지 센서들(2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화염 감지에 대한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비정상으로 판단하고, 이웃하는 다른 화염 감지부(100)에 설치되는 다른 상기 화염 감지 센서들(200)로부터 측정되는 화염 감지 신호를 연동시킬 수 있다.When the flame detection signal is not transmitted from any one of the flame detection sensors 200, the control unit 500 determines that the flame detection signal is abnormal, The flame detection signals measured from the flame detection sensors 200 can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주기적으로 화염 감지 기능을 모니터링 함과 아울러, 화염 감지 센서를 다수를 두어 어느 하나가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이를 즉시 대처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iodically monitor the flame detection function and provide a plurality of flame detection sensors, so that any one of the flame detection sensors can immediately cope with a failure have.

이상, 본 발명의 자가 진단 시스템을 갖는 화염 감지 설비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As described above, the flame detection system having the self-diagnosi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However, it is appar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It is intende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화염 감지부
200 : 화염 감지 센서
300 : 블록
400 : 발열 코일
500 : 제어부
600 : 회전 모터
700 : 실린더 부
100: Flame detection unit
200: Flame detection sensor
300: Block
400: heat generating coil
500:
600: Rotary motor
700:

Claims (4)

건축물 실내의 천정부에 간격을 이루어 승강 가능한 승강축을 갖는 다수의 실린더;
상기 승강축의 단부에 양측부가 회전 지지되며, 서로 구획되는 제 1공간을 이루는 제 1케이스와, 제 2공간을 이루는 제 2케이스를 갖는 화염 감지부;
상기 제 1공간에 설치되어, 실내에 발생되는 화염을 감지하는 화염 감지 센서들;
상기 제 2공간에 설치되어, 화염 발생 상황을 모사하여 상기 화염 감지 센서들의 센싱 동작의 정상 유무를 측정하는 화염 모사부; 및
설정된 주기에 이르러 기설정되는 자기 진단 모드로 선택되는 경우, 상기 화염 모사부를 구동시켜, 상기 화염 감지 센서들 중 어느 하나의 센싱 동작이 정상인 경우, 상기 실내로 상기 화염 감지부를 회전시켜 상기 화염 감지 센서들을 배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케이스와 상기 제 2케이스는 회전축을 경계로 서로 구획되도록 일체의 케이스를 이루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케이스를 축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와 연결되되,
상기 화염 모사부는,
상기 제 2케이스의 내벽에 설치되며, 상기 제 2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다수의 온도 센서와,
상기 제 2케이스의 내벽에 설치되며, 상기 화염 감지 센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화염이 감지되는 신호를 상기 화염 감지 센서들로 전송하는 화염 센서와,
상기 화염 센서와, 상기 화염 감지 센서들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신호선들과,
상기 신호선들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스위칭 신호를 받아 신호 전달을 개폐하는 스위치들과,
상기 제 2케이스의 저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시험 온도 및 연기를 생성하는 연기 생성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 2공간에는, 생성되는 상기 시험 온도 및 연기에 따르는 환경이 형성되고,
상기 연기 생성부는,
상기 제 2케이스의 하단에 슬라이딩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2공간으로 노출되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불화성 재질로 형성되는 블록과,
상기 블록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전원기로부터 전원을 제공 받아 발열되는 발열 코일과,
상기 발열 코일을 에워싸도록 배치되며, 설정된 온도에 이르는 열에 노출되며, 발화되어 연기를 생성하는 발화물질을 구비하되,
상기 발화 물질의 발화에 따라, 상기 시험 온도 및 상기 연기가 상기 다수의 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 2공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진단 시스템을 갖는 화염 감지 설비.
A plurality of cylinders having a lifting shaft that can be lifted and lowered at intervals in a ceiling portion of a building interior;
A flame detection unit having a first case and a second case, both sides of which are rotatably supported at the ends of the lifting shaft, the first case having a first space and the second case having a second space;
Flame detection sensors installed in the first space to detect flames generated in the room;
A flame simulator installed in the second space for simulating the flame generation status and measuring whether the sensing operation of the flame detection sensors is normal or not; And
The flame sensing unit is driven to rotate the flame detection unit to the inside of the room when the sensing operation of any one of the flame detection sensors is normal,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are integrally formed so as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boundary of a rotation axis,
Wherein the rotation shaft is connected to a rotation motor for axially rotating the case integrally formed by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The flame simulator may include: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installed on an inner wall of the second case for measuring a temperature of the second space,
A flame sensor installed on an inner wall of the second cas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lame detection sensors and transmitting a flame detection signal to the flame detection sensors,
Signal line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lame sensors to the flame sensors,
Switches for opening and closing signal transmission by receiving switching signals from the control unit,
And a smoke generation unit detachably installed on a bottom of the second case and receiving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to generate a test temperature and smoke,
In the second space, an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test temperature and smoke generated is formed,
The smoke generating unit includes:
A block formed of an incombustible material that is slidably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second case and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exposed in the second space;
A heating coil disposed inside the block and receiving power from a power supp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 ignition material disposed to surround the heat generating coil and exposed to heat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ignited to generate smoke,
Wherein the test temperature and the smoke are formed in the second space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in accordance with the ignition of the ignited materi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부의 다수 위치에는, 다수의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실린더 각각은, 상기 다수의 설치홈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화염 센서는, 상기 시험 온도 및 상기 연기에 따르는 화염을 감지하고, 감지되는 신호를 상기 화염 감지 센서들로 전송하고,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시험 온도에 따르는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염 감지 센서들로부터 상기 화염 감지에 대한 신호를 전송 받고,
상기 화염 감지 센서들로부터 상기 화염 감지에 대한 신호가 전송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화염 감지 센서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화염 감지에 대한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정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진단 시스템을 갖는 화염 감지 설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installation grooves are form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of the ceiling portion,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cylinders is dispos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installation grooves,
The flame sensor senses a flame according to the test temperature and the smoke, transmits a sensed signal to the flame detection sensors,
Wherein the temperature sensor measures a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test temperature and transmits the measured temperature to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flame detection signal from the flame detection sensors,
Determines whether or not a signal for the flame detection is transmitted from the flame detection sensors,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lame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any one of the flame detection sensors, it is determined to be normal.

