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4710B1 - 의료 영상 스트림을 통신하는 방법 및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의료 영상 스트림을 통신하는 방법 및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710B1
KR101614710B1 KR1020140042013A KR20140042013A KR101614710B1 KR 101614710 B1 KR101614710 B1 KR 101614710B1 KR 1020140042013 A KR1020140042013 A KR 1020140042013A KR 20140042013 A KR20140042013 A KR 20140042013A KR 101614710 B1 KR101614710 B1 KR 101614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biometric
data
user
video 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6715A (ko
Inventor
강종운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42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4710B1/ko
Publication of KR20150116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은 생체 측정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이 때, 생체 측정 디바이스는 제 1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한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제 1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결하기 위한 도킹부를 포함하고,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 1 데이터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생체 정보를 원격 의료 서버에 전송하고, 촬영 장치를 통해 제 1 사용자를 촬영하고, 촬영 결과에 대응하는 영상 스트림을 원격 의료 서버에 전송하고, 원격 의료 서버로부터 의료 영상 스트림을 수신하며, 의료 영상 스트림은 제 1 사용자의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와 제 2 사용자의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료 영상 스트림을 통신하는 방법 및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METHOD AND REMOTE HEALTHCARE SYSTEM FOR COMMUNICATING MEDICAL VEDIO STREAM}
의료 영상 스트림을 통신하는 방법 및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은 경제적인 풍요로움에 따라 생활 수준이 향상되고 있으나, 이에 반하여 각종 질병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교통 수단 발전 등에 따른 운동 부족, 건강하지 못한 음식 섭취가 증가됨에 따라 발생되는 각종 성인병도 또한 꾸준히 증가되고 있는 상황이고, 환경의 변화에 따른 질병이나 바이러스성 질병 등도 정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각종 질병이 증가함에 따라 현대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질병의 예방 및 건강의 증진을 위한 다양한 운동 및 각종 건강식품 및 식이요법 등이 알려지고 있다. 또한, 의료적인 방법을 통해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병원을 통해 의료 분석 내지 건강 진단 서비스를 받기도 한다.
한편, 인구의 노령화 현상 및 거주 형태의 변화를 원인으로 혼자 거주하는 독거 노인이 크게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독거 노인이나 독거 장애인들의 사회적 방치를 해소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독거 노인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수단들도 연구되고 있다. 독거 노인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한국공개특허 제2010-0117306호에는 독거노인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대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생체 신호 측정 장치와 화상 솔루션을 융합하여 홈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고령자 친화적인 유저 인터페이스 및 화상 솔루션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더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은 제 1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한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제 1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결하기 위한 도킹부를 포함하는 생체 측정 디바이스 및 상기 제 1 데이터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생체 정보를 원격 의료 서버에 전송하고, 촬영 장치를 통해 상기 제 1 사용자를 촬영하고, 촬영 결과에 대응하는 영상 스트림을 상기 원격 의료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원격 의료 서버로부터 의료 영상 스트림을 수신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의료 영상 스트림은 상기 제 1 사용자의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와 제 2 사용자의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의료 영상 스트림을 통신하는 방법은 생체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제 1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데이터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촬영 장치를 통해 제 1 사용자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 결과에 대응하는 영상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체 정보 및 상기 영상 스트림을 상기 원격 의료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 의료 서버로부터 의료 영상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의료 영상 스트림은 상기 제 1 사용자의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와 제 2 사용자의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의료 영상 스트림을 통신하는 방법은 생체 측정 디바이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인식하는 단계, 생체 측정 디바이스에서, 제 1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생체 측정 디바이스에서, 측정한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제 1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생체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제 1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 1 데이터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촬영 장치를 통해 제 1 사용자를 촬영하는 단계,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상기 촬영 결과에 대응하는 영상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상기 생체 정보 및 상기 영상 스트림을 상기 원격 의료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상기 원격 의료 서버로부터 의료 