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4754B1 -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 소켓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754B1
KR101614754B1 KR1020150007817A KR20150007817A KR101614754B1 KR 101614754 B1 KR101614754 B1 KR 101614754B1 KR 1020150007817 A KR1020150007817 A KR 1020150007817A KR 20150007817 A KR20150007817 A KR 20150007817A KR 101614754 B1 KR101614754 B1 KR 101614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t
sim card
lower space
card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7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규
Original Assignee
히로세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코리아(주) filed Critical 히로세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50007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47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connectors capable of contacting cards of different formats, e.g. memory stick and SD card readers sharing at least one connector contact and the associated signal line, e.g. both using the same signal line for input or output of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 G06K7/007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having multiple insertion slots, the respective slots suited for the same or different card form f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 소켓은, 전방에 심 카드 삽입용 제1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제1슬롯의 후방에 더 높은 위치로 에스디 카드 삽입용 제2슬롯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제1슬롯에 형성된 하부공간의 바닥면과 상기 제2슬롯에 형성된 상부공간의 바닥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심 카드와 상기 에스디 카드의 단자에 각각 접속되는 터미널부 및, 상기 제1슬롯의 일측에서 전후로 이동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슬롯에 삽입된 상기 심 카드에 의해 후퇴된 위치에서 전방으로의 이동 조작을 통해 상기 심 카드를 설정 길이로 돌출시키는 취출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 소켓{Dual Card Socket for Mobile Phone}
본 고안은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 소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롯의 외부로 노출된 인출부재의 조작단을 이용해 심 카드를 적정 길이로 돌출시킴으로써, 심 카드의 상부에 에스디 카드가 위치된 상태에서도 심 카드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모리 카드는 휴대폰, PDA, 디지털카메라 등 각종 전자기기의 저장수단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메모리 카드는 그 크기와 규격에 따라 SD(Secure Digital), MMC(Multimedia Card), CF(Compact Flash), 메모리 스틱 등 다양한 형태로 출시되고 있다.
또한, 심 카드(SIM: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card)는 사용자의 개인 금융 결제정보 등을 저장하고, 비접촉식 전자 신용카드 및 교통카드, 선불카드 등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휴대폰의 다양한 기능을 위해 점차 그 이용도가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기기는 그 기능 또한 더욱 다양해져 본체의 내부에 신용카드 등의 정보를 내장하고 결제수단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기능에서부터, 음악 및 동영상의 재생장치로 까지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종래의 휴대기기에는 에스디 카드와 심 카드를 함께 결합시키기 위한 듀얼 카드 소켓이 제시된 바 있으며, 이러한 듀얼 카드 소켓에는 심 카드를 결합시키기 위한 심 카드 슬롯과, 에스디 카드를 결합시키기 위한 에스디 카드 슬롯이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듀얼 카드 소켓은 복층의 카드 결합 구조를 가지므로, 하부에 상부에 에스디 카드가 삽입된 상태에서 하부의 심 카드를 분리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는 구조였다.