KR1020160018759A 2016-02-17 2016-02-17 Fire sensing equipment having a self- diagnosis system KR1016159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759A KR101615933B1 (en) 2016-02-17 2016-02-17 Fire sensing equipment having a self- diagnosis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759A KR101615933B1 (en) 2016-02-17 2016-02-17 Fire sensing equipment having a self- diagnosis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5933B1 true KR101615933B1 (en) 2016-04-27

Family

ID=55914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8759A KR101615933B1 (en) 2016-02-17 2016-02-17 Fire sensing equipment having a self- diagnosis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933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872B1 (en) * 2016-10-12 2017-02-06 (주)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res prevention control system
KR101783002B1 (en) 2017-05-04 2017-09-28 (주)온담엔지니어링 Fire evacuation guidance system of building
KR101914783B1 (en) 2018-01-26 2018-11-02 김진호 Celling fall structure for relief supplies of fire
KR102146575B1 (en) * 2020-03-31 2020-08-20 주식회사 기람엔지니어링 Smart fire detection device
KR102221843B1 (en) * 2020-08-31 2021-03-02 (주)해우이엔지 Fire sensor having self- diagnosis
KR20210054099A (en) 2019-11-04 2021-05-13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Self-Diagnosis Heat Detector with Multiple Sensor Algorithm
KR102519550B1 (en) * 2022-08-26 2023-04-13 주식회사 주왕산업 Fire monitoring and self-diagnosis ser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549B1 (en) * 2015-02-13 2015-05-28 주식회사 신화에프이원 Fire sensor having self- diagnosi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549B1 (en) * 2015-02-13 2015-05-28 주식회사 신화에프이원 Fire sensor having self- diagnosi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872B1 (en) * 2016-10-12 2017-02-06 (주)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res prevention control system
KR101783002B1 (en) 2017-05-04 2017-09-28 (주)온담엔지니어링 Fire evacuation guidance system of building
KR101914783B1 (en) 2018-01-26 2018-11-02 김진호 Celling fall structure for relief supplies of fire
KR20210054099A (en) 2019-11-04 2021-05-13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Self-Diagnosis Heat Detector with Multiple Sensor Algorithm
KR102146575B1 (en) * 2020-03-31 2020-08-20 주식회사 기람엔지니어링 Smart fire detection device
KR102221843B1 (en) * 2020-08-31 2021-03-02 (주)해우이엔지 Fire sensor having self- diagnosis
KR102519550B1 (en) * 2022-08-26 2023-04-13 주식회사 주왕산업 Fire monitoring and self-diagnosis ser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5933B1 (en) Fire sensing equipment having a self- diagnosis system
KR102221843B1 (en) Fire sensor having self- diagnosis
US7241218B2 (en) Fire/smoke damper control system
KR101104519B1 (en) Contactless fire perception system
JP2023075364A (en) disaster prevention system
KR101696753B1 (en) Remote fire monitoring system
KR101410033B1 (en) Fire Sensing Apparatus having Self- Diagnosis
CN107575139A (en) A kind of pipe gallery fire door control system and method
JP2023055960A (en) Disaster prevention system and fire detector
KR101341155B1 (en) Address type wire and wireless fire alarm system
CN212282621U (en) Fireproof electrical control cabinet
KR101460176B1 (en) Fire detection system
KR101643317B1 (en) Remote checking system in Apartment Fire
KR101145414B1 (en) Fire alarm system linked power monitoring unit
KR101736048B1 (en) the residential fire detector
KR101532953B1 (en) Sprinkler monitoring apparatus
KR101523549B1 (en) Fire sensor having self- diagnosis
KR101264591B1 (en) Fire detection apparatus and system
KR102060467B1 (en) Method for monitoring the peaker line, and broadcas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742071B1 (en) Fire monitoring system of fire fighting
KR101514897B1 (e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accompanied by PLC and secondary communication
KR101877359B1 (en) Method for Inspecting Disconnection for Fire Monitoring System
CN207115677U (en) Fire alarm system based on PLC
JP6509624B2 (en) Package typ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KR20100040610A (en) Monitoring system using directional sens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