영상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의료 영상 스트림은 상기 제 1 사용자의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와 제 2 사용자의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 따른 의료 영상 스트림을 통신하는 방법은 제 1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모바일 디바이스 및 제 2 모바일 디바이스 사이의 영상 세션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영상 세션을 통해 상기 제 1 영상 스트림 및 상기 제 2 영상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영상 스트림, 상기 제 2 영상 스트림 및 상기 생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의료 영상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세션을 통해 상기 의료 영상 스트림을 상기 제 1 모바일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생체 신호 측정 장치와 화상 솔루션을 융합하여 홈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고령자 친화적인 유저 인터페이스 및 화상 솔루션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생체 신호 측정값을 전송하여 원격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할 수 있다. 다양한 생체 신호와 연동을 통해 홈 헬스 케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관련 산업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원격 의료기기의 복잡한 기능 구현에서 탈피하여, 원격 의료의 적용이 시급한 독거노인 및 고령자가 쉽게 활용할 수 있고, 유지 보수, 관리가 수월하며, 복지의 사각지대에 있는 계층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측정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의료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스트림을 통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스트림을 통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스트림을 통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은 생체 측정 디바이스(10),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 원격 의료 서버(30), 제 2 모바일 디바이스(40)를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의 구성이 도 1에 도시된 예로 한정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 서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각 구성들을 일반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 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각 구성들은 소정 인터페이스 하드웨어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생체 측정 디바이스(10)는 신체의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생체 측정 디바이스(10)는 모바일 디바이스(20)와 연결되어 모바일 디바이스(20)에 측정 데이터 또는 생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생체 측정 디바이스(10)의 일 예는 제 1 생체 측정 디바이스(11), 제 2 생체 측정 디바이스(12), 제 3 생체 측정 디바이스(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생체 측정 디바이스(11)는 제 1 사용자의 제 1 생체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한 제 1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제 1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생체 신호는 혈압일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생체 측정 디바이스(11)는 제 1 사용자의 침습적 또는 비침습적으로 신체의 일부로부터 신체의 혈압을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신체의 혈압을 모바일 디바이스(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사용자는 생체 측정 디바이스(10)를 사용자 일 수 있다.
제 2 생체 측정 디바이스(12) 또는 제 3 생체 측정 디바이스(13)는 제 1 사용자의 제 2 생체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한 제 2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제 2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 2 생체 신호는 심전도, 산소포화도, 체온, 체중, 신장 또는 혈당 중 어느 하나의 신호일 수 있다. 일 예로, 제 2 생체 측정 디바이스(12) 또는 제 3 생체 측정 디바이스(13)는 제 1 사용자의 신체의 심박동과 관련된 전위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신체의 심박동과 관련된 전위의 변화값에 대한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20)로 전송할 수 있다.
생체 측정 디바이스(10)는 도킹부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20)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생체 측정 디바이스(10)는 도킹부를 통해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2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생체 측정 디바이스(10)의 장치 중 일부에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를 연결하여 생체 측정 디바이스(10)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생체 측정 디바이스(11)는 제 1 사용자의 제 1 생체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한 제 1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제 1 데이터를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로 전송하고,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와 연결하기 위한 도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생체 측정 디바이스(11)는 제 1 사용자의 제 2 생체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한 제 2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제 2 데이터를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로 전송하고, 모바일 디바이스(20)와 연결하기 위한 도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는 상기 제 1 생체 측정 디바이스(11)와 도킹부를 통해 유선으로 통신하고, 제 2 생체 측정 디바이스(12)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생체 측정 디바이스(10)는 촬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생체 측정 디바이스(10) 또는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는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제 1 촬영 장치를 통해 촬영된 제 1 영상 데이터와, 생체 측정 디바이스(10)의 제 2 촬영 장치를 통해 촬영된 제 2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체 측정 디바이스(10)는 제 1 촬영 장치 또는 제 2 촬영 장치의 동작과 관련한 제어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20)도 제 1 촬영 장치 또는 제 2 촬영 장치의 동작과 관련한 제어 신호를 생체 측정 디바이스(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는 생체 측정 디바이스(10)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생체 정보를 원격 의료 서버(30)에 전송할 수 있다.