따라서, 심 카드와 에스디 카드를 함께 가 함께 삽입된 상태에서도 심 카드만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41234호(2011년 04월 21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모리 카드 장착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슬롯의 외부로 노출된 인출부재의 조작단을 이용해 심 카드를 적정 길이로 돌출시킴으로써, 심 카드의 상부에 에스디 카드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심 카드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 소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 소켓은, 전방에 심 카드 삽입용 제1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제1슬롯의 후방에 더 높은 위치로 에스디 카드 삽입용 제2슬롯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제1슬롯에 형성된 하부공간의 바닥면과 상기 제2슬롯에 형성된 상부공간의 바닥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심 카드와 상기 에스디 카드의 단자에 각각 접속되는 터미널부 및, 상기 제1슬롯의 일측에서 전후로 이동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슬롯에 삽입된 상기 심 카드에 의해 후퇴된 위치에서 전방으로의 이동 조작을 통해 상기 심 카드를 설정 길이로 취출시키는 취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취출부재는 상기 하부공간의 일측 바닥면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하부공간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하부공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심 카드에 걸림 위치되는 걸림단 및, 상기 몸체의 상단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슬롯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단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슬롯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단이 상부로 노출되며, 상기 걸림단이 이동 가능하도록 전후로 길이를 갖는 개방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단은 상기 심 카드의 모서리 부위에 걸림 위치되도록 상기 하부공간의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상단에는 상기 조작단보다 상기 하부공간의 전방측에 록킹홈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슬롯의 상부에는 상기 몸체가 상기 하부공간의 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하면이 상기 록킹홈에 대응 삽입되어 상기 몸체의 이동된 위치를 유지시키는 록킹편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록킹편의 하면은 상기 하부공간의 전후 방향을 따라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슬롯의 상부에는 상기 몸체가 상기 하부공간의 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조작단의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조작단과 접촉시 충격을 완충하기 위해 지지 방향측 일단이 상향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공간의 일측 바닥면에는 상기 몸체의 내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제1슬롯의 전후 방향을 따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재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부는 상기 하부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심 카드의 하부 단자와 접속되는 제1접촉터미널 및, 상기 상부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에스디 카드의 하부 단자와 접속되는 제2접촉터미널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슬롯에는 상기 취출부재와 대응되는 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공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심 카드의 일측을 탄성 지지 및 안내하는 탄성 지지편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슬롯의 상부에는 전단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상기 하부공간에 삽입된 상기 심 카드의 취출 방향측 단부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제1절개부 및, 후단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상기 하부공간에 삽입된 상기 심 카드의 삽입 방향측 단부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제2절개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슬롯의 외부로 노출된 인출부재의 조작단을 이용해 심 카드를 적정 길이로 돌출시킴으로써, 심 카드의 상부에 에스디 카드가 위치된 상태에서도 심 카드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록킹편과 록킹홈의 걸림 구조를 이용해 일정 길이로 취출된 심 카드를 취출된 위치에 고정적으로 위치시킴으로써, 유동에 의해 심 카드가 재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 소켓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 소켓을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 소켓을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 소켓에서 하부공간 내에 취출부재가 설치 상태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 소켓에서 심 카드를 하부공간 내에 완전히 삽입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 소켓에서 심 카드를 하부공간으로부터 설정 길이로 돌출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 소켓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 소켓을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 소켓을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 소켓에서 하부공간 내에 취출부재가 설치 상태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 소켓은 하우징(100)과, 터미널부(200) 및, 취출부재(3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하우징(100)은 디지털 카메라, 컴퓨터, PDA, 전자사전, GPS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기기 등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0)은 심 카드(SIM card;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card, 10)와 에스디 카드(SD: Secure Digital card, 20)를 장착할 수 있는 2개의 슬롯을 서로 다른 층으로 형성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하우징(100)은 전방에 심 카드(10) 삽입용 제1슬롯(110)이 형성되며, 상기 제1슬롯(110)의 후방에 더 높은 위치로 에스디 카드(20) 삽입용 제2슬롯(120)이 형성한다.
제1슬롯(110)의 내부에는, 심 카드(10)를 삽입시키기 위한 하부공간(111)이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슬롯(110)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공간(111)의 상부를 커버하기 위한 제1커버(112)가 설치된다.
상기 제1커버(112)는, 상기 하부공간(111)에 삽입된 심 카드(10)의 상부면과 측면을 감싸는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커버(112)의 전단에는 일부분을 절개하여, 하부공간(111)에 삽입된 심 카드(10)의 취출 방향측 단부가 상부로 더 넓게 노출되도록 제1절개부(112a)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절개부(112a)는, 하부공간(111) 내에 심 카드(10)를 삽입시키는 경우, 심 카드(10)의 일부분을 외부로 노출시켜 손으로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커버(112)의 후단에는 일부분을 절개하여, 하부공간(111)에 삽입된 심 카드(10)의 삽입 방향측 단부가 상부로 더 넓게 노출되도록 제2절개부(112b)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절개부(112b)는, 심 카드(10)를 취출하기 위한 것으로, 손톱이나 기구물 등을 이용해 제2절개부(112b)로 노출된 심 카드(10)의 일단을 취출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하부공간(111) 내에 심 카드(10)를 삽입시키는 경우, 심 카드(10)의 일부분을 외부로 노출시켜 손으로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2슬롯(120)은, 에스디 카드(20)를 전방으로 삽입 또는 분리시키기 위한 것으로, 전술한 제2슬롯(120)의 후방에 더 높게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2슬롯(120)의 내부에는 에스디 카드(20)를 삽입하기 위해, 상기 에스디 카드(20)와 대응되는 상부공간(1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슬롯(120)의 상부에는 상부공간(121)의 상부를 커버하기 위한 제2커버(122)가 설치된다.