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는 제 1 생체 측정 디바이스(11)의 촬영장치를 통해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기초하여 영상 스트림을 생성하고, 원격 의료 서버(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영상 데이터는 제 1 사용자를 촬영한 영상 데이터 일 수 있다.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는 원격 의료 서버(30)로부터 의료 영상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의료 영상 스트림은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와 제 2 모바일 디바이스(40)로부터 수신한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의료 영상 스트림일 수 있다.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미도시)로부터 생체 측정 디바이스(10)와 관련된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하고, 업데이트 데이터를 생체 측정 디바이스(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생체 측정 디바이스(10)는 업데이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체 측정 디바이스(10)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이동 통신 장치로서, 예를 들면,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의료 서버(30)는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제 2 모바일 디바이스(40) 사이의 영상 세션을 연결하고, 영상 세션을 통해 제 1 영상 스트림 및 제 2 영상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영상 스트림은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사용자를 촬영한 영상 데이터와 사용자가 생체 측정 디바이스(10)를 통해 측정한 생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영상 스트림은 제 2 사용자를 촬영한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원격 의료 서버(30)는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로부터 생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생체 정보를 기초하여 의료 영상 스트림을 생성하고, 생성한 의료 영상 스트림을 모바일 디바이스(20)에 전송할 수 있다.
제 2 모바일 디바이스(40)는 제 2 사용자를 촬영하고 촬영 결과에 대응하는 제 2 영상 스트림을 생성하고, 생성한 제 2 영상 스트림을 원격 의료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 2 사용자는 도우미, 의사, 간호사, 제 1 사용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특정 사람, 그리고 친구 목록에 있는 사용자 등일 수 있다. 제 2 모바일 디바이스(40)는 위급 상황을 인지하고, 제 2 사용자에게 자동 알림을 전송할 수도 있다.
제 2 모바일 디바이스(4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이동 통신 장치로서, 예를 들면,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생체 측정 디바이스(1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생체 측정 디바이스(10)는 생체 신호 측정부(101), 데이터 생성부(102), 통신부(103), 도킹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신호 측정부(101)는 제 1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제 1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생체 신호 측정부(101)는 제 1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로부터 측정 디바이스를 통해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생체 신호는 혈압이되, 침습적 또는 비침습적으로 신체의 일부로부터 혈압을 측정할 수 있다.
생체 신호 측정부(101)는 제 1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제 2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생체 신호 측정부(101)는 제 1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로부터 측정 디바이스를 통해 제 2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제 2 생체 신호는 심전도, 산소포화도, 체온, 체중, 신장 또는 혈당 중 어느 하나의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생체 신호 측정부(101)는 제 1 사용자의 신체의 심박동과 관련된 전위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데이터 생성부(102)는 생체 신호 측정부(101)에서 측정한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제 1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생성부(102)는 생체 신호 측정부(101)로부터 측정한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생성부(102)는 생체 신호의 단일 측정 값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통신부(103)는 데이터 생성부(102)에서 생성한 제 1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103)는 데이터 생성부(102)에서 생성한 제 1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통신부(103)는 제 1 통신 방식을 통해 제 1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 1 통신 방식은 도킹을 이용한 유선 또는 무선 방식에 의한 근거리 통신일 수 있다.
도킹부(104)는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와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도킹부(104)에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연결이 확인 되면 통신부(103)를 통해 제 1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킹부(104)는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의 단자와 연결되는 도킹단자 또는 도킹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고, 도킹단자 또는 도킹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도킹단자 또는 도킹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도킹단자 또는 도킹 장치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20)는 제 1 통신부(201), 생체 정보 생성부(202), 영상 촬영부(203), 스트림 생성부(204), 제 2 통신부(205), 어플리케이션 설치부(206), 표시부(207)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통신부(201)는 생체 측정 디바이스(10)로부터 제 1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제 1 데이터는 생체 측정 디바이스(10)가 제 1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를 측정한 생체 신호를 기초하여 생성한 데이터일 수 있다.
생체 정보 생성부(202)는 제 1 데이터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생체 정보 생성부(202)는 생체 측정 디바이스(10)에서 생성한 제 1 데이터에 대응하는 복수의 측정값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즉, 생체 정보 생성부(202)는 복수의 측정값들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영상 촬영부(203)는 촬영 장치를 통해 상기 제 1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사용자는 생체 측정 디바이스(10)의 측정하고 있는 사용자일 수 있다.
스트림 생성부(204)는 제 1 사용자의 영상의 영상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트림 생성부(204)는 영상 촬영부(203)에서 제 1 사용자의 촬영한 영상들을 이용하여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제 2 통신부(205)는 생체 정보 및 영상 스트림을 원격 의료 서버(30)에 전송할 수 있다. 제 2 통신부(205)는 원격 의료 서버(30)로부터 의료 영상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제 2 통신부(205)는 제 2 통신 방식을 통해 생체 정보 및 영상 스트림을 원격 의료 서버(30)에 전송할 수 있다. 제 2 통신 방식의 일 예는 3G, 4G 등의 이동 통신 방식, Wi-Fi와 같은 협대역 네트워크 방식 또는 WIMAX, WIBRO와 같은 광대역 네트워크 방식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 2 통신부(205)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에 기초하여 제 2 모바일 디바이스(40)와 영상 세션을 연결하고, 영상 세션을 통해 영상 데이터를 제 2 모바일 디바이스(4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세션은 RTP(Real Time Transport Protocol) 영상 세션일 수 있다. 영상 세션의 연결을 통해 진료자와 환자가 원격으로 실시간 대면하고, 측정 결과에 대하여 진료자의 판단을 들을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설치부(206)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은 제 1 통신부(201), 생체 정보 생성부(202), 영상 촬영부(203), 스트림 생성부(204), 또는 제 2 통신부(20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활성화 또는 동작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표시부(207)는 의료 영상 스트림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표시부(207)는 생체 측정 디바이스(10)로부터 수신한 생체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원격 의료 서버(30)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원격 의료 서버(30)는 세선 연결부(301), 통신부(302), 영상 스트림 생성부(303)를 포함할 수 있다.
세션 연결부(301)는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제 2 모바일 디바이스(40) 사이의 영상 세션을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세션 연결부(301)는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제 2 모바일 디바이스(30)와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시지에 기초하여 영상 세션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세션 연결부(301)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에 기초하여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제 2 모바일 디바이스(40) 사이의 영상 세션을 연결할 수 있다.
통신부(302)는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제 1 영상 스트림 및 제 2 모바일 디바이스(40)의 제 2 영상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02)는 의료 영상 스트림을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제 2 모바일 디바이스(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통신부(302)는 영상 세션을 통해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제 2 모바일 디바이스(40)과 영상 스트림을 송수신할 수 있다. 영상 세션의 일 예는 RTP(Real Time Transport Protocol) 영상 세션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영상 세션의 연결을 통해 진료자와 환자가 원격으로 실시간 대면하고, 측정 결과에 대하여 진료자의 판단을 들을 수 있다.
영상 스트림 생성부(303)는 제 1 영상 스트림, 제 2 영상 스트림 및 생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의료 영상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스트림 생성부(303)는 전체 영상 영역의 제 1 영역에 제 1 영상 스트림을 표시하고, 전체 영상 영역의 제 2 영역에 제 2 영상 스트림을 표시하고, 전체 영상 영역의 제 3 영역에 생체 정보, 생체 신호 측정 결과 또는 진단 결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시하도록 의료 영상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영역 내지 제 3 영역은 상호간에 오버랩될 수도 있다. 통신부(302)는 제 1 영상 스트림 및 제 2 영상 스트림, 생체 정보, 진단 정보를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 또는 제 2 모바일 디바이스(4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수신 시점과 소정의 시간적 격차를 두어 의료 영상 스트림 또는 그 일부(예를 들어, 장면, 프레임 또는 단위 블록)를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 또는 제 2 모바일 디바이스(40)로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스트림을 통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에 의료 영상 스트림을 통신하는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의 각 구성들을 통해 처리되는 동작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여도,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된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의 각 구성들에 대한 동작은 도 5에도 적용된다.