상기 제2커버(122)는, 상기 상부공간(121)에 삽입된 에스디 카드(20)의 상부면과 측면을 감싸는 상태로 지지한다.
이와 같이 설명된 제1커버(112)와 제2커버(122)는, 금속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제1커버(112)와 제2커버(122)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소재로 제작이 가능하다.
터미널부(200)는, 제1슬롯(110)에 형성된 하부공간(111)의 바닥면과 제2슬롯(120)에 형성된 상부공간(121)의 바닥면에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터미널부(200)는 심 카드(10)와 에스디 카드(20)의 단자에 각각 접속된 상태에서, 전자기기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터미널부(200)는 하부공간(111)에 설치되는 제1접촉터미널(210)과, 상부공간(121)에 설치되는 제2접촉터미널(220)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촉터미널(210)은, 하부공간(111)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접촉터미널(210)은 심 카드(10)의 하부에 형성된 단자들과 접속된다.
여기서, 상기 제1접촉터미널(210)은 하부공간(111)의 측방을 따라 다수의 접속용 핀들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상기 제1접촉터미널(210)은 상부를 향하는 접속용 핀들이 심 카드(10)의 단자들에 접속되고, 하부를 향하는 접속용 핀들이 전자기기에 설치된 회로기판의 패턴들에 접속된다.
즉, 제1슬롯(110)에 삽입된 상기 심 카드(10)는 제1접촉터미널(210)을 통해 회로기판 등과 각종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제2접촉터미널(220)은, 상부공간(121)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2접촉터미널(220)은 에스디 카드(20)의 하부에 형성된 단자들과 접속을 이룬다.
여기서, 상기 제2접촉터미널(220)은, 상부공간(121)의 측방을 따라 다수의 접속용 핀들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상기 제2접촉터미널(220)은 상부의 접속용 핀들이 에스디 카드(20)의 단자에 접속되고, 하부를 향하는 접속용 핀들이 전자기기에 설치된 회로기판 등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제1슬롯(110)에 삽입된 심 카드(10)와 제2슬롯(120)에 삽입된 에스디 카드(20)는, 제1접촉터미널(210)과 제2접촉터미널(220)을 통해 회로기판 등과 각종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한편, 제1슬롯(110)에는 후술 될 취출부재(300)와 대응되는 방향에 탄성 지지편(117)이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지지편(117)은, 하부공간(111)으로 삽입되는 심 카드(10)의 일측을 탄성 지지하면서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때, 상기 탄성 지지편(117)이 심 카드(10)의 일단을 지지해 줌으로써, 상기 심 카드(10)는 유동 없이 하부공간(111)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취출부재(300)는, 상부공간(121)에 에스디 카드(20)가 삽입된 상태에서도 하부공간(111)에 삽입된 심 카드(10)를 쉽게 돌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상기 취출부재(300)는 제1슬롯(110)의 일측에서 심 카드(10)의 전후(삽입 및 취출 방향)로 이동조작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취출부재(300)는 제1슬롯(110)에 삽입된 심 카드(10)에 의해 후퇴된 위치에서 전방으로의 이동 조작을 통해, 심 카드(10)를 설정 길이로 돌출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상기 취출부재(300)는, 몸체(310)와, 걸림단(320) 및, 조작단(330)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취출부재(300)는 금속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취출부재(300)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소재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상기 몸체(310)는, 하부공간(111)의 일측 바닥면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몸체(310)는 전후 이동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310)의 상단에는 후술 될 조작단(330)보다 하부공간(111)의 전방측에 록킹홈(31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홈(311)은, 상기 몸체(3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후술 될 록킹편(114)이 대응되게 걸림 위치되는 홈이다.