단계 S501에서 모바일 디바이스(20)는 생체 측정 디바이스(10)로부터 제 1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제 1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생체 신호는 제 1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로부터 생체 측정 디바이스(10)를 이용하여 측정한 신호이며, 그 예로 혈압, 심전도, 산소포화도, 체온, 체중, 신장 또는 혈당 중 어느 하나의 신호일 수 있다. 이 때, 제 1 데이터는 생체 측정 디바이스(10)로부터 측정한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단계 S502에서 모바일 디바이스(20)는 제 1 데이터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생체 정보는 생체 측정 디바이스(10)에서 생성한 제 1 데이터에 대응하는 복수의 측정값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데이터일 수 있다.
단계 S503에서 모바일 디바이스(20)는 촬영 장치를 통해 제 1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사용자는 생체 측정 디바이스(10)를 사용자일 수 있다.
단계 S504에서 모바일 디바이스(20)는 촬영 결과에 대응하는 영상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영상 스트림은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제 1 사용자를 촬영한 영상들을 이용하여 생성한 영상 스트림일 수 있다.
단계 S505에서 모바일 디바이스(20)는 생체 정보 및 영상 스트림을 원격 의료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506에서 모바일 디바이스(20)는 원격 의료 서버(30)로부터 의료 영상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의료 영상 스트림은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제 2 모바일 디바이스(40)에 수신한 제 1 영상 스트림, 제 2 영상 스트림 및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생체 신호의 측정 결과 또는 제 2 모바일 디바이스(40)로부터 수신된 진단 결과 등을 제 2 영상 스트림과 함께 오버랩한 의료 영상 스트림일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501 내지 S506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스트림을 통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에 의료 영상 스트림을 통신하는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의 각 구성들을 통해 처리되는 동작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여도,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된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의 각 구성들에 대한 동작은 도 6에도 적용된다.
단계 S601에서 생체 측정 디바이스(10)는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와의 연결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생체 측정 디바이스(10)의 장치 중 일부를 이용한 도킹을 통해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와 연결되면 연결을 인식할 수 있다.
단계 S602에서 생체 측정 디바이스(10)는 제 1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생체 신호 측정부(101)는 제 1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로부터 측정 디바이스를 통해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생체 신호는 혈압이되, 침습적 또는 비침습적으로 신체의 일부로부터 혈압을 측정할 수 있다.
단계 S603에서 생체 측정 디바이스(10)는 측정한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제 1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생체 측정 디바이스(10)는 생체 신호 측정부(101)로부터 측정한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생성부(102)는 생체 신호의 단일 측정 값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604에서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는 생체 측정 디바이스(10)로부터 제 1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제 1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제 1 데이터는 생체 측정 디바이스(10)와의 도킹을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605에서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는 제 1 데이터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는 생체 측정 디바이스(10)에서 생성한 제 1 데이터에 대응하는 복수의 측정값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즉,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는 복수의 측정값들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단계 S606에서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는 촬영 장치를 통해 제 1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사용자는 생체 측정 디바이스(10)의 사용자 일수 있다.
단계 S607에서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는 촬영 결과에 대응하는 영상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는 제 1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한 영상들을 이용하여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608에서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는 생체 정보 및 영상 스트림을 원격 의료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609에서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는 원격 의료 서버(30)로부터 의료 영상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의료 영상 스트림은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제 2 모바일 디바이스(40)에 수신한 제 1 영상 스트림, 제 2 영상 스트림 및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생체 신호의 측정 결과 또는 제 2 모바일 디바이스(40)로부터 수신된 진단 결과 등을 제 2 영상 스트림과 함께 오버랩한 의료 영상 스트림일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601 내지 S609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스트림을 통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에 의료 영상 스트림을 통신하는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의 각 구성들을 통해 처리되는 동작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여도,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된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의 각 구성들에 대한 동작은 도 7에도 적용된다.
단계 S701에서 원격 의료 서버(30)는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생체 정보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 중 일정 부분을 생체 측정 디바이스(10)를 이용하여 측정한 생체 정보일 수 있다.
단계 S702에서 원격 의료 서버(30)는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제 2 모바일 디바이스(40) 사이의 영상 세션을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원격 의료 서버(30)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에 기초하여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제 2 모바일 디바이스(40)사이의 영상 세션을 연결할 수 있다.
단계 S703에서 원격 의료 서버(30)는 영상 세션을 통해 제 1 영상 스트림 및 제 2 영상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영상 스트림은 모바일 디바이스(20)를 이용하여 제 1 사용자를 촬영한 영상이나 데이터일 수 있고, 제 2 영상 스트림은 제 2 모바일 디바이스(40)를 이용하여 제 2 사용자를 촬영한 영상이나 데이터일 수 있다. 이 때, 영상 세션은 RTP(Real Time Transport Protocol) 영상 세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세션의 연결을 통해 진료자와 환자가 원격으로 실시간 대면하고, 측정 결과에 대하여 진료자의 판단을 들을 수 있다.
단계 S704에서 제 1 영상 스트림, 제 2 영상 스트림 및 생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의료 영상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 예를 들면, 영상 스트림 생성부(303)는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제 2 모바일 디바이스(40)에 수신한 제 1 영상 스트림, 제 2 영상 스트림 및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생체 신호의 측정 결과 또는 제 2 모바일 디바이스(40)로부터 수신된 진단 결과 등을 제 2 영상 스트림과 함께 오버랩한 의료 영상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705에서 영상 세션을 통해 의료 영상 스트림을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제 2 모바일 디바이스(4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701 내지 S705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5, 6 및 7 각각을 통해 설명된 의료 영상 스트림을 통신하는 방법 각각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 5를 통해 설명된 의료 영상 스트림을 통신하는 방법을 실행하는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는 의료 영상 스트림을 통신하는 방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앞서 언급된 어플리케이션은 원격 의료 서버(30)에 의하여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로 제공될 수도 있고, 원격 의료 서버(30)와 별도로 구성된 다른 서버에 의하여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로 제공될 수도 있고, 원격 의료 서버(30)와 다른 주체에 의하여 운용되는 다른 서버에 의하여 제 1 모바일 디바이스(20)로 제공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생체 측정 디바이스
20: 제 1 모바일 디바이스
30: 원격 의료 서버
40: 제 2 모바일 디바이스

Claims (25)

  1.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에 있어서,
    제 1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한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제 1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결하기 위한 도킹부를 포함하는 생체 측정 디바이스; 및
    상기 제 1 데이터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생체 정보를 원격 의료 서버에 전송하고, 촬영 장치를 통해 상기 제 1 사용자를 촬영하고, 촬영 결과에 대응하는 영상 스트림을 상기 원격 의료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원격 의료 서버로부터 의료 영상 스트림을 수신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의료 영상 스트림은 상기 제 1 사용자의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와 제 2 사용자의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도킹부는 상기 제 1 데이터를 상기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인,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은,
    상기 제 1 사용자의 영상 스트림과 상기 제 2 사용자의 영상 스트림에 기초하여 상기 의료 영상 스트림을 생성하고, 상기 의료 영상 스트림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원격 의료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장치는 제 1 촬영 장치이되,
    상기 생체 측정 디바이스는 제 2 촬영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생체 측정 디바이스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상기 제 1 촬영 장치 또는 상기 제 2 촬영 장치의 동작과 관련한 제어 신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인,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촬영 장치를 통해 촬영한 제 2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제 1 촬영 장치를 통해 촬영한 제 1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스트림을 생성하는 것인,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촬영 장치 및 상기 제 2 촬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인,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측정 디바이스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제 1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통신하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원격 의료 서버와 제 2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통신하는 것인,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생체 측정 디바이스와 관련된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업데이트 데이터를 상기 생체 측정 디바이스로 전송하되,
    상기 생체 측정 디바이스는 상기 업데이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 측정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 것인,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측정 디바이스는 제 1 사용자의 제 1 생체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한 제 1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제 1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결하기 위한 도킹부를 포함하는 제 1 생체 측정 디바이스이되,