걸림단(320)은, 몸체(310)의 후단으로부터 하부공간(111)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하부공간(111)으로 삽입되는 심 카드(10)에 걸림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단(320)은 심 카드(10)의 모서리 부위에 걸림 위치되도록 하부공간(111)의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걸림단(320)은, 하부공간(111)으로 심 카드(10)를 삽입시키는 경우, 도 5a에서처럼 상기 심 카드(10)를 삽입하는 힘에 의해 몸체(310)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조작단(330)은, 몸체(310)의 상단으로 돌출 형성되며, 제1슬롯(110)에 형성된 제1커버(11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조작단(330)은 몸체(310)의 외측 일단으로부터 상부로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커버(112)의 일측에는 조작단(330)이 상부로 노출되며, 상기 조작단(330)이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개방홀(1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방홀(113)은, 상기 조작단(330)을 전후로 이동 조작할 수 있도록 전후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하부공간(111)에 삽입된 심 카드(10)를 외부로 취출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조작단(330)을 취출 방향으로 밀어 심 카드(10)를 외부로 취출할 수 있다.
이때, 취출부재(300)의 걸림단(320)은 심 카드(10)의 삽입 방향측 일단을 취출 방향으로 밀게 되므로, 심 카드(10)는 도 5b에서처럼 하부공간(111)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하부공간(111)의 외부로 심 카드(10)의 단부가 일정 길이로 노출되므로, 사용자는 심 카드(10)의 단부를 잡고 외부로 완전히 빼낼 수 있다.
또한, 제1슬롯(110)의 상부에는 취출부재(300)의 몸체(310)가 하부공간(111)의 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몸체(310)를 걸림 위치시키기 위한 록킹편(114)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편(114)은, 제1커버(112)의 일측 상단을 일부 절개하여 형성시킬 수 있으며, 상기 록킹편(114)의 하면이 후술 될 몸체(310)의 록킹홈(311)에 대응 삽입되어 몸체(310)의 이동된 위치를 유지시킨다.
따라서, 상기 록킹편(114)과 록킹홈(311)의 걸림 구조를 이용해, 일정 길이로 취출된 심 카드(10)를 유동 없이 고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록킹편(114)의 하면은 하부공간(111)의 전후 방향을 따라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슬롯(110)의 상부에는 취출부재(300)의 몸체(310)가 하부공간(111)의 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조작단(330)의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11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15)는, 조작단(330)과 접촉시 충격을 완충하기 위해 지지 방향측 일단이 상향 절곡될 수 있고, 상기 스토퍼(115)의 일단이 조작부(330)의 전단과 접촉되면서 위치를 제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하부공간(111)의 일측 바닥면에는 몸체(310)의 내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하부공간(111)의 전후 방향을 따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재(116)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116)는, 상기 하부공간(111)의 전후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상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가이드부재(116)의 횡 방향 일면이 몸체(310)의 일면을 밀착된 상태로 가이드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부재(116)에 의해 가이드 지지되는 인출부재(300)의 몸체(310)는 흔들림 없이 하부공간(111)의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은 제1슬롯(110)의 외부로 노출된 인출부재(300)의 조작단(330)을 이용해 심 카드(10)를 적정 길이로 취출시킴으로써, 심 카드(10)의 상부에 에스디 카드(20)가 위치된 상태에서도 심 카드(10)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록킹편(114)과 록킹홈(311)의 걸림 구조를 이용해 일정 길이로 취출된 심 카드(10)를 취출된 위치에 고정적으로 위치시킴으로써, 유동에 의해 심 카드(10)가 재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의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 소켓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심 카드 20: 에스디 카드
100: 하우징 110: 제1슬롯
111: 하부공간 112: 제1커버
112a: 제1절개부 112b: 제2절개부
113: 개방홀 114: 록킹편
115: 스토퍼 116: 가이드부재
117: 탄성 지지편 120: 제2슬롯
121: 상부공간 122: 제2커버
200: 터미널부 210: 제1접촉터미널
220: 제2접촉터미널 300: 취출부재
310: 몸체 311: 록킹홈
320: 걸림단 330: 조작단

Claims (12)

  1. 전방에 심 카드 삽입용 제1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제1슬롯의 후방에 더 높은 위치로 에스디 카드 삽입용 제2슬롯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제1슬롯에 형성된 하부공간의 바닥면과 상기 제2슬롯에 형성된 상부공간의 바닥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심 카드와 상기 에스디 카드의 단자에 각각 접속되는 터미널부 및, 상기 제1슬롯의 일측에서 전후로 이동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슬롯에 삽입된 상기 심 카드에 의해 후퇴된 위치에서 전방으로의 이동 조작을 통해 상기 심 카드를 설정 길이로 돌출시키는 취출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취출부재는, 상기 하부공간의 일측 바닥면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하부공간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하부공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심 카드에 걸림 위치되는 걸림단 및, 상기 몸체의 상단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슬롯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 소켓.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슬롯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단이 상부로 노출되며, 상기 걸림단이 이동 가능하도록 전후로 길이를 갖는 개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 소켓.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단은,