    상기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은, 제 1 사용자의 제 2 생체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한 제 2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제 2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결하기 위한 도킹부를 포함하는 제 2 생체 측정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생체 측정 디바이스와 상기 도킹부를 통해 유선으로 통신하고, 상기 제 2 생체 측정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것인,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측정 디바이스는,
    제 1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생체 신호 측정부;
    측정한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제 1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
    상기 제 1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결하기 위한 도킹부를 포함하는 것인,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생체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 통신부;
    상기 제 1 데이터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를 생성하는 생체 정보 생성부;
    촬영 장치를 통해 상기 제 1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상기 제 1 사용자의 영상의 영상 스트림을 생성하는 스트림 생성부;
    상기 생체 정보 및 상기 영상 스트림을 원격 의료 서버에 전송하는 제 2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통신부는 상기 원격 의료 서버로부터 의료 영상 스트림을 수신하는 것인,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어플리케이션 설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 1 통신부, 상기 생체 정보 생성부, 상기 영상 촬영부, 상기 스트림 생성부 또는 상기 제 2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활성화 또는 동작시키기 위한 것인,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 1 모바일 디바이스이고, 상기 영상 스트림은 제 1 영상 스트림이되,
    촬영 장치를 통해 제 2 사용자를 촬영하고, 촬영 결과에 대응하는 제 2 영상 스트림을 생성하고, 상기 원격 의료 서버로 상기 제 2 영상 스트림을 전송하는 제 2 모바일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인,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의료 서버는,
    상기 제 1 모바일 디바이스 및 제 2 모바일 디바이스 사이의 영상 세션을 연결하는 세션 연결부;
    상기 제 1 영상 스트림 및 상기 제 2 영상 스트림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 1 영상 스트림, 상기 제 2 영상 스트림 및 상기 생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의료 영상 스트림을 생성하는 영상 스트림 생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통신부는 상기 의료 영상 스트림을 상기 제 1 모바일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인,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스트림 및 상기 의료 영상 스트림은 동일한 영상 세션을 통해 전송되는 것인,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
  15. 삭제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의료 영상 스트림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표시부는 상기 생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것인,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신호는 혈압이되,
    상기 생체 측정 디바이스는 침습적 또는 비침습적으로 신체의 일부로부터 상기 혈압을 측정하는 것인,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
  18.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생체 신호는 심전도, 산소포화도, 체온, 체중, 신장 또는 혈당 중 어느 하나의 신호인 것인,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
  19.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를 생성하되,
    상기 통신부는 제 1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제 1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되,
    상기 도킹부는 제 2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제 2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 3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데이터를 상기 원격 의료 서버로 전송하는 것인,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관리 서버와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영상 세션을 연결하고, 상기 RTP 영상 세션을 통해 상기 영상 스트림을 상기 원격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인,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생체 정보를 상기 영상에 오버랩하여 표시하는 것인,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
  2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부는 상기 영상 스트림 및 상기 생체 정보를 단일 스트림으로 합성하고, 합성한 단일 스트림을 상기 원격 의료 서버로 전송하는 것인,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
  23. 의료 영상 스트림을 통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생체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제 1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데이터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촬영 장치를 통해 제 1 사용자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 결과에 대응하는 영상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체 정보 및 상기 영상 스트림을 원격 의료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 의료 서버로부터 의료 영상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의료 영상 스트림은 상기 제 1 사용자의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와 제 2 사용자의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생체 측정 디바이스는 도킹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도킹부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인, 방법.