    상기 심 카드의 모서리 부위에 걸림 위치되도록 상기 하부공간의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 소켓.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단에는,
    상기 조작단보다 상기 하부공간의 전방측에 록킹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제1슬롯의 상부에는,
    상기 몸체가 상기 하부공간의 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하면이 상기 록킹홈에 대응 삽입되어 상기 몸체의 이동된 위치를 유지시키는 록킹편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 소켓.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록킹편의 하면은,
    상기 하부공간의 전후 방향을 따라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 소켓.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슬롯의 상부에는,
    상기 몸체가 상기 하부공간의 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조작단의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 소켓.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조작단과 접촉시 충격을 완충하기 위해 지지 방향측 일단이 상향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 소켓.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공간의 일측 바닥면에는,
    상기 몸체의 내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제1슬롯의 전후 방향을 따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 소켓.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부는,
    상기 하부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심 카드의 하부 단자와 접속되는 제1접촉터미널 및,
    상기 상부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에스디 카드의 하부 단자와 접속되는 제2접촉터미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 소켓.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슬롯에는,
    상기 취출부재와 대응되는 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공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심 카드의 일측을 탄성 지지 및 안내하는 탄성 지지편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 소켓.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슬롯의 상부에는,
    전단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상기 하부공간에 삽입된 상기 심 카드의 취출 방향측 단부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제1절개부 및,
    후단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상기 하부공간에 삽입된 상기 심 카드의 삽입 방향측 단부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제2절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 소켓.

KR1020150007817A 2015-01-16 2015-01-16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 소켓 KR101614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817A KR101614754B1 (ko) 2015-01-16 2015-01-16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817A KR101614754B1 (ko) 2015-01-16 2015-01-16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 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4754B1 true KR101614754B1 (ko) 2016-04-22

Family

ID=55918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7817A KR101614754B1 (ko) 2015-01-16 2015-01-16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475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956B1 (ko) * 2013-07-04 2014-12-04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카드 자동 취출 기능을 갖는 듀얼 카드형 소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956B1 (ko) * 2013-07-04 2014-12-04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카드 자동 취출 기능을 갖는 듀얼 카드형 소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2086B1 (en) Chip card retaining mechanism
JP5893915B2 (ja) カード用トレイ及びカード用コネクタ
US7011537B1 (en) SIM card connector with card ejection mechanism
US7445510B2 (en) Surface contact card holder
US7407414B2 (en) Surface contact card holder
KR100870186B1 (ko)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JP2004311416A (ja) カード用複合コネクタ
JP2007103139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2010056038A (ja) 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
US8056813B2 (en) Chip card holder
US20070293092A1 (en) SIM card attachment/detachment guiding apparatus for a portable terminal
JP5880853B2 (ja) 電子機器のトレイ式引出し部構造
JP2001076101A (ja) Icカードイジェクタ機構
JP2013134976A (ja) コネクタ
US20100084310A1 (en) Chip card holder
JP4808743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4848980B2 (ja) カードコネクタ
US7252527B2 (en) Surface contact card holder
KR101614754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 소켓
TWI250697B (en) Low profile memory card connector
EP2978195B1 (en) Communications terminal compatible with multiple kinds of intelligent cards
JP2012113984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KR200479806Y1 (ko) 나노심 및 마이크로에스디용 복층형 소켓커넥터
KR20030048197A (ko) 에스디(sd) 메모리 카드 소켓
JP2006127811A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