  24. 의료 영상 스트림을 통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생체 측정 디바이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인식하는 단계;
    생체 측정 디바이스에서, 제 1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생체 측정 디바이스에서, 측정한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제 1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생체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제 1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 1 데이터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촬영 장치를 통해 제 1 사용자를 촬영하는 단계;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상기 촬영 결과에 대응하는 영상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상기 생체 정보 및 상기 영상 스트림을 원격 의료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상기 원격 의료 서버로부터 의료 영상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의료 영상 스트림은 상기 제 1 사용자의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와 제 2 사용자의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생체 측정 디바이스는 도킹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도킹부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인, 방법.
  25. 의료 영상 스트림을 통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모바일 디바이스 및 제 2 모바일 디바이스 사이의 영상 세션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영상 세션을 통해 상기 제 1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제 1 영상 스트림을 수신하고, 상기 제 2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영상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영상 스트림, 상기 제 2 영상 스트림 및 상기 생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의료 영상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세션을 통해 상기 의료 영상 스트림을 상기 제 1 모바일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는, 생체 측정 디바이스에 포함된 도킹부로부터 전송된 제1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정보인 것인, 방법.
KR1020140042013A 2014-04-08 2014-04-08 의료 영상 스트림을 통신하는 방법 및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 KR101614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013A KR101614710B1 (ko) 2014-04-08 2014-04-08 의료 영상 스트림을 통신하는 방법 및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013A KR101614710B1 (ko) 2014-04-08 2014-04-08 의료 영상 스트림을 통신하는 방법 및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715A KR20150116715A (ko) 2015-10-16
KR101614710B1 true KR101614710B1 (ko) 2016-04-22

Family

ID=54365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013A KR101614710B1 (ko) 2014-04-08 2014-04-08 의료 영상 스트림을 통신하는 방법 및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47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179B1 (ko) 2019-08-09 2022-03-22 강길남 맞춤형 방문 예방검진 서비스 스케줄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377178B1 (ko) 2019-08-09 2022-03-22 강길남 맞춤형 방문 예방검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715A (ko) 2015-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y Home Health Hub Internet of Things (H 3 IoT): An architectural framework for monitoring health of elderly people
Pawar et al. A framework for the comparison of mobile patient monitoring systems
Islam et al. The internet of things for health care: a comprehensive survey
Abo-Zahhad et al. A wireless emergency telemedicine system for patients monitoring and diagnosis
CN106372447B (zh) 一种智能医疗病床管理系统的工作方法
US20080146277A1 (en) Personal healthcare assistant
CN103700049A (zh) 一种基于物联网的可通信式网络监护系统的控制方法
CN102811242A (zh) 一种移动健康监控和服务网络系统
KR101614710B1 (ko) 의료 영상 스트림을 통신하는 방법 및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
CN102509015A (zh) 一种远程医疗系统
KR101821317B1 (ko) Uwb 펄스 레이더 기반 이동식 의료영상 전송장치
US1179869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isted transportation for medical care
KR102114638B1 (ko) 수면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KR101556739B1 (ko) 의료용 통합 진단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Suganthi et al. Medical alert systems with TeleHealth & telemedicine monitoring using GSM and GPS technology
CN104739419A (zh) 调节血糖的系统
Hussain et al. A wireless device for patient ECG monitoring and motion activity recording for medical applications
Keikhosrokiani et al. Wireless networks in mobile healthcare
Huertas et al. Biomedical IoT device for self-monitoring applications
Celik et al. An internet based interactive telemedicine system for remote healthcare
KR102037739B1 (ko) 운전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KR101596274B1 (ko) 원격 건강 진단 시스템
KR20140022215A (ko) U-헬스케어 시스템용 중계 단말기 및 매니저 서버
Kannan Wheats: a wearable personal healthcare and emergency alert and tracking system
CN114207734A (zh) 用于胶囊内窥镜检查规程的系统、设备、应用程